KR101817729B1 -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729B1
KR101817729B1 KR1020160057958A KR20160057958A KR101817729B1 KR 101817729 B1 KR101817729 B1 KR 101817729B1 KR 1020160057958 A KR1020160057958 A KR 1020160057958A KR 20160057958 A KR20160057958 A KR 20160057958A KR 101817729 B1 KR101817729 B1 KR 101817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indoor
refrigerant
thermoelectric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7643A (ko
Inventor
송명규
Original Assignee
갑을오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갑을오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갑을오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7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729B1/ko
Publication of KR20170127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78Air-conditioning devices using the Peltier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8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 B60H1/32281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comprising a single secondary circuit, e.g. at evaporator or condens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25B41/0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14Heating or cooling details
    • B60H2001/00121More than one heat exchanger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3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three-way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은 제1유체가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실내열교환기를 순환하도록 구성된 제1라인과, 제2유체가 상기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방열기를 순환하도록 구성된 제2라인과, 냉매가 실외열교환기, 콤프레서, 실내콘덴서를 순환하도록 구성된 냉매라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air conditioning and heating system for vehicle using thermo electric device and refrigerant}
본 발명은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은 자동차 실내에 대한 냉방 장치 및 난방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냉방 장치는, 압축기의 구동에 의하여 토출되는 열교환매체, 즉 냉매가 응축기, 리시버 드라이어(Receiver Dryer),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거쳐 다시 압축기로 순환하는 과정에서, 송풍공기를 증발기쪽에서 열교환시켜 냉기로 바꾸어 차량의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난방 장치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히터코어(Heater Core)쪽에서 송풍공기를 열교환시켜 온기로 바꾸어 차량의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난방하는 시스템이며, 내연기관 차량에 적용된다.
한편, 열전소자 열교환기(thermoelectric device: TED)는 전원을 공급하면 어느 일면은 발열되며 반대의 타면에는 흡열이 일어나는 소자로서, 통상적으로 열전소자 열교환기 이용 공조장치는 발열면과 흡열면에 각각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각 열교환기에 송풍기에 의해 바람을 공급하여 열풍 또는 냉풍을 얻는 공냉식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현재 열전소자 열교환기 시스템만을 이용하여 냉방 및 난방이 가능하지만 이는 컵홀더, 차량 시트 공조, 정수기 등 냉난방 부하가 작은 조건에서만 구현이 가능하고, 이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 냉난방이 가능하게 구현하기에는 열전소자 열교환기 소재자체의 효율 부족, 전력소모량 과대 등으로 적용이 힘든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2-0035014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류에 의하여 흡열 및 발열을 할 수 있는 열전소자 열교환기 시스템과 냉매를 이용한 공조시스템을 결합하여 차량 내부를 냉난방시키고, 나아가 제습까지 가능한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유체가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실내열교환기를 순환하도록 구성된 제1라인; 제2유체가 상기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방열기를 순환하도록 구성된 제2라인; 및 냉매가 실외열교환기, 콤프레서, 실내콘덴서를 순환하도록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콤프레서 사이에 팽창밸브와 칠러(chiller) 및, 상기 실외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콤프레서로 보내거나, 상기 팽창밸브를 경유한 후, 상기 칠러(chiller)로 보내는 3방 밸브(3 way valve)로 구성된 냉매라인;을 포함하고, 냉방 시, 상기 제1라인을 따라 흐르는 제1유체는 상기 열전소자 열교환기에서 1차로 냉각되어 상기 칠러(chiller)로 유입되고, 상기 칠러(chiller) 내부를 흐르는 저온의 냉매에 의해 2차로 냉각된 후 상기 실내열교환기로 유입되며, 실내 냉방을 위해 도입된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거치면서 냉각된 후 실내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1라인은 상기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실내열교환기 사이에 상기 칠러(chiller)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난방 시, 상기 제1라인을 따라 흐르는 제1유체는 상기 열전소자 열교환기에서 가열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로 유입되고, 상기 냉매라인을 따라 흐르는 냉매는 상기 콤프레서에서 고온으로 상태 변화한 후 상기 실내콘덴서로 유입되며, 실내 난방을 위해 도입된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거치면서 1차로 가열된 후 상기 실내콘덴서를 거치면서 2차로 가열되어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난방 중 실내 제습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1라인을 따라 흐르는 제1유체는 열전소자 열교환기에서 냉각되어 실내열교환기로 유입되고, 상기 냉매라인을 따라 흐르는 냉매는 상기 콤프레서에서 고온으로 상태 변화한 후 실내콘덴서로 유입되며, 실내 난방을 위해 도입된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거치면서 습도가 낮아진 후 실내콘덴서를 거치면서 가열되어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이때, 상기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콘덴서 사이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실내콘덴서를 경유하도록 개방하거나, 우회하도록 차폐하는 도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는 일측이 상기 실내콘덴서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도어가 회전하면 도어의 타측이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콘덴서는 일측에 유입구를 형성하고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실내 온도조절을 위한 공기를 상기 유입구로 흡입하고, 온도 조절된 공기를 상기 배출구로 배출하는 송풍수단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라인 및 제2라인에는 각각 제1유체 및 제2유체를 순환시키는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은 전류에 의하여 흡열 및 발열을 할 수 있는 열전소자 열교환기 시스템과 냉매를 이용한 공조시스템을 결합하여 차량 내부를 냉난방시키고, 나아가 제습까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의 냉방모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의 난방모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의 제습모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교환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교환기가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냉각 시스템에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는 일 실시예에 해당될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의 냉방모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의 난방모드를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의 제습모드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은 제1유체가 열전소자 열교환기(100)와 실내열교환기(210)를 순환하도록 구성된 제1라인(L1)과, 제2유체가 상기 열전소자 열교환기(100)와 방열기(220)를 순환하도록 구성된 제2라인(L2)과, 냉매가 실외열교환기(310), 콤프레서(320), 실내콘덴서(330)를 순환하도록 구성된 냉매라인(L3)을 포함한다.
제1라인(L1)은 열전소자 열교환기(100)와 실내열교환기(210)를 순환하도록 구성되며, 열전소자 열교환기(10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거나 가열된 제1유체가 실내열교환기(210)를 통과하면서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킨다.
제2라인(L2)은 상기 열전소자 열교환기(100)와 방열기(220)를 순환하도록 구성되며, 열전소자 열교환기(100)를 통과하면서 가열되거나 냉각된 제2유체가 방열기(220)를 통과하면서 방열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라인(L1) 및 제2라인(L2)에는 각각 제1유체 및 제2유체를 순환시키는 펌프(910,92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열전소자 열교환기(100)가 제1유체를 냉각시키면, 제2유체는 가열되고, 가열된 제2유체는 방열기(220)를 통과하면서 방열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열전소자 열교환기(100)가 제1유체를 가열시키면, 제2유체는 냉각되고, 냉각된 제2유체는 방열기(220)를 통과하면서 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냉매라인(L3)은 실외열교환기(310), 콤프레서(320), 실내콘덴서(330)를 순환하도록 구성되며, 냉매가 콤프레서(320)를 통과하면서 압축되고, 실내콘덴서(330)에서 응축된 후, 실외열교환기(310)를 거치도록 순환한다.
이때, 실내콘덴서(330)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 및/또는 증발기를 거친 후 실외열교환기(310)로 순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라인(L1)과 제2라인(L2)을 순환하는 제1유체 및 제2유체는 물(H20)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라인(L1)은 상기 열전소자 열교환기(100)와 실내열교환기(210) 사이에 칠러(chiller, 4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칠러(400)의 구성으로, 열전소자 열교환기(100)를 통과하면서 1차 냉각된 제1유체가 칠러(400)를 통과하면서 2차로 냉각된 후 실내열교환기(210)로 공급되기 때문에 차량 실내를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확실하게 냉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냉매라인(L3)은 상기 실외열교환기(310)와 상기 콤프레서(320) 사이에 팽창밸브(510)와 칠러(chiller, 40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실외열교환기(310)를 통과한 냉매는 팽창밸브(510) 및 칠러(chiller, 400)를 거쳐 콤프레서(320)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팽창밸브(510) 및 칠러(400)의 구성으로, 열전소자 열교환기(100)를 통과하면서 1차 냉각된 제1유체가 칠러(400)를 통과하면서 2차로 냉각된 후 실내열교환기(2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매라인(L3)은 상기 실외열교환기(310)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콤프레서(320)로 보내거나, 상기 팽창밸브(510) 또는 칠러(chiller, 400)로 보내는 3방 밸브(3 way valve, 5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매라인(L3)은 실외열교환기(310)와 콤프레서(320)를 곧바로 연결하는 재1냉매라인과, 실외열교환기(310)와 팽창밸브(510)와, 칠러(chiller, 400)와, 콤프레서(320)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제2냉매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3방 밸브(3 way valve, 520)는 실외열교환기(310)를 통과한 냉매를 제1냉매라인으로 보내거나 제2냉매라인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차량의 난방모드에서는 실외열교환기(310)를 통과한 냉매를 제1냉매라인으로 보내 곧바로 콤프레서(320)로 전달하고, 차량의 냉방모드에서는 실외열교환기(310)를 통과한 냉매를 제2냉매라인으로 보내 팽창밸브(510)와, 칠러(chiller, 400)를 거쳐 콤프레서(320)로 전달되게 한다.
다른 예로, 상기 실내열교환기(210)와 상기 실내콘덴서(330) 사이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21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실내콘덴서(330)를 경유하도록 개방하거나, 우회하도록 차폐하는 도어(60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600)가 개방되면, 실내열교환기(21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실내콘덴서(330)를 경유하고, 상기 도어(600)가 차폐되면 실내열교환기(210)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콘덴서(330)를 거치지 않고 우회한다.
이때, 상기 도어(600)는 일측이 상기 실내콘덴서(33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도어(600)가 회전하면 도어(600)의 타측이 상기 실내열교환기(2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어(600)의 타측이 실내열교환기(210)의 하단에 위치하면 도어(600)가 차폐된 상태이고, 실내열교환기(210)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콘덴서(330)를 거치지 않고 우회한다.
반면, 도어(600)의 타측이 실내열교환기(210)의 상단에 위치하면 도어(600)가 개방된 상태이고, 실내열교환기(210)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콘덴서(330)를 경유하게 된다.
다른 예로, 상기 실내열교환기(210)와 상기 실내콘덴서(330)는 일측에 유입구(710)를 형성하고 타측에 배출구(720)가 형성된 하우징(700) 내에 구비되고, 실내 온도조절을 위한 외부공기 및/또는 실내공기를 상기 유입구(710)로 흡입하고, 온도 조절된 공기를 상기 배출구(720)로 배출하는 송풍수단(80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구(720)는 차량 실내와 연통된다.
즉, 송풍수단(800)에 의해 공기가 하우징(700) 내부로 유입되면, 실내열교환기(210) 또는 실내열교환기(210)와 실내콘덴서(330)를 경유한 공기가 배출구(720)로 빠져나가 차량 실내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냉매라인(L3)에는 상기 실내콘덴서(330)에서 실외열교환기(310)로 순환하는 냉매의 경로를 개폐하는 이방밸브(2 way valve, 5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방밸브(530)는 팽창밸브(TXV)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의 냉방모드, 난방모드, 제습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냉방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냉방모드에서 열전소자 열교환기(100)는 제1유체를 냉각시킨다. 열전소자 열교환기(100)에서 냉각된 제1유체는 실내열교환기(210)를 경유해서 다시 열전소자 열교환기(100)로 재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열전소자 열교환기(100)에서 냉각된 제1유체는 칠러(400)를 거쳐 2차 냉각된 후 실내열교환기(210)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때, 송풍수단(800)이 공기를 실내열교환기(210) 측으로 송출하면, 그 공기가 실내열교환기(21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냉각된 공기가 차량 실내로 공급되면서 냉방이 이뤄질 수 있다.
다음으로, 난방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난방모드에서 열전소자 열교환기(100)는 제1유체를 가열시킨다. 열전소자 열교환기(100)에서 가열된 제1유체는 실내열교환기(210)를 경유해서 다시 열전소자 열교환기(100)로 재공급된다.
이때, 송풍수단(800)이 공기를 실내열교환기(210) 측으로 송출하면, 그 공기가 실내열교환기(210)를 통과하면서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가 차량 실내로 공급되면서 난방이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실외열교환기(310)와 콤프레서(320)를 거친 냉매는 실내콘덴서(330)로 공급되고, 이때, 실내열교환기(210)와 실내콘덴서(330) 사이를 개폐하는 도어(600)가 개방되면서, 실내열교환기(210)를 통과하면서 1차로 가열된 공기는 실내콘덴서(330)를 거치면서 2차로 가열된 후 차량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습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습모드에서 열전소자 열교환기(100)는 제1유체를 냉각시킨다. 열전소자 열교환기(100)에서 냉각된 제1유체는 실내열교환기(210)를 경유해서 다시 열전소자 열교환기(100)로 재공급된다.
또한, 실외열교환기(310)와 콤프레서(320)를 거친 냉매는 실내콘덴서(330)로 공급되고, 이때, 실내열교환기(210)와 실내콘덴서(330) 사이를 개폐하는 도어(600)가 개방되면서, 실내열교환기(21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는 실내콘덴서(330)를 거친 후후 차량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기존의 냉매를 이용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경우, 겨울철 난방 시 실외열교환기에 성에가 쌓이게 되고, 이러한 적상 현상이 지속될 경우 실외열교환기가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어 시스템 가동이 중단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실외열교환기에 쌓인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 모드가 필요한데, 본 발명의 경우 방열기로 고온의 제2유체가 흐르고, 이를 통해 전도 또는 대류 열전달을 통해 실외열교환기 제상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은 열전소자 열교환기 시스템과 냉매를 이용한 공조시스템을 결합하여 냉방, 난방, 제습이 구현 가능하다.
열전소자 열교환기 시스템의 경우, 냉방 및 제습 조건에서 발열부 열은 방열기를 통해서 버리고, 흡열부 열은 워터 펌프를 구동하여 실내 열교환기로 보내는 구조이고, 난방 조건에서는 반대로 발열부 열을 실내 열교한기로 보내 난방을 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열전소자 열교환기 시스템에 냉매를 이용한 공조 시스템을 추가하여 냉방과 난방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가 있다. 냉매에서 발생한 냉방 열량은 칠러(chiller)를 통하여 열교환하여 실내로 보내지고, 난방 열량은 실내 응측기를 통하여 난방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열전소자 열교환기 210 : 실내열교환기
220 : 방열기 310 : 실외열교환기
320: 콤프레서 330 : 실내콘덴서
400 : 칠러 510 : 팽창밸브
520 : 3방밸브 600 : 도어
700 : 하우징 710 : 유입구
720 : 배출구 800 : 송풍수단
910,920 : 펌프

Claims (11)

  1. 제1유체가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실내열교환기를 순환하도록 구성된 제1라인;
    제2유체가 상기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방열기를 순환하도록 구성된 제2라인; 및
    냉매가 실외열교환기, 콤프레서, 실내콘덴서를 순환하도록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콤프레서 사이에 팽창밸브와 칠러(chiller) 및, 상기 실외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콤프레서로 보내거나, 상기 팽창밸브를 경유한 후, 상기 칠러(chiller)로 보내는 3방 밸브(3 way valve)로 구성된 냉매라인;
    을 포함하고,
    냉방 시, 상기 제1라인을 따라 흐르는 제1유체는 상기 열전소자 열교환기에서 1차로 냉각되어 상기 칠러(chiller)로 유입되고, 상기 칠러(chiller) 내부를 흐르는 저온의 냉매에 의해 2차로 냉각된 후 상기 실내열교환기로 유입되며,
    실내 냉방을 위해 도입된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거치면서 냉각된 후 실내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라인은 상기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실내열교환기 사이에 상기 칠러(chiller)를 구비하는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난방 시, 상기 제1라인을 따라 흐르는 제1유체는 상기 열전소자 열교환기에서 가열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로 유입되고,
    상기 냉매라인을 따라 흐르는 냉매는 상기 콤프레서에서 고온으로 상태 변화한 후 상기 실내콘덴서로 유입되며,
    실내 난방을 위해 도입된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거치면서 1차로 가열된 후 상기 실내콘덴서를 거치면서 2차로 가열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난방 중 실내 제습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1라인을 따라 흐르는 제1유체는 열전소자 열교환기에서 냉각되어 실내열교환기로 유입되고,
    상기 냉매라인을 따라 흐르는 냉매는 상기 콤프레서에서 고온으로 상태 변화한 후 실내콘덴서로 유입되며,
    실내 난방을 위해 도입된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거치면서 습도가 낮아진 후 실내콘덴서를 거치면서 가열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콘덴서 사이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실내콘덴서를 경유하도록 개방하거나, 우회하도록 차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일측이 상기 실내콘덴서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도어가 회전하면 도어의 타측이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는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콘덴서는 일측에 유입구를 형성하고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실내 온도조절을 위한 공기를 상기 유입구로 흡입하고 온도 조절된 공기를 상기 배출구로 배출하는 송풍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는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라인 및 제2라인에는 각각 제1유체 및 제2유체를 순환시키는 펌프가 구비되는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KR1020160057958A 2016-05-12 2016-05-12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KR101817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958A KR101817729B1 (ko) 2016-05-12 2016-05-12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958A KR101817729B1 (ko) 2016-05-12 2016-05-12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643A KR20170127643A (ko) 2017-11-22
KR101817729B1 true KR101817729B1 (ko) 2018-01-11

Family

ID=6080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958A KR101817729B1 (ko) 2016-05-12 2016-05-12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7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5161A1 (ko) * 2018-06-20 2019-12-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전장품 냉각 장치
US11065934B2 (en) 2018-06-15 2021-07-20 Hyundai Motor Company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with battery and electronic component cool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5712B1 (fr) * 2019-12-20 2022-01-14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échange thermique pour des composants électriques et/ou électroniqu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357B1 (ko) * 2012-09-07 2014-07-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48790B1 (ko) * 2013-09-27 2014-10-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357B1 (ko) * 2012-09-07 2014-07-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48790B1 (ko) * 2013-09-27 2014-10-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5934B2 (en) 2018-06-15 2021-07-20 Hyundai Motor Company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with battery and electronic component cooling
WO2019245161A1 (ko) * 2018-06-20 2019-12-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전장품 냉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643A (ko)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01552B (zh) 用于车辆的热泵系统
KR101859512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US20230158856A1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US8359882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selective regenerative thermal energy feedback control
KR20180007021A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JP6108322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6521049B2 (ja) 除霜機能をもつヒートポンプ装置
KR102318996B1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102552118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17729B1 (ko)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JP6068455B2 (ja) 冷却回路およびそのような回路の制御方法
KR102047749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495460B1 (ko) 전기자동차용 냉난방 시스템
CN109982877B (zh) 车辆热泵系统
JP2012162149A (ja) ヒートポンプ式車両用空調装置
JP5823485B2 (ja) 2つの膨張部材の間に直接配置された熱交換器を含む空調ループ
JPH11198638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00062682A (ko) 전기자동차용 냉난방 시스템
KR20200060633A (ko)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CN116981580A (zh) 车用空调装置
KR20090117055A (ko) 버스용 천정형 공기조화장치
JP6948135B2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車両用空調システムのデフロスト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53724A (ko)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KR20160008049A (ko)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
KR101127463B1 (ko) 차량용 냉난방 사이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