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463A -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463A
KR20150087463A KR1020140007013A KR20140007013A KR20150087463A KR 20150087463 A KR20150087463 A KR 20150087463A KR 1020140007013 A KR1020140007013 A KR 1020140007013A KR 20140007013 A KR20140007013 A KR 20140007013A KR 20150087463 A KR20150087463 A KR 20150087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heat exchanger
circulation line
cooling water
refrigerant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9512B1 (ko
Inventor
강성호
김학규
이재민
이정재
최영호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7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512B1/ko
Priority to CN201480057188.1A priority patent/CN105682955B/zh
Priority to DE112014003781.8T priority patent/DE112014003781B4/de
Priority to PCT/KR2014/012632 priority patent/WO2015111847A1/ko
Priority to US14/916,107 priority patent/US10293659B2/en
Publication of KR20150087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512B1/ko
Priority to US16/372,490 priority patent/US1074485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9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 B60H1/00921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where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does not change and there is an extra subcondenser, e.g. in an air 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21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 B60H1/00335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of the gas-ai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21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 B60H1/00342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of the liquid-liqui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1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 B60H1/14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cooling an electric component, e.g. electric motors, electric circuits, fue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1Control means therefo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 vehicle refrigeration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3Control means therefo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in a vehicle heat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8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 B60H1/32281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comprising a single secondary circuit, e.g. at evaporator or condenser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uxiliary or multiple systems, e.g. plurality of evaporators, or by involving auxiliary coo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 F25B29/003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of the compression typ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4Arrangement of shut-off valves for disconnecting a part of the refrigerant cycle, e.g. an outdoo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6/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 F25B6/0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34Header boxes; End plates having a second heat exchanger disposed there within, e.g. oil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2001/00307Component temperature regulation using a liq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2001/0092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comprising a secondary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2001/00949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heating/cooling sources, e.g. second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25B2400/0403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for the 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25B2400/0409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for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 F25B25/005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using primary and secondar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07Flow-diver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9On-of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85Dispositions with two or more expansion means arranged in parallel on a refrigerant line leading to the sam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9Dispositions with two or more expansion means arranged in series, i.e. multi-stage expansion, on a refrigerant line leading to the same evaporator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냉매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매와 차량 전장품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열교환시키는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열교환기의 상류측에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배치하는 제1냉매순환라인 및 실외열교환기의 하류측에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배치하는 제2냉매순환라인을 구성함으로써, 에어컨 모드시 냉매가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와 실외열환기를 통해 냉각수 및 외기에 방열하여 냉각되므로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크기 증대 없이 냉방성능을 향상하고,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냉매가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통해 외기 및 냉각수(전장 폐열)로부터 흡열하여 가열되므로 난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으며,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통해 전장 폐열을 회수하므로 외기온도가 0도 이하이거나 실외열교환기에 착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히트펌프 모드의 구동이 가능하여 난방성능 및 효율을 더욱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Heat pump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냉매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매와 차량 전장품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열교환시키는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열교환기의 상류측에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배치하는 제1냉매순환라인 및 실외열교환기의 하류측에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배치하는 제2냉매순환라인을 구성함으로써, 에어컨 모드시에는 냉매가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와 실외열환기를 통해 냉각수 및 외기에 방열하고,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냉매가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통해 외기 및 냉각수로부터 흡열하도록 한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시스템과, 차량의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난방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냉방시스템은, 냉매사이클의 증발기측에서 증발기의 외부를 거치는 공기를 증발기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시켜 냉기로 바꾸어, 차량 실내를 냉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난방시스템은, 냉각수 사이클의 히터코어측에서 히터코어 외부를 거치는 공기를 히터코어 내부를 흐르는 냉각수와 열교환시켜 온기로 바꾸어, 차량 실내를 난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차량용 공조장치와는 다른 것으로, 하나의 냉매사이클을 이용하여 냉매의 유동방향을 전환함으로써, 냉방과 난방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히트펌프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는데, 예컨대 2개의 열교환기(즉, 공조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하기 위한 실내 열교환기와, 공조케이스 외부에서 열교환하기 위한 실외 열교환기)와, 냉매의 유동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방향전환밸브를 구비한다.
따라서, 방향전환밸브에 의한 냉매의 유동방향에 따라 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가 냉방용 열교환기의 역할을 하게 되며, 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가 난방용 열교환기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다양한 종류가 제안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냉매를 압축하고 토출하는 압축기(30)와, 상기 압축기(3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방열시키는 실내열교환기(32)와, 병렬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32)를 통과한 냉매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1팽창밸브(34) 및 제1바이패스 밸브(36)와, 상기 제1팽창밸브(34) 또는 제1바이패스 밸브(36)를 통과한 냉매를 실외에서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48)와, 상기 실외열교환기(48)를 통과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60)와, 상기 증발기(60)를 통과한 냉매를 기상과 액상의 냉매로 분리하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62)와, 상기 증발기(60)로 공급되는 냉매를 선택적으로 팽창시키는 제2팽창밸브(56)와, 그리고 상기 제2팽창밸브(56)와 병렬로 설치되어 상기 실외열교환기(48)의 출구측과 상기 어큐뮬레이터(62)의 입구측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바이패스 밸브(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실외열교환기(48)의 출구측에는 냉매와 냉각수를 열교환시키는 칠러(50)가 설치된다.
도 1 중 도면부호 10은 상기 실내열교환기(32)와 증발기(60)가 내장되는 공조케이스, 도면부호 12는 냉기와 온기의 혼합량을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 도면부호 20은 상기 공조케이스의 입구에 설치되는 송풍기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에 따르면, 히트펌프 모드(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제1바이패스 밸브(36) 및 제2팽창밸브(56)는 닫히고, 제1팽창밸브(34) 및 제2바이패스 밸브(58)는 개방된다. 또한, 온도조절도어(12)는 도 1처럼 동작한다. 따라서, 압축기(3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는 실내열교환기(32), 제1팽창밸브(34), 실외열교환기(48), 칠러(50), 제2바이패스 밸브(58), 어큐뮬레이터(62)를 차례로 거쳐 압축기(30)로 복귀한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32)가 난방기의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48)는 증발기의 역할을 하게 된다.
에어컨 모드(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제1바이패스 밸브(36) 및 제2팽창밸브(56)는 개방되고, 제1팽창밸브(34) 및 제2바이패스 밸브(58)는 닫히게 된다. 또한, 온도조절도어(12)는 실내열교환기(32) 통로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3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는 실내열교환기(32), 제1바이패스밸브(36), 실외열교환기(48), 칠러(50), 제2팽창밸브(56), 증발기(60), 어큐뮬레이터(62)를 차례로 거쳐 압축기(30)로 복귀한다. 즉, 상기 증발기(60)가 증발기의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온도조절도어(12)에 의해 폐쇄된 상기 실내열교환기(32)는 히트펌프 모드시와 동일하게 난방기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히트펌프 모드(난방모드)시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된 실내열교환기(32)가 난방기 역할을 하여 난방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48)는 공조케이스(10)의 외부 즉, 차량의 엔진룸 전방측에 설치되어 외기와 열교환하는 증발기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실외열교환기(48)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가 외기온도 보다 높을 경우, 다시말해 외기온도가 냉매온도 보다 낮을 경우에는, 외기로부터 열을 흡수(흡열)하지 못함은 물론 상기 실외열교환기(48)에 착상이 발생하는 등 실외열교환기(48)의 열교환 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이로인해 히트 펌프 시스템의 난방성능 및 효율도 떨어지고, 외기 온도가 0도 이하일 경우에는 히트펌프 모드의 구동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공냉식 실외열교환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두께 또는 열교환 유효면적을 증대시켜야 하므로 크기를 증대시켜야만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데, 엔진룸의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크기 증대 및 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매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매와 차량 전장품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열교환시키는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열교환기의 상류측에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배치하는 제1냉매순환라인 및 실외열교환기의 하류측에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배치하는 제2냉매순환라인을 구성함으로써, 에어컨 모드시 냉매가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와 실외열환기를 통해 냉각수 및 외기에 방열하여 냉각되므로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크기 증대 없이 냉방성능을 향상하고,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냉매가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통해 외기 및 냉각수(전장 폐열)로부터 흡열하여 가열되므로 난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으며,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통해 전장 폐열을 회수하므로 외기온도가 0도 이하이거나 실외열교환기에 착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히트펌프 모드의 구동이 가능하여 난방성능 및 효율을 더욱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매순환라인상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내 공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내 공기와 상기 압축기로 공급되는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매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매와 외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와, 에어컨 모드시, 상기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제1팽창수단과, 히트펌프 모드시, 상기 실외열교환기로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제2팽창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차량 전장품측으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순환라인이 설치되고, 상기 냉매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매와 상기 냉각수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열교환시키는 냉매-냉각수 열교환기가 설치되며, 에어컨 모드시에는, 상기 냉매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매가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와 실외열환기를 통해 냉각수 및 외기에 방열하고,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상기 냉매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매가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통해 외기 및 냉각수로부터 흡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냉매순환라인상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내 공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내 공기와 상기 압축기로 공급되는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매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매와 외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차량 전장품측으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순환라인이 설치되고, 상기 냉매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매와 상기 냉각수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열교환시키는 냉매-냉각수 열교환기가 설치되며, 상기 냉매순환라인은, 에어컨 모드시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입구측에서 상기 냉각수로 냉매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상류측에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배치시키는 제1냉매순환라인과, 히트펌프 모드시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출구측에서 상기 냉각수로 냉매를 가열시키도록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하류측에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배치시키는 제2냉매순환라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냉매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매와 차량 전장품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열교환시키는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열교환기의 상류측에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배치하는 제1냉매순환라인 및 실외열교환기의 하류측에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배치하는 제2냉매순환라인을 구성함으로써, 에어컨 모드시 냉매가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와 실외열환기를 통해 냉각수 및 외기에 방열하여 냉각되므로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크기 증대 없이 냉방성능을 향상하고,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냉매가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통해 외기 및 냉각수(전장 폐열)로부터 흡열하여 가열되므로 난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으며,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통해 전장 폐열을 회수하므로 외기온도가 0도 이하이거나 실외열교환기에 착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히트펌프 모드의 구동이 가능하여 난방성능 및 효율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상기 전장품 냉각을 위한 공냉식 라디에이터와 일체화 함으로써, 전장 폐열을 회수하기 위한 칠러(Chiller)와 같은 별도의 열교환기 및 상기 칠러의 연결을 위한 냉각수 라인이 필요 없어 부품수 및 장착공간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를 사용함으로써, 냉방시 냉매압력을 감소시켜 압축기의 작동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에어컨 모드시 액상 냉매가 흐르는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하류측 제1냉매순환라인을 독립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배관의 직경을 축소할 수 있고 이로인해 냉매 충진량을 줄일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에어컨 모드시 액상 냉매가 흐르던 실외열교환기의 하류측 배관을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가 흐르는 용도로 사용하므로 배관의 직경이 커지게 되어 냉매 충진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에어컨 모드와, 히트펌프 모드 상태에서 제습모드를 위한 냉매 유로를 동일하게 사용함으로써, 배관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가 상기 공냉식 라디에이터와 일체화 됨으로써, 상기 공냉식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온도(전장 폐열)가 외기온도 보다 낮은 조건에서는 공냉식 라디에이터의 방열핀 및 튜브를 통해 외기와 열교환하여 외기로부터 흡열을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서 에어컨 모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서 히트펌프 모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서 히트펌프 모드 작동중 제습모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서 히트펌프 모드 작동중 제상모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서 히트펌프 모드의 제상모드 작동중 제습모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서 냉매-냉각수 열교환기와 공냉식 라디에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서 냉매-냉각수 열교환기와 공냉식 라디에이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의 공냉식 라디에이터에서 냉각수가 반대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은, 냉매순환라인(R)상에 압축기(100)와, 실내열교환기(110)와, 제2팽창수단(120)과, 실외열교환기(130)와,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와, 제1팽창수단(140)과, 증발기(160)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매순환라인(R)은, 에어컨 모드시, 냉매가 상기 압축기(100), 실내열교환기(110),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 실외열교환기(130), 제2팽창수단(120), 증발기(160), 압축기(100)로 순환하도록 구성되고, 히트펌프 모드시, 냉매가 상기 압축기(100), 실내열교환기(110), 제1팽창수단(140), 실외열교환기(130),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 압축기(100)로 순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냉매순환라인(R)은, 상기 실내열교환기(110)의 출구측 냉매순환라인(R)상에서 두 개의 라인으로 분기되어,
하나의 라인은, 에어컨 모드시 실내열교환기(110)에서 배출된 냉매가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 실외열교환기(130), 제2팽창수단(120), 증발기(160), 압축기(100)로 순환하도록 하는 제1냉매순환라인(R1)으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라인은, 히트펌프 모드시 실내열교환기(110)에서 배출된 냉매가 제1팽창수단(140), 실외열교환기(130),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 압축기(100)로 순환하도록 하는 제2냉매순환라인(R2)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R1)은, 에어컨 모드시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의 입구측에서 냉각수로 냉매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의 상류측에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배치시키게 되고,
상기 제2냉매순환라인(R2)은, 히트펌프 모드시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의 출구측에서 상기 냉각수로 냉매를 가열시키도록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의 하류측에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배치시키게 된다.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R1)과 제2냉매순환라인(R2)은, 상기 실내열교환기(110)의 출구측 냉매순환라인(R)에서 분기되고, 상기 압축기(100)의 입구측 냉매순환라인(R)에서 다시 합류되며,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와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 구간에서 단일 라인으로 구성된다.
다시말해, 상기 냉매순환라인(R)은, 일부 구간은 단일 라인으로 구성되고, 일부 구간은 제1,2냉매순환라인(R1)(R2)을 통해 두 개의 라인으로 분기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냉매순환라인(R)은, 상기 압축기(100)의 입구측에서부터 상기 실내열교환기(110)의 출구측까지의 구간은 단일 라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10)의 출구측에서부터 상기 압축기(100)의 입구측까지의 구간은 상기 제1,2냉매순환라인(R1)(R2)을 통해 두 개의 라인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2냉매순환라인(R1)(R2) 구간내에서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와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 구간은 단일 라인으로 구성된다. 즉, 히트펌프 모드인 도 3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2냉매순환라인(R1)(R2) 구간내에서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의 입구측에서부터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의 출구측까지의 구간이 단일 라인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제2팽창수단(120)과 실외열교환기(130)의 사이에서 단일 라인이 시작되고,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와 후술하는 제1방향전환밸브(190)의 사이에서 단일 라인이 끝나게 된다.
따라서, 에어컨 모드시에는,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R1)을 따라 냉매가 유동하므로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로 냉매가 먼저 유입된 후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로 유동하고,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상기 제2냉매순환라인(R2)을 따라 냉매가 유동하므로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로 냉매가 먼저 유입된 후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로 유동하게 된다.
즉, 에어컨 모드와 히트펌프 모드시, 상기 단일 라인 구간에서의 냉매 흐름이 반대가 되며, 이로인해 상기 단일 라인 구간에 설치된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와 실외열교환기(130)를 유동하는 냉매의 유동방향 역시 반대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냉매순환라인(R2)에는, 상기 제2냉매순환라인(R2)을 순환하는 냉매가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를 바이패스하도록 바이패스라인(R3)이 병렬로 설치된다.
상기 바이패스라인(R3)은 상기 제1,2냉매순환라인(R1)(R2)의 단일 라인 구간에 연결되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바이패스라인(R3)의 입구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의 입구측 제2냉매순환라인(R2)과 연결되는데 다시말해 상기 제2팽창수단(120)과 실외열교환기(130) 사이의 제2냉매순환라인(R2)에 연결되고,
상기 바이패스라인(R3)의 출구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의 출구측 제2냉매순환라인(R2)과 연결되는데 다시말해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와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 사이의 제2냉매순환라인(R2)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냉매순환라인(R)에서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R1)과 제2냉매순환라인(R2)의 분기지점에는 제1방향전환밸브(190)가 설치된다.
상기 제1방향전환밸브(190)는, 삼방 밸브로서, 에어컨 모드 또는 히트펌프 모드에 따라 상기 실내열교환기(110)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R1) 또는 제2냉매순환라인(R2)으로 냉매의 유동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제1방향전환밸브(190)는, 에어컨 모드시 상기 실내열교환기(110)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R1)으로 유동시키게 되고, 히터펌프 모드시 상기 실내열교환기(110)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기 제2냉매순환라인(R2)으로 유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냉매순환라인(R2)과 상기 바이패스라인(R3)의 분기지점에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제2방향전환밸브(191)가 설치된다.
상기 제2방향전환밸브(191)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에 착상 발생시 또는 실외 온도가 0℃ 이하이면 상기 실외열교환기(130)가 외기로부터 흡열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므로, 히트펌프 모드시 제2냉매순환라인(R2)을 순환하는 냉매가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를 바이패스하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를 바이패스하는 실외 온도 기준을 반드시 0℃로 하지 않고, 상기 외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를 흐르는 냉매간에 열교환 효율이 좋은 경우에만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로 냉매가 통과하고 열교환 효율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실외열교환기(130)를 바이패스하도록 하여 시스템의 난방성능 및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에 착상 발생시, 상기 바이패스라인(R3)으로 냉매가 유동하여 실외열교환기(130)를 바이패스하게 되면, 착상을 지연시키거나 착상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의 출구측 제1냉매순환라인(R1)에는 냉매 유동을 온오프하는 제1온오프밸브(192)가 설치되고,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의 출구측 제2냉매순환라인(R2)에도 냉매 유동을 온오프하는 제2온오프밸브(193)가 설치된다.
상기 제1온오프밸브(192)는,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R1)에서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와 상기 제1팽창수단(140)의 사이에 설치되어, 에어컨 모드시에는 제1냉매순환라인(R1)을 개방하고,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제1냉매순환라인(R1)을 폐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온오프밸브(192)는, 히트펌프 모드 상태에서 차실내 제습모드시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R1)을 개방하여, 상기 제2냉매순환라인(R2)에서 제2팽창수단(120)을 통과한 냉매 중 일부 냉매를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R1)을 통해 상기 제1팽창수단(140) 및 증발기(160)측으로도 냉매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2온오프밸브(193)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냉매순환라인(R2)에서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와 상기 압축기(100)의 사이에 설치되어, 에어컨 모드시에는 제2냉매순환라인(R2)을 폐쇄하고,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제2냉매순환라인(R2)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냉매순환라인(R)에는 냉매 유동방향을 따라 압축기(100), 실내열교환기(110) 순으로 설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10)의 출구측 냉매순환라인(R)에서 분기된 제1냉매순환라인(R1)에는 냉매 유동방향을 따라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 실외열교환기(130), 제1팽창수단(140), 증발기(160) 순으로 설치되며, 상기 실내열교환기(110)의 출구측 냉매순환라인(R)에서 분기된 제2냉매순환라인(R2)에는 냉매 유동방향을 따라 제2팽창수단(120), 실외열교환기(130),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 순으로 설치된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냉매순환라인(R1)(R2)의 일부 구간은 단일 라인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단일 라인 구간에 설치된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와 실외열교환기(130)에는 에어컨 모드 및 히트펌프 모드시 모두 냉매가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컨 모드시에는, 도 2와 같이 상기 압축기(100)에서 배출된 냉매가 실내열교환기(110),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 실외열교환기(130), 제1팽창수단(140), 증발기(160), 압축기(100)를 순차적으로 순환하게 되다.
이때,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와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는 모두 응축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에어컨 모드시 상기 압축기(100)와 실내열교환기(110)를 통과한 고온의 냉매는,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통과하면서 냉각수에 방열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를 통화하면서 외기에 방열하는 과정에서 냉각(응축)되게 된다.
그리고,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도 3과 같이 상기 압축기(100)에서 배출된 냉매가 실내열교환기(110), 제2팽창수단(120), 실외열교환기(130),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 압축기(100)를 순차적으로 순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내열교환기(110)는 응축기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와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는 증발기(160)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히트펌프모드시 상기 압축기(100)와 실내열교환기(110)를 통과한 후 상기 제2팽창수단(120)에서 팽창된 저온의 냉매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를 통과하면서 외기로부터 흡열하고,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통과하면서 냉각수로부터 흡열하는 과정에서 가열(증발)되게 된다.
한편, 히트펌프 모드 상태에서 차실내 제습모드시에는, 상기 제2팽창수단(120)을 통과한 냉매가 제2냉매순환라인(R2) 뿐만 아니라 제1냉매순환라인(R1)으로도 유동하여 제1팽창수단(140) 및 증발기(160)로 공급되므로 차실내 제습을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히트펌프 시스템은, 에어컨 모드시 제1냉매순환라인(R1)을 따라 냉매가 유동하면서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와 실외열교환기(130)를 통해 냉매의 열을 냉각수 및 외기에 방열하고, 히트펌프 모드시 제2냉매순환라인(R2)을 따라 냉매가 유동하면서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와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통해 외기 및 냉각수로부터 흡열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히트 펌프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압축기(100)는 엔진(내연기관) 또는 모터 등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한 후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압축기(100)는, 에어컨 모드시 상기 증발기(160)측에서 배출된 냉매를 흡입,압축하여 실내열교환기(110)측으로 공급하게 되고,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에서 배출된 냉매를 흡입,압축하여 실내열교환기(110)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10)는, 공조케이스(150)의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압축기(100)의 출구측 냉매순환라인(R)과 연결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50)내를 유동하는 공기와 상기 압축기(100)에서 배출된 냉매를 열교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160)는, 공조케이스(150)의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압축기(100)의 입구측 냉매순환라인(R)과 연결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50)내를 유동하는 공기와 상기 압축기(100)로 유동하는 냉매를 열교환시키게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10)는, 에어컨 모드 및 히트펌프 모드시 모두 응축기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증발기(160)는, 에어컨 모드시 증발기(160) 역할을 하고,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냉매 공급이 되지 않아 작동 정지되며, 제습모드시에는 냉매가 일부 공급되어 증발기(160)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내열교환기(110) 및 증발기(160)는, 상기 공조케이스(150)의 내부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공조케이스(150)내의 공기유동방향 상류측에서부터 상기 증발기(160)와 실내열교환기(110)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160)는, 에어컨 모드시 도 2와 같이, 상기 제1팽창수단(140)에서 배출된 저온 저압의 냉매가 상기 증발기(160)로 공급되고, 이때 블로어(미도시)를 통해 공조케이스(15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16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증발기(160) 내부의 저온 저압의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풍으로 바뀐 뒤, 차량 실내로 토출되어 차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10)는,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도 3과 같이, 상기 압축기(100)에서 배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상기 실내열교환기(110)로 공급되고, 이때 블로어(미도시)를 통해 공조케이스(15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실내열교환기(1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실내열교환기(110) 내부의 고온 고압의 냉매와 열교환하여 온풍으로 바뀐 뒤, 차량 실내로 토출되어 차실내를 난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160)의 크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10)의 크기 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50)의 내부에서 상기 증발기(160)와 상기 실내열교환기(110)의 사이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10)를 바이패스하는 공기의 양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51)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조절도어(151)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10)를 바이패스하는 공기의 양과 실내열교환기(110)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5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데,
이때, 에어컨 모드시 도 2와 같이 상기 온도조절도어(151)를 통해 상기 실내열교환기(110)의 전방측 통로를 완전히 폐쇄하게 되면, 상기 증발기(160)를 통과한 냉풍이 실내열교환기(110)를 바이패스하여 차실내로 공급되므로 최대 냉방이 수행되고,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도 3과 같이 상기 온도조절도어(151)를 통해 상기 실내열교환기(110)를 바이패스하는 통로를 완전히 폐쇄하게 되면, 모든 공기가 실내열교환기(110)를 통과하면서 온풍으로 바뀌게 되고 이 온풍이 차실내로 공급되므로 최대 난방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는, 상기 공조케이스(150)의 외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냉매순환라인(R)과 연결되어, 상기 냉매순환라인(R)을 순환하는 냉매와 외기를 열교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는, 상기 제1,2냉매순환라인(R1)(R2)이 단일 라인으로 구성되는 구간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는, 에어컨 모드시 응축기와 같은 방열 역할을 하게 되며, 이때 실외열교환기(13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고온 냉매가 외기와 열교환하게 되면서 방열하여 냉각(응축)되고.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증발기(160)와 같은 흡열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때 실외열교환기(130)의 내부를 유동하는 저온 냉매가 외기와 열교환하게 되면서 외기로부터 흡열하여 가열(증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는, 차량 엔진룸내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물론 후술하는 공냉식 라디에이터(210)도 엔진룸내의 전방측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와 공냉식 라디에이터(210)는 주행풍의 유동방향으로 서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차량 전장품(200)을 냉각하도록 차량 전장품(200)측으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순환라인(W)이 설치된다.
상기 차량 전장품(200)으로는 대표적으로 모터와, 인버터 등이 있다.
상기 냉각수순환라인(W)에는, 상기 냉각수순환라인(W)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공냉식 라디에이터(210)와, 상기 냉각수순환라인(W)을 따라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워터펌프(P)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워트펌프(P)가 구동되면, 상기 냉각수순환라인(W)을 따라 냉각수가 순환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전장품(200)을 통과하는 냉각수는 전장품(200)을 냉각시키면서 가열되고, 이때 가열된 냉각수는 상기 공냉식 라디에이터(210)를 통과하면서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되게 된다.
상기 공냉식 라디에이터(210)는, 도 7 및 도 8 과 같이 두가지 실시예로 구성된다.
도 7의 공냉식 라디에이터(210)는, 상기 냉각수순환라인(W)과 연결되도록 입,출구파이프(213)(214)가 구비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헤더탱크(211)(212)와,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211)(212)에 양단부가 연결되어 한 쌍의 헤더탱크(211)(212)를 연통시키는 복수개의 튜브(216)와, 상기 복수개의 튜브(216)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핀(217)으로 구성된다.
상기 입,출구파이프(213)(214)는,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가 설치되는 일측 헤더탱크(211)의 반대편 헤더탱크(212)측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입,출구파이프(213)(214) 사이의 헤더탱크(212)의 내부에는, 상기 헤더탱크(212)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벽(215)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입구파이프(213)로 유입된 냉각수는, 상기 구획벽(215)에 의해 구획된 일측 튜브(216)들을 따라 유동한 후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가 설치된 헤더탱크(211)로 공급되고, 상기 헤더탱크(211)로 공급된 냉각수는 'U'턴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내의 냉매와 열교환하게 된다. 이후, 상기 구획벽(215)에 의해 구획된 타측 튜브(216)들을 따라 유동한 후 상기 출구파이프(214)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는, 상기 공냉식 라디에이터(21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즉,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211)(212) 중 일측 헤더탱크(21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이로인해,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유동하는 냉매와 상기 공냉식 라디에이터(210)를 유동하는 냉각수가 열교환되게 된다.
이때,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는, 상기 입,출구파이프(213)(214)가 구비된 헤더탱크(212)의 반대편 헤더탱크(2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에는 입,출구파이프(181)(182)가 구비되어 상기 제1,2냉매순환라인(R1)(R2)과 연결되게 된다.
한편,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의 입,출구파이프(181)(182)는 상기 제1,2냉매순환라인(R1)(R2)의 단일 라인 구간과 연결된다.
따라서, 에어컨 모드시에는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유동하는 고온 냉매가 상기 공냉식 라디에이터(210)내의 냉각수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되고,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유동하는 저온 냉매가 상기 공냉식 라디에이터(210)내의 냉각수와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되게 된다.
한편,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와 공냉식 라디에이터(210)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히트펌프 모드시 냉각수의 열원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의 공냉식 라디에이터(210)는, 상기 도 7의 공냉식 라디에이터(210)와 입,출구파이프(213)(214)의 위치가 상이하다.
즉, 도 8 및 도 9의 공냉식 라디에이터(210)의 입구파이프(213)는,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211)(212) 중 일측 헤더탱크(212)에 구비되고, 상기 출구파이프(214)는 타측 헤더탱크(211)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냉각수순환라인(W)에는, 상기 냉각수순환라인(W)을 순환하는 냉각수의 순환방향을 반대로 전환하는 사방밸브(218)가 설치된다.
즉, 상기 냉각수순환라인(W)에는 상기 워터펌프(P), 전장품(200), 사방밸브(218), 공냉식 라디에이터(210), 사방밸브(218), 워터펌프(P)가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워터펌프(P)가 구동되면, 상기 냉각수순환라인(W)을 따라 순환하는 냉각수가 전장품(200), 사방밸브(218), 공냉식 라디에이터(210), 다시 사방밸브(218)를 거쳐 워터펌프(P)로 순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냉식 라디에이터(210)의 입구파이프(213)로 유입된 냉각수는, 전체 튜브(216)들을 동시에 통과한 후 타측 헤더탱크(211)로 유동하고, 이후 상기 타측 헤더탱크(211)내에서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내의 냉매와 열교환 한 후, 출구파이프(214)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사방밸브(218)를 조절하면 도 8과 같은 냉각수 순환방향이 도 9와 같은 냉각수 순환방향으로 전환되게 된다.
즉, 에어컨 모드시에는, 도 8과 같은 냉각수 순환방향을 구성하여, 상기 공냉식 라디에이터(210)를 유동하면서 외기와 열교환하여 냉각된 냉각수가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의 냉매와 열교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유동하는 냉매의 냉각성능을 향상하여 냉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도 9와 같은 냉각수 순환방향을 구성하여, 상기 공냉식 라디에이터(210)로 유입된 냉각수가 외기와 열교환하기 전에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의 냉매와 열교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유동하는 냉매의 가열성능을 향상하여 난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팽창수단(140)은, 도 2와 같이,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와 증발기(160) 사이의 제1냉매순환라인(R1)에 오리피스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에어컨 모드시,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를 통과한 고온 냉매가 상기 제1팽창수단(140)인 오리피스를 통과하면서 팽창하여 저온 저압의 냉매로 바뀐 후, 상기 증발기(160)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제2팽창수단(120)은, 도 3과 같이, 상기 실내열교환기(110)와 실외열교환기(130) 사이의 제2냉매순환라인(R2)에 오리피스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히트펌프 모드시, 상기 실내열교환기(110)를 통과한 고온 냉매가 상기 제2팽창수단(120)인 오리피스를 통과하면서 팽창하여 저온 저압의 냉매로 바뀐 후,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00)의 입구측 냉매순환라인(R)상에는 어큐뮬레이터(170)가 설치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170)는 상기 압축기(100)로 공급되는 냉매 중에서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를 분리하여 압축기(100)로 기상 냉매만 공급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50) 내부의 실내열교환기(110) 하류측에는 난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도록 전기 가열식 히터(115)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전기 가열식 히터(115)는, 차량의 배터리(116)와 연결된다.
즉, 차량의 시동 초기에 보조열원으로 상기 전기 가열식 히터(115)를 작동시킴으로써 난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난방 열원이 부족할 경우에도 상기 전기 가열식 히터(115)를 가동할 수 있다.
상기 전기 가열식 히터(115)로는 PTC히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은,
에어컨 모드시 냉매가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와 실외열교환기(130)를 통해 냉각수 및 외기에 방열하여 냉각되므로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의 크기 증대 없이 냉방성능을 향상하고,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냉매가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와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통해 외기 및 냉각수(전장 폐열)로부터 흡열하여 가열되므로 난방성능을 향상함은 물론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통해 전장 폐열을 회수하므로 외기온도가 0도 이하이거나 실외열교환기(130)에 착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히트펌프 모드의 구동이 가능하여 난방성능 및 효율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상기 전장품(200) 냉각을 위한 공냉식 라디에이터(210)와 일체화 함으로써, 전장 폐열을 회수하기 위한 칠러(Chiller)와 같은 별도의 열교환기 및 상기 칠러의 연결을 위한 냉각수 라인이 필요 없어 부품수 및 장착공간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사용함으로써, 냉방시 냉매압력을 감소시켜 압축기(100)의 작동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에어컨 모드시 액상 냉매가 흐르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의 하류측 제1냉매순환라인(R1)을 독립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배관의 직경을 축소할 수 있고 이로인해 냉매 충진량을 줄일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에어컨 모드시 액상 냉매가 흐르던 실외열교환기(130)의 하류측 배관을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가 흐르는 용도로 사용하므로 배관의 직경이 커지게 되어 냉매 충진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에어컨 모드와, 히트펌프 모드 상태에서 제습모드를 위한 냉매 유로를 동일하게 사용함으로써, 배관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가 상기 공냉식 라디에이터(210)와 일체화 됨으로써, 상기 공냉식 라디에이터(210)의 냉각수 온도(전장 폐열)가 외기온도 보다 낮은 조건에서는 공냉식 라디에이터(210)의 방열핀(217) 및 튜브(216)를 통해 외기와 열교환하여 외기로부터 흡열을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가. 에어컨 모드(냉방 모드)(도 2)
에어컨 모드(냉방 모드)시에는, 도 2와 같이, 상기 제1방향전환밸브(190)를 통해 상기 실내열교환기(110)에서 배출된 냉매가 제1냉매순환라인(R1)으로 흐르도록 냉매 유동방향이 전환되고, 상기 제1온오프밸브(192)는 개방되며, 상기 제2온오프밸브(193)는 폐쇄되고, 상기 제2방향전환밸브(191)를 통해 바이패스라인(R3)이 폐쇄 된다.
또한, 상기 워터펌프(P)가 가동하여 냉각수순환라인(W)의 전장품(200)과 공냉식 라디에이터(210)로 냉각수가 순환하게 된다.
한편, 최대 냉방시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50)내의 온도조절도어(151)가 실내열교환기(110)를 통과하는 통로를 폐쇄하도록 작동하여, 블로어에 의해 공조케이스(150)내로 송풍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16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실내열교환기(110)를 바이패스 하여 차실내로 공급됨으로써, 차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계속해서, 냉매 순환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압축기(100)에서 압축된 후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상기 공조케이스(15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실내열교환기(110)로 공급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10)로 공급된 냉매는, 도 2와 같이 온도조절도어(151)가 실내열교환기(110)측 통로를 폐쇄하고 있으므로 공기와 열교환하지 않고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R1)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R1)으로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냉식 라디에이터(210)를 순환하는 냉각수와 열교환하여 응축(냉각)된다.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냉매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로 유동하여 외기와 열교환하게 되면서 재차 응축(냉각)된다.
이처럼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와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냉매는, 냉각수(전장 폐열) 및 외기와 순차적으로 열교환하면서 냉각되어 기상 냉매가 액상 냉매로 바뀌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1팽창수단(14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감압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액상냉매가 된 후, 상기 증발기(160)로 유입된다.
상기 증발기(160)로 유입된 냉매는 블로어를 통해 공조케이스(150) 내부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함과 동시에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공기를 냉각하게 되며, 이처럼 냉각된 공기가 차량 실내로 공급되어 냉방하게 된다.
이후, 상기 증발기(160)에서 배출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100)로 유입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사이클을 재순환하게 된다.
나. 히트펌프 모드(난방모드)(도 3)
히트펌프 모드는, 도 3과 같이, 상기 제1방향전환밸브(190)를 통해 상기 실내열교환기(110)에서 배출된 냉매가 제2냉매순환라인(R2)으로 흐르도록 냉매 유동방향이 전환되고, 상기 제1온오프밸브(192)는 폐쇄되며, 상기 제2온오프밸브(193)는 개방되고, 상기 제2방향전환밸브(191)를 통해 바이패스라인(R3)이 폐쇄 된다.
또한, 상기 워터펌프(P)가 가동하여 냉각수순환라인(W)의 전장품(200)과 공냉식 라디에이터(210)로 냉각수가 순환하게 된다.
그리고,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50)내의 온도조절도어(151)가 실내열교환기(110)를 바이패스하는 통로를 폐쇄하도록 작동하여, 블로어에 의해 공조케이스(150)내로 송풍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160)(작동정지)를 통과한 후 상기 실내열교환기(110)를 통과하면서 온풍으로 바뀌어 차실내로 공급됨으로서, 차실내를 난방하게 된다.
계속해서, 냉매 순환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압축기(100)에서 압축된 후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상기 공조케이스(150)의 내부에 설치된 실내열교환기(110)로 유입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10)로 유입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블로어를 통해 공조케이스(150)의 내부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면서 응축되며, 이때 상기 실내열교환기(110)를 통과하는 공기는 온풍으로 바뀐 뒤, 차량 실내로 공급되어 차실내를 난방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실내열교환기(110)에서 배출된 냉매는, 상기 제2냉매순환라인(R2)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2팽창수단(12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감압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액상냉매가 된 후,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로 공급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로 공급된 냉매는, 외기와 열교환하면서 증발한 후,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로 공급된다.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로 공급된 냉매는, 상기 공냉식 라디에이터(210)를 순환하는 냉각수와 열교환하여 재차 증발된다.
이처럼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와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냉매는, 외기 및 냉각수(전장 폐열)와 순차적으로 열교환하면서 증발(가열)되어 액상냉매가 기상 냉매로 바뀌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압축기(100)로 유입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사이클을 재순환하게 된다.
다. 히트펌프 모드 작동중 제습모드(도 4)
히트펌프 모드 작동중 제습모드는, 도 3의 히터펌프 모드로 작동 중에 차실내 제습이 필요한 경우에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의 히트펌프 모드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습모드시에는, 히트펌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1온오프밸브(192)가 추가로 개방되어 제1냉매순환라인(R1)으로도 냉매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제습모드시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50)내의 온도조절도어(151)가 실내열교환기(110)를 바이패스하는 통로를 폐쇄하도록 작동하여, 블로어에 의해 공조케이스(150)내로 송풍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16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각된 후, 상기 실내열교환기(110)를 통과하면서 온풍으로 바뀌어 차실내로 공급됨으로서, 차실내를 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160)로 공급되는 냉매량이 적기 때문에 공기 냉각성능도 낮아 실내온도 변화를 최소화하게 되고, 증발기(160)를 통과하는 공기의 제습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냉매 순환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압축기(100), 실내열교환기(110), 제2팽창수단(120)을 통과한 냉매 중 일부 냉매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와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통과하게 되고, 일부 냉매는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R1)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와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통과하는 냉매는 외기 및 냉각수(전장 폐열)와 열교환하면서 증발하게 되고,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R1)으로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제1팽창수단(140)을 통과한 후 상기 증발기(160)로 공급되어 공조케이스(15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과정에서 증발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160)를 통과하는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증발기(160)를 통과한 제습된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10)를 통과하면서 온풍으로 바뀐 후 차량 실내로 공급되어 제습 난방하게 된다.
이후,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와 상기 증발기(160)를 각각 통과한 냉매는 합류된 후, 상기 압축기(100)로 유입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사이클을 재순환하게 된다.
라. 히트펌프 모드 작동중 제상모드(도 5)
히트펌프 모드 작동중 제상모드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에 착상이 발생한 경우에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의 히트펌프 모드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상모드시에는, 히트펌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2방향전환밸브(191)를 통해 상기 바이패스라인(R3)이 개방된다.
계속해서, 냉매 순환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압축기(100), 실내열교환기(110), 제2팽창수단(120)을 통과한 냉매는, 상기 바이패스라인(R3)을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를 바이패스 한 후,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로는 냉매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착상이 해제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로 공급된 냉매는 냉각수(전장 폐열)와 열교환하면서 증발한 후, 상기 압축기(100)로 유입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사이클을 재순환하게 된다.
마. 히트펌프 모드의 제상모드 작동중 제습모드(도 6)
히트펌프 모드의 제상모드 작동중 제습모드는, 도 5의 제상모드로 작동 중에 차실내 제습이 필요한 경우에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의 제상모드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상모드 작동중 제습모드시에는, 제상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1온오프밸브(192)가 추가로 개방되어 제1냉매순환라인(R1)으로도 냉매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제상모드 작동중 제습모드시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50)내의 온도조절도어(151)가 실내열교환기(110)를 바이패스하는 통로를 폐쇄하도록 작동하여, 블로어에 의해 공조케이스(150)내로 송풍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16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각된 후, 상기 실내열교환기(110)를 통과하면서 온풍으로 바뀌어 차실내로 공급됨으로서, 차실내를 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160)로 공급되는 냉매량이 적기 때문에 공기 냉각성능도 낮아 실내온도 변화를 최소화하게 되고, 증발기(160)를 통과하는 공기의 제습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냉매 순환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압축기(100), 실내열교환기(110), 제2팽창수단(120)을 통과한 냉매 중 일부 냉매는, 상기 바이패스라인(R3)을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를 바이패스 한 후,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로 공급되고,
일부 냉매는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R1)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로 공급된 냉매는 냉각수(전장 폐열)와 열교환하면서 증발하게 되고,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R1)으로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제1팽창수단(140)을 통과한 후 상기 증발기(160)로 공급되어 공조케이스(15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과정에서 증발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160)를 통과하는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증발기(160)를 통과한 제습된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10)를 통과하면서 온풍으로 바뀐 후 차량 실내로 공급되어 제습 난방하게 된다.
이후,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와 상기 증발기(160)를 각각 통과한 냉매는 합류된 후, 상기 압축기(100)로 유입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사이클을 재순환하게 된다.
100: 압축기 110: 실내열교환기
115: 전기 가열식 히터 120: 제2팽창수단
130: 실외열교환기 140: 제1팽창수단
150: 공조케이스 151: 온도조절도어
160: 증발기 170: 어큐뮬레이터
180: 냉매-냉각수 열교환기 190: 제1방향전환밸브
191: 제2방향전환밸브 192: 제1온오프밸브
193: 제2온오프밸브 200: 전장품
210: 공냉식 라디에이터
R: 냉매순환라인 R1: 제1냉매순환라인
R2: 제2냉매순환라인 R3: 바이패스라인
W: 냉각수 순환라인

Claims (19)

  1. 냉매순환라인(R)상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100)와,
    공조케이스(15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150)내 공기와 상기 압축기(100)에서 배출된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5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150)내 공기와 상기 압축기(100)로 공급되는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160)와,
    상기 공조케이스(15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매순환라인(R)을 순환하는 냉매와 외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130)와,
    에어컨 모드시, 상기 증발기(160)로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제1팽창수단(140)과,
    히트펌프 모드시,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로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제2팽창수단(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전장품(200)을 냉각하도록 차량 전장품(200)측으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순환라인(W)이 설치되고,
    상기 냉매순환라인(R)을 순환하는 냉매와 상기 냉각수순환라인(W)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열교환시키는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가 설치되며,
    에어컨 모드시에는, 상기 냉매순환라인(R)을 순환하는 냉매가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와 실외열환기를 통해 냉각수 및 외기에 방열하고,
    히트펌프 모드시에는, 상기 냉매순환라인(R)을 순환하는 냉매가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와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통해 외기 및 냉각수로부터 흡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순환라인(R)은,
    에어컨 모드시, 냉매가 상기 압축기(100), 실내열교환기(110),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 실외열교환기(130), 제1팽창수단(140), 증발기(160), 압축기(100)로 순환하도록 구성되고,
    히트펌프 모드시, 냉매가 상기 압축기(100), 실내열교환기(110), 제2팽창수단(120), 실외열교환기(130),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 압축기(100)로 순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순환라인(R)은, 상기 실내열교환기(110)의 출구측 냉매순환라인(R)상에서 두 개의 라인으로 분기되어,
    하나의 라인은, 에어컨 모드시 실내열교환기(110)에서 배출된 냉매가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 실외열교환기(130), 제1팽창수단(140), 증발기(160), 압축기(100)로 순환하도록 하는 제1냉매순환라인(R1)으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라인은, 히트펌프 모드시 실내열교환기(110)에서 배출된 냉매가 제2팽창수단(120), 실외열교환기(130),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 압축기(100)로 순환하도록 하는 제2냉매순환라인(R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순환라인(W)에는, 상기 냉각수순환라인(W)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공냉식 라디에이터(210)가 설치되며,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는, 상기 공냉식 라디에이터(210)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냉식 라디에이터(210)는, 상기 냉각수순환라인(W)과 연결되도록 입,출구파이프(213)(214)가 구비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헤더탱크(211)(212)와,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211)(212)에 양단부가 연결되어 한 쌍의 헤더탱크(211)(212)를 연통시키는 복수개의 튜브(216)와, 상기 복수개의 튜브(216)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핀(21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는,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211)(212) 중 일측 헤더탱크(2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구파이프(213)(214)는,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가 설치된 일측 헤더탱크(211)의 반대편 헤더탱크(212)측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입,출구파이프(213)(214) 사이의 헤더탱크(212)의 내부에는, 상기 헤더탱크(212)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벽(215)이 설치되어,
    상기 입구파이프(213)로 유입된 냉각수가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가 설치된 헤더탱크(211)에서 'U'턴하여 상기 출구파이프(214)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파이프(213)는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211)(212) 중 일측 헤더탱크(212)에 구비되고, 상기 출구파이프(214)는 타측 헤더탱크(211)에 구비되며,
    상기 냉각수순환라인(W)에는, 상기 냉각수순환라인(W)을 순환하는 냉각수의 순환방향을 반대로 전환하는 사방밸브(21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R1)과 제2냉매순환라인(R2)의 분기지점에는 에어컨 모드 또는 히트펌프 모드에 따라 상기 실내열교환기(110)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R1) 또는 제2냉매순환라인(R2)으로 냉매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제1방향전환밸브(19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냉매순환라인(R2)에는, 상기 제2냉매순환라인(R2)을 순환하는 냉매가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를 바이패스하도록 바이패스라인(R3)이 병렬로 설치되고,
    상기 제2냉매순환라인(R2)과 상기 바이패스라인(R3)의 분기지점에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제2방향전환밸브(19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라인(R3)의 입구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의 입구측 제2냉매순환라인(R2)과 연결되고,
    상기 바이패스라인(R3)의 출구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의 출구측 제2냉매순환라인(R2)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의 출구측 제1냉매순환라인(R1)에는 냉매 유동을 온오프하는 제1온오프밸브(19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의 출구측 제2냉매순환라인(R2)에는 냉매 유동을 온오프하는 제2온오프밸브(19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히트펌프 모드 상태에서 차실내 제습모드시, 상기 제1온오프밸브(192)를 개방하여, 상기 제2냉매순환라인(R2)에서 제2팽창수단(120)을 통과한 냉매 중 일부 냉매를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R1)을 통해 상기 제1팽창수단(140) 및 증발기(160)측으로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열교환기(110)의 출구측 냉매순환라인(R)에서 분기된 제1냉매순환라인(R1)과 제2냉매순환라인(R2)은,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와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 구간에서 단일 라인으로 구성되어,
    에어컨 모드와 히트펌프 모드시, 상기 단일 라인 구간에서의 냉매흐름이 반대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와 상기 공냉식 라디에이터(210)는 차량 엔진룸내의 전방측에 설치되되, 주행풍의 유동방향으로 서로 중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16. 냉매순환라인(R)상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100)와,
    공조케이스(15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150)내 공기와 상기 압축기(100)에서 배출된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5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150)내 공기와 상기 압축기(100)로 공급되는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160)와,
    상기 공조케이스(15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매순환라인(R)을 순환하는 냉매와 외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전장품(200)을 냉각하도록 차량 전장품(200)측으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순환라인(W)이 설치되고,
    상기 냉매순환라인(R)을 순환하는 냉매와 상기 냉각수순환라인(W)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열교환시키는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가 설치되며,
    상기 냉매순환라인(R)은, 에어컨 모드시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의 입구측에서 상기 냉각수로 냉매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의 상류측에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배치시키는 제1냉매순환라인(R1)과, 히트펌프 모드시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의 출구측에서 상기 냉각수로 냉매를 가열시키도록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의 하류측에 상기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를 배치시키는 제2냉매순환라인(R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R1)과 제2냉매순환라인(R2)은, 상기 실내열교환기(110)의 출구측 냉매순환라인(R)에서 분기되고, 상기 압축기(100)의 입구측 냉매순환라인(R)에서 다시 합류되며,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와 냉매-냉각수 열교환기(180) 구간에서 단일 라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R1)과 제2냉매순환라인(R2)의 분기지점에는, 에어컨 모드 또는 히트펌프 모드에 따라 상기 실내열교환기(110)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R1) 또는 제2냉매순환라인(R2)으로 냉매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제1방향전환밸브(190)가 설치되고,
    상기 제1냉매순환라인(R1)에는 냉매 유동을 온오프하는 제1온오프밸브(192)가 설치되며, 상기 제2냉매순환라인(R2)에는 냉매 유동을 온오프하는 제2온오프밸브(19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냉매순환라인(R2)에는, 상기 제2냉매순환라인(R2)을 순환하는 냉매가 상기 실외열교환기(130)를 바이패스하도록 바이패스라인(R3)이 병렬로 설치되고,
    상기 제2냉매순환라인(R2)과 상기 바이패스라인(R3)의 분기지점에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제2방향전환밸브(19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0140007013A 2014-01-21 2014-01-21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859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013A KR101859512B1 (ko) 2014-01-21 2014-01-21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CN201480057188.1A CN105682955B (zh) 2014-01-21 2014-12-22 用于车辆的热泵系统
DE112014003781.8T DE112014003781B4 (de) 2014-01-21 2014-12-22 Wärmepumpensystem für ein Fahrzeug
PCT/KR2014/012632 WO2015111847A1 (ko) 2014-01-21 2014-12-22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US14/916,107 US10293659B2 (en) 2014-01-21 2014-12-22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US16/372,490 US10744850B2 (en) 2014-01-21 2019-04-02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013A KR101859512B1 (ko) 2014-01-21 2014-01-21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463A true KR20150087463A (ko) 2015-07-30
KR101859512B1 KR101859512B1 (ko) 2018-06-29

Family

ID=53681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013A KR101859512B1 (ko) 2014-01-21 2014-01-21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293659B2 (ko)
KR (1) KR101859512B1 (ko)
CN (1) CN105682955B (ko)
DE (1) DE112014003781B4 (ko)
WO (1) WO201511184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2990A1 (fr) * 2016-03-24 2017-09-28 Valeo Systemes Thermiques Boîtier de climatisation pour habitacle de véhicule automobile et système de traitement de l'air comprenant un tel boîtier
FR3049238A1 (fr) * 2016-03-24 2017-09-29 Valeo Systemes Thermiques Boitier de climatisation pour 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systeme et procede de traitement de l'air comprenant un tel boitier
KR20180106827A (ko) * 2017-03-21 2018-10-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463B1 (ko) * 2015-03-16 2020-10-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CN106314064B (zh) * 2015-06-15 2018-10-1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汽车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汽车
DE102015122721B4 (de) * 2015-12-23 2019-09-05 Hanon Systems Klimatisierungssystem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 Klimatisierungssystems
JP6738157B2 (ja) * 2016-02-26 2020-08-12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DE102016203982A1 (de) * 2016-03-10 2017-09-14 Mahle International Gmbh Wärmeübertrager
US11262142B2 (en) 2016-04-26 2022-03-01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Heat exchangers, weld configurations for heat exchanger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R3057495B1 (fr) * 2016-10-13 2018-12-07 Hutchinson Installation de conditionnement thermique d'un vehicule automobile
JP2018077020A (ja) * 2016-11-11 2018-05-17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凍サイクル装置
FR3064946B1 (fr) * 2017-04-05 2019-04-05 Valeo Systemes Thermiques Circuit de climatisation inversible indirect de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 fonctionnement correspondant
DE102017109309A1 (de) * 2017-05-02 2018-11-08 Hanon Systems Klimatisierungssystem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 Klimatisierungssystems
JP6842375B2 (ja) * 2017-06-13 2021-03-17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US10315493B2 (en) * 2017-06-27 2019-06-11 Hyundai Motor Company HVAC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of use
KR20190006135A (ko) * 2017-07-07 2019-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공조시스템
KR102382721B1 (ko) * 2017-09-27 2022-04-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의 통합 열관리 시스템
KR102445224B1 (ko) * 2017-10-27 2022-09-2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470421B1 (ko) * 2017-11-07 2022-11-2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관리 시스템
FR3074265A1 (fr) * 2017-11-24 2019-05-31 Valeo Systemes Thermiques Systeme de conditionnement d'air a moyens de modulation du debit d'alimentation d'un echangeur de chaleur
KR20190124899A (ko) * 2018-04-27 2019-11-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관리 시스템
KR20190127219A (ko) * 2018-05-04 2019-11-1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FR3085468B1 (fr) * 2018-09-03 2020-12-18 Arkema France Procede de conditionnement d'air
FR3086334B1 (fr) * 2018-09-26 2020-09-04 Valeo Systemes Thermiques Circuit de fluide refrigerant pour vehicule
KR20200125791A (ko) * 2019-04-25 2020-1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용 열관리시스템
KR20210000117A (ko) * 2019-06-24 2021-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10013858A (ko) * 2019-07-29 2021-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제어방법
CN112406494B (zh) * 2019-08-23 2022-08-09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汽车的热管理系统以及基于该系统的热管理方法
KR20210104354A (ko) * 2020-02-17 2021-08-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7294A (ja) 2002-03-27 2003-10-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凍サイクル装置の運転方法
FR2844041B1 (fr) * 2002-08-28 2005-05-06 Valeo Thermique Moteur Sa Module d'echange de chaleur pour un vehicule automobile et systeme comportant ce module
JP2004142551A (ja) 2002-10-23 2004-05-20 Sanden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101015640B1 (ko) * 2003-04-30 2011-02-22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US8517087B2 (en) * 2007-02-20 2013-08-27 Bergstrom, Inc. Combined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US7669558B2 (en) * 2007-07-16 2010-03-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Integrated vehicle cooling system
KR100876063B1 (ko) * 2008-01-25 2008-12-2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가스구동히트펌프의 냉각수 순환장치
JP2009190687A (ja) * 2008-02-18 2009-08-27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554262B1 (ko) * 2009-07-07 2015-09-3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냉난방 동시 공조시스템
JP5665227B2 (ja) * 2010-06-30 2015-02-04 竹本油脂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系弾性繊維用処理剤、ポリウレタン系弾性繊維の処理方法及びポリウレタン系弾性繊維
JP5440426B2 (ja) * 2010-07-09 2014-03-12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車両用温度調整システム
JP5510158B2 (ja) * 2010-07-30 2014-06-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料噴射量制御装置
KR101235039B1 (ko) * 2010-09-06 2013-02-21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342931B1 (ko) * 2011-03-09 2013-12-1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339226B1 (ko) * 2011-06-20 2013-12-09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3217631A (ja) 2012-03-14 2013-10-24 Denso Corp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941026B1 (ko) * 2012-06-26 2019-01-2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450636B1 (ko) * 2012-06-27 2014-10-1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WO2014030884A1 (ko) * 2012-08-20 2014-02-2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416357B1 (ko) * 2012-09-07 2014-07-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4515335B (zh) * 2013-10-08 2017-09-26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车辆用热泵系统
CN104833129B (zh) * 2014-02-06 2017-12-19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用于车辆的热泵系统
US9643473B2 (en) * 2014-03-27 2017-05-09 Hanon Systems Heat pump system for vehicl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2990A1 (fr) * 2016-03-24 2017-09-28 Valeo Systemes Thermiques Boîtier de climatisation pour habitacle de véhicule automobile et système de traitement de l'air comprenant un tel boîtier
FR3049237A1 (fr) * 2016-03-24 2017-09-29 Valeo Systemes Thermiques Boitier de climatisation pour 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et systeme de traitement de l'air comprenant un tel boitier
FR3049238A1 (fr) * 2016-03-24 2017-09-29 Valeo Systemes Thermiques Boitier de climatisation pour 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systeme et procede de traitement de l'air comprenant un tel boitier
KR20180106827A (ko) * 2017-03-21 2018-10-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512B1 (ko) 2018-06-29
CN105682955A (zh) 2016-06-15
US10293659B2 (en) 2019-05-21
DE112014003781B4 (de) 2019-05-29
US20160318373A1 (en) 2016-11-03
CN105682955B (zh) 2017-09-29
US10744850B2 (en) 2020-08-18
DE112014003781T5 (de) 2016-04-28
WO2015111847A1 (ko) 2015-07-30
US20190225050A1 (en)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512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182343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552112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058119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313593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715723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20160111577A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669826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456826B1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102318996B1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102047749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20160033838A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714459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941026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20160009779A (ko) 차량용 냉난방시스템
KR101544877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20160129167A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182346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058640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445550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566318B1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102111318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JP2016159728A (ja) 冷却媒体循環装置、及び車両用空調装置
KR20140073663A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