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386A - 식품 제조기 - Google Patents

식품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386A
KR20160007386A KR1020150096487A KR20150096487A KR20160007386A KR 20160007386 A KR20160007386 A KR 20160007386A KR 1020150096487 A KR1020150096487 A KR 1020150096487A KR 20150096487 A KR20150096487 A KR 20150096487A KR 20160007386 A KR20160007386 A KR 20160007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container
food
extrud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3411B1 (ko
Inventor
사라 엘. 델가도 까르모나
바보 드 주터
디미트리 엠.씨.제이. 바카에르트
Original Assignee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Publication of KR20160007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163Applying co-extrusion, i.e. extruding two or more plastic substances simultaneously, e.g. for making filled dough products; Making products from two or more different substances supplied to the extrude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18Extruding machines with pistons
    • A23P1/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Confectione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식품 제조기가 식품 혼합물을 유지하기 위한 용기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용기는 개방형 상단 및 개방형 하단을 가진다. 개방형 상단 및 폐쇄형 하단 면을 가지는 플런저가 용기 내에서 이동가능하다. 플런저가 용기의 내측 측벽에 인접하여 용기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외측 벽을 가지고, 내측 벽 및 외측 벽이 서로의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한다. 개구부는, 플런저가 하향 이동할 때, 식품 혼합물의 일부가 개구부를 통해서 내측 및 외측 측벽을 지나서 위쪽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공한다. 압출기 노즐이 용기의 하단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유입구 및 배출구를 구비하고, 그에 따라 플런저가 하향 이동할 때, 식품 혼합물이 유입구로 진입하고 배출구를 빠져 나온다. 활주 가능 판이 배출구 아래에 배치되고, 그에 따라 식품 혼합물이 배출구를 빠져 나오고, 판 상으로 압출되고, 판을 배출구로부터 멀리 활주시키고, 그리고 압출된 식품이 배출구로부터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압출되고 판 상에 수용된다.

Description

식품 제조기{FOOD MAKER}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원은 "부엌 음식물 압출기(Kitchen Food Extruder)"라는 명칭의, 공동-계류중인 출원 제29/496,195호[대리인 서류 번호 제131773-D200호]과 관련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부엌용 기기에 관한 것이고, 보다 특히 식품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특히, 발명은, 식품 혼합물을 수용하고 압축하기 위한 식품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특히, 발명은, 파스타, 크로켓, 및 추러스와 같은 디저트를 만들기 위해서 이용되는 세장형 식품 혼합물을 수용 및 압출하도록 구성된 식품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 및 상업적 용도를 위한 식품 제조기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상업용 파스타 제조기와 같은, 식품 혼합물을 수용하고 식품 혼합물을 압출하기 위한 식품 제조기가 공지되어 있다. 기존 크로켓 제조기의 예는 조리되지 않은 크로켓 혼합물을 수용하기 위한 본체 및 본체 내에서 크로켓 혼합물 용기로부터 연장하는 크로켓 혼합물 압출 노즐 뿐만 아니라, 크로켓 혼합물을 용기 내로 하향 강제하기 위해서 그리고 크로켓 혼합물을 노즐의 외부로 세장형의 미조리 크로켓 혼합물 형태로 강제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아래로 가압하는 힌지식으로 부착된 식품 혼합물 가압 아암을 가진다. 조리 분야의 그리고 특히 크로켓 조리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방식대로, 압출 후에, 미조리 크로켓 혼합물이 사용자에 의해서 희망 길이로 절단되고 이어서 조리되거나 튀겨진다.
그러한 공지된 장치의 단점은, 세척이 어렵고, 전용의 고정된 크로켓 압출 노즐을 가지며, 전용의 미리 결정된 크기 및 형상의 하나의 유형의 식품 제조로 제한된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기존 식품 제조기 및 그 단점의 하나의 예이다.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한, 식품 제조기, 그리고 특히, 식품 혼합물을 압출하기 위한 식품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예를 들어 세척이 어려운 구성요소를 가지지 않음으로써 그리고 세척을 위해서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없는 구성요소를 가지지 않음으로서, 사용이 단순하고, 친환경적이고, 소형이고(compact), 위생적이며 세척이 용이한 식품 혼합물 압출기와 같은 식품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이한 횡단면적 및 구성을 가지는 용이하게 교환가능하고 상호 교체가능한 노즐들을 가지며, 그에 따라 식품 제조기가, 예를 들어, 원형 또는 별-형상 횡단면을 가지고 마무리된 제품으로서 별-형상의 원통 및 벽돌-형상의 원통의 마무리된 형태를 가지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파스타, 원통형 크로켓, 생선 조각(fish stick)과 같은 직사각형(예를 들어, 평행육면체형) 식품, 및 추러스와 같은 디저트의 제조를 위해서 이용될 수 있게 하는, 식품 혼합물 압출기와 같은 식품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식품 혼합물의 용이하고 일정한 방식의 절단을 제공하는 식품 압출기와 같은, 식품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우(dough) 같은 식품 혼합물의 최소의 잔류물(left-over)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출된 식품 혼합물이 압출될 때 판과 접촉하도록 이어서 판을 식품 압출기로부터 멀리 전진시키도록, 식품 압출 노즐 아래에 제공될 수 있는 활주 가능한, 식품-수용 판을 가지는 식품 압출기와 같은 식품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방식에서, 압출된 식품은, 조리 및 튀김과 같은 추가적인 조리를 위해서 압출된 식품을 희망하는 길이 및 형상으로 용이하게 절단하기 위한 미조리 식품의 일정한 세장형의 원통으로서 압출된다.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품이 희망하는 길이로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식품 수용 표면 상의 이격된 괘선(ruled line) 또는 표시와 같은 표시부를 가지는, 식품 절단 표면으로서 유사하게 기능하는 활주 가능 식품 수용 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이, 개선된 특징을 제공하는 식품 제조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식품 제조기의 본체는 식품 혼합물을 유지하기 위한 용기를 포함한다. 용기는 개방형 상단 및 개방형 하단을 가진다. 본체의 용기 내에서 식품 혼합물을 아래로 밀어내기 위해서, 플런저가 제공된다. 플런저는 식품 혼합물을 용기의 하단 내로 아래로 밀기 위한 그리고 아래로 강제하기 위한 폐쇄형 하단 면을 구비한다. 플런저는, 희망하는 경우에, 사용하지 않을 때 용이한 보관 및 소형화(compactness)를 위해서 플런저 내부로 식품 제조기의 부품(part)을 사용자가 배치할 수 있도록, 개방형 상단 면을 가지는 중공형 용기로서 자체적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압출기가, 플런저에 의해서 용기의 하단 내로 하향 강제되는 식품 혼합물을 수용하기 위해서 용기의 개방형 하단 단부에 제공된다.
압출기는, 배출구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압출기 노즐을 가질 것이고, 그러한 노즐을 통해서 플런저에 의해서 식품 혼합물이 강제된다(forced). 배출구는, 사용자의 선호 사항 및 제조되는 식품에 따라서 상이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크로켓을 만들 때, 사용자가 특정 크기의 원통형 크로켓을 원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사용자는 원하는 원형 형상 및 크기(즉, 직경)을 가지는 배출구를 가지는 압출기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고, 이어서 사용자는 압출기에 제공된 용이하게 해제되는 탭(tab)을 이용하여 용기의 개방형 단부에 압출기를 탈착식으로 부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크로켓 혼합물이 용기 내에 배치된 후에, 사용자는 플런저를 용기의 개방형 상단 내로 위치시키고 크로켓 혼합물을 아래로 민다. 사용자는, 크로켓 혼합물이 원형 횡단면을 가지는 배출구 외부로 가압될 때까지 계속 누른다.
압출된 크로켓 혼합물이 판 상으로 수용되도록, 활주가능한 판이 압출기 배출구 아래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압출된 크로켓 혼합물이 판을 식품 제조기 본체로부터 멀리 정방향으로 밀도록, 판이 활주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방식에서, 크로켓 혼합물의 일정하고 계속적인 세장형 원통이 활주 가능 판 상에 수용된다.
이어서, 크로켓 혼합물이 사용자에 의해서 배출구 외부로 강제되었을 때, 사용자가 크로켓 혼합물의 세장형 원통을 희망하는 길이의 크로켓으로 절단할 수 있다. 편의를 위해서, 이격된 절단선, 분할선, 또는 다른 표시부 요소와 같은 표시부가,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크로켓 모두가 동일한 길이 또는 상이한 길이가 되도록 사용자가 압출된 크로켓 혼합물을 절단할 수 있는 곳에 대한 안내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압출기 배출구가 차단되도록 압출기의 배출구 다음에 식품 제조기 상에 수용되는 차단 판 또는 차단부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방식에서, 사용자가 크로켓 혼합물을 초기에 아래쪽으로 밀 때, 크로켓 혼합물이 압출기의 유입구 내로 밀려 들어가고 그리고 압출기 노즐의 배출구를 향해서 그리고 그러한 배출구에 대해서 위쪽으로 밀려난다. 그에 따라, 크로켓 혼합물이 차단판에 대해서 균일하게 가압될 것이다.
그러한 차단판으로 인해서, 배출구로부터 압출되는 초기 크로켓 혼합물이 보다 일정한 형상을 가질 것이고, 그에 따라 압출된 크로켓 혼합물의 제1 길이가 압출된 크로켓 혼합물의 중간 및 최종 길이와 같아진다. 이는, 제1 크로켓으로부터 마지막 크로켓까지 사용자가 만드는 크로켓의 만족스러운 마감 외관을 초래한다.
또한, 차단판이 배출구 차단으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기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도록, 배출구를 위한 차단판이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방식에서, 혼합물이 배출구를 빠져나오게 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차단판을 차단된 배출구로부터 멀리 이동시킬 때, 사용자는, 압출된 식품 혼합물을 활주판 상에서 희망하는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식품 절단기 또는 슬라이서(slicer)로서 차단판을 이용할 수 있다.
요약하면, 발명은, 식품 제조기를 포함하고,식품 제조기를 가지고, 식품 제조기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고, 식품 제조기로 구성되는 식품 제조기를 포함하고, 그러한 식품 제조기는 식품 혼합물을 유지하기 위한 본체로서, 용기가 내측 측벽, 개방형 상단, 및 개방형 하단을 가지는, 본체;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되는 플런저로서, 플런저가 개방형 상단 면 및 폐쇄형 하단 면을 가지고 상기 용기 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플런저가 상기 내측 측벽에 인접하여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외측 벽을 가지고, 상기 내측 벽 및 상기 외측 벽은 그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플런저가 상기 개방형 하단을 향해서 하향 이동될 때, 식품 혼합물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그리고 상기 내측 및 외측 측벽을 지나서 위쪽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가 충분히 큰, 플런저; 및 상기 용기의 상기 개방형 하단에 인접하여 제공된 압출기 노즐로서, 상기 압출기 노즐이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가지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용기의 개방형 하단을 향해서 하향 이동될 때, 식품 혼합물이 상기 유입구로 진입하고 상기 배출구를 빠져나가도록, 상기 용기의 상기 개방형 하단에 인접하게 구성되는, 압출기 노즐을 포함한다.
좌측, 우측, 위, 아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단지 편의를 위한 것이고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유사한 참조 번호가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동작 구성으로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제조기의 상부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품 제조기 상부 후방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1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저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식품 제조기 상부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발명에 따른 압출기 노즐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상부 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발명에 따른 압출기 노즐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부 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발명에 따른, 절단기로서 기능할 수 있는, 차단판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9는, 압출기 노즐을 통해서 식품 혼합물을 압출함으로서 식품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 사용자가 플런저를 아래로 밀기 직전에 배출구가 차단된 상태에서 플런저가 상승된 위치에서 도시한 발명에 따른 식품 제조기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식품 제조기의 하부 부분 내의 식품 혼합물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도 9의 선 10-10을 따른 횡단면적 측면도이다.
도 11은 상부 표면 상에서 압출된 식품 혼합물을 수용하는 식품 제조기용 활주 가능 판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12는 플런저가 사용자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밀리고 식품 혼합물이 활주 가능 판 상으로 압출된 사용 위치를 보여주는, 도 1의 식품 제조기의 상부 전방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제조기가 참조번호 '10'으로 전체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 제조기(10)는 식품 혼합물을 유지하기 위한 용기(14)를 포함하는 본체(12)를 포함하고, 용기는 내측 측벽(18), 개방형 상단(22), 및 개방형 하단(26)을 가진다.
플런저(30)가 용기 내에 수용되고, 플런저(30)는 공동(36)을 형성하는 개방형 상단 면(34) 및 폐쇄형 내측 하단 면(38)을 가진다. 플런저(30)는 용기(14)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플런저의 폐쇄형 하단 면(38)은 공동(36) 내측의 표면을 가지고, 플런저(30)의 공동 내측의 표면은 용이한 세척을 위해서 실질적으로 매끄러울 수 있을 것이다.
플런저는 내측 측벽(18)에 인접하여 용기(14)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외측 측벽(42), 상부 테두리(44)를 가지고, 그리고 개구부(48)가 내측 측벽(18) 및 외측 측벽(42) 사이에 형성된다. 플런저(30)가 용기(14)의 개방형 하단(26)을 향해서 아래쪽으로 이동될 때 식품 혼합물의 일부가 개구부(48)를 통해서 그리고 내측 및 외측 측벽을 지나서 위쪽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충분히 크다. 그러한 방식에서, 식품 혼합물이 사용자에 의해서 용이하고 균일하게 압출될 수 있다.
플런저(36)는, 식품 혼합물이 고착되는 것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표면을 포함하는 외측 하단 면(56)을 가진다. 그러한 표면은 고착을 감소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딤플(58)을 포함한다.
압출기(70)는 압출기 노즐(74)를 구비하고, 용기(14)의 개방형 하단(26)에 인접하여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압출기 노즐(70)이 유입부(76) 및 배출구(78)를 포함하고, 유입구(76)는 용기의 개방형 하단(26)에 인접하여 제공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플런저(30)가 용기(14)의 개방형 하단을 향해서 하향 이동될 때, 식품 혼합물이 유입구(76)로 진입하고 배출구(78)를 빠져나온다. 압출기 노즐(74)이 적어도 2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유입구(84) 및 직사각형 배출구(88)를 가지는 압출기 노즐(80)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유입구(84)가 용기(14)의 개방형 하단(26)에 인접하여 유사하게 제공되고, 그에 따라 플런저(30)가 하향 이동될 때, 식품 혼합물이 유입구(84)로 진입하고 배출구(88)를 빠져 나온다.
도 7은 유입구(94) 및 원형 배출구(98)를 가지는 압출기 노즐(9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배출구(98)가,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압출기 노즐(70)의 배출구(78)의 직경과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압출기 노즐(70, 80 및 90)이 본체(14)에 탈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압출기 노즐이 세척을 위해서 제거될 수 있고 다른 압출기 노즐과 용이하게 교환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기 노즐(70)이, 강성(rigid) 또는 가요성일 수 있는 탭 또는 탭들(104), 그리고 연장부(108)를 구비하고, 그에 따라 노즐(70)이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을 것이다. 본체(14) 내의 접합(mating) 홀(112)이 탭(104)을 수용하고, 예를 들어,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일 수 있는 추가적인 홀(116)이 연장부(108)를 수용한다.
압출기가 본체로부터 탈착될 때 공동 내에 보관될 수 있도록, 플런저(30)의 공동(36)이 압출기(70, 80, 90)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 및 구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용기(14)가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세장형일 수 있을 것이고, 플런저(30)가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유사하게 세장형일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런저가 용기 내에 활주식으로 수용되고 용기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플런저가 용기(14)의 개방형 상단 및 개방형 하단을 향해서 그리고 그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활주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용이한 조작을 위해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요홈부(144)를 가지는 차단부 또는 차단판(140)을 도시한다. 유사하게, 사용자의 손이나 손가락의 일부와 결합하기 위한 홀(152)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판(140)이 압출기(70)의 배출구(78)에 인접하여 수용 및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방식에서, 식품 혼합물(180)이 용기(14) 내에 제공되고 식품 혼합물(180)을 압출기 유입구(76) 내로 강제하기 위해서 플런저(30)가 하향 이동될 때, 차단판(140)은 식품 혼합물이 배출구(78)의 외부로 밀려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판(140)이 하나 이상의 연장부(164 및 168)에 의해서 본체(14) 및 배출구(78)에 인접하여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방식에서, 차단판(140)이 압출기 노즐(74)에 대해서 유지되고 식품 혼합물(180)이 배출구(78)의 외부로 밀려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차단판(140)이 배출구(78)를 차단하지 않도록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 혼합물(180)이 압출된 식품(190)으로서 활주 가능 판(170) 상으로 압출될 수 있을 것이다.
활주 가능 판(170)이, 도시된 바와 같이, 선일 수 있고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표시부(174, 176)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식품 혼합물(180)을 압출기 유입구(76) 내로 그리고 배출구(78) 외부로 밀어 내기 위해서 플런저(30)가 용기(14) 내로 하향 이동될 때, 압출된 식품(190)이 활주 가능 판(170)의 표면(178) 상으로 밀려 나도록, 활주 가능 판(170)이 상부 표면(178)을 가지고 판(170)이 압출기(70) 아래에 그리고 배출구(78)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그 크기 및 구성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압출된 식품이 배출구로부터 연속적으로 압출될 수 있도록 그리고 압출된 식품(190)이 압축 또는 왜곡없이 활주 가능 판(170) 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압출된 식품(190)이 활주 가능 판에 부착되고, 그에 따라, 활주 가능 판을 압출기 배출구(78)로부터 멀리 활주시킨다.
표시부(174, 176)가 복수의 균일하게 이격된 분리선으로서 제공될 수 있거나, 상이한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분할선을 안내부로서 이용하여 활주 가능 판 상에 수용된 압출된 식품을 절단할 수 있다.
차단판(140)이 식품 제조기(10)의 잔여부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고 활주 가능 판 상에 수용된 압출된 식품을 썰기 위한 절단기로서 이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표시부(174, 176)에서 제1 원통(192), 제2 원통(194), 및 제3 원통(196)과 같은, 식품의 압출된 원통 중 하나 이상을 절단하기 위해서; 표시부(174, 176)를 안내부로서 이용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본 발명의 구조에서 고유한 다른 장점과 함께, 전술한 모든 목표 및 목적을 달성하도록 잘 구성된 하나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특정의 특징 및 하위 조합이 이용될 수 있고 다른 특징 및 하위 조합을 인용하지 않고도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것은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서 고려되고 그 범위에 포함된다.
발명의 많은 가능한 실시예가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첨부 도면에서 도시되고 본원에서 기술된 모든 내용이 예시적인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고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식품 제조기이며:
    식품 혼합물을 유지하기 위한 용기를 포함하는 본체로서, 용기가 내측 측벽, 개방형 상단, 및 개방형 하단을 가지는, 본체;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되는 플런저로서, 플런저가 개방형 상단 면 및 폐쇄형 하단 면을 가지고 상기 용기 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플런저가 상기 내측 측벽에 인접하여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외측 벽을 가지고, 상기 내측 벽 및 상기 외측 벽은 그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플런저가 상기 개방형 하단을 향해서 하향 이동될 때, 식품 혼합물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그리고 상기 내측 및 외측 측벽을 지나서 위쪽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가 충분히 큰, 플런저; 및
    상기 용기의 상기 개방형 하단에 인접하여 제공된 압출기 노즐로서, 상기 압출기 노즐이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가지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용기의 개방형 하단을 향해서 하향 이동될 때, 식품 혼합물이 상기 유입구로 진입하고 상기 배출구를 빠져나가도록, 상기 용기의 상기 개방형 하단에 인접하게 구성되는, 압출기 노즐을 포함하는, 식품 제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 노즐이 적어도 2개의 노즐을 포함하는, 식품 제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 노즐이 직사각형 개구부를 가지는, 식품 제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 노즐이 원형 개구부를 가지는, 식품 제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가 상기 본체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는, 식품 제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압출기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착될 때 상기 공동 내에 보관가능하도록, 상기 플런저가 상기 압출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동을 포함하는, 식품 제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가 복수의 압출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압출기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착될 때, 상기 공동 내에 보관될 수 있는, 식품 제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폐쇄형 하단 면은, 식품 혼합물이 고착되는 것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표면을 포함하는, 식품 제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혼합물의 고착을 감소시키기 위한 표면이 딤플을 포함하는, 식품 제조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혼합물의 고착을 감소시키기 위한 표면이 복수의 딤플을 포함하는, 식품 제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세장형이고;
    상기 플런저가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세장형이며; 그리고
    상기 플런저가 상기 용기 내에 활주식으로 수용되고 상기 용기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식품 제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가 용기의 개방형 상단 및 개방형 하단을 향해서 그리고 그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상기 용기 내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는, 식품 제조기.
  13. 제1항에 있어서,
    활주 가능 판이 상기 배출구에 인접하여 상기 압출기 아래에 제공되고, 그에 따라, 식품 혼합물을 상기 압출기 유입구 내로 그리고 상기 배출구 외부로 밀어 내기 위해서 플런저가 용기 내에서 하향 이동될 때, 압출된 식품이 활주 가능 판 상으로 압출되고 활주 가능 판을 압출기 배출구로부터 멀리 활주시키고, 그에 따라 압출된 식품이 배출구로부터 연속적으로 압출될 수 있고 활주 가능 판 상으로 수용될 수 있는, 식품 제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차단 판이 제공되고, 상기 차단 판은, 식품 혼합물이 용기 내에 제공되고 식품 혼합물을 상기 압출기 유입구 내로 강제하기 위해서 플런저가 하향 이동될 때, 차단 판이 상기 배출구로부터 식품 혼합물이 외부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식품 제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판이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이동가능한, 식품 제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복수의 이격된 분할 선이 상기 활주 가능 판 상에 제공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분할 선을 안내부로서 이용하여 상기 활주 가능 판 상에 수용된 압출된 식품을 절단할 수 있는, 식품 제조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판이 이동 가능하고, 상기 활주 가능 판 상에 수용된 압출된 식품을 썰기 위한 절단기로서 이용되도록 구성되는, 식품 제조기.
  18. 제14항에 있어서,
    복수의 표시부가 상기 활주 가능 판 상에 제공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표시부를 안내부로서 이용하여 상기 활주 가능 판 상에 수용된 압출된 식품을 절단할 수 있는, 식품 제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부가 이격된 선을 포함하는, 식품 제조기.
  2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폐쇄형 하단 면이 상기 공동 내측의 표면을 가지고, 상기 공동 내측의 표면이 용이한 세척을 위해서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식품 제조기.
KR1020150096487A 2014-07-10 2015-07-07 식품 제조기 KR1018634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14327970A 2014-07-10 2014-07-10
US14/327,970 2014-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386A true KR20160007386A (ko) 2016-01-20
KR101863411B1 KR101863411B1 (ko) 2018-05-31

Family

ID=5352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487A KR101863411B1 (ko) 2014-07-10 2015-07-07 식품 제조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2984934B1 (ko)
KR (1) KR101863411B1 (ko)
CN (1) CN105248508B (ko)
AR (1) AR100869A1 (ko)
AU (1) AU2015203299B2 (ko)
BR (1) BR102015016481A2 (ko)
CA (1) CA2894097A1 (ko)
HU (1) HUE045059T2 (ko)
IL (1) IL239446A0 (ko)
MX (1) MX2015008826A (ko)
MY (1) MY182499A (ko)
PL (1) PL2984934T3 (ko)
RU (1) RU2598913C1 (ko)
TR (1) TR201910171T4 (ko)
ZA (1) ZA2015047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207481A1 (en) * 2021-02-18 2022-08-25 Juan Ignacio Lopez Fueris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products from warm dough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00417A1 (de) * 1970-01-07 1971-12-02 Stahl Ingo Han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ollautomatischen Herstellung von >>Pommes-frites<< aus Kartoffelmehl
FR2576188B1 (fr) * 1985-01-24 1990-09-07 Borrelly Jean Pierre Procede et machine de production d'articles alimentaires moules a partir d'au moins un produit pateux contenu dans un reservoir
SE8502933D0 (sv) 1985-06-13 1985-06-13 Leo Ab Pipette
US4863433A (en) * 1988-05-23 1989-09-05 Diamond Scientific Co. Syringe
JP2944116B2 (ja) 1989-08-30 1999-08-30 クノール食品株式会社 ペースト状物品のためのディスペンサ
CN2186484Y (zh) * 1993-07-30 1995-01-04 唐山 挤面条器
DE10005920A1 (de) * 2000-02-10 2001-08-16 Vorwerk Co Interholding Küchenmaschine
CN2439784Y (zh) * 2000-08-14 2001-07-25 唐山 多用途挤面条器
CN2488302Y (zh) * 2001-08-09 2002-05-01 董人伯 面条挤出机
CN2524507Y (zh) * 2002-01-10 2002-12-11 马海良 方便馄饨加工机
US7192267B2 (en) * 2003-01-09 2007-03-20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imited Power dough and food materials press
GB2436876B (en) * 2006-04-04 2010-10-27 Kenwood Ltd Food preparation arrangements
DE102008027353A1 (de) * 2008-06-07 2009-12-10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Küchenmaschine mit einem Rührgefäß
DE102010044141A1 (de) * 2010-11-18 2012-05-24 Raumedic Ag Dosiervorrichtung
CN202857701U (zh) * 2012-09-20 2013-04-10 宜垦(天津)农业制品有限公司 一种新型面条机
CN203492677U (zh) * 2013-08-08 2014-03-26 刘晓真 面条切面叠花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94097A1 (en) 2016-01-10
IL239446A0 (en) 2015-11-30
HUE045059T2 (hu) 2019-12-30
MX2015008826A (es) 2016-01-11
MY182499A (en) 2021-01-25
KR101863411B1 (ko) 2018-05-31
TR201910171T4 (tr) 2019-08-21
CN105248508B (zh) 2018-02-23
EP2984934B1 (en) 2019-06-26
ZA201504752B (en) 2016-07-27
PL2984934T3 (pl) 2019-11-29
EP2984934A1 (en) 2016-02-17
AU2015203299B2 (en) 2018-10-04
AR100869A1 (es) 2016-11-09
AU2015203299A1 (en) 2016-01-28
CN105248508A (zh) 2016-01-20
RU2598913C1 (ru) 2016-10-10
BR102015016481A2 (pt) 201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01485A (en) Changeable cookie formers
US1397510A (en) Depositor for mashed potatoes and other plastic materials
EP2731886B1 (en) Completely disposable cooking apparatus for filling and decorating of foods
KR101863411B1 (ko) 식품 제조기
US8152506B1 (en) Pressure generating device with food compressing attachment
US2379140A (en) Cooky cutter
US6367661B1 (en) Cup cake hopper
WO2016083452A1 (en) Method for preparing pasta and relative implementation device
US7037094B1 (en) Foodspread applicator
US3733652A (en) Device for molding patties and the like
CN207461302U (zh) 一种食品挤压成型器
US10492646B2 (en) Device for molding a foodstuff
US3470830A (en) Apparatus for preparing french fried potatoes
US7513767B2 (en) Apparatus for preparing fried plantains for filling or topping
US8794959B2 (en) Completely disposable cooking apparatus for filling and decorating of foods
CN215736627U (zh) 一种小型家用手动压面器
KR200443512Y1 (ko) 어묵 제조기
CN210477138U (zh) 一种多样式切肉装置
CN216674496U (zh) 一种双层式的压具
US20170164769A1 (en) Food Dispensing Device
US2978809A (en) Butter pat slicer
KR101587417B1 (ko) 식재료 천공장치
GB2525370A (en) A foodstuff piping device
JP3111201U (ja) 麺状魚肉練り食品並びにその成形器具
JP3217658U (ja) 縦型食材スライ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