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197A -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197A
KR20160004197A KR1020150091905A KR20150091905A KR20160004197A KR 20160004197 A KR20160004197 A KR 20160004197A KR 1020150091905 A KR1020150091905 A KR 1020150091905A KR 20150091905 A KR20150091905 A KR 20150091905A KR 20160004197 A KR20160004197 A KR 20160004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er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layer
mass
hard c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 사타케
메구미 세키구치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4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01L27/3232

Abstract

본 발명은, 박형화한 경우여도 편광자의 내구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시인측으로부터, 편광판 및 표시 소자를 이 순서로 갖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편광판이, 편광자와, 편광자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하드 코팅층을 갖고,
하드 코팅층이, 중합성 모노머 및 광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층이고,
광중합개시제가, 염기 해리 상수 pKb가 8 이상인 광중합개시제X를 포함하고,
광중합개시제X의 함유량이, 광중합개시제의 전 질량에 대해서 60질량% 이상이고,
편광자보다 시인측에 있는 층의 투습도가 60g/㎡/24h 이상인,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 특히 중소형 용도의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에 수반하여 사용되는 부재(예를 들면 편광판)의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편광판의 박형화의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편광자 자체나 편광자의 보호 필름을 얇게 하는 방법, 편광자와 액정셀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던 보호 필름을 없애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박형화의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a)편광자, 및 b)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구비되며, 광경화성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4 내지 95중량부, (B)다관능 아크릴계 단량체 4 내지 95중량부 및 (C)광중합개시제 1 내지 20중량부를 함유하는 광경화성 조성물로 형성되는 경화 수지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청구항 1] [청구항 20]).
일본국 특표2013-513832호 공보
본 발명자들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하여 검토한 바, 경화 수지층의 종류나 두께에 따라서는, 편광자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는 것을 밝혀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박형화한 경우여도 편광자의 내구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편광자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하드 코팅층의 형성에, 특정의 염기 해리 상수(pKb)를 나타내는 광중합개시제를 특정량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사용함에 의해, 편광자의 내구성이 양호한 화상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이하의 구성에 의해 상기 과제를 달성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1] 시인측으로부터, 편광판 및 표시 소자를 이 순서로 갖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편광판이, 편광자와, 편광자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하드 코팅층을 갖고,
하드 코팅층이, 중합성 모노머 및 광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층이고,
광중합개시제가, 염기 해리 상수 pKb가 8 이상인 광중합개시제X를 포함하고,
광중합개시제X의 함유량이, 광중합개시제의 전 질량에 대해서 60질량% 이상이고,
편광자보다 시인측에 있는 층의 투습도가 60g/㎡/24h 이상인, 화상 표시 장치.
[2] 편광판이, 시인측으로부터, 외측층, 편광자 및 하드 코팅층을 이 순서로 갖는, [1]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
[3] 편광자의 두께가, 2㎛∼20㎛인 [1] 또는 [2]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
[4] 표시 소자가, 액정 패널 또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 패널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에 따르면, 박형화한 경우여도 편광자의 내구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A)∼(C)는, 각각,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기재하는 구성 요건의 설명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태양에 의거해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실시태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사용해서 표시되는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시인측으로부터, 편광판 및 표시 소자를 이 순서로 갖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편광판이, 편광자와, 편광자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하드 코팅층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이다.
또한, 편광자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하드 코팅층은, 중합성 모노머 및 광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층이고, 광중합개시제가, 염기 해리 상수(이하, 「pKb」로도 약기함)가 8 이상인 광중합개시제X를 포함하고, 또한, 광중합개시제X의 함유량이, 광중합개시제의 전 질량에 대해서 60질량%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편광자보다 시인측에 있는 층의 투습도가 60g/㎡/24h 이상이다.
여기에서, 「편광자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하드 코팅층」이란, 편광자층과 직접 접해서 배치되는 하드 코팅층을 말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편광자의 표면에 후술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직접 접촉(예를 들면, 도포 등)시켜서 형성되는 하드 코팅층을 말한다.
또한, 「편광자보다 시인측에 있는 층의 투습도」란, 편광자의 시인측에 배치되는 층의 투습도를 말하며, 시인측에 복수 층(예를 들면, 보호 필름 및 하드 코팅층) 배치될 경우에는 각 층을 적층했을 때의 전체의 투습도를 말한다. 또, 「편광자보다 시인측에 있는 층의 투습도가 60g/㎡/24h 이상임」이란 규정은, 편광자에 침입할 수 있는 수분이 많아짐을 의도한 규정이며, 환언하면, 편광자의 내구성의 문제가 현재화하기 쉬운 조건을 나타내는 규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구성을 가짐에 의해, 편광판을 박형화한 경우여도 편광자의 내구성이 양호한 것으로 된다.
이렇게 편광자의 내구성이 양호해지는 이유는, 상세히는 명확하지 않지만, 대략 이하와 같을 것으로 추측된다.
즉, 후술하는 비교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Kb가 8 이상인 광중합개시제X의 함유량이 60질량% 미만인 광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사용해서 형성한 하드 코팅층을 갖는 편광판은, 편광자의 내구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Kb가 8 이상인 광중합개시제X를 60질량% 이상 함유하는 광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사용해서 형성한 하드 코팅층을 갖는 편광판은, 편광자의 내구성이 양호해짐을 알 수 있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편광자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이유는, 염기성이 강한, 즉, pKb가 작은 광중합개시제를 사용함에 의해, 하드 코팅층의 형성 시에 존재 또는 형성 후에 잔존하는 광중합개시제가, 편광자에 침입하여, 편광자의 붕산 가교가 해리해버려, 편광자의 내구성을 열화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드 코팅층에 잔존하는 광중합개시제가 인접하는 편광자층으로 이동하여, 편광자의 내구성에 영향을 주는 관점, 즉, 본 발명에 의한 편광자의 내구성 개선 효과가 보다 현저해지는 이유에서, 편광자보다 시인측에 있는 층의 투습도가 100g/㎡/24h 이상임이 바람직하며, 100∼1000g/㎡/24h임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투습도란, JIS Z 0208:1976의 「방습 포장 재료의 투습도 시험 방법(컵법(cup method))」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온도 40℃, 상대 습도 90%의 조건 하에서 24시간에 통과한 수증기의 양(g/㎡/24h)을 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실시태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의 (A)에 나타내는 화상 표시 장치(10)는, 하드 코팅층(1), 편광자(2) 및 표시 소자(3)를 갖는다.
도 1의 (B)에 나타내는 화상 표시 장치(10)는, 외측 보호 필름(4), 편광자(2), 하드 코팅층(1) 및 표시 소자(3)를 갖는다.
도 1의 (C)에 나타내는 화상 표시 장치(10)는, 외측 하드 코팅층(5) 및 외측 보호 필름(4)으로 구성되는 외측층(6)과, 편광자(2)와, 하드 코팅층(1)과, 표시 소자(3)를 갖는다. 또, 도 1의 (C)에 나타내는 태양에서는, 외측층(6)으로서, 외측 하드 코팅층(5) 및 외측 보호 필름(4)을 갖고 있지만, 외측 하드 코팅층(5)만을 갖는 태양, 즉, 도 1의 (B)에 있어서의 외측 보호 필름(4)을 외측 하드 코팅층(5)으로 변경한 태양이어도 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각 층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편광판]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가 갖는 편광판은, 편광자와, 편광자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하드 코팅층을 갖는다.
〔편광자〕
편광판이 갖는 편광자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 사용하는 편광자를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의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서 1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2색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편광자가 호적(好適)하다.
<두께>
편광자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편광판의 박형화의 관점에서, 2㎛∼20㎛임이 바람직하며, 5㎛∼15㎛임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드 코팅층〕
편광판이 갖는 하드 코팅층은, 상술한 편광자에 인접해서 배치되며, 중합성 모노머 및 광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층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자의 시인측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하드 코팅층을 「외측 하드 코팅층」이라 하고,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자의 표시 소자측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하드 코팅층을 「내측 하드 코팅층」이라 하지만, 특히 구별을 요하지 않을 경우에 대해서는 단순히 「하드 코팅층」이라 한다.
또한, 도 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자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하드 코팅층과는 별개로, 편광자에 인접해 있지 않은 하드 코팅층을 더 갖고 있어도 되며,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편광자의 시인측 및 표시 소자측의 어느 측에도 하드 코팅층을 인접해서 배치해도 된다.
<두께>
하드 코팅층의 두께는, 편광판의 박형화와 함께, 편광판 표면의 연필 경도를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하여, 편광판의 취성(脆性)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는 등의 이유에서, 10㎛ 이하임이 바람직하며, 1㎛∼5㎛임이 보다 바람직하다.
<투습도>
외측 하드 코팅층의 투습도는, 편광자보다 시인측에 있는 층의 투습도가 60g/㎡/24h 이상으로 되는 투습도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200g/㎡/24h 이상임이 바람직하며, 300∼5000g/㎡/24h임이 보다 바람직하다.
<경화성 조성물>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화성 조성물로서는, 후술하는 중합성 모노머와 함께, 후술하는 광중합개시제 중 염기 해리 상수(pKb)가 8 이상인 광중합개시제(광중합개시제X)를 특정량 함유하는 조성물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후술하는 광중합개시제X 및 불포화 2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 그리고, 소망에 따라 배합해도 되는 용매 등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들 수 있다.
(광중합개시제)
광중합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토페논류, 벤조인류, 벤조페논류, 포스핀옥사이드류, 케탈류, 안트라퀴논류, 티오잔톤류, 아조화합물, 과산화물류, 2,3-디알킬디온 화합물류, 디설피드 화합물류, 플루오로아민 화합물류, 방향족 설포늄류, 로핀 다이머류, 오늄염류, 보레이트염류, 활성 에스테르류, 활성 할로겐류, 무기 착체, 쿠마린류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개시제의 구체예는, 일본국 특개2009-098658호 공보의 단락 [0133]∼[0151]에 기재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최신 UV 경화 기술」{(주)기주츠죠호교카이}(1991년), p.159, 및, 「자외선 경화 시스템」 가토 기요미 저(헤이세이 원년(1989년), 소고기주츠센타 발행), p.65∼148에도 각종 예가 기재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유용하다.
시판의 광개열형(光開裂型)의 광중합개시제로서는, BASF사제의 「이르가큐어127(pKb : 13)」, 「이르가큐어184(pKb : 17)」, 「이르가큐어819(pKb : 24)」, 「이르가큐어907(pKb : 5.6)」, 「이르가큐어369(pKb : 5.3)」, 「이르가큐어1173(pKb : 16)」, 「이르가큐어2959(pKb : 14)」 등; 니혼가야쿠(주)제의 「가야큐어DETX-S」, 「가야큐어BP-100」, 「가야큐어BDMK」, 「가야큐어CTX」, 「가야큐어BMS」, 「가야큐어2-EAQ」, 「가야큐어ABQ」, 「가야큐어CPTX」, 「가야큐어EPD」, 「가야큐어ITX」, 「가야큐어QTX」, 「가야큐어BTC」, 「가야큐어MCA」 등; 사토머사제의 "Esacure(KIP100F, KB1, EB3, BP, X33, KTO46, KT37, KIP150, TZT)" 등, 및 그들의 조합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에서 예시한 광중합개시제 중, 염기 해리 상수(pKb)가 8 이상인 광중합개시제(광중합개시제X)를 사용한다.
여기에서, pKb란, 수온 25℃에서의 pKb를 말하고, 염기의 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지표의 하나이며, 염기성도(鹽基性度) 상수와 동의(同義)이고, 구체적으로는, A. E. Martell, R. M. Smith, "Critical Stability Constants", Vol.1∼3, Plenum Press (1974, 1975, 9177)에 기재된 방법으로 산 해리 상수(pKa)를 구한 후, pKb=14.0-pKa의 식으로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중합개시제X의 분자량은, 경화시킬 때에 적절히 계 내에 체류하는 이유에서 240 이상임이 바람직하며, 동일 질량에서의 몰수가 많아져, 첨가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는 이유에서 1000 이하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이유에서, 광중합개시제X의 분자량은, 300∼800임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술한 시판품 중, 분자량이 240 이상인 것은, 예를 들면, BASF사제의 「이르가큐어127(pKb : 13, 분자량 : 340)」, 「이르가큐어819(pKb : 24, 분자량 : 419)」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중합개시제X의 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함유량은, 광중합개시제의 전 질량에 대해서 60질량% 이상이며, 65질량% 이상임이 바람직하고, 80질량% 초과임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질량%, 즉, 광중합개시제로서 광중합개시제X만을 사용한 태양임이 더 바람직하다.
(중합성 모노머)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불포화 2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불포화 2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의 에틸렌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 「(메타)아크릴로일기」는, 「메타크릴로일기 또는 아크릴로일기」를 나타내는 표현이며,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를 나타내고, 후술하는 「(메타)아크릴산」은,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을 나타낸다.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알킬렌글리콜의 (메타)아크릴산디에스테르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의 (메타)아크릴산디에스테르류, 다가 알코올의 (메타)아크릴산디에스테르류, 에틸렌옥사이드 혹은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의 (메타)아크릴산디에스테르류,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류,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류,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다가 알코올과 (메타)아크릴산과의 에스테르류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EO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PO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EO 변성 인산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1,2,3-시클로헥산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폴리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류는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신나카무라가가쿠고교(주)샤제의 NK에스테르 A-TMMT, 니혼가야쿠(주)제의 KAYARAD DPHA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 모노머에 대해서는, 일본국 특개2009-98658호 공보의 단락 [0114]∼[0122]에 기재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용매)
임의의 용매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알코올계 용제, 케톤계 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2-펜탄온, 3-펜탄온, 2-헥산, 2-헵탄온, 4-헵탄온, 메틸이소프로필케톤, 에틸이소프로필케톤, 디이소프로필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t-부틸케톤, 디아세틸, 아세틸아세톤, 아세토닐아세톤, 디아세톤알코올, 메시틸옥사이드, 클로로아세톤, 시클로펜탄온, 시클로헥산온, 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임의의 혼합비로 혼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외측층〕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하드 코팅층을 편광자의 표시 소자측에 배치할 경우, 즉, 편광자에 인접하는 하드 코팅층을 내측 하드 코팅층으로서 배치할 경우,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편광자의 시인측에 외측층을 배치한 편광판을 갖는다.
여기에서, 외측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외측 보호 필름, 외측 하드 코팅층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편광자의 시인측에 외측 보호 필름만을 배치하는 태양(도 1의 (B))이나, 편광자의 시인측으로부터 외측 하드 코팅층 및 외측 보호 필름을 배치하는 태양(도 1의 (C))임이 바람직하다.
<외측 보호 필름>
외측 보호 필름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계 필름,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등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또,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메타크릴계 수지와 아크릴계 수지의 양쪽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의 유도체, 특히 아크릴레이트에스테르/메타크릴레이트에스테르의 (공)중합체도 포함된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메타크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외에, 주쇄에 환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중합체도 포함하며, 락톤환을 갖는 중합체, 무수숙신산환을 갖는 무수말레산계 중합체, 무수글루타르산환을 갖는 중합체, 글루타르이미드환 함유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들 중, 가공성이나 광학 성능의 관점에서,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계 필름, (메타)아크릴 수지계 필름임이 바람직하다.
외측 보호 필름으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계 필름으로서는, 각종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12-076051호 공보에 기재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 수지계 필름으로서는, 각종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10-079175호 공보의 [0032]∼[0063] 단락에 기재되는 아크릴 필름이나, 일본국 특개2009-98605호 공보의 단락 [0017]∼[0107] 단락에 기재되는 락톤환 함유 중합체 등을 적의(適宜) 채용할 수 있다.
(두께)
외측 보호 필름의 두께는, 편광판의 박형화의 관점에서, 5㎛∼40㎛임이 바람직하며, 10㎛∼30㎛임이 보다 바람직하다.
(투습도)
외측 보호 필름의 투습도는, 편광자보다 시인측에 있는 층의 투습도가 60g/㎡/24h 이상으로 되는 투습도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105g/㎡/24h 이상임이 바람직하며, 110∼1000g/㎡/24h임이 바람직하다.
<외측 하드 코팅층>
외측 하드 코팅층으로서는, 상술한 하드 코팅층과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지만, 도 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자의 시인측에 인접하지 않고, 외측 보호 필름 위에 배치되는 하드 코팅층에 대해서는, 염기 해리 상수(pKb)의 값 등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일본국 특개2009-98658호 공보의 단락 [0190]∼[0196]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접착제층〕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가 갖는 편광판은, 후술하는 액정셀이나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이하, 「유기 EL」로 약기함) 표시 패널과의 첩합을 고려해서, 점착제층이나 접착제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점착제나 접착제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 사용하는 점착제(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등)나 접착제(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점착제나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11-037140호 공보의 단락 [0100]∼[0115], 일본국 특개2009-292870호 공보의 단락 [0155]∼[0171] 등에 기재되어 있는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표시 소자]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가 갖는 표시 소자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액정 패널, 유기 EL 표시 패널,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액정 패널, 유기 EL 표시 패널임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로서는, 표시 소자로서 액정 패널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 표시 소자로서 유기 EL 표시 패널을 사용한 유기 EL 표시 장치임이 바람직하다.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일례인 액정 표시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셀을 갖는 액정 패널, 및, 액정 패널을 끼워서 배치되는 한 쌍의 편광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한 쌍의 편광판의 적어도 한쪽이, 상술한 편광판으로 구성되는 태양을 호적하게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의 양측에 설치되는 편광판 중, 시인측의 편광판으로서 상술한 편광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인측 및 백라이트측의 편광판으로서 상술한 편광판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액정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액정셀은, VA(Virtical Alignment) 모드, OCB(Optical Compensated Bend) 모드, IPS(In-Place-Switching) 모드, 또는 TN(Twisted Nematic) 모드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N 모드의 액정셀에서는, 전압 무인가 시에 봉상(棒狀) 액정성 분자가 실질적으로 수평 배향하고, 또한 60∼120°로 비틀림 배향해 있다. TN 모드의 액정셀은, 컬러 TFT 액정 표시 장치로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다수의 문헌에 기재가 있다.
VA 모드의 액정셀에서는, 전압 무인가 시에 봉상 액정성 분자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해 있다. VA 모드의 액정셀에는, (1)봉상 액정성 분자를 전압 무인가 시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시키고, 전압 인가 시에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향시키는 좁은 의미의 VA 모드의 액정셀(일본국 특개평2-176625호 공보 기재)에 더하여, (2)시야각 확대를 위해, VA 모드를 멀티 도메인화한 (MVA 모드의) 액정셀(SID97, Digest of tech. Papers(예고집 28(1997) 845 기재), (3)봉상 액정성 분자를 전압 무인가 시에 실질적으로 수직 배향시키고, 전압 인가 시에 비틀림 멀티 도메인 배향시키는 모드(n-ASM 모드)의 액정셀(니혼에키쇼도론카이의 예고집 58∼59(1998) 기재) 및 (4)SURVIVAL 모드의 액정셀(LCD 인터내셔널 98에서 발표)이 포함된다. 또한, PVA(Patterned Vertical Alignment)형, 광배향형(Optical Alignment), 및 PSA(Polymer-Sustained Alignment)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들의 모드의 상세에 대해서는, 일본국 특개2006-215326호 공보, 및 일본국 특표2008-538819호 공보에 상세한 기재가 있다.
IPS 모드의 액정셀은, 봉상 액정 분자가 기판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해 있으며, 기판면에 평행한 전계가 인가함으로써 액정 분자가 평면적으로 응답한다. IPS 모드는 전계 무인가 상태에서 흑표시로 되며, 상하 한 쌍의 편광판의 흡수축은 직교해 있다. 광학 보상 시트를 사용해서, 경사 방향에서의 흑표시 시의 누출광을 저감시키고, 시야각을 개량하는 방법이, 일본국 특개평10-54982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11-202323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9-292522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11-133408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11-305217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10-307291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유기 EL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일례인 유기 EL 표시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시인측으로부터, 본 발명의 편광판과, λ/4 기능을 갖는 판(이하, 「λ/4판」이라고도 함)과, 유기 EL 표시 패널을 이 순서로 갖는 태양을 호적하게 들 수 있다.
여기에서, 「λ/4 기능을 갖는 판」이란, 어느 특정의 파장의 직선 편광을 원 편광으로(또는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 판을 말하며, 예를 들면, λ/4판이 단층 구조인 태양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연신 폴리머 필름이나, 지지체 위에 λ/4 기능을 갖는 광학 이방성층을 마련한 위상차 필름 등을 들 수 있으며, 또한, λ/4판이 복층 구조인 태양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λ/4판과 λ/2판을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광대역 λ/4판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EL 표시 패널은, 전극간(음극 및 양극간)에 유기 발광층(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층)을 협지(挾持)해서 이루어지는 유기 EL 소자를 사용해서 구성된 표시 패널이다.
유기 EL 표시 패널의 구성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이 채용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거해서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내용, 처리 수순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의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1) 외측 보호 필름의 제작
〔TAC-1 및 TAC-2의 제작〕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용액T1의 조제>
하기의 조성물을 믹싱 탱크에 투입하고, 교반해서 각 성분을 용해하여,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용액T1을 조제했다.
Figure pat00001
화합물(A1)물로서는, 하기 화합물을 사용했다. 하기 구조식 중, R은 벤조일기를 나타내고, 평균 치환도가 5∼7인 것을 사용했다.
Figure pat00002
화합물(A2)로서는, 하기 화합물을 사용했다(R9의 각각의 구조식과 치환도는 하기).
Figure pat00003
화합물(U1)로서는, 하기 화합물을 사용했다.
Figure pat00004
<아크릴 레진 용액P1의 조제>
다음으로, 다이아날BR88(미쓰비시레이온샤제)을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메탄올에 용해하고, 상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용액T1과 마찬가지의 점도로 되도록 농도 조정해서, 아크릴 레진 용액P1을 조제했다.
<공유연(共流延) 필름의 제막>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용액T1 및 아크릴 레진 용액P1을 사용해서 용액 유연 제막을 행하여, 하기 표 1의 구성으로 되도록 박리성 적층 필름을 제작했다.
구체적으로는, 2층 공유연이 가능한 유연 기서를 통해서, 금속 지지체 위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층 구성으로 되도록 유연했다.
이때, 금속 지지체면측에서부터 차례로 하측층, 상측층으로 되도록 유연하고, 각 층의 점도는, 공유연이 가능하도록 각 도프의 조합에 따라서 적의, 고형분 농도로 조정하여, 균일 유연이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설정했다. 금속 지지체 위에 있는 동안, 도프를 40℃의 건조풍에 의해 건조해서 박리성 적층 필름을 형성한 후에 벗겨내고, 박리성 적층 필름의 양단을 핀으로 고정하여, 그 사이를 동일한 간격으로 유지하면서 105℃의 건조풍으로 5분간 건조했다. 핀을 뺀 후, 추가로 130℃에서 20분간 건조하고, 적층 필름의 상태로 권취했다.
다음으로, 하층으로부터 상층의 박막을 박리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막두께를 갖는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을 각각 얻었다.
[표 1]
Figure pat00005
〔아크릴계 폴리머 필름의 제작〕
교반 장치, 온도 센서, 냉각관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내용적 30ℓ의 반응 가마에, 41.5질량부의 메타크릴산메틸(MMA), 6질량부의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MHMA), 2.5질량부의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오츠카가가쿠제, 상품명 : RUVA-93), 중합 용매로서 50질량부의 톨루엔, 0.025질량부의 산화방지제(아사히덴카고교제, 아데카스타브2112), 및, 연쇄이동제로서 0.025질량부의 n-도데실메르캅탄을 첨가한 후, 반응 가마에 질소를 통하게 하면서, 105℃까지 승온시켰다.
승온에 수반하는 환류가 개시된 시점에서, 중합개시제로서 0.05질량부의 t-아밀퍼옥시이소노나노에이트(아르케마요시토미제, 상품명 : 루페록스570)를 첨가함과 함께, 0.10질량부의 t-아밀퍼옥시이소노나노에이트를 3시간에 걸쳐서 적하하면서, 약 105∼110℃의 환류 하에서 용액 중합을 진행시키고, 추가로 4시간의 숙성을 행했다.
다음으로, 얻어진 중합 용액에, 환화 축합 반응의 촉매(환화 촉매)로서 0.05질량부의 인산2-에틸헥실(사카이가가쿠고교제, Phoslex A-8)을 가하고, 약 90∼110℃의 환류 하에 있어서 2시간, 환화 축합 반응을 진행시킨 후, 240℃의 오토클레이브에 의해 중합 용액을 30분간 가열하여, 환화 축합 반응을 더 진행시켰다.
다음으로, 반응 진행 후의 중합 용액에, 자외선흡수제로서 CGL777MPA(치바스페셜리티케미컬즈제)를 0.94질량부 혼합했다.
다음으로, 얻어진 중합 용액을, 배럴 온도 240℃, 회전 속도 100rpm, 감압도 13.3∼400hPa(10∼300mmHg), 리어 벤트수 1개 및 포어 벤트수 4개(상류측으로부터 제1, 제2, 제3, 제4 벤트라 함), 선단부에 리프(leaf) 디스크형의 폴리머 필터(여과 정밀도 5㎛, 여과 면적 1.5㎡)를 배치한 벤트 타입 스크루 2축 압출기(Φ=50.0mm, L/D=30)에, 수지량 환산으로 45㎏/시의 처리 속도로 도입하여, 탈휘(脫揮)를 행했다. 그때, 별도 준비해둔 산화방지제/환화 촉매 실활제의 혼합 용액을 0.68㎏/시의 투입 속도로 제1 벤트의 뒤로부터, 이온 교환수를 0.22㎏/시의 투입 속도로 제3 벤트의 뒤로부터, 각각 투입했다.
산화방지제/환화 촉매 실활제의 혼합 용액에는, 50질량부의 산화방지제(스미토모가가쿠제 스미라이저GS)와, 실활제로서 35질량부의 옥틸산아연(니혼가가쿠산교제, 닛카옥틱스 아연 3.6%)을, 톨루엔 질량 200부에 용해시킨 용액을 사용했다.
다음으로, 탈휘 완료 후, 압출기 내에 남겨진 열용융 상태에 있는 수지를 압출기의 선단으로부터 폴리머 필터에 의한 여과를 수반하면서 배출하고, 펠렛타이저에 의해 펠렛화해서, 주쇄에 락톤환 구조를 갖는 아크릴 수지와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는 투명한 수지 조성물의 펠렛을 얻었다.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45000, 수지 및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122℃였다.
상기에서 제작한 주쇄에 락톤환 구조를 갖는 아크릴 수지와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는 투명한 수지 조성물의 펠렛을, 2축 압출기를 사용해서, 코트 행거형 T다이로부터 용융 압출하여, 두께 20㎛의 아크릴계 폴리머 필름을 제작했다.
(2) 외측 하드 코팅층용 도포액의 조제
<외측 하드 코팅층용 도포액(HC-0)의 조제>
각 성분을 표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제작하고, 공경(孔徑) 30㎛의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로 여과해서 외측 하드 코팅층용 도포액(HC-0)을 조제했다.
Figure pat00006
외측 하드 코팅층용 도포액(HC-0)의 조성에서 사용한 화합물을 이하에 나타낸다.
·DPHA :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니혼가야쿠샤제)
·PET30 :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니혼가야쿠샤제)
·이르가큐어184 : 광중합개시제(pKb : 17, BASF사제)
·FP-13 : 일본국 특개2009-063983호 공보[0341]에 기재된 불소계 표면활성제
(3) 내측 하드 코팅층용 도포액의 조제
<내측 하드 코팅층용 도포액(HC-1)의 조제>
각 성분을 표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제작하고, 공경 30㎛의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로 여과해서 내측 하드 코팅층용 도포액을 조제했다.
Figure pat00007
내측 하드 코팅층용 도포액(HC-1)의 조성에서 사용한 화합물을 이하에 나타낸다.
·A-TMMT :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가가쿠고교샤제)
·이르가큐어127 : 광중합개시제(pKb : 13, BASF사제)
·보론산 화합물 :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1
Figure pat00008
·레벨링제 : 하기 표 2에 기재된 반복 단위를, 하기 표 2의 함유율(몰%)로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 160000의 공중합체(화합물2)
[표 2]
Figure pat00009
<내측 하드 코팅층용 도포액(HC-2)∼(HC-10)의 조제>
이르가큐어127의 일부 또는 전부 대신에, 하기 표 3에 나타내는 광중합개시제를 광중합개시제X의 함유량이 하기 표 3에 나타내는 질량%로 되도록 배합한 이외는, 내측 하드 코팅층용 도포액(HC-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내측 하드 코팅층용 도포액(HC-2)∼(HC-10)을 조제했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하드 코팅층용 도포액(HC-2)에 대해서는, 이르가큐어127(pKb : 13, BASF사제)이 60질량%로 되도록, 이르가큐어907(pKb : 5.6, BASF사제)과 합계해서 1.5질량부 배합하여 조제했다. 내측 하드 코팅층용 도포액(HC-3)∼(HC-10)도 마찬가지이다.
또, 내측 하드 코팅층용 도포액(HC-6)에 대해서는, 이르가큐어127(pKb : 13, BASF사제) 및 이르가큐어184(pKb : 17, BASF사제)를 50:50의 질량비로 합계해서 1.5질량부 배합하여 조제했다.
[표 3]
Figure pat00010
(4) 편광자의 제작
<편광자1(두께 : 30㎛)의 제작>
두께 60㎛의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을, 25℃의 순수에 60초간 침지하여, 팽윤 처리한 후, 1.30배로 연신했다. 얻어진 필름을, 물 100질량부에 대해, 0.2질량부의 요오드와, 5질량부의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염색액에, 25℃에서 30초간 침지하여 염색한 후, 물 100질량부에 대해, 4.3질량부의 붕산과 3질량부의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가교액에, 60℃에서 80초간 침지시키면서, 원래 길이에 대하여 6배로 연신했다. 이 연신 필름을 100℃의 오븐에서 4분간 건조시켜서, 두께 30㎛의 편광자를 제작했다.
<편광자(2)(두께 : 15㎛)의 제작>
두께 40㎛의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을, 25℃의 순수에 60초간 침지하여, 팽윤 처리한 후, 1.30배로 연신했다. 얻어진 필름을, 물 100질량부에 대해, 0.2질량부의 요오드와, 5질량부의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염색액에, 25℃에서 30초간 침지하여 염색한 후, 물 100질량부에 대해, 4.3질량부의 붕산과 3질량부의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가교액에, 60℃에서 80초간 침지시키면서, 원래 길이에 대하여 8배로 연신했다. 이 연신 필름을 100℃의 오븐에서 4분간 건조시켜서, 두께 15㎛의 편광자를 제작했다.
<편광자3(두께 : 8㎛)의 제작>
두께 20㎛의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을, 25℃의 순수에 60초간 침지하여, 팽윤 처리한 후, 1.30배로 연신했다. 얻어진 필름을, 물 100질량부에 대해, 0.3질량부의 요오드와, 7.5질량부의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염색액에, 25℃에서 30초간 침지하여 염색한 후, 물 100질량부에 대해, 4.3질량부의 붕산과 3질량부의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가교액에, 60℃에서 80초간 침지시키면서, 원래 길이에 대하여 8배로 연신했다. 이 연신 필름을 100℃의 오븐에서 4분간 건조시켜서, 두께 8㎛의 편광자를 제작했다.
<편광자4(두께 : 5㎛)의 제작>
두께 20㎛의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을, 25℃의 순수에 60초간 침지하여, 팽윤 처리한 후, 1.30배로 연신했다. 얻어진 필름을, 물 100질량부에 대해, 0.3질량부의 요오드와, 7.5질량부의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염색액에, 25℃에서 30초간 침지하여 염색한 후, 물 100질량부에 대해, 4.3질량부의 붕산과 3질량부의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가교액에, 60℃에서 80초간 침지시키면서, 원래 길이에 대하여 12배로 연신했다. 이 연신 필름을 100℃의 오븐에서 4분간 건조시켜서, 두께 5㎛의 편광자를 제작했다.
〔실시예 1∼20 및 비교예 1∼10〕
<편광판의 제작>
(외측 하드 코팅층의 형성)
상기에서 제작한 외측 보호 필름을 지지체로 하고, 지지체 위에, 외측 하드 코팅층용 도포액(HC-0)을, 다이 코팅법으로 도포했다. 실온에서 120초, 추가로 60℃에서 150초 건조 후, 질소 퍼지(산소 농도 0.5% 이하)하면서, 160W/㎝의 공냉 메탈할라이드 램프(아이그래픽스(주)제)를 사용해서, 조도 400㎽/㎠, 조사량 150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도포층을 경화시켜, 외측 하드 코팅층을 형성했다. 건조 후의 외측 하드 코팅층의 두께는 3㎛였다.
(비누화 처리)
다음으로, 외측 보호 필름으로서 TAC-1 및 TAC-2를 사용한 태양에 대해서는, 제작한 외측 보호 필름의 외측 하드 코팅층을 마련하고 있지 않은 측의 표면을 2.3mol/ℓ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55℃에서 3분간 침지했다.
다음으로, 실온의 수세 욕조 중에서 세정하고, 30℃에서 0.05mol/ℓ의 황산을 사용하여 중화했다.
그 후, 다시, 실온의 수세 욕조 중에서 세정하고, 추가로 100℃의 온풍으로 건조했다.
이렇게 해서, 외측 보호 필름에 대하여 표면의 비누화 처리를 행했다.
(편광판의 제작)
다음으로, 외측 보호 필름으로서 TAC-1 및 TAC-2를 사용한 태양에 대해서는, 외측 보호 필름에 상술한 비누화 처리를 실시한 표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를 사용해서, 하기 표 4에 나타내는 편광자의 편측에 첩부(貼付)했다. 이때, 편광자의 투과축과 외측층의 지상축(遲相軸)은 평행하도록 배치했다.
한편, 외측 보호 필름으로서 아크릴계 폴리머 필름을 사용한 태양에 대해서는, 외측 보호 필름의 외측 하드 코팅층을 가지고 있지 않은 측의 표면에, 하기 에폭시계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해서, 하기 표 4에 나타내는 편광자의 편측에 붙였다. 이때, 편광자의 투과축과 외측층의 지상축은 평행하도록 배치했다.
〈에폭시계 접착제 조성물〉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40질량부
·비스페놀A형 에폭시수지 60질량부
·디페닐[4-(페닐티오)페닐]설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양이온 중합개시제) 4.0질량부
·벤조인메틸에테르(광증감제) 1.0질량부
(내측 하드 코팅층의 형성)
다음으로, 편광자의 외측층과는 반대측의 표면 위에, 일본국 특개2006-122889호 공보의 실시예 1에 기재된 슬롯 다이를 사용한 다이 코팅법으로, 하기 표 4에 나타내는 종류의 내측 하드 코팅층용 도포액(HC-1)∼(HC-10)을 반송 속도 24m/분의 조건으로 도포하고, 60℃에서 60초 건조시켰다. 그 후, 추가로 질소 퍼지 하(산소 농도 약 0.1%)에서 160W/㎝의 공냉 메탈할라이드 램프(아이그래픽스(주)제)를 사용하여, 조도 400㎽/㎠, 조사량 390mJ/㎠의 자외선을 조사해서 도포층을 경화시키고, 권취했다. 경화층의 막두께가 2㎛로 되도록 도포량을 조정했다. 이렇게 해서, 편광판을 제작했다.
〔내구성의 평가〕
상기에서 제작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편광판에 대하여, I3 -의 흡수의 끝자락에 해당하는 파장 410㎚, 및 I3 -·I2의 흡수의 끝자락에 해당하는 파장 680㎚에 있어서의 편광자의 직교 투과율을 하기에 기재한 방법으로 측정했다. 그 후,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1000시간 보존한 후에, 파장 410㎚, 및 파장 680㎚에서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직교 투과율을 측정했다. 경시(經時) 전후의 직교 투과율의 변화를 구하고, 이것을 편광자의 내구성으로서 하기의 평가 기준에 적용시켜, 표 4에 그 결과를 기재했다.
<직교 투과율의 측정>
각 실시예, 비교예의 편광판을, 유리 위에 첩부한 샘플(5㎝×5㎝)을 2개 제작했다. 이때, 편광판 보호층이 유리와 반대측(공기 계면)측으로 되도록 첩부했다. 직교 투과율 측정은 이 샘플의 편광판 보호층의 측을 광원을 향해서 세팅해서 니혼분코(주)제 자동 편광 필름 측정 장치 VAP-7070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2개의 샘플을 각각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직교 투과율로 했다.
<평가 기준>
A : 직교 투과율의 변화가, 0.01% 미만
B : 직교 투과율의 변화가, 0.01% 이상, 0.1% 미만
C : 직교 투과율의 변화가, 0.1% 이상, 1.0% 미만
D : 직교 투과율의 변화가, 1.0% 이상
[표 4]
Figure pat00011
이상의 결과로부터, 편광자에 인접하는 하드 코팅층을, 염기 해리 상수 pKb가 8 이상인 광중합개시제X를 포함하고, 또한, 광중합개시제X의 함유량이, 광중합개시제의 전 질량에 대해서 60질량% 이상인 경화성 조성물(HC-1∼HC-6)을 사용해서 하드 코팅층을 형성한 실시예 1∼20의 편광판은, 모두 편광자의 내구성이 양호해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20의 대비로부터, 광중합개시제X의 함유량이, 광중합개시제의 전 질량에 대해서 100질량%인 경화성 조성물(HC-1 및 HC-4∼HC-6)을 사용해서 하드 코팅층을 형성한 실시예는, 편광자의 내구성이 보다 양호해짐을 알 수 있었다.
1 : 하드 코팅층
2 : 편광자
3 : 표시 소자
4 : 외측 보호 필름
5 : 외측 하드 코팅층
6 : 외측층
10 : 화상 표시 장치

Claims (5)

  1. 시인측으로부터, 편광판 및 표시 소자를 이 순서로 갖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편광판이,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하드 코팅층을 갖고,
    상기 하드 코팅층이, 중합성 모노머 및 광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층이고,
    상기 광중합개시제가, 염기 해리 상수 pKb가 8 이상인 광중합개시제X를 포함하고,
    상기 광중합개시제X의 함유량이, 상기 광중합개시제의 전 질량에 대해서 60질량% 이상이고,
    상기 편광자보다 시인측에 있는 층의 투습도가 60g/㎡/24h 이상인, 화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이, 시인측으로부터, 외측층, 상기 편광자 및 상기 하드 코팅층을 이 순서로 갖는, 화상 표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2㎛∼20㎛인 화상 표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가, 액정 패널 또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 패널인, 화상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가, 액정 패널 또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 패널인, 화상 표시 장치.
KR1020150091905A 2014-07-02 2015-06-29 화상 표시 장치 KR201600041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36752 2014-07-02
JP2014136752A JP2016014770A (ja) 2014-07-02 2014-07-02 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197A true KR20160004197A (ko) 2016-01-12

Family

ID=55170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905A KR20160004197A (ko) 2014-07-02 2015-06-29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6014770A (ko)
KR (1) KR201600041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754A (ko) * 2018-10-18 2020-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36819A (ko) * 2019-05-28 2020-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3885A1 (ja) * 2015-03-12 2016-09-1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6689103B2 (ja) * 2015-03-12 2020-04-2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6560999B2 (ja) * 2016-03-09 2019-08-14 日東電工株式会社 硬化性樹脂組成物、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6758393B2 (ja) * 2016-09-30 2020-09-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高分子化合物
WO2019003905A1 (ja) * 2017-06-30 2019-01-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102371580B1 (ko) * 2019-05-28 2022-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2023066933A (ja) * 2021-10-29 2023-05-1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JP2023066932A (ja) * 2021-10-29 2023-05-1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7790B2 (ja) * 2009-03-05 2014-06-25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2163607A (ja) * 2011-02-03 2012-08-30 Konica Minolta Advanced Layers Inc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79008B2 (ja) * 2012-07-04 2017-02-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754A (ko) * 2018-10-18 2020-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36819A (ko) * 2019-05-28 2020-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14770A (ja)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4197A (ko) 화상 표시 장치
JP6604809B2 (ja) 粘着剤層付き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その製造に用いる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高分子組成物並びに液晶表示装置
KR102229733B1 (ko) 적층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927432B1 (ko) 고내구성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1719883B1 (ko) 광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과 그 제조법, 광학 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959340B1 (ko) 편광판 및 액정 패널
JP6122812B2 (ja)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5046225A1 (ja)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741477B2 (ja) 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40128222A (ko)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50071019A (ko) 광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과 그 제조법, 광학 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50102083A (ko) 점착형 광학보상층을 갖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JP6043315B2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90046936A (ko)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고무계 점착제층, 점착 필름, 고무계 점착제층을 구비한 광학 필름,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JP6687611B2 (ja) 偏光板、表示装置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20210122699A (ko) 편광판 및 이 편광판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US20230072725A1 (en) Polarizing film hav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745989B1 (ko) 편광판
JP2019185061A (ja) 粘着剤層付き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その製造に用いる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高分子組成物並びに液晶表示装置
JP7329644B2 (ja) 粘着剤層付き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その製造に用いる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高分子組成物並びに液晶表示装置
WO2022014101A1 (ja) 偏光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776899B (zh) 接著劑組成物及偏光板
WO2022014102A1 (ja) 偏光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3014531A (ja)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21009405A (ja) 粘着剤層付き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その製造に用いる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高分子組成物並びに液晶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