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141A - 캐드 자격시험의 실시구조방법 - Google Patents

캐드 자격시험의 실시구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141A
KR20160004141A KR1020140082651A KR20140082651A KR20160004141A KR 20160004141 A KR20160004141 A KR 20160004141A KR 1020140082651 A KR1020140082651 A KR 1020140082651A KR 20140082651 A KR20140082651 A KR 20140082651A KR 20160004141 A KR20160004141 A KR 20160004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website
qualification
processing step
ans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2701B1 (ko
Inventor
석형태
Original Assignee
석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형태 filed Critical 석형태
Priority to KR1020140082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701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의 자격시험 웹사이트에서 자격시험과 관련된 일련의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웹사이트를 통하여 시험절차의 확인을 안내하는 절차확인 처리단계; 상기 웹사이트를 통하여 시험 종류의 선택을 유도하는 시험접수 처리단계; 상기 웹사이트에서 시스템 구동의 확인을 처리하는 시험 준비 처리단계; 상기 웹사이트에서 3D 모델링 치수기입 파일과 치수기입 도면을 제공하는 문제 확인 처리단계; 상기 웹사이트에서 선택된 자격급수를 확인하고 시험 1 처리단계와 시험 2 처리단계의 플로우를 구분하여 제공하는 답안작성 처리단계; 상기 수험자의 답안을 채점하여 웹사이트로 합격자를 발표하고 자격증을 발급하는 발표발급 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자격시험의 출제와 검정을 위한 전반적인 운영 시스템을 기반으로 일련의 워크플로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하여 교육적 효율성은 물론 산업체 적용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캐드 자격시험의 실시구조방법{How to conduct structural for CAD qualification test}
본 발명은 캐드 자격시험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라인상으로 수험자의 캐드 능력을 주로 검증하여 자격을 부여하되, 일부의 현물제작을 추가할 수도 있는 검증방법을 통해 캐드의 능력 검증을 보다 더 확실하게 보증 가능하도록 하는 캐드 자격시험의 실시구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한 업무처리가 급증하고 있다. 직장의 문서 작성과 전송은 물론 각종 공인서류 발급, 국가자격 또는 민간자격 시험 등에 이르기까지 영역이 다양화된다. 일예로, 캐드(CAD) 자격시험은 부품 및 조립품에 대한 도면의 생성에서 현물 실사 출력에 이르기까지의 업무 프로세스 이해도 등에 대한 초급 및 중급 수준의 능력을 온라인상으로 측정할 여지가 있다.
이와 같은 온라인 업무처리와 관련되어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32451호(선행특허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355665호(선행특허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특허 1에 의하면, 입장시키신 상태에서 자동설계프로그램인 CAD로 작도한 설계도면과 설계도면 설명에 필요한 여러 가지 문서나 이미지그림들을 띄워놓고 도면 검수자와 도면검수 요청자가 각자의 컴퓨터에서 서비스되는 인터넷회선을 통해 각자의 컴퓨터에 내장되어있는 사운드 카메라와 화상카메라를 통해 서로 음성과 얼굴을 보면서 디스플레이 시킨 설계도면을 검수하고 체크해서 그 결과를 바로 바로 각자의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선행특허 2에 의하면, 정확하고 변하지 않는 기준의 문항모수를 산출하고, 문항의 영역(카테고리)과 형식에 따라 체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컴퓨터 개별 적응 검사(CAT)를 통하여 수험자 개개인의 능력에 맞는 문항을 제공/평가하는 것으로서, 각자의 시험문항은 시험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해당 수험자의 능력값에 수렴하는 문항이 자동 출제되고 종국에는 추정오차가 허용범위 안에 들게 되면 시험이 종료되는 구성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에 의하면 캐드 자격시험과 관련된 다양한 워크플로우를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한 구체적 기술요지를 제시하지 않아 단순한 참고자료 이상의 내용을 기대하기 곤란하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32451호 “온라인실시간 화상 도면검수 시스템” (공개일자 : 2002. 5. 3.)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355665호 “문항반응이론을 이용한 온라인 자격 및 인증시험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공개일자 : 2001. 7. 27.)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다수의 수험자를 대상으로 캐드 기능의 자격시험과 관련된 일련의 워크플로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한 캐드 자격시험의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계부분의 부품제조에 필요한 3차원 형상의 완성도와 이를 이용한 도면생성의 정확도를 시험하여 판정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계부분의 부품제조에 필요한 3차원 형상을 통한 현물제작의 완성도를 기준으로 시험하여 판정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품 설계부분에 필요한 간섭 및 충돌탐지를 검사하여, 조립품의 원활한 구동(시뮬레이션)을 적용하면서 분해도면 작성 능력을 시험하여 판정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과정으로 원스톱 설계 및 현물제작 능력을 시험하여 판정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의 자격시험 웹사이트에서 자격시험과 관련된 일련의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웹사이트를 통하여 시험절차의 확인을 안내하는 절차확인 처리단계; 상기 웹사이트를 통하여 시험 종류의 선택을 유도하는 시험접수 처리단계; 상기 웹사이트에서 시스템 구동의 확인을 처리하는 시험 준비 처리단계; 상기 웹사이트에서 3D 모델링 치수기입 파일과 치수기입 도면을 제공하는 문제 확인 처리단계; 상기 웹사이트에서 선택된 자격급수를 확인하고 시험 1 처리단계와 시험 2 처리단계의 플로우를 구분하여 제공하는 답안작성 처리단계; 및 상기 수험자의 답안을 채점하여 웹사이트로 합격자를 발표하고 자격증을 발급하는 발표발급 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문제 확인 처리단계는 선택된 자격급수에 확인하여 부품도면과 조립도면을 화면으로 출력하고, 공용부품의 다운로드 파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답안작성 처리단계는 자격급수 2급에 대한 처리과정으로서 상기 웹사이트에서 문제도면에 대응한 수험자의 답안을 설정된 파일형식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시험 1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시험 1 처리단계는 제출도면 작성, 분해도면 작성, 조립도면 작성, 3차원 모델링 작성, 3차원 조립품 생성, 동작 시뮬레이션 작성을 처리하여 생성되는 데이터를 답안저장 폴더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답안작성 처리단계는 자격급수 1급에 대한 처리과정으로서 상기 웹사이트에서 문제도면에 대응한 수험자의 답안을 현물로 제작하는 시험 2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시험 2 처리단계는 3D 프린터에 변환된 답안코드를 전송하여 현물을 제작하고, 현물의 표면다듬기를 거친 후에 생성된 답안파일을 업로드(up-load)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격시험의 출제와 검정을 위한 전반적인 운영 시스템을 기반으로 일련의 워크플로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하여 교육적 효율성은 물론 산업체 적용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업현장에서 자신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직무능력 전체를 검증할 수 있다. 또 직무에서 파생되어 연결되는 업무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업무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직무공백 및 전문지식의 결여에서 오는 각종 오류를 신속하게 수정 보완하며, 이에 적절한 시기에 인력을 투입함으로 직무위치 변경에서 발생하는 리스크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시험문제 도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화면상태도,
도 4a 내지 4d는 도 2에 따른 제출도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화면상태도,
도 5는 도 2에 따른 분해도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화면상태도,
도 6a 내지 6c는 도 2에 따른 조립도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화면상태도,
도 7은 도 2에 따른 3차원조립품의 일예를 나타내는 화면상태도,
도 8은 도 2에 근거한 시험실시 예시도(STEP 1 내지 STEP 4),
도 9는 도 2에 근거한 시험1 처리단계(STEP 5)의 절차 예시도,
도 10은 도 2에 근거한 시험2 처리단계(STEP 6)의 절차 예시도,
도 11은 도 2에 근거한 채점 처리단계(STEP 7) 및 자격증발급 처리단계(STEP 8)의 절차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의 자격시험 웹사이트에서 자격시험과 관련된 일련의 워크플로우(work flow)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하여 제안한다. 네트워크는 인터넷(10)을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캐드(CAD) 자격시험은 3차원 부품 및 조립품 생성, 분해(나열) 배치, 부품 및 조립/분해도면 생성, 동작 시뮬레이션 및 현물 실사 출력 등을 주요 업무 프로세스로 포함한다. 주요 프로세서를 비롯한 전체 워크플로우는 기 설정된 웹사이트를 통하여 처리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네트워크는 관리자단말기(22)와 수험자단말기(25)를 관리자서버(20), 데이터베이스(30), 3D 프린터(35)에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리자서버(20)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연산부, 통신부, 입출력인터페이스부 등을 구비한다. 데이터베이스(30)는 출제 대상의 시험과 관련한 제반 일정과 안내, 문제도면, 답안도면, 자격증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3D 프린터(35)는 3차원 모델링으로 완성된 물품의 현물을 제작한다. 관리자단말기(22)와 수험자단말기(25)는 인터넷(10)과 관리자서버(20)를 통하여 연결된다.
용어를 정의하면, “부품도면”이라 함은 결합 부품의 최소 단위인 하나의 단위 부품을 의미하고, “조립도면”이라 함은 최소단위 부품의 하나 이상의 집합체를 의미하고, “공용부품”이란 작성 제외된 부품 파일 및 각 국가의 규격으로 정해진 부품들을 의미한다. 국가 표준은 KS, ISO, ANSI, DIN, JIS, GOST, 등에서 정하는 표준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다양한 도면들은 도 3 내지 도 7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처리방법의 주요 플로우(主要 flow)는 상기 웹사이트를 통하여 시험절차의 확인을 안내하는 절차확인 처리단계(STEP 1); 상기 웹사이트를 통하여 시험 종류의 선택을 유도하는 시험접수 처리단계(STEP 2); 상기 웹사이트에서 시스템 구동의 확인을 처리하는 시험준비 처리단계(STEP 3); 상기 웹사이트에서 3D 모델링 치수기입 파일과 치수기입 도면을 제공하는 문제확인 처리단계(STEP 4); 상기 웹사이트에서 선택된 자격급수를 확인하고 시험 1 처리단계와 시험 2 처리단계의 플로우(flow)를 구분하여 제공하는 답안작성 처리단계(STEP 5)(STEP 6); 및 상기 수험자의 답안을 채점하여 웹사이트로 합격자를 발표하고 자격증을 발급하는 발표발급 처리단계(STEP 7)(STEP 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2의 주요 단계에 대한 세부 플로우를 예시한다.
우선, 절차확인 처리단계(STEP 1)는 온라인 시험원서 접수, 시험날짜ㆍ시간ㆍ접수한 시험의 종류ㆍ고사장ㆍ수험번호를 확인하고, 20분전 고사장입실ㆍ신분 및 좌석확인, 홈페이지 접속한 후 응시종류 수험번호 ID/PW 입력, 주어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답안작성 저장 및 현물제작 제출, 합격여부 확인에 대한 제반 절차를 수험자단말기(25)의 화면을 통하여 안내한다.
시험접수 처리단계(STEP 2)는 자격시험 웹사이트에서 회원 로그인을 거쳐 원서접수 현황을 제공하고, 원서접수 페이지를 통하여 수험료의 결제를 처리하며, 정상적인 결제가 이루어지면 수험표와 원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실무 자격증은 CAD 실무 자격증 2급, CAD 실무 자격증 1급, 3D 시뮬레이션 자격증 2급, 3D 시뮬레이션 자격증 1급, 3D 프린트 운용 자격증 2급, 3D 프린트 운용 자격증 1급 등으로 구분된다. 즉, 자격의 종류와 급수에 대응하여 현물제출 과목의 선택이 다르게 처리될 수 있다.
시험준비 처리단계(STEP 3)는 컴퓨터의 부팅에 따라 시스템 구동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 수험자단말기(25) 상에 작성된 파일을 제출하기 위한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문제확인 처리단계(STEP 4)는 상기 웹사이트에서 3D 모델링 치수기입 파일과 치수기입 도면을 제공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모델링 치수기입 파일은 3D 도면 외에 2D 도면도 포함한다. 치수기입 도면은 3D 부품도, 3D 조립도, 3D 모델링과 관련되어 제공되는 도면이다. 여기서 stp, step, dwg, dxf, pdf, 3d-pdf 등의 응용프로그램 파일을 포함한다. 이외에 현물제작 지정 도면 및 3D 프린터 현물제작 도면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TEP 4의 일예로, 자격시험 웹사이트에서 문제도면[조립도면, 부품도면]을 출력하고, 3D 프린터(35)로 제작할 현물은 부품도면 또는 조립도면으로 출력하고, 공용부품을 바탕화면에 생성된 답안저장 폴더에 다운로드하는 과정으로 처리된다. 이때, 상기 조립도면에서는 조립부품을 “구동부”(동작 시뮬레이션)를 위한 부품으로 지정한다. “구동부”라 함은 동작되어지는 조립품을 작동시키는 동력전달의 시작 부품을 의미한다.
답안작성 처리단계(STEP 5)는 상기 웹사이트에서 선택된 자격급수를 확인하고 시험 1 처리단계와 시험 2 처리단계의 플로우를 구분하여 제공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답안작성 처리단계는 시험 1처리단계 및 후술하는 시험 2처리단계로 구분된다. 시험 1처리단계는 필수적으로 진행되는 플로우이고, 시험 2처리단계는 선택적으로 진행되는 플로우이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답안작성 처리단계는 자격급수 2급에 대한 처리과정으로서 상기 웹사이트에서 문제도면에 대응한 수험자의 답안을 설정된 파일 형식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시험 1 처리단계(STEP 5)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시험 1 처리단계(STEP 5)는 제출도면 작성, 분해도면 작성, 조립도면 작성, 3차원 모델링 작성, 3차원 조립품 생성, 동작 시뮬레이션 작성을 처리하여 생성되는 데이터를 답안저장 폴더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a에서, 단계 E-1은 시험 1 처리단계에 진입하고, 단계 E-2는 시험문제 도면을 확인하며, 단계 E-3은 3D 프린터 현물제작 도면을 확인하고, 단계 E-4는 제공 부품을 다운로드한다. 단계 E-2는 3D-pdf 도면을 기본으로 제공하고 부품도면, 조립도면, 동작부품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한편, 상기 단계 E-4는 STEP 4에서 생성한 폴더에 저장하며, 이는 이하의 단계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된다.
이어서, 단계 F-1은 3차원 문제 부품 모델링을 생성하고, 단계 F-2는 작성된 부품의 재질특성을 적용하며, 단계 F-3은 완성된 부품 파일을 “부품명칭”으로 저장하고, 단계 F-4는 3D 프린터 현물출력용 STL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한편, 상기 단계 F-1은 STEP 4의 문제도면을 이용하며, 이는 이하의 단계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된다.
이어서, 단계 G-1은 STEP 4의 규칙을 확인하면서 각 법 및 도면환경을 설정하고, 단계 G-2는 단계 F-3에서 저장된 부품파일을 이용하여 부품도면 배치 및 축척(배척)을 적용하며, 단계 G-3은 도면 치수기입 및 규격입력을 처리하고, 단계 G-4는 단계 F-2 및 F-3에서 저장된 부품 재질의 질량을 확인하여 질량 및 재질표를 작성하고, 단계 G-5는 작성한 도면을 “부품명칭”으로 저장하며, 단계 G-6은 작성된 도면을 PDF파일로 전술한 폴더에 저장한다.
도 9b에서, 단계 H-1은 저장된 제공부품을 이용하여 조립품을 생성하고, 단계 H-2는 문제도면에 의한 동작을 염두에 두고 조립품을 생성하며, 단계 H-3은 조립품 부품 간 간섭을 확인하여 저장된 부품파일을 수정하고, 단계 H-4는 문제도면 제공부품의 재질을 확인하여 조립품 전체 질량 값을 산출하며, 단계 H-5는 작성된 조립품을 폴더에 “제출조립품”으로 저장한다.
이어서, 단계 I-1은 단계 저장된 조립품 파일을 이용하여 조립품 동작을 검증하고, 단계 I-2는 동작 간섭 및 충돌을 검증하며, 단계 I-3은 작성된 조립품 파일 및 동작 제출 조립품을 기 생성된 폴더에 저장한다.
이어서, 단계 J-1은 기 저장된 조립품을 이용하여 조립품 분해(나열)도를 생성하고, 단계 J-2는 작성된 분해도를 기(旣) 생성된 폴더에 “제출분해도”로 저장한다.
이어서, K-1은 단계 E-5의 규칙을 확인하면서 조립/분해(나열)도의 각 법 및 도면환경을 설정하고, 단계 K-2는 기 저장된 파일을 이용하여 조립/분해도 도면위치 및 축척(배척)을 지정하며, 단계 K-3은 위치 결정된 “답안분해도면”에 품번(品番)을 적용하고, 단계 K-4는 조립/분해도면 부품리스트를 작성하여 물량을 산출하며, 단계 K-5는 조립품에 적용된 질량을 적용하여 조립품 전체의 질량 산출 값을 기입하고, 단계 K-6은 작성한 조립/분해도면을 기 생성된 폴더에 “제출조립분해도면”으로 저장하며, 단계 K-7은 작성된 도면을 PDF파일로 전술한 폴더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답안작성 처리단계는 자격급수 1급에 대한 처리과정으로서 상기 웹사이트에서 문제도면에 대응한 수험자의 답안을 현물로 제작하는 시험 2 처리단계(STEP 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자격증 종류와 급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처리되는 플로우이다.
이때, 상기 시험 2 처리단계는 3D 프린터(35)에 변환된 답안코드를 전송하여 현물을 제작하고, 현물의 표면다듬기를 거친 후에 생성된 답안파일을 업로드(up-load)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도 10에 나타내듯이 단계 L-1에서 단계 L-8로 진행되며, 다소의 오프라인(off-line) 작업도 병행되지만 온라인(on-line)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단계 L-1은 3D 프린터(35)의 전원을 켜고, 단계 L-2는 3D 프린터(35)의 전용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며, 단계 L-3은 기 변환된 STL파일을 이용하여 변환된 STL파일을 열고, 단계 L-4는 G코드 생성 변환 및 “답안코드” 파일을 제출폴더에 저장하며, 단계 L-5는 3D 프린터(35) 상으로 현물을 제작하고, 단계 L-6은 출력지지대(서포트)를 제거한 후 각종 공구를 사용하여 표면다듬기를 처리하며, 단계 L-7은 제출폴더에 생성된 답안을 제출하여 웹사이트로 업로드하고, 단계 L-8은 모든 전원을 오프(off)하고 마무리된 현물 출력물을 제출한다.
마지막으로, 도 11에서 발표발급 처리단계(STEP 7)(STEP 8)는 채점 처리를 실행한 후에,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수험자에게 자격증 등록과 발급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본 발명을 산업체에 적용함에 의한 효율성은 다음과 같다.
1. 2차원 도면의 한계를 벗어나서 직관적인 부품형상의 이해하고, 제작 시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2. 모델링 수정 시 도면이 자동 수정됨으로 도면관리 및 도면편집의 편리성과 시간 단축한다.
3. 단면 자르기(전단면, 반단면, 직각단면 등)시 단면적을 산출하고, 분석할 수 있다.
4. 3차원 부품모델링으로 조립 조립품의 외/내부 구조를 쉽게 파악하여 동작원리의 이해를 돕는다.
5. 역설계를 통하여, 제품의 성능개선을 한다.
6. 조립품의 전체 질량을 확인하여, 진동, 스트레스 등의 해석을 통하여 안전성과 강도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한다.
7. 조립품 간섭 분석을 통해 설계오류에 대한 부품수정이 용이하다.
8. BOM과 부품리스트를 쉽게 적용함으로 물량 및 비용 산출에 용이하다.
9. 조립과 분해 순서를 쉽게 이해할 수 있어, 현장 조립 인원이 쉽게 파악할 수 있다.
10. 장비 유지보수를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새롭게 진입하는 현장인력에 장비에 대한 이해와 교육을 쉽게 한다.
11. 제품제작 전 작동원리를 파악하여, 정상적인 동작여부를 미리 파악한다.
12. 작동 시 발생하는 간섭과 충돌을 시뮬레이션 함으로 설계오류를 최소화 한다.
13. 완성품의 오류 및 제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14. 소량 다품종 부품을 생산할 수 있다.
15. 단종된 부품을 제작할 수 있다.
16. 대량 양산 전 샘플 부품을 작성함으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17. 목업 작업에 용이하다.
18. 최소한의 소재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19. 재질 적용 시 부품에 대한 질량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육적인 효율성은 다음과 같다.
1. 비전공자도 3차원 모델링 작성 시 부품의 외/내부 구조를 쉽게 파악함으로 부품에 대한 이해능력을 높인다.
2. 국가별 도면표현에 대한 각법(투상법)을 이해한다.
3. 치수기입을 통한 형상의 크기를 가늠한다.
4. 국가별 규격의 적용 및 작도법을 이해한다.
5. 3차원 캐드 응용프로그램의 운영방법을 이해한다.
6. 비전공자도 조립품 구조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한다.
7. 작동원리를 이해하여 각 부품의 기능과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한다.
8. 구매품과 비구매품에 대한 구분과 이해를 돕는다.
9. 조립과 분해 순서를 쉽게 이해한다.
10. 각 부품에 대한 설명이 용이하다.
11. 제품의 작동원리를 가상으로 확인한다.
12. 힘의 전달 방향을 이해한다.
13. 부품간의 유기적 작동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14. 장비운영에 대한 접근성을 쉽게 할 수 있다.
15. 구동원리를 이해함으로써, 부품의 역설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16. 3차원프린터의 작동원리를 이해한다.
17. 실물의 형상을 직접 제작해 봄으로써, 부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인터넷 20: 관리자서버
22: 관리자단말기 25: 수험자단말기
30: 데이터베이스 35: 3D 프린터

Claims (5)

  1. 네트워크상의 자격시험 웹사이트에서 자격시험과 관련된 일련의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웹사이트를 통하여 시험절차의 확인을 안내하는 절차확인 처리단계;
    상기 웹사이트를 통하여 시험 종류의 선택을 유도하는 시험접수 처리단계;
    상기 웹사이트에서 시스템 구동의 확인을 처리하는 시험 준비 처리단계;
    상기 웹사이트에서 3D 모델링 치수기입 파일과 치수기입 도면을 제공하는 문제 확인 처리단계;
    상기 웹사이트에서 선택된 자격급수를 확인하고 시험1 처리단계와 시험2 처리단계의 플로우를 구분하여 제공하는 답안작성 처리단계; 및
    상기 수험자의 답안을 채점하여 웹사이트로 합격자를 발표하고 자격증을 발급하는 발표발급 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드 자격시험의 실시구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답안작성 처리단계는 자격급수 2급에 대한 처리과정으로서 상기 웹사이트에서 문제도면에 대응한 수험자의 답안을 설정된 파일 형식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시험 1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캐드 자격시험의 실시구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험 1 처리단계는 제출도면 작성, 분해도면 작성, 조립도면 작성, 3차원 모델링 작성, 3차원 조립품 생성, 동작 시뮬레이션 작성을 처리하여 생성되는 데이터를 답안저장 폴더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드 자격시험의 실시구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답안작성 처리단계는 자격급수 1급에 대한 처리과정으로서 상기 웹사이트에서 문제도면에 대응한 수험자의 답안을 현물로 제작하는 시험 2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드 자격시험의 실시구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시험 2 처리단계는 3D 프린터(35)에 변환된 답안코드를 전송하여 현물을 제작하고, 현물의 표면다듬기를 거친 후에 생성된 답안파일을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드 자격시험의 실시구조방법.
KR1020140082651A 2014-07-02 2014-07-02 캐드 자격시험의 실시구조방법 KR101712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651A KR101712701B1 (ko) 2014-07-02 2014-07-02 캐드 자격시험의 실시구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651A KR101712701B1 (ko) 2014-07-02 2014-07-02 캐드 자격시험의 실시구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141A true KR20160004141A (ko) 2016-01-12
KR101712701B1 KR101712701B1 (ko) 2017-03-06

Family

ID=55170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651A KR101712701B1 (ko) 2014-07-02 2014-07-02 캐드 자격시험의 실시구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7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554B1 (ko) * 2017-10-23 2018-08-28 한국가상현실 (주) 산업설비를 위한 3d 교육 시뮬레이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160A (ko) * 2000-04-10 2000-07-05 장명진 인터넷상에서의 사이버 자격증 취득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시스템
KR20020032451A (ko) 2002-01-25 2002-05-03 권신혁 온라인실시간 화상 도면검수 시스템
KR100355665B1 (ko) 2000-07-25 2002-10-11 박종성 문항반응이론을 이용한 온라인 자격 및 인증시험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160A (ko) * 2000-04-10 2000-07-05 장명진 인터넷상에서의 사이버 자격증 취득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시스템
KR100355665B1 (ko) 2000-07-25 2002-10-11 박종성 문항반응이론을 이용한 온라인 자격 및 인증시험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20020032451A (ko) 2002-01-25 2002-05-03 권신혁 온라인실시간 화상 도면검수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D] ATC 2급 시험 후기.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12.06.23., [2014.12.02. 검색], 인터넷 http://blog.naver.com/daegoo7/110141228849* *
[inventor] 인벤터 기술자격시험 동영상 강좌-2012-12-12 기출문제 인벤터 도면작성. 인터넷 사이트. [online], 2013.03.26., [2015.07.13. 검색] http://esajin.kr/444 *
3D프린팅 교육에 관하여. 네이버 블로그. 2014.06.27., [2014.12.02. 검색], 인터넷 http://blog.naver.com/ryujinlab/22004278215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554B1 (ko) * 2017-10-23 2018-08-28 한국가상현실 (주) 산업설비를 위한 3d 교육 시뮬레이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701B1 (ko) 2017-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eno et al. BIM use by architecture,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EC) industry in educational facility projects
CN104281061B (zh) 仪器设定装置及存储有程序的记录介质、信息传递系统及方法
Boring et al. Guideline for operational nuclear usability and knowledge elicitation (GONUKE)
CA29117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internet of things network for managing factory production
Husain et al. Stakeholders’ expectations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concept in Malaysia
JP2013045386A (ja) 工程計画方法、工程計画支援システム及び工程計画支援装置
JP6396561B1 (ja) 帳票自動化システム
Jaafar et al. Level of satisfaction and issues with procurement systems used in the Malaysian public sector
JP2019532300A (ja) 実験室機器のリモート試験
KR20070113168A (ko) 시스템 구축 가이드 시스템
KR101584575B1 (ko) 선박의 제조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33993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esting with test booklets and electronic devices
Alomari et al. Role of BIM and 3D laser scanning on job sites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personnel
JP6462945B1 (ja) 製造委託支援装置、製造委託支援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KR101712701B1 (ko) 캐드 자격시험의 실시구조방법
Doshi et al. Overview of automotive core tools: Applications and benefits
US202201639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n Optimum Production Cycle
KR20080006971A (ko)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방법
Månsson et al. BIM performance and capability
JP2014115789A (ja) 解析装置、解析方法および解析プログラム
KR20150119730A (ko) 캐드 자격시험의 처리방법
Williams Jr et al. Standards of professional practice for design management
JP6100428B1 (ja) 製造管理システム、クラウドサーバおよび端末コンピュータ
KR20100043386A (ko) Bom에 연계된 도면 정보를 활용한 전자도면 배포장치 및그 방법
Likhitruangsilp et al. A BIM-Enabled Dashboard System for Construction Project Monitoring and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427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727

Effective date: 201701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