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095U - 전선연결구 - Google Patents

전선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095U
KR20160004095U KR2020150003267U KR20150003267U KR20160004095U KR 20160004095 U KR20160004095 U KR 20160004095U KR 2020150003267 U KR2020150003267 U KR 2020150003267U KR 20150003267 U KR20150003267 U KR 20150003267U KR 20160004095 U KR20160004095 U KR 201600040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ring
wire
ring
wires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이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재 filed Critical 이영재
Priority to KR2020150003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095U/ko
Publication of KR201600040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09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02G15/07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for multi-conductor cable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 전선의 도선부를 금속링에 끼워 넣은 후 금속링의 일정부분을 압착시킨 다음 그 금속링의 외부에 마감캡을 씌워 전선연결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선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전선의 피복이 벗겨진 도선부를 서로 연결시켜 통전가능한 상태로 접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상기 전선의 도선부를 끼워 넣도록 내부에 끼움홀(110)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이 삽입된 상태에서 외표면 일부분이 압착되어 전선의 도선부가 서로 연결됨과 아울러 내표면에 밀착되어 통전되도록 압착홈(120)이 형성되는 금속링(100); 상기 금속링(100)의 외부에서 끼워져 결합되어 금속링을 감싸 외부노출을 차단하는 마감캡(20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연결구{Electric wire connector}
본 고안은 각 전선의 도선부를 금속링에 끼워 넣은 후 금속링의 일정부분을 압착시킨 다음 그 금속링의 외부에 마감캡을 씌워 전선을 서로 연결하도록 한 전선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전(通電)을 위해 두 전선 또는 다수의 전선을 연결할 시에는 니퍼(nipper) 등의 공구로써 전선 끝부분의 피복을 각각 벗겨낸 후, 외부로 드러난 구리 등의 재질로 된 도선부를 서로 꼬아 연결시키고 절연테이프로 감싸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선연결 방법은 절연테이프를 감는 작업이 번거롭고, 감은 부분이 미관상 좋지 못하며, 장기간 경과시 절연테이프가 풀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질로 된 보호캡 내측에 금속링이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 전선연결구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선연결구는 전선의 도선부를 보호캡 내측으로 끼워 넣은 후 금속링이 위치하는 보호캡의 바깥 둘레부분을 펜치 등의 공구로 집어 눌러주면 보호캡과 금속링이 찌그러지면서 전선을 눌러 조여주게 되고, 보호캡 내부로 인입된 전선은 보호캡 내측에서 긴밀히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선연결구는 보호캡과 금속링을 집어 누르게 되면, 보호캡의 해당부분이 찢겨지는 등 파손이 일어나면서 금속링이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고, 그로 인해 감전 등의 안전사고 발생가능성이 있었다.
다시 말해, 보호캡으로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압착을 통해 금속링 내부로 인입된 전선을 금속링에 밀착시키는 작업을 거치게 되는데, 압착시 절연체인 보호캡의 외부에서 압착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보호캡의 변형이 일어날 수밖에 없고, 또한 굵은 단선(2.5sq 이상)의 경우는 압착을 더욱 세게 하여야 함으로써 보호캡의 변형(압착부위가 얇아지거나 찢어짐)이 일어나게 되어 안전상의 이유로 사용하지 못하는 등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다수의 전선을 연결할 시에는 전선이 서로 포개어진 채로 보호캡 내부로 끼워야 함으로써 좁은 공간으로의 끼움 설치작업이 불편함은 물론, 전선들이 서로 엉켜 지저분하게 되므로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깔끔한 전선 연결이 가능한 구조의 전선연결구로서, 실용신안등록 제0354312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삽입공(21)이 뚫린 합성수지 재질의 절연케이스(20); 전면과 후면에 한쌍의 절개홈(12)이 중심부를 향하여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12)에 의해 구획되고 전선(30)의 나선(31)부위에 밀착되는 걸림편(11)이 접속공(14)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절연케이스(20)의 삽입공(21)에 끼움결합되는 접속구(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전선의 도선부인 나선부위를 하나씩 끼워 연결함으로써 깔끔한 전선연결이 가능하도록 한 방식이나, 걸림편의 탄성력이 저하된 경우 접속구로 끼워진 전선과의 밀착력이 줄어들어 통전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단점은 물론, 접속구로 끼워진 전선이 접속구로부터 쉽게 인출될 수 있어 사용상의 문제가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0354312호(2004.06.14, 전선연결구)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각 전선의 도선부를 금속링에 끼워 넣은 후 금속링의 일정부분을 압착시킨 다음 그 금속링의 외부에 마감캡을 씌워 전선을 서로 연결하도록 한 전선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마감캡의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금속링의 압착부분에 삽입되어 짐으로써 마감캡의 분리가능성이 낮으며, 걸림돌기의 형성으로 금속링의 도선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마감캡이 금속링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빠져나오지 않게 되는 전선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금속링의 단면형상을 호형으로 형성하여 내측공간으로 인입되는 각 전선의 도선부가 서로 겹쳐지지 않고 일렬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전선 연결시 엉킴 현상 없이 일렬로 깔끔하게 연결할 수 있고, 압착시 고르게 힘이 전달되도록 하여 더욱 견고하게 압착되도록 한 전선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구성은, 전선의 피복이 벗겨진 도선부를 서로 연결시켜 통전가능한 상태로 접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상기 전선의 도선부를 끼워 넣도록 내부에 끼움홀(110)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이 삽입된 상태에서 외표면 일부분이 압착되어 전선의 도선부가 서로 연결됨과 아울러 내표면에 밀착되어 통전되도록 압착홈(120)이 형성되는 금속링(100); 상기 금속링(100)의 외부에서 끼워져 결합되어 금속링을 감싸 외부노출을 차단하는 마감캡(20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캡(200)은, 상기 금속링(100)이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는 링결합부(201)와, 그 링결합부(20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링결합부(201)의 내부공간보다 큰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확관되어 상기 전선의 피복된 부분을 감싸는 커버부(202)로 구성된다.
상기 링결합부(201)의 내주면 일부분에는 상기 압착홈(120)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체결돌기(210)가 돌출되고, 상기 링결합부(201)의 내주면에는 그 링결합부(201)에 끼워진 상기 금속링(100)의 선단에 걸리도록 걸림돌기(220)가 형성되며, 상기 금속링(100)의 내주면에는 내측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절단날(130)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금속링(100)은 단면이 원형 또는 호형으로 형성된 일정 길이의 슬리브로 구성되거나, 일측 단면은 호형으로 형성되고 타측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된 일정 길이의 슬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전선연결구에 따르면, 전선의 도선부가 금속링에 끼워져 압착된 상태에서 그 금속링의 외부를 마감캡으로 마감함으로써 전선의 정확한 연결은 물론 변형없이 그대로의 절연력을 발휘하게 됨과 아울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고, 체결돌기 및 걸림돌기의 형성으로 인해 금속링로부터 마감캡의 분리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외부 압력발생시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금속링이 호형으로 형성된 경우 각 전선의 도선부를 일렬로 끼워 연결할 수 있어 엉킴현상 없이 정렬할 수 있음은 물론, 고른 압착력으로 접촉불량이 없어지고 도전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선연결구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구의 분리사시도,
도 3는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전선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구의 마감캡 내주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상태도,
도 5b는 도 5a를 이용한 전선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구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금속링에 전선 도선부를 삽입시킨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전선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의 전선연결구의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금속링에 전선 도선부를 삽입시킨 상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전선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의 금속링을 보인 절개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의 금속링을 이용하여 전선을 연결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구는 다수의 전선 피복을 벗긴 후 그 벗겨진 전선의 도선부를 상호 포개거나 밀착시켜 통전 가능한 상태로 접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선의 도선부를 끼워 연결하기 위한 금속링(100)과, 그 금속링(100)의 외부를 감싸 마감하는 마감캡(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금속링(100)은 상기 전선의 도선부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내부에 끼움홀(110)이 형성되게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금속링(100)은 상기 전선의 도선부가 끼워져 삽입된 상태에서 외표면 일부분이 압착되어 압착홈(120)이 형성된다. 상기 압착홈(120)을 형성하는 이유는 끼움홀로 삽입된 전선의 인출가능성을 차단하면서도 전선이 서로 밀착됨은 물론 금속링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통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압착홈(120)의 형성은 압착기 또는 별도로 제작한 공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압착홈은 금속링의 제작시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금속링의 내부에 전선을 끼워넣은 다음 후작업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마감캡(200)은 상기 금속링(100)의 외부에서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 금속링(10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마감캡(200)은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링(100)이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는 링결합부(201)와, 그 링결합부(20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커버부(202)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부(202)는 내부공간이 상기 링결합부(201)의 내부공간보다 큰 공간을 형성하도록 확관되어져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선의 도선부는 상기 금속링에 끼워져 결합되고 전선의 피복된 부분이 상기 커버부(202)에 감싸여지도록 함으로써 도선부의 외부노출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마감캡(200)의 내주면 일부분에는 상기 압착홈(120)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체결돌기(210)가 돌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결합부(201)의 내주면에 상기 체결돌기(21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210)의 돌출길이는 상기 압착홈(120)에 걸릴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
여기서, 상기 링결합부(201)의 내주면에는 그 링결합부(201)에 끼워진 상기 금속링(100)의 선단에 걸리도록 걸림돌기(22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금속링(100)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220)에 의해 걸리게 됨으로써 금속링(100)으로부터 마감캡의 이탈가능성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금속링(100)은 일정 길이의 슬리브로서,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의 외형이 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끼움홀(110)의 형상도 외형에 대응되게 호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금속링의 단면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전선의 도선부가 서로 포개어진 채로 엉켜져 인입됨에 따라 압착력이 고르게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접촉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반면, 금속링이 호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전선의 도선부를 일렬로 끼워 넣어 정렬할 수 있음으로써 압착력을 고르게 전달하여 접촉불량을 없앨 수 있고 미관이 좋은 장점이 있다.
상기 금속링이 호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마감캡이 원형으로 형성될 필요가 없음에 따라 마감캡의 형상은 원형이 아닌 호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금속링이 호형으로 형성된 경우,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기본이나, 상기 마감캡(200)이 금속링으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마감캡(200)의 내주면에는 금속링의 단부에 걸리도록 걸림돌기(2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링(100)의 제3실시예로서, 일측 단면은 호형으로 형성되고 타측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된 일정 길이의 슬리브로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호형으로 형성된 부분으로 전선의 도선부를 끼워 넣어 정렬시키도록 하면서도 원형으로 형성된 부분의 선단에 체결돌기(210)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마감캡(200)으로부터 금속링이 쉽게 인출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링(100)의 내주면에는 내측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절단날(130)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날(130)을 형성하는 이유는, 전선을 금속링의 내부로 끼워 넣는 경우, 피복된 부위를 벗겨내지 않고 끼운 경우라도 금속링에 압착홈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절단날(130)이 피복부분을 절단하면서 그 내부에 수용된 도선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 2 내지 도 11에서는 전선의 피복부분을 벗겨낸 후 금속링 내부로 삽입시키는 구조이나, 도 12 및 도 13은 피복된 상태로 금속링 내부로 삽입시켜 압착을 거치면서 통전이 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절단날(130)이 형성된 경우에는 피복을 벗겨내는 작업을 생략한 채 금속링의 내부로 끼워 넣어 전선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을 수월하게 하면서도 보다 단시간내에 연결작업을 마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금속링(100)의 끼움홀(110)에 전선의 도선부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그 금속링(100)의 중간부분을 압착기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압착하여 압착홈(120)을 형성한다.
이후, 마감캡(200)으로 금속링(100)을 씌워 마감하게 되는데, 이때 마감캡(200)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돌기(210)가 압착홈(120)으로 인입되면서 체결되어져 마감캡(200)이 금속링(100)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걸림돌기(220)가 형성된 경우에는 마감캡(200)을 씌운 경우 걸림돌기(220)가 금속링(100)의 단부에 걸리면서 마감캡(200)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호형으로 형성된 금속링(10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호형으로 된 끼움홀의 일측에서부터 차례로 전선의 도선부를 끼워넣은 후 상면 또는 하면 중간부분을 압착기 등의 공구로 압착하여 압착홈을 형성하여 전선의 도선부를 금속링에 결합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 금속링이 내부에 장착된 마감캡의 어려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링으로부터 마감캡이 쉽게 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은 물론, 감전이나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종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던 미관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100: 금속링 110: 끼움홀
120: 압착홈 200: 마감캡
201: 링결합부 202: 커버부
210: 체결돌기 220: 걸림돌기

Claims (7)

  1. 전선의 피복이 벗겨진 도선부를 서로 연결시켜 통전가능한 상태로 접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상기 전선의 도선부를 끼워 넣도록 내부에 끼움홀(110)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이 삽입된 상태에서 외표면 일부분이 압착되어 전선의 도선부가 서로 연결됨과 아울러 내표면에 밀착되어 통전되도록 압착홈(120)이 형성되는 금속링(100);
    상기 금속링(100)의 외부에서 끼워져 결합되어 금속링을 감싸 외부노출을 차단하는 마감캡(20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200)은, 상기 금속링(100)이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는 링결합부(201)와, 그 링결합부(20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링결합부(201)의 내부공간보다 큰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확관되어 상기 전선의 피복된 부분을 감싸는 커버부(20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결합부(201)의 내주면 일부분에는 상기 압착홈(120)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체결돌기(210)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결합부(201)의 내주면에는 그 링결합부(201)에 끼워진 상기 금속링(100)의 선단에 걸리도록 걸림돌기(2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링(100)은 단면 외형이 원형 또는 호형으로 형성된 일정 길이의 슬리브이고,
    상기 금속링(100)이 호형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끼움홀(110)도 호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링(100)은 일측 단면은 호형으로 형성되고 타측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된 일정 길이의 슬리브이고,
    상기 금속링(100)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홀(110)은 호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링(100)의 내주면에는 내측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절단날(130)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구.
KR2020150003267U 2015-05-21 2015-05-21 전선연결구 KR201600040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267U KR20160004095U (ko) 2015-05-21 2015-05-21 전선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267U KR20160004095U (ko) 2015-05-21 2015-05-21 전선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095U true KR20160004095U (ko) 2016-11-30

Family

ID=57707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267U KR20160004095U (ko) 2015-05-21 2015-05-21 전선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095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312B1 (ko) 1993-10-15 2002-12-28 훽스트 쉐링 아그레보 게엠베하 페닐설포닐우레아,그의제조방법,및제초제및식물성장조절제로서의그의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312B1 (ko) 1993-10-15 2002-12-28 훽스트 쉐링 아그레보 게엠베하 페닐설포닐우레아,그의제조방법,및제초제및식물성장조절제로서의그의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3788B2 (ja) 端子金具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5751875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EP2912724B1 (en) Quick mount connector for a coaxial cable
JP2018045762A (ja) 圧着端子
KR101869974B1 (ko)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CN106663884B (zh) 缆线联接构件
US9515415B1 (en) Strain relief cable insert
US10312605B2 (en) Terminal-equipped wire
JP2020092063A (ja) コネクタ端子
US8263865B2 (en) Wire connection unit
WO2016167125A1 (ja) 端子および端子付き電線
US2721986A (en) Self-insulated electrical connector
EP2602889A2 (en) Wire fixing member and wire fixing method
KR20160004095U (ko) 전선연결구
JP2015207439A (ja) 防水ゴム栓、防水ゴム栓付き電線、電線付きコネクタ
US6881090B1 (en) Rotatable no strip no crimp electrical connector for wires
KR100823336B1 (ko) 터미널과 방수씰의 연결구조
JP4516226B2 (ja) ワンタッチ絶縁キャップ
JP2019036461A (ja) 圧着端子、及び、端子付き電線
US10431971B2 (en) Thermal protector
KR20090005877U (ko) 방수시일의 고정구조
KR101831881B1 (ko) 무탈피 전선 연결구
KR20170136979A (ko) 모터의 스테이터 조립방법, 모터의 스테이터 구조, 및 압착단자
JP2006114266A (ja) 丸型シールドコネクタ
WO2017061241A1 (ja) 電線保持部材、および電線の保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