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911A -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911A
KR20160003911A KR1020140081561A KR20140081561A KR20160003911A KR 20160003911 A KR20160003911 A KR 20160003911A KR 1020140081561 A KR1020140081561 A KR 1020140081561A KR 20140081561 A KR20140081561 A KR 20140081561A KR 20160003911 A KR20160003911 A KR 20160003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inflamm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2360B1 (ko
Inventor
김병현
진무현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081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360B1/ko
Publication of KR20160003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or improving skin trouble containing herb extracts}
본 발명은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은 상처나 질병에 반응하는 인체의 면역 반응으로, 자외선이나 활성산소, 자유라디칼 등의 산화적 스트레스 등이 염증성 인자를 활성화시켜 각종 질병 및 피부의 노화를 일으킨다. 혈관 활성 폴리펩타이드인 키닌(kinin), 플라스민(plasmin), 보체(complement) 등이 혈관 확장과 수축 및 주화성(chemotaxis) 작용을 하고, 그 외에 인터루킨-6(IL-6) 등과 같은 림포카인과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등이 염증 반응을 담당한다. 아라키돈산은 싸이클로 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 혹은 리포옥시게나아제(lipooxygenase)의 2가지 경로를 거쳐 염증 매개체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류코트리엔(leukotriene)들로 대사되어 다양한 염증 반응을 매개한다.
한편, 염증을 소실시키기 위해 염증원의 제거, 생체 반응 및 증상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항염제라 한다. 현재까지 항염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로 플루페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등이 있고 스테로이드 계통으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등이 있다. 또한, 알란토인, 아즈엔, 하이드로코티손 등이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 물질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염증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에 존재하는 천연 자원들로부터 독성이 없고 피부 상태 개선 효과가 우수한 물질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에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NO 생성 억제 효능을 나타냄을 규명하여, 이를 활용한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한국등록특허 제889,60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의 혼합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의 혼합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25 내지 35: 25 내지 35: 25 내지 35 : 1 내지 15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의 혼합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30 : 30 : 30 : 1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의 혼합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30 내지 35 : 30 내지 35 : 28 내지 32 : 1 내지 5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의 혼합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34 : 34: 30 : 2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삼(Ginseng Radix)은 오가피과(Araliaceae) 인삼속(Panax)에 속한 다년생초의 뿌리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인삼은 건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인삼은 대표적인 약용식물로서 생장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충분한 약효성분을 얻으려면 4~6년의 재배기간이 필요하다. 인삼의 주요 활성성분은 사포닌(saponin) 또는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s)라는 복합 탄수화물(알코올 또는 페놀과 당의 복합체)로 알려져 있다. 이들 성분은 중추신경계 흥분작용과 진정작용을 하며 신진대사조절, 혈당 감소, 근육활동 향상, 내분비계 흥분작용, 호르몬농도를 적당하게 유지시켜 준다. 특히 인삼의 사포닌은 대부분 트리테르페노이드계의 담마란계 사포닌으로서 인삼속 식물에만 존재하는 특유의 사포닌이다. 식물의 사포닌은 용혈작용이 있는데 특히 인삼의 사포닌 성분은 독성이 거의 없는 중성 배당체이다.
본 발명에서, 맥문동은 백합과(Liliaceae)에 속한 다년생초인 맥문동(Ophiopogon japonicus)의 괴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맥문동은 건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맥문동은 특히 당뇨병에 좋으며 그 밖에 이뇨, 항균, 해열, 강장, 진해 거담제 및 강심제로 쓰인다.
본 발명에서, 지황은 현삼과( Scrophula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인 지황(Rehmannia glutinosa)의 뿌리를 의미한다. 생것을 생지황, 건조시킨 것을 건지황, 쪄서 말린 것을 숙지황이라고 하며, 상기 형태에 관계없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지황은 건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지황은 번조, 갈증, 골증, 소갈증, 토혈, 코피에 쓰이며 열로 인한 피부발진을 치료할 수 있으며, 혈당강하, 강심, 이뇨, 항균작용 등의 약리효과가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복령은 구멍쟁이버섯과(Polyporaceae)에 속한 복령(Poria cocos)의 균핵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복령은 건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복령은 소변을 못보고 배와 전신의 부종, 담음으로 해수, 구토, 설사가 있을 때 및 신경과민에 의한 건망증, 유정에 쓰며 심장부종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뇨, 혈당강하작용, 면역증강작용, 항종양작용 등의 약리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기 인삼, 맥문동, 지황, 복령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충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상기 각각의 해당 식물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도 추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인삼, 맥문동, 지황, 복령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삼, 맥문동, 지황, 복령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추출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물, 저급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삼, 맥문동, 지황, 복령의 한약재를 추출하는 용매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또는 증류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인삼, 맥문동, 지황, 복령의 한약재를 1회 이상 추출하여 용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용매 추출물을 감압 증류한 후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하여 얻은 건조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물(또는 증류수)를 사용하여 인삼, 맥문동, 지황, 복령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본 발명에서 열수 추출 또는 냉침 추출한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여과법 등을 이용해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인삼, 맥문동, 지황, 복령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 (Hexane), 에틸 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클로로포름 (Chloroform), 디클로로메탄 (Dichloromethane)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 중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체적으로는 C1 내지 C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삼추출물, 맥문동추출물, 지황추출물, 복령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추출물은 일산화질소(N0)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켜 항염 및 트러블 개선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천연물 유래의 물질이어서 독성이 없으며, 인체에 적용하여도 부작용이 유발되지 않아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염증 반응은 외부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 일환으로 물리적 작용이나 유해물질, 화학적 자극, 세균감염 등에 의한 손상을 재생하려는 기전이다. 지속적인 염증 반응은 오히려 점막 손상을 유발하고 피부 조직의 손상, 염증 및 피부 트러블를 촉진한다.
대식세포는 면역반응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일산화질소, 프로스타글란딘, 면역 단백질인 염증성사이토카인을 포함한 다양한 염증 매개물질을 조절한다. 이 중 일산화질소는 박테리아를 죽이거나 종양을 제거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병인에 의한 과도한 일산화질소 생성은 염증을 유발시키며 이러한 염증 유발은 피부 트러블을 일으킨다.
즉, 대식세포의 일산화질소 생성이 억제되면, 피부 염증을 예방, 완화, 개선 및 치료하며, 염증 반응에 의한 피부 트러블을 예방, 완화,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삼추출물, 맥문동추출물, 지황추출물, 복령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추출물을 각각 사용한 경우, 기본배지를 사용한 것보다 대식세포에서 일산화질소 생성이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7).
특히, 본 발명의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을 모두 포함하는 혼합물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추출물들 간의, 및/또는 추출물 내 유효성분들 간의 시너지 효과 또는 협업 작용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식물의 단독 추출물에 비해 더욱 우수한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능이 있으며, 전혀 정제되지 않은 상태임을 감안하면 기존에 알려진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물질인 L-NMMA(L-NG-Monomethylarginine)와 비교하여 대식세포에서 동등 이상의 매우 강력한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능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본 발명에서 최초로 규명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을 모두 포함하는 혼합물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인삼, 맥문동, 지황 또는 복령의 단독 추출물에 비해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능을 더욱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더욱 우수한 항염 및 피부 트러블 개선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의 혼합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구체적으로 25 내지 35: 25 내지 35: 25 내지 35 : 1 내지 15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35 : 30 내지 35 : 28 내지 32 : 1 내지 5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의 혼합 비율이 30 : 30 : 30 : 10 인 혼합추출물과 34 : 34: 30 : 2 인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의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정도를 조사한 결과,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정도가 상기 인삼, 맥문동, 지황 또는 복령의 단일 추출물에 비해 더욱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7).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염"은 면역 반응이 완화되어 NO 생성이 억제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트러블"은 대식세포에서의 과도한 일산화질소 생성으로 인하여 유발된 염증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피부발진, 여드름, 뾰루지, 주사(빨간 코) 등의 피부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트러블 개선"이란 피부에 트러블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트러블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인삼, 맥문동, 지황, 복령 또는 이들 혼합물의 한약재 추출물은 구체적으로는 건조 중량으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의 0.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0.00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항염 또는 트러블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이점이 있으며, 조성물의 제형이 안정화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인삼, 맥문동, 지황, 복령, 이들의 혼합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 또는 피부 트러블 개선 효능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식세포에서의 일산화질소 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 유래의 물질이어서 독성이 없으며, 인체에 적용하여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아 화장료 조성물로의 활용도가 높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삼추출물의 제조
인삼을 건조하여 세절한 후, 건조중량 100g을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냉침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인삼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맥문동추출물의 제조
맥문동을 건조하여 세절한 후, 건조중량 100g을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냉침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맥문동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지황추출물의 제조
지황을 건조하여 세절한 후, 건조중량 100g을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냉침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지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복령추출물의 제조
복령을 건조하여 세절한 후, 건조중량 100g을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냉침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복령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인삼, 맥문동, 지황, 복령의 혼합추출물 1의 제조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을 건조하여 세절한 후, 건조중량 100g(인삼 30g, 맥문동 30g, 지황 30g 및 복령 10g)을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냉침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인삼, 맥문동, 지황, 복령의 혼합추출물 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인삼, 맥문동, 지황, 복령의 혼합추출물 2의 제조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을 건조하여 세절한 후, 건조중량 100g(인삼 34g, 맥문동 34g, 지황 30g 및 복령 2g)을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냉침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인삼, 맥문동, 지황, 복령의 혼합추출물 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NO 생성 억제에 의한 항염증 효과 조사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한약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및 피부트러블 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RAW264.7 세포주 (ATCC number: CRL-2278)를 이용한 GRIESS 법으로 nitric oxide(NO) 형성억제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생쥐의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수차례 계대 배양하고, 웰 하나에 3×105 개씩 들어가도록 24-웰 프레이트에 넣은 후, 24 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이어서, 하기 표 1에 나타난 농도로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한약재추출물을 희석하여 함유한 세포 배지로 교체하였다. 이때, NO-생성 억제물질인 L-NMMA(L-NG-Monomethylarginine)을 양성 대조군으로 함께 처리하여 30분 동안 배양하였고, 자극원으로 LPS(Lipopolysaccharide)를 1 ㎍씩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층액을 100 ㎕씩 취해 96-웰 프레이트에 옮기고, GRIESS 용액을 100 ㎕씩 가해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5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한약재 추출물의 NO 억제 효과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실험은 3번 반복하였다.
시료(%) NO 생성 억제율(%)
음성 대조군 -
L-NMMA (10㎍/ml) 38.21
실시예 1 (0.1%) 13.46
실시예 1 (1.0%) 26.51
실시예 2 (0.1%) 10.97
실시예 2 (1.0%) 28.47
실시예 3 (0.1%) 11.93
실시예 3 (1.0%) 21.20
실시예 4 (0.1%) 5.32
실시예 4 (1.0%) 13.57
실시예 5 (1.0%) 35.20
실시예 6 (1.0%) 39.52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인삼추출물, 맥문동추출물, 지황추출물, 복령추출물 및 이들 한약재의 혼합추출물은 NO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으며, 4가지 한약재를 혼합하여 추출한 경우 각각의 한약재 단독추출물에 비해 NO 생성을 더욱 크게 억제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4가지 한약재를 중량 기준으로 34 : 34 : 34 : 2로 혼합하여 추출한 경우 NO생성 억제제로 알려진 L-NMMA와 유사한 정도로 우수한 NO생성 억제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1.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 제조
하기의 표 2와 같이 에센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원료명 함량(중량%)
세테아릴알코올 2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1
호호바씨오일 5
실리카 0.5
글리세린 10
실시예 6 추출물 5
정제수 To 100
제조예 2.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 제조
하기의 표 3과 같이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조성물 함량(중량%)
실시예 6 추출물 5
스테아린산 15
에탄올 1
수산화칼륨 0.7
글리세린 5
프로필렌글리콜 3
방부제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의 혼합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25 내지 35: 25 내지 35: 25 내지 35 : 1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의 혼합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30 : 30 : 30 :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의 혼합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30 내지 35 : 30 내지 35 : 28 내지 32 : 1 내지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의 혼합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34 : 34: 30 : 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인삼, 맥문동, 지황 및 복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은 일산화질소(NO) 생성 억제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081561A 2014-07-01 2014-07-01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2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561A KR102222360B1 (ko) 2014-07-01 2014-07-01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561A KR102222360B1 (ko) 2014-07-01 2014-07-01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911A true KR20160003911A (ko) 2016-01-12
KR102222360B1 KR102222360B1 (ko) 2021-03-04

Family

ID=5516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561A KR102222360B1 (ko) 2014-07-01 2014-07-01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3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08845A (zh) * 2022-12-15 2023-02-24 河南省纳普生物技术有限公司 地黄提取物的提取方法及其在制备抗炎药物方面的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5726A (ko) * 2007-01-10 2008-07-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한방 생약 추출물을 배합시킨 액정 유화 베이스를 포함하는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89606B1 (ko) 2007-07-02 2009-03-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KR20110134719A (ko) * 2010-06-09 2011-12-15 (주)파이토니아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20113804A (ko) * 2010-09-14 2012-10-15 송용원 천연물질을 이용한 아토피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5726A (ko) * 2007-01-10 2008-07-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한방 생약 추출물을 배합시킨 액정 유화 베이스를 포함하는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89606B1 (ko) 2007-07-02 2009-03-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KR20110134719A (ko) * 2010-06-09 2011-12-15 (주)파이토니아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20113804A (ko) * 2010-09-14 2012-10-15 송용원 천연물질을 이용한 아토피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08845A (zh) * 2022-12-15 2023-02-24 河南省纳普生物技术有限公司 地黄提取物的提取方法及其在制备抗炎药物方面的应用
CN115708845B (zh) * 2022-12-15 2023-09-08 河南省纳普生物技术有限公司 地黄提取物的提取方法及其在制备抗炎药物方面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360B1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742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0879032B1 (ko) 천연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83343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KR20100123456A (ko) 피지생성 억제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지루성 피부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00130878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6753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799155B1 (ko) 한방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KR10216853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9409A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2318B1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KR20170136911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00082813A (ko)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102222360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3063980A (ja) Rantes産生阻害剤
KR102127771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KR201701369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003910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