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624U - 거치 모듈 - Google Patents

거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624U
KR20160003624U KR2020150002323U KR20150002323U KR20160003624U KR 20160003624 U KR20160003624 U KR 20160003624U KR 2020150002323 U KR2020150002323 U KR 2020150002323U KR 20150002323 U KR20150002323 U KR 20150002323U KR 20160003624 U KR20160003624 U KR 201600036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gnet
module
bottom body
module fur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3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보금
고진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20201500023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3624U/ko
Publication of KR201600036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62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 모듈은 제 1바닥체와, 상기 제 1바닥체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1지지체를 포함하는 제 1모듈 및 상기 제 1바닥체와 연결 가능한 제 2바닥체와, 상기 제 2바닥체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일측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 1지지체와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는 제 2지지체를 포함하는 제 2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치 모듈{HOLDING MODULE}
아래의 설명은 거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태블릿, 스마트폰와 같은 단말기를 고정하는 단말기 거치대는, 단말기를 일정 각도로 고정할 수 있다. 단말기 거치대는 단말기를 사용자가 보기 쉬운 각도로 고정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인터넷 전화는 IP망을 기반으로 패킷 데이터를 통해 음성전화를 구현하는 통신 기술로서, 이를 통하여, 태블릿PC 또는 스마트폰을 가정용 또는 사무용 전화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 2013-0115071호는, 태블릿의 거치가 가능하면서도 미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태블릿 거치대를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자석을 사용하여 거치대를 쉽게 확장할 수 있는 거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거치대를 확장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거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복수개의 거치 대상체를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거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하기와 같은 거치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 모듈은 제 1바닥체와, 상기 제 1바닥체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1지지체를 포함하는 제 1모듈 및 상기 제 1바닥체와 연결 가능한 제 2바닥체와, 상기 제 2바닥체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일측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 1지지체와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는 제 2지지체를 포함하는 제 2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 1바닥체와 상기 제 2바닥체가 연결되는 각각의 접촉면은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 1모듈은 상기 제 1바닥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 1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모듈은 상기 제 2바닥체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제 1자석의 반대 극성을 갖는 제 2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 1자석은 복수 개의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자석은 상기 제 1자석에 대응되는 위치에 반대 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 1모듈은, 상기 제 1지지체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복수개의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의 일 측은 상기 제 2지지체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 1바닥체와 제 2바닥체가 연결되면 상기 단자부의 일 측은 상기 제 2지지체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 2지지체는, 상기 제 1지지체에 형성된 단자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 1바닥체의 상부에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지지체는 상기 함몰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 2모듈은, 상기 제 2지지체의 일 단부에 배치된 제 2자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모듈은, 상기 제 1바닥체와 상기 제 2바닥체가 연결될 때 상기 제 1자석부가 상기 제 1바닥체와 접하는 부분에 배치된 제 1자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 1모듈은, 상기 제 1바닥체와 상기 제 1지지체가 연결되어 상기 제 1모듈이 절곡되는 부위에 부착되는 제 1고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 2모듈은, 상기 제 2지지체 상에 부착된 제 2고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거치 모듈은 제 1바닥체와, 상기 제 1바닥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 1자석과, 상기 제 1바닥체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1지지체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 1장치를 지지하는 제 1모듈 및 제 2바닥체와, 상기 제 2바닥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자석과 반대 극성인 제 2자석과, 상기 제 2바닥체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일측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 1지지체와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는 제 2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장치와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도록 제 2장치를 지지하는 제 2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 2지지체는 복수개의 방열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 모듈은, 자석을 사용하여 거치대를 쉽게 확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 모듈은, 거치대를 확장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 모듈은, 복수개의 거치 대상체를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모듈 및 제 2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거치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 모듈(1)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모듈(110) 및 제 2모듈(120)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 모듈(1)은 제 1모듈(110) 및 제 2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모듈(110)은, 제 1바닥체(111) 및 제 1지지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바닥체(111)는 지면과 접하고, 제 1지지체(112)는 제 1바닥체(111)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 1지지체(112)는 제 1장치(미도시)를 지지하여, 제 1장치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유지할 수 있다. 제 1지지체(112)의 각도는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제 1장치는 태블릿, 휴대용 단말기 또는 기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지지체(112)는 제 1장치를 물리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체(미도시)를 포함하거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마찰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제 1지지체(112)를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제 1장치의 종류 및 제 1장치의 고정 방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2모듈(120)은, 제 2바닥체(121)와, 연결체(123)와, 제 2지지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바닥체(121)는 지면과 접하고, 연결체(123)는 제 2바닥체(121)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 2지지체(122)는 연결체(123)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고, 제 1지지체(112)와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overlap)될 수 있다.
제 2지지체(122)와 제 1지지체(112)가 오버랩된다는 것은, 제 2지지체(122)와 제 1지지체(112)가 공간상에서 겹치도록 배치된다는 것으로서, 전면에서 보았을 때, 제 1지지체(112)가 제 2지지체(122)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는 배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지지체(112)는 제 2지지체(122)상에, 지지부(243)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2지지체(122)는 제 2장치(미도시)를 지지하여, 제 2장치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유지할 수 있다. 제 2지지체(122)의 각도는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제 2장치는 태블릿, 노트북 또는 기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지지체(122)는 제 2장치를 물리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체를 포함하거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마찰부재를 포함하여 제 2지지체(122)를 거치할 수 있다. 다만, 제 2장치의 종류 및 제 2장치의 고정 방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1모듈(110)은 제 1자석(114)을 포함하고, 제 2모듈(120)은 제 2자석(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자석(114) 및 제 2자석(124)은 각각 제 1바닥체(111) 및 제 2바닥체(121)의 일 측에 형성되어, 제 1바닥체(111) 및 제 2바닥체(121)는 자력에 의하여 연결 가능할 수 있다.
제 1자석(114)은 단수 또는 복수개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자석(124)은 제 1자석(114)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수 또는 복수 개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자석(124)은 제 1자석(114)과 반대 극성을 갖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바닥체(111)와 제 2바닥체(121)가 연결되는 각각의 접촉면(115, 125)은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촉면(115, 125)의 높이가 동일하다는 것은, 약간의 차이가 있더라도 연결된 상태에서 양 모듈이 자연스럽게 연장될 수 있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접촉면(115, 125)는 서로 동일한 너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바닥체(111)와 제 2바닥체(121)이 연결되면, 제 1모듈(110) 및 제 2모듈(120)이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어, 단일 모듈처럼 보이는 시각적인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제 1모듈(110)은 양 측으로 제 1자석(114)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모듈(110)의 양측으로 별도의 보조 모듈(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보조 모듈은 제 1자석(114)과 반대 극성의 자석을 구비하여, 자력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보조 모듈은, 휴대폰 거치대, 스피커, 펜 거치대, 송수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모듈(110)의 후측에 제 2모듈(120)이 연결되는 것 이외에, 제 1모듈(110)의 양측으로 다른 모듈이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 모듈(1)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모듈(110)은 제 1지지체(112)의 일측에 형성되는 단자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116)는 USB, HDMI, AUX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116)는 제 1모듈(110)에 거치되는 제 1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지지체(112)는 제 1장치와 연결 가능한 단자를 포함하고, 단자는 제 1지지체(112) 및 제 1바닥체(111)의 내부를 통하여 단자부(116)와 연결될 수 있다.
단자부(116)는 제 2지지체(122)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모듈(110)과 제 2모듈(120)이 연결되면, 단자부(116)의 일 측은 제 2지지체(122)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단자부(116)의 일 측은 제 2지지체(122)와 접할 수 있으며, 단자부(116)는 제 2지지체(122)를 지지할 수 있다.
제 2지지체(122)의 일 측에 관통홀(127)이 형성될 수 있다. 단자부(116)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케이블(130)이 연결될 수 있고, 케이블(130)은 관통홀(127)을 통하여 거치 모듈(1)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단자부(116)가 복수 개의 단자를 포함하여 복수 개의 케이블(130)이 단자부(116)에 삽입되는 경우, 복수 개의 케이블(130)이 단일 관통홀(127)을 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므로 케이블을 쉽게 정리할 수 있다.
제 1바닥체(111)의 상부에는 함몰부(111a)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11a)는 제 1바닥체(111)와 제 2바닥체(121)가 결합될 때, 제 2지지체(122)가 제 1바닥체(111)에 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지지체(122)의 일부는 함몰부(111a)에 삽입되어, 제 2지지체(122)의 일측 방향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또는, 제 2모듈은 제 2지지체의 일 단부에 배치된 제 2자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상응하여, 제 1모듈은 제 1바닥체와 제 2바닥체가 연결될 때 제 1자석부가 제 1바닥체와 접하는 부분에 배치된 제 1자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함몰부(111a)가 제 2지지체(122)와 체결되는 것과 유사하게, 양 측에 자석이 형성되어 자력으로 제 1바닥체(111)와 제 2지지체(122)를 체결할 수 있다. 제 1자석부는 함몰부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자석부는 제 2지지체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모듈(110)은, 제 1바닥체(111)와 제 1지지체(112)의 연결부위에 부착되는 제 1고무부재(117)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고무부재(117)는 제 1바닥체(111)와 제 1지지체(112)가 연결되어 예각을 이루는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장치는 제 1지지체(112)와 제 2지지체(12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제 1고무부재(117)가 배치되면, 제 2장치의 단부는 제 1바닥체(111)와 접하는 대신 제 1고무부재(117)과 접하게 되어 제 2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거치 모듈(2)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상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이하의 실시 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거치 모듈(2)은 제 1모듈 및 제 2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모듈(210)은 태블릿, 휴대용 단말기, 기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제 1장치를 지지할 수 있다.
제 2모듈(220)은 제 1모듈(210)과 자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모듈(220)은 제 1모듈(210)의 후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모듈은 태블릿, 노트북을 포함하는 제 2장치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모듈(210) 및 제 2모듈(220)이 전후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 1모듈(210)에 태블릿이 거치되고, 제 2모듈(220)에 노트북이 거치될 수 있다. 제 2지지체(222)는 노트북 키보드 부분의 후측을 지지할 수 있다. 제 1지지체(212)와 제 2지지체(222)가 오버랩되는 구조로 인하여, 태블릿과 노트북의 일부가 오버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태블릿이 노트북의 키보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노트북과 태블릿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제 2모듈(220)은 제 2고무부재(2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고무부재(227)는 제 2지지체(222) 상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고무부재(227)는, 제 2지지체(222)가 상기 연결체(223)와 만나는 절곡부에 인접하도록, 제 2지지체(222)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제 2장치는 제 2지지체(222)의 적어도 일부에 접하여 거치되고, 제 2고무부재(227)는 제 2장치와 접하여 제 2장치를 고정할 수 있다.
제 2지지체는 복수 개의 방열홀(229)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홀(299)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홀(229)는, 노트북이 거치되는 경우 노트북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제 1모듈
120 제 2모듈
130 케이블

Claims (13)

  1. 제 1바닥체와, 상기 제 1바닥체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1지지체를 포함하는 제 1모듈; 및
    상기 제 1바닥체와 연결 가능한 제 2바닥체와, 상기 제 2바닥체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일측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 1지지체와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는 제 2지지체를 포함하는 제 2모듈을 포함하는 거치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바닥체와 상기 제 2바닥체가 연결되는 각각의 접촉면은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거치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모듈은 상기 제 1바닥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 1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모듈은 상기 제 2바닥체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제 1자석의 반대 극성을 갖는 제 2자석을 더 포함하는 거치 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자석은 복수 개의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자석은 상기 제 1자석에 대응되는 위치에 반대 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자석을 포함하는 거치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모듈은, 상기 제 1지지체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복수개의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거치 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의 일 측은 상기 제 2지지체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 1바닥체와 제 2바닥체가 연결되면 상기 단자부의 일 측은 상기 제 2지지체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거치 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지지체는, 상기 제 1지지체에 형성된 단자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거치 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바닥체의 상부에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지지체는 상기 함몰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거치 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모듈은, 상기 제 2지지체의 일 단부에 배치된 제 2자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모듈은, 상기 제 1바닥체와 상기 제 2바닥체가 연결될 때 상기 제 1자석부가 상기 제 1바닥체와 접하는 부분에 배치된 제 1자석부를 더 포함하는 거치 모듈.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모듈은, 상기 제 1바닥체와 상기 제 1지지체가 연결되어 상기 제 1모듈이 절곡되는 부위에 부착되는 제 1고무부재를 더 포함하는 거치 모듈.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모듈은, 상기 제 2지지체 상에 부착된 제 2고무부재를 더 포함하는 거치 모듈.
  12. 제 1바닥체와, 상기 제 1바닥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 1자석과, 상기 제 1바닥체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1지지체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 1장치를 지지하는 제 1모듈; 및
    제 2바닥체와, 상기 제 2바닥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자석과 반대 극성인 제 2자석과, 상기 제 2바닥체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일측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 1지지체와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는 제 2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장치와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도록 제 2장치를 지지하는 제 2모듈을 포함하는 거치 모듈.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지지체는 복수개의 방열홀을 포함하는 거치 모듈.
KR2020150002323U 2015-04-10 2015-04-10 거치 모듈 KR201600036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323U KR20160003624U (ko) 2015-04-10 2015-04-10 거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323U KR20160003624U (ko) 2015-04-10 2015-04-10 거치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624U true KR20160003624U (ko) 2016-10-19

Family

ID=5723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323U KR20160003624U (ko) 2015-04-10 2015-04-10 거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362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3423B (zh) 無線充電裝置
JP2016034227A (ja) 無線充電装置
US9137929B1 (en) Connector module
TW201301004A (zh) 用以提供數位看板之擴充基座
US20150304466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olding stand and desk telephone
US20140306847A1 (en) Antenna clip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US9494303B2 (en) LED module and holder with terminal well
CN102570085B (zh) 卡缘连接器
KR20150094155A (ko) 전기적 연결 장치
JPWO2016052484A1 (ja) 照明装置
CN101645936B (zh) 听筒固定结构
JP6546491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固定構造
KR20160003624U (ko) 거치 모듈
US20140078743A1 (en) Mounting structure of a lamp assembly
US8965302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olding base and desk telephone
WO2008008706A3 (en) Support device for electrified sign insert
JP2015005408A (ja) メモリーカード用コネクタ
US8804315B2 (en) Cable position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20200244083A1 (en) Adapter for a Charging Station for Telecommunication Terminals
JP3175788U (ja) 携帯機器ケース固着保護構造
KR20160129511A (ko) 충전 장치
KR200493080Y1 (ko) 거치 모듈
KR101485262B1 (ko) 휴대용 기기 거치대
CN104061368A (zh) 线夹
EP2635100A1 (en) Mounting system for electronic modu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