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437A -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 Google Patents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437A
KR20160002437A KR1020140080496A KR20140080496A KR20160002437A KR 20160002437 A KR20160002437 A KR 20160002437A KR 1020140080496 A KR1020140080496 A KR 1020140080496A KR 20140080496 A KR20140080496 A KR 20140080496A KR 20160002437 A KR20160002437 A KR 20160002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hpl
composit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5075B1 (ko
Inventor
김영기
김규열
최영각
배문성
김상설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주식회사 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주식회사 멜텍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40080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075B1/ko
Publication of KR20160002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laminated and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12, E04C2/16, E04C2/2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0Self-supporting slab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floors ceilings, or roofs, e.g. able to be loa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층 상면에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 HPL이 형성됨으로써 복합 HPL에 포함된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내충격성 및 복원성이 확보되는 것은 물론 치수안정성 및 컬링성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층 상면에 복합 HPL이 형성된 바닥장식재로서,
상기 베이스층은 합판 또는 MDF(Medium Density Fibreboard) 또는 HDF(High Density Fiberboard)로 형성되고,
상기 복합 HPL은 기재층, 인쇄층, 투명층 및 표면코팅층을 포함하되,
상기 기재층은 열경화성 수지에 함침한 종이 또는 섬유질 기재로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은 인쇄무늬가 인쇄된 종이 또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로 형성되며,
상기 투명층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표면코팅층은 자외선 경화형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층 상면에 복합 HPL이 형성된 바닥장식재로서,
상기 베이스층은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복합 HPL은 기재층, 인쇄층, 투명층 및 표면코팅층을 포함하되,
상기 기재층은 열경화성 수지에 함침한 종이 또는 섬유질 기재로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은 인쇄무늬가 인쇄된 종이 또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로 형성되며,
상기 투명층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표면코팅층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decorative flooring using composite high pressure laminate }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바닥에 시공되는 바닥장식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층 상면에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 HPL이 형성됨으로써 복합 HPL에 포함된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내충격성 및 복원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치수안정성 및 컬링성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에 관한 것이다.
건축구조물의 바닥은 콘크리트 및 시멘트로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콘크리트 및 시멘트로 되는 건축구조물의 바닥이 그대로 노출될 경우 미감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냉기가 올라오게 되므로 건축구조물의 바닥에 바닥장식재를 시공하여 바닥장식재를 통해 건축구조물 바닥의 미감을 향상시키고 바닥으로부터 올라오는 냉기를 차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바닥장식재의 하나로 원목마루가 있다.
원목마루는 원목을 얇게 켜 만든 것으로서, 원목으로 되는 특성상 터치감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습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원목마루는 지나치게 건조하거나 습할 경우 쉽게 변형되고,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쉽게 찍히거나 긁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바닥장식재의 하나로 온돌마루가 있다.
온돌마루는 합판으로 된 베이스층 상면에 표면층으로 얇은 천연무늬목을 라미네이팅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표면층이 원목이므로 원목의 터치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온돌마루는 원목마루와 유사하게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쉽게 찍히거나 긁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원목마루가 갖는 문제를 해소하고자 최근 등록실용신안 제20-0283034호(공고일 2002. 07. 31)에 개시된 바와 같은 강화마루가 제안된바 있다.
강화마루는 MDF(Medium Density Fibreboard) 또는 HDF(High Density Fiberboard)로 되는 베이스층 상면에 멜라민 수지 또는 페놀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로 함침된 종이 또는 섬유질 기재를 포함하는 표면층을 라미네이팅한 것으로서, 원목마루나 온돌마루에 비해 찍힘이나 긁힘에 강하여 표면 내구성은 상대적으로 강하나, 열경화성 수지를 표면층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습기에 민감한 문제가 있었고, 또한, 사용자에게 차가운 느낌을 주며, 인위적인 인쇄 형태로 표현되는 표면은 원목마루에 비해 원목의 천연 질감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최근 온돌마루가 갖는 문제를 해소하고자 강마루가 제안된바 있다.
강마루는 합판으로 된 베이스층 상면에 라미네이팅되는 표면층으로, 강화마루와 같이 멜라민 수지 또는 페놀수지 같은 열경화성 수지로 함침된 종이 또는 섬유질 기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표면층은 강화마루와 같이 찍힘이나 긁힘에 강하여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때, 상기 강화마루 또는 강마루의 표면층은 투명층 및 인쇄층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투명층 및 인쇄층에 사용되는 수지도 멜라민 수지 또는 페놀수지 같은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였다.
즉, 종래의 강화마루 또는 강마루 등의 종래 바닥장식재에서 표면층에 포함되는 열경화성 수지 함침 기재, 인쇄층 및 투명층은 모두 멜라민 수지 또는 페놀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열경화성 수지 함침 기재, 인쇄층 및 투명층을 포함하는 표면층을 HPL(High Pressure Laminate)이라고 지칭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강화마루 또는 강마루의 표면층 즉, HPL은 기재층, 인쇄층 또는 투명층 모두가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하고 있어 경도가 뛰어나므로 찍힘이나 긁힘에 강한 것이었으나, 표면 접촉시 차가움 및 끈적임 등의 불쾌감이 상당하여 터치감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치수안정성 및 컬링성이 떨어져 동절기 틈새가 벌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변형이 최소화되고, 찍힘이나 긁힘에 강할 뿐만 아니라 터치감 및 치수안정성 및 컬링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바닥장식재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베이스층 상면에 표면층이 형성된 바닥장식재에서, 상기 표면층을 구성하는 기재층, 인쇄층, 투명층이 모두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종래의 HPL 대신, 인쇄층은 종이 인쇄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대체하고 투명층은 열가소성 수지로 대체하며 상기 투명층 상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형성된 표면코팅층을 더 마련한 복합 HPL을 표면층으로 이용함으로써, 종래 HPL에서 차가움 및 끈적임 등의 불쾌감으로 인하여 터치감이 떨어지고 치수안정성 및 컬링성 저하로 인하여 동절기 틈새가 벌어졌던 문제점을 해소하고, 표면층의 내구성을 증가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층 상면에 복합 HPL이 형성된 바닥장식재로서,
상기 베이스층은 합판 또는 MDF(Medium Density Fibreboard) 또는 HDF(High Density Fiberboard)로 형성되고,
상기 복합 HPL은 기재층, 인쇄층, 투명층 및 표면코팅층을 포함하되,
상기 기재층은 열경화성 수지에 함침한 종이 또는 섬유질 기재로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은 인쇄무늬가 인쇄된 종이 또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로 형성되며,
상기 투명층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표면코팅층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층 상면에 복합 HPL이 형성된 바닥장식재로서,
상기 베이스층은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복합 HPL은 기재층, 인쇄층, 투명층 및 표면코팅층을 포함하되,
상기 기재층은 열경화성 수지에 함침한 종이 또는 섬유질 기재로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은 인쇄무늬가 인쇄된 종이 또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로 형성되며,
상기 투명층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표면코팅층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는, 표면코팅층이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형성되고, 투명층이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며, 인쇄층이 열가소성 수지 시트나 인쇄된 종이로 형성되고, 기재층이 열경화성 수지에 함침한 종이 또는 섬유질 기재로 형성되어 베이스층 상면에 열경화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가 포함된 복합 HPL이 형성되는바, 복합 HPL에 포함된 열경화성 수지의 특성으로 인하여 내충격성 및 복원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복합 HPL에 포함된 열가소성 수지의 특성으로 인하여 치수안정성 및 컬링성을 개선할 수 있고, 표면코팅층의 특성으로 인하여 내오염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표면 접촉시의 차가움 및 끈적임 등의 불쾌감이 최소화되어 터치감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일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A)는 베이스층(10)과, 복합 HPL(2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층(10)은 일정한 두께의 판 형태로 된다.
이와 같은 베이스층(10)은 합판 또는 MDF(Medium Density Fibreboard) 또는 HDF(High Density Fiberboard)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층(10)이 합판 또는 MDF 또는 HDF로 형성됨으로써 마루형 바닥장식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층(10)은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층(10)이 합성수지로 됨으로써 시트 또는 타일형 바닥장식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층(10)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층(10)이 합성수지로 형성되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됨으로써 가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베이스층(10)의 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베이스층(10)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염화비닐(PVC : Poly Vinyl Chloride)수지, 폴리스틸렌(PS : Poly Styrene)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폴리유산(PLA : Poly Lactic Acid)수지,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수지, 폴리올레핀(PO : Poly Olefine)수지, 아크릴(acrylic)수지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층(10) 저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스층(11)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층(10) 저면에 밸런스층(11)이 더 마련됨으로써 밸런스층(11)에 의해 베이스층(10)이 안정화되므로 베이스층(10)의 뒤틀림 및 휨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층(10) 저면에 마련되는 밸런스층(11)은 자외선 경화형 도료, 열경화형 도료, 왁스류, 종이류, 실리콘계 발수제, 실리콘계 방수제, 열가소성 수지류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런스층(11)이 자외선 경화형 도료, 열경화형 도료, 왁스류, 종이류, 실리콘계 발수제, 실리콘계 방수제, 열가소성 수지류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됨으로써 밸런스층(11)에 의해 베이스층(10)가 안정화될 뿐만 아니라 베이스층(10) 저면으로부터의 수분 침투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복합 HPL(20)은 베이스층(10) 상면에 마련되어 베이스층(10)을 보호한다.
이와 같은 복합 HPL(20)에는 기재층(21), 인쇄층(22), 투명층(23), 표면코팅층(24)이 포함된다.
복합 HPL(20)에 기재층(21)이 포함됨으로써 기재층(21)에 의해 복합 HPL(20)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복합 HPL(20)에 인쇄층(22)이 포함됨으로써 인쇄층(22)에 의한 장식 효과에 의해 복합 HPL(20)의 미감을 높일 수 있으며, 복합 HPL(20)에 투명층(23)이 포함됨으로써 투명층(23)에 의해 인쇄층(22)이 보호됨에 따라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복합HPL(20)에 표면코팅층(24)이 포함됨으로써 표면코팅층(24)이 갖는 특성 즉, 내오염성과 드라이 터치감에 의해 차가움 및 끈적임 등의 불쾌감을 해소 할 수 있다.
이때, 복합 HPL(20)의 기재층(21)은 열경화성 수지에 함침된 종이 또는 섬유질 기재로 형성된다.
기재층(21)이 열경화성 수지에 함침된 종이 또는 섬유질 기재로 형성됨으로써 열경화성 수지 특성상 기재층(21)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기재층(21)의 열경화성 수지는 멜라민 수지 또는 페놀 수지 또는 요소 수지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기재층(21)의 종이는 크래프트(kraft)지가 바람직하다.
기재층(21)의 종이가 크래프트지로 됨으로써 종이가 질긴 성질을 갖게 되므로 열경화성 수지 함침 과정에서의 종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HPL(20)의 투명층(23)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다.
복합 HPL(20)의 투명층(23)이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특성상 복합 HPL(20)의 치수안정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투명층(23)의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염화비닐(PVC : Poly Vinyl Chloride)수지, 폴리스틸렌(PS : Poly Styrene)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폴리유산(PLA : Poly Lactic Acid)수지,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수지, 폴리올레핀(PO : Poly Olefine)수지, 아크릴(acrylic)수지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됨으로써 치수안정성 및 내구성의 확보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투명층(23)의 열가소성 수지는 0.03-0.8mm 두께의 시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층(23)의 열가소성 수지가 0.03-0.8mm 두께의 시트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투명층(23)에 엠보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투명층(23)의 두께에 따라서 엠보 깊이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일반 HPL과 차별화된 비교적 깊이가 깊은 동조엠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HPL(20)의 인쇄층(22)은 인쇄무늬가 인쇄된 종이 또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로 형성된다.
복합 HPL(20)의 인쇄층(22)이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특성상 복합 HPL(20)의 치수안정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인쇄층(22)의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염화비닐(PVC : Poly Vinyl Chloride)수지, 폴리스틸렌(PS : Poly Styrene)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폴리유산(PLA : Poly Lactic Acid)수지,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수지, 폴리올레핀(PO : Poly Olefine)수지, 아크릴(acrylic)수지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됨으로써 치수안정성 및 내구성의 확보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복합 HPL(20)의 표면코팅층(24)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HPL(20)의 표면코팅층(24)이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형성됨으로써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특성 즉, 내오염성과 드라이 터치성에 의해 표면의 오염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가움 및 끈적임 등의 불쾌감이 해소되므로 터치감의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HPL(20)의 인쇄층(22)과 기재층(21) 사이에는 프라이머층(3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HPL(20)의 인쇄층(22)과 기재층(21) 사이에 프라이머층(30)이 마련됨으로써 프라이머층(30)에 의해 서로 다른 재질의 인쇄층(22)과 기재층(21)의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프라이머층(30)은 아크릴계 프라이머 또는 우레탄계 프라이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30)이 아크릴계 프라이머 또는 우레탄계 프라이머로 형성됨으로써 결합력의 확보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복합 HPL(20)의 기재층(21)과 베이스층(10) 사이에는 접착층(4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HPL(20)의 기재층(21)과 베이스층(10) 사이에 접착층(40)이 형성됨으로써 접착층(40)에 의해 복합 HPL(20)의 기재층(21)과 베이스층(1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접착층(40)은 에폭시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에스터계, 아크릴레이트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아미드계, 합성고무계 수지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됨으로써 유독성의 용제 없이 접착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환경 오염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접착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A)는, 표면코팅층(24)이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형성되고, 투명층(23)이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며, 인쇄층(22)이 열가소성 수지 시트나 인쇄된 종이로 형성되고, 기재층(21)이 열경화성 수지에 함침한 종이 또는 섬유질 기재로 형성되어 베이스층(10) 상면에 열경화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가 포함된 복합 HPL(20)이 형성되는바, 복합 HPL(20)에 포함된 열경화성 수지의 특성으로 인하여 내충격성 및 복원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복합 HPL(20)에 포함된 열가소성 수지의 특성으로 인하여 치수안정성 및 컬링성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코팅층(24)의 특성으로 인하여 내오염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표면 접촉시의 차가움 및 끈적임 등의 불쾌감이 최소화되어 터치감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래로부터 크래프트지에 페놀수지를 함침하여 형성한 기재층과, 폴리염화비닐수지 시트에 직접 인쇄하여 형성한 인쇄층과, 폴리염화비닐수지 시트로 형성한 투명층과,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형성한 표면코팅층을 고온 상태에서 고압 적층하여 제 1, 제 2 복합 HPL을 마련하였다.
이때, 기재층과 인쇄층 사이에는 우레탄계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1) 합판을 절단하여 베이스층을 마련하였다.
2) 아래로부터 크래프트지에 페놀수지를 함침하여 형성한 기재층과, 폴리염화비닐수지 시트에 직접 인쇄하여 형성한 인쇄층과, 폴리염화비닐수지 시트로 형성한 투명층과,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형성한 표면코팅층을을 고온 상태에서 고압 적층하여 복합 HPL을 마련하였다.
이때, 기재층과 인쇄층 사이에는 우레탄 계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 을 형성하였다.
3) 베이스층 상면에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한 후 접착층 상부로 상기 복합 HPL을 접착함으로써 제 1, 제 2, 제 3 강마루 바닥장식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아래로부터 크래프트지에 페놀수지를 함침하여 형성한 기재층, 멜라민수지 시트에 직접 인쇄하여 형성한 인쇄층과, 멜라민수지 시트로 형성한 투명층을 고온 상태에서 고압 적층하여 제 1, 제 2 일반 HPL을 마련하였다.
(비교예 2)
1) 합판을 절단하여 베이스층을 마련하였다.
2) 아래로부터 크래프트지에 페놀수지를 함침하여 형성한 기재층, 멜라민수지 시트에 직접 인쇄하여 형성한 인쇄층과, 멜라민수지 시트로 형성한 투명층을 고온 상태에서 고압 적층하여 일반 HPL을 마련하였다.
3) 베이스층 상면에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한 후 접착층 상부로 상기 일반 HPL을 접착함으로써 제 1, 제 2, 제 3 강마루 바닥장식재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제 1, 제 2 복합 HPL과, 비교예 1에 의한 제 1, 제 2 일반 HPL을 80℃로 6시간 동안 가열하고, 상온수에 6시간 동안 침지하여 복합 HPL과 일반 HPL의 치수안정성(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길이 변화 측정)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의 측정 결과에 따르면 복합 HPL은 일반 HPL에 비해 길이방향 수축성이 개선되고, 폭방향 수축성이 개선되며, 길이방향 팽창성이 개선되고, 폭방향 팽창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는바, 이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가 일반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에 비해 치수안정성의 개선 효과를 갖는 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2에 의한 제 1, 제 2, 제 3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와 상기 비교예 2에 의한 제 1, 제 2, 제 3 일반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를 80℃로 6시간 동안 가열하고, 상온수에 6시간 동안 침지하여 치수안정성(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길이 변화 측정)과, 컬링성(유리판 위에 바닥장식재를 두고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들뜸 높이 변화 측정)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의 측정 결과에 따르면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는 일반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에 비해 길이방향 수축율이 개선되고, 폭방향 수축율이 개선되며, 길이방향 팽창율이 개선되고, 폭방향 팽창율이 개선되며, 길이방향 들뜸율이 개선되고, 폭방향 들뜸율이 개선됨을 알 수 있는바, 이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가 일반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에 비해 치수안정성 및 컬링성의 개선 효과를 갖는 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
10 : 베이스층 11 : 밸런스층
20 : 복합 HPL 21 : 기재층
22 : 인쇄층 23 : 투명층
24 : 표면코팅층 30 : 프라이머층
40 : 접착층 A : 바닥장식재

Claims (14)

  1. 베이스층 상면에 복합 HPL이 형성된 바닥장식재로서,
    상기 베이스층은 합판 또는 MDF(Medium Density Fibreboard) 또는 HDF(High Density Fiberboard)로 형성되고,
    상기 복합 HPL은 기재층, 인쇄층, 투명층 및 표면코팅층을 포함하되,
    상기 기재층은 열경화성 수지에 함침한 종이 또는 섬유질 기재로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은 인쇄무늬가 인쇄된 종이 또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로 형성되며,
    상기 투명층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표면코팅층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2. 베이스층 상면에 복합 HPL이 형성된 바닥장식재로서,
    상기 베이스층은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복합 HPL은 기재층, 인쇄층, 투명층 및 표면코팅층을 포함하되,
    상기 기재층은 열경화성 수지에 함침한 종이 또는 섬유질 기재로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은 인쇄무늬가 인쇄된 종이 또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로 형성되며,
    상기 투명층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표면코팅층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열경화성 수지는 멜라민 수지 또는 페놀 수지 또는 요소 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종이는 크래프트(kraft)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의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염화비닐(PVC : Poly Vinyl Chloride)수지, 폴리스틸렌(PS : Poly Styrene)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폴리유산(PLA : Poly Lactic Acid)수지,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수지, 폴리올레핀(PO : Poly Olefine)수지, 아크릴(acrylic)수지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의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염화비닐(PVC : Poly Vinyl Chloride)수지, 폴리스틸렌(PS : Poly Styrene)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폴리유산(PLA : Poly Lactic Acid)수지,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수지, 폴리올레핀(PO : Poly Olefine)수지, 아크릴(acrylic)수지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과 기재층 사이에 접착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에폭시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에스터계, 아크릴레이트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아미드계, 합성고무계 수지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과 인쇄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1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아크릴계 프라이머 또는 우레탄계 프라이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저면에 형성되는 밸런스층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층은 자외선 경화형 도료, 열경화형 도료, 왁스류, 종이류, 실리콘계 발수제, 실리콘계 방수제, 열가소성 수지류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의 열가소성 수지는 0.03-0.8mm 두께의 시트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KR1020140080496A 2014-06-30 2014-06-30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KR101755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496A KR101755075B1 (ko) 2014-06-30 2014-06-30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496A KR101755075B1 (ko) 2014-06-30 2014-06-30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437A true KR20160002437A (ko) 2016-01-08
KR101755075B1 KR101755075B1 (ko) 2017-07-07

Family

ID=5517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496A KR101755075B1 (ko) 2014-06-30 2014-06-30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07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635A (ko) * 2016-07-22 2018-01-31 (주)엘지하우시스 친환경 마루 바닥재
KR20200038068A (ko) * 2018-10-02 2020-04-10 (주)엘지하우시스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KR102142547B1 (ko) * 2020-04-17 2020-08-07 이병홍 장식용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장식용 시트
WO2021021793A1 (en) * 2019-07-30 2021-02-04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Ltd. Warp resistant panels
KR102631047B1 (ko) * 2023-05-12 2024-01-31 주식회사 피앤에스 Hpl 성형 다용도 판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3932B2 (ja) * 2011-11-30 2016-05-11 住江織物株式会社 床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635A (ko) * 2016-07-22 2018-01-31 (주)엘지하우시스 친환경 마루 바닥재
KR20200038068A (ko) * 2018-10-02 2020-04-10 (주)엘지하우시스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WO2021021793A1 (en) * 2019-07-30 2021-02-04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Ltd. Warp resistant panels
KR102142547B1 (ko) * 2020-04-17 2020-08-07 이병홍 장식용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장식용 시트
KR102631047B1 (ko) * 2023-05-12 2024-01-31 주식회사 피앤에스 Hpl 성형 다용도 판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075B1 (ko)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06702B2 (en) Floor panel
KR100716404B1 (ko) 인쇄목질 단판층을 기재층에 적층한 강화 온돌마루
US11499322B2 (en) Floor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oor panel
KR102157287B1 (ko) 친환경 마루 바닥재
KR100579841B1 (ko) 멜라민 시트 적층 바닥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
US7473457B2 (en) Wood flooring composed of WPL, base and soundproof layer
KR101755075B1 (ko)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KR101968781B1 (ko) 치수안정성이 개선된 폴리염화비닐수지 바닥재
US20050281986A1 (en) Flooring having surface layer of synthetic resin and wood-based board
KR100750479B1 (ko) 내캐스터성 마루바닥재
US11865827B2 (en)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nel
KR200324825Y1 (ko) 고압수지 주입 천연 무늬목을 기재층에 적층한 방음기능강화마루
US7476435B2 (en) Backed grooved wood flooring composed of HPL, waterproof plywood and soundproof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41345B1 (ko) 강마루용 베니어를 하부층으로 하는 hpm시트 제조방법
US20230330980A1 (en) Composite panel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20060062090A (ko) 고강도 천연무늬목 온돌마루
KR101557058B1 (ko) 플로어링보드 제조방법
KR101019890B1 (ko) 상감 배치 무늬를 갖는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구조 및제조방법
JPH0721313Y2 (ja) 木質化粧材
KR100997322B1 (ko) 배접층 상에 접착된 목분 형성 층을 갖는 마감장식보오드의 구조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
KR20170120274A (ko) 강마루용 hpm시트 제조방법
JP2007077623A (ja) 床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