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890B1 - 상감 배치 무늬를 갖는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구조 및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상감 배치 무늬를 갖는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구조 및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890B1
KR101019890B1 KR1020080056603A KR20080056603A KR101019890B1 KR 101019890 B1 KR101019890 B1 KR 101019890B1 KR 1020080056603 A KR1020080056603 A KR 1020080056603A KR 20080056603 A KR20080056603 A KR 20080056603A KR 101019890 B1 KR101019890 B1 KR 101019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veneer
pattern
natural veneer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0893A (ko
Inventor
박주용
Original Assignee
박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용 filed Critical 박주용
Priority to KR1020080056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890B1/ko
Publication of KR20090130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woode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44C3/025Superimposing layers to produce ornamental relief struc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상감배치 무늬를 갖는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구조 및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구조는, 수종에 따라 특유의 무늬와 색깔을 갖는 천연 무늬목 층과; 상기 천연 무늬목 층의 상부 또는 내부 홈 사이에 특정한 패턴을 이루면서 형성된 이종 무늬목 패턴 층과; 상기 천연 무늬목 층의 하부 또는 상기 천연 무늬목 층 및 상기 이종 무늬목 패턴 층의 하부에 접착제로써 접착되며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마감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배면 마감 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종 무늬목 패턴 층이 마감지의 표면 층으로서 천연 무늬목 층과 함께 상감배치 무늬로서 나타나기 때문에 또 다른 외관 심미감이 제공될 수 있고, 종래의 천연 무늬목 시트지가 갖지 못하는 패턴을 상감 배치 무늬로써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판, 벽지, 또는 건물 내외부 마감지로서 사용되던 종래의 적용 처를 훨씬 넘어설 수 있기 때문에 사용범위가 확대되며, 제조의 경제성 및 취급 및 시공의 간편성이 제공되는 기본적 장점이 있다.
천연 무늬목, 이종 무늬목 패턴 층, 무늬목 시트지, 도배지, 마감지

Description

상감 배치 무늬를 갖는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구조 및 제조방법{structure of natural pattern wood board and therefor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도배지나 장판지 등과 같은 지물지로서도 이용하기 적합하며 상감배치 무늬를 얻기 위해 이종 무늬목 패턴 층을 가지는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구조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인간 생활에서 참살이(웰빙)문화가 보다 이슈화되고, 자연 친화적인 생활을 영위하려는 추세에 따라 원목이나 황토 등과 같은 천연재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건축, 인테리어, 가구 분야에서 원목이나 원목 분위기를 재현할 수 있도록 천연 무늬목 등을 마감재로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본 분야에서 알려진 천연 무늬목 시트의 제조방법으로는, 천연목재를 얇게 슬라이스한 천연 무늬목을 준비하고, 면, 비스코스 레이온, 나일론 등으로 된 부직포를 수지 함침시켜 양면으로 고르게 수지가 침투되도록 한 섬유 시트를 상기 천연무늬목의 배면에 롤러 압착 혹은 열압착으로 눌러 붙여 무늬목을 제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본 구조에 원목이 갖는 특유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었는데, 그 일 예로는 무늬목 부재의 상면에 라미네이팅 필름을 도포하여 보관성이 우수하고 시공기술이 없는 사람도 사용할 수 있으며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인력, 경비를 절감한 무늬목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국내공개특허 제2001-26300호). 그 외에도 배접지로서 알루미늄박을 포함한 배접 무늬목 시트도 있는데, 무늬목 원판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여기에 알루미늄박을 접착시키고 종이 등의 배접지를 접착시킨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천연 무늬목 시트지에서는 하나의 수종 만을 이용하여 제조되었기 때문에 완성된 외관 표면이 주는 미감이 비교적 단조로운 문제가 있고, 자연스러운 분위기는 풍기나 예술적인 분위기를 창출해 내는 데에는 다소 미흡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천연 목재를 이용한 마감지를 제공하면서도 외관 패턴을 자유자재로 형성하고, 또 다른 외관 심미감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천연 무늬목 마감지가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마감지의 구조에서 탈피한 구조를 갖는 개선된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 목재를 이용한 마감지를 제공하면서도 외관 패턴을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는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완성된 외관 표면이 주는 미감이 다양하고, 고전적인 것에서부터 모던한 것에 이르기까지의 예술적인 분위기를 자유롭게 창출해 낼 수 있는 상감 배치 무늬를 가지는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배지나 장판지 등과 같은 지물지로서의 마감기능을 충분히 가지면서도 제조가 비교적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천연무늬목 마감지의 구조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구조는, 수종에 따라 특유의 무늬와 색깔을 갖는 천연 무늬목 층과; 상기 천연 무늬목 층의 상부 또는 내부 홈 사이에 특정한 패턴을 이루면서 형성된 이종 무늬목 패턴 층과; 상기 천연 무늬목 층의 하부 또는 상기 천연 무늬목 층 및 상기 이종 무늬목 패턴 층의 하부에 접착제로써 접착되며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마감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배면 마감 층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배면 마감 층이 접착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면 마감 층의 배면에 형성된 접착 층과; 상기 접착 층이 접착 목표 처에 접착되기 전 까지 상기 접착 층을 임시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접착 층의 하부에 위치되며, 접착 직전에 상기 접착 층에서 분리되는 보호 층을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수종에 따라 특유의 무늬와 색깔을 갖는 천연 무늬목 층을 사용하여 천연 무늬목 마감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천연 무늬목 층의 상부 또는 내부 홈 사이에 특정한 패턴을 이루는 이종 무늬목 패턴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천연 무늬목 층의 하부 또는 상기 천연 무늬목 층 및 상기 이종 무늬목 패턴 층의 하부에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마감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배면 마감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배면 마감 층의 배면에 접착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 층을 임시적으로 보호하는 이형 보호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종 무늬목 패턴 층이 마감지의 표면 층으로서 천연 무늬목 층과 함께 상감배치 무늬로서 나타나기 때문에 또 다른 외관 심미감이 제공될 수 있고, 종래의 천연 무늬목 시트지가 갖지 못하는 패턴을 상감 배치 무늬로써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판, 벽지, 또는 건물 내외부 마감지로서 사용되던 종래의 적용 처를 훨씬 넘어설 수 있기 때문에 사용범위가 확대되며, 제조의 경제성 및 취급 및 시공의 간편성이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천연 무늬목을 슬라이스하고 남은 재료나, 슬라이스 하기 어려운 천연 무늬목을 이종 무늬목 패턴 층의 재료로 활용함에 의해 원목의 낭비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상감배치 무늬를 갖는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구조 및 제조방법에 관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도면을 따라 예를 들어 설명되고 있지만, 이는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설명되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이 이들 특정한 상세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을 것임은 본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서로 다른 도면에 표시되어 있더라도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형성 층들은 동일 내지 유사한 참조부호로서 나타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종 무늬목 패턴 층을 갖는 천연 무늬목마감지의 층 결합 구조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종 무늬목 패턴 층이 상감된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층 결합 구조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수종에 따라 특유의 무늬와 색깔을 갖는 천연 무늬목 층(20)과, 특정한 패턴을 이루며 상기 천연 무늬목 층(20)의 표면높이에서 보다 더 돌출된 이종 무늬목 패턴 층(30)과, 배면 마감 층(10)으로 구성된 층 결합 구조가 보여진다.
도 2를 참조할 경우에, 수종에 따라 특유의 무늬와 색깔을 갖는 천연 무늬목 층(20)과, 특정한 패턴을 이루며 상기 천연 무늬목 층(20)의 표면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면 높이를 이루기 위해 상기 천연 무늬목 층(20)의 내부 홈에 삽입된 이종 무늬목 패턴 층(30)과, 배면 마감 층(10)으로 구성된 층 결합 구조가 보여진다.
도 2의 경우에, 평상감이 되고, 도 1의 경우에는 표면이 두드러진 고 상감이 되는 셈이다. 이외에도 실 같은 가는 선의 무늬를 박아넣는 사 상감, 천의 올무늬와 같은 줄을 파서 무늬목을 그 속에 박아넣는 천무늬상감, 표면에 흠집을 만들고 거기에 옻을 사용해서 금박 등을 박아넣는 소입상감 등이 강구될 수 있다.
상기 이종 무늬목 패턴 층(30)은 상기 천연 무늬목 층(20)을 이루는 천연 무늬목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 지고 일정한 패턴을 이루는 층이다.
외관 심미감이 제공될 수 있고, 종래의 천연 무늬목 시트지가 갖지 못하는 패턴을 상감 배치 무늬로써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종 무늬목 패턴 층(30)이 마감지의 표면 층으로서 천연 무늬목 층(20)과 함께 상감배치 무늬로서 나타나도록 한다.
상기 이종 무늬목 패턴 층(30)의 재질이 되는 이종 무늬목 은 천연 무늬 목을 사용하여 만들어 진 것이기 때문에, 목재의 종류에 따라 천연 무늬목 층(20)과는 다른 다양한 색깔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이종 무늬목 패턴 층(30)의 돌출 두께는 필요 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0.05mm 내지 6mm 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종 무늬목은 천연 무늬 목에서 채취되지만 천연 무늬목 박층으로 슬라이스 되기 어려운 천연 무늬목이나 더 이상 슬라이스 되기 힘든 천연 무늬목 부산물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폐기되는 원목의 낭비를 막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도 제공한다.
더구나, 외관 패턴을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으며, 통상의 단일 종류의 천연 무늬목이 갖는 질감과는 달리 다양한 종류의 천연 무늬목이 조화되어 모자이크와 같이 예술적 느낌을 줄 수 있는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구조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무늬목 패턴 층(30)으로부터 얻어진다.
상기 천연 무늬목 층(20)은 수종에 따라 특유의 무늬와 색깔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천연 무늬목 층(20)은 하나의 수종에서 슬라이스 형태로 채취한 것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수종에서 슬라이스 형태로 채취한 천연 무늬목들을 조합함에 의해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천연 무늬목 층(20)은 원목이 갖는 취성을 완화하여 균열이나 깨어짐을 줄이기 위하여 유연화 처리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염화칼리와 물을 3대 7로 배합한 후, PVA(폴리비닐알콜) 접착제를 넣은 다음, 여기에 천연 무늬목을 상온에서 1시간 정도 함침처리함으로 유연화가 구현된다.
상기 천연 무늬목 층(20)은 어떤 수종의 것이나 가능한데, 일 예로 낙엽송, 참나무, 노송나무, 솔창나무, 떡갈나무, 호두나무, 느릅나무, 벚나무, 칠엽수, 단풍나무, 녹나무, 황목나무, 계수나무, 화이트 시카모아, 로우즈 우드 마호가니, 아프리칸 마호가니, 나왕, 흑단, 자단, 브라질리안, 바시몬, 실버로우즈, 호두나무, 티크, 오크, 스프로스나무, 모아비나무, 비치, 애니그레이나무, 부빈가나무, 웬지나무, 파둑나무, 구수나무, 자작나무 등의 수종이다. 바람직하게는 낙엽송, 칠엽수, 참나무, 녹나무, 화이트 마호가니, 아프리칸 나왕 등 상대적으로 빈번한 엇갈린 층 무늬가 생기는 수종이다. 이같은 수종으로부터 원판을 슬라이스 하여 천연 무늬목 원판을 얻을 수 있다. 천연 무늬목 원판의 두께는 통상 0.13 내지 0.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천연 무늬목 원판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너무 두꺼워지면 시공 시 균열되거나 부러질 수 있다.
상기 배면 마감 층(10)은 상기 천연 무늬목 층(20)의 하부 또는 상기 천연 무늬목 층 및 상기 이종 무늬목 패턴 층(30)의 하부에 폴리에스터 접착제로 접착되며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마감 구조를 얻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배면 마감 층(10)은 폴리 우레탄 또는 폴리스티렌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배면 마감 층(10)의 하부가 접착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면 마감 층(10)의 배면에는 접착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접착 층의 하부에는 상기 접착 층이 접착 목표처에 접착되기 전 까지 상기 접착 층을 임시적으로 보호하며, 접착 직전에 상기 접착 층에서 분리되는 이형 분리 층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형 분리 층은 실리콘 함침된 이형 종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천연 무늬목 층(20)의 하부와 상기 배면 마감 층(10)의 사이에는 폴리에스터 접착제로 압력 약 1200kgf와 온도 약 50~70℃에서 접착되는 완충 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 층은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기능을 확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천연 무늬목 층(20)을 플렉시블하게 지지하며, 상기 천연 무늬목 층(2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완충 층은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터 발포수지,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1, ER-24, PVI, PVA, PSS-R-T, ABS-RT, PVC 수지, 또는 생고무+ HYC 고무+CKR+탄산칼슘의 합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안에 따라 1밀리미터 내지 100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완충 층은 폴리우레탄 발포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 층은, 원료들(PS 합성수지 100중량부, AD 합성수지 30중량부, 하이카 고무 20중량부, 아버셀 분말 10중량부, 탄산칼슘 5중량부, 난연재 15중량부, 및 SSP 발포제 20중량부)를 제1 중합기에 넣은 다음, 약 120도씨의 온도에서 약 20분 동안 공중합 반응을 시키고, 제2 중합기에서 약 30분 동안 재차로 공중합 반응을 시킨 후, 배합기에 투입하여 약 2분 동안 약 300 알피엠 정도로 교반함에 의해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아버셀 분말은 폴리스티렌 발포 수지가 너무 질기거나 약하지 않도록 인장을 조절하며, 종이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서, 가루의 입도는 0.01~0.03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천연 무늬 마감지의 제조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먼저, 천연 무늬목 층(20)의 하부에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마감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배면 마감 층을 접착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천연 무늬목 층(20)의 상부 또는 사이에 특정한 패턴을 이루는 이종 무늬목 패턴 층(30)을 상감 기법을 이용하여 접착적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에스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특정한 패턴의 하부에만 접착제가 도포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는 인체에 무해한 무기물 접착제가 바람직하지만, PVA-ET 접착제, 폴리비닐알콜, 아크릴계 수지, 수성 우레탄 핫멜트 접착제 중에서 하나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현된 특정한 패턴은 미리 설계된 패턴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패턴이외의 부분을 가리고 천연 무늬목 층의 상부에 상기 패턴만이 노출되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패턴에 접착제를 한꺼번에 도포한 다음, 미리 준비된 이종 무늬목 (30)을 상기 천연 무늬목 층(20)의 상부 일부 또는 사이에 접착하게 된다. 상기 특정한 패턴은 다양한 형상과 색깔로 구현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이종 무늬목 패턴 층(30)을 말리고 굳히는 열풍 작업이 실시되며, 필요한 경우에 압착 프레스 작업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종 무늬목 패턴 층(30)의 상부에는 표면 강도의 보강을 위해 UV 코팅층이나 무기질의 투명 코팅층이 보호층으로서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배면 마감 층(10)의 배면에 접착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 층을 임시적으로 보호하는 이형 보호 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추가로 실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보여지는 상기 천연 무늬목 층 (20)과 상기 배면 마감 층(10)의 사이 또는 상기 이종 무늬목 패턴 층(30)과 상기 배면 마감 층(10)사이에는 접착 프레스로 압착되는 종이 층이 접착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종이 층을 이루는 종이로는 아드지, 한지, 판지, 부직포, 인견사, 면직 원단 및 인견사 원단 중에서 선택된 재질 일 수 있으며, 두께 0.1 내지 0.1mm 일 수 있다.
상기 접착 프레스 압착 시에 사용되는 접착제로는 PVA-ET 접착제 20중량부, 폴리비닐알콜 30중량부, 아크릴계 수지 20중량부, 수성 우레탄 핫멜트 접착제 20중량부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무늬목 층(20) 및 상기 이종 무늬목 패턴 층(30)의 상부에는 층 보호를 위한 투명 보호 층이 코팅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보호 층의 상부에는 난연이나 불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내화층이 더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무늬목 층 (20) 및 상기 이종 무늬목 패턴 층(30)의 상부에는 강도의 개선이나 난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세라믹 -에폭시 PS 코팅 층이 더 코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사용처는 띠벽지, 벽지, 장판 등으로서 확장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문틀, 문짝, 돗자리, 방석, 마루판, 바닥재로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얻어지고 표면 코팅된 천연 무늬목 마감지를 사용 처에 부착한 다음 1000℃ 열을 주위에 가하여 난연성을 평가한 결과, 특별한 이상이 없었다. 그리고, 방수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마감지의 일면에 일정한 수압이 되도록 가하여 반대 면으로 물이 스미는 정도를 측정한 결과, 반대 면에 물이 투과되는 현상이 보여지지 않았다. 또한, 마감지에 1200dB로 경음한 결과, 후면에서 소음이 현저히 저감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천연 무늬목 시트지의 적용처를 훨씬 넘어서서 가구 표면 부착지, 벽지, 또는 건물 내외부 마감지로서 폭 넓게 사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어 사용범위가 확대되었다. 그리고, 마감지로서의 취급 및 시공의 간편성이 제공되었으며, 이종 무늬목 패턴 층에 표면 노출이 되지 않는 부위의 천연 무늬 목을 비교적 저렴한 천연 무늬 목으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제조 원가에 대한 부담도 크게 문제시 되지 않을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주로 도면을 따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 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각 층들의 두께나 재질 등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층 간의 배열이나 접착, 그리고 상감배치 무늬의 패턴은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최상부의 보호층으로서 난연 투명 무기질 재료를 코팅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종 무늬목 패턴 층을 갖는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층 결합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종 무늬목 패턴 층이 상감된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층 결합 구조도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수종에 따라 특유의 무늬와 색깔을 갖는 천연 무늬목 층과;
    상기 천연 무늬목 층의 상부 또는 내부 홈 사이에 특정한 패턴을 이루면서 형성된 이종 무늬목 패턴 층과;
    상기 천연 무늬목 층의 하부 또는 상기 천연 무늬목 층 및 상기 이종 무늬목 패턴 층의 하부에 형성된 폴리우레탄 발포 수지 재질의 완충 층과;
    상기 완충 층의 하부에 접착제로써 형성된 배면 마감 층과;
    상기 천연 무늬목 층의 상부 또는 상기 천연 무늬목 층 및 상기 이종 무늬목 패턴 층의 상부에 형성된 보호 층과;
    상기 배면 마감 층이 접착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면 마감 층의 배면에 형성된 접착 층과;
    상기 접착 층이 접착 목표 처에 접착되기 전 까지 상기 접착 층을 임시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접착 층의 하부에 위치되며, 접착 직전에 상기 접착 층에서 분리되는 이형 분리 층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구조.
  4. 삭제
  5. 수종에 따라 특유의 무늬와 색깔을 갖는 천연 무늬목 층을 사용하여 천연 무늬목 마감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연 무늬목 층의 상부 또는 내부 홈 사이에 특정한 패턴을 이루는 이종 무늬목 패턴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천연 무늬목 층의 하부 또는 상기 천연 무늬목 층 및 상기 이종 무늬목 패턴 층의 하부에 형성된 폴리우레탄 발포 수지 재질의 완충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완충 층의 하부에 배면 마감 층을 접착제로써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배면 마감 층의 배면에 접착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 층을 임시적으로 보호하는 이형 보호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제조방법.
KR1020080056603A 2008-06-17 2008-06-17 상감 배치 무늬를 갖는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구조 및제조방법 KR101019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603A KR101019890B1 (ko) 2008-06-17 2008-06-17 상감 배치 무늬를 갖는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구조 및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603A KR101019890B1 (ko) 2008-06-17 2008-06-17 상감 배치 무늬를 갖는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구조 및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893A KR20090130893A (ko) 2009-12-28
KR101019890B1 true KR101019890B1 (ko) 2011-03-04

Family

ID=4169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603A KR101019890B1 (ko) 2008-06-17 2008-06-17 상감 배치 무늬를 갖는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구조 및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8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098B1 (ko) * 2017-03-17 2019-06-11 유순종 다양한 장식무늬를 갖는 침대 상판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092B1 (ko) * 1999-05-29 2001-06-15 김창만 상감무늬가 형성된 단위부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092B1 (ko) * 1999-05-29 2001-06-15 김창만 상감무늬가 형성된 단위부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893A (ko) 2009-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9231B2 (en) Wood flooring laminated with high pressure veneer and impregnated low weight printing paper
US7678466B2 (en) Flooring having surface layer of synthetic resin and wood-based board
CN103862775B (zh) 具有弹性塑料外膜层的覆盖层
EA035052B1 (ru) Панель на основе древесных волокон с поверхностным слоем
KR101968781B1 (ko) 치수안정성이 개선된 폴리염화비닐수지 바닥재
KR20030079687A (ko) 대칭구조를 이용한 무늬목과 합성수지층을 갖는마루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US11865827B2 (en)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nel
JP3900935B2 (ja) 化粧材の製造方法
KR102157287B1 (ko) 친환경 마루 바닥재
KR101755075B1 (ko)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KR101440996B1 (ko) 아크릴수지 함침 방수 절곡 내외장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 및 건축 구조체 마감 방법
KR101019890B1 (ko) 상감 배치 무늬를 갖는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구조 및제조방법
KR100544406B1 (ko) 기능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배접지로 사용한 천연 무늬목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192006B1 (ko)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핸들프리도어
EP1810820A1 (en) Decorative plastic sheet laminate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KR100765914B1 (ko) 지물지로 이용하기 적합한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구조 및제조방법
KR20100019200A (ko) 천연섬유보드를 포함하는 마루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19891B1 (ko) 천연 무늬목 목분을 금속 패턴 테에 상감한 마감장식보오드의 구조 및 제조방법
KR100997322B1 (ko) 배접층 상에 접착된 목분 형성 층을 갖는 마감장식보오드의 구조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
KR20090130890A (ko) 천연 무늬목 마감지의 구조 및 제조방법
KR20090130897A (ko) 천연 무늬목과 금속 패턴 테를 이용한 마감장식 보오드의구조 및 제조방법
KR100786582B1 (ko) 장식용 방염 시트
KR101755862B1 (ko) 흡음 한지 장식 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80066A (ko) 건축 마감 자재의 마감 장식을 위한 천연 무늬목 시트지 마감 처리방법
KR101142680B1 (ko) 종이재 모양지 양면에 수지 함침층을 갖는 장식용 시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