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393U - 합성수지제 바리케이드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바리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393U
KR20160002393U KR2020140009646U KR20140009646U KR20160002393U KR 20160002393 U KR20160002393 U KR 20160002393U KR 2020140009646 U KR2020140009646 U KR 2020140009646U KR 20140009646 U KR20140009646 U KR 20140009646U KR 20160002393 U KR20160002393 U KR 201600023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barricade
synthetic resin
frames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여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동안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동안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동안전
Priority to KR2020140009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393U/ko
Publication of KR201600023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39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질로 바리케이드를 구성하여 저렴한 비용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가벼원 중량으로 운반 및 이동 등에 유리한 등의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합성수지제 바리케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어프레임(1,1)과, 도어프레임(1,1')을 연결하는 절첩부재(2,2')와, 상기 절첩부재(2,2')로 연결된 도어프레임(1,1') 하단에 장착되는 이동바퀴(5)으로 구성된 바리케이드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1,1')은; 합성수지재질로서 관체 또는 봉체로 압출성형하고, 외표면에 안전표지 등의 표지부(11)를 형성하여 합성수지제 바리케이드를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제 바리케이드{THE PLASTICS BARRICADE}
본 고안은 합성수지제 바리케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재질로 바리케이드를 구성하여 저렴한 비용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가벼원 중량으로 운반 및 이동 등에 유리한 등의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합성수지제 바리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왕래하는 주차장, 회사, 공장 등의 건물에는 차량과 인력이 드나드는 것을 단속할 수 있도록 바리케이드가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바리케이드는 주로 철재의 무거운 중량재질로 제작되고 접고 펴는 절첩/전개동작으로 개방 또는 폐쇄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바리케이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종래 바리케이드는 X자로 구성되는 작동프레임과, 아치형의 몸체 등으로 성형되어 상기 작동프레임에 결합됨으로써 절첩/전개되는 본체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프레임은 하단에 이동바퀴가 구비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절첩/전개되면서 개폐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는 종래의 다양한 바리케이드에 대해 대표적인 예들을 살펴본다.
참고문헌1에, 상호 'X'자 형으로 교차되게 축착하는 다수개의 연결대로 지지틀을 일정 간격으로 횡설되게 연결하여 전개 및 합칠 수있게 제작되어 구성한 바리케이드가 개시되어 있고, 참고문헌2에 정문의 일측 선단부에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개폐장치를 마련하여 정문을 자동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한 개폐장치를 구비한 바리케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또, 참고문헌3에, X자형의 신축프레임과, 상기 신축프레임들이 서로교차되는 부분이 내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좌/우로 전개 또는 절첩되는 다수개의 돔형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바리케이드가 개시되어 있고, 참고문헌4에는, 지지틀체의 양측 하단에 결합되는 구동로울러의 브래킷에 끼움고정공을 형성하여 간격유지봉을 용접 설치한 바리케이드가 개시되어 있다.
또, 참고문헌5에, 자동제어장치를 설치한 조작부에 의해 정역회전모터를 원거리에서도 작동시킬 수 있어 개폐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통제할 수 있도록 한 바리케이드가 개시되어 있고, 참고문헌6에, 메인틀프레임의 하부파이프에 의해 수평파이프간 이격거리보다 하부파이프간 이격거리가 더 넓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바람이나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흔들림이 적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바리케이드가 개시되어 있다.
또, 참고문헌7에 DC전원 또는 AC전원을 함께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동시에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절첩식 도어 장치의 바리케이드가 개시되어 있고, 참고문헌8에 "∩"자형 파이프를 완전 조립식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일부가 파손되거나 훼손시 저렴한 비용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바리케이드가 개시되어 있다.
또 참고문헌9에, 도어프레임 하단에 완충스프링에 탄지된 구름용 바퀴를 결합하고, 앞쪽 도어프레임에는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전후진하여 다수의 도어프레임을 절첩하는 제어본체부를 연결한 원격제어형 바리케이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에 다양한 바리케이드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들은 주로 스테인레스재질 등의 철재로 제작되어 제작비가 고가로 소요됨은 물론 중량이 무거원 제작, 운반에 많은 애로가 있으며, 특히 철재로 인한 무거운 중량은 바리케이드를 열고 닫는 개폐동작에 적지 않은 힘이 들게 되고 안정된 개폐동작을 위해 도어프레임의 이동바퀴가 안내되는 레일을 지면 위로 설치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철재로 구성되는 바리케이드는 용도와 목적에 따라 원하는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이 곤란하고 안전표지 등을 바리케이드에 표현할 수 없음은 물론 야간에 식별력이 약하여 안전확보에 미흡한 등으로 여러 목적과 용도로 활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참고문헌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5508호, 2004.07.07. (참고문헌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6767호, 2004.04.08. (참고문헌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2443호, 2004.02.21. (참고문헌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3680호, 2002.07.27. (참고문헌5)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1997-0033380호, 1997,05.07. (참고문헌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7378호, 2013.02.26. (참고문헌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5814호, 2012.10.19. (참고문헌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832호, 2005.06.16. (참고문헌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8932호, 2008.04.04.
본 고안에서는 바리케이드를 합성수지재질로 성형, 제작토록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게 함은 물론 가벼운 중량으로 운반 및 이동에 유리한 이점을 제공하고,
또 가벼운 구성으로 지면 위에 이동레일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쉽고 간편하게 개폐동작을 수행토록 하고 더욱 튼튼한 보강구조로 편리한 사용성과 함께 뛰어난 작동안정성과 내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합성수지재질로 제작함으로써 도어프레임 표면에 안전표지 등의 다양한 문양과 표지를 표현할 수 있어 야간에 바리케이드의 안전성을 더욱 확실히 확보할 수 있게 하고, 폐합성수지 등을 활용한 제작이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한 본 고안은;
[청구항1]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도어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을 연결하는 절첩부재와, 상기 절첩부재로 연결된 도어프레임 하단에 장착되는 이동바퀴로 구성된 바리케이드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은; 합성수지재질로서 관체 또는 봉체로 압출성형하고, 외표면에 안전표지 등의 표지부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재를 구성하는 연결프레임 끝단이 서로 연결되는 핀축 외측에 보강부싱을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재의 연결프레임이 도어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축봉 외측에 보강부싱을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질로 바리케이드를 구성하여 저렴한 비용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중량이 가벼워 운반 및 이동 등에 유리한 이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가벼운 구성으로 쉽고 간편하게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개폐작동을 위한 이동레일을 지면 위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과 안정되고 편리한 작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익이 있다.
또,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유색, 형광 등으로 제작이 가능함은 물론 도어프레임에 안전표지 등을 표시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야간에 뛰어난 식별력을 제공함으로써 우수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폐합성수지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재활용 등의 경제적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등의 이점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요부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일부 절결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중 도어프레임의 발췌 단면도
도 6, 7은 본 고안중 절첩부재의 일요부 발췌 단면도
본 고안은, 절첩/전개되어 개폐작동되는 다수의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을 X자 형상으로 서로 연결하여 도어프레임을 절첩/전개되어 개폐작동시키는 절첩부재와, 상기 도어프레임 하부에 장착되어 도어프레임의 절첩/전개작동을 안내하는 이동바퀴로 이루어지는 바리케이드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을 합성수지재질로 성형하여 구성하고, 절첩부재에는 보강부싱을 결합하여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은 합성수지재질로 성형되며, 이동을 위해 하부에 이동바퀴가 장착되고, 절첩부재로 연결되어 절첩/전개됨으로써 개폐작동된다.
그리고 절첩부재는 X자 형상으로 서로 연결되고 도어프레임 간에 결합되어 절첩부재의 절첩/전개로 도어프레임을 개폐작동시킨다.
상기 절첩부재는 서로 연결되어 절첩되는 연결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축봉과, 연결프레임과 연결하는 축봉에 결합되는 보강부싱 등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절첩부재로 연결된 도어프레임 하단에는 도어프레임을 이동안내하기 위한 이동바퀴가 장착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정면도, 도 3은 일요부 발췌 사시도, 도 4는 일부 절결 측면도, 도 5는 도어프레임의 발췌 단면도, 도 6, 7은 절첩부재의 일요부 발췌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어프레임(1,1)과, 도어프레임(1,1')을 연결하는 절첩부재(2,2')와, 상기 절첩부재(2,2')로 연결된 도어프레임(1,1') 하단에 장착되는 이동바퀴(5) 등으로 바리케이드를 구성한다.
상기 도어프레임(1,1')은 합성수지재질로 관체 또는 봉체 등으로 압출성형하여 구성하며, 상부는 아치형(∩) 등의 여러 형상으로 성형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1,1')은 외표면에 안전표지 등의 표지부(11)를 형성한다. 상기 표지부(11)는 다양한 표지, 모양(문양) 등을 이색(異色)압출성형 등으로 구성하거나 도색 등의 여러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하다.
상기와 같이 안전표시 모양 등의 표지부(11)가 형성되는 도어프레임(1,1')은 외표면에 야간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 반사지, 형광지 등을 부착하는 등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야광, 형광 등의 색상을 도색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한 도어프레임(1,1')은 수개를 절첩부재(2,2')로 연결하여 절첩/전개시켜 개폐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절첩부재(2,2')는; 연결프레임(21,21')이 수개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연결프레임(21,21')의 끝단을 핀축(22)으로 서로 연결하여 결합한하고, 연결프레임(21,21')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에는 연결축봉(23)으로 도어프레임(1,1')에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교차점에 연결축봉(23)이 도어프레임(1,1')에 결합되고, 끝단이 서로 핀축(22)으로 연결되는 연결프레임(21,21')은 그 일단을 도어프레임(1,1')에 역시 연결축봉(23)으로 결합함으로써 절첩/전개 작동되게 구성한다.
이러한 절첩부재(2,2')의 구성은 공지이다.
본 고안은, 상기 절첩부재(2,2')를 구성하는 연결프레임(21,21')의 핀축(22)과 연결축봉(23) 외측에 보강부싱(3)(4)을 각각 결합하여 구성한다.
도 5, 도 6와 같이 상기 절첩부재(2,2')는; 연결프레임(21,21') 끝단이 서로 연결되는 핀축(22) 외측에 보강부싱(3)을 결합하여 구성하고,
또, 연결프레임(21,21')을 도어프레임(1,1')에 결합하는 연결축봉(23) 외측에 보강부싱(4)을 삽입, 결합하여 상기 연결프레임(21,21')을 서로 연결하는 핀축(22)과 연결프레임(21,21')을 도어프레임(1,1')에 결합하는 연결축봉(23)의 보강함으로써 이들의 절첩/전개 작동 과정에서 휨강도 등을 보강, 강화시킴으로써 뒤틀림 등을 방지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개폐작동시킬 수 있고, 내구성 향상으로 사용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절첩부재(2,2')로 연결된 도어프레임(1,1')에는 하단에 이동바퀴(5)를 장착하여 도어프레임(1,1')의 개폐작동시에 이동, 안내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바퀴(5)는 도어프레임(1,1') 전체에 실시하거나 도시한 예와 같이 2개당 1개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도어프레임(1,1')이 가벼운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바퀴(5)를 도어프레임(1,1') 전체에 실시하고 1하나씩 간헐적으로 설치하더라도 도어프레임(1,1') 전체를 튼튼하고 안정적으로 받쳐서 지지하므로 안정된 개폐작동성과 튼튼한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첨부 도면에 사용한 부호에 대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1':도어프레임 11:표지부
2,2':절첩부재 21,21':연결프레임
22:핀축 23:연결축봉
3,4:보강부싱 5:이동이동바퀴

Claims (3)

  1. 도어프레임(1,1)과, 도어프레임(1,1')을 연결하는 절첩부재(2,2')와, 상기 절첩부재(2,2')로 연결된 도어프레임(1,1') 하단에 장착되는 이동바퀴(5)로 구성된 바리케이드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1,1')은; 합성수지재질로서 관체 또는 봉체로 압출성형하고,
    상기 도어프레임(1,1') 외표면에는 안전표지 등의 표지부(11)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바리케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재(2,2')를 구성하는 연결프레임(21,21') 끝단이 서로 연결되는 핀축(22) 외측에 보강부싱(3)을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바리케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재(2,2')의 연결프레임(21,21')이 도어프레임(1,1')에 결합되는 연결축봉(23) 외측에 보강부싱(4)을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바리케이드.
KR2020140009646U 2014-12-30 2014-12-30 합성수지제 바리케이드 KR201600023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646U KR20160002393U (ko) 2014-12-30 2014-12-30 합성수지제 바리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646U KR20160002393U (ko) 2014-12-30 2014-12-30 합성수지제 바리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393U true KR20160002393U (ko) 2016-07-08

Family

ID=5649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646U KR20160002393U (ko) 2014-12-30 2014-12-30 합성수지제 바리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393U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3380A (ko) 1995-12-20 1997-07-22 한송엽 세라믹-금속 접합체의 고온 응용을 위한 접합 합금 및 접합체의 소결방법
KR200283680Y1 (ko) 2002-04-24 2002-07-27 김종석 자바라식 바리케이드 간격유지봉 결합구조
KR200342443Y1 (ko) 2003-12-05 2004-02-21 김유성 절첩식문 구조
KR200346767Y1 (ko) 2004-01-19 2004-04-08 (주)정선기공 개폐장치를 구비한 정문
KR200355508Y1 (ko) 2004-03-19 2004-07-07 박도진 아코디언 게이트
KR200386832Y1 (ko) 2005-03-21 2005-06-16 박치근 절첩식 대문
KR100818932B1 (ko) 2007-07-18 2008-04-04 김기남 원격제어형 절첩식문
KR20120115814A (ko) 2011-04-11 2012-10-19 주식회사 케이원 절첩식 도어 장치
KR101237378B1 (ko) 2012-09-28 2013-02-26 진중경 무레일 절첩식 대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3380A (ko) 1995-12-20 1997-07-22 한송엽 세라믹-금속 접합체의 고온 응용을 위한 접합 합금 및 접합체의 소결방법
KR200283680Y1 (ko) 2002-04-24 2002-07-27 김종석 자바라식 바리케이드 간격유지봉 결합구조
KR200342443Y1 (ko) 2003-12-05 2004-02-21 김유성 절첩식문 구조
KR200346767Y1 (ko) 2004-01-19 2004-04-08 (주)정선기공 개폐장치를 구비한 정문
KR200355508Y1 (ko) 2004-03-19 2004-07-07 박도진 아코디언 게이트
KR200386832Y1 (ko) 2005-03-21 2005-06-16 박치근 절첩식 대문
KR100818932B1 (ko) 2007-07-18 2008-04-04 김기남 원격제어형 절첩식문
KR20120115814A (ko) 2011-04-11 2012-10-19 주식회사 케이원 절첩식 도어 장치
KR101237378B1 (ko) 2012-09-28 2013-02-26 진중경 무레일 절첩식 대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25961A (zh) 防水屏障
CN109311374A (zh) 具有折叠板的侧壁
KR101571885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터널용 공동구의 미닫이 덮개
KR20140147217A (ko) 접이식 구조물
CN102852453A (zh) 连杆式隐藏爬梯
KR20160002393U (ko) 합성수지제 바리케이드
KR101237378B1 (ko) 무레일 절첩식 대문
CN204433471U (zh) 电动折叠集装箱
CN206070431U (zh) 一种道闸折叠杆及使用该道闸折叠杆的道闸
KR20100003742U (ko) 조립식 안전휀스
CN104641058B (zh) 用于混凝土泵的混凝土布料杆
KR100709322B1 (ko)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장치
CN207686585U (zh) 新型折叠式施工大门
CN211898013U (zh) 一种安全围栏
US9765490B1 (en) Automated flip sign
CN114045769A (zh) 一种市政公路工程使用的移动式防穿护栏
BR112019011912B1 (pt) Porta traseira de carroceria de caminhão ou de reboque de caminhão
KR200492777Y1 (ko) 개폐형 안전휀스
KR200481833Y1 (ko) 안전 삼각대
JP5489044B2 (ja) スライド式シャッタの補強構造
CN208472616U (zh) 一种道路桥梁施工用防护栏
CN210349070U (zh) 一种市政施工用警示牌
CN201024880Y (zh) 有轨或无轨的折叠电动铁艺门
AU2007100458A4 (en) Temporary fences or hoardings
KR200484011Y1 (ko) 차량장착용 교통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