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634A - 구리합금재,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 리드프레임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구리합금재,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 리드프레임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634A
KR20160001634A KR1020150081082A KR20150081082A KR20160001634A KR 20160001634 A KR20160001634 A KR 20160001634A KR 1020150081082 A KR1020150081082 A KR 1020150081082A KR 20150081082 A KR20150081082 A KR 20150081082A KR 20160001634 A KR20160001634 A KR 20160001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copper alloy
alloy material
less
cold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키 야마모토
사토시 세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에이치 카퍼프로덕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에이치 카퍼프로덕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에이치 카퍼프로덕츠
Publication of KR20160001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63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2Making non-ferrous alloys by mel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8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copper or alloys bas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고도전성 및 고강도를 양립시킨 구리합금재,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 리드프레임 및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구리합금재는,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의 철과,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의 니켈과,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의 인과,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잔부가 구리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도전율이 75% IACS 이상이며, 0.2% 내력이 500MPa 이상이다.

Description

구리합금재,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 리드프레임 및 커넥터{COPPER ALLOY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COPPER ALLOY MATERIAL, LEAD FRAMES AND CONNECTORS}
본 발명은, 구리합금재(銅合金材),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 리드프레임(lead frame) 및 커넥터(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리드프레임이나 단자(端子) 또는 커넥터 등에는, 구리합금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리합금재에는, 고도전성(高導電性) 및 고강도(高强度)가 요구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고도전성 및 고강도를 구비하는 구리합금재로서, Cu-Fe-Ni-P계의 구리합금재가 개발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및 2 참조).
: 일본국 특허 제2956696호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2-1781호 공보
최근에는, 지금까지보다 더 고도전성 및 고강도를 겸비한 구리합금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도전성 및 고강도를 양립시킨 구리합금재,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 리드프레임 및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1태양에 의하면,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의 철과,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의 니켈과,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의 인과,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잔부가 구리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도전율이 75% IACS 이상이며,
0.2% 내력이 500MPa 이상인
구리합금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주괴를 주조하는 주조공정과,
상기 주괴에 열간압연을 하여 열간압연재를 형성하는 열간압연공정과,
상기 열간압연재에 냉간압연을 하여 제1냉간압연재를 형성하는 제1냉간압연공정과,
상기 제1냉간압연재에 열처리를 하여 열처리재를 형성하는 열처리공정과,
상기 열처리재에 냉간압연을 하여 제2냉간압연재를 형성하는 제2냉간압연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주조공정에서는,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의 철과,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의 니켈과,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의 인과,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잔부가 구리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상기 주괴를 주조하고,
상기 제1냉간압연공정에서는,
상기 열간압연재에 대한 상기 냉간압연과, 피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의 소둔을 소정의 횟수만큼 교대로 반복하여 하는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의하면,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의 철과,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의 니켈과,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의 인과,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잔부가 구리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도전율이 75% IACS 이상이며, 0.2% 내력이 500MPa 이상인 기재를
구비하는
리드프레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의하면,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의 철과,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의 니켈과,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의 인과,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잔부가 구리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도전율이 75% IACS 이상이며, 0.2% 내력이 500MPa 이상인 도체부를
구비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도전성 및 고강도를 양립시킨 구리합금재,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 리드프레임 및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자 등이 얻은 지견(知見)>
우선 발명자 등이 얻은 지견에 대해서 개략(槪略)을 설명한다.
본 발명자 등은, Cu-Fe-Ni-P계의 구리합금재(銅合金材)의 도전성(導電性) 및 강도(强度)를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와 같은 지견을 찾아냈다. Cu-Fe-Ni-P계의 구리합금에서는, 철(鐵)(Fe) 또는 니켈(nickel)(Ni)의 함유량을 증가시키면, Fe 및 인(燐)(P)의 화합물(化合物)(이하 Fe-P화합물) 또는 Ni 및 P의 화합물(이하 Ni-P화합물)이 분산 석출(分散 析出)됨으로써 구리합금재의 강도가 향상된다. 한편 Fe 또는 Ni의 함유량을 증가시키면, Fe-P화합물 또는 Ni-P화합물을 생성(生成)하지 않고 구리합금재 중에 고용(固溶)되는 Fe 또는 Ni가 증가함으로써,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이 저하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Fe 또는 Ni의 함유량을 감소시키면,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이 향상되는 한편, 구리합금재의 강도가 저하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Cu-Fe-Ni-P계의 구리합금재의 도전성과 강도는 트레이드 오프(trade-off)의 관계에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 등이 찾아낸 상기 지견에 의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구리합금재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1) 구리합금재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관한 구리합금재는, 소정량의 Fe, Ni, P 및 마그네슘(magnesium)(Mg)을 함유하고, 잔부(殘部)가 구리(Cu) 및 불가피 불순물(不可避 不純物)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구리합금재의 도전율(導電率)은 75% IACS(International Annealed Copper Standard) 이상이며, 구리합금재의 0.2% 내력(耐力)은 500MPa 이상이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구리합금재는, 후술하는 소정량의 Fe, Ni 및 P에 추가로 Mg를 더 함유한다. Mg는, 구리합금재 중에 고용됨으로써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구리합금재 중에 Mg를 Fe, Ni 및 P와 함께 첨가함으로써, 고도전성(高導電性)을 유지하면서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리합금재 중에 있어서 Mg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이다. Mg의 함유량이 0.01질량% 미만인 경우에, Mg가 불가피 불순물로서의 산소(O)나 유황(S)과 결합되어 버림으로써 일정량의 Mg를 구리합금재 중에 고용시킬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 MgO나 MgS 등은,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구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Mg의 함유량을 0.01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Mg의 일부가 불가피 불순물로서의 O나 S와 결합하더라도 일정량의 Mg를 구리합금재 중에 고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리합금재의 0.2% 내력을 500MPa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Mg의 함유량은 0.03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Mg는 도전성을 저하시키는 영향이 적은 성분이지만, Mg의 함유량이 0.2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 Mg가 구리합금재 중에 많이 고용됨으로써, Mg에 의한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을 저하시키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구리합금재의 고도전성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Mg의 함유량을 0.2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Mg에 의한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을 저하시키는 영향을 억제하여 구리합금재의 고도전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Mg의 함유량은 0.1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Mg에 의한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을 저하시키는 영향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구리합금재에서는, Fe, Ni 및 P가 함유됨으로써 Fe-P화합물의 분산 석출뿐만 아니라 Ni-P화합물의 분산 석출도 함께 일어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리합금 중에 생성되는 Fe-P화합물은 예를 들면 Fe 2 P 등이며, NiP화합물은 예를 들면 Ni 5 P 2 , Ni 2 P 등이다. 이러한 P화합물이 분산 석출됨으로써 구리합금재의 강도가 향상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Fe보다 도전율을 저하시키는 영향이 큰 Ni의 함유량이,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범위(0.1질량% 이상 0.5질량% 이하)보다 적다. 이에 따라 Ni에 의한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을 저하시키는 영향을 억제하여, (Ni의 함유량이 감소하는 분만큼 구리합금재가 순동(純銅)에 근접함으로써)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구리합금재 중에 있어서 Ni-P화합물의 석출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Ni-P화합물에 의한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감소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리합금재에 소정량의 Mg가 첨가됨으로써, Ni의 함유량을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범위보다 감소시켰을 경우이더라도 구리합금재의 고도전성을 유지하면서,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구리합금재 중에 있어서 Ni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이다.
Ni의 함유량이 0.02질량% 미만인 경우에, 구리합금재 중에 있어서 Ni-P화합물의 석출량이 적어진다. 이 때문에 구리합금재가 원하는 강도를 얻을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Ni의 함유량이 0.02질량% 이상이다. Ni-P화합물은 Fe-P화합물보다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크기 때문에, Ni의 함유량이 0.02질량% 이상이면 일정량의 Ni-P화합물이 구리합금재 중에 생성됨으로써, Ni-P화합물에 의한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Ni의 함유량은 0.03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Ni-P화합물에 의한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더 확실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한편 Ni는 Fe보다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을 저하시키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Ni의 함유량이 0.06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 Ni에 의한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을 저하시키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구리합금재의 도전율이 원하는 값(예를 들면 75% IACS)보다 저하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Ni의 함유량을 0.06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Ni에 의한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을 저하시키는 영향을 억제하여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리합금재의 도전율을 70% IACS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Ni의 함유량은 0.0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Ni에 의한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을 저하시키는 영향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구리합금재 중에 있어서 Fe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이다. Fe의 함유량이 0.2질량% 미만인 경우에, 구리합금재 중의 Fe-P화합물의 석출량이 적어진다. 이 때문에 구리합금재가 원하는 강도를 얻을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Fe의 함유량을 0.2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일정량의 Fe-P화합물이 구리합금재 중에 생성된다. 따라서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Fe의 함유량은 0.3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Fe의 함유량이 0.6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 Fe-P화합물이 생성되지 않고 구리합금재 중에 고용되는 Fe가 증가함으로써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구리합금재가 원하는 도전성을 얻을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Fe의 함유량을 0.6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구리합금재 중에 Fe가 고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결과로서,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Fe의 함유량은 0.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이 저하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구리합금재 중에 있어서 P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이다. P의 함유량이 0.07질량% 미만인 경우에, Fe-P화합물 및 Ni-P화합물의 석출량이 적어진다. 이 때문에 구리합금재가 원하는 강도를 얻을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P의 함유량을 0.07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일정량의 Fe-P화합물과 Ni-P화합물이 구리합금재 중에 생성된다. 따라서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P의 함유량은 0.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P의 함유량이 0.3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 Fe-P화합물 또는 Ni-P화합물의 생성에 기여하지 않고, 구리합금재 중에 고용되는 P가 증가함으로써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구리합금재가 원하는 도전성을 얻을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P의 함유량이 0.3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 후술하는 주조공정(鑄造工程)이나 열간압연공정(熱間壓延工程) 등에 있어서 Fe-P화합물이나 Ni-P화합물 등의 P의 화합물이 편석(偏析)됨으로써 구리합금재가 갈라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구리합금재의 가공성(加工性)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P의 함유량을 0.3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구리합금재 중에 P가 고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결과로서,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구리합금재의 가공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P의 함유량은 0.2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이 저하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가공성이 저하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Ni에 대한 Fe의 질량비(質量比)(Fe/Ni)는, 예를 들면 5 이상 10 이하이다. 질량비(Fe/Ni)가 5 미만인 경우에, Ni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짐으로써 Ni에 의한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을 저하시키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구리합금재의 높은 도전성을 유지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질량비(Fe/Ni)를 5 이상으로 함으로써, Ni에 의한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을 저하시키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질량비(Fe/Ni)가 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Ni에 의한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을 저하시키는 영향을 더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질량비(Fe/Ni)가 10을 초과하는 경우에 Ni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지기 때문에, 구리합금재 중의 Ni-P화합물의 석출량이 적어질 가능성이 있다. Ni-P화합물에 의한 강도향상의 효과는 Fe-P화합물에 의한 강도향상의 효과보다 크기 때문에, Ni-P화합물의 석출량이 적음으로써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질량비(Fe/Ni)를 10 이하로 함으로써, 일정량의 Ni-P화합물이 구리합금재 중에 생성됨으로써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구리합금재는, 아연(亞鉛)(Zn)을 함유하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리드프레임(lead frame)의 기재(基材) 등에 본 실시형태의 구리합금재를 적용하였을 경우에, Zn이 구리합금재 중에 고용됨으로써 구리합금재의 납땜성을 개선할 수 있어, 구리합금재와 땜납층이 박리(剝離)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납땜에 대한 신뢰성은, 리드프레임 등에 있어서 중요한 특성의 하나이다.
구리합금재가 Zn을 함유하는 경우에, 구리합금재 중에 있어서 Zn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0.001질량% 이상 0.005질량% 이하이다. Zn의 함유량이 0.001질량% 미만인 경우에, Zn이 불가피 불순물로서의 O나 S와 결합되어 버림으로써 일정량의 Zn을 구리합금재 중에 고용시킬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 ZnO나 ZnS 등은, 납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구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납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현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Zn의 함유량을 0.001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Zn의 일부가 불가피 불순물로서의 O나 S와 결합하더라도 일정량의 Zn을 구리합금재 중에 고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납땜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다. 또 발명자 등의 예의검토에 의하여, Zn의 함유량이 0.001질량% 이상이면 납땜성이 향상되는 일정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한편 선행기술에서는, Zn의 함유량이 0.005질량%를 초과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Zn의 함유량이 0.005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 Zn이 구리합금재 중에 많이 고용됨으로써 Zn에 의한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을 저하시키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Zn의 함유량을 0.005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납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구리합금재를 사용한 리드프레임 또는 커넥터(connector)
상기한 구리합금재는 예를 들면 이하의 제품에 사용된다.
(리드프레임)
본 실시형태에 관한 리드프레임은, 예를 들면 반도체 소자가 재치(載置)되는 다이 패드(die pad)와, 반도체 소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드(lead)를 갖는 기재(기판)를 구비한다. 리드프레임의 기재는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구리합금재를 펀칭(punching)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기재는,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의 Fe와,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의 Ni와,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의 P와,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Mg를 함유하고, 잔부가 Cu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Ni에 대한 Fe의 질량비(Fe/Ni)가 5 이상 10 이하이다. 이에 따라 리드프레임의 기재는, 고도전성 및 고강도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기재의 도전율은 75% IACS 이상이며, 기재의 0.2% 내력은 500MPa 이상이다.
또한 리드프레임의 기재는, 0.001질량% 이상 0.005질량% 이하의 Zn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리드프레임의 도전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리드프레임에 대한 납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넥터(단자(端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단자)는, 예를 들면 전자기기측(상대측)의 커넥터(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체부(導體部)와, 도체부가 수용되는 하우징(housing)(수용부(收容部))을 구비한다. 커넥터의 도체부는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구리합금재에 의하여 형성된다. 즉 도체부는,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의 Fe와,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의 Ni와,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의 P와,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Mg를 함유하고, 잔부가 Cu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Ni에 대한 Fe의 질량비(Fe/Ni)가 5 이상 10 이하이다. 이에 따라 커넥터의 도체부는 고도전성 및 고강도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도체부의 도전율은 75% IACS 이상이며, 도체부의 0.2% 내력은 500MPa 이상이다.
또한 커넥터의 도체부는, 0.001질량% 이상 0.005질량% 이하의 Zn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커넥터의 도체부의 도전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커넥터의 도체부에 대한 납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조공정)
우선 모재(母材)인 무산소구리(無酸素銅)를, 예를 들면 고주파 용해로(高周波 溶解爐) 등을 사용해서 질소분위기하에서 용해하여 구리의 용탕(溶湯)을 생성한다. 다음에 Fe, Ni, P 및 Mg를 첨가하여 구리합금의 용탕을 생성한다. 이때에 예를 들면 Fe의 함유량을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로 하고, Ni의 함유량을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로 하고, P의 함유량을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로 하고, Mg의 함유량을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로 하고, Ni에 대한 Fe의 질량비(Fe/Ni)를 5 이상 10 이하로 한다. 또 이때의 구리합금의 용탕에는, 0.001질량% 이상 0.005질량% 이하의 Zn을 더 함유시키더라도 좋다. 다음에 이 구리합금의 용탕을 주형(鑄型)에 부어서 냉각하여, 소정의 조성(組成)을 구비하는 주괴(鑄塊)를 주조한다.
(열간압연공정)
상기한 주괴를 소정의 온도에서 가열해서 당해 주괴에 열간압연을 하여, 소정의 두께의 열간압연재(熱間壓延材)를 형성한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열간압연재라는 것은, 열간압연공정이 이루어진 구리합금의 판재(板材)이다. 이때에 열간압연의 온도를 예를 들면 900℃ 이상 1000℃ 이하로 한다. 또한 주괴에 대한 총가공도(總加工度)를 예를 들면 90% 이상 95% 이하로 한다.
(제1냉간압연공정(第1冷間壓延工程))
다음에 열간압연재에 냉간압연을 하여 소정의 두께의 제1냉간압연재(第1冷間壓延材)를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열간압연재에 대한 냉간압연과, 피압연재(被壓延材)에 대한 소둔(燒鈍)을 소정의 횟수만큼 교대로 반복한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제1냉간압연재라는 것은 제1냉간압연공정의 전체의 공정(소정 횟수의 냉간압연 및 소둔)이 이루어진 구리합금의 판재이며, 피압연재라는 것은 제1냉간압연공정 중에서 1회의 냉간압연이 이루어진 구리합금의 판재이다. 제1냉간압연공정의 최후에는, 소둔이 아니라 냉간압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냉간압연공정에서는, 피압연재에 재결정(再結晶)이 발생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소둔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소둔의 온도는 예를 들면 300℃ 이상 600℃ 이하이다. 소둔 시간은 예를 들면 30초간 이상 5분간 이하이다. 이에 따라 피압연재에 재결정을 발생시키지 않고, 냉간압연의 가공성을 회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구리합금재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냉간압연공정에 있어서 최후의 소둔후에 이루어지는 최후의 냉간압연을, 예를 들면 15% 이상 60% 이하의 가공도(加工度)로 한다. 또 냉간압연공정에 있어서의 가공도라는 것은, 「가공도(%)={1 - (냉간압연후의 판두께 / 냉간압연전의 판두께)} × 100」으로 정의된다. 최후의 냉간압연의 가공도가 15% 미만인 경우에, 피압연재 중에 격자결함(格子缺陷)이 유입되기 어려울 가능성이 있다. 피압연재에 격자결함이 유입되지 않으면, P화합물(Fe-P화합물 또는 Ni-P화합물)이 석출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최후의 냉간압연의 가공도를 15% 이상으로 함으로써, 피압연재 중에 격자결함이 유입될 수 있다. 또 최후의 냉간압연전의 냉간압연에 의해서도 피압연재 중에 격자결함이 유입되지만, 최후의 냉간압연전의 냉간압연에 의하여 피압연재 중에 유입된 격자결함은 소둔에 의하여 일부 회복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최후의 냉간압연의 가공도를 15% 이상으로 함으로써 피압연재 중에 소정량의 격자결함을 잔존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후공정의 열처리공정(熱處理工程)에 있어서, 격자결함을 핵(核)으로 하는 P화합물(Fe-P화합물 또는 Ni-P화합물)의 석출물(析出物)이 생성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최후의 냉간압연의 가공도가 60%를 초과한 경우에, 당해 냉간압연에 의하여 피압연재 내부에 과잉의 변형이 축적될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후공정의 열처리공정(시효공정(時效工程))에 있어서 피압연재(제1냉간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하기 쉬워지게 되어, 더 저온의 열처리에서도 피압연재(제1냉간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피압연재(제1냉간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하면,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구리합금재의 강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최후의 냉간압연의 가공도를 60% 이하로 함으로써, 후공정의 열처리공정(시효공정)에 있어서 피압연재(제1냉간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구리합금재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냉간압연공정에서는, 제1냉간압연재의 총가공도가 소정의 값이 되도록 냉간압연 및 소둔이 반복된다. 냉간압연 및 소둔의 반복횟수는, 예를 들면 1회 이상 3회 이하이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냉간압연공정의 최후에는, 소둔이 아니라 냉간압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열처리공정(시효공정))
다음에 제1냉간압연재에 대하여 소정의 온도에서 열처리(시효처리)를 하여 열처리재(熱處理材)를 형성한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열처리재라는 것은, 열처리공정이 이루어진 구리합금의 판재이다.
열처리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380℃ 이상의 온도로서 제1냉간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하는 온도(발생하기 시작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제1냉간압연재를 가열한다. 열처리공정의 온도가 380℃ 미만인 경우에, Fe-P화합물 또는 Ni-P화합물을 충분히 분산 석출시킬 수 없어, Fe 또는 Ni가 열처리재 중에 고용되는 양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처리공정의 온도를 380℃ 이상으로 함으로써, Fe 또는 Ni가 열처리재 중에 고용되는 것을 억제하여, Fe-P화합물 또는 Ni-P화합물을 충분히 분산 석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함과 아울러 당해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열처리공정의 온도가 제1냉간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하는 온도 이상인 경우에, 열처리공정의 대상인 제1냉간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해 버린다. 이 때문에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구리합금재의 강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처리공정의 온도를 제1냉간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하는 온도보다 낮게 함으로써 열처리공정의 대상인 제1냉간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구리합금재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열처리공정에서는 제1냉간압연재를 예를 들면 450℃ 이하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열처리공정의 온도를 제1냉간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열처리공정의 대상인 제1냉간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열처리공정에서는, 제1냉간압연재를 예를 들면 3시간 이상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충분한 양의 P화합물(Fe-P화합물 또는 Ni-P화합물)을 제1냉간압연재 중에 석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냉간압연공정)
다음에 열처리재에 냉간압연을 하여 제2냉간압연재를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열처리재에 대한 냉간압연을 소정의 횟수만큼 반복한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제2냉간압연재라는 것은, 제2냉간압연공정의 전체의 공정(소정 횟수의 냉간압연)이 이루어진 구리합금의 판재이다. 또한 제2냉간압연공정이 최종공정인 경우에, 제2냉간압연재가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구리합금재로 된다.
제2냉간압연공정에서는, 지금까지의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적용되어 온 제2냉간압연공정의 총가공도(40% 이상 60% 이하 정도)보다 높은 총가공도로 냉간압연을 한다. 또 제2냉간압연공정에 있어서의 총가공도라는 것은, 「총가공도(%)={1 - (제2냉간압연공정후(소정 횟수의 냉간압연 및 소둔후)의 판두께 / 제2냉간압연공정전의 판두께)} × 100」으로 정의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70% 이상의 총가공도로 냉간압연을 한다. 총가공도를 70% 미만으로 하였을 경우에, 열처리재의 가공경화(加工硬化)가 불충분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구리합금재의 강도가 불충분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냉간압연공정의 총가공도를 70% 이상으로 함으로써, 열처리공정(시효공정)후에 높은 총가공도로 열처리재를 냉간압연하여 열처리재를 가공경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냉간압연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85% 이하의 총가공도로 냉간압연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총가공도가 85%를 초과한 경우에, 열처리재에 축적되는 변형이 과잉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구리합금재의 연성(延性)이 저하되어,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구리합금재가 약간의 신장(伸張)에 의하여 파단(破斷)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총가공도를 85% 이하로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구리합금재의 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냉간압연공정에서는, 제2냉간압연재의 총가공도가 소정의 값이 되도록 냉간압연이 반복된다. 냉간압연의 반복횟수는 예를 들면 1회 이상 5회 이하이다.
이상에 의하여 소정 두께의 구리합금재가 형성된다.
(4) 본 실시형태에 관한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에 나타나 있는 1개 또는 복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구리합금재는,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의 Fe와,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의 Ni와,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의 P와,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Mg를 함유하고, 잔부가 Cu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Ni의 함유량을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범위보다 감소시킴으로써, Ni에 의한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을 저하시키는 영향을 억제하여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리합금재 중에 Mg를 소정량 첨가함으로써, Ni의 함유량을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범위보다 감소시킨 경우이더라도, 고도전성을 유지하면서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구리합금재의 고도전성 및 고강도를 양립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리합금재의 도전율을 75% IACS 이상으로 하고, 구리합금재의 0.2% 내력을 500MPa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의 고도전성 및 고강도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b)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Ni에 대한 Fe의 질량비(Fe/Ni)가 5 이상 10 이하이다. 질량비(Fe/Ni)를 5 이상으로 함으로써 Ni에 의한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을 저하시키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질량비(Fe/Ni)를 10 이하로 함으로써, 일정량의 Ni-P화합물이 구리합금재 중에 생성되어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리합금재의 고도전성 및 고강도를 양립시킬 수 있다.
(c)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구리합금재는 0.001질량% 이상 0.005질량% 이하의 Zn을 함유하고 있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도전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납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조공정에서는,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의 Fe와,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의 Ni와,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의 P와,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Mg를 함유하고, 잔부가 구리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주괴를 주조한다. 이어서 소정의 압연공정 및 열처리공정을 실시함으로써 구리합금재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조성을 구비하는 주괴를 주조함으로써, 고도전성 및 고강도를 구비하는 구리합금재를 얻을 수 있다.
(e)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냉간압연공정에서는 피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소둔을 한다. 이에 따라 피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구리합금재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f)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냉간압연공정에서는 최후의 소둔후에 이루어지는 최후의 냉간압연을 15% 이상 60% 이하의 가공도로 한다. 최후의 냉간압연의 가공도를 15% 이상으로 함으로써 피압연재 중에 격자결함을 유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공정의 열처리공정에 있어서, 격자결함을 핵으로 하는 P화합물(Fe-P화합물 또는 Ni-P화합물)의 석출물이 생성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최후의 냉간압연의 가공도를 60% 이하로 함으로써, 후공정의 열처리공정(시효공정)에 있어서 피압연재(제1냉간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구리합금재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g)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열처리공정에서는, 380℃ 이상의 온도로서 제1냉간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제1냉간압연재를 가열한다. 열처리공정의 온도를 380℃ 이상으로 함으로써, Fe 또는 Ni가 열처리재 중에 고용되는 것을 억제하여, Fe-P화합물 또는 Ni-P화합물을 충분히 분산 석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구리합금재의 도전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함과 아울러 당해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열처리공정의 온도를 제1냉간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하는 온도보다 낮게 함으로써, 열처리공정의 대상인 제1냉간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구리합금재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h)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2냉간압연공정에서는 70% 이상의 총가공도로 냉간압연을 한다. 열처리공정(시효공정)후에 높은 가공도로 열처리재를 냉간압연하여 열처리재를 가공경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구리합금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 본 실시형태에 관한 구리합금재는, 리드프레임의 기재에 적용하는 것이 특히 유효하다. 최근에 전자기기의 다기능화, 소형화, 경량화에 따라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반도체 패키지(半導體 package)는, 박형화(薄型化), 소형화, 고밀도화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하여 반도체 패키지에 사용되는 리드프레임에는, 방열성(放熱性)을 확보하기 위한 고도전성이나, 박형화에 적응하기 위한 고강도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구리합금재를 리드프레임의 기재에 적용함으로써, 최근의 고도전성 및 고강도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j) 본 실시형태에 관한 구리합금재는, 커넥터의 도체부에 적용하는 것이 특히 유효하다. 특히 자동차내의 전기계통에 사용되는 커넥터 등의 전기부품에서는, 자동차의 전장화(電裝化)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당해 전기부품에 흐르는 전류값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부품에는, 주울열(Joule熱)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고도전성이나, 자동차의 사양(仕樣)으로서 요구되는 스프링성(spring性)을 충족시키기 위한 고강도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구리합금재를 커넥터의 도체부에 적용함으로써, 최근의 고도전성 및 고강도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참고로 지금까지의 구리합금재에 대해서 설명한다.
지금까지의 반도체 패키지의 리드프레임으로서는, 예를 들면 0.05질량% 이상 0.15질량% 이하의 Fe와 0.025질량% 이상 0.04질량% 이하의 P를 함유하는 C19210합금이나, 2.1질량% 이상 2.6질량% 이하의 Fe와 0.015질량% 이상 0.15질량% 이하의 P와 0.05질량% 이상 0.20질량% 이하의 Zn을 함유하는 C19400합금이 사용되어 왔다. Cu-Fe-P계의 C19210합금에서는, 도전율이 90% IACS 정도이었던 반면에 0.2% 내력은 450MPa 이하이었다. 따라서 C19210합금의 강도는 최근의 고강도의 요구에 대하여 불충분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C19400합금에서는, 질별 조정(質別 調整)에 의하여 0.2% 내력을 500MPa 이상으로 할 수 있었던 반면에 C19400의 도전율은 65% IACS 정도이었다. 따라서 C19400의 도전성은 최근의 고도전성의 요구에 대하여 불충분할 가능성이 있었다.
단자나 커넥터 등의 전기부품에 사용되는 재료 중에서도 고도전성 및 고강도의 양립이 요구되는 용도에는, 예를 들면 2.2질량% 이상 4.2질량% 이하의 Ni와, 0.25질량% 이상 1.2질량% 이하의 실리콘(Si)과, 0.05질량% 이상 0.30질량% 이하의 Mg를 함유하는 C70250합금이 사용되어 왔다. Cu-Ni-Si계의 C70250합금에서는, 0.2% 내력이 500MPa를 상회(上廻)하고 있는 반면에 도전율은 45% IACS 정도이었다. 따라서 C70250합금의 도전성은 최근의 고도전성의 요구에 대하여 불충분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 등에 의하여, 고도전성 및 고강도를 양립시킨 구리합금재로서, 0.1질량% 이상 0.5질량% 이하의 Fe와, 0.03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Ni와, 0.03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P를 함유하고, P에 대한 Fe 및 Ni의 질량비((Fe+Ni)/P)가 3 이상 10 이하이며, Ni에 대한 Fe의 질량비(Fe/Ni)가 0.8 이상 1.2 이하인 Cu-Fe-Ni-P계의 구리합금재가 개발되었다(특허문헌1).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Cu-Fe-Ni-P계의 구리합금재에서는, 고강도가 얻어짐과 아울러 도전율은 60% IACS 이상이었다. 그러나 최근의 고도전성에 대한 요구를 감안하면, 한층 더 도전율의 향상이 요망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구리합금재가 상기 조성을 구비함으로써 구리합금재의 도전율을 75% IACS 이상으로 하고, 구리합금재의 0.2% 내력을 500MPa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의 고도전성 및 고강도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Cu-Cr계의 구리합금재로서, 예를 들면 C18080합금이 알려져 있다. Cu-Cr계의 구리합금재에서는, 도전율이 70% IACS를 초과하고, 0.2% 내력이 500MPa 이상이다. 그러나 Cu-Cr계의 구리합금재에 포함되는 Cr은, 난용해재(難溶解材)로서 내화재(耐火材)의 카본(carbon)과 반응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Cu-Cr계의 구리합금재를 용해 및 주조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Cu-Cr계의 구리합금재의 제조비용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구리합금재가 Cr를 포함하지 않는다(구리합금재에 있어서의 Cr의 함유량이 불가피 불순물의 함유량 이하이다). 이에 따라 구리합금재를 안정적으로 용해 및 주조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1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의 제조공정에 의하여 원하는 고도전성 및 고강도를 구비하는 구리합금재가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외의 제조방법이더라도 동일한 구리합금재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와 같이 시료1∼30을 제작하여, 각 시료에 대해서 도전성 및 강도에 대한 평가를 했다.
<시료의 제작>
(시료1∼7)
시료1에서는, 이하와 같이 해서 구리합금재를 형성했다. 우선 무산소구리를 모재로 하여, 0.35질량%의 Fe, 0.040질량%의 Ni, 0.12질량%의 P, 0.10질량%의 Mg를 첨가하고, 고주파 용해로를 사용하여 질소분위기하에서 용제(溶製)하여, 두께 25mm, 폭 30mm, 길이 150mm의 주괴를 주조하였다(주조공정). 다음에 주괴를 950℃로 가열하고 주괴에 열간압연을 하여, 두께 8mm의 열간압연재를 형성했다(열간압연공정). 다음에 열간압연재에 냉간압연을 하여 피압연재의 두께를 2mm로 했다. 다음에 피압연재를 550℃에서 1분간 소둔했다. 다음에 소둔을 한 피소둔재(被燒鈍材)에 (제1냉간압연공정 중의 최후의) 냉간압연을 가공도 50%로 하여, 두께 1mm의 제1냉간압연재를 형성했다(제1냉간압연공정). 다음에 제1냉간압연재를 온도 420℃에서 6시간 가열하여 열처리재를 형성했다(열처리공정). 다음에 열처리재에 총가공도 75%로 냉간압연을 하여, 두께 0.25mm의 제2냉간압연재를 형성했다(제2냉간압연공정). 이상에 의하여 시료1의 구리합금재를 형성했다.
또 시료2∼7에서는, 이하의 표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조공정에 있어서의 주괴의 조성을, 시료1의 조성으로부터 소정의 범위내에서 변경했다. 그 이외의 공정에는 시료1의 구리합금재를 제조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시료2∼7의 구리합금재를 형성했다.
(시료8∼10)
시료8∼10에서는, 이하의 표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조공정에 있어서의 주괴내에 소정의 범위내의 함유량으로 Zn을 함유시켰다. 그 이외의 공정에는 시료1의 구리합금재를 제조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시료8∼10의 구리합금재를 형성했다.
(시료11∼20)
시료11∼20에서는, 이하의 표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조공정에 있어서의 주괴의 조성을, 시료1의 조성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외로 변경했다. 그 이외의 공정에는 시료1의 구리합금재를 제조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시료11∼20의 구리합금재를 형성했다.
(시료21)
시료21에서는, 이하의 표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조공정에 있어서의 주괴내에 소정의 범위를 초과하는 함유량으로 Zn을 함유시켰다. 그 이외의 공정에는 시료1의 구리합금재를 제조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시료21의 구리합금재를 형성했다.
(시료22∼25)
시료22∼25에서는, 주조공정에 있어서의 주괴의 조성을 시료1의 조성과 동일하게 했다. 한편 이하의 표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냉간압연공정, 열처리공정 및 제2냉간압연공정의 조건을, 시료1의 조건으로부터 소정의 범위내에서 변경했다.
(시료26∼30)
시료26∼30에서는, 주조공정에 있어서의 주괴의 조성을 시료1의 조성과 동일하게 했다. 한편 이하의 표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냉간압연공정, 열처리공정 및 제2냉간압연공정의 조건을, 시료1의 조건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외로 변경했다.
<평가>
시료1∼30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평가를 했다.
(도전율의 평가)
도전율은, JIS H0505에 준거한 도전율 측정방법에 의하여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1∼3에 나타낸다.
(강도의 평가)
인장강도(引張强度), 0.2% 내력은, JIS Z2241에 준거한 인장시험 방법에 의하여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1 및 3에 나타낸다.
(땜납 밀착성의 평가)
이하의 방법으로 땜납 내열박리시험(solder 耐熱剝離試驗)을 실시했다. 우선 두께 0.25mm의 각 시료로부터 폭 10mm, 길이 30mm의 시험편(試驗片)을 채취했다. 다음에 260℃에서 용융상태로 유지된 Pb프리 땜납(Pb-free solder)(Sn-3질량% Ag-0.5질량% Cu)에 침지(浸漬)시켜서 시험편의 표면에 땜납층을 형성했다. 이 시험편을 온도 180℃에서 100시간 가열하여 유지했다. 다음에 시험편을 180°의 구부림과 복원을 하고, 구부리고 복원한 부분의 테이프 박리시험(tape 剝離試驗)을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또 이하의 표1에 있어서, 표1에 기재되어 있는 각각의 구리합금재를 구성하는 원소 이외의 잔부는 Cu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표1]
Figure pat00001
[표2]
Figure pat00002
[표3]
Figure pat00003
<평가결과>
표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료1∼7은,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의 Fe와,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의 Ni와,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의 P와,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Mg를 함유하고, 잔부가 Cu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Ni에 대한 Fe의 질량비(Fe/Ni)가 5 이상 10 이하인 구리합금으로 했다. 그 결과 시료1∼7에서는, 도전율이 75% IACS 이상이며, 인장강도가 550MPa 이상이며, 0.2% 내력이 500MPa 이상이었다. 따라서 시료1∼7의 구리합금재는 상기 조성을 구비함으로써, 고도전성 및 고강도를 양립시킬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시료8∼10은,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의 Fe와,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의 Ni와,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의 P와,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Mg와, 0.001질량% 이상 0.005질량% 이하의 Zn을 함유하고, 잔부가 Cu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Ni에 대한 Fe의 질량비(Fe/Ni)가 5 이상 10 이하인 구리합금으로 했다. 그 결과 시료8∼10에서는, 도전율이 75% IACS 이상이며, 인장강도가 550MPa 이상이며, 0.2% 내력이 500MPa 이상이었다. 따라서 시료8∼10의 구리합금재는 상기 조성을 구비함으로써, 고도전성 및 고강도를 양립시킬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여기에서 표1에 있어서, Fe의 함유량에 대해서 시료1∼7, 시료11∼13을 비교한다. Fe의 함유량을 0.2질량% 미만으로 한 시료11 및 12에서는, 0.2% 내력이 500MPa보다 낮았다. Fe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Fe-P화합물의 석출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었다고 생각된다. 한편 Fe의 함유량이 0.6질량%를 초과한 시료13에서는, 도전율이 75% IACS 미만이었다. 따라서 Fe의 함유량은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표1에 있어서, Ni의 함유량에 대해서 시료1∼7, 시료12∼14를 비교한다. Ni의 함유량을 0.02질량% 미만으로 한 시료12에서는, 0.2% 내력이 500MPa보다 낮았다. Ni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Ni-P화합물의 석출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었다고 생각된다. 한편 Ni의 함유량이 0.06질량%를 초과한 시료13 및 14에서는, 도전율이 75% IACS 미만이었다. 따라서 Ni의 함유량은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표1에 있어서, P의 함유량에 대해서 시료1∼7, 시료15 및 16을 비교한다. P의 함유량을 0.07질량% 미만으로 한 시료15에서는, 0.2% 내력이 500MPa보다 낮았다. P의 함유량이 적은 경우에도, Fe 또는 Ni의 함유량이 적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P화합물의 석출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강도가 불충분하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한편 P의 함유량이 0.3질량%를 초과한 시료16에서는, 도전율이 75% IACS 미만이었다. P의 함유량이 많은 경우에도, Fe 또는 Ni의 함유량이 많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되어 도전율이 저하되어 있었다. 따라서 P의 함유량은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표1에 있어서, Mg의 함유량에 대해서 시료1∼7, 시료17 및 18을 비교한다. Mg의 함유량을 0.01질량% 미만으로 한 시료17에서는, 0.2% 내력이 500MPa보다 낮았다. Mg를 첨가하는 것에 의한 강도의 향상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한편 Mg의 함유량이 0.2질량%를 초과한 시료18에서는, 도전율이 75% IACS 미만이었다. Mg는 도전성을 저하시키는 영향이 비교적 적은 성분이지만, 시료18과 같이 Mg의 함유량이 많은 경우에, Mg에 의한 도전성을 저하시키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Mg의 함유량은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표1에 있어서, Ni에 대한 Fe의 질량비(Fe/Ni)에 대해서 시료1∼7, 시료19 및 20을 비교한다. 질량비(Fe/Ni)를 5 미만으로 한 시료19에서는, 도전율이 75% IACS 미만이었다. 한편 질량비(Fe/Ni)가 10을 초과한 시료20에서는, 0.2% 내력이 500MPa보다 낮았다. 따라서 질량비(Fe/Ni)는 5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표2에 있어서, Zn의 함유에 대해서 시료1, 8∼10, 21을 비교한다. Zn의 함유량을 0.001질량% 이상 0.005질량% 이하로 한 시료8∼10에서는, 땜납 밀착성의 평가에 있어서 박리가 보이지 않아, 납땜성이 향상되어 있었다. 또한 도전율이 75% IACS 이상으로서, Zn을 함유하는 것에 의한 도전율의 저하는 보이지 않았다. 이에 대하여 Zn을 함유하지 않은 시료1에서는, 땜납 밀착성의 평가에 있어서 일부 박리가 보였다. 한편 Zn의 함유량이 0.005질량%를 초과한 시료21에서는, 땜납 밀착성의 평가에 있어서 박리는 보이지 않았지만, 도전율이 75% IACS 미만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납땜성을 향상시키는 경우에는 구리합금재에 Zn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Zn의 함유량은 0.001질량% 이상 0.00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표3에 있어서,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시료1, 22∼30을 비교한다.
표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료1, 22∼25에서는, 제1냉간압연공정에 있어서의 최후의 냉간압연의 가공도를 15% 이상 60% 이하로 하고, 열처리공정에 있어서 380℃ 이상 450℃ 이하의 온도에서 3시간 이상 가열하고, 제2냉간압연공정에 있어서의 총가공도를 70% 이상으로 했다. 그 결과 시료1, 22∼25에서는, 도전율이 75% IACS 이상이며, 0.2% 내력이 500MPa 이상이었다. 따라서 시료1, 22∼25에서는 상기와 같은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고도전성 및 고강도를 양립시킬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여기에서 표3에 있어서, 제1냉간압연공정에 있어서의 최후의 냉간압연의 가공도에 대해서 시료1, 22∼25, 시료26 및 27을 비교한다. 제1냉간압연공정에 있어서의 최후의 냉간압연의 가공도를 15% 미만으로 한 시료26에서는, 0.2% 내력이 500MPa보다 낮았다. 피압연재 중에 격자결함이 유입되지 않아, P화합물이 충분히 석출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제1냉간압연공정에 있어서의 최후의 냉간압연의 가공도가 60%를 초과한 시료27에서는, 0.2% 내력이 500MPa보다 낮았다. 피압연재 내부에 과잉의 변형이 축적되어, 후공정의 열처리공정에서 피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해 버렸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제1냉간압연공정에 있어서의 최후의 냉간압연의 가공도는 15% 이상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표3에 있어서, 열처리공정의 온도에 대해서 시료1, 22∼25, 시료28 및 29를 비교한다. 열처리공정의 온도를 380℃ 미만으로 한 시료28에서는, 도전율이 75% IACS 미만이었다. 온도가 낮았기 때문에 Fe-P화합물 또는 Ni-P화합물을 충분히 분산 석출시킬 수 없어, Fe 또는 Ni가 열처리재 중에 고용되는 양이 증가하였다고 생각된다. 한편 열처리공정의 온도가 450℃를 초과한 시료29에서는, 0.2% 내력이 500MPa보다 낮았다. 온도가 높았기 때문에 열처리공정의 대상인 제1냉간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해 버렸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열처리공정의 온도는 380℃ 이상 4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표3에 있어서, 제2냉간압연공정에 있어서의 총가공도에 대해서 시료1, 22∼25, 시료 30을 비교한다. 제2냉간압연공정에 있어서의 총가공도를 70% 미만으로 한 시료 30에서는, 0.2% 내력이 500MPa보다 낮았다. 제2냉간압연공정의 대상인 열처리재의 가공경화가 불충분했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제2냉간압연공정에 있어서의 총가공도는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고도전성 및 고강도를 양립시킨 구리합금재 및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바람직한 태양>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대해서 부기(附記)한다.
[부기1]
본 발명의 1태양에 의하면,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의 철과,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의 니켈과,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의 인과,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잔부가 구리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도전율이 75% IACS 이상이며,
0.2% 내력이 500MPa 이상인
구리합금재가 제공된다.
[부기2]
부기1에 기재되어 있는 구리합금재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니켈에 대한 상기 철의 질량비가 5 이상 10 이하이다.
[부기3]
부기1 또는 2에 기재되어 있는 구리합금재로서, 바람직하게는
인장강도가 550MPa 이상이다.
[부기4]
부기1∼3 중에서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구리합금재로서, 바람직하게는
0.001질량% 이상 0.005질량% 이하의 아연을 더 함유한다.
[부기5]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주괴를 주조하는 주조공정과,
상기 주괴에 열간압연을 하여 열간압연재를 형성하는 열간압연공정과,
상기 열간압연재에 냉간압연을 하여 제1냉간압연재를 형성하는 제1냉간압연공정과,
상기 제1냉간압연재에 열처리를 하여 열처리재를 형성하는 열처리공정과,
상기 열처리재에 냉간압연을 하여 제2냉간압연재를 형성하는 제2냉간압연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주조공정에서는,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의 철과,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의 니켈과,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의 인과,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잔부가 구리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상기 주괴를 주조하고,
상기 제1냉간압연공정에서는,
상기 열간압연재에 대한 상기 냉간압연과, 피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의 소둔을 소정의 횟수만큼 교대로 반복하여 하는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부기6]
부기5에 기재되어 있는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냉간압연공정에서는,
최후의 소둔후에 이루어지는 최후의 냉간압연을 15% 이상 60% 이하의 가공도로 한다.
[부기7]
부기5 또는 6에 기재되어 있는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냉간압연재를, 380℃ 이상의 온도로서, 상기 제1냉간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가열한다.
[부기8]
부기5∼7 중에서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처리공정에서는,
상기 제1냉간압연재를 450℃ 이하의 온도에서 가열한다.
[부기9]
부기5∼8 중에서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처리공정에서는,
상기 제1냉간압연재를 3시간 이상 가열한다.
[부기10]
부기5∼9 중에서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냉간압연공정에서는,
70% 이상의 총가공도로 상기 냉간압연을 한다.
[부기11]
부기5∼10 중에서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냉간압연공정에서는,
85% 이하의 총가공도로 상기 냉간압연을 한다.
[부기12]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의하면,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의 철과,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의 니켈과,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의 인과,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잔부가 구리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도전율이 75% IACS 이상이며, 0.2% 내력이 500MPa 이상인 기재를
구비하는
리드프레임이 제공된다.
[부기13]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의하면,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의 철과,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의 니켈과,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의 인과,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잔부가 구리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도전율이 75% IACS 이상이며, 0.2% 내력이 500MPa 이상인 도체부를
구비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Claims (11)

  1.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의 철(鐵)과,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의 니켈(nickel)과,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의 인(燐)과,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마그네슘(magnesium)을 함유하고, 잔부(殘部)가 구리(銅) 및 불가피 불순물(不可避 不純物)로 이루어지고,
    도전율(導電率)이 75% IACS(International Annealed Copper Standard) 이상이며,
    0.2% 내력(耐力)이 500MPa 이상인
    구리합금재(銅合金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에 대한 상기 철의 질량비(質量比)가 5 이상 10 이하인
    구리합금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0.001질량% 이상 0.005질량% 이하의 아연(亞鉛)을 더 함유하는
    구리합금재.
  4. 도전율이 75% IACS 이상이며, 0.2% 내력이 500MPa 이상인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으로서,
    주괴(鑄塊)를 주조(鑄造)하는 주조공정(鑄造工程)과,
    상기 주괴에 열간압연(熱間壓延)을 하여 열간압연재(熱間壓延材)를 형성하는 열간압연공정(熱間壓延工程)과,
    상기 열간압연재에 냉간압연(冷間壓延)을 하여 제1냉간압연재(第1冷間壓延材)를 형성하는 제1냉간압연공정(第1冷間壓延工程)과,
    상기 제1냉간압연재에 열처리(熱處理)를 하여 열처리재(熱處理材)를 형성하는 열처리공정(熱處理工程)과,
    상기 열처리재에 냉간압연을 하여 제2냉간압연재를 형성하는 제2냉간압연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주조공정에서는,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의 철과,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의 니켈과,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의 인과,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잔부가 구리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상기 주괴를 주조하고,
    상기 제1냉간압연공정에서는,
    상기 열간압연재에 대한 상기 냉간압연과, 피압연재(被壓延材)에 재결정(再結晶)이 발생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의 소둔을 소정의 횟수만큼 교대로 반복하여 하는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간압연공정에서는,
    최후의 소둔후에 이루어지는 최후의 냉간압연을 15% 이상 60% 이하의 가공도(加工度)로 하는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공정에서는,
    상기 제1냉간압연재를, 380℃ 이상의 온도로서, 상기 제1냉간압연재에 재결정이 발생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가열하는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냉간압연공정에서는,
    70% 이상의 총가공도(總加工度)로 상기 냉간압연을 하는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
  8.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의 철과,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의 니켈과,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의 인과,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잔부가 구리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도전율이 75% IACS 이상이며, 0.2% 내력이 500MPa 이상인 기재(基材)를 구비하는
    리드프레임(lead frame).
  9.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의 철과,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의 니켈과,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의 인과,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잔부가 구리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도전율이 75% IACS 이상이며, 0.2% 내력이 500MPa 이상인 도체부(導體部)를 구비하는
    커넥터(connector).
  10.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의 철과,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의 니켈과,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의 인과,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마그네슘과, 0.001질량% 이상 0.005질량% 이하의 아연을 함유하고, 잔부가 구리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도전율이 75% IACS 이상이며, 0.2% 내력이 500MPa 이상인 기재를 구비하는
    리드프레임.
  11. 0.2질량% 이상 0.6질량% 이하의 철과, 0.02질량% 이상 0.06질량% 이하의 니켈과, 0.07질량% 이상 0.3질량% 이하의 인과,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의 마그네슘과, 0.001질량% 이상 0.005질량% 이하의 아연을 함유하고, 잔부가 구리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도전율이 75% IACS 이상이며, 0.2% 내력이 500MPa 이상인 도체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KR1020150081082A 2014-06-27 2015-06-09 구리합금재,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 리드프레임 및 커넥터 KR201600016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33154A JP5688178B1 (ja) 2014-06-27 2014-06-27 銅合金材、銅合金材の製造方法、リードフレームおよびコネクタ
JPJP-P-2014-133154 2014-06-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634A true KR20160001634A (ko) 2016-01-06

Family

ID=5282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082A KR20160001634A (ko) 2014-06-27 2015-06-09 구리합금재,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 리드프레임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88178B1 (ko)
KR (1) KR20160001634A (ko)
CN (1) CN105316518A (ko)
TW (1) TW2016006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96512A (zh) * 2022-12-25 2023-04-04 中国兵器科学研究院宁波分院 高精密蚀刻引线框架用铜合金材料的制备方法
CN116197235B (zh) * 2023-04-28 2023-06-30 太原晋西春雷铜业有限公司 一种c19400和c19210铸锭混合热轧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6696B1 (ja) 1998-06-25 1999-10-04 日立電線株式会社 高強度・高導電性銅合金およびその加工方法
JP2012001781A (ja) 2010-06-18 2012-01-05 Hitachi Cable Ltd 電気・電子部品用銅合金材、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5532A (en) * 1984-08-31 1986-08-12 Olin Corporation Copper alloys having an improved combination of strength and conductivity
JP3838521B1 (ja) * 2005-12-27 2006-10-2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強度および優れた曲げ加工性を備えた銅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75447B2 (ja) * 2006-03-30 2012-11-21 Dowaメタルテック株式会社 Cu−Fe−P−Mg系銅合金および製造法並びに通電部品
JP2013231224A (ja) * 2012-05-01 2013-11-14 Sh Copper Products Co Ltd 曲げ加工性に優れた電気・電子部品用銅合金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6696B1 (ja) 1998-06-25 1999-10-04 日立電線株式会社 高強度・高導電性銅合金およびその加工方法
JP2012001781A (ja) 2010-06-18 2012-01-05 Hitachi Cable Ltd 電気・電子部品用銅合金材、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11437A (ja) 2016-01-21
CN105316518A (zh) 2016-02-10
TW201600617A (zh) 2016-01-01
JP5688178B1 (ja)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6048B2 (ja) 曲げ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銅合金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699701B2 (ja) 易加工高力高導電性銅合金
JP5461711B2 (ja) 高強度、高伝導性を有する銅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233818A (en) Copper alloy for electronic and/or electrical device, copper alloy thin plate, and conductive member
JP5140045B2 (ja) 電子材料用Cu−Ni−Si系合金板又は条
JP5192536B2 (ja) 深絞り加工性及び耐疲労特性に優れたCu−Ni−Si系銅合金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24999A (ja) 耐力および曲げ加工性に優れたCu−Ni−Si系銅合金板材
JP4503696B2 (ja) 曲げ加工性に優れた銅合金板からなる電子部品
JP2004315940A (ja) Cu−Ni−Si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270242A1 (en) Copper alloy material for electric and electronic apparatuses, and electric and electronic components
KR20160003555A (ko) 구리합금재,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 리드프레임 및 커넥터
JP2002266042A (ja) 曲げ加工性が優れた銅合金板
KR101688300B1 (ko) 강도, 내열성 및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Fe-P계 구리 합금판
JP2010222624A (ja) 銅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5150908B2 (ja) コネクタ用銅合金とその製造法
JP2006200042A (ja) 曲げ加工性に優れた銅合金板からなる電子部品
JP4186095B2 (ja) コネクタ用銅合金とその製造法
KR20160001634A (ko) 구리합금재, 구리합금재의 제조방법, 리드프레임 및 커넥터
JP2001279347A (ja) 曲げ加工性および耐熱性に優れた高強度銅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1714185A (zh) 電子零件用Cu-Co-Ni-Si合金
JP2011190469A (ja) 銅合金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15935A (ja) 銅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6246454B2 (ja) Cu−Ni−Si系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2733117B2 (ja) 電子部品用銅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211078A (ja) Cu−Ni−Si系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