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357U -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 - Google Patents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357U
KR20160001357U KR2020140007546U KR20140007546U KR20160001357U KR 20160001357 U KR20160001357 U KR 20160001357U KR 2020140007546 U KR2020140007546 U KR 2020140007546U KR 20140007546 U KR20140007546 U KR 20140007546U KR 20160001357 U KR20160001357 U KR 201600013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bsorbent member
main body
absorbing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1099Y1 (ko
Inventor
황길연
Original Assignee
황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길연 filed Critical 황길연
Priority to KR2020140007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099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3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3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0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Landscapes

  • Carp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 또는 다른 매체에 존재하는 수분, 먼지, 오물 등을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는 흡수부재를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하여 사용자 및 실내를 최상의 청결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를 제공한다.
그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는, 설치 위치에 배치되고 각각의 변을 형성하며 일정 높이를 갖는 주변부(11;12;13;14)를 구비하며 각각의 주변부(11;12;13;14)에 의해 일정 깊이의 수용부(15)가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수용부(15)에 하나 또는 2개 이상 접착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부재(20); 및 사용자로부터 제거되는 수분을 통과시키고 상기 본체(10)의 수용부(15)에 제거가능하게 삽입되며 하부면이 상기 고정부재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포대형 몸체(31)와, 상기 몸체(31)에 내포되어 상기 몸체(31)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재(32)로 이루어진 흡수부재(3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Mat with Replacement Absorption Member}
본 고안은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 또는 다른 매체에 존재하는 수분, 먼지, 오물 등을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는 흡수부재를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하여 사용자 및 실내를 최상의 청결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은 물론 대부분의 영업장 또는 건물에는 실외에서 실내로 연결되는 현관 또는 문 앞에는 깔판 또는 매트가 구비되어 있어 외부에서 출입하는 사람들의 신발에 묻어 있는 흙, 먼지 또는 오물을 일시적으로 제거하고 있다.
이 같은 매트들은 대부분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솔 또는 돌기 형태를 구비하거나 또는 역시 연질 또는 소프트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어 출입자가 자신의 신발을 털거나 닦으므로서 먼지 또는 오물을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매트 또는 깔판은 주로 출입자의 신발에 묻어 있는 흙 또는 오물을 제거할 뿐 수분 또는 빗물 등을 제거하거나 씻어내지 못하므로 실내를 청결하게 유지하지 못함은 물론 위생상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인 매트와 달리 빗물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다른 하나의 종래예로서 실용신안 등록 제20-0329243호에 개시된 실내용 현관매트가 있다. 그 실내용 현관매트는, 흡습기능을 강화한 보루지 또는 압착펄프로 구성된 매트의 하단에 양면접착 테이프를 붙여 바닥 면과 밀착되게 설치했다가 적정 이상의 습윤상태가 되면 제거하고 새 매트를 설치하며, 사용한 젖은 매트는 물기를 제거한 후 재활용 폐기물로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비 오는 날 외부 현관매트에서 1차로 신발에 묻은 오물이나 물기를 닦게 하고, 실내로 들어올 때 흡수성이 뛰어난 매트에 다시 한 번 물기를 닦게 하여 나머지 물기를 완전히 흡수함으로써 실내 바닥에 발자국이 남지 않게 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 같은 현관 매트는 보루지 또는 압착펄프로 구성된 매트 자체가 외부로 무질서하게 노출되어 있어 장기간 사용시 실내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양면 접착테이프를 이용하므로 수분의 흡수시 접착력이 저하되어 시간이 경과하거나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분리되어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흡수한 수분의 양 또는 정도를 정확히 인지하거나 감지할 수 없어 보루지 또는 압착펄프를 적절한 시기에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 주변처리가 되어있지 않아 사용자가 걸려 넘어지거나 필요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없어 외관 및 위생상 악영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신발의 먼지 특히 수분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제거 및 흡수하고, 흡수부재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흡수된 수분의 양 또는 정도를 정확히 인식하여 적합한 교체시기를 제공할 수 있고, 주변이 매끄럽게 처리되어 외관 및 안전상 유효하며, 필요시 흡수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위생적인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출입자의 신발로부터 수분을 취하여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에 있어서, 설치 위치에 배치되고 각각의 변을 형성하며 일정 높이를 갖는 주변부를 구비하며 각각의 주변부에 의해 일정 깊이의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하나 또는 2개 이상 접착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사용자로부터 제거되는 수분을 통과시키고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제거가능하게 삽입되며 하부면이 상기 고정부재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포대형 몸체와, 상기 몸체에 내포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재로 이루어진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가요성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주변부는 상기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각각의 외주변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벨크로 또는 합성섬유재로 형성되고; 상기 흡수부재의 몸체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스터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부직포로 형성되며, 상기 흡수재는 티슈 페이퍼(tissue paper), 액체-투과성 부직포 직물, 흡수 섬유, 미립자형 흡수 폴리머(SAP(Super Absorbent Polymer)), 흡수형 셀룰로오스 섬유, 분쇄 펄프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흡수부재의 몸체는 친수성 계면활성제가 표면 처리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나일론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제조된 액체-투과성 부직포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는 상기 흡수재가 충전된 상태에서 초음파 가공, 포인트-본드 가공 또는 바느질 가공에 의해 폐쇄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흡수재에는 흡수된 수분을 포획하거나 포수(捕水)하기 위한 보조제가 포함되고; 상기 보조제는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어 제조된 발포체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제의 함량은 상기 흡수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흡수부재의 몸체에는 흡수된 수분의 범위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표식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표식부는 염화코발트 잉크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표면에 인쇄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본체의 수용부에는 복수의 배수공이 천공되며, 상기 각각의 배수공은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수홈에 연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에 의하면, 본체가 가요성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설치 위치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본체의 주변부가 외부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거나 라운딩 처리되어 사용자의 출입을 방해하지 않음은 물론 외관을 매그럽게 유지하며, 고투수성 부직포로 형성된 몸체에 의해 수분의 수집 및 투과가 신속하고 안정적이며, 고 흡수성 흡수재 및 발포성 보조제에 의해 수분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흡수 및 포획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흡수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또한 사용된 흡수부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현저한 작용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선Ⅲ-Ⅲ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의 본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선Ⅴ-Ⅴ에 따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는 기본적으으로 본체(10)를 구비한다. 그 본체(10)는 정방형, 장방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며, 사이즈 또한 설치 장소 또는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 본체(10)는 설치 위치에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미끄러지거나 밀리지 않음은 물론 가요성 및 다소의 탄성을 지닐 수 있도록 가요성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체(10)는 각각의 변 또는 주위를 형성하는 주변부(11;12;13;14)가 형성된다. 각각의 주변부(11;12;13;14)는 일정하거나 동일한 두께 또는 높이를 갖는다.
또한, 각각의 주변부(11;12;13;14)는 본체(10)의 중심으로부터 각각의 주변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각각의 주변부(11;12;13;14)의 외주변에 걸리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전체적인 외관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각각의 주변부(11;12;13;14)가 일정 높이를 지님으로써 본체(10)의 중앙부에는 수용부(15)가 형성된다. 그 수용부(15)는 후술되는 흡수부재를 삽입식 또는 교체가능하게 착탈식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예컨대 각각의 주변부(11;12;13;14)의 높이 만큼의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5)에는 복수 또는 다수의 배수공(16)이 천공되어 있어 후술되는 흡수부재가 눌려지거나 가압되는 경우 그 흡수부재에 흡수된 물 또는 수분이 배출되게 한다.
또한, 본체(10)의 저면에는 각각의 배수공(16)을 통해 배출된 물이 매트 영역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배수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배수홈(17)은 물론 각각의 배수공(16)과 연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각각의 배수공(16)의 수 와 배수홈(17)의 수 및 깊이는 본체(10)의 강성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배수홈(17)이 횡으로만 배설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종방향 또는 방사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는 후술되는 흡수부재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20)를 포함한다.
그 고정부재(20)는 본체(10)의 수용부(15)에 하나 또는 2개 이상 접착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고정부재(20)는 후술되는 흡수부재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벨크로 또는 다른 합성섬유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고정부재(20)가 수용부(15)에 병렬로 배치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체(10) 또는 매트의 사이즈에 따라 그 개수 및 배치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음은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니다.
특히,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는 흡수부재(30)를 포함한다. 그 흡수부재(30)는 본체(10)의 수용부(15)에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배치됨은 물론 사용자의 신발이 충분하게 접촉하도록 그 수용부(15)의 깊이 이상의 두께를 지니도록 형성된다.
그 흡수부재(30)는 내부에 충전공간을 구비하고 본체(10)의 수용부(15)에 수용되며 각각의 고정부재(20)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포대형 몸체(31)를 구비한다.
그 몸체(31)는 사용자의 신으로부터 수분은 물론 미세 분진 또는 토분을 통과시키고 신발의 세정기능을 구비하며 고정부재(20)에 용이하게 착탈가능하도록 섬유재 또는 섬유질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특히, 본 고안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그 포대형 몸체(31)는 투수성이 우수한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몸체(31)를 형성하는 부직포는 섬유를 평행 또는 부정방향으로 배열하여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고 섬유집합체를 결속시켜 펠트형을 이룬 것으로서 여과성, 보온성, 흡수성, 보수성 등의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몸체(31)를 형성하는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 과 폴리에스터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부직포는 주름이 생기지 않고, 형태가 안정적으로 적용성이 우수하며, 단부 또는 주변이 풀리지 않고, 강도가 우수하다. 특히, 섬유와 수지의 결합으로 기공구조를 조절하여 수분 또는 미세입자의 투과성을 조절할 수 있고, 원활한 다밀성 구조로서 성형성이 우수하며, 또한 고흡수성 및 고보수성을 지니는 특성을 갖는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31)는 사용자의 신발로부터 습기 및 미세 먼지를 즉시적으로 포획하여 내부로 이동시키도록, 친수성 계면활성제가 표면 처리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나일론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제조된 액체-투과성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몸체(31)를 포대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기술로서 후술되는 흡수재를 내부에 충전한 후 초음파 가공, 포인트-본드 가공 또는 바느질 가공이 후속되어 그 몸체(31)가 밀폐형으로 완성되는 것이다.
한편, 흡수부재(30)는 몸체(31)의 내부에 충진되어 그 몸체(31)를 통해 유입되는 수분 및 미세먼지를 흡수하여 내포하기 위한 흡수재(32)를 포함한다.
그 흡수재(32)는 우수한 수분 흡수 성능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흡수재(32)로서 티슈 페이퍼(tissue paper), 액체-투과성 부직포 직물, 흡수 섬유, 미립자형 흡수 폴리머(SAP(Super Absorbent Polymer)), 흡수형 셀룰로오스 섬유, 분쇄 펄프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흡수재(32)에 의해 흡수된 수분을 포획하거나 포수(捕水)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제가 포함될 수 있다. 그 보조제는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발포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보조제의 양은 흡수재(32)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보조제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수분 포획성이 저하될 수 있는 반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조비가 상승되거나 과도한 수분 포획으로 인해 오염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제의 함량은 흡수재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7.5 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고안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흡수부재(30)에 설정된 범위 이상의 수분이 흡수되어 유지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표식부(3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표식부(33)는 흡수부재(30)의 몸체(31)의 표면에 인쇄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그 표식부(33)는 실제적으로 흡수재(32)에 예정된 범위 이상의 수분이 흡수되어 유지되는 경우 변색되거나 사라지는 물성 또는 기능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변색 기능 물질로서 염화코발트 잉크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의 사용방법 및 그 작용모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는, 제한적이진 않지만, 예컨대 사업장, 건물 또는 가정의 현관에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치시 매트의 본체(10)가 가요성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됨으로써 설치 장소의 형상에 적합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트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본체(10)의 각각의 주변부(11;12;13;14)가 본체(10)의 중심으로부터 각각의 주변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그 매트 위를 지나거나 밟는 사용자의 발이 걸리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전체적인 외관을 매끄럽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매트가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젖은 신발을 신고 매트를 밟거나 그 매트에 신발을 접촉시키면, 그 신발의 바닥 또는 외면에 있는 수분 또는 습기가 그 매트의 흡수부재(30)의 부직포형 몸체(31)위로 떨어지거나 그 몸체에 의해 씻겨진다.
이와 같이 몸체(31) 표면으로 떨어지거나 수집된 수분 또는 물기는 부직포형 고투수성 몸체(31)를 통과한 후 흡수재(32)에 의해 흡수된다. 이때, 미세 분진 또는 먼지도 허용범위에서 몸체(31)를 통과하여 흡수재(32)에 흡수된다.
한편, 흡수재(32)에 흡수된 수분은 그 흡수재(32)에 포함된 발포체형 보조제에 포획 또는 포수되어 흡수재의 흡수능력을 초기 상태로 유지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매트 또는 흡수부재(30)의 장기간 사용시 흡수재(32)에 임계량 이상의 수분이 흡수되어 있는 경우, 본체(10)의 수용부(15)에 복수 또는 다수의 배수공(16)이 천공되어 있어 일부의 수분은 각각의 배수공(16)을 통해 통과되고, 그 본체(10)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수홈(1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는 본체(10)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이 주변에 영향을 주지 않거나 수분의 배출이 허용되는 장소에 한정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흡수부재(30)에 허용치 이상의 수분이 흡수되어 수분이 상부면으로 상승되어 표식부(33)가 변색되거나 지워지면 사용자는 흡수부재(30)를 본체(10)로부터 제거하여 폐기하거나 재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흡수부재(30)의 일측부를 잡고 상방으로 당기면 그 흡수부재(30)는 본체(10)의 수용부(15)에 구비된 고정부재(20)로부터 분리되어 본체(10)로부터 해제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는 새로운 흡수부재(30)를 본체(10)의 수용부(15)에 배치한 상태에서 간단하게 누르거나 밟으면 그 부직포형 흡수부재(30)의 저면이 벨크로형 고정부재(2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본체(10)에 일체화를 이루게 됨으로써 새로운 준비상태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는, 설치 위치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의 출입을 방해하지 않으며, 흡수부재의 몸체에 의해 수분의 수집 및 투과가 신속하고 안정적이고, 수분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흡수 및 포획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흡수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또한 사용된 흡수부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10: 본체 11, 12, 13, 14: 주변부
15: 수용부 16: 배수공
17: 배수홈 20: 고정부재
30: 흡수부재 31: 몸체
32: 흡수재 33: 표식부

Claims (6)

  1. 출입자의 신발로부터 수분을 취하여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에 있어서,
    설치 위치에 배치되고 각각의 변을 형성하며 일정 높이를 갖는 주변부(11;12;13;14)를 구비하며 각각의 주변부(11;12;13;14)에 의해 일정 깊이의 수용부(15)가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수용부(15)에 하나 또는 2개 이상 접착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부재(20); 및
    사용자로부터 제거되는 수분을 통과시키고 상기 본체(10)의 수용부(15)에 제거가능하게 삽입되며 하부면이 상기 고정부재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포대형 몸체(31)와, 상기 몸체(31)에 내포되어 상기 몸체(31)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재(32)로 이루어진 흡수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가요성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주변부(11;12;13;14)는 상기 본체(10)의 중심으로부터 각각의 외주변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20)는 벨크로 또는 합성섬유재로 형성되고; 상기 흡수부재(30)의 몸체(31)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스터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부직포로 형성되며, 상기 흡수재(32)는 티슈 페이퍼(tissue paper), 액체-투과성 부직포 직물, 흡수 섬유, 미립자형 흡수 폴리머(SAP(Super Absorbent Polymer)), 흡수형 셀룰로오스 섬유, 분쇄 펄프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재(30)의 몸체(31)는 친수성 계면활성제가 표면 처리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나일론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제조된 액체-투과성 부직포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31)는 상기 흡수재(32)가 충전된 상태에서 초음파 가공, 포인트-본드 가공 또는 바느질 가공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32)에는 흡수된 수분을 포획하거나 포수(捕水)하기 위한 보조제가 포함되고; 상기 보조제는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어 제조된 발포체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제의 함량은 상기 흡수재(32)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재(30)의 몸체(31)에는 흡수된 수분의 범위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표식부(3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표식부(33)는 염화코발트 잉크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31)의 표면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수용부(15)에는 복수의 배수공(16)이 천공되며, 상기 각각의 배수공(16)은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수홈(17)에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
KR2020140007546U 2014-10-17 2014-10-17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 KR200481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546U KR200481099Y1 (ko) 2014-10-17 2014-10-17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546U KR200481099Y1 (ko) 2014-10-17 2014-10-17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57U true KR20160001357U (ko) 2016-04-27
KR200481099Y1 KR200481099Y1 (ko) 2016-08-11

Family

ID=55916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546U KR200481099Y1 (ko) 2014-10-17 2014-10-17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09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480A (ja) * 1989-07-07 1991-02-21 Nec Corp 転写帯電器
JPH11206695A (ja) * 1998-01-27 1999-08-03 Johnson Professional Co Ltd 土足マット
KR200330214Y1 (ko) * 2003-07-14 2003-10-17 류충곤 신발바닥의 물기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4947A (en) * 1997-11-14 1998-07-07 National Molding Corp. Anti-slip webbing adjus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480A (ja) * 1989-07-07 1991-02-21 Nec Corp 転写帯電器
JPH11206695A (ja) * 1998-01-27 1999-08-03 Johnson Professional Co Ltd 土足マット
KR200330214Y1 (ko) * 2003-07-14 2003-10-17 류충곤 신발바닥의 물기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099Y1 (ko)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96970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anitizing Feet And/Or Footwear
JP4829204B2 (ja) ペットの排泄物処理具
BRPI0417964B1 (pt) pano de limpeza para uso na limpeza de uma superfície
US7726260B1 (en) Absorbent pad for entrapping small and coarse particles, retaining liquids and eliminating odors
JP5388621B2 (ja) 敷物
KR102449684B1 (ko) 배변패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변패드
KR200481099Y1 (ko) 흡수부재 교체식 매트
JP6241909B2 (ja) ペット用吸収性シート
JP2012187380A (ja) マット
JP2006223206A (ja) ペット用マット
KR200469218Y1 (ko)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를 위한 블록 연결형 패드
KR200461164Y1 (ko)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를 위한 블록 연결형 패드
KR20120004948A (ko) 일회용 고양이 화장실
JP2007319101A (ja) ペット用吸収シート
TWM580383U (zh) Improved suction pad structure
JP3049223U (ja) 衛生マット
KR200359835Y1 (ko) 미끄럼 방지 매트
KR20120002895A (ko) 강아지배변통배변유도종이시트
KR102227246B1 (ko) 풋 드라이 기기
KR200330214Y1 (ko) 신발바닥의 물기 제거장치
JP2005096461A (ja) 吸収体及び該吸収体を使用するシーツ
JP3104823U (ja) 尿吸収シート
KR200329243Y1 (ko) 실내용 현관매트
JP3930514B2 (ja) 使い捨てマット
KR20190000596U (ko) 애완견 오줌 청소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