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246B1 - 풋 드라이 기기 - Google Patents

풋 드라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246B1
KR102227246B1 KR1020190102969A KR20190102969A KR102227246B1 KR 102227246 B1 KR102227246 B1 KR 102227246B1 KR 1020190102969 A KR1020190102969 A KR 1020190102969A KR 20190102969 A KR20190102969 A KR 20190102969A KR 102227246 B1 KR102227246 B1 KR 102227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ating pad
moisture
toes
rod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3160A (ko
Inventor
임주석
Original Assignee
임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주석 filed Critical 임주석
Priority to KR1020190102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2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워 후 물이 묻은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안착 패드; 상기 안착 패드의 상부에 돌출되며, 상기 안착 패드에 안착된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봉부재; 및 상기 안착 패드의 상부에 복수개가 적층되고, 상기 복수개의 봉부재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되며, 사용자의 발바닥 및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흡수하는 물기흡수천을 포함하되, 사용자의 발바닥 및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흡수하는데 사용된 물기흡수천은 상기 안착 패드의 상부에서 탈착되며, 상기 복수개의 봉부재는 상부단의 둘레면 및 상부면은 외측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봉부재의 하부단 둘레면은 내측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봉부재의 하부단 둘레면에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가 밀착되고, 상기 안착 패드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유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봉부재에는 상기 유동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봉부재의 둘레면 및 원주면에 복수개의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배출홀로 상기 유동유로로 유동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배출되어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드라이 기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안착 패드의 상부에 구비되는 물기흡수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바닥에 묻은 물기와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고, 사용된 물기흡수천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 다른 사용자가 사용한 물기흡수천을 재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풋 드라이 기기{Foot dryer}
본 발명은 풋 드라이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샤워 후 사용자의 발바닥 및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풋 드라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54970호에 기재된 배경기술을 참조하면, 사람의 발을 닦을 수 있도록 하는 발 매트(Mat)는 이미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발 매트는 소형 깔개로서, 외출 후 실내로 들어올 때 또는 샤워 등을 마치고 욕실에서 실내로 이동할 때, 땀 또는 물기가 실내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 현관이나 욕실 앞에 놓고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지금까지 알려진 현관 및 욕실용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매트는 대부분 수지재 등으로 바닥재 상에 땀과 물기를 흡수하는 면직물(Cotton cloth)을 여러 층으로 적층시킨 것으로 단순히 수분(땀과 물기)을 흡수하는 것에만 그 기능이 한정되고 있다.
즉, 지금까지의 매트는 깔개로서 면직물을 여러 층으로 적층시켜 사용자의 발로부터 땀과 물기를 흡수하도록 하지만, 매트를 사용할수록 면직물 자체가 눌려지고 면직물이 약해지면서 땀과 물기를 흡수하는 흡수성이 급속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다른 사람이 사용한 면직물을 함께 사용해야 함으로써 위생상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가 허리를 굽힌 상태에서 손으로 면직물을 발가락 사이에 넣어야 함으로써 편의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더하여, 매트 바닥재가 실내 바닥에서 미끄러지기 쉽기 때문에, 사용할 때 매트에 발을 밀착시키는 동작이 안정적이지 못한 어린이 등이 매트 사용 중에 미끄러져 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안착 패드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물기흡수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바닥에 묻은 물기를 간편하게 제거하고, 다른 사람이 사용한 물기흡수천을 재사용하지 않으며, 복수개의 봉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송풍 공기를 이용하여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제거하면서 건조시킬 수 있고, 복수개의 봉부재가 발가락 사이에 끼워져 사용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는 동작 등을 하지 않으면서 발바닥 및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풋 드라이 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샤워 후 물이 묻은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안착 패드; 상기 안착 패드의 상부에 돌출되며, 상기 안착 패드에 안착된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봉부재; 및 상기 안착 패드의 상부에 복수개가 적층되고, 상기 복수개의 봉부재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되며, 사용자의 발바닥 및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흡수하는 물기흡수천을 포함하되, 사용자의 발바닥 및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흡수하는데 사용된 물기흡수천은 상기 안착 패드의 상부에서 탈착되며, 상기 복수개의 봉부재는 상부단의 둘레면 및 상부면은 외측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봉부재의 하부단 둘레면은 내측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봉부재의 하부단 둘레면에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가 밀착되고, 상기 안착 패드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유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봉부재에는 상기 유동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봉부재의 둘레면 및 원주면에 복수개의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배출홀로 상기 유동유로로 유동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배출되어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드라이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풋 드라이 기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물기흡수천의 하부면에는 방수층이 코팅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풋 드라이 기기는 상기 안착 패드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안착 패드에 안착되는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압하는 복수개의 지압돌기로 이루어지는 지압돌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풋 드라이 기기는, 상기 안착 패드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안착 패드와 연결되며, 상기 안착 패드의 유동유로로 유동한 후 상기 복수개의 봉부재에 형성된 상기 배출홀로 배출되는 송풍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안착 패드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발이 상기 안착 패드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상기 감지 센서 및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며 상기 감지 센서가 사용자 발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면 상기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풋 드라이 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안착 패드의 상부에 구비되는 물기흡수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바닥에 묻은 물기와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고, 물기를 제거하는데 사용된 물기흡수천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 다른 사용자가 사용한 물기흡수천을 재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안착 패드의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봉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송풍 공기를 이용하여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빠른 시간 내에 제거하면서 발가락 사이를 간편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셋째,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는 불필요한 동작 없이 안착 패드의 상부에 안착함으로써 발바닥 및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건조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풋 드라이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풋 드라이 기기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풋 드라이 기기에 사용자의 발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풋 드라이 기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풋 드라이 기기(1000)는 안착 패드(1100)와, 복수개의 봉부재(1200)와, 복수개의 물기흡수천(130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안착 패드(1100)에는 샤워 후 물이 묻은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며, 상기 안착 패드(1100)는 사각판재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판재 형상이 아닌 원형판재 형상 또는 다각형의 판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안착 패드(1200)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봉부재(1200)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봉부재(1200)는 상기 안착 패드(1100)의 상부에 사용자의 발이 안착 시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봉부재(1200)는 상부단의 상부면은 외측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고, 하부단의 둘레면은 내측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봉부재(1200)가 상부단의 상부면이 외측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봉부재(1200)가 발가락 사이에 끼워지는 것이 용이하게 되며, 하부단의 둘레면이 내측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하부단의 둘레면에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가 편안한 상태로 밀착되게 된다.
상기 안착 패드(1100)의 상부에는 물기흡수천(1300)이 구비되며, 상기 물기흡수천(1300)은 복수개가 상기 안착 패드(1100)의 상부에 적층되어 사용자의 발바닥 및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물기흡수천(1300)은 부직포 또는 일반적인 수건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분흡수력이 우수한 면직물이나 일부 합성섬유가 혼합된 기타 천 제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물기흡수천(1300)에는 상기 복수개의 봉부재(1200)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공(1320)이 형성된다.
상기 물기흡수천(1300)에 복수개의 상기 봉부재(1200)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공(1320)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봉부재(1200)가 상기 복수개의 삽입공(132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물기흡수천(1300)을 상기 안착 패드(1100)의 상부에 간단하게 고정하게 된다.
상기 각각의 물기흡수천(1300)의 하부면에는 방수층(미도시)이 코팅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층(미도시)이 각각의 물기흡수천(1300)의 하부면에 코팅처리됨으로써 복수개가 적층된 후 최상부에 위치하는 물기흡수천(1300)이 사용자의 발바닥 및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흡수 시 흡수된 물기가 하부에 위치하는 물기흡수천(130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사용자의 발바닥 및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흡수하는데 사용된 물기흡수천(1300)은 사용자가 복수개의 삽입공(1320)을 복수개의 봉부재(1200)에서 이탈시킴으로써 간편하게 안착 패드(1100)의 상부면에서 탈착시킬 수 있어 다른 사용자가 재사용하는 것을 간편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풋 드라이 기기(1000)는 지압돌기부재(1400), 송풍기(1500), 감지 센서(1600), 제어부재(17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안착 패드(1100)에는 유동유로(1120)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봉부재(1200)에는 복수개의 배출홀(12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안착 패드(1100)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송풍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유로(11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복수개의 봉부재(1200)의 둘레면 및 원주면에는 상기 유동유로(1120)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배출홀(1220)이 형성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송풍 공기는 상기 유동유로(1120)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봉부재(1200)로 공급된 후 상기 배출홀(1220)을 통해 상기 봉부재(120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지압돌기부재(1400)는 상기 안착 패드(1100)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지압돌기부재(1400)는 상기 안착 패드(110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사용자의 발바닥을 눌러주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압돌기부재(1400)는 복수개의 지압돌기(14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압돌기부재(1400)는 발바닥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안착 패드(1100)는 연결부재(C)에 의해 송풍기(1500)와 연결되며, 상기 송풍기(1500)는 상기 안착 패드(1100)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C)를 통해 상기 안착 패드(1100)의 유동유로(1120)로 유동하여 상기 봉부재(1200)의 배출홀(1220)로 배출되는 송풍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착 패드(1100)의 일측면에는 상기 연결부재(C)가 연결되는 연결단(1140)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단(1140)에는 연결홀(1142)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홀(1142)은 상기 유동 유로(1120)와 연통되게 된다.
상기 연결홀(1142)이 상기 유동 유로(1120)와 연통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C)를 통해 상기 송풍기(1500)에서 공급되는 송풍 공기가 상기 유동유로(1120)로 공급되고, 송풍 공기는 상기 유동유로(1120)를 지나 상기 배출홀(12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를 건조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C)로는 시중에서 널리 사용되는 연결배관 또는 연결호스가 사용되며, 상기 송풍기(1500) 및 상기 연결부재(C)는 일반적인 것인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안착 패드(1100)에는 감지 센서(1600)가 구비되며, 상기 감지 센서(1600)는 상기 안착 패드(1100)에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감지 센서(1600)는 상기 지압돌기부재(1400)의 지압돌기(14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감지 센서(1600)로는 중량센서 및 압력센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 센서(1600) 및 상기 안착 패드(1100)로 송풍 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송풍기(1500)는 제어부재(1700)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재(1700)는 상기 감지 센서(1600)가 상기 안착 패드(1100)에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면 상기 송풍기(1500)를 자동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감지 센서(1600)가 안착 패드(1100)에 사용자 발의 안착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재(1700)는 상기 송풍기(1500)를 동작시키게 되고, 사용자의 발이 상기 안착 패드(1100)에서 탈착되면 상기 제어부재(1700)는 상기 송풍기(1500)의 동작을 중지시키게 된다. 상기 감지 센서(1600) 및 상기 제어부재(1700)의 연결관계 및 동작관계는 일반적인 것인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안착 패드(1100)에는 상기 중량센서 또는 압력센서가 감지한 중량 또는 압력을 표시하는 중량표시부(18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중량표시부(1800)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의 몸무게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안착 패드(1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물기흡수천(130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바닥에 묻은 물기와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고, 사용된 물기흡수천(1300)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 다른 사용자가 사용한 물기흡수천(1300)을 재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착 패드(1100)의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봉부재(1200)를 통해 배출되는 송풍 공기를 이용하여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빠른 시간 내에 제거하면서 발가락 사이를 간편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는 불필요한 동작 없이 안착 패드(1100)의 상부에 안착함으로써 발바닥 및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건조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 풋 드라이 기기 1100 : 안착 패드
1120 : 유동유로 1200 : 봉부재
1220 : 배출홀 1300 : 물기흡수천
1320 : 삽입공 1400 : 지압돌기부재
1420 : 지압돌기 1500 : 송풍기
1600 : 감지 센서 1700 : 제어부재

Claims (7)

  1. 샤워 후 물이 묻은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안착 패드;
    상기 안착 패드의 상부에 돌출되며, 상기 안착 패드에 안착된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봉부재; 및
    상기 안착 패드의 상부에 복수개가 적층되고, 상기 복수개의 봉부재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되며, 사용자의 발바닥 및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흡수하는 물기흡수천을 포함하되,
    사용자의 발바닥 및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흡수하는데 사용된 물기흡수천은 상기 안착 패드의 상부에서 탈착되며,
    상기 복수개의 봉부재는 상부단의 둘레면 및 상부면은 외측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봉부재의 하부단 둘레면은 내측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봉부재의 하부단 둘레면에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가 밀착되고,
    상기 안착 패드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유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봉부재에는 상기 유동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봉부재의 둘레면 및 원주면에 복수개의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배출홀로 상기 유동유로로 유동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배출되어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의 물기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드라이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물기흡수천의 하부면에는 방수층이 코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드라이 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 패드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안착 패드에 안착되는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압하는 복수개의 지압돌기로 이루어지는 지압돌기부재를 더 포함하는 풋 드라이 기기.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 패드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안착 패드와 연결되며, 상기 안착 패드의 유동유로로 유동한 후 상기 복수개의 봉부재에 형성된 상기 배출홀로 배출되는 송풍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풋 드라이 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착 패드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발이 상기 안착 패드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상기 감지 센서 및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며 상기 감지 센서가 사용자 발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면 상기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더 포함하는 풋 드라이 기기.
KR1020190102969A 2019-08-22 2019-08-22 풋 드라이 기기 KR102227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969A KR102227246B1 (ko) 2019-08-22 2019-08-22 풋 드라이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969A KR102227246B1 (ko) 2019-08-22 2019-08-22 풋 드라이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160A KR20210023160A (ko) 2021-03-04
KR102227246B1 true KR102227246B1 (ko) 2021-03-12

Family

ID=75174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969A KR102227246B1 (ko) 2019-08-22 2019-08-22 풋 드라이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2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119Y1 (ko) * 2005-11-18 2006-02-07 박굳건 수건 발매트
KR101173476B1 (ko) * 2012-03-26 2012-08-13 주식회사 에스앤에스패널 발 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869B1 (ko) * 2007-07-23 2009-04-30 김인수 발 건조기
KR20170029195A (ko) * 2015-09-07 2017-03-15 아신유니텍 (주) 발가락 분리 구조의 발 건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119Y1 (ko) * 2005-11-18 2006-02-07 박굳건 수건 발매트
KR101173476B1 (ko) * 2012-03-26 2012-08-13 주식회사 에스앤에스패널 발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160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4679A (en) Disposable absorbent mat structure for removal and retention of wet and dry soil
US20140141198A1 (en) Cushioned mat with apertured foam
US6114002A (en) Portable hygienic mat
KR102227246B1 (ko) 풋 드라이 기기
JP6027434B2 (ja) 吸水マット
KR102029897B1 (ko) 미끄럼 방지 패드
JP6001741B2 (ja) 滑り止めマット
KR101354970B1 (ko) 발매트
KR200430597Y1 (ko) 욕실용 슬리퍼 건조대
KR200359835Y1 (ko) 미끄럼 방지 매트
JP2003153785A (ja) 防水用床敷きマット
KR20120060387A (ko) 발 건조기
JP3184087U (ja) 生地を有するフロアマット
KR100784268B1 (ko) 비데 및 비데 제어방법
JP3142967U7 (ko)
KR200232490Y1 (ko) 욕실용 깔판
JPS6112863Y2 (ko)
KR200366189Y1 (ko) 매트
JPH0445581Y2 (ko)
JP3142967U (ja) スリッパ
KR20050111236A (ko) 미끄럼 방지 매트
JPS606306Y2 (ja) 湯上りマツト
KR200390840Y1 (ko) 발 매트
KR200301495Y1 (ko) 흡착기능을 갖는 다리미판
JP3192357U (ja) 水廻りマ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