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355A -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1355A KR20160001355A KR1020140079732A KR20140079732A KR20160001355A KR 20160001355 A KR20160001355 A KR 20160001355A KR 1020140079732 A KR1020140079732 A KR 1020140079732A KR 20140079732 A KR20140079732 A KR 20140079732A KR 20160001355 A KR20160001355 A KR 201600013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 return belt
- striking
- rotating roller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는: 연원료를 이송하고 귀환하는 리턴벨트를 향하여 액체를 분사하는 스프레이부; 및 리턴벨트를 타격하여 리턴벨트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턴벨트에 부착되는 부착광을 제거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는 다수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는 벨트에 의해 다량의 수송물을 이송시키는 장치로, 주로 이송장치나 자동화 라인에 사용된다. 또한 벨트컨베이어는 제철산업에서 철광석 및 석탄과 같은 원료를 이송시키는데 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8014호(2010.11.04 공개, 발명의 명칭: 벨트 컨베이어)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리턴벨트에 부착되는 부착광을 제거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는: 연원료를 이송하고 귀환하는 리턴벨트를 향하여 액체를 분사하는 스프레이부; 및 상기 리턴벨트를 타격하여 상기 리턴벨트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진동부는, 회전하는 회전롤러; 및 상기 회전롤러 상에 복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리턴벨트를 타격하는 타격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타격봉은 상기 회전롤러 상에 이격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타격봉은 하부에 회전롤러와 접하는 하부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지지부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회전롤러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롤러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부지지부가 지나가는 가이드로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는, 리턴벨트에 부착된 부착광을 제거하여 벨트컨베이어의 양측에 설치되는 풀리가 부착광에 의하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풀리가 부착광에 의하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풀리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풀리의 사용 수명을 연장함으로써, 유지보수에 사용되는 자재비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에서 타격봉의 이동과 착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에 타격봉이 회전롤러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에 타격봉이 회전롤러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에서 타격봉의 이동과 착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에 타격봉이 회전롤러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에 타격봉이 회전롤러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에서 타격봉의 이동과 착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에 타격봉이 회전롤러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에 타격봉이 회전롤러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벨트컨베이어(1)는 연원료(2)를 이송하는 이송벨트(5)와 귀환하는 리턴벨트(6)를 포함한다. 벨트컨베이어(1)의 양측에는 각각 풀리(3)가 설치되어 풀리(3)가 회전함에 따라 이송벨트(5)와 리턴벨트(6)가 이동된다. 이송벨트(5)는 한 슈트(7)에서 연원료(2)를 공급받고, 다른 슈트(7)로 연원료(2)를 이송한다. 이때 연원료(2)를 이송하고 귀환하는 리턴벨트(6)에 수분이 있거나, 연원료(2)가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면 연원료(2)가 리턴벨트(6)에 부착된다. 여기서, 리턴벨트(6)에 부착되는 연원료(2)를 부착광(8)이라 한다. 리턴벨트(6)에는 복수의 롤러부재(4)가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는 스프레이부(10) 및 진동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프레이부(10)는 연원료(2)를 이송하고 귀환하는 리턴벨트(6)를 향하여 고압의 액체를 분사한다. 스프레이부(10)는 일정 크기의 액체수용부(11)와, 액체수용부(11)에서 액체를 공급받아 리턴벨트(6)를 향하여 고압의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부(12)를 포함한다. 노즐부(12)에서 고압의 액체를 리턴벨트(6)를 향하여 분사함으로써, 리턴벨트(6)에 부착된 부착광(8)이 리턴벨트(6)에서 떨어지게 된다. 고압의 액체가 리턴벨트(6)를 향하여 분사되어, 고압 액체의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리턴벨트(6)와 부착광(8)을 분리한다. 스프레이부(10)에서 분사되는 액체는 일상에서 사용되는 물이 사용될 수 있다.
진동부(20)는 스프레이부(10)를 지난 리턴벨트(6)를 타격하여 리턴벨트(6)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진동부(20)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의하여 리턴벨트(6)에 부착된 부착광(8)이 떨어지게 된다. 즉, 1차적으로 스프레이부(10)에 의하여 고압의 액체가 분사되어 리턴벨트(6)에 부착된 부착광(8)이 떨어지고, 2차적으로 진동부(20)에 의하여 리턴벨트(6)를 타격하고 진동을 발생시켜 리턴벨트(6)에 부착된 부착광(8)을 떨어뜨린다. 진동부(20)는 회전롤러(21)와, 타격봉(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롤러(21)는 리턴벨트(6)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직교되고, 풀리(3), 롤러부재(4)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회전롤러(21)는 모터(26)와 축연결되어, 모터(26)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일정 직경을 가지는 롤러로 이루어진다.
타격봉(22)은 회전롤러(21)의 표면에 복수개가 설치되고, 회전하는 회전롤러(21)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리턴벨트(6)의 하측면을 타격하여 리턴벨트(6)에 진동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진동부(20)는 회전롤러(21)와 타격봉(22)으로 이루어져, 타격봉(22)이 회전롤러(21)에 의하여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계속적으로 리턴벨트(6)의 하측면을 타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고, 진동에 의하여 리턴벨트(6)에 부착된 부착광(8)이 리턴벨트(6)로부터 분리되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타격봉(22)은 회전롤러(21) 상에 균등 간격 또는 불균등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다. 그리고, 타격봉(22)은 회전롤러(21)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복수개가 설치된다. 타격봉(22)을 회전롤러(21) 상에 복수개로 이격 설치함으로써, 리턴벨트(6)의 폭방향으로 충분한 타격이 이루어져 리턴벨트(6)의 전체로 진동이 전달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타격봉(22)을 회전롤러(21)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설치함으로써, 타격봉(22)이 리턴벨트(6)를 타격하는 간격이 회전롤러(21)의 길이방향으로 한줄로 형성된 것에 비하여 짧아지게 되어 계속적으로 리턴벨트(6)에 진동이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타격봉(22)이 회전롤러(21)의 길이방향과 원주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는 간격과 갯수는 리턴벨트(6)의 수명과 두께 등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타격봉(22)은 회전롤러(21)와 접하는 부분에 하부지지부(23)가 설치되고, 하부지지부(23)가 체결부재(25)에 의하여 회전롤러(21)에 고정된다. 하부지지부(23)는 회전롤러(21)의 곡면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체결부재(25)는 볼트, 핀 등으로 이루어져 하부지지부(23)와 회전롤러(21)를 복수개로 체결한다. 회전롤러(21)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체결공(29)이 형성되고, 체결부재(25)가 하부지지부(23)를 관통하여 체결공(29)에 체결된다. 또는, 체결부재(25)는 하부지지부(23)를 관통하고 회전롤러(21)의 표면을 가압하여 타격봉(22)이 회전롤러(21)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타격봉(22)은 체결부재(25)에 의하여 회전롤러(21)에 고정될 수 있고, 체결부재(25)를 해제하여 타격봉(22)를 회전롤러(21)에서 분리하거나 회전롤러(21)의 다른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타격봉(22)은 리턴벨트(6)의 폭에 따라서 하부지지부(23)가 회전롤러(21)에 접하는 위치를 변경하고, 체결부재(25)에 의하여 고정함으로써, 타격봉(22)이 회전롤러(21)에 고정되는 위치와 갯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리턴벨트(6)의 폭이 좁은 경우, 타격봉(22)이 회전롤러(21)에 설치되는 갯수를 줄인다. 작업장에 습기가 많은 경우 리턴벨트(6)를 타격하는 타격봉(22)의 갯수를 늘리고, 회전롤러(21)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간격을 좁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격봉(22)이 회전롤러(21)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간격을 좁게 하여 복수개가 배치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회전롤러(21)가 동일한 회전수와 시간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회전롤러(21)의 원주 상에 타격봉(22)이 많이 설치될수록 리턴벨트(6)를 타격하는 시간 간격이 짧아져 리턴벨트(6)에 부착된 부착광(8)이 더 잘 제거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회전롤러(21)의 표면에 타격봉(22)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조를 살펴본다.
회전롤러(21)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하부지지부(23)가 지나가는 가이드로드(24)가 형성된다. 가이드로드(24)는 회전롤러(21)의 외주면에 "┌ ┐"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하부지지부(23)가 가이드로드(24)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로드(24)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체결부재(25)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7)이 형성된다. 타격봉(22)의 위치가 결정되면, 체결부재(25)가 가이드로드(24)의 관통공(27)을 관통하여 하부지지부(23)를 회전롤러(21)에 고정한다. 관통공(27)은 가이드로드(24)에 가이드로드(2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지지부(23)는 가이드로드(24)에 의하여 측부가 지지되면서 가이드로드(24)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타격봉(2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작업장에 습기가 많은 경우 리턴벨트(6)를 타격하는 타격봉(22)의 갯수를 늘리고, 회전롤러(21)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간격을 좁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격봉(22)이 회전롤러(21)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간격을 좁게 하여 복수개가 배치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회전롤러(21)가 동일한 회전수와 시간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회전롤러(21)의 원주 상에 타격봉(22)이 많이 설치될수록 리턴벨트(6)를 타격하는 시간 간격이 짧아져 리턴벨트(6)에 부착된 부착광(8)이 더 잘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프레이부(10)와 진동부(20)는 리턴벨트(6)의 진행방향을 따라서 복수개가 배치된다. 스프레이부(10)와 진동부(20)가 배치되는 순서는 스프레이부(10), 진동부(20), 스프레이부(10), 진동부(20)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진동부(20), 스프레이부(10), 진동부(20), 스프레이부(10)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스프레이부(10)와 진동부(20)는 서로 순차적으로 교대로 설치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는, 스프레이부(10), 스프레이부(10), 진동부(20), 진동부(20) 순으로 배치되거나, 진동부(20), 진동부(20), 스프레이부(10), 스프레이부(10)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프레이부(10)와 진동부(20)의 배치순서와 배치 갯수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작업장의 습기 상태 및 리턴벨트(6)의 길이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작업장의 하부에는 스프레이부(10)와 진동부(20)의 작동에 의하여 리턴벨트(6)에서 분리된 부착광(8)을 수거하는 수거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를 참조하면, 연원료(2)를 이송하고 귀환하는 리턴벨트(6)의 표면에 부착광(8)이 부착되어 있다. 부착광(8)은 연원료(2)의 종류와 습기 등에 따라 부착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스프레이부(10)에서 고압의 액체를 리턴벨트(6)를 향하여 분사한다. 리턴벨트(6)에 부착된 부착광(8)은 고압으로 분사된 액체에 의하여 리턴벨트(6)에서 분리되어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스프레이부(10)에 의하여 1차적으로 부착광(8)이 제거된 리턴벨트(6)는 진동부(20)의 타격봉(22)에 의하여 타격되어 진동된다. 리턴벨트(6)가 진동됨으로써, 부착광(8)이 리턴벨트(6)에서 분리된다. 리턴벨트(6)가 진동되는 정도는 회전롤러(2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타격봉(22)의 간격과 갯수와 회전롤러(21)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는 타격봉(22)의 간격과 갯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는 모터(26)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롤러(21)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켜 리턴벨트(6)가 진동하는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타격봉(22)이 회전롤러(21)에 설치되는 간격은, 체결부재(25)와 하부지지부(23)가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결정되거나, 체결부재(25)가 가이드로드(24)의 관통공(27)을 관통하여 하부지지부(23)와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프레이부(10)와 진동부(20)는 리턴벨트(6)의 진행방향을 따라서 복수개가 설치된다.
스프레이부(10)와 진동부(20)가 순차적으로 교대로 작동하여 리턴벨트(6)에 부착된 부착광(8)을 제거할 수 있다. 스프레이부(10)와 진동부(20)는 랜덤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스프레이부(10)와 진동부(20)의 배치순서와 배치 갯수는 작업장의 습기 상태와 리턴벨트(6)의 길이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벨트컨베이어
2: 연원료
3: 풀리 4: 롤러부재
5: 이송벨트 6: 리턴벨트
7: 슈트 8: 부착광
10: 스프레이부 11: 액체수용부
12: 노즐부 20: 진동부
21: 회전롤러 22: 타격봉
23: 하부지지부 24: 가이드로드
25: 체결부재 26: 모터
27: 관통공 29: 체결공
3: 풀리 4: 롤러부재
5: 이송벨트 6: 리턴벨트
7: 슈트 8: 부착광
10: 스프레이부 11: 액체수용부
12: 노즐부 20: 진동부
21: 회전롤러 22: 타격봉
23: 하부지지부 24: 가이드로드
25: 체결부재 26: 모터
27: 관통공 29: 체결공
Claims (5)
- 연원료를 이송하고 귀환하는 리턴벨트를 향하여 액체를 분사하는 스프레이부; 및
상기 리턴벨트를 타격하여 상기 리턴벨트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회전하는 회전롤러; 및
상기 회전롤러 상에 복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리턴벨트를 타격하는 타격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봉은 상기 회전롤러 상에 이격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봉은 회전롤러와 접하는 부분에 하부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지지부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회전롤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부지지부가 지나가는 가이드로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9732A KR20160001355A (ko) | 2014-06-27 | 2014-06-27 |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9732A KR20160001355A (ko) | 2014-06-27 | 2014-06-27 |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1355A true KR20160001355A (ko) | 2016-01-06 |
Family
ID=55165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9732A KR20160001355A (ko) | 2014-06-27 | 2014-06-27 |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0135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315168A (zh) * | 2016-10-21 | 2017-01-11 |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胶带机回程段撒料清理搬运机及布置方法 |
-
2014
- 2014-06-27 KR KR1020140079732A patent/KR2016000135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315168A (zh) * | 2016-10-21 | 2017-01-11 |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胶带机回程段撒料清理搬运机及布置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169772A (en) | Conveyer | |
KR20100109601A (ko) | 컨베이어벨트의 세척장치 | |
KR20100096904A (ko) | 벨트 컨베이어의 이물질 제거장치 | |
JP6466239B2 (ja) | ベルト洗浄装置及びベルトコンベヤ装置 | |
US20170320670A1 (en) | Brush conveyor for transporting preforms | |
KR101424424B1 (ko) | 벨트컨베이어용 부착광 제거장치 | |
KR20150062016A (ko) | 벨트 컨베이어 세척용 진동장치 | |
CN201095526Y (zh) | 成品轴承清洗传送装置 | |
EP1700643A3 (de) | Behälteraufgabe | |
KR20090059621A (ko) | 벨트 표면의 미세분진 제거 장치 및 방법 | |
KR20160001355A (ko) | 벨트컨베이어의 부착광 제거장치 | |
KR20190044777A (ko) | 슈트용 고착물 제거장치 | |
KR101351954B1 (ko) | 벨트 표면의 분진 제거 장치 | |
KR101357557B1 (ko) |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 | |
KR101228684B1 (ko) | 잔류물 제거 장치 | |
CN105999772A (zh) | 用于在线输送瓶体的敲击消泡装置 | |
JP7137192B2 (ja) | 除水または除塵装置 | |
KR20100059154A (ko) | 원료 이송 컨베이어의 밸트 청소장치 | |
KR101435060B1 (ko) | 벨트컨베이어용 분진 방지장치 | |
US2105795A (en) | Container conveying apparatus | |
KR101432676B1 (ko) | 원형톱 및 밴드톱용 팁 고주파 용접장치의 컨베이어 공급구조를 갖는 팁 공급장치 | |
JP2002356221A (ja) | ベルトコンベア用クリ−ナ−装置 | |
JPWO2011043221A1 (ja) | 回転位置決め装置 | |
KR20120073523A (ko) | 슈트의 부착광 제거장치 | |
JP7298203B2 (ja) | 果実搬送用ローラコンベア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