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185U - 암타이 랙크 밴드 - Google Patents

암타이 랙크 밴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185U
KR20160001185U KR2020140007164U KR20140007164U KR20160001185U KR 20160001185 U KR20160001185 U KR 20160001185U KR 2020140007164 U KR2020140007164 U KR 2020140007164U KR 20140007164 U KR20140007164 U KR 20140007164U KR 20160001185 U KR20160001185 U KR 201600011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arm tie
band
body par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0246Y1 (ko
Inventor
이상기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40007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24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1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1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2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암타이 랙크 밴드에 관한 것으로, 상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다각기둥 형태를 갖는 장주에 암타이 또는 랙크를 고정시키는 암타이 랙크 밴드에 있어서, 각각 반분체 형태를 가지며, 일단부가 서로 힌지 결합되어 상기 장주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타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탭부와, 상기 탭부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 및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 상에 체결되어 상기 암타이 또는 상기 랙크를 고정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는 다각형의 단면 구조를 가져 상기 장주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암타이 랙크 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암타이 랙크 밴드{Arm-Tie Rack Band}
본 고안은 암타이 랙크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혼자서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주에 대한 회전 및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암타이 랙크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타이 랙크 밴드는 하나의 장주에서 전선로를 여러 방향으로 분기할 때 사용되는 배전공사용 기자재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주(10)의 상단에 ‘ㄱ’자 형상의 완금(11)이 설치되고, 그 하방에 암타이 랙크 밴드(30)가 설치되며, 이러한 완금(11)과 암타이 랙크 밴드(30)에 볼트, 너트 등의 체결부재(23)(36)를 이용하여 암타이(20)의 양단이 고정된다. 그리고 장주(10)의 소정 높이에는 또 다른 암타이 랙크 밴드(31)를 이용하여 저압가선용 랙크(21)가 설치되고, 이러한 랙크(21)에는 저압인류 애자(22)가 설치된다.
이 경우, 암타이 랙크 밴드(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주(10)의 외주면을 밀착하여 감싸도록 각각 반원 형상을 갖는 몸체부(32)와, 몸체부(32)의 양단에 돌출 형성되는 탭부(33)와, 탭부(33)에 관통 결합되어 한 쌍의 몸체부(32)를 서로 고정시키는 볼트(34)와 너트(35) 및 몸체부(32)에 암타이(20) 또는 랙크(21)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체결부재(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31)는 서로 완전하게 분리된 몸체부(32)의 양단을 모두 볼트(34)와 너트(35)로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두 명의 작업자가 필요할 뿐 아니라 한 명의 작업자는 반드시 장주(10)에 승주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몸체부(32)가 가결합된 밴드를 입상 후 분리하여 본결합을 시도하기 때문에 결합 작업이 복잡하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다. 아울러, 분리형 자재인 몸체부(32), 볼트(34), 너트(35) 등을 다수 사용함으로써 자재의 낙하 우려가 있고, 이로 인해 시공상 안전성 확보에도 취약한 단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기술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31)의 경우 한 쌍의 몸체부(32)가 전체적으로 라운드진 원형의 단면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장주(10)의 외주면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장주(10)가 상하 동일한 직경을 가질 경우에는 전선의 무게로 인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는 문제점도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한 명의 작업자가 손쉽게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주에 대한 회전이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암타이 랙크 밴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상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다각기둥 형태를 갖는 장주에 암타이 또는 랙크를 고정시키는 암타이 랙크 밴드에 있어서, 각각 반분체 형태를 가지며, 일단부가 서로 힌지 결합되어 상기 장주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타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탭부와; 상기 탭부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 및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 상에 체결되어 상기 암타이 또는 상기 랙크를 고정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는 다각형의 단면 구조를 가져 상기 장주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암타이 랙크 밴드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의 상단 직경과 하단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되, 상기 상단 직경과 상기 하단 직경의 차이(X)는 하기의 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X = (Pr2-Pr1)×BH/PH
식에서, Pr2는 장주의 하단 직경이고, Pr1은 장주의 상단 직경이며, BH는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의 폭이고, PH는 장주의 높이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반분체 형태를 갖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일단부가 힌지 결합됨으로써 작업자가 혼자서 암타이 랙크 밴드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것은 물론 인건비 절감, 시공시 관리의 편의성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가 다각형의 단면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암타이 랙크 밴드가 장주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거나 하방으로 미끄러지는 등 슬라이딩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장주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상단 직경과 하단 직경을 다르게 구성하고, 특정 알고리즘을 통해 상단 직경과 하단 직경의 차이값을 도출하여 용이하게 제작이 가능한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일단부만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되기 때문에 분리형 자재의 최소 사용으로 안전사고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암타이 랙크 밴드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암타이 랙크 밴드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암타이 랙크 밴드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암타이 랙크 밴드의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결합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의 상단 직경과 하단 직경의 차이값 계산을 위한 설명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암타이 랙크 밴드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암타이 랙크 밴드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암타이 랙크 밴드의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결합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100)는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11)와, 탭부(120)와, 체결부재(130) 및 체결구(140)를 포함한다.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11)는 장주(도면 미도시)의 외주면을 감싸는 부분으로 각각 반분체의 밴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암타이 랙크 밴드(100)의 설치시 제1몸체부(110)는 장주의 외주면 절반을 둘레방향으로 감싸고, 제2몸체부(111)는 나머지 절반을 감싸게 된다.
이 경우,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11)의 일단부는 서로 힌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부(110)의 일단 상부에 힌지구멍(110a)이 돌출 형성되고, 제2몸체부(111)의 일단 하부에 힌지구멍(111a)이 돌출 형성되어 각 힌지구멍(110a)(111a)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중첩되며, 이러한 힌지구멍(110a)(111a)에 체결핀(112)이 삽입된 후 체결핀(112)의 하단 홀(112a)에 고정클립(113)이 체결됨으로써 체결핀(112)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11)는 체결핀(112)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다. 즉,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11)의 일단부는 힌지 결합 구조로 인해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타단부는 개폐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 결과, 작업자는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11)의 타단부를 벌려 장주를 감싸도록 한 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체결부재(130)로 탭부(120)를 고정시키면 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혼자서도 암타이 랙크 밴드(1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술한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11)는 전체적으로 다각형의 단면 구조를 가진다. 예컨대,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11)는 8각형, 12각형 등과 같이 일정한 각도로 절곡된 다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장주는 통상 상단과 하단의 직경이 동일하고 표면이 라운드진 원기둥 형태로 제공되지만 원기둥 형태의 장주는 들짐승이 타고 올라가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들짐승에 의해 전선로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들짐승이 자주 출몰하는 지역에서는 장주를 상방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다각기둥 형태로 제작하여 들짐승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다각기둥 구조의 장주에 맞게 암타이 랙크 밴드(100)의 몸체를 각지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11)가 장주의 외주면에 각진 형태로 밀착되기 때문에 전선의 무게 등으로 인해 암타이 랙크 밴드(100)가 회전하거나 하방으로 미끄러질 염려가 없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장주가 상방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다각기둥 형태를 가질 경우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11)가 이루는 밴드의 상단 직경과 하단 직경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장주의 테이퍼진 형태를 고려하여 밴드의 상단은 좁게 형성하고, 하단은 넓게 형성하여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11)가 전체적으로 장주에 면접촉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밴드를 제작하기 위해 밴드의 상단 직경과 하단 직경의 차이값을 이용하는 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암타이 랙크 밴드의 상단 직경과 하단 직경의 차이값 계산을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11)가 이루는 암타이 랙크 밴드(100)의 상단 직경(Br1)과 하단 직경(Br2)의 차이값(X)는 하기의 [식 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식 1]
X = (Pr2-Pr1)×BH/PH
이 경우, Pr2는 장주(10)의 하단 직경, Pr1은 장주(10)의 상단 직경, BH는 제1몸체부(110) 및 제2몸체부(111)가 이루는 밴드(100)의 폭, PH는 장주(10)의 높이이다.
[식 1]에 의해, 장주(10)의 크기로부터 밴드(100)의 상단 직경과 하단 직경의 차이값을 도출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장주(10)의 테이퍼진 정도에 부합하는 암타이 랙크 밴드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계속하여, 탭부(120)는 체결부재(130)의 결합을 위해 제공되는 부분으로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11)의 타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하여 돌출 형성된다. 이 경우, 탭부(120)에는 체결부재(130)의 체결을 위한 홀이 형성된다.
체결부재(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단부가 힌지 결합된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11)의 타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탭부(120)의 홀에 결합된다. 체결부(130)로는 볼트(131)와 너트(132)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체결구(140)는 암타이 또는 랙크(도면 미도시)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11) 상의 소정 위치에 일정한 간격으로 제공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암타이 랙크 밴드 110 : 제1몸체부
110a : 힌지구멍 111 : 제2몸체부
111a : 힌지구멍 112 : 체결핀
112a : 홀 113 : 고정클립
120 : 탭부 130 : 체결부재
140 : 체결구

Claims (2)

  1. 상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다각기둥 형태를 갖는 장주에 암타이 또는 랙크를 고정시키는 암타이 랙크 밴드에 있어서,
    각각 반분체 형태를 가지며, 일단부가 서로 힌지 결합되어 상기 장주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타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탭부와;
    상기 탭부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 및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 상에 체결되어 상기 암타이 또는 상기 랙크를 고정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는 다각형의 단면 구조를 가져 상기 장주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암타이 랙크 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의 상단 직경과 하단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되, 상기 상단 직경과 상기 하단 직경의 차이(X)는 하기의 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타이 랙크 밴드.
    X = (Pr2-Pr1)×BH/PH
    여기서, Pr2는 장주의 하단 직경이고, Pr1은 장주의 상단 직경이며, BH는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의 폭이고, PH는 장주의 높이이다.
KR2020140007164U 2014-10-01 2014-10-01 암타이 랙크 밴드 KR2004802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164U KR200480246Y1 (ko) 2014-10-01 2014-10-01 암타이 랙크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164U KR200480246Y1 (ko) 2014-10-01 2014-10-01 암타이 랙크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185U true KR20160001185U (ko) 2016-04-11
KR200480246Y1 KR200480246Y1 (ko) 2016-04-28

Family

ID=55790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164U KR200480246Y1 (ko) 2014-10-01 2014-10-01 암타이 랙크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24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099A (ko) * 2017-09-27 2019-04-04 한국전력공사 암타이 랙크 밴드
KR20190036098A (ko) * 2017-09-27 2019-04-04 한국전력공사 암타이 랙크 밴드
KR20210152155A (ko) * 2020-06-08 2021-12-15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경첩식 사출 케이블 클리트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569Y1 (ko) * 2004-06-29 2004-10-13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밴드 체결링을 이용한 고압전기 현수애자 안착대의설치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099A (ko) * 2017-09-27 2019-04-04 한국전력공사 암타이 랙크 밴드
KR20190036098A (ko) * 2017-09-27 2019-04-04 한국전력공사 암타이 랙크 밴드
KR20210152155A (ko) * 2020-06-08 2021-12-15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경첩식 사출 케이블 클리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246Y1 (ko)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246Y1 (ko) 암타이 랙크 밴드
JP3157675U (ja) 樹木支持装置用連結具
KR101777379B1 (ko)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KR200477884Y1 (ko) 중장비용 고리의 안전장치
US20170321663A1 (en) Device for fastening and/or guiding strand-shaped elements
KR102348450B1 (ko) 철탑용 중장비 접근 방지 장치
JP4757243B2 (ja) 落下防止具
JP5709078B2 (ja) 電柱支線用蔓巻防止装置
US9370684B2 (en) Elastic band retention system
JP5946876B2 (ja) ケーブル用の巻付バインド及びバインド方法
JP3187623U (ja) 樹木の枝支持装置
JP3174451U (ja) 鳥害防止具
JP6628371B2 (ja) 鳥害防止具
JP3196083U7 (ko)
CN105071334A (zh) 一种螺栓紧固电缆保护装置
KR20170089657A (ko) 비닐하우스의 비닐 고정용 클립
KR20060058250A (ko) 타이 밴드의 락킹 구조
JP3204540U (ja) 吊り具
KR101569051B1 (ko) 수목 지지대
KR20130004072U (ko) 비닐하우스 지지대 십자결합 클램프
KR101728536B1 (ko)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보호장치
KR101734420B1 (ko) 봉지 씌우기용 케이블 타이
JP2015172306A (ja) 中空柱の補強用棒状部材の保持装置および中空柱の補強用棒状部材の保持方法
JP6156866B2 (ja) ロープ固定具
KR101390105B1 (ko) 과수작물용 철선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