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834U - 공간이 분할된 내부용기를 갖는 겹침구조의 즉석식품용 다중 용기 구조 - Google Patents

공간이 분할된 내부용기를 갖는 겹침구조의 즉석식품용 다중 용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834U
KR20160000834U KR2020140006473U KR20140006473U KR20160000834U KR 20160000834 U KR20160000834 U KR 20160000834U KR 2020140006473 U KR2020140006473 U KR 2020140006473U KR 20140006473 U KR20140006473 U KR 20140006473U KR 20160000834 U KR20160000834 U KR 201600008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shape
top surface
instan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주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레시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레시메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레시메이트
Priority to KR2020140006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834U/ko
Publication of KR201600008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83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12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collapsing and flattening the mouth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securing without folding,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heat-sealing, welding or applying separate secur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써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의 입면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그릇모양으로, 개방된 상단면에 용기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곽선을 따라 상단면(12)을 형성하고, 내측과 외측에 꺾임선을 구비하여 상방으로 턱이 형성되는 한 개 이상의 지지턱(11)을 포함하는 외부용기(10),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써,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의 입면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그릇모양으로, 상기 외부용기(10)보다 깊이가 얕으며, 개방된 상부의 용기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곽으로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의 면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용기 상단면(1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의 상단면(22)을 갖고, 그릇모양이 형성되지 않은 상단면의 일부를 천공하여 홈 형태로 형성되는 용기수납홈(21)를 포함하는 내부 제1용기(20),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써, 상기 용기수납홈(21)에 끼워넣을 수 있는 그릇모양으로, 상기 외부용기보다 깊이가 얕으며, 개방된 상부의 용기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단면(31)을 갖는 내부 제2용기(30), 외부용기 뚜껑(13), 내부 제1용기 뚜껑(23) 및 내부 제2용기 뚜껑(32)을 포함하여, 상기 내부 제2용기(30)가 내부 제1용기(20)의 용기수납홈(21)에 끼워지며, 내부 제1용기 상단면(22)의 이면이 외부용기의 지지턱(11)에 얹어 겹쳐져 놓임으로써, 내부 제1용기, 내부 제2용기 및 외부용기에 각각 다른 내용물을 담아 포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이 분할된 내부용기를 갖는 겹침구조의 즉석식품용 다중 용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간이 분할된 내부용기를 갖는 겹침구조의 즉석식품용 다중 용기 구조 {Structure of instant food multi vessel having space segmented inner container stacked}
본 고안은 용기라면이나 즉석밥 같은 즉석식품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용기 내측으로 턱을 두어 내부용기가 내측으로 겹쳐져 포개어지도록 하고, 내부용기 또한 두 개가 포개어져 각각 독립된 공간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단에 놓이는 내부용기에 두 가지의 내용물이, 하단의 외부용기에는 하나의 내용물이 독립된 공간에 별도로 담기어 포장되며, 외부용기의 뚜껑일부만 개봉하여 내부용기 중 하나를 꺼내고, 꺼내고 난 빈공간에 물을 부어 즉석식품을 조리할 수 있는 용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용기라면을 담는 용기의 상부에 즉석밥 용기를 내측으로 포개어 포장하는 등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도록, 외부용기의 상부 내측에 상대적으로 작은 내부용기를 분리가 가능하도록 포개어 포장할 수 있는 다중 용기에 관한 것이다. 컵라면 형태에서 발전하여 컵보다는 넓은 사발 모양의 일회 용기에, 일반적인 라면보다 면발이 얇아 뜨거운 물만 부어 면을 익혀먹을 수 있는 용기 라면은, 매운 음식을 좋아하는 한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즉석 식품 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밥을 지어 소량단위로 일회 용기에 포장하여, 전자렌지나 끓는 물에 넣어 곧바로 먹을 수 있는 즉석밥도 출시되어 많은 사람들이 구매하고 있다. 용기 라면을 먹고 나면, 양이 약간 부족하다고 느끼거나, 남는 국물에 밥을 말아먹고 싶은 욕구를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라면과 즉석밥, 즉석국과 즉석밥, 카레/짜장과 즉석밥 처럼 하나의 세트로 포장하여 제조되면 그 효용이 높은 경우가 상당히 많다. 상황적으로나 시간적으로 함께 포장되어 동시에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면 좋은 세트형 식품 구성을 위해, 즉석 식품을 각각의 공간에 포장하여 하나의 제품으로 담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41412호의 사례를 들 수 있다. 이 기술은 다단 구조를 이루는 일회용 식품용기에 관한 것인데, 내용물을 풀기위해서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뚜껑이 함께 노출될 수 있으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의 활용하지 못하는 사공간(死空間 ; dead space)이 많아, 외부용기가 필요 이상으로 커질 수 있다. 기존의 즉석밥 포장형태와 용기라면 형태를 최대한 유지하여, 제조사나 사용자의 경험상 새로운 노력을 최소화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의 경험에 큰 변화가 없이 두 가지 식품을 한데 담을 수 있도록 해야, 실재적으로 상품에 적용되어 거리낌없이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용기라면의 포장방식인 뚜껑 일부를 뜯어 개봉하고 물을 주입하는 방식을 활용하되, 내부에 포개어 지는 용기의 공간을 분할하여 즉석밥이나 반찬류 등을 독립적으로 포장할 수 있도록 하면 편리할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용기의 상부 내측으로 지지턱을 두어 내부용기를 지지하며, 내부용기는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내부용기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용기에 담긴 내용물과 다른 두 개 이상의 내용물을 상부의 내부용기에 담고, 외부용기 일부를 개봉하면 내부용기중 하나의 용기를 꺼낼 수 있고, 그 빈 공간에 물을 부어 즉석식품을 조리할 수 있는 용기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고안에 의한 공간이 분할된 내부용기를 갖는 겹침구조의 즉석식품용 다중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써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의 입면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그릇모양으로, 개방된 상단면에 용기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곽선을 따라 상단면을 형성하고, 내측과 외측에 꺾임선을 구비하여 상방으로 턱이 형성되는 한 개 이상의 지지턱을 포함하는 외부용기,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써,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의 입면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그릇모양으로, 상기 외부용기보다 깊이가 얕으며, 개방된 상부의 용기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곽으로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의 면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용기 상단면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의 상단면을 갖고, 그릇모양이 형성되지 않은 상단면의 일부를 천공하여 홈 형태로 형성되는 용기수납홈를 포함하는 내부 제1용기,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써, 상기 용기수납홈에 끼워넣을 수 있는 그릇모양으로, 상기 외부용기보다 깊이가 얕으며, 개방된 상부의 용기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단면을 갖는 내부 제2용기, 외부용기 뚜껑, 내부 제1용기 뚜껑 및 내부 제2용기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외부용기의 내측으로 지지턱을 구비하여 상단 내측에 놓이는 내부용기를 지지하며, 내부용기는 독립된 공간을 갖도록 하고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서로 다른 내용물을 담을 수 있어서, 외부용기 일부를 개봉하여 복수의 내부용기 중 하나를 꺼내고 빈 공간에 물을 부으면 외부용기에 담긴 즉석식품에 물이 부어져 조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뜨거운 물을 부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즉석식품을 또다른 두가지의 식품과 함께 취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라면과 즉석밥을 반찬류와 함께 포장함으로써, 별도의 전자렌지가 없이도 외부용기에 부어진 뜨거운 물의 온기와 습도에 의해 내부용기의 또 다른 내용물이 데워져서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의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외부용기(1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써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의 입면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그릇모양으로, 개방된 상단면에 용기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곽선을 따라 상단면(12)이 형성된다. 내측과 외측에 꺾임선을 구비하여 상방으로 턱이 형성되는 지지턱(11)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내부에 놓이는 용기를 지지하여 수납하게 된다. 입면의 외곽을 따라 평평한 면인 상단면(12) 상부 측에 외부 뚜껑(13)이 결합되어 밀봉되는 형태이다. 외부 뚜껑(13)은 각각의 내부용기 상단면에 접착 또는 열에 의한 융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용기 뚜껑(13)은 포장을 뜯기 편리하도록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13a)를 갖는다. 외부 뚜껑(13)이 결합되는 방식은 접착 또는 열에 의한 융착 외에도, 외부용기 상단면(12)의 외곽을 따라 둘러싸면서 요철구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외부용기의 내부 상측에 놓이게 되는 내부용기 중 내부 제1용기 역시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써,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의 입면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그릇모양으로, 상기 외부용기보다 깊이가 얕으며, 개방된 상부의 용기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곽으로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의 면을 형성하는 상단면(22)이 형성된다. 내부 제1용기 상단면(22)은 외부용기 상단면(1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이며, 그릇모양이 형성되지 않은 상단면의 일부를 천공하여 홈 형태로 형성되는 용기수납홈(21)를 갖는다. 용기수납홈(21)에 내부 제2용기가 끼워져 얹어진다. 내부 제2용기(30) 또한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써, 상기 용기수납홈(21)에 끼워넣을 수 있는 그릇모양으로, 상기 외부용기보다 깊이가 얕으며, 개방된 상부의 용기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단면(31)을 갖는다. 내부 제1용기 뚜껑(23)과 내부 제2용기 뚜껑(32)이 각각의 내부용기 상단에 결합되어 밀폐구조를 형성한다. 내부 제2용기(30)가 내부 제1용기(20)의 용기수납홈(21)에 끼워지며, 내부 제1용기 상단면(22)의 이면이 외부용기의 지지턱(11)에 얹어 겹쳐짐으로써, 내부 제1용기, 내부 제2용기 및 외부용기에 각각 다른 내용물을 담아 포장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예시한 실시예에서는 입면의 형상이 원형인 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다각형 용기 또한 가능하다. 내부 제1용기(20)는 외부용기의 지지턱(11)에 놓일 수 있도록, 외부용기 상단면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의 상단면(22)을 갖고, 그릇형상을 형성하지 않는 부분의 상단면을 천공하여 빈 공간을 형성한다. 이 빈 공간이 용기 수납홈(21)이며, 이 공간에 내부 제2용기(30)기 끼워져 얹어진다. 내부 제1용기와 제2용기는 각각의 뚜껑(23, 32)을 갖으며, 이 뚜껑은 각각의 내부용기 상단면에 접착 또는 열에 의한 융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결합된다. 내부 제1용기 뚜껑(23) 및 내부 제2용기 뚜껑(32)은 포장을 뜯기 편리하도록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23a, 32a)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용기 및 제2용기의 뚜껑 손잡이(23a, 32a)는 안쪽으로 접어서 포장함으로써, 외부용기(10) 내측에 넣고 포장할 때, 외부뚜껑 상단면(12)에 겹쳐진 상태로 결합되지 않도록 한다. 내부 제2용기(30)는 용기 수납홈(21)의 형상과 유사한 외곽형상을 갖되 그 외경이 용기 수납홈(21) 내경보다 작아야 무리없이 끼워질 수 있다. 다만, 내부 제2용기 상단면의 외경은 용기 수납홈(21)의 내경보다 커야한다. 그래야, 내부 제2용기가 내부 제1용기의 상단면(22)에 걸쳐진 상태로 겹쳐질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의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외부용기(10)의 상단에 내측과 외측으로 각각 꺾임선이 구비되어 형성되는 지지턱(11)이 내부 제1용기(20)를 떠받쳐 지지한다. 지지턱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턱(11)의 하부에 또 다른 지지턱인 제2지지턱(11a)이 구비되면, 내부 제1용기와 제2용기의 하단 모서리(24, 33)을 떠받쳐 지지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내부 제1용기(20)의 용기 수납홈(21)으로 내부 제2용기(30)가 끼워져 얹어진다. 내부 제2용기 상단면은 용기 수납홈(21)의 내경보다 커서, 내부 제1용기 위에 얹어질 수 있게 된다. 단, 제2용기 상단면(31)은 내부 제1용기 상단면 외곽선을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 하다. 내부 제2용기가 내부 제1용기의 용기수납홈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 제1용기를 외부용기(10) 상부의 내측에 얹어서 고정한다. 지지턱(11) 상단에 내부 제1용기 상단면(22)의 이면이 얹어지고, 제2지지턱(11a) 상단에 내부 제1용기와 제2용기의 하단 모서리(24, 33)가 얹어져서 안정적으로 포개어지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A>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가 포장된 상태이다. 이로부터 외부용기(10)의 외부 뚜껑 손잡이(13a)를 개봉한 형상이 <B>이다. <B>처럼 외부 뚜껑 손잡이를 잡아당겨 외부 뚜껑(13)의 일부를 개방하면, 내측에 놓인 내부 제2용기(30)를 꺼낼 수 있다. 내부 제2용기를 꺼내면, 용기 수납홈(21)이 천공된 상태로 드러난다. 이 용기 수납홈(21)에 뜨거운 물을 부으면, 외부용기(10)에 담긴 즉석식품에 뜨거운 물이 공급되어 조리할 수 있게 된다. 필요한 경우에 외부뚜껑(13)을 반이상 개봉하면, 내부 제1용기도 꺼낼 수 있게 된다. 만약, 내부 제1용기에 즉석밥이 담겨있다면, 이를 꺼내어 전자렌지에 데울 수 있는 것이다. 음식을 취식할 때에는 <C>와 같이 외부용기(10)로부터 내부 제1용기(20)를 꺼내어 사용할 수 있고, 내부 제1용기로부터 내부 제2용기(30)를 다시 꺼내어 사용할 수도 있다. 가령, 외부용기(10)에 용기라면이 담기고 내부 제1용기에 즉석밥이 담기며 내부 제2용기에 볶은 김치가 담길 경우, 사용자가 김치를 데워서 먹고 싶으면 내부 제1용기와 제2용기를 함께 전자렌지에 데우면 된다. 전자렌지가 따로 없을 경우에는, 내부 제2용기를 꺼낸 후 용기 수납홈(21)으로 뜨거운 물을 붓고, 다시 내부 제2용기를 용기 수납홈(21)에 끼운 상태에서 외부 뚜껑(13)을 덮어 외부 뚜껑 손잡이(13a)를 아래쪽으로 꺾어 고정하면, 뜨거운 물에 의해 내부 제1용기와 제2용기에 담긴 식품도 데워질 수가 있을 것이다. 즉석식품의 조리가 마무리되면 각각의 용기뚜껑(13, 23, 32)를 제거하여 음식을 취식하면 된다.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공간이 분할된 내부용기를 갖는 겹침구조의 즉석식품용 다중 용기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10 : 외부용기
11 : 지지턱
11a : 제2지지턱
12 : 외부용기 상단면
13 : 외부 뚜껑
13a : 외부 뚜껑 손잡이
20 : 내부 제1용기
21 : 용기 수납홈
22 : 내부 제1용기 상단면
23 : 내부 제1용기 뚜껑
23a : 내부 제1용기 뚜껑 손잡이
24 : 내부 제1용기 하단 모서리
30 : 내부 제2용기
31 : 내부 제2용기 상단면
32 : 내부 제2용기 뚜껑
32a : 내부 제2용기 뚜껑 손잡이
33 : 내부 제2용기 하단 모서리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써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의 입면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그릇모양으로, 개방된 상단면에 용기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곽선을 따라 상단면(12)을 형성하고, 내측과 외측에 꺾임선을 구비하여 상방으로 턱이 형성되는 한 개 이상의 지지턱(11)을 포함하는 외부용기(10);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써,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의 입면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그릇모양으로, 상기 외부용기(10)보다 깊이가 얕으며, 개방된 상부의 용기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곽으로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의 면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용기 상단면(1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의 상단면(22)을 갖고, 그릇모양이 형성되지 않은 상단면의 일부를 천공하여 홈 형태로 형성되는 용기수납홈(21)를 포함하는 내부 제1용기(20);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써, 상기 용기수납홈(21)에 끼워넣을 수 있는 그릇모양으로, 상기 외부용기보다 깊이가 얕으며, 개방된 상부의 용기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단면(31)을 갖는 내부 제2용기(30);
    외부용기 뚜껑(13); 내부 제1용기 뚜껑(23); 및 내부 제2용기 뚜껑(32);을 포함하여, 상기 내부 제2용기(30)가 내부 제1용기(20)의 용기수납홈(21)에 끼워지며, 내부 제1용기 상단면(22)의 이면이 외부용기의 지지턱(11)에 얹어 겹쳐져 놓임으로써, 내부 제1용기, 내부 제2용기 및 외부용기에 각각 다른 내용물을 담아 포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이 분할된 내부용기를 갖는 겹침구조의 즉석식품용 다중 용기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 뚜껑(13), 내부 제1용기 뚜껑(23) 및 내부 제2용기 뚜껑(32)은 각각 외부용기와 내부 제1용기 및 제2용기의 상단면에, 접착 또는 열에 의한 융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이 분할된 내부용기를 갖는 겹침구조의 즉석식품용 다중 용기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 뚜껑(13), 내부 제1용기 뚜껑(23) 및 내부 제2용기 뚜껑(32)이 포장을 뜯기 편리하도록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13a, 23a, 32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이 분할된 내부용기를 갖는 겹침구조의 즉석식품용 다중 용기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내부 제1용기 뚜껑(23) 및 내부 제2용기 뚜껑(32)의 돌출된 손잡이(23a, 32a)는, 내부 제1용기 및 제2용기를 외부용기(10) 내측에 넣고 포장할 때, 안쪽으로 접어서 포장함으로써, 뚜껑 손잡이(23a, 32a)가 외부뚜껑 상단면(12)에 겹쳐진 상태로 결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이 분할된 내부용기를 갖는 겹침구조의 즉석식품용 다중 용기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10)가 지지턱(11)을 두 개 포함할 경우, 그 중 하단의 지지턱인 제2지지턱(11a)의 상부로 내부 제1용기 및 제2용기의 하단 모서리(24, 33)가 얹어져 겹쳐짐으로써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이 분할된 내부용기를 갖는 겹침구조의 즉석식품용 다중 용기 구조
KR2020140006473U 2014-09-02 2014-09-02 공간이 분할된 내부용기를 갖는 겹침구조의 즉석식품용 다중 용기 구조 KR201600008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473U KR20160000834U (ko) 2014-09-02 2014-09-02 공간이 분할된 내부용기를 갖는 겹침구조의 즉석식품용 다중 용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473U KR20160000834U (ko) 2014-09-02 2014-09-02 공간이 분할된 내부용기를 갖는 겹침구조의 즉석식품용 다중 용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834U true KR20160000834U (ko) 2016-03-10

Family

ID=5553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473U KR20160000834U (ko) 2014-09-02 2014-09-02 공간이 분할된 내부용기를 갖는 겹침구조의 즉석식품용 다중 용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83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0915B1 (en) Microwave moisture lock cover
JP3202469U (ja) 電子レンジ加熱用食品包装容器
GB2522928A (en) A Container for holding an egg
US20050079250A1 (en) Food packaging allowing the food to be steam cooked
KR200475771Y1 (ko)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KR20090039806A (ko) 커버로 덮인 가요성 덮개를 포함하는 특히 식품용 포장용기
JP2005263319A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と包装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部分非加熱調理方法
JP2014196138A (ja) 食品容器
US20180103795A1 (en) Microwavable food package apparatus and method
JP5075237B2 (ja) 食品包装容器
KR20140055045A (ko) 일회용 발열용기
KR101907061B1 (ko) 캡의 조립 및 분해가 안전하고 용이한 음료용기
WO2004074111A2 (en) Containers for use in the storage and preparation of consumables
US20180116460A1 (en) Vessel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providing a food preparation
KR20160000834U (ko) 공간이 분할된 내부용기를 갖는 겹침구조의 즉석식품용 다중 용기 구조
US9346599B2 (en) Food packaging
JP3204124U (ja) 食品容器
JP2015020776A (ja) 断熱容器
KR101103117B1 (ko) 취식도구 내장형 이중 종이용기
JP3195580U (ja) 厚紙製外被を備えた包装用容器の構造
CN112292331A (zh) 用于食物产品的包装及其用法
US20180184832A1 (en) Ultimate Communion
KR20110005325U (ko)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
EP2644531B1 (en) Container with a double cover
TWM529464U (zh) 加熱容器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