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656U -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 - Google Patents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656U
KR20160000656U KR2020140006157U KR20140006157U KR20160000656U KR 20160000656 U KR20160000656 U KR 20160000656U KR 2020140006157 U KR2020140006157 U KR 2020140006157U KR 20140006157 U KR20140006157 U KR 20140006157U KR 20160000656 U KR20160000656 U KR 201600006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erence
type
bus duct
tube
interference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0222Y1 (ko
Inventor
이승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6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222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6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6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2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 길이 연장 또는 단축이 가능한 다단 관체; 및 상기 다단 관체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마련함으로써,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될 버스 덕트와 동일한 형상을 동일한 치수로 구현하고 버스 덕트 설치시의 간섭 발생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실제적인 버스 덕트 설치시 주위와의 간섭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Interference Checking Member}
본 고안은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될 버스 덕트와 동일한 형상을 동일한 치수로 구현함으로써 버스 덕트 설치시의 간섭 발생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게 한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전력 배선은, 전선 케이블에 의한 배선 방식이 일반적이나, 고층 건물이나 대단위 공장 등의 배선 방식으로는 버스 바를 구비하는 버스 덕트에 의한 배선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버스 덕트와 케이블은 도체와 절연체를 구비하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케이블과 비교하여 볼 때, 버스 덕트는 대량의 전류를 도체를 통해 전력을 전달할 수 있고, 금속 덕트로서 도체와 절연체를 보호할 수 있으며, 증설과 이설이 가능하고, 사고 발생시 사고 처리가 용이하며, 계통의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케이블 배선 방식을 선박에 적용하는 경우는, 기본적으로 전류 용량이 작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과 트레이의 점유 면적이 크고 굴곡 구간에 직각으로 포설하기 어려워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바 선박의 제한적인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어렵고 선박의 무게도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어, 선박에서는 각종의 장치의 운전 및 상호 신호 전달이나 상호 연계적 작동을 위해서 버스 덕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즉, 버스 덕트 방식은, 기본적으로 전류 용량이 커서 점유 면적을 케이블에 비해 절반 정도로 줄일 수 있고, 굴곡 구간에서 쉽게 직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주전원으로부터 간단하게 분기하여 각각의 부하에 연결할 수 있고, 라인의 증설과 이설이 쉽고 간편한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어, 선박과 같이 설치 공간이 제한적인 곳에 적용하면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러한 버스 덕트에 관한 기술의 일 예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에서는 '내진동성이 향상된 전력 버스 덕트'가 제안된 바 있고, 하기의 특허문헌 2에서는 '화재 전파 차단 버스 덕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이 제안된 바 있으며, 하기의 특허문헌 3에서는 '버스 구조체'가 제안된 바 있고, 하기의 특허문헌 4에서는 '조인트 키트 및 이러한 조인트 키트를 구비한 슬라이딩 부스 덕트 조립체'가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9153호(공개일자 2010년 08월 12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0446호(공개일자 2011년 04월 20일)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0747호(공개일자 2012년 02월 02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0460호(공개일자 2013년 08월 14일)
본 명세서에서 '선체'는, 수상을 항해하는 선박의 선체와, 수상에서 부유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FLNG(LNG-FPS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 설비)와 같은 해양 구조물을 아울러 지칭한다.
전력 버스 덕트를 선박, 고층 건물, 대단위 공장 등에 사용할 때에는 실제 건물의 기둥과 벽체 구조물(예; 콘크리트 구조물, 선실의 격벽)의 축조가 끝난 후 추가 작업을 통해 별도로 배선된다.
선박은 엔진실, 객실, 전기실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선실들이 격벽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선실의 기계나 기기의 구동을 위해 또는 선실의 조명을 위해, 선실 간의 격벽에는 전기실로부터 연장된 전력 버스 덕트(bus duct)가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버스 덕트는, 부품들의 제조 전에 3D 모델링을 하고 진행 경로(routing) 상의 간섭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그 형상 및 크기를 결정하게 되나, 결정된 형상 및 크기로 부품들을 제조한 경우라도 실제적인 설치시에는 예상치 못한 간섭이 발생하기 쉽다.
예를 들면, 모델링된 선체 내부의 구조 및 치수와 실제적인 구조 및 치수가 상이할 수 있고, 버스 덕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될 장비의 모델링된 크기나 형상이 실제적인 크기나 형상과 상이할 수 있으며, 버스 덕트 부품들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한 공차 등에 의해 모델링된 버스 덕트의 형상 및 크기와 제조된 버스 덕트의 형상 및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차이들에 의해, 3D 모델링 시에는 발생하지 않았던 주위와의 간섭이, 실제적인 버스 덕트 설치시에는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될 버스 덕트와 동일한 형상을 동일한 치수로 구현함으로써 버스 덕트 설치시의 간섭 발생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로서, 길이 연장 또는 단축이 가능한 다단 관체; 및 상기 다단 관체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다단 관체의 일 단부에 마련되는 상기 결합수단은 다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의 다단 관체에 체결되기 위한 파지부(把持部)이고, 상기 다단 관체의 타 단부에 마련되는 상기 결합수단은 선체에 부착되기 위한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단 관체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상기 결합수단은 다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의 다단 관체에 체결되기 위한 파지부(把持部)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지부는 탄성을 갖는 원호형 홀더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다단 관체의 최대 직경보다 큰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단 관체는 양 단부의 관체의 직경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에 의하면,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될 버스 덕트와 동일한 형상을 동일한 치수로 구현하고 버스 덕트 설치시의 간섭 발생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제적인 버스 덕트 설치시 주위와의 간섭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실제적인 버스 덕트 설치시에 미리 예상치 못한 주위와의 간섭이 생겨서 예상치 못한 추가 작업, 초과 비용 지출 및 설치 지연 등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의 (a)제 1 유형 및 (b)제 2 유형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의 제 1 유형 및 제 2 유형을 사용하여 버스 덕트의 절곡부를 구현한 개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의 제 1 유형 및 제 2 유형을 사용하여 버스 덕트를 구현한 개념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의 (a)제 1 유형 및 (b)제 2 유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는 길이 연장 또는 단축이 가능한 다단 관체(10); 및 상기 다단 관체(10)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다단 관체(10)는 버스 덕트의 모서리부를 구현하거나 버스 덕트의 지지대를 구현하도록 사용되는 것으로서, 길이가 연장될 수 있으며, 일 단부로 갈수록 관체의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를 가지거나 중앙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다가 타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다시 증가하는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결합수단은,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를, 다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의 다단 관체(10)에 체결시키거나, 선체에 부착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다단 관체(10)의 양 단부에 마련된다.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에서, 다단 관체(10)의 일 단부에 마련되는 결합수단은 다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의 다단 관체(10)에 체결되기 위한 파지부(把持部)(13)이고, 다단 관체(10)의 타 단부에 마련되는 결합수단은 선체에 부착되기 위한 자성체(15)일 수 있다.
이러한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는, 파지부(13)를 이용하여 다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의 다단 관체(10)에 체결됨으로써 버스 덕트의 모서리부를 구현할 수도 있고, 자성체(15)를 이용하여 선체에 부착됨으로써 버스 덕트의 지지대를 구현할 수도 있다.
제 2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b)에서, 다단 관체(10)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결합수단은 다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의 다단 관체(10)에 체결되기 위한 파지부(13)일 수 있다.
이러한 제 2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b)는, 파지부(13)를 이용하여 2개의 다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에 체결됨으로써 버스 덕트의 모서리부 사이를 연결할 수도 있고, 2개의 다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 사이에 체결됨으로써 버스 덕트의 지지대를 구현할 수도 있다.
파지부(13)는, 다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의 다단 관체(10)의 외주연(外周緣)을 둘러싸면서 가압하여, 하나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가 다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의 다단 관체(1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의 일 단부 또는 양 단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파지부(13)는 다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의 다단 관체(10)에 체결되어 그 외주연을 둘러싸면서 가압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원호형 홀더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다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의 다단 관체(10)를 그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 원호형 홀더의 개방부에 접촉시킨 후 원호형 홀더의 내부 방향으로 가압하면, 원호형 홀더가 탄성 변형되어 벌려지면서 다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의 다단 관체(10)를 수용하게 되고, 원호형 홀더의 탄성력에 의해 다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의 다단 관체(10)의 외주연을 둘러싸면서 가압하게 되므로, 하나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가 다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의 다단 관체(10)에 체결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는 다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에 수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파지부(13)의 원호형 홀더는 다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의 다단 관체(10)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여러 관체 부분에 모두 체결될 수 있을 정도의 탄성을 갖는바, 하나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의 파지부(13)는 다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의 다단 관체(10)의 임의의 관체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파지부(13)의 원호형 홀더는 다단 관체(10)의 최대 직경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파지부(13)의 원호형 홀더 내에 고정되는 관체 부분의 직경 차이에 의한 체결력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다단 관체(10)는 중앙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다가 타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다시 증가하는 형태 등을 가져서 양 단부의 관체의 직경이 동일한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체(15)는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를 선체의 천장 또는 벽에 부착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의 타 단부에 마련된다.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에 자성체(15)가 구비됨으로써, 한 명의 작업자가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선체에 부착시키거나 선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자성체(15)가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의 타 단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성체가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 또는 제 2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b)의 관체들의 측부에 마련되거나 다단 관체(10) 자체가 자성체로 형성됨으로써,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 또는 제 2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b)의 측면이 선체의 천장 또는 벽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를 사용하여 버스 덕트의 절곡부를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의 제 1 유형 및 제 2 유형을 사용하여 버스 덕트의 절곡부를 구현한 개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의 다단 관체(10)를 직경이 일정한 관으로 간략화하여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일 단부로 갈수록 관체의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를 가지거나, 중앙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다가 타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다시 증가하는 형태 등을 갖는 것으로서,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는 것이다.
먼저, 버스 덕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될 장비 또는 배전반으로부터, 버스 덕트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도록 4개의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를 수직이나 수평 등으로 연장시켜 배치한다. 이때, 연장된 4개의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는 사각 단면을 갖는 기둥 형태의 버스 덕트의 모서리부를 이루게 되고, 이러한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 사이에는 제 2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b)가 체결되어, 모서리부 사이가 일정한 거리를 가지면서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가지게 한다.
그 후, 모서리부를 이루는 4개의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 각각의 단부에 다른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를 체결하여 버스 덕트가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함으로써,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버스 덕트의 모서리부를 이루게 한다.
이때,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버스 덕트의 모서리부를 이루는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 사이에는 추가의 제 2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b)가 체결되어, 모서리부 사이가 일정한 거리를 가지면서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가지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의 제 1 유형 및 제 2 유형을 사용하여, 버스 덕트의 절곡부를 설치될 버스 덕트와 동일한 형상 및 치수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를 사용하여 버스 덕트를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의 제 1 유형 및 제 2 유형을 사용하여 버스 덕트를 구현한 개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서는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의 다단 관체(10)를 직경이 일정한 관으로 간략화하여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일 단부로 갈수록 관체의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를 가지거나, 중앙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다가 타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다시 증가하는 형태 등을 갖는 것으로서,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는 것이다.
우선, 상기한 바와 같이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의 제 1 유형 및 제 2 유형을 사용하여 버스 덕트의 시작부 및 절곡부를 설치될 버스 덕트와 동일한 형상 및 치수로 구현한다.
이때, 시작부의 방향을 제 1 방향으로 정하고, 절곡된 후 연장되는 방향을 제 2 방향으로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의 제 1 유형 및 제 2 유형을 사용하여 선체의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되어 버스 덕트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현한다.
먼저, 선체의 벽면 또는 천장으로부터 2개의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를 수직이나 수평 등으로 연장시켜 배치한다.
이때,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는 타 단부에 구비된 자성체(15)에 의해 선체의 벽면 또는 천장에 부착되며, 2개의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의 일 단부 사이에는 제 2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b)가 체결되게 된다.
여기서, 2개의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 각각의 일 단부에는 파지부(13)를 형성하는 원호형 홀더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원호형 홀더의 폭은 다단 관체(10)의 최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대를 구현하는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가 천장에 수직으로 부착된 경우, 제 2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b)의 파지부(13)를 형성하는 원호형 홀더가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의 다단 관체(10)의 길이 방향 하부로 당겨지더라도, 원호형 홀더가 구비된 2개의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의 일 단부 사이에 체결된 제 2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b) 양단의 원호형 홀더의 측면이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 일단에 구비된 원호형 홀더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2개의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 및 하나의 제 2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b)로 구현된 버스 덕트의 지지대는 제 1 다단 관체(10) 및 제 2 다단 관체(20)를 사용하여 구현된 버스 덕트 부분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제 2 방향으로 연장된 버스 덕트 부분의 단부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버스 덕트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다른 절곡부를 추가로 형성한다.
그리고,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의 제 1 유형 및 제 2 유형을 사용하여 선체의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되어 버스 덕트를 지지하는 추가적인 지지대를 구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선실 등의 공간에 설치될 버스 덕트와 동일한 형상 및 치수를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의 제 1 유형 및 제 2 유형을 사용하여 구현함으로써 버스 덕트 설치시의 간섭 발생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즉,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의 제 1 유형 및 제 2 유형을 사용하여 버스 덕트와 동일한 형상 및 치수를 구현하고, 간섭이 발생하면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 또는 제 2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b)의 다단 관체(10)의 길이를 연장하거나 단축시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선박의 각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 버스 덕트를 완성하게 되면,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a) 및 제 2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1b)의 치수를 정확히 측정하여 이를 버스 덕트 부품들의 치수 결정에 반영하게 된다.
따라서, 실제적인 버스 덕트 설치시 주위와의 간섭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가 전력용 버스 덕트 설치시의 간섭 여부 확인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선박의 각 공간이나 건물 등에 추가적인 환기용 덕트 등을 설치할 경우의 간섭 여부 확인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는,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될 버스 덕트와 동일한 형상을 동일한 치수로 구현하고 버스 덕트 설치시의 간섭 발생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제적인 버스 덕트 설치시 주위와의 간섭 발생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제적인 버스 덕트 설치시에 미리 예상치 못한 주위와의 간섭이 생겨서 예상치 못한 추가 작업, 초과 비용 지출 및 설치 지연 등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
1a: 제 1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
1b: 제 2 유형의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
10: 다단 관체
13: 파지부 15: 자성체

Claims (6)

  1. 길이 연장 또는 단축이 가능한 다단 관체(10); 및
    상기 다단 관체(10)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관체(10)의 일 단부에 마련되는 상기 결합수단은 다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의 다단 관체(10)에 체결되기 위한 파지부(把持部)(13)이고,
    상기 다단 관체(10)의 타 단부에 마련되는 상기 결합수단은 선체에 부착되기 위한 자성체(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관체(10)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상기 결합수단은 다른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의 다단 관체(10)에 체결되기 위한 파지부(把持部)(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13)는 탄성을 갖는 원호형 홀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13)는 상기 다단 관체(10)의 최대 직경보다 큰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관체(10)는 양 단부의 관체의 직경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
KR2020140006157U 2014-08-18 2014-08-18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 KR200480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157U KR200480222Y1 (ko) 2014-08-18 2014-08-18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157U KR200480222Y1 (ko) 2014-08-18 2014-08-18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56U true KR20160000656U (ko) 2016-02-26
KR200480222Y1 KR200480222Y1 (ko) 2016-04-28

Family

ID=55446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157U KR200480222Y1 (ko) 2014-08-18 2014-08-18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22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128B1 (ko) 2016-10-11 2017-03-23 주식회사 디시원이엔지 내진 설계를 위한 와이어 기반의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및 덕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367B1 (ko) * 2010-09-30 2011-11-08 한국전력공사 통신 케이블용 조가선의 간격 조정 및 유지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222Y1 (ko)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764Y1 (ko) 케이블 포설 장치
US1992574A (en) Rigid suspensio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wiring
US20110120582A1 (en) Configurable conduit body
CA2961197C (en) Universal mounting clip for signal-carrying cables
CN110914573B (zh) 多接头支撑件
CN105397843A (zh) 线条体固定装置
KR20190137879A (ko) 밀봉형 케이블 통로
KR200480222Y1 (ko)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
JP2015201284A (ja) ワイヤハーネス
JP6386255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
JP5974617B2 (ja) 電線管コネクタ(conduitconnector)
US8299362B2 (en) Cable adapter and adapted system
JP2011238424A (ja)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配索方法
JP2020087559A (ja) 平型配索材
KR20170017638A (ko) 벽체 부재의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
EP2757209B1 (en) Frame and frame part for forming a frame for supporting a wall
JP6097772B2 (ja) 電力ケーブルの修理用ジョイント
JP2018152982A (ja) ユニットケーブル
JP2007259572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JP2009171794A (ja) ケーブル湾曲治具及びケーブル湾曲方法
KR101553293B1 (ko) 메시 트레이 섹션들의 연결 장치 및 그것이 적용된 메시 트레이
KR102557647B1 (ko)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
KR200484663Y1 (ko) 클램프 장치
JP7041488B2 (ja) ダクトシステム
KR20240000720U (ko) Acf 케이블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