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663Y1 - 클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클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663Y1
KR200484663Y1 KR2020150002840U KR20150002840U KR200484663Y1 KR 200484663 Y1 KR200484663 Y1 KR 200484663Y1 KR 2020150002840 U KR2020150002840 U KR 2020150002840U KR 20150002840 U KR20150002840 U KR 20150002840U KR 200484663 Y1 KR200484663 Y1 KR 200484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ies
diameter
coupled
engagement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902U (ko
Inventor
여준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2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663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9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9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6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1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클램프 장치는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 1 몸체와의 결합에 의해 내주면에 양단이 오픈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 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클램프 몸체; 상기 클램프 몸체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재; 상기 제 1 연결부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클램프 몸체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의 바깥쪽에 노출된 단부의 지름보다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의 안쪽에 결합되는 삽입 단부의 지름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클램프 장치{Clamp apparatus}
본 고안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등의 배선 및 배관 등으로 사용되는 튜브 형상의 파이프 부재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다양한 형태의 배관 및 배선들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관 및 배선은 튜브 형태의 파이프로 보호되어 선박의 벽면 내부 또는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관 및 배선은 수지재질의 클램프 장치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가 필요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클램프 장치는 좌우 또는 상하로 분할 가능한 제 1 및 제 2 몸체의 내부에 튜브 형성의 배관과 대응되는 형상의 오목홈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홈부의 내부에는 상기 배관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몸체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클램프 장치는 오목홈부의 내부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가 배관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이탈 및 위치 고정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복수 개의 돌기부에 의해 배관의 외주면이 가압되므로, 배관의 외부 표면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배관 손상에 따른 누설 또는 파손의 우려가 있다.
또한, 수지재질로 형성되는 클램프 장치는 반복적인 클램핑 동작에 의해 크랙과 같은 부품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제 1 및 제 2 몸체의 고정 결합을 위한 조임 과정 중에, 반복적인 하중이 돌기부에 부가되면서, 돌기부를 중심으로, 클램프 몸체 전체에 피로가 전달되어, 해당 부분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공개실용 제20-0398123호(2005.10.04. 등록)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튜브 형상의 파이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사용에도 피로파괴의 우려가 없는 클램프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클램프 장치는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 1 몸체와의 결합에 의해 내주면에 양단이 오픈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 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클램프 몸체; 상기 클램프 몸체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재; 상기 제 1 연결부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클램프 몸체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의 바깥쪽에 노출된 단부의 지름보다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의 안쪽에 결합되는 삽입 단부의 지름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 각각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의 삽입 단부를 수용하는 제 1 및 제 2 안착부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의 삽입 단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안착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는 노출된 단부측의 내주면보다 삽입 단부측의 내주면의 지름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노출된 단부의 내주면의 지름은 배관 지름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몸체는 수지재질로 형성되고,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고정유닛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 1 몸체의 양 측 외벽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플랜지; 상기 제 2 몸체의 상기 제 1 플랜지와 대응되는 양 측 외벽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플랜지; 및 상기 제 1 및 제 2 플랜지 각각에 관통 형성된 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를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를 클램프 몸체의 양 단부에 설치하여 튜브 형상의 배관을 지지하므로, 배관의 압박력을 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클램프 몸체 측에 직접적인 하중이 부가되지 않아, 반복 사용 시에도 크랙 등의 클램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응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로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를 형성하므로, 이온화 현상으로 인한 배관 외부면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장치에 배관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정면도 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장치에 배관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정면도 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클램프 장치는 제 1 몸체(10a), 제 2 몸체(10b), 제 1 연결부재(20), 제 2 연결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몸체(10a)는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면이 오픈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원통 형상의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2 몸체(10b)는 상기 제 1 몸체(10a)와 대응되는 향상으로 마련되되, 상하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몸체(10a, 10b)의 결합에 의해 상기 오목부는 원통형상의 내주면(11)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몸체(10a, 10b)는 외곽이 육면체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파이프 또는 튜브 형상의 배관(1)(도 3 참조)을 벽면 또는 천장 등에 고정 결합할 때, 벽면 등과 면 접촉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몸체(10a, 10b)는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유닛(15)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고정유닛(15)은 제 1 플랜지(15a)와 제 2 플랜지(15b)및 고정볼트(16)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플랜지(15a)는 제 1 몸체(10a)의 양 측벽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몸체(10a)의 좌측과 우측 각각 중앙 부근에 1개씩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플랜지(15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근에만 돌출될 수도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측벽 전체에 걸쳐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복수 개가 좌측 및 우측 측벽에 돌출될 수도 있다.
제 2 플랜지(15b)는 상기 제 2 몸체(10b)의 제 1 플랜지(15a)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플랜지(15a)와 마주보면서 면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랜지(15b)는 제 2 몸체(10b)의 좌측과 우측 각각 중앙 부근에 1개씩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플랜지(15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근에만 돌출될 수도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측벽 전체에 걸쳐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복수 개가 좌측 및 우측 측벽에 돌출될 수도 있다.
고정볼트(16)는 상기 제 1 및 제 2 플랜지(15a, 15b)의 면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플랜지(15a, 15b)의 대략 중앙 부근에 형성된 통공에 체결될 수 있다. 고정볼트(16)는 별도의 너트부재와의 체결을 통해 제 1 및 제 2 플랜지(15a, 15b)의 면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고, 제 1 및 제 2 플랜지(15a, 15b)에 각각 형성된 통공의 내주면에 탭핑을 통해 고정결합 될 수도 있다.
제 1 연결부재(20)는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10a, 10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클램프 몸체(10), 도 3 참조)의 일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연결부재(20)의 노출된 단부 측의 지름은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10a, 10b)의 결합을 통해 형성되는 클램프 몸체(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단부 측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외주면이 깔대기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내주면 또한, 안쪽으로 갈수록 점점 지름이 증가하는 구조로 마련되어, 노출된 단부측의 지름이 가장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연결부재(30)는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10a, 10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클램프 몸체의 일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연결부재(30)의 노출된 단부 측의 지름은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10a, 10b)의 결합을 통해 형성되는 클램프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단부 측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외주면이 깔대기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내주면 또한, 안쪽으로 갈수록 점점 지름이 증가하는 구조로 마련되어, 노출된 단부측의 지름이 가장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20, 30)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10a, 10b)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20, 30)는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10a, 10b)의 재질은 수지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연결부재(20, 3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20, 30)의 노출된 단부의 내주면의 지름은 배관(1, 도 3 참조) 지름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관(1)은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20, 30)의 내주면 전체와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노출된 단부의 통공의 내주면에 선 접촉하여 가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20, 30)의 삽입측 단부에는 링 형상의 걸림부가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걸림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10a, 10b) 각각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안착부(12, 13)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20, 30)는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10a, 10b)의 결합을 통해 형성되는 클램프 몸체(10)의 양 단부에 이탈 방지된 상태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안착부(12, 13)의 형성 위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10a, 10b)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위치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연결부재(20, 30)를 클램프 몸체(10)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몸체(10a, 10b)의 양 단부에 설치하여 튜브 형상의 배관(1)을 지지하므로, 배관(1)의 압박력을 강하게 유지하면서도, 클램프 몸체(10) 측에 직접적인 하중이 부가되지 않아, 반복 사용 시에도 클램프 몸체(10)의 크랙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응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로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를 형성하므로, 이온화 현상으로 인한 배관(1) 외부면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배관 20; 클램프 몸체
10a; 제 1 몸체 10b; 제 2 몸체
11; 내주면 12; 제 1 안착부
13; 제 2 안착부 15; 고정유닛
15a; 제 1 플랜지 15b; 제 2 플랜지
16; 고정볼트 20; 제 1 연결부재
30; 제 2 연결부재

Claims (7)

  1.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 1 몸체와의 결합에 의해 내주면에 양단이 오픈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 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클램프 몸체;
    상기 클램프 몸체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재;
    상기 제 1 연결부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클램프 몸체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의 바깥쪽에 노출된 단부의 지름보다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의 안쪽에 결합되는 삽입 단부의 지름이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노출된 단부의 내주면의 지름은 배관 지름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내주면이 안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증가하는 클램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 각각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의 삽입 단부를 수용하는 제 1 및 제 2 안착부가 대칭으로 배치되는 클램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의 삽입 단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안착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는 클램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는,
    노출된 단부측의 내주면보다 삽입 단부측의 내주면의 지름이 더 크게 형성되는 클램프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클램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몸체는 수지재질로 형성되고,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고정유닛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 1 몸체의 양 측 외벽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플랜지;
    상기 제 2 몸체의 상기 제 1 플랜지와 대응되는 양 측 외벽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플랜지; 및
    상기 제 1 및 제 2 플랜지 각각에 관통 형성된 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를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클램프 장치.

KR2020150002840U 2015-05-04 2015-05-04 클램프 장치 KR200484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840U KR200484663Y1 (ko) 2015-05-04 2015-05-04 클램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840U KR200484663Y1 (ko) 2015-05-04 2015-05-04 클램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902U KR20160003902U (ko) 2016-11-15
KR200484663Y1 true KR200484663Y1 (ko) 2017-10-13

Family

ID=57485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840U KR200484663Y1 (ko) 2015-05-04 2015-05-04 클램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66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3682A (ja) * 1999-01-25 2000-08-02 Sunny Kogyo Kk フェル―ル継手及び該継手を用いたパイプの接続法
JP2001355772A (ja) * 2000-06-14 2001-12-26 Sekisui Chem Co Ltd フランジ接続用部材及びフランジ接続構造
KR100466275B1 (ko) * 2004-09-07 2005-01-13 최백현 홈조인트식 복층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123Y1 (ko) 2005-07-20 2005-10-12 권경숙 호스에 연결된 파이프 이음연결용 체결장치
KR101261971B1 (ko) * 2011-05-17 2013-05-08 주식회사 빌드넷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3682A (ja) * 1999-01-25 2000-08-02 Sunny Kogyo Kk フェル―ル継手及び該継手を用いたパイプの接続法
JP2001355772A (ja) * 2000-06-14 2001-12-26 Sekisui Chem Co Ltd フランジ接続用部材及びフランジ接続構造
KR100466275B1 (ko) * 2004-09-07 2005-01-13 최백현 홈조인트식 복층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902U (ko) 201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2017B2 (ja) ケーブル差込用、管挿入用、またはそれと同様な用途用のシール
US11611202B2 (en) Sealed cable passage
KR101537107B1 (ko) 보일러의 배기관과 연도관의 연결구조
JP6836309B2 (ja) シール
JP2007123024A (ja) 端子可動コネクタ
KR101728442B1 (ko) 케이블 그랜드
CN112752919A (zh) 管道连接用装配装置
KR101489711B1 (ko) 분기관 연결장치
JPH05251887A (ja) ケーブル貫通案内装置
KR200484663Y1 (ko) 클램프 장치
KR101318238B1 (ko) 전선보호용 내압 방폭 플렉시블 케이블 그랜드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US9598181B2 (en) Device for fastening a fluid transport circuit to an element of the structure of an aircraft and related aircraft
KR20170001363A (ko) 격벽 관통용 파이프 결합 어셈블리
JP2012064331A (ja) ワイヤーハーネス
KR20170009039A (ko) 레벨링 웨지 고정구를 구비한 lng 운반선용 화물창의 하부 패널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200480222Y1 (ko) 간섭 여부 확인용 부재
JP2016213053A (ja) パッキン、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2516942B1 (ko) 관 및 박스연결구
US20240125411A1 (en) Round seal
CN210429665U (zh) 风压开关支架、风压开关组件及壁挂炉
JP4773894B2 (ja) 高圧ケーブルの接続装置
CN104081584B (zh) 电气连接装置
CN210440793U (zh) 一种应用于卡箍式接头的管道修补器
JPH09118991A (ja) 防蝕電極装置及び組付け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