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169A - 도로망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도로망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169A
KR20150145169A KR1020140195024A KR20140195024A KR20150145169A KR 20150145169 A KR20150145169 A KR 20150145169A KR 1020140195024 A KR1020140195024 A KR 1020140195024A KR 20140195024 A KR20140195024 A KR 20140195024A KR 20150145169 A KR20150145169 A KR 20150145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node
user
road node
current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6824B1 (ko
Inventor
펭 왕
지탕 리
Original Assignee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45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Abstract

도로망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이용자의 현재 위치와 도로망 맵을 획득하고; 상기 도로망 맵에 기초하여 도로 노드 맵을 생성하고; 도로를 따라 이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최대 여행 거리에 대해 연장하는 경계 지점을 도로 노드 맵 상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경계 지점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로망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EACHABLE AREA BASED ON ROAD NETWORK}
본 발명은 위치 서비스(location services)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도로망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치 기반 서비스(LBS)는 단말 장치에 대한 지역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지역 위치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관련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이용된다. 정보 서비스가 제공될 때, 주변 검색은 매우 중요한 서비스이다. 예컨대, 다양한 맵 어플리케이션(APPs)은 단말 장치가 위치되는 지역 위치에 따라 주변의 관심 지점(POI)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상기 위치 인근의 소정 범위 내에 있는 레스토랑, 시네마, 공동 시설 등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서, 택시 페이징 소프트웨어에서, 이용자가 위치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택시내 단말 장치에 페이징 요청을 전송할 필요성이 있다.
문의 효율 및 안정성의 요인들로 인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계산하는 기존의 방식은 이용자의 도달 가능한 범위로서 동심원 또는 직사각형을 광범위하게 이용한다. 즉, 주변 검색의 서비스가 실행될 때, 동심원 또는 뷰 디스플레이 지역은 결과적인 필터링 조건의 역할을 한다. 기존의 실행에서는 실제로 이용자가 마치 무한히 큰 균일한 표면상에 다양한 등방성의 이동 능력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지만, 실제로는 이용자의 이동 경로는 대부분 도로망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도로망을 벗어난 후의 이동 거리는 그다지 멀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이용자의 실제 도달가능한 지역은 이용자가 연장할 수 있는 경로의 완충 지역이 될 것이다. 기존의 실행에서의 또 다른 문제는 이용자의 도달가능한 지역 상에서 폐쇄된 지역, 수중 지역 또는 산과 같이 이용자에 의해 가로질러 갈 수 없는 지형들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 것이지만, 도로망에 기초한 도달가능한 지역 분석은 일부 범위에 대한 유사한 문제들을 피할 수도 있다.
하지만, 도로망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계산하는 기존 방법의 계산 효율은 높지 않으며, 계산 비용은 동심원 또는 그리드(grid)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계산하는 방법에 비해서도 더 높다. 베이징 지역에서의 샘플링 정책은 2.3km 이상의 도로망에 기초하여 조사하는데 소비되는 시간은 500ms를 초과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도로망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계산하는 방식의 효율적인 관점은 여전히 개선될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한 관점은 도로망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용자의 현재 위치와 도로망 맵을 획득하고; 상기 도로망 맵에 기초하여 도로 노드 맵을 생성하고; 도로를 따라 이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최대 여행 거리에 대해 연장하는 경계 지점을 도로 노드 맵 상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경계 지점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상기 도달가능한 지역 결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라, 도로 노드는 도로의 종단점이 된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라, 도로를 따라 이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최대 여행 거리에 대해 연장하는 경계 지점을 상기 도로 노드 맵 상에서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 주변의 도로 노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도로 노드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 가장 짧은 경로를 검사하고; 상기 검색된 도로 노드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 가장 짧은 경로의 길이가 최대 여행 거리 보다 길 때, 상기 가장 짧은 경로 상에서 상기 도달가능한 지역의 경계 지점을 결정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라,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 주변의 도로 노드를 검색하는 단계는: 먼저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 가장 가까운 도로의 도로 노드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라, 도로를 따라 이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최대 여행 거리에 대해 연장하는 경계 지점을 상기 도로 노드 맵 상에서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도로 노드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 가장 짧은 경로의 길이가 상기 최대 여행 거리 보다 짧을 때, 상기 도로 노드에 인접하고 아직 접근하지 않은 도로 노드를 검색하고, 상기 아직 접근하지 않은 도로 노드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의 가장 짧은 경로의 길이를 검사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라,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도달가능한 지역인 것으로 상기 검색된 경계 지점들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된 볼록 다각형 내의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도로망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 유닛; 도로 노드 맵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하는 도로 노드 맵 유닛; 및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유닛으로부터 이용자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도로 노드 맵 유닛으로부터 도로 노드 맵을 획득하고, 도로를 따라 이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최대 여행 거리에 대해 연장하는 경계 지점을 상기 도로 노드 맵 상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경계 지점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상기 도로 노드 맵 유닛은 미리 저장된 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로 노드 맵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외부로부터 상기 도로 노드 맵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 주변의 도로 노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도로 노드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 가장 짧은 경로를 검사하며, 상기 검색된 도로 노드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 가장 짧은 경로의 길이가 최대 여행 거리 보다 길 때,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장 짧은 경로 상에서 상기 도달가능한 지역의 경계 지점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상기 검색된 도로 노드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 가장 짧은 경로의 길이가 상기 최대 여행 거리 보다 짧을 때, 상기 제어기는 상기 도로 노드에 인접하고 아직 접근하지 않은 도로 노드를 검색하고, 상기 아직 접근하지 않은 도로 노드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의 가장 짧은 경로의 길이를 검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상기 제어기는 상기 도달가능한 지역인 것으로 상기 검색된 경계 지점들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된 볼록 다각형 내의 지역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및 다른 목적과 특징들은 이하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로망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달가능한 지역을 계산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도식적 노드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달가능한 지역을 계산하는 프로세스에서 초기 도로 노드의 결정을 설명하는 도식적 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로망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장치를 설명하는 개략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한 설명이 청구범위와 그에 상당하는 것에 의해 규정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포괄적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하기에 기술된다. 이러한 설명에 있어서, 명백히 명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변수들은 동일한 정의를 갖는다. 이러한 설명은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다양한 특정의 세부 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여기에 설명된 것에 다양한 변경들과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또한, 공지된 기능들과 구성들과 관련된 설명은 명료함과 간결함을 위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로망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계 S101에서, 이용자의 현재 위치와 도로망 맵이 획득된다. 여기서, 이용자는 예컨대 GPS 위치 확인 기능을 갖는 모바일폰, 내비게이터 등과 같은 위치 확인 기능을 갖는 장치를 갖고 다닐 수 있다. 그로부터, 이용자의 현재 위치는 위치 확인 기능을 갖는 장치에 의해 획득될 수 있으며, 현재 위치 주변의 소정의 범위 내에 도로망 맵이 얻어진다. 도로망 맵은 모바일폰이나 내비게이터에 미리 저장된 맵 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외부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예컨대, 모바일폰은 셀룰러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함으로써 서버로부터 도로망 맵을 다운로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S103에서, 도로 노드 맵이 상기 도로망 맵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상기 도로 노드 맵은 도로망 맵의 도로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토폴로지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도로 노드 맵은 추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도로망 맵의 도로들은 도로 노드들 사이에서 연결된다. 도로 노드들은 도로들 상의 종단점들이며, 일반적으로 이들 종단점들은 교차로, T자형 교차로 등과 같은 교차지점인 도로들 상의 종단점들이다. 당연히, 상기 종단점들은 도로들의 종료점이 될 수도 있다. 이용자는 도로망의 도로들 상의 어느 위치에서도 위치될 수 있으며, 또한 도로들에 의해 분기된 맵 지역들의 어느 위치에서도 위치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105에서, 도로를 따라 이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최대 여행 거리에 대해 연장하는 경계 지점은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검색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여기서, 이용자의 이동 속도가 균일하고 소정 시간 내인 것으로 가정하면, 상기 이용자의 도달가능한 지역은 최대 여행 거리 D (예컨대, 1킬로미터)로서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의 거리의 범위 내에 있다. 특히, 도달가능한 지역 상의 가장 멀리 도달되는 경계 지점은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도로의 인근 지역까지 상기 최대 여행 거리 D를 연장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그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의 초기 도로 노드가 얻어지며, 상기 초기 도로 노드 인근의 도로 노드가 또한 상기 초기 도로 노드로부터 시작하여 검색되고, 상기 검색된 도로 노드로부터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의 가장 짧은 경로가 계산된다. 도로 노드로부터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의 가장 짧은 경로가 D를 초과하면, 상기 도달가능한 지역의 가장 멀리 도달되는 경계 지점이 상기 가장 짧은 경로 상에서 결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 S107에서, 도달가능한 지역이 단계 S105에서 결정된 경계 지점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 적어도 두 개의 가장 멀리 도달되는 경계 지점들이 존재한다면, 상기 도달가능한 지역은 이용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장 멀리 도달되는 경계 지점들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로 노드에 기초하여 최대 여행 거리 D를 연장함으로써 도로 노드 맵 상에 도달가능항 지역을 계산하는 프로세스는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의 현재 위치가 도로 노드 0이고, 세 개의 도로 노드들(201, 202 및 203)이 상기 도로 노드 0 가까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상기 도로 노드 0과 상기 도로 노드들(201, 202 및 203) 사이의 거리들은 6, 1 및 2 유닛이 각각 된다. 상기 도로 노드 0은 이하 초기 도로 노드로 칭할 것이다. 초기 도로 노드에 기초하여, 상기 도로 노드 0에 직접 연결되는 인접하는 도로 노드들(201, 202 및 203)을 포함하는 인접 도로 노드 리스트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초기 도로 노드와 상기 인접 도로 노드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하는 도로 노드 사이의 거리가 상기 최대 여행 거리 D 보다 긴 것인지에 대해 연속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이용자의 현재 위치가 도로 노드와 중첩하는 경우가 고려되었다. 하지만, 실제의 상황에서는, 이용자의 현재 위치는 상기 도로 노드에 위치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도로망의 도로상에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초기 도로 노드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될 수도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의 현재 위치 (즉, 시작 지점)와 상기 가장 가까운 도로 사이의 가장 가까운 거리 (즉, 온-로드(on-road) 거리)를 d로 가정하면, 온-로드 지점과 상기 도로의 두 개의 노드들(v1 및 v2) 사이의 거리들은 W-w 및 w로 각각 되고, W-w 및 w는 모두 상기 최대 여행 거리 D 보다 짧은 것으로 가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초기 도로 노드들(v1 및 v2)이 두 개의 방향들에서 얻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초기 도로 노드(v1)에서 도달가능한 지역이 계산될 때 그에 의해 사용된 최대 여행 거리는 D1 = D-d-(W-w)가 되고, 상기 초기 도로 노드(v2)에서 도달가능한 지역이 계산될 때 그에 의해 사용된 최대 여행 거리는 D2 = D-d-w가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인접하는 도로 노드들(v3 및 v4)이 상기 초기 도로 노드(v1)에 존재하고, 두 개의 인접하는 도로 노드들(v5 및 v6)은 상기 초기 도로 노드(v2)에 존재한다. 이와 같이, 단계 S105에서 상기 도달가능한 지역을 계산하기 위해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위치 인근의 도로 노드까지의 상기 최대 여행 거리 D를 연장하는 프로세스는 두 개의 초기 도로 노드 연장 프로세스로 변환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2b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초기 도로 노드의 인접하는 도로 노드 리스트가 생성된 후, 상기 초기 도로 노드와 상기 인접 도로 노드 리스트의 각각의 인접하는 도로 노드 사이의 거리가 상기 최대 여행 거리 D 보다 긴 것인지에 대해 결정된다. 상기 최대 여행 거리 D 보다 긴 거리를 갖는 인접하는 도로 노드와 관련하여, 상기 초기 도로 노드와 상기 인접하는 도로 노드 앞에 상기 도로상의 거리 D를 갖는 위치가 상기 도달가능한 지역의 경계 지점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 때, 상기 최대 여행 거리 D 보다 짧은 상기 초기 도로 노드 0까지의 거리를 갖는 인접하는 도로 노드는 중간 노드로의 역할을 하고, 모든 후속하는 검색된 인접하는 도로 노드들과 상기 초기 도로 노드 사이의 거리들이 모두 상기 최대 여행 거리 D를 초과할 때까지, 상기 중간 노드의 인접하는 도로 노드가 검색되고, 상기한 연장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특히, 도 2b에서, 상기 도로 노드들(201, 202 및 203)과 상기 초기 도로 노드 0 사이의 거리들이 D 보다 긴 것인지에 대해 결정된다. 여기서, D = 5로 가정된다. 도 2b로부터, 노드(201)와 상기 초기 도로 노드 0 사이의 거리는 6이고, 상기 거리는 상기 최대 여행 거리 보다 길므로, 상기 노드 0과 상기 노드(201) 사이의 도로상의 a 지점이 상기 도달가능한 지역의 경계 지점인 것으로 결정된다. 상기 노드(201)와는 다르게, 노드(202)와 상기 초기 도로 노드 0 사이의 거리는 1이고, 이는 상기 최대 여행 거리 5 보다 짧으므로, 상기 노드(202)는 후속하는 연장 계산들에 상기 노드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접근된 중간 노드로서 설정되고, 상기 노드(202)와 상기 초기 도로 노드 0 사이의 거리 1은 중간 노드 리스트에 기록된다. 유사하게, 노드(203)와 상기 초기 도로 노드 0 사이의 거리는 2이고, 마찬가지로 상기 최대 여행 거리 5 보다 짧으므로, 상기 노드(203)는 접근된 중간 노드로서 설정되고, 상기 노드(203)와 그에 대응하는 거리 2는 상기 중간 노드 리스트에 기록된다.
다음으로, 상기 중간 노드 리스트에서 상기 도로 노드의 인접하는 도로 노드가 상기 인접하는 도로 노드 리스트를 갱신하기 위해 얻어지며, 상기 초기 도로 노드로부터 상기 중간 노드 리스트의 도로 노드를 통해 인접하는 리스트 노드들에서의 도로 노드까지의 거리가 상기 최대 여행 거리 D를 초과하는지에 대해 결정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노드 리스트에 위치된 노드(202)의 인접하는 도로 노드들은 노드들(201, 203 및 204)을 포함한다. 상기 노드(202)를 통한 노드(201)까지의 거리는 1+2 = 3이 되며, 그 거리는 상기 최대 여행 거리 5 보다 짧으므로, 상기 노드(201)는 상기 중간 노드 리스트에 입력되며, 상기 노드(201)는 접근된 것으로 설정된다. 한편, 상기 거리 3은 상기 노드(201)로부터 상기 초기 도로 노드 0까지의 거리로서 기록된다. 상기 노드(202)를 통한 상기 노드(204)까지의 거리는 1 + 2 = 3 < 5 이므로, 상기 노드(204)는 접근된 것으로 설정되고, 상기 중간 노드 리스트에 입력되고, 그 대응하는 거리 3이 기록된다. 상기 노드(202)를 통한 상기 노드(203)까지의 거리는 1 + 3 = 4 < 5 이지만, 상기 노드(203)는 상기 중간 노드 리스트에 있고, 상기 중간 노드 리스트는 상기 초기 도로 노드 0으로부터 상기 노드(203)까지의 거리가 2, 즉, 상기 초기 도로 노드 0으로부터 상기 노드(203)까지의 가장 짧은 경로 거리가 2이므로, 상기 노드(203)로부터 상기 초기 도로 노드 0까지의 거리를 갱신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도 2d를 참조하면, 접근되지 않은 인접하는 도로 노드가 상기 중간 노드 리스트에 노드들에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도 2c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동일한 방식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중간 노드 리스트에 있는 노드들의 모든 인접하는 도로 노드들이 접근될 때까지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예컨대, 도 2d에서, 상기 노드(201)의 인접하는 도로 노드들(205 및 202)에서 노드(205)가 접근되지 않았으면, 상기 노드(202)를 통한 상기 초기 도로 노드 0으로부터 상기 노드(205)까지의 거리가 상기 최대 여행 거리를 초과하는지에 대해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노드(202)로부터 상기 노드(205)까지의 거리는 4이므로, 상기 노드(202)를 통한 상기 초기 도로 노드 0으로부터 상기 노드(205)까지의 거리는 1 + 2 + 4 = 7이며, 이는 상기 최대 여행 거리 5 보다 길므로, 상기 노드(202)로부터 상기 노드(205)까지의 도로상에서 거리가 2인 지점 b가 상기 도달가능한 지역의 경계 지점인 것으로 결정된다. 유사하게, 상기 노드(203)로부터 인접하는 도로 노드(206)까지의 거리는 7이고, 상기 초기 도로 노드 0으로부터 상기 노드(203)까지의 최소 거리는 2이므로, 상기 노드(203)로부터 상기 노드(206)까지의 도로상의 지점 c가 상기 도달가능한 지역의 경계 지점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드(204)와 관련해서는, 상기 도로 노드(202)를 제외하곤 접근되는 인접하는 도로 노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노드(204) 자체가 상기 도달가능한 지역의 경계 지점인 것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중간 노드 리스트의 모든 노드들이 접근된 후, 상기 도달가능한 지역의 경계 지점들(a, b, c 및 204)이 최종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마침내,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기 도로 노드 0과 상기 경계 지점들(a, b, c 및 204)을 연결함으로써 볼록 다각형이 형성되며, 상기 볼록 다각형에 지역이 상기 최종 도달가능한 지역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설명은 도로를 따라 인접하는 도로 노드로 연장함으로써 가장 먼 도달가능한 경계 지점을 계산하는 방식일 뿐이며, 상기 가장 먼 도달된 지점을 계산하기 위해 다른 알고리즘들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로망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장치(400)가 도 4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400)는 위치 정보 획득 유닛(410), 도로 노드 맴 유닛(420) 및 제어기(430)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유닛(410)은 상기 장치(400)에 대해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데 이용된다. 도로 노드 맴 유닛(420)은 도로 노드 맵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데 이용된다. 여기서, 도로 노드 맴 유닛(420)은 미리 저장된 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도로 노드 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통신 유닛(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도로 노드 맵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기(430)는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유닛(410)으로부터 이용자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도로 노드 맵 유닛(420)으로부터 도로 노드 맵을 획득하고, 도로를 따라 이용자의 현재 위치부터 시작하여 최대 여행 거리에 대해 연장하는 경계 지점을 상기 도로 노드 맵상에서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경계 지점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한다.
여기서, 제어기(430)는 상기 도달가능한 지역의 경계 지점을 얻기 위해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도로 노드 맵상의 도로를 따라 상기 최대 여행 거리를 연장한다. 상기 제어기(430)는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이용자와 가장 가까운 도로에 연결된 도로 노드를 검색할 수 있으며, 상기 검색된 도로 노드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 가장 짧은 경로를 검사한다. 상기 검색된 도로 노드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의 가장 짧은 경로의 길이가 상기 최대 여행 거리 보다 길 때, 상기 제어기(430)는 상기 가장 짧은 경로상에서 상기 도달가능한 지역의 경계 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검색된 도로 노드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의 가장 짧은 경로의 길이가 상기 최대 여행 거리 보다 짧을 때, 상기 제어기(430)는 상기 도로 노드에 인접하며 아직 접근되지 않은 도로 노드에 대한 검색을 지속하며, 상기 접근되지 않은 도로 노드로부터 상이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의 가장 짧은 경로의 길이를 검사한다. 이러한 검색 및 검사 프로세스들은 검색된 새로운 접근되지 않은 도로 노드들로부터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의 가장 짧은 경로들의 거리들이 모두 상기 최대 여행 거리를 초과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이때, 제어기(430)는 상기한 프로세스에서 얻어진 적어도 하나의 경계 지점에 따라 최종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한다. 특히, 적어도 두 개의 경계 지점들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어기(430)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경계 지점들과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도달가능한 지역인 것으로 상기 검색된 경계 지점들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된 볼록 다각형 내에 상기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달가능한 지역 결정 방법은 차량 교통량 특성에 더욱 잘 적응되도록 하고 도달가능한 지역에 기초하여 후속하는 서비스의 실현을 더욱 용이하게 하도록 도로망에서 이용자의 현재 위치와 도로 연결 상황을 고려하는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도달가능한 지역 결정 방식은 결정된 도달가능한 지역 내에서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지역 내의 모든 택시들에게 택시 호출 요청을 푸싱(push)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택시 호출 소프트웨어에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택시 호출 요청은 더욱 효과적이고 더욱 정확하게 푸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다양한 동작들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또한 단지 프로그램 명령들만을 포함할 수 있거나, 상기 프로그램 명령들에 포함된 데이터 파일, 데이터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예는 자기 매체(예컨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컨대, CD-ROM 및 DVD), 자기-광학 매체(예컨대, 광학 디스크), 및 특히 프로그램 명령들을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예컨대,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플래시 메모리 등)를 포함한다. 상기 매체는 또한 규정된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명령 등의 신호를 전송하는 캐리어를 포함하는 전송 매체(예컨대, 광학 라인 또는 메탈 라인, 도파관 등)가 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들은 예컨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머신 코드, 인터프리터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하이-레벨 코드를 포함하는 파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그 형태와 세부 사항에 있어 다양한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410: 위치 정보 획득 유닛
420: 도로 노드 맵 유닛
430: 제어기

Claims (12)

  1. 도로망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위치 및 도로망 맵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도로망 맵에 기초하여 도로 노드 맵을 생성하는 단계와;
    도로를 따라 이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최대 여행 거리에 대해 연장하는 경계 지점을 상기 도로 노드 맵 상에서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경계 지점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도달가능한 지역 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도로 노드는 도로의 종단점(end poi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달가능한 지역 결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도로를 따라 이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최대 여행 거리에 대해 연장하는 경계 지점을 상기 도로 노드 맵 상에서 검색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 주변의 도로 노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도로 노드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 가장 짧은 경로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도로 노드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 가장 짧은 경로의 길이가 상기 최대 여행 거리 보다 길 때, 상기 가장 짧은 경로 상에서 상기 도달가능한 지역의 경계 지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달가능한 지역 결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 주변의 도로 노드를 검색하는 상기 단계는:
    먼저,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 가장 가까운 도로의 도로 노드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달가능한 지역 결정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도로를 따라 이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최대 여행 거리에 대해 연장하는 경계 지점을 상기 도로 노드 맵 상에서 검색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검색된 도로 노드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 가장 짧은 경로의 길이가 상기 최대 여행 거리 보다 짧을 때, 상기 도로 노드에 인접하고 아직 접근하지 않은 도로 노드를 검색하고, 상기 아직 접근하지 않은 도로 노드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의 가장 짧은 경로의 길이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달가능한 지역 결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도달가능한 지역인 것으로 상기 검색된 경계 지점들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된 볼록 다각형 내의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달가능한 지역 결정 방법.
  7. 도로망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 유닛과;
    도로 노드 맵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하는 도로 노드 맵 유닛과;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유닛으로부터 이용자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도로 노드 맵 유닛으로부터 도로 노드 맵을 획득하고, 도로를 따라 이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최대 여행 거리에 대해 연장하는 경계 지점을 상기 도로 노드 맵 상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경계 지점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도달가능한 지역 결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도로 노드는 도로의 종단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달가능한 지역 결정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노드 맵 유닛은 미리 저장된 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로 노드 맵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외부로부터 상기 도로 노드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달가능한 지역 결정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 주변의 도로 노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도로 노드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 가장 짧은 경로를 검사하며,
    상기 검색된 도로 노드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 가장 짧은 경로의 길이가 상기 최대 여행 거리 보다 길 때,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장 짧은 경로 상에서 상기 도달가능한 지역의 경계 지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달가능한 지역 결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도로 노드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 가장 짧은 경로의 길이가 상기 최대 여행 거리 보다 짧을 때, 상기 제어기는 상기 도로 노드에 인접하고 아직 접근하지 않은 도로 노드를 검색하고, 상기 아직 접근하지 않은 도로 노드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까지의 가장 짧은 경로의 길이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달가능한 지역 결정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도달가능한 지역인 것으로 상기 검색된 경계 지점들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된 볼록 다각형 내의 지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달가능한 지역 결정 장치.
KR1020140195024A 2014-06-18 2014-12-31 도로망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36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271484.3A CN104023313A (zh) 2014-06-18 2014-06-18 基于路网确定可达区域的方法和装置
CN201410271484.3 2014-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169A true KR20150145169A (ko) 2015-12-29
KR102336824B1 KR102336824B1 (ko) 2021-12-09

Family

ID=51439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024A KR102336824B1 (ko) 2014-06-18 2014-12-31 도로망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78048B2 (ko)
EP (1) EP2957869B1 (ko)
JP (1) JP2016004266A (ko)
KR (1) KR102336824B1 (ko)
CN (1) CN1040233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46319B (zh) * 2016-05-06 2020-05-08 高德软件有限公司 跨城可达库创建方法及装置
CN109211238B (zh) * 2018-08-28 2020-08-18 成都四相致新科技有限公司 一种实时定位防穿越优化方法
CN111062658B (zh) * 2019-12-04 2022-11-18 南京苏宁加电子商务有限公司 配送范围的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1210628B (zh) * 2020-01-14 2021-04-27 首都师范大学 城市可达区域计算中的边界路段选择方法及装置
CN111652434B (zh) * 2020-06-02 2023-09-2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路网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2185116B (zh) * 2020-09-29 2021-11-23 重庆文理学院 一种城市道路交通网络抗灾韧性能力评估方法
CN112202892B (zh) * 2020-09-30 2022-02-1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mec边界的确定方法及装置
CN114543820B (zh) * 2020-11-24 2023-09-22 博泰车联网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道路匹配方法及相关装置
CN112751911B (zh) * 2020-12-15 2022-10-21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路网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13328785B (zh) * 2021-05-27 2022-03-18 广州爱浦路网络技术有限公司 卫星通信中对终端的寻呼方法和用于卫星通信的核心网
CN113592180B (zh) * 2021-08-02 2023-07-07 上海歆广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种子点服务区域划分方法及系统
CN114046798B (zh) * 2021-11-16 2023-07-25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辅助探索城市的路径规划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0721A (ja) * 2005-07-29 2007-02-15 Navitime Japan Co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poi探索方法、情報配信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
WO2014005979A1 (en) * 2012-06-29 2014-01-09 Tomtom Development Germany Gmbh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achable area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02985D0 (en) * 2000-02-09 2000-03-29 Travelfusion Limited Integrated journey planner
CN101882395A (zh) * 2005-09-12 2010-11-1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地图显示装置
CN101458087B (zh) * 2007-12-14 2013-01-09 环达电脑(上海)有限公司 使用图像地图的导航装置及其方法
CN101261136B (zh) * 2008-04-25 2012-11-28 浙江大学 一种基于移动导航系统的路径搜索方法
JP5516525B2 (ja) * 2011-07-20 2014-06-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WO2013027270A1 (ja) * 2011-08-23 2013-02-2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管理装置、端末、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8874367B2 (en) * 2011-10-14 2014-10-28 Equilateral Technologies, Inc. Method for estimating and displaying range of a vehicle
US10345108B2 (en) * 2012-05-16 2019-07-09 Polaris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ane routing
EP2685215B1 (en) * 2012-07-13 2021-04-28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Method of estimating an ability of a vehicle to reach a target road segment, method of generating a database therefor, and corresponding navigation system
JP6026295B2 (ja) * 2013-01-23 2016-11-16 株式会社デンソーアイティーラボラトリ カーブ形状モデル化装置、方法及び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140372031A1 (en) * 2013-06-17 2014-12-18 Rivendell Technologies, LLC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generating digital wayfinding map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0721A (ja) * 2005-07-29 2007-02-15 Navitime Japan Co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poi探索方法、情報配信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
WO2014005979A1 (en) * 2012-06-29 2014-01-09 Tomtom Development Germany Gmbh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achable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69616A1 (en) 2015-12-24
JP2016004266A (ja) 2016-01-12
US9778048B2 (en) 2017-10-03
CN104023313A (zh) 2014-09-03
KR102336824B1 (ko) 2021-12-09
EP2957869B1 (en) 2019-04-17
EP2957869A1 (en)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6824B1 (ko) 도로망에 기초하여 도달가능한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04011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KR102478150B1 (ko) 관심 포인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1496598B2 (en) Caching data at network processing nodes based on device location
JP2007318354A (ja) 移動体用通信装置および移動体用通信方法
CN111339111A (zh) 一种高精度地图数据的更新方法及系统
KR101450525B1 (ko)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 질의의 안전 출구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
Shahzada et al. Dynamic vehicle navigation: An A* algorithm based approach using traffic and road information
CN105698805A (zh) 一种导航方法及装置
JP7397116B2 (ja) マップクエリ方法、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6211900A (ja) 情報処理装置、経路探索方法、交通情報データ、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710985B1 (ko) Ble 기술 기반 실내 공간에서의 경로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1135255B1 (ko) 개인 교통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9297480B (zh) 用于管理设备的位置的方法和系统
KR101851593B1 (ko) 측위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
JP5929782B2 (ja) 誘導経路探索システム
US202302360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al path determination using contraction hierarchies with multi-link constraints
US20240155547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adio model generation, mobile device positioning, and/or hash key generation for a radio model
CN108663056B (zh) 一种道路连通方法及装置
JP2008122319A (ja) 経路探索方法、経路探索システム及び経路探索サーバ
JP6363411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通知情報生成装置および通知情報生成システム
JP6011907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CN116202549A (zh) 导航地图中沿路线搜索兴趣点的方法、装置及服务器
JP2014178259A (ja) ログ情報公開システム、ログ情報公開装置、ログ情報公開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4281915A (zh) 一种生成几何路网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