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058A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 Google Patents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058A
KR20150145058A KR1020140074324A KR20140074324A KR20150145058A KR 20150145058 A KR20150145058 A KR 20150145058A KR 1020140074324 A KR1020140074324 A KR 1020140074324A KR 20140074324 A KR20140074324 A KR 20140074324A KR 20150145058 A KR20150145058 A KR 20150145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electrolyte
lower plates
solar cell
glass fr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권
김보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리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리온
Priority to KR1020140074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5058A/ko
Priority to US15/313,051 priority patent/US20170200564A1/en
Priority to PCT/KR2015/005757 priority patent/WO2015194784A1/ko
Publication of KR20150145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68Panels or arrays of photoelectrochemical cells, e.g. photovoltaic modules based on photoelectrochemical cells
    • H01G9/2077Sealing arrangements, e.g.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59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rganic dye as the active light absorbing material, e.g. adsorbed on an electrode or dissolved in solu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04Light-sensitiv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e.g. comprising an organic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7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 H01G9/2031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comprising titanium oxide, e.g. Ti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68Panels or arrays of photoelectrochemical cells, e.g. photovoltaic modules based on photoelectrochemical cells
    • H01G9/2081Serial interconnection of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ybrid Cel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하부 판의 테두리로 노출된 내부격벽의 최 외곽에 상기 상/하부 판과 유사한 재질(예컨대, 비스무스(Bismuth) 계 글래스 프릿(Glass frit) 재질, PbO 계 글래스 프릿 재질 등)을 가지는 오염물질 차단격벽을 추가로 배치하고,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하부 판의 내측으로 유입/침투되는 여러 오염물질(예를 들어, 수분, 가스, 오일, 각종 화학물질 등)이 별다른 어려움 없이 효과적으로 차단/차폐될 수 있도록 유도함은 물론, 상기 상/하부 판의 합착강도 까지도 대폭 증대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생산주체 측에서, 최종 생산되는 태양전지의 품질향상 이점은 물론, 자사 생산제품의 경쟁력향상 이점까지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
본 발명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부 판의 테두리로 노출된 내부격벽의 최 외곽에 상기 상/하부 판과 유사한 재질(예컨대, 비스무스(Bismuth) 계 글래스 프릿(Glass frit) 재질, PbO 계 글래스 프릿 재질 등)을 가지는 오염물질 차단격벽을 추가로 배치하고,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하부 판의 내측으로 유입/침투되는 여러 오염물질(예를 들어, 수분, 가스, 오일, 각종 화학물질 등)이 별다른 어려움 없이 효과적으로 차단/차폐될 수 있도록 유도함은 물론, 상기 상/하부 판의 합착강도 까지도 대폭 증대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생산주체 측에서, 최종 생산되는 태양전지의 품질향상 이점은 물론, 자사 생산제품의 경쟁력향상 이점까지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연료감응형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10)는 상/하부 전극(51,52)이 구비된 글래스 재질의 상/하부 판(21,22)과, 상기 상/하부 판(21,22)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내부격벽(40)에 의해 상호 분리되며, 상/하부 판(21,22)을 따라 배열되면서, 전해질 및 염료고분자를 수용하는 다수의 전해질/염료 수용 셀(30)과, 상기 내부격벽(40) 내에 삽입되어, 전해질로부터 분리되는 그리드 전극(53)(Grid electrode)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상/하부 판(21,22)에는 예컨대, FTO 등의 전도성 물질(도시 안됨)이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10)의 보다 상세한 구조는 예를 들어, 국내공개특허 제10-2012-114888호(명칭: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봉지재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봉지방법)(2012.10.17.자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1223736호(명칭: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2013.1.21.자 공고)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10)를 구성하는 상부 판(21) 및 하부 판(22)의 샌드위치 형 조립/합체가 상기 내부격벽(40)을 매개로 완료되면, 생산주체 측에서는 상/하부 판(21,22)의 측 부에 형성되어 있던 전해질 주입구(60)를 통해, 전해질 및 염료고분자를 주입하는 공정을 실시(도 1의 경우)하거나, 상부 판(21)에 형성된 전해질 주입 홀(80)을 통해 전해질 및 염료고분자를 주입하는 공정을 실시(도 2의 경우)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전해질 및 염료고분자의 주입 후, 별도의 추가 조치가 취해지지 아니하면, 해당 전해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주체 측에서는 일련의 실링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상/하부 판(21,22)의 외곽에 실링구조물(70)을 배치시키고, 이 실링구조물(70)을 통해, 전해질의 외부 유출을 미리 방지시키는 조치를 다양하게 취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공개특허 제10-2010-116797호(명칭: 태양전지용 실링장치 및 그 제어방법)(2010.11.2.자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3-23929호(명칭: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해질 실링 구조)(2013.3.8.자 공개) 등에는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해질 실링 방법의 일례가 좀 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격벽(40)은 전해질/염료 수용 셀(30)을 가득 채운 전해질과 직접적인 접촉을 이룰 수밖에 없기 때문에, 생산주체 측에서는 내부격벽(40)의 재질로써, 전해질에 대해 강한 차단품질을 나타낼 수 있는 일련의 전해질 차단물질, 예를 들어, 바나듐산염(Vanadate), 실리케이트(Silicate) 등을 선택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해질 차단물질들은 비록, 전해질에 대해서는 강한 차단품질을 나타낼 수 있지만, 외부로부터 상/하부 판(21,22)의 내측으로 유입/침투되는 여러 오염물질, 예를 들어, 수분, 가스, 오일, 각종 화학물질 등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차단품질을 나타낼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생산주체 측에서는 상/하부 판(21,22)의 내측이 외부로부터 유입/침투되는 여러 오염물질(예를 들어, 수분, 가스, 오일, 각종 화학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는 심각한 피해를 피할 수 없게 된다(물론, 이러한 상/하부 판(21,22) 내측의 심각한 오염상황 하에서, 최종 생산되는 태양전지의 신뢰성은 크게 저하될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상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서는 상/하부 판(21,22)의 외곽에 일련의 실링구조물(70)을 추가로 배치시켜 놓고 있기는 하지만, 이 실링구조물(70) 역시, 오로지 전해질에 대해서만 강한 차단품질을 나타낼 수 있는 일련의 전해질 차단물질(예를 들어, 실리콘, 에폭시, UV 에폭시 등)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결국, 실링구조물(70)의 배치상황 하에서도, 생산주체 측에서는 상/하부 판(21,22)의 내측이 외부로부터 유입/침투되는 여러 오염물질(예를 들어, 수분, 가스, 오일, 각종 화학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는 심각한 피해를 피할 수 없게 된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2-114888호(명칭: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봉지재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봉지방법)(2012.10.17.자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1223736호(명칭: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2013.1.21.자 공고) 국내공개특허 제10-2010-116797호(명칭: 태양전지용 실링장치 및 그 제어방법)(2010.11.2.자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3-23929호(명칭: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해질 실링 구조)(2013.3.8.자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부 판의 테두리로 노출된 내부격벽의 최 외곽에 상기 상/하부 판과 유사한 재질(예컨대, 비스무스(Bismuth) 계 글래스 프릿(Glass frit) 재질, PbO 계 글래스 프릿 재질 등)을 가지는 오염물질 차단격벽을 추가로 배치하고,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하부 판의 내측으로 유입/침투되는 여러 오염물질(예를 들어, 수분, 가스, 오일, 각종 화학물질 등)이 별다른 어려움 없이 효과적으로 차단/차폐될 수 있도록 유도함은 물론, 상기 상/하부 판의 합착강도 까지도 대폭 증대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생산주체 측에서, 최종 생산되는 태양전지의 품질향상 이점은 물론, 자사 생산제품의 경쟁력향상 이점까지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하부 판과; 상기 상/하부 판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내부격벽에 의해 상호 분리되며, 상기 상/하부 판을 따라 배열되면서, 전해질 및 염료고분자를 수용하는 전해질/염료 수용 셀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 판의 테두리로 노출된 상기 내부격벽의 최 외곽에는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오염물질 차단격벽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하부 판의 테두리로 노출된 내부격벽의 최 외곽에 상기 상/하부 판과 유사한 재질(예컨대, 비스무스(Bismuth) 계 글래스 프릿(Glass frit) 재질, PbO 계 글래스 프릿 재질 등)을 가지는 오염물질 차단격벽을 추가로 배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외부로부터 상/하부 판의 내측으로 유입/침투되는 여러 오염물질(예를 들어, 수분, 가스, 오일, 각종 화학물질 등)은 별다른 어려움 없이 효과적으로 차단/차폐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상/하부 판의 합착강도 까지도 대폭 증대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생산주체 측에서는, 최종 생산되는 태양전지의 품질향상 이점은 물론, 자사 생산제품의 경쟁력향상 이점까지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100)는 상/하부 전극(151,152)이 구비된 글래스 재질의 상/하부 판(121,122)과, 상기 상/하부 판(121,122)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내부격벽(140)에 의해 상호 분리되며, 상/하부 판(121,122)을 따라 배열되면서, 전해질 및 염료고분자를 수용하는 다수의 전해질/염료 수용 셀(130)과, 상기 내부격벽(140) 내에 삽입되어, 전해질로부터 분리되는 그리드 전극(153)(Grid electrode)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상/하부 판(121,122)에는 예컨대, FTO 등의 전도성 물질(도시 안됨)이 코팅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100)를 구성하는 상부 판(121) 및 하부 판(122)의 샌드위치 형 조립/합체가 상기 내부격벽(140)을 매개로 완료되면, 생산주체 측에서는 상/하부 판(121,122)의 측 부에 형성되어 있던 전해질 주입구(160)를 통해, 전해질 및 염료고분자를 주입하는 공정을 실시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전해질 및 염료고분자의 주입 후, 별도의 추가 조치가 취해지지 아니하면, 해당 전해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주체 측에서는 일련의 실링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상/하부 판(121,122)의 외곽에 실링구조물(170)을 배치시키고, 이 실링구조물(170)을 통해, 전해질의 외부 유출을 미리 방지시키는 조치를 다양하게 취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내부격벽(140)은 전해질/염료 수용 셀(130)을 가득 채운 전해질과 직접적인 접촉을 이룰 수밖에 없기 때문에, 생산주체 측에서는 내부격벽(140)의 재질로써, 전해질에 대해 강한 차단품질을 나타낼 수 있는 일련의 전해질 차단물질, 예를 들어, 바나듐산염(Vanadate), 실리케이트(Silicate) 등을 선택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해질 차단물질들은 비록, 전해질에 대해서는 강한 차단품질을 나타낼 수 있지만, 외부로부터 상/하부 판(121,122)의 내측으로 유입/침투되는 여러 오염물질, 예를 들어, 수분, 가스, 오일, 각종 화학물질 등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차단품질을 나타낼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생산주체 측에서는 상/하부 판(121,122)의 내측이 외부로부터 유입/침투되는 여러 오염물질(예를 들어, 수분, 가스, 오일, 각종 화학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는 심각한 피해를 피할 수 없게 된다(물론, 이러한 상/하부 판(121,122) 내측의 심각한 오염상황 하에서, 최종 생산되는 태양전지의 신뢰성은 크게 저하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 본 발명에서는 오염물질의 무단 유입/침투를 차단하기 위한 본 발명 고유의 오염물질 차단격벽(200)을 추가 형성/배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부 판(121) 및 하부 판(122)의 샌드위치 형 조립/합체가 상기 내부격벽(140)을 매개로 시행되는 국면에서, 상/하부 판(121,122)의 테두리를 타겟으로 하는 일련의 인쇄공정, 소성공정 등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상/하부 판(121,122)의 테두리로 노출된 내부격벽(140)의 최 외곽에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본 발명 고유의 오염물질 차단격벽(200)>을 형성/배치하게 된다.
다른 예로써, 본 발명에서는 상부 판(121) 및 하부 판(122)의 샌드위치 형 조립/합체가 상기 내부격벽(140)을 매개로 시행되는 국면에서, 상/하부 판(121,122)의 테두리를 타겟으로 하는 일련의 디스펜싱 공정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상/하부 판(121,122)의 테두리로 노출된 내부격벽(140)의 최 외곽에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본 발명 고유의 오염물질 차단격벽(200)>을 추가로 형성/배치하게 된다.
이러한 각각의 경우에서, 본 발명에서는 오염물질 차단격벽(200)의 재질을 바람직하게, 비스무스(Bismuth) 계 글래스 프릿(Glass frit) 재질 또는 PbO 계 글래스 프릿 재질로 선택하게 된다.
몰론, 상기 비스무스(Bismuth) 계 글래스 프릿(Glass frit), PbO 계 글래스 프릿 등은 우수한 내습, 내유, 내 가스 특성을 지니는 세라믹 물질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부 판(121,122)의 테두리로 노출된 내부격벽(140)의 최 외곽에 비스무스(Bismuth) 계 글래스 프릿(Glass frit) 재질, PbO 계 글래스 프릿 재질 등을 가지는 본 발명 고유의 오염물질 차단격벽(200)이 추가로 배치되는 경우, 외부의 여러 오염물질(예를 들어, 수분, 가스, 오일, 각종 화학물질 등)은 오염물질 차단격벽(200)의 차단작용에 의해 상/하부 판(121,122)의 내측으로 전혀 유입/침투할 수 없게 되며, 결국, 생산주체 측에서는, 오염물질의 유입/침투에 기인한 제품의 신뢰성 저하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됨으로써, 최종 생산되는 태양전지의 품질향상 이점은 물론, 자사 생산제품의 경쟁력향상 이점까지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오염물질 차단격벽(200)을 이루는 상기 비스무스(Bismuth) 계 글래스 프릿(Glass frit), PbO 계 글래스 프릿 등은 상/하부 판(121,122)의 재질(즉, 글래스 재질)과 매우 유사(또는, 동일)한 재질이기 때문에, 상/하부 판(121,122)의 테두리로 노출된 내부격벽(140)의 최 외곽에 비스무스(Bismuth) 계 글래스 프릿(Glass frit) 재질, PbO 계 글래스 프릿 재질 등을 가지는 본 발명 고유의 오염물질 차단격벽(200)이 추가로 배치된 상황 하에서, 상/하부 판(121,122)의 조립/합체를 위한 공정이 진행되는 경우, 해당 상/하부 판(121,122)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오염물질 차단격벽(200)을 합착 매개체로 활용하여, 상호 간에 매우 강한 융착을 이룰 수 있게 되며, 결국,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생산주체 측에서는 상술한 오염물질 차단효과는 물론, 상/하부 판(121,122)의 합착강도가 대폭 증대되는 효과까지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하부 판(121,122)의 테두리로 노출된 내부격벽(140)의 외곽에 전해질 및 염료고분자의 주입을 위한 전해질 주입구(160)가 추가 형성되어 있는지를 점검하고, 만약,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판(121,122)의 테두리로 노출된 내부격벽(140)의 외곽에 전해질 및 염료고분자의 주입을 위한 전해질 주입구(160)가 추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해당 전해질 주입구 형성구역에는 오염물질 차단격벽(200)의 배치/형성을 생략하는 융통성 있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오염물질 차단격벽(200)의 선별적인 배치 구조 하에서, 생산주체 측에서는 내부격벽(140)의 최 외곽에 오염물질 차단격벽(200)이 추가로 배치된 상황 하에서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전해질 주입구(160)를 활용하여, 전해질/염료 수용 셀(130) 내부에 전해질 및 염료고분자를 손쉽게 주입할 수 있게 된다(참고로, 상기 실링구조물(170)은 전해질 주입구(160)를 통해, 전해질 및 염료고분자가 주입된 이후에 형성된다).
다른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101)는 앞의 실시 예와 달리, 상부 판(121)에 형성된 전해질 주입 홀(180)을 통해 전해질 및 염료고분자가 주입되는 변화된 타입을 취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하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오염물질의 무단 유입/침투를 차단하기 위한 본 발명 고유의 오염물질 차단격벽(200)을 추가 형성/배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는 상부 판(121) 및 하부 판(122)의 샌드위치 형 조립/합체가 상기 내부격벽(140)을 매개로 시행되는 국면에서, 상/하부 판(121,122)의 테두리를 타겟으로 하는 일련의 인쇄공정, 소성공정 등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상/하부 판(121,122)의 테두리로 노출된 내부격벽(140)의 최 외곽에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본 발명 고유의 오염물질 차단격벽(200)>을 형성/배치하게 된다.
다른 예로써, 본 발명에서는 상부 판(121) 및 하부 판(122)의 샌드위치 형 조립/합체가 상기 내부격벽(140)을 매개로 시행되는 국면에서, 상/하부 판(121,122)의 테두리를 타겟으로 하여, 일련의 디스펜싱 공정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상/하부 판(121,122)의 테두리로 노출된 내부격벽(140)의 최 외곽에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본 발명 고유의 오염물질 차단격벽(200)>을 추가로 형성/배치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101)는 앞의 실시 예와 달리, 상부 판(121)에 형성된 전해질 주입 홀(180)을 통해 전해질 및 염료고분자를 주입하는 타입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하에서, 오염물질 차단격벽(200)은 전해질 주입구에 대한 별도의 배려 없이(즉, 별도의 생략 영역 없이), 상/하부 판(121,122)의 테두리로 노출된 내부격벽(140)의 최 외곽 전체를 일괄적으로 둘러싸는 구조를 원활하게 취할 수 있게 된다(도 3 및 도 4 비교/참조).
이러한 각각의 경우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오염물질 차단격벽(200)의 재질을 바람직하게, 비스무스(Bismuth) 계 글래스 프릿(Glass frit) 재질 또는 PbO 계 글래스 프릿 재질로 선택하게 된다.
몰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비스무스(Bismuth) 계 글래스 프릿(Glass frit), PbO 계 글래스 프릿 등은 우수한 내습, 내유, 내 가스 특성을 지니는 세라믹 물질이기 때문에, 상/하부 판(121,122)의 테두리로 노출된 내부격벽(140)의 최 외곽에 비스무스(Bismuth) 계 글래스 프릿(Glass frit) 재질, PbO 계 글래스 프릿 재질 등을 가지는 본 발명 고유의 오염물질 차단격벽(200)이 추가로 배치되는 경우, 외부의 여러 오염물질(예를 들어, 수분, 가스, 오일, 각종 화학물질 등)은 오염물질 차단격벽(200)의 차단작용에 의해 상/하부 판(121,122)의 내측으로 전혀 유입/침투할 수 없게 되며, 결국,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하에서도, 생산주체 측에서는, 오염물질의 유입/침투에 기인한 제품의 신뢰성 저하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됨으로써, 최종 생산되는 태양전지의 품질향상 이점은 물론, 자사 생산제품의 경쟁력향상 이점까지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하에서도, 오염물질 차단격벽(200)을 이루는 상기 비스무스(Bismuth) 계 글래스 프릿(Glass frit), PbO 계 글래스 프릿 등은 상/하부 판(121,122)의 재질(즉, 글래스 재질)과 매우 유사(또는, 동일)한 재질이기 때문에, 상/하부 판(121,122)의 테두리로 노출된 내부격벽(140)의 최 외곽에 비스무스(Bismuth) 계 글래스 프릿(Glass frit) 재질, PbO 계 글래스 프릿 재질 등을 가지는 본 발명 고유의 오염물질 차단격벽(200)이 추가로 배치된 상황 하에서, 상/하부 판(121,122)의 조립/합체를 위한 공정이 진행되는 경우, 해당 상/하부 판(121,122)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오염물질 차단격벽(200)을 합착 매개체로 활용하여, 상호 간에 매우 강한 융착을 이룰 수 있게 되며, 결국, 본 발명의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생산주체 측에서는 상술한 오염물질 차단효과는 물론, 상/하부 판(121,122)의 합착강도가 대폭 증대되는 효과까지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전해질의 유출 차단이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100,101: 연료감응형 태양전지 21,121: 상부 판
22,122: 하부 판 30,130: 전해질/염료 수용 셀
40.140: 내부격벽 51,151: 상부전극 52,152: 하부전극
53,153: 그리드 전극 60,160: 전해질 주입구 70,170: 실링구조물
80,180: 전해질 주입 홀 200: 오염물질 차단격벽

Claims (4)

  1. 상/하부 판과;
    상기 상/하부 판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내부격벽에 의해 상호 분리되며, 상기 상/하부 판을 따라 배열되면서, 전해질 및 염료고분자를 수용하는 전해질/염료 수용 셀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 판의 테두리로 노출된 상기 내부격벽의 최 외곽에는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오염물질 차단격벽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판의 테두리로 노출된 상기 내부격벽의 외곽에 상기 전해질 및 염료고분자의 주입을 위한 전해질 주입구가 추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해당 전해질 주입구 형성구역에는 상기 오염물질 차단격벽의 배치가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질 차단격벽은 비스무스(Bismuth) 계 글래스 프릿(Glass frit) 재질 또는 PbO 계 글래스 프릿 재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질 차단격벽은 인쇄공정 또는 디스펜싱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KR1020140074324A 2014-06-18 2014-06-18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KR20150145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324A KR20150145058A (ko) 2014-06-18 2014-06-18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US15/313,051 US20170200564A1 (en) 2014-06-18 2015-06-09 Dye-sensitized solar cell
PCT/KR2015/005757 WO2015194784A1 (ko) 2014-06-18 2015-06-09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324A KR20150145058A (ko) 2014-06-18 2014-06-18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058A true KR20150145058A (ko) 2015-12-29

Family

ID=54935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324A KR20150145058A (ko) 2014-06-18 2014-06-18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200564A1 (ko)
KR (1) KR20150145058A (ko)
WO (1) WO20151947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362B1 (ko) * 2007-09-10 2014-11-03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유리 프릿 및 이를 이용한 전기소자의 밀봉방법
JP2009272168A (ja) * 2008-05-08 2009-11-19 Nok Corp 色素増感型太陽電池
PT104282A (pt) * 2008-12-05 2010-06-07 Univ Do Porto Processo de selagem com vidro de células solares dsc
JP5306274B2 (ja) * 2010-03-30 2013-10-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太陽電池裏面封止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太陽電池裏面保護膜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219847B1 (ko) * 2011-05-09 2013-01-21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기밀성이 우수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00564A1 (en) 2017-07-13
WO2015194784A1 (ko)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ufiani et al. Lessons Learnt from Spatially Resolved Electro‐and Photoluminescence Imaging: Interfacial Delamination in CH3NH3PbI3 Planar Perovskite Solar Cells upon Illumination
DE112010000738B4 (de) Halbleitervorrichtung
EP3649450B1 (de) Mikromechanische sensorvorrichtung und entsprechendes herstellungsverfahren
CN102047759A (zh) 有机el显示器及其制造方法
WO2008013820A3 (en) Buried circumferential electrode microcavity plasma device arrays, electrical interconnects, and formation method
CN105629593A (zh) 一种面板
CN103474418B (zh) 一种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WO2006069876A1 (de) Selektiver gassensor
KR20150145058A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CN102375269B (zh) 基板组及液晶显示面板
JP4783631B2 (ja) 2つの密封接合部を備える密封される電気技術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190124863A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JP2017502255A (ja) サンプルホルダおよび関連する浸透装置
KR20160045959A (ko)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374143A (zh) 一种防渗阻隔墙及其施工方法
US20180158620A1 (en) Dye-sensitized solar cell
JP4899898B2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CN104831978B (zh) 防渗池及其安装方法
KR101172165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전해질 주입구 밀봉 장치 및 방법
KR100459174B1 (ko) 유기 el 디스플레이 소자의 봉지구조
DE102017216881A1 (de) Deckel für eine Batteriezelle und Verfahren zum Versiegeln eines Isolators eines Deckels einer Batteriezelle
CN110400732A (zh) 一种电极成型方法、迁移管及离子迁移谱仪
CN205369815U (zh) 一种防静电砖
WO2013050387A1 (de) Sensormodul sowie elektrode für ein sensormodul
KR101890687B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