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4836A - 텐트용 폴 - Google Patents

텐트용 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4836A
KR20150144836A KR1020140073340A KR20140073340A KR20150144836A KR 20150144836 A KR20150144836 A KR 20150144836A KR 1020140073340 A KR1020140073340 A KR 1020140073340A KR 20140073340 A KR20140073340 A KR 20140073340A KR 20150144836 A KR20150144836 A KR 20150144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tent
external force
fixed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1366B1 (ko
Inventor
김종주
Original Assignee
(주)라이브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이브플렉스 filed Critical (주)라이브플렉스
Priority to KR1020140073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366B1/ko
Priority to JP2014164491A priority patent/JP2016003556A/ja
Publication of KR20150144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2015/326Frame members connected by elastic co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트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텐트용 폴에 관한 것으로, 텐트를 지지하도록 일단과 타단이 각각 지면에 고정되어 일정 높이를 갖는 구조물을 형성하는 텐트용 폴로서, 상호 결합되어 일정 형태와 일정 길이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텐트용 폴의 양단부를 제외한 중앙 영역을 형성하는 중앙 폴대와; 상기 중앙 폴대의 양단부에 각각 삽입 결합되어 그 단부가 상기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중앙 폴대가 일정 높이를 갖는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텐트에 작용하는 외력을 감쇄시키는 외력 감쇄부가 구비된 단부 폴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설치된 텐트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호 연결된 복수의 폴대 자체가 외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력으로부터 폴대를 보호하여 폴대 자체의 내구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텐트용 폴{POLE FOR TENT}
본 발명은 텐트용 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력을 감쇄시켜 폴대가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는 텐트용 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1)는 사용자가 캠핑 또는 야외에서 임시로 거처할 수 있도록 방수천과 다수개의 폴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방수천을 다수개의 폴로 지지 및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의 텐트(1)를 형성하게 된다.
즉, 다수개의 폴을 상호 연결하여 직선 또는 곡선의 아치형을 이루어 그 골격을 형성하고, 방수천을 펼쳐 폴에 연결하여, 폴이 형성하는 골격에 따라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텐트(1)의 전체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폴을 복수개로 분할하여 보관 및 휴대하기 간편하게 구성하였으며, 야외에서 분할된 폴들을 연결하여 텐트(1)와 그늘막을 설치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2의 텐트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폴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1)는 복수 개의 폴대(10)를 이용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10)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분할된 폴대(10')의 단부는 다른 폴대의 단부에 끼워질 수 있게 직경이 작거나 또는 폴대의 직경보다 큰 연결구(11)가 고정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분할된 폴대(10')들을 고무줄(13)로 연결해 둠으로써, 분할된 폴대(10')들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또한 분할된 폴대(10')의 분실을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무줄(13)은 폴대(10')들을 관통해 분할된 폴대(10')들을 하나로 연결한다. 그리고 고무줄(13)의 양단은 폴(10)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는데, 고무줄(13)의 양단은 팁(15)에 각각 고정되고, 팁(15)은 폴대(10)의 양단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팁(15)은 연결된 폴대(10)의 양단에 위치한 구성요소로서, 폴대(10)의 내부에 위치한 고무줄(13)과 연결된다. 그리고 지반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된다.
팁(15)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팁(15)은 지반에 박힐 수 있게 끝단이 뾰족한 뾰족부(17)와, 폴대(10)의 단부에 걸리도록 폴대(10)의 외경의 크기를 갖는 걸림턱(19)과, 폴대(10)의 단부에 삽입되어 위치하며 고무줄(13)과 연결되는 고리(21)를 포함한다.
따라서, 폴대(10)에 고무줄(13)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고무줄(13)을 고리(21)에 꿴 후에 고무줄(13)의 단부를 클램퍼로 집어 고무줄(13)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고무줄(13)이 연결된 팁(15)은 고리(21)가 폴대(10)의 단부에 삽입된다.
그러면 걸림턱(19)이 폴(10)의 단부에 걸려 팁(15)의 뾰족부(17)만이 폴(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위치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텐트용 폴에 있어서 폴대(10)와 폴대(10) 사이의 연결구조는 어느 하나의 폴대(10) 단부에 구비된 연결구(11)에 다른 폴대(10)를 삽입하면 폴대(10)의 내부에 구비된 고무줄(13)의 장력에 의하여 이들 사이의 결합이 유지되는 구조이므로, 텐트(1)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 외력이 작용시에 상기 외력을 전혀 흡수하지 못하므로 설치된 텐트(1)가 외력에 의하여 형태가 변형되거나 심할 경우에는 날아갈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폴대(10)의 연결구가 손상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된 텐트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호 연결된 복수의 폴대 자체가 외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력으로부터 폴대를 보호하여 폴대 자체의 내구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텐트용 폴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텐트용 폴은, 텐트를 지지하도록 일단과 타단이 각각 지면에 고정되어 일정 높이를 갖는 구조물을 형성하는 텐트용 폴로서, 상호 결합되어 일정 형태와 일정 길이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텐트용 폴의 양단부를 제외한 중앙 영역을 형성하는 중앙 폴대와; 상기 중앙 폴대의 양단부에 각각 삽입 결합되어 그 단부가 상기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중앙 폴대가 일정 높이를 갖는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텐트에 작용하는 외력을 감쇄시키는 외력 감쇄부가 구비된 단부 폴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력 감쇄부는 상기 단부 폴대와 중첩되는 정도가 변화되어 상기 외력을 감쇄시키도록 상기 단부 폴대의 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탄성지지 되는 외부 폴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력 감쇄부는 상기 외부 폴대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단부 폴대의 일단부와 상기 외부 폴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과, 일단이 고정부재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단부 폴대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외부 폴대가 상기 단부 폴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장력을 형성하는 고무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줄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부재와 단부 폴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무줄의 양단부에는 와샤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외부 폴대의 내측에 복수의 개소에 펀칭에 의하여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무줄의 장력은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계수보다 크거나 혹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이 적어도 일정 간격 압축되거나 혹은 상기 탄성스프링의 양단부가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중앙 폴대와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줄의 양단부는 각각 단부 폴대의 내부에 구비된 고정부재에 고정 결합되어 선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텐트는, 설치된 텐트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호 연결된 복수의 폴대 자체가 외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력으로부터 폴대를 보호하여 폴대 자체의 내구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폴대에 텐트천을 연결하여 텐트를 설치할 때, 폴대에 구비된 외력 감쇄부에 압력을 가하여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폴대 전체의 길이를 감소시킨 후 폴대에 텐트천을 연결하고, 압력 감쇄부에 가해진 압력을 제거하여 폴대의 길이를 복원시킴으로써 텐트천을 폴대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하여 텐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2의 텐트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폴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용 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텐트용 폴의 외력 감쇄부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며,
도 6은 텐트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용 폴에 의하여 외력이 감쇄되는 구조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용 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텐트용 폴의 외력 감쇄부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며, 도 6은 텐트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용 폴에 의하여 외력이 감쇄되는 구조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용 폴은, 텐트(1)를 지지하도록 일단과 타단이 각각 지면에 고정되어 일정 높이를 갖는 구조물을 형성하는 텐트용 폴로서, 상호 결합되어 일정 형태와 일정 길이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텐트용 폴의 양단부를 제외한 중앙 영역을 형성하는 중앙 폴대(100)와, 중앙 폴대(100)의 양단부에 각각 삽입 결합되어 그 단부가 상기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중앙 폴대(100)가 일정 높이를 갖는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하며, 텐트(1)에 작용하는 외력을 감쇄시키는 외력 감쇄부(210)가 구비된 단부 폴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텐트용 폴은 텐트천이 걸쳐지거나 혹은 텐트천이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한 높이를 갖는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텐트천의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그늘막이 역할을 하거나 혹은 야외에서 취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텐트용 폴은 관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부재로 형성되어 텐트(1)를 설치시에는 상호 삽입된 형태로 연결되어 일정한 길이를 형성하며 텐트(1)를 철거시에는 관상의 부재를 분리하여 보관하게 된다.
텐트용 폴은 관상의 부재를 상호 삽입된 형태로 연결시에 양측 단부에 위치하는 두 개의 단부 폴대(200)와, 단부 폴대(200)와 단부 폴대(200) 사이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중앙 폴대(100)로 구성된다.
복수의 중앙 폴대(100)와 두 개의 단부 폴대(200)는 일측의 단부 폴대(200)에 일단이 고정되어 복수의 중앙 폴대(100)의 내부를 통과하여 타측의 단부 폴대(200)에 타단이 고정되는 고무줄(21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 폴대(100)의 개수는 설치하고자 하는 텐트천을 지지해야 하는 길이에 따라 정해지는데, 3~4 인용 규모를 갖는 텐트(1)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중앙 폴대(100)의 개수가 적고 7~8 인용 규모를 갖는 텐트(1)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중앙 폴대(100)의 개수가 많게 된다.
외력 감쇄부(210)는 지면과 접촉하게 되는 단부 폴대(200)의 단부에 구비되어 텐트용 폴을 설치시에 외력 감쇄부(210)를 구성하는 외부 폴대(211)가 지면과 접촉되게 설치되어 외력이 작용시에 외력을 감쇄시킴으로써 텐트(1)가 손상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외력 감쇄부(210)는 상기 단부 폴대(200)의 일단부 외면에 이동 가능하도록 중첩되게 삽입되며 탄성지지되는 외부 폴대(211)와, 외부 폴대(211)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12)와, 단부 폴대(200)의 일단부와 외부 폴대(211)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213)과, 일단이 고정부재(212)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반대편 단부 폴대(200)의 내부에 구비된 고정부재의 일측에 고정되어 외부 폴대(211)가 단부 폴대(20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장력을 형성하는 고무줄(21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무줄(214)은 일단이 고정부재(212)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단부 폴대(211)의 내부에 마련된 별도의 고정수단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단부 폴대(200)와 중앙 폴대(100)가 모두 개별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외부 폴대(211)는 단부 폴대(200)의 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단부 폴대(200)의 단부 외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어 텐트용 폴을 설치시에 지면과 접촉됨으로써 텐트용 폴이 텐트(1)천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재(212)는 외부 폴대(211)의 내부공간 일측에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탄성스프링(213)의 일측과 접촉됨으로써 외력이 작용시에 탄성스프링(213)에 의하여 외력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고정부재(212)는 외부 폴대(211)의 내측에 복수의 개소에 펀칭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는 것이 효과적이며, 조립 공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별도의 접착재에 의하여 외부 폴대(211)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펀칭 방식은 외부 폴대(211) 외면의 복수의 개소에 별도의 펀칭기를 이용하여 고정부재(212)가 배치된 위치의 외부 폴대(211)의 직경을 축소시킴으로써 고정부재(212)가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고정부재(212)의 양측면은 고무줄(214)의 일단부가 고정됨과 동시에 탄성스프링(213)의 일측이 지지될 수 있도록 폐쇄되게 형성되며 그 중심에는 고무줄(214)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스프링(213)은 일단이 고정부재(212)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지지되고 타단이 단부 폴대(200)의 일단부와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외력이 작용시에 탄성 변형되면서 외력을 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외부 폴대(211)가 단부 폴대(200)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이러한 탄성스프링(213)의 탄성계수는 고무줄(214)의 장력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압축되면서 탄성이 축적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고무줄(214)은 중앙 폴대(100)와 단부 폴대(200)가 상호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그 양단부는 단부 폴대(200)의 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외부 폴대(211) 내부에 고정된 고정부재(212)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고무줄(214)의 장력은 중앙 폴대(100)와 단부 폴대(20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외부 폴대(211)가 단부 폴대(200)의 단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탄성스프링(213)의 탄성계수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무줄(214)의 장력은 탄성스프링(213)의 탄성계수보다 크거나 혹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탄성스프링(213)이 적어도 일정 간격 압축되거나 혹은 탄성스프링(213)의 양단부가 고정부재(212) 및 중앙 폴대(100)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무줄(214)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부재(212)와 단부 폴대(2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무줄(214)의 양단부에는 와샤(215)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즉, 고무줄(214)의 양단부에 와샤(215)가 구비되어 고정부재(212)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한 고무줄이 와샤(215)를 통과한 후에 고무줄(214)의 단부에 매듭이 형성됨으로써 고무줄(214)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용 폴을 이용하여 텐트(1)를 설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텐트(1)를 설치할 장소를 선정한 후에 텐트천을 선정된 장소에 펼치고, 텐트용 폴의 중앙 폴대(100)와 단부 폴대(200)를 상호 연결하여 텐트용 폴이 일정 길이를 형성하도록 한다.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텐트용 폴을 펼쳐진 텐트천의 상면에 안착시킨 후에 외부 폴대(211)의 단부를 텐트천의 일측에 마련된 고정끈에 삽입시켜서 텐트용 폴이 일정 높이를 갖는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텐트천에 구비된 고정 고리를 텐트용 폴의 복수의 개소에 걸림되도록 하여 텐트천이 상기 구조물과 동일한 형상의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서 텐트(1)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용 폴을 이용하여 설치된 텐트(1)는 바람 등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에 텐트천을 지지하고 있는 텐트용 폴의 단부에 마련된 외력감쇄부(210)의 탄성스프링(213)이 압축 및 인장되면서 외력을 감쇄시킴으로써 텐트용 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폴대에 텐트천을 연결하여 텐트를 설치할 때, 폴대에 구비된 외력 감쇄부에 압력을 가하여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폴대 전체의 길이를 감소시킨 후 폴대에 텐트천을 연결하고, 압력 감쇄부에 가해진 압력을 제거하여 폴대의 길이를 복원시킴으로써 텐트천을 폴대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하여 텐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중앙 폴대 200 : 단부 폴대
210 : 외력 감쇄부 211 : 외부 폴대
212 : 고정부재 213 : 탄성스프링
214 : 고무줄 215 : 와셔

Claims (7)

  1. 텐트(1)를 지지하도록 일단과 타단이 각각 지면에 고정되어 일정 높이를 갖는 구조물을 형성하는 텐트용 폴로서,
    상호 결합되어 일정 형태와 일정 길이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텐트용 폴의 양단부를 제외한 중앙 영역을 형성하는 중앙 폴대(100)와;
    상기 중앙 폴대(100)의 양단부에 각각 삽입 결합되어 그 단부가 상기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중앙 폴대(100)가 일정 높이를 갖는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텐트(1)에 작용하는 외력을 감쇄시키는 외력 감쇄부(210)가 구비된 단부 폴대(2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 감쇄부(210)는 상기 단부 폴대(200)와 중첩되는 정도가 변화되어 상기 외력을 감쇄시키도록 상기 단부 폴대(200)의 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탄성지지 되는 외부 폴대(211)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 감쇄부(210)는 상기 외부 폴대(211)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12)와, 상기 단부 폴대(200)의 일단부와 상기 외부 폴대(211)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213)과, 일단이 고정부재(212)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단부 폴대(20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외부 폴대(211)가 상기 단부 폴대(20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장력을 형성하는 고무줄(214)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줄(214)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부재(212)와 단부 폴대(2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무줄(214)의 양단부에는 와샤(215)가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12)는 상기 외부 폴대(211)의 내측에 복수의 개소에 펀칭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줄(214)의 장력은 상기 탄성스프링(213)의 탄성계수보다 크거나 혹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213)이 적어도 일정 간격 압축되거나 혹은 상기 탄성스프링(213)의 양단부가 상기 고정부재(212) 및 상기 중앙 폴대(100)와 접촉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폴.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줄(214)의 양단부는 각각 단부 폴대(200)의 내부에 구비된 고정부재(212)에 고정 결합되어 선형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폴.
KR1020140073340A 2014-06-17 2014-06-17 텐트용 폴 KR101581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340A KR101581366B1 (ko) 2014-06-17 2014-06-17 텐트용 폴
JP2014164491A JP2016003556A (ja) 2014-06-17 2014-08-12 テント用ポ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340A KR101581366B1 (ko) 2014-06-17 2014-06-17 텐트용 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836A true KR20150144836A (ko) 2015-12-29
KR101581366B1 KR101581366B1 (ko) 2015-12-31

Family

ID=5512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340A KR101581366B1 (ko) 2014-06-17 2014-06-17 텐트용 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6003556A (ko)
KR (1) KR1015813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537A (ko) *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마이카누 절첩식 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9426B (zh) * 2017-11-17 2019-05-17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 一种高空间利用率的军用帐篷及其设置方式
CN211691769U (zh) * 2019-07-23 2020-10-16 漳浦诚隆休闲用品有限公司 一种帐篷
US11473332B2 (en) 2020-12-09 2022-10-18 Tarek Baranski Tent pole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414Y1 (ko) * 2001-05-02 2001-10-12 열 이 의자 뒷다리프레임에 설치되는 완충장치
KR200433131Y1 (ko) * 2006-09-29 2006-12-11 라제건 텐트 폴의 고무줄 고정용 말단부
KR101334247B1 (ko) * 2011-10-07 2013-11-27 손종필 완충성과 간편성이 증대되는 대형텐트용 폴대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1530Y2 (ko) * 1973-06-27 1977-07-19
JPH0350205Y2 (ko) * 1985-05-31 1991-10-25
JP3122941B2 (ja) * 1997-11-13 2001-01-09 甲府方 幾子 折畳み式テン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414Y1 (ko) * 2001-05-02 2001-10-12 열 이 의자 뒷다리프레임에 설치되는 완충장치
KR200433131Y1 (ko) * 2006-09-29 2006-12-11 라제건 텐트 폴의 고무줄 고정용 말단부
KR101334247B1 (ko) * 2011-10-07 2013-11-27 손종필 완충성과 간편성이 증대되는 대형텐트용 폴대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537A (ko) *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마이카누 절첩식 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03556A (ja) 2016-01-12
KR101581366B1 (ko)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366B1 (ko) 텐트용 폴
US9687719B1 (en) Composite trampoline enclosure system
US9707426B2 (en) Bounding table and the installation tool of the bounding table
US9446883B2 (en) Fall arrest safety net
WO2012012649A3 (en) Improved tent assembly
US9271698B2 (en) Cart for ultrasonic imaging apparatus and ultrasonic imaging system
KR200487940Y1 (ko) 텐트용 연결구 및 그것을 구비하는 텐트
KR200492518Y1 (ko) 스프링 데크펙
US8763215B1 (en) Structure for quickly clipping advertising curtain
KR101191046B1 (ko) 자동 텐트 프레임
KR102151516B1 (ko) 캠핑용 물품 걸이 기구
KR101743041B1 (ko) 천막 고정장치
JP2013064240A (ja) 窓用スクリーン
KR101881112B1 (ko) 텐트
KR101566276B1 (ko) 실석쇠 및 실석쇠의 조립방법
KR20120066694A (ko) 송배전선용 가공지지대 연결부 완충장치
KR20160058477A (ko) 데크 팩
JP2013019164A (ja) テント
JP4934753B1 (ja) パネル取付け装置およびそのパネル取付け装置を備えた天井埋込スピーカ
JP5679922B2 (ja) マイクロホンのショックマウント
US20120137957A1 (en) Noise-making device
JP7475041B2 (ja) 係止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るシート体の取付け装置
CN204134068U (zh) 绳索保护垫
KR200443575Y1 (ko) 천장 고정형 모기장
KR200473247Y1 (ko) 트램폴린의 보호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