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4457A -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4457A
KR20150144457A KR1020140073159A KR20140073159A KR20150144457A KR 20150144457 A KR20150144457 A KR 20150144457A KR 1020140073159 A KR1020140073159 A KR 1020140073159A KR 20140073159 A KR20140073159 A KR 20140073159A KR 20150144457 A KR20150144457 A KR 20150144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material
treatment
sealing
electrolytic solution
imm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용
이철웅
윤광민
정태호
김동현
이정훈
정원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3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4457A/ko
Priority to JP2014175716A priority patent/JP2016003390A/ja
Priority to US14/532,848 priority patent/US20150361575A1/en
Priority to DE102014224401.3A priority patent/DE102014224401A1/de
Publication of KR20150144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4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5D11/06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s used
    • C25D11/10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s used containing organ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5D11/06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s used
    • C25D11/08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s used containing inorgan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5D11/18After-treatment, e.g. pore-s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5D11/18After-treatment, e.g. pore-sealing
    • C25D11/24Chemical after-treatment
    • C25D11/246Chemical after-treatment for sealing layers

Abstract

본 발명은 복사량을 향상시켜 방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은 방열용 알루미늄소재를 표면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옥살산을 주제로 함유하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알루미늄소재를 양극산화처리하는 아노다이징 단계와; 상기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에 형성된 기공에 CoS를 형성시켜 표면을 실링하는 실링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Surface treatment method of aluminum material for radiating heat}
본 발명은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사량을 향상시켜 방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소재는 경량금속이면서 열전도성이 우수하고 전기 전도도가 좋은 소재이다. 또한, 표면처리를 통하여 내식성 및 기계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러한 특성 때문에 자동차용 부품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자동차용 부품으로 알루미늄소재가 사용되는 경우는 크게 경량화를 목적으로 하거나 방열성 향상을 목적으로 할 때 사용된다. 그래서 종래에는 경량화 또는 방열성이 요구되는 부품에 선택적으로 알루미늄소재를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자동차 기술의 향상에 따라 각 부품에 요구되는 성능이 향상되었고, 이에 따라 알루미늄소재의 경량화 및 방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먼저, 경량화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합금의 성분을 조정함으로써 알루미늄소재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방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알루미늄합금의 성분을 조정하는 기술로 달성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기술을 통하여 방열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소재는 양극산화(anodizing)라는 표면처리를 통하여 내식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사용한다. 또한, 양극산화 처리로 형성된 피막에는 수많은 기공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염료의 착색을 통한 다양한 컬러를 구현하거나 기능성 물질을 함침시킴으로써 표면을 실링처리하고 있다.
알루미늄소재를 표면처리하는 양극산화처리는 일반적으로 10 ~ 18wt%의 황산 수용액을 전해액으로 사용하는 황산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황산법을 사용하는 이유는 전해액이 가장 저렴하고, 전력 소모량이 낮아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황산법에 의한 양극산화 처리기술은 알루미늄소재의 내마모성 및 내식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기술로서, 알루미늄소재의 방열성을 고려하지 않은 기술이다.
그래서, 근래에는 양극산화처리를 실시함에 있어 전해액의 성분을 다양하게 변경하면서 알루미늄소재의 성능 및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해액에 황산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구연산(Citric Acid)을 주제로 하고, 이에 옥살산(Oxalic Acid)을 첨가제로 첨가함에 따라 산화 피막층에 발생하는 다공질구조의 형상을 규칙적이고 안정되게 생성시키는 기술에 대해서는 "알루미늄 합금재의 아노다이징 전행액의 조성방법 및 그 조성물(등록특허 10-0606939; 특허문헌 1)"에서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은 산화피막에 발생하는 다공질구조의 형상을 규칙적이고 안정되게 생성시켜 전해액의 잔류형상을 방지하여 후처리 공정을 대폭 생략하고, 알루미늄소재 표면의 강도, 내식성, 내마모성, 절연성 및 내열성 등 화학적 및 기계적 특성은 물론 내전압성 등의 전기적 특성까지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는 있었으나, 방열성은 고려되지 않았다.
한편, 양극산화 처리된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을 마무리하는 실링처리는 일반적으로 비등수실링법(Boiling water), 저온실링법(NiF2)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실링처리법은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피막의 보호만 고려되었을 뿐 알루미늄소재의 방열성은 고려되지 않았다.
등록특허 10-0606939 (2006. 07. 24)
본 발명은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기술 및 실링처리기술을 이용하여 방열성을 향상시키는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은 방열용 알루미늄소재를 표면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옥살산을 주제로 함유하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알루미늄소재를 양극산화처리하는 아노다이징 단계와; 상기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에 형성된 기공에 CoS를 형성시켜 표면을 실링하는 실링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아노다이징 단계에서 상기 전해액의 옥살산 농도는 0.2 ~ 0.8 몰(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노다이징 단계에서 상기 전해액의 온도는 10 ~ 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노다이징 단계의 처리시간은 30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단계는 상기 아노다이징 단계에서 처리된 알루미늄소재를 코발트 아세테이트 침지액에 침지시키는 제 1 침지 과정과; 상기 제 1 침지 과정에서 처리된 알루민퓸소재를 암모늄 설파이드 침지액에 침지시키는 제 2 침지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침지 과정에서 상기 코발트 아세테이트 침지액의 코발트 아세테이트(Co(CH3COO)2) 농도는 100 ~ 250g/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침지 과정에서 상기 암모늄 설파이드 침지액의 암모늄 설파이드((NH4)2S) 농도는 10 ~ 50g/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양극산화 처리에 사용되는 전해액에 옥살산만을 이용하여 산화피막의 색상을 검정색에 가까운 색상으로 형성시킴에 따라 알루미늄소재의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양극산화 처리된 표면의 기공에 CoS를 형성시켜 알루미늄소재의 표면 색상을 더욱 검정색에 가까운 색상으로 형성시킴에 따라 알루미늄소재의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황산 전해액을 이용한 양극산화 처리에서 온도와 시간에 따라 제조된 산화피막의 표면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라 옥살산 전해액을 이용한 양극산화 처리에서 온도와 시간에 따라 제조된 산화피막의 표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2a는 종래의 황산 전해액을 이용한 양극산화 처리에서 온도와 시간에 따라 제조된 산화피막의 상대적 복사 방열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라 옥살산 전해액을 이용한 양극산화 처리에서 온도와 시간에 따라 제조된 산화피막의 상대적 복사 방열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3은 종래 및 본 발명에 따라 실링처리된 알루미늄소재의 표면 사진 및 방열량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블랙실링법에 의해 실링처리를 하는 경우에 제 1 침지 과정에서 코발트 아세테이트의 농도에 따른 방열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블랙실링법에 의해 실링처리를 하는 경우에 제 2 침지 과정에서 암모늄 설파이드의 농도에 따른 방열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소재는 표면처리에 의하여 생성되는 산화피막의 색상이 검정색에 가까울수록 복사량이 많아져서 방열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은 알루미늄소재에 적용되는 양극산화처리와 실링처리를 개선하여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을 검정색에 가까운 색상으로 형성시키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은 옥살산을 주제로 함유하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알루미늄소재를 양극산화처리하는 아노다이징 단계와, 상기 아노다이징 단계 이후에 상기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에 형성된 기공에 CoS를 형성시켜 표면을 실링하는 실링단계를 포함한다.
아노다이징 단계는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을 양극산화 처리하여 검은색에 가까운 산화피막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양극산화 처리시에 사용하는 전해액으로 옥산살(Oxalic Acid)만을 첨가하여 조성된 전해액을 사용한다.
이때 옥살산의 농도는 0.2 ~ 0.8몰(M)로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0.3몰(M)인 것이 좋다. 그 이유는 0℃에서 옥살산의 포화농도가 0.3몰 이기때문에, 전해액의 사용온도를 고려하여 만약 옥살산의 농도가 0.2몰 보다 낮게 되면, 양극산화 처리에 필요한 전력량이 증가하고, 산화피막 표면에 형성되는 기공의 치밀도가 떨어지며, 옥살산의 농도가 0.8몰 보다 높게 되면, 더이상 옥살산의 용해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옥살산의 농도는 0.2 ~ 0.8몰(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전해액은 옥살산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옥살산을 주제로 사용하면서 일반적인 아노다이징에 사용되는 산이 더 포함될 있다. 예를 들어 전해액에는 옥살산과 더불어 황산, 인산 및 크롬산 등이 더 용해될 수 있다. 이때 황산, 인산 및 크롬산 등의 농도는 0.1 ~ 1몰(M)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해액에 옥살산의 농도를 0.2 ~ 0.8몰(M)로 유지한다면, 양극산화 처리시에 전류 1 ~ 5 ASD, 전압 50 ~ 150 V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극산화 처리시에 전해액의 온도는 10 ~ 40℃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특히 전해액의 최적 온도는 15 ~ 3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옥살산으로 조성된 전해액으로 양극산화 처리를 하는 경우에 전해액의 온도가 높을수록 생성되는 산화피막의 색상이 더 짙어지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다만, 전해액의 온도가 30℃를 넘는 경우에는 온도가 더 올라가더라도 산화피막의 색상이 짙어지는 정도가 줄어들기 때문에 산화피막의 색상이 최대로 짙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전해액의 온도를 40℃보다 높게 유지하는 것은 전해액의 온도를 관리하는 측면에서 불필요한 조치이다.
그리고, 양극산화 처리의 처리시간은 30분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양극산화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생성되는 산화피막의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방열량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양극산화 처리시간이 30분을 넘을 때 방열량이 최대값을 보이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양극산화 처리시 전해액의 온도 및 처리시간을 한정하는 이유는 이후에 실험을 통하여 그 효과를 입증하도록 한다.
한편, 실링단계는 아노다이징 단계에서 양극산화 처리에 의해 생성된 산화피막을 실링시켜 알루미늄소재의 표면 색상을 검정색에 가까운 색상으로 형성시키는 단계로서, 크게 아노다이징 단계에서 처리된 알루미늄소재를 코발트 아세테이트 침지액에 침지시키는 제 1 침지 과정과, 제 1 침지 과정에서 처리된 알루미늄소재를 암모늄 설파이드 침지액에 침지시키는 제 2 침지 과정을 포함한다.
제 1 침지 과정에서 상기 코발트 아세테이트 침지액의 코발트 아세테이트(Co(CH3COO)2) 농도는 100 ~ 250g/L이고, 상기 코발트 아세테이트 침지액의 온도는 20 ~ 50℃이며, 침지시간은 10 ~ 30분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침지 과정에서 상기 암모늄 설파이드 침지액의 암모늄 설파이드((NH4)2S) 농도는 10 ~ 50g/L이고, 상기 암모늄 설파이드 침지액의 온도는 20 ~ 50℃이며, 침지시간은 10 ~ 30분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 1 침지 과정 및 제 2 침지 과정에서 침지액의 농도, 온도 및 침지시간을 한정하는 이유는 이후에 실험을 통하여 그 효과를 입증하도록 한다.
이하, 다양한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입증하도록 한다.
[실험예 1]
실험예 1은 종래에 전해액으로 황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알루미늄소재를 양극산화처리한 비교예와, 본 발명에 따란 옥살산을 단독으로 첨가하여 조성된 전해액으로 알루미늄소재를 양극산화처리한 실시예를 전해액의 온도와 처리시간을 각각 달리하면서 양극산화처리 시킨 다음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피막의 표면을 비교하는 실험이다.
이때 비교예로는 황산의 농도가 15wt%인 전해액을 사용하였고, 실시예는 옥살산의 농도가 0.3몰인 전해액을 사용하였으며, 비교예와 실시예 모두 전해액의 온도를 0℃, 15℃ 및 30℃로 변경하였고, 처리시간을 10분, 20분, 30분 및 40분으로 변경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었다.
도 1a는 종래의 황산 전해액을 이용한 양극산화 처리에서 온도와 시간에 따라 제조된 산화피막의 표면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라 옥살산 전해액을 이용한 양극산화 처리에서 온도와 시간에 따라 제조된 산화피막의 표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a에서 알 수 있듯이 전해액으로 황산을 사용하는 비교예의 경우에는 전해액의 온도가 낮을수록 산화피막의 표면 색상이 점점 어두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의 경우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산화피막의 표면 색상이 점점 어두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도 1b에서 알 수 있듯이 전해액으로 옥살산을 사용하는 실시예의 경우에는 전해액의 온도가 높을수록 산화피막의 표면 색상이 점점 어두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의 경우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비교예와 마찬가지로 산화피막의 표면 색상이 점점 어두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처리시간이 30분인 경우와 처리시간이 40분인 경우 알루미늄소재의 표면 색상에 거의 차이가 없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전해액으로 옥살산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경우 방열성을 고려한다면 전해액의 온도를 10 ~ 40℃, 정확하게는 15 ~ 3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처리시간을 30분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실험예 2]
실험예 2는 실험예 1에 사용된 비교예와 실시예에 따라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에 생성된 산화피막의 상대적 복사 방열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의 하기의 표 1 및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었다.
도 2a는 종래의 황산 전해액을 이용한 양극산화 처리에서 온도와 시간에 따라 제조된 산화피막의 상대적 복사 방열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라 옥살산 전해액을 이용한 양극산화 처리에서 온도와 시간에 따라 제조된 산화피막의 상대적 복사 방열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복사방열량
(W/m2)
실시예(옥살산 0.3몰) 비교예(황산 15wt%)
0℃ 15℃ 30℃ 0℃ 15℃ 30℃
10분 317.52 330.75 330.75 255.78 255.78 269.01
20분 352.8 330.75 366.03 255.78 269.01 171.99
30분 282.24 379.26 379.26 269.01 282.24 171.99
40분 330.75 379.26 379.26 317.52 282.24 233.73
표 1과 도 2a 및 도 2b에서 알 수 있듯이 같은 전해액의 온도 및 처리시간에서 비교예에 비하여 실시예의 복사방열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의 경우 전해액의 온도가 높으면서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복사방열량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전해액의 온도가 15℃ 및 30℃이면서 처리시간이 30분 및 40분인 경우에는 복사방열량이 측정장비 오차 수준 이내에서 동일한 값을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공정의 경제성을 고려할 때 옥살산 0.3몰의 전해액을 사용하여 양극산화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전해액의 온도를 15℃로 유지하면서 처리시간을 30분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이다.
[실험예 3]
실험예 3은 본 발명에 따라 옥살산 0.3몰의 전해액을 15℃로 유지하면서 60분간 양극산화 처리한 알루미늄소재에 대한 실링처리에 따른 표면색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으로서, 옥살산 전해액을 이용하여 양극산화 처리한 알루미늄소재를 실링처리 하지 않은 상태, 비등수실링법(Boiling water)으로 실링처리한 상태, 저온실링법(NiF2)으로 실링처리한 상태 및 본 발명에 따라 실링처리(이하, "블랙실링법"이라 칭함)한 상태의 표면색상을 관찰하고 복사방열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이때, 비등수실링법의 경우에는 95℃의 탈이온수에 알루미늄소재를 30분간 침지시켰다.
그리고, 저온실링법의 경우에는 불화 니켈(NiF2)을 3g/L의 농도로 조성한 침지액을 25℃로 유지하면서 알루미늄소재를 30분간 침지시켰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랙실링법의 경우에는 먼저 코발트 아세테이트(Co(CH3COO)2)를 200g/L의 농도로 조성한 침지액을 45℃로 유지하면서 알루미늄소재를 20분간 침지시킨 다음, 이어서 암모늄 설파이드((NH4)2S)를 30g/L의 농도로 조성한 침지액을 25℃로 유지하면서 15분간 침지시켰다.
도 3은 종래 및 본 발명에 따라 실링처리된 알루미늄소재의 표면 사진 및 방열량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비등수실링법 및 저온실링법에 의해 실링처리된 알루미늄소재도 실링처리를 하지 않은 상태보다는 표면의 색상이 어두워졌지만, 블랙실링 처리된 알루미늄소재의 표면 색상이 가장 검은색에 어둡게 형성되었다.
특히, 복사방열량을 측정한 결과를 보더라도 비등수링법에 의해 실링처리한 알루미늄소재는 복사방열양이 실링처리 전과 차이가 없었고, 저온실링법에 의해 실링처리한 알루미늄소재는 실링처리 전보다 복사방열량이 증가하였지만, 블랙실링법에 의해 실링처리한 알루미늄소재보다 복사방열량의 증가량이 높지 않았다. 즉, 블랙실링법에 의해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을 실링처리하는 경우 다른 실링처리법 보다 현저하게 복사방열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실험예 4는 블랙실링법에 의해 실링처리를 하는 경우에 제 1 침지 과정에서 코발트 아세테이트 침지액의 코발트 아세테이트(Co(CH3COO)2) 농도에 따른 방열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으로서, 옥살산 전해액을 이용하여 양극산화 처리한 알루미늄소재를 실링하는 단계 중 제 1 침지 과정에서 코발트 아세테이트 침지액의 코발트 아세테이트(Co(CH3COO)2) 양을 변경하였다. 이때 모든 코발트 아세테이트 침지액의 온도는 45℃로 유지하였고, 침지시간은 20분을 유지하였다. 이어서 제 2 침지 과정에서는 암모늄 설파이드((NH4)2S)를 30g/L의 농도로 조성한 침지액을 25℃로 유지하면서 15분간 침지시켰고, 그 결과를 도 4a에 나타내었다.
도 4a에서 알 수 있듯이 코발트 아세테이트의 양이 100, 200 및 250 g/L일 때 방열량이 400 W/m2 이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 1 침지 과정에서 코발트 아세테이트 침지액의 코발트 아세테이트(Co(CH3COO)2) 농도를 100 ~ 250 g/L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5]
실험예 5는 블랙실링법에 의해 실링처리를 하는 경우에 제 2 침지 과정에서 암모늄 설파이드 침지액의 암모늄 설파이드((NH4)2S) 농도에 따른 방열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으로서, 옥살산 전해액을 이용하여 양극산화 처리한 알루미늄소재를 블랙실링처리 하였다. 먼저 코발트 아세테이트(Co(CH3COO)2)를 200g/L의 농도로 조성한 침지액을 45℃로 유지하면서 20분간 침지시키는 제 1 침지 과정을 마쳤다. 이어서, 제 2 침지 과정에서 암모늄 설파이드 침지액의 암모늄 설파이드((NH4)2S) 양을 변경하면서, 모든 암모늄 설파이트 침지액의 온도는 25℃로 유지하였고, 침지시간은 15분을 유지하면서 침지시켰으며, 그 결과를 도 4b에 나타내었다.
도 4b에서 알 수 있듯이 암모늄 설파이드의 양이 10, 30 및 50 g/L일 때 방열량이 400 W/m2 이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 2 침지 과정에서 암모늄 설파이드 침지액의 암모늄 설파이드((NH4)2S) 농도를 10 ~ 50 g/L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Claims (7)

  1. 방열용 알루미늄소재를 표면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옥살산을 주제로 함유하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알루미늄소재를 양극산화처리하는 아노다이징 단계와;
    상기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에 형성된 기공에 CoS를 형성시켜 표면을 실링하는 실링단계를 포함하는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노다이징 단계에서 상기 전해액의 옥살산 농도는 0.2 ~ 0.8 몰(M)인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노다이징 단계에서 상기 전해액의 온도는 10 ~ 40℃인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노다이징 단계의 처리시간은 30분 이상인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단계는
    상기 아노다이징 단계에서 처리된 알루미늄소재를 코발트 아세테이트 침지액에 침지시키는 제 1 침지 과정과;
    상기 제 1 침지 과정에서 처리된 알루민퓸소재를 암모늄 설파이드 침지액에 침지시키는 제 2 침지 과정을 포함하는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침지 과정에서 상기 코발트 아세테이트 침지액의 코발트 아세테이트(Co(CH3COO)2) 농도는 100 ~ 250g/L인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2 침지 과정에서 상기 암모늄 설파이드 침지액의 암모늄 설파이드((NH4)2S) 농도는 10 ~ 50g/L인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
KR1020140073159A 2014-06-16 2014-06-16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 KR20150144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159A KR20150144457A (ko) 2014-06-16 2014-06-16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
JP2014175716A JP2016003390A (ja) 2014-06-16 2014-08-29 放熱用アルミニウム素材の表面処理方法
US14/532,848 US20150361575A1 (en) 2014-06-16 2014-11-04 Method of surface-treating aluminum material for dissipating heat
DE102014224401.3A DE102014224401A1 (de) 2014-06-16 2014-11-28 Verfahren zum Oberflächenbehandeln von Aluminiummaterial zum Abführen von Wär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159A KR20150144457A (ko) 2014-06-16 2014-06-16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457A true KR20150144457A (ko) 2015-12-28

Family

ID=54706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159A KR20150144457A (ko) 2014-06-16 2014-06-16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361575A1 (ko)
JP (1) JP2016003390A (ko)
KR (1) KR20150144457A (ko)
DE (1) DE10201422440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428A (ko) 2019-08-30 2021-03-10 (주)투디엠 그래핀이 코팅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방열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방열체
KR20220058691A (ko) * 2020-10-29 2022-05-10 주식회사 영광와이케이엠씨 옥살산 아노다이징에서 알루미늄 합금의 후처리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알루미늄 합금
KR20220142260A (ko) * 2021-04-14 2022-10-21 비나텍주식회사 절연 기능을 갖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알루미늄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캐패시터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939B1 (ko) 2005-06-08 2006-08-01 (주)포인트엔지니어링 알루미늄 합금재의 아노다이징 전해액의 조성방법 및 그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939B1 (ko) 2005-06-08 2006-08-01 (주)포인트엔지니어링 알루미늄 합금재의 아노다이징 전해액의 조성방법 및 그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428A (ko) 2019-08-30 2021-03-10 (주)투디엠 그래핀이 코팅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방열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방열체
KR20220058691A (ko) * 2020-10-29 2022-05-10 주식회사 영광와이케이엠씨 옥살산 아노다이징에서 알루미늄 합금의 후처리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알루미늄 합금
KR20220142260A (ko) * 2021-04-14 2022-10-21 비나텍주식회사 절연 기능을 갖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알루미늄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캐패시터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4224401A1 (de) 2015-12-17
JP2016003390A (ja) 2016-01-12
US20150361575A1 (en)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458B1 (ko) 금속의 표면처리 방법
EP2812467B1 (fr) Procédé d'anodisation de pièces en alliage d'aluminium
US4111763A (en) Process for improving corrosion resistant characteristics of chrome plated aluminum and aluminum alloys
KR20150144457A (ko) 방열용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처리 방법
US20030196907A1 (en) Method of anodizing a part made of aluminum alloy
US2854737A (en) Copper coated uranium article
JP6528051B2 (ja) アルマイト部材、アルマイト部材の製造方法及び処理剤
Arurault et al. Electrical behaviour,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anodic aluminium oxide films coloured by nickel electrodeposition
JPH11181596A (ja) 抗菌性陽極酸化処理アルミニウム
KR101726260B1 (ko) 피처리물의 양극산화 방법
JP2006336081A (ja) アルミニウム又は/及びアルミニウム合金の陽極酸化皮膜の形成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り形成される陽極酸化皮膜
US3787298A (en) Anodizing aluminum foams
CN108531962B (zh) 一种镁合金表面增强处理方法
KR101923897B1 (ko) 피처리물의 양극산화 방법
US9689064B2 (en) Treatment of anodized aluminum components
JPH10147899A (ja) アルミニウム材の電解着色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グレー着色アルミニウム材
KR102620567B1 (ko) 내전압을 향상시키는 아노다이징 방법
KR102467268B1 (ko) 옥살산 전해액에서 전류밀도 변화에 따른 아노다이징 처리 방법
KR102599930B1 (ko) 양극산화 처리된 알루미늄계 소재용 정전기 방지 봉공처리액 및 이를 이용한 봉공처리방법
KR102365724B1 (ko) 황산 아노다이징 처리된 알루미늄 합금용 봉공처리액 및 이를 이용한 황산 아노다이징 처리된 알루미늄 합금의 고내식성 봉공처리방법
US20190309434A1 (en) Method for producing an aluminium component having a coloured surface
US1417413A (en) Coloration of metallic surfaces
KR20230079724A (ko) 배리어 타입 알루미늄 모재 표면 처리 방법
JPS593559B2 (ja) アルミニウム若しくはその合金材の浸漬着色法
WO2022220099A1 (ja) 電解液および高熱伝導性マグネシウム合金のマイクロアーク酸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