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3830A - 플루오르화 유기물을 제조하기 위한 반응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플루오르화 유기물을 제조하기 위한 반응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3830A
KR20150143830A KR1020157032930A KR20157032930A KR20150143830A KR 20150143830 A KR20150143830 A KR 20150143830A KR 1020157032930 A KR1020157032930 A KR 1020157032930A KR 20157032930 A KR20157032930 A KR 20157032930A KR 20150143830 A KR20150143830 A KR 20150143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vapor phase
liquid
combination
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셀마 벡테세빅
할룩 코프칼리
하이유 왕
Original Assignee
허니웰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니웰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허니웰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43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83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093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 C07C17/2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 C07C17/202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two or more compounds being involved in the re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2/00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for reacting gaseous media with gaseous media;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J12/007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for reacting gaseous media with gaseous media;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 the presence of catalytically active bodies, e.g. porous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24Chromium, molybdenum or tungsten
    • B01J23/26Chrom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22Halogenating
    • B01J37/26Fluorin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39/00Haloge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07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addition of hydrogen halides
    • C07C17/087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addition of hydrogen halides to unsaturated 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093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 C07C17/2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 C07C17/202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two or more compounds being involved in the reaction
    • C07C17/206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two or more compounds being involved in the reaction the other compound being HX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25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splitting-off hydrogen halides from 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3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9/00Acyclic 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 C07C19/08Acyclic 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containing fluorine
    • C07C19/10Acyclic 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containing fluorine and chl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00Acyclic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 C07C21/02Acyclic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contain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7C21/18Acyclic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contain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taining fluor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2-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펜(1233xf)을 제조하는 촉매 기상 플루오르화 반응으로, 공급물, 예를 들어 1,1,2,3-테트라클로로프로펜(1230xa)의 기화되지 않은 일부를 제거하도록 액체-증기 분리기, 예컨대 탈비말동반기(de-entrainer)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촉매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Description

플루오르화 유기물을 제조하기 위한 반응 시스템 및 방법{REACTION SYSTEM AND PROCESS TO PRODUCE FLUORINATED ORGANICS}
본 발명은 플루오르화 유기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반응 시스템 및 방법;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HFO-1234yf)의 제조에서 사용될 수 있는 2-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펜(1233xf)과 같은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유용한 탈비말동반기(de-entrainer)를 포함하는 반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히드로플루오로올레핀(HFO), 예컨대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HFO-1234yf) 포함)은, 효과적인 냉매, 열 전달 매체, 추진제(propellant), 기포제(foaming agent), 발포제, 가스 유전체(gaseous dielectrics), 멸균 캐리어(sterilant carriers), 중합 매체, 미립자 제거 유체, 캐리어 유체, 버핑 연마제(buffing abrasive agents), 대체형(displacement) 건조제 및 파워 사이클 작동 유체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클로로플루오로카본(CFC) 및 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HCFC)(둘 다 지구 오존층을 잠재적으로 손상시킴)과는 달리, HFO는 염소를 함유하지 않고, 따라서 오존층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 HFO-1234yf는 또한 적은 독성을 갖는 저 지구 온난화 화합물인 것으로 드러났으며, 따라서, 이동식 에어 컨디셔닝에서의 냉매에 대한 점점 더 엄격해지는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HFO-1234yf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앞서 언급된 응용 분야 중 다수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중인 재료에 속한다.
HFO-1234yf의 한 제조 방법은 출발 원료로서 1,1,2,3-테트라클로로프로펜(1230xa)을 사용한다. 상기 방법은 하기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1) 고체 촉매로 충전된 기상 반응기에서, 1230xa + 3HF --> 2-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펜(1233xf) + 3HCl,
2) 액체 촉매로 충전된 액상 반응기에서, 1233xf + HF --> 2-클로로-1,1,1,2-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HCFC-244bb), 및
3) 기상 반응기에서, 244bb --> 1234yf + HCl.
한 방법에서, 단계 (1)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플루오르화 촉매, 예컨대 크롬 산화물 등의 존재 하에 일어난다. 상기 촉매가 일반적으로 꽤 활성이고 선택적인 동안, 촉매는 반응의 진행 중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천천히 탈활성(활성을 잃음)되려는 경향이 있다. 탈활성은 결과적으로 수율 손실과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방법을 야기한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1230xa의 1233xf로의 전환에서 촉매 수명 및 안정성을 연장하는 반응기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가 존재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기화기; 증기 배출구를 갖는, 상기 기화기와 유체 연통하는 탈비말동반기; 및 탈비말동반기의 증기 배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기상 반응기를 포함하는 반응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되는 탈비말동반기는,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탑(tower), 예컨대 충전탑(packed tower) 및 단탑(trayed tower), 넉아웃 포트(knock out pot), 필터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액체-증기 분리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액체 1,1,2,3-테트라클로로프로펜(1230xa) 및 증기상 1230xa를 포함하는 출발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b) 예를 들어 탈비말동반기에서, 증기상 1230xa를 액체 1230xa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c) 증기상 1230xa를, 1233xf를 형성하기에 유효한 조건 하에 플루오르화수소(HF)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루오르화 유기물, 예컨대 2-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펜(1233xf)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로써 제조된 1233xf는 다른 플루오르화 유기물, 예컨대 244bb를 생성하기 위한 공급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1234yf를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기화되지 않은(액체) 공급물, 예컨대 1230xa는 기화된 액체, 예컨대 1230xa와 함께 비말동반될 수 있고, 그 후 촉매 탈활성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진 만큼, 본 발명은 촉매 접촉 전에 기화되지 않은(액체) 공급물, 예컨대 1230xa를 모두 실질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촉매 수명을 유익하게 연장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에서, 공급물은 1230xa이고 증기 상태인 촉매에 접촉한다. 따라서, 비제한적으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또는 순수한 증기 형태인 공급물, 예컨대 1230xa를 사용함으로써 촉매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본 발명의 요약 및 일반적인 기재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이고 설명적이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바의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다른 특징 및 실시양태 및 변형은 본 상세한 설명에서 분명할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미국 특허 제8258355호 및 제8084653호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에 인용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기화기; 증기 배출구 및 바람직하게는 액체 배출구를 갖는, 상기 기화기와 유체 연통하는 탈비말동반기(상기 용어는 1 이상의 탈비말동반기를 포함하며 탈비말동반기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 및 탈비말동반기의 증기 배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기상 반응기, 예컨대 플루오르화 반응기를 포함하는 반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탈비말동반기는 비제한적으로 탑, 예컨대 충전탑, 단탑, 넉아웃 포트, 필터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액체-증기 분리기를 포함한다.
한 실시에서, 탈비말동반기는 넉아웃 포트(상기 용어는 1 이상의 넉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넉 포트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를 포함하며, 상기 넉아웃 포트는 단독으로 또는 또 다른 탈비말동반기와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넉아웃 포트는 실질적으로 증기상이지만 일부의 1230xa가 기화되지 않은 상태로 함유되는 1203xa와 같은 유체 공급물로부터 액체 입자를 스크러빙하기 위한 코어레서 등과 같은 내부 장치를 갖거나 갖지 않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한 실시에서, 탈비말동반기는 내부 코어레서, 예컨대 패킹(예: 폴 링(Pall ring)), 메쉬 등,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넉아웃 포트이다. 비제한적으로, 넉아웃 포트는, 예를 들어 기화기와 유체 연통하는 유입구와, 2개의 배출구로서, 하나는 예를 들어 반응기와 유체 연통하는 증기 배출구이며, 다른 하나는 예를 들어 방출 또는 재순환을 위한 액체 배출구인 2개의 배출구를 갖는 원통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 실시에서, 유입구는 넉아웃 포트의 중간에 또는 그 가까이에 위치한다. 유입구는 실린더의 평면에 수직하거나 임의로 실린더의 평면에 접할 수 있다. 한 실시에서, 넉아웃 포트는 임의 탈비말동반된 액체의 방출을 위한 출구로서 작용하는 하단부에 또는 그 가까이에 위치하는 배출구를 가지며; 또 다른 실시에서, 넉아웃 포트는 기화된 공급물, 예를 들어 1230xa가 반응기 내로 이동하도록 하는 출구로서 작용하는 상단부에 또는 그 가까이에 위치하는 배출구를 가진다. 임의로, 메쉬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패킹(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비제한적으로 폴 링 등 및 동일물의 조합을 포함함)의 구획은 유입구와 상단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추가 액상 미스트 또는 입자의 분리를 도울 수 있다. 일단 공급물, 예컨대 1230xa가 넉아웃 포트에 들어가면, 그 안의 임의 액체는 포트의 바닥부에서 수집될 것이며 동시에 증기는 상단을 통해 반응기로 나갈 것이다. 수집된 액체가 촉매와 접촉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촉매 수명은 향상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탈비말동반기는 탑(상기 용어는 1 이상의 탑을 포함하며 탑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이며 상기 탑은 단독으로 또는 또 다른 탈비말동반기, 예를 들어 상기 기재된 바의 넉아웃 포트와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탑은 충전탑, 단탑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한 실시에서, 탑은 충전탑이며 여기서 패킹은 랜덤 패킹(random packing), 구조화 패킹(structured packing), 베인 어셈블리(vane assembly)(예: Flexichevron®), 데미스터(demister)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단계 (a), (b), 및 (c)를 포함하는, 2-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펜(1233xf)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계 (a)에서, 출발 물질이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I, II 및/또는 III에 따른 1 이상의 염소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CX2=CCl-CH2X (화학식 I)
CX3-CCl=CH2 (화학식 II)
CX3-CHCl-CH2X (화학식 III)
여기서 X는 독립적으로 F, Cl, Br, 및 I로부터 선택되고, 단 1 이상의 X는 불소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1 이상의 염소를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부분의 X가 염소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든 X가 염소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세 반응 단계를 포함한다. 한 실시에서, 출발 물질은 1,1,2,3-테트라클로로프로펜(1230xa, 또한 TCP로 공지됨)이다. 또 다른 실시에서, 출발 물질은 1,1,1,2-테트라클로로프로펜(1230xf)이며; 또 다른 실시에서 출발 물질은 1,1,1,2,3-펜타클로로프로판(240db)이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의 다른 출발 물질 및 동일물의 조합이 고려된다. 출발 물질, 예를 들어 1230xa는, 증기 및 액체(기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1230xa는 높은 비점(162℃)을 갖고 따라서 통상적으로 기화기에서 기상 플루오르화 반응기에 들어가기 전에 기화되어야 한다. 오늘날, 기화기에 남겨진 기화되지 않은 액체 1230xa가 비말동반될 수 있고 촉매의 탈활성을 일으킨다는 점이 밝혀졌으며; 오늘날, 더 나아가, 1230xa의 기화 중에 일부 올리고머가 또한 생성될 수 있고, 이것이 또한 촉매를 탈활성시킬 수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는 (본 발명의 분리 단계에서) 상기 비말동반된 액체 및/또는 올리고머 및/또는 기화기의 온도보다 높은 비점을 갖는 임의 화합물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 (b)는 증기상 출발 물질(예: 1230xa)을 액체 출발 물질(예: 1230xa)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며; 단계 (c)는 증기상 출발 물질(예: 1230xa)을 1233xf를 생성하기에 유효한 조건 하에 플루오르화수소(HF)와 접촉시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효한 조건은, 비제한적으로, Cr2O3, FeCl3/C, Cr2O3/Al2O3, Cr2O3/AlF3, Cr2O3/탄소, CoCl2/Cr2O3/Al2O3, NiCl2/Cr2O3/Al2O3, CoCl2/AlF3, NiCl2/AlF3, Cr2O3의 플루오르화 종,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플루오르화 촉매의 존재를 포함한다. Cr2O3의 플루오르화 종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에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리 단계 (b)는 탈비말동반기(상기 용어는 1 이상의 탈비말동반기를 포함한다)에서 일어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2-클로로-1,1,1,2-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HCFC-244bb), 및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1234yf)과 같은 화합물을 제조하는 더 큰 공정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1234yf를 제조하는 3단계 방법의 제1번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비제한적으로, 하기 단계들: (a) HF 및 1230xa를 기화기를 통해 유동시키고 넉아웃 포트를 주기적으로 개방하여 포트에 풀링된(pooled in) 임의 액체를 배수하는 단계; (b) 실질적으로 증기상인 (순수한) 1230xa 공급물을, 1230xa 공급물의 적어도 일부를 플루오르화하여 HFO-1233xf를 포함하는 반응 생성물을 제조하는 유효한 조건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한 실시에서 상기 반응 생성물은 일부 1230xa를 액체 형태로 함유하는 1230xa 공급물을 사용하여, 즉 본원에 기재된 바의 탈비말동반으로 처리하지 않은 공급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반응 생성물에 비해 더 많은 HFO-1233xf를 포함한다. 1230xa의 실질적으로 액체가 없는 공급물이 촉매 수명을 연장하기에 유효한 본 발명의 실시이다. 1230xa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823,195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미국 공개 공보 일련번호 제12/338,46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1233xf를 제조하는 방법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두 출원의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에 인용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1233xf를 제조하기 위한 기상 히드로플루오르화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탈비말동반 이후에, 플루오르화수소 가스(HF) 및 1230xa는 기상 플루오르화 반응기 내 촉매상을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1230xa에 대한 HF의 몰비는 약 1:1 내지 약 50:1 및 바람직하게는 약 10:1 내지 약 20:1이다. HF와 1230xa 사이의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약 150℃ 내지 약 400℃(바람직하게는 약 150℃ 내지 약 350℃)의 온도 및 약 0 psig 내지 약 500 psig (바람직하게는 약 20 psig 내지 약 200 psig)의 압력에서 수행된다. 촉매는 플루오르화되지 않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르화된 크롬 산화물일 수 있다. 촉매는 촉매의 상태에 따라 사용 전에 무수 플루오르화수소(HF)(플루오르화수소 가스)를 사용하여 활성화될 수 ㅇ있다(또는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히드로플루오르화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약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90% 이상의 전환에 도달하도록 수행된다. 전환은 소모된 반응물(1230xa)의 몰 수를 반응기에 공급된 반응물(1230xa)의 몰 수로 나누고 100%를 곱하여 계산된다. 도달된 1233xf에 대한 선택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6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0% 이상이다. 선택도는 생성된 생성물(1233xf)의 몰 수를 소모된 반응물의 몰 수로 나누고 100%를 곱하여 계산된다.
히드로플루오르화는 부식 저항성 반응 용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부식 저항성 재료의 예로는 Hastelloy, Nickel, Incoloy, Inconel, Monel 및 플루오로폴리머 라이닝이 있다. 용기는 고정 촉매상 또는 유동상이다. 바람직한 경우, 불활성 기체, 예컨대 질소 또는 아르곤이 작업 중에 반응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히드로플루오르화 단계는 본 발명을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당업계에 달리 공지된 변형 또는 대안적인 방법론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230xa가 플루오르화 반응기 내에 공급되기 전에, 이는 건조된다. 건조 매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3A Mol Sieve 및 Drierite®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1230xa와 촉매와의 접촉 시간은 약 15초 내지 약 60초 범위일 수 있지만, 더 길거나 짧은 시간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단(multi-stage) 반응기 배치에 존재할 수 있는 임의 중간 유출물을 비롯한, 플루오르화 반응 단계로부터의 유출물은, 원하는 정도의 분리 및/또는 기타 가공을 달성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기 유출물이 1233xf를 포함하는 실시양태에서, 유출물은 일반적으로 또한 HCl, HF, 1232xf, 244bb, 및 미반응한 1230xa를 포함할 것이다. 반응 생성물의 상기 성분들의 일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는 중성화 및 증류와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 분리 또는 정제 방법을 통해 반응 혼합물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미반응한 1230xa 및 HF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재순환되어 원하는 1233xf의 전체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생성된 1232xf 및 임의 1231 이성질체가 또한 재순환될 수 있다. 임의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이후 염화수소가 플루오르화 반응의 결과로서 회수된다. 염화수소의 회수는 이것이 증류액으로서 제거되는 종래 증류에 의해 수행된다.
대안적으로, HCl은 물 또는 가성 스크러버를 사용함으로써 제거되거나 회수될 수 있다. 물 추출기를 사용하는 경우 HCl이 수용액으로서 제거된다. 부식제(caustic)가 사용되는 경우, HCl은 단지 수용액 중 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시스템으로부터 제거된다.
HCl은 또한 계류 중인 공개 공보 제12/512,955호 및 제12/611,288호에 개시된 바의 1233xf와의 다음 반응 단계로 공급될 수 있다.
하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이며 제한으로서 의도된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기화기와 반응기 사이에 위치하는 넉아웃 포트의 존재 하에 1233xf를 제조하기 위한 1230xa 플루오르화의 연속 작업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를 예시한다. 실험에서 사용되는 촉매는 플루오르화 크롬 산화물이다.
약 6.5 L의 플루오르화 크롬 산화물을 4" 튜브 반응기에 로딩하였다. 반응을 초기 200℃ 및 260℃까지에서 수행하였다. 반응 압력은 70 psig였다. HF 및 1230xa/1233xf(90:10 중량비) 유량은 각각 3.3 및 1.6 lb/hr였다. 1230xa의 전환은 100%였다. 1233xf에 대한 평균 선택도는 ~90%였다. 실험을 약 6000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수행하였다. 넉아웃 포트를 실험 후에 비웠다. 약 5.8 g의 암갈색 용액을 수집하였다. 암갈색 용액의 GC 분석은 82.3% 1230xa 및 17.7%의 미지의 물질을 나타내었다. GC-MS 분석은 1233xf, 1232xf, 242 이성질체, 1231xd, 1230xa, C6HF4Cl3, C6H3F6Cl3 등을 비롯한 여러 성분들을 동정하였다.
비교예 1
본 비교예에서는 넉아웃 포트를 사용하지 않았다. 약 6.5 L의 플루오르화 크롬 산화물을 4" 튜브 반응기에 로딩하였다. 반응을 초기 200℃ 및 325℃까지에서 수행하였다. 반응 압력은 70 psig였다. HF 및 1230xa/1233xf(90/10 중량비) 유량을 각각 3.3 및 1.67 lb/hr으로 설정하였다. 1230xa의 전환은 처음에 100%였다. 촉매는 약 100시간째에 탈활성의 징후를 나타내며, 이는 1230xa의 전환에서의 급감에 의해 입증된다. 온도를 5℃ 증분으로 증가시켜, 1233xf에 대한 평균 선택도를 ~90%에서 유지하면서 전환을 약 70%로 유지하였다. 약 350 시간 및 300℃의 온도가 도달된 후, 바람직하지 않은 성분에 대한 선택도가 증가하였다. 실험을 약 400시간 후에 중단하였다. 다른 원인들 중에서, 액체 비말동반이 촉매의 빠른 탈활성에 기여한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Claims (25)

  1. 기화기;
    증기 배출구를 갖는, 상기 기화기와 유체 연통하는 탈비말동반기(de-entrainer); 및
    탈비말동반기의 증기 배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기상 반응기
    를 포함하는 반응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탈비말동반기는 탑(tower), 넉아웃 포트(knock out pot), 필터, 또는 이들의 조합인 반응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탑은 충전탑(packed tower), 단탑(trayed tower), 또는 이들의 조합인 반응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탈비말동반기는 액체 배출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반응기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넉아웃 포트는 내부 코어레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반응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내부 코어레서는 패킹, 메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반응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패킹은 폴 링(Pall ring) 등을 포함하는 것인 반응기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탈비말동반기는 충전탑을 포함하는 것인 반응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충전탑은 랜덤 패킹(random packing), 구조화 패킹(structured packing), 베인 어셈블리(vane assembly), 데미스터(demister),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반응기 시스템.
  10. 2-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펜(1233xf)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액체 1,1,2,3-테트라클로로프로펜(1230xa) 및 증기상 1230xa를 포함하는 출발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증기상 1230xa를 액체 1230xa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증기상 1230xa를, 1233xf를 생성하기에 유효한 조건 하에 플루오르화수소(HF)와 접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유효한 조건은 플루오르화 촉매의 존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 촉매는 Cr2O3, FeCl3/C, Cr2O3/Al2O3, Cr2O3/AlF3, Cr2O3/탄소, CoCl2/Cr2O3/Al2O3, NiCl2/Cr2O3/Al2O3, CoCl2/AlF3, NiCl2/AlF3, Cr2O3의 플루오르화 종,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분리 단계 (b)는 탈비말동반기에서 일어나는 것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탈비말동반기는 탑, 넉아웃 포트, 필터, 또는 이들의 조합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탈비말동반기는 넉아웃 포트이고, 넉아웃 포트는 임의로 내부 코어레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내부 코어레서는 패킹, 메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패킹은 폴 링 등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탑은 충전탑, 단탑, 또는 이들의 조합인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탑은 충전탑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충전탑은 랜덤 패킹, 구조화 패킹, 베인 어셈블리, 데미스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1. 2-클로로-1,1,1,2-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HCFC-244bb)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0항에 따라 제조된 2-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펜(1233xf)을, 244bb를 생성하기에 유효한 조건 하에 플루오르화수소(HF)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HFO-1234yf)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21항에 따라 제조된 2-클로로-1,1,1,2-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HCFC-244bb)을, 1234yf를 생성하기에 유효한 조건 하에 탈염화수소화 촉매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1233xf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기상 플루오르화 촉매의 촉매 수명을 연장하는 방법으로서,
    (a) 1230xa를 기화시키는 단계로서, 1230xa의 일부가 기화되지 않고 남는 단계;
    (b) 1230xa의 기화되지 않은 부분을, 1230xa의 기화된 부분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c) 1230xa의 기화된 부분을, 1233xf를 생성하기에 유효한 조건 하에서 HF의 존재 하에 기상 플루오르화 촉매를 포함하는 반응기에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상 플루오르화 촉매의 수명은, 분리 단계 (b)가 없고 기화된 1230xa와 기화되지 않은 1230xa가 반응기에 공급되는 경우의 촉매의 수명과 비교하여 연장되는 것인 방법.
  24. 2-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펜(1233xf)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액체 1,1,1,2-테트라클로로프로펜(1230xf) 및 증기상 1230xf를 포함하는 출발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증기상 1230xf를 액체 1230xf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증기상 1230xf를, 1233xf를 생성하기에 유효한 조건 하에 플루오르화수소(HF)와 접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5. 2-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펜(1233xf)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액체 1,1,1,2,3-펜타클로로프로판(240db) 및 증기상 240db를 포함하는 출발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증기상 240db를 액체 240db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증기상 240db를, 1233xf를 생성하기에 유효한 조건 하에 플루오르화수소(HF)와 접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57032930A 2013-04-18 2014-04-18 플루오르화 유기물을 제조하기 위한 반응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438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13393P 2013-04-18 2013-04-18
US61/813,393 2013-04-18
PCT/US2014/034580 WO2014172592A1 (en) 2013-04-18 2014-04-18 Reaction system and process to produce fluorinated organic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830A true KR20150143830A (ko) 2015-12-23

Family

ID=5173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930A KR20150143830A (ko) 2013-04-18 2014-04-18 플루오르화 유기물을 제조하기 위한 반응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309175B2 (ko)
EP (1) EP2986583B1 (ko)
JP (2) JP2016522809A (ko)
KR (1) KR20150143830A (ko)
CN (1) CN105102402B (ko)
ES (1) ES2745279T3 (ko)
MX (1) MX2015014453A (ko)
PL (1) PL2986583T3 (ko)
PT (1) PT2986583T (ko)
WO (1) WO2014172592A1 (ko)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0057A (en) * 1964-01-09 1968-11-12 Bernard J. Lerner Method for gas-liquid disentrainment operations
JPS50110976A (ko) * 1974-02-12 1975-09-01
JPS57117499U (ko) * 1981-01-14 1982-07-21
JPH0819014B2 (ja) * 1985-05-22 1996-02-28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二塩化エタンの製造方法
GB8601359D0 (en) * 1986-01-21 1986-02-26 Shell Int Research Contacting gas & liquid
JPH0386791A (ja) * 1989-08-31 1991-04-11 Mobil Oil Corp 低沸点炭化水素油の製造方法
JPH05209175A (ja) * 1991-12-03 1993-08-20 Fuji Risaikuru Kk プラスチック廃棄物の再利用方法
FR2724929B1 (fr) * 1994-09-26 1996-11-29 Solvay Procede de fabrication de 1,1,1-trihaloethanes
US5695548A (en) * 1995-11-13 1997-12-09 Trutna; William R.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current fluid contact
US5710352A (en) 1996-09-19 1998-01-20 Alliedsignal Inc. Vapor phase process for making 1,1,1,3,3-pentafluoropropane and 1-chloro-3,3,3-trifluoropropene
WO1999036378A1 (en) 1998-01-16 1999-07-22 Alliedsignal Inc. Method of producing fluorinated organic compounds
US6488838B1 (en) * 1999-08-17 2002-12-03 Battelle Memorial Institute Chemical reactor and method for gas phase reactant catalytic reactions
US6388155B1 (en) * 2000-08-01 2002-05-14 Abb Lummus Global Inc. Styrene dehydrogenation reactor effluent treatment
US7137622B2 (en) * 2004-04-22 2006-11-21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De-entrainment of liquid particles from gas
US8058486B2 (en) * 2004-04-29 2011-11-1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tegrated process to produce 2,3,3,3-tetrafluoropropene
US8952208B2 (en) * 2006-01-03 2015-02-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prolonging a catalyst's life during hydrofluorination
US8664455B2 (en) * 2008-08-08 2014-03-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ocess to manufacture 2-chloro-1,1,1,2-tetrafluoropropane (HCFC-244bb)
US20070245736A1 (en) * 2006-04-25 2007-10-25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superheated steam
US7795480B2 (en) * 2007-07-25 2010-09-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producing 2-chloro-3,3,3,-trifluoropropene (HCFC-1233xf)
CN101597209A (zh) * 2008-03-20 2009-12-09 霍尼韦尔国际公司 用于制备2,3,3,3-四氟丙烯的一体式方法
US8618340B2 (en) 2009-11-03 2013-12-3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tegrated process for fluoro-olefin production
US20110245548A1 (en) * 2010-03-31 2011-10-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atalyst life improvement in the vapor phase fluorination of chlorocarbons
CN102001910B (zh) * 2010-09-20 2013-11-06 西安近代化学研究所 2,3,3,3-四氟丙烯的制备方法
US9890096B2 (en) * 2011-01-19 2018-02-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s of making 2,3,3,3-tetrafluoro-2-propene
EP2751058A4 (en) * 2011-09-30 2015-05-20 Honeywell Int Inc PROCESS FOR PRODUCING 2,3,3,3-TETRAFLUOROPROPE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5014453A (es) 2016-02-03
CN105102402B (zh) 2019-06-18
EP2986583A4 (en) 2016-11-16
CN105102402A (zh) 2015-11-25
EP2986583B1 (en) 2019-07-17
PL2986583T3 (pl) 2019-12-31
US20150057472A1 (en) 2015-02-26
EP2986583A1 (en) 2016-02-24
JP2019014730A (ja) 2019-01-31
US9309175B2 (en) 2016-04-12
JP2016522809A (ja) 2016-08-04
ES2745279T3 (es) 2020-02-28
PT2986583T (pt) 2019-09-17
JP6697048B2 (ja) 2020-05-20
WO2014172592A1 (en)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8767B2 (ja) フッ化水素化中の触媒寿命を延ばす方法
RU2548902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2,3,3,3-тетрафторопропена газофазным фторированием пентахлоропропана
EP1658252B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1,3,3,3- tetrafluoropropene
US9388099B2 (en) Process for producing 2,3,3,3-tetrafluoropropene
EP2766331B1 (en) Process for producing 2,3,3,3-tetrafluoropropene
US8487144B2 (en) Process for producing fluorinated propene
EP4067325A2 (en) Continuous low-temperature process to produce trans-1-chloro-3,3,3-trifluoropropene
WO2012067980A2 (en) Process for producing 2,3,3,3-tetrafluoropropene
KR20120140243A (ko) (e)-1-클로로-3,3,3-트리플루오르프로펜을 제조하는 통합 공정 및 방법
KR20160091937A (ko) 염산 정제 방법
EP3442935A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2,3,3,3-tetrafluoropropene
MX2014010346A (es) Proceso para producir 2, 3, 3, 3 - tetrafluoropropeno.
WO2005030685A2 (en) Method of making 1,1,3,3,3-pentafluoropropene
JP6230548B2 (ja) 抽出蒸留による、ヒドロクロロフルオロオレフィンから汚染物を除去するための方法
JP6697048B2 (ja) フッ素化有機化合物を製造するための反応システム及び方法
WO2023141792A1 (en) Integrated process for making 1-chloro-3, 3, 3-trifluoropropene (hcfo-1233zd) from a mixture of high-boiling fluorinated components
WO2023146723A1 (en) Integrated process for making 1-chloro-3,3,3-trifluoropropene (hcfo-1233zd) from a mixture of high-boiling fluorinated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