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988A - 합성섬유 방사구금 - Google Patents

합성섬유 방사구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988A
KR20150142988A KR1020140071815A KR20140071815A KR20150142988A KR 20150142988 A KR20150142988 A KR 20150142988A KR 1020140071815 A KR1020140071815 A KR 1020140071815A KR 20140071815 A KR20140071815 A KR 20140071815A KR 20150142988 A KR20150142988 A KR 20150142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neret
filament
synthetic fiber
hole group
spi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5889B1 (ko
Inventor
김대수
원종열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1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889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4/00Spinnerette packs; Cleaning thereof
    • D01D4/02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4Dry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6Wet spinn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합성섬유 방사구금은 방사구금(10)의 평면상에 방사홀(13)들이 동심원 라인(12)들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방사홀 그룹(11) 2개 이상이 최내각 동심원 라인(12b)은 서로 일체를 이루지만 최내각 동심원 라인(12b)을 제외한 나머지 동심원 라인(12)들은 서로 분리되게 위치하고,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는 2개의 방사홀 그룹(11) 중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방사홀 그룹(11)의 우측변과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방사홀 그룹(11)의 좌측변은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넓이가 증가하는 나팔관 형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사된 필라멘트 사조의 외각에 위치하는 필라멘트와 접촉하는 응고액과 내각에 위치하는 필라멘트와 접촉하는 응고액의 온도차이 및 농도차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어서 방사된 필라멘트 사조를 구성하는 필라멘트 각각의 물성 차이를 감소시켜 준다.

Description

합성섬유 방사구금{Spinneret of synthetic fiber}
본 발명은 합성섬유 방사구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건·습식 방사방법으로 합성섬유를 방사할때 방사된 필라멘트 사조의 외각에 위치하는 필라멘트와 내각에 위치하는 필라멘트 각각에 동일 수준의 온도 및 농도를 갖는 응고액을 접촉시킬 수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 사조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들 간의 물성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합성섬유 방사구금에 관한 것이다.
건·습식 방사방법으로 합성섬유를 제조하는 공정 일례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분자 용액(방사용액)을 방사구금(10)에 형성된 방사홀(13)들을 통해 토출하여 에어갭(50)을 통과시킨 후 응고액 욕조(20)에 담겨진 응고액(60) 내로 통과시키고, 계속해서 상기 응고액 욕조(20)의 하단에 연통된 응고튜브(30) 내로 응고액과 함께 방사된 필라멘트 사조를 통과시킨 다음, 계속해서 수세장치(70)를 수세한 후 건조장치(80)로 건조하여 권취장치(90)에 권취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때 선택적으로 응고튜브(30)를 통과하는 필라멘트 사조에 응고액 분사구(40)로 응고액을 분사해 줄 수도 있다.
도 1은 건·습식 방사방법으로 합성섬유를 제조하는 공정개략도이다.
상기와 같이 건·습식 방사방법으로 합성섬유를 제조할때 상기 방사구금(10)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구금(10)의 평면상에 방사홀(13)들이 동심원 라인(12)을 따라 다이아몬드 형태로 배열된 방사구금을 사용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너츠 형태인 방사구금(10)의 평면상에 방사홀(13)들이 동심원 라인(12)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방사구금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도 2 및 도 3과 같은 종래의 합성섬유 방사구금을 사용시에는 방사된 필라멘트 사조는 그의 내부 및 외각 모두에 필라멘트들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상태로 응고액 욕조내를 통과하기 때문에 방사된 필라멘트 사조의 내부로 응고액이 쉽게 침투 및 확산되지 못해서 상기 필라멘트 사조의 외곽에 위치하는 필라멘트와 접촉하는 응고액과 내곽에 위치하는 필라멘트와 접촉하는 응고액 간의 온도 및/또는 농도 차이가 발생되고, 그로인해 필라멘트 사조의 외곽층에 위치하는 필라멘트들과 내각층에 위치하는 필라멘트들은 응고정도가 서로 달라 결국 물성차이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미국특허 제4,702,876호에서는 합성섬유 방사구금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구금(10)의 평면상에 방사홀(13)들이 동심원 라인(12)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방사홀 그룹(11) 2개 이상이 서로 분리되게 위치하고,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는 방사홀 그룹(11)들의 최외각 동심원 라인(12a)간의 거리(L1)가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는 방사홀 그룹(11)들의 최내각 동심원 라인(12b)간의 거리(L2)와 동일한 합성섬유 방사구금을 게재하고 있다.
도 4의 종래 합성섬유 방사구금의 경우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는 방사홀 그룹(11)의 좌측변 및 우측변 각각은 모두 직선구간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도 4의 종래 합성섬유 방사구금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방사된 필라멘트 사조의 내부로 응고액이 쉽게 침투 및 확산되지 못해서 상기 필라멘트 사조의 외곽에 위치하는 필라멘트와 접촉하는 응고액과 내곽에 위치하는 필라멘트와 접촉하는 응고액 간의 온도 및/또는 농도 차이가 발생되고, 그로인해 필라멘트 사조의 외곽층에 위치하는 필라멘트들과 내각층에 위치하는 필라멘트들은 응고정도가 서로 달라 결국 물성차이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이유는 도 4의 종래 합성섬유 방사구금은 비록 방사구금(10)의 평면상에 방사홀(13)들이 동심원 라인(12)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방사홀 그룹(11) 2개 이상이 서로 분리되게 위치하여 상기 방사홀 그룹(11)들 간의 간극으로 응고액이 잘 흐를 수는 있지만, 상기 최외각 동심원 라인(12a) 간의 거리(L1)와 상기 최내각 동심원 라인(12b)간의 거리(L2)가 서로 동일하고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는 방사홀 그룹(11)의 좌측변 및 우측변 각각이 모두 직선구간을 이루고 있어서 응고액이 필라멘트 사조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들 사이로 침투, 확산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방사된 필라멘트 사조를 이루는 필라멘트들을 고르게 응고시킴으로서 상기 필라멘트들 간의 물성편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합성섬유 방사구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합성섬유 제조시 방사구금(10)의 평면상에 방사홀(13)들이 동심원 라인(12)들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방사홀 그룹(11) 2개 이상이 최내각 동심원 라인(12b)은 서로 일체를 이루지만 최내각 동심원 라인(12b)을 제외한 나머지 동심원 라인(12)들은 서로 분리되게 위치하고,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는 2개의 방사홀 그룹(11) 중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방사홀 그룹(11)의 우측변과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방사홀 그룹(11)의 좌측변은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넓이가 증가하는 나팔관 형태를 형성하고 있는 합성섬유 방사구금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방사된 필라멘트 사조의 외각에 위치하는 필라멘트와 접촉하는 응고액과 내각에 위치하는 필라멘트와 접촉하는 응고액의 온도차이 및/또는 농도차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어서 방사된 필라멘트 사조를 구성하는 필라멘트 각각의 물성 차이를 감소시켜 준다.
도 1은 건·습식 방사방법으로 합성섬유를 제조하는 공정개략도.
도 2 내지 도 4는 종래 합성섬유 방사구금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섬유 방사구금의 저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섬유 방사구금(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구금(10)의 평면상에 방사홀(13)들이 동심원 라인(12)들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방사홀 그룹(11) 2개 이상이 최내각 동심원 라인(12b)은 서로 일체를 이루지만 최내각 동심원 라인(12b)을 제외한 나머지 동심원 라인(12)들은 서로 분리되게 위치하고,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는 2개의 방사홀 그룹(11) 중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방사홀 그룹(11)의 우측변과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방사홀 그룹(11)의 좌측변은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넓이가 증가하는 나팔관 형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섬유 방사구금(10)의 저면도이다.
상기 방사홀 그룹(11)의 개수는 2~6개인 것이 공정성 등을 고려시 바람직하다.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는 2개의 방사홀 그룹(11) 중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방사홀 그룹(11)의 우측변과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방사홀 그룹(11)의 좌측변은 모든 구간이 곡선구간(X)으로 이루어진다.
그로 인해, 응고액은 방사홀 그룹(11) 사이를 통해 흘러가면서 필라멘트 사조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들 사이로 용이하게 침투, 확산되고, 그 결과 필라멘트 사조의 외각에 위치하는 필라멘트와 접촉하는 응고액과 필라멘트 사조의 내각에 위치하는 필라멘트와 접촉하는 응고액의 온도 및/또는 농도가 거의 유사해져 상기 필라멘트들이 고르게 응고된다.
그로 인해, 상기 필라멘트들의 물성편차가 최소화된다.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는 방사홀 그룹(11)들 간의 간격거리(L)는 방사홀 그룹(11)의 내각에서 외각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 방사구금은 건·습식 방사나 용액방사로 합성섬유, 예를들면 아라미드 섬유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방사된 필라멘트 사조의 외각에 위치하는 필라멘트와 접촉하는 응고액과 내각에 위치하는 필라멘트와 접촉하는 응고액의 온도차이 및 농도차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어서 방사된 필라멘트 사조를 구성하는 필라멘트 각각의 물성 차이를 감소시켜 준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현일례에 불과할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19g을 황산용매 81g에 용해시켜 방사도프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사도프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구금(10)의 평면상에 방사홀(13)들이 동심원 라인(12)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방사홀 그룹(11) 4개가 최내각 동심원 라인(12b)은 서로 일체를 이루지만 최내각 동심원 라인(12b)을 제외한 나머지 동심원 라인(12)들은 서로 분리되게 위치하고,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는 2개의 방사홀 그룹(11) 중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방사홀 그룹(11)의 우측변과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방사홀 그룹(11)의 좌측변은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넓이가 증가하는 나팔관 형태를 형성하고 있는 방사구금(10)을 통해 방사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갭(50)을 통과시킨 후 응고조(20) 내에 담겨있는 응고액(60)을 통과시키고, 계속해서 응고액(60)과 함께 응고조(20) 하단에 연통된 응고튜브(40) 내로 통과시킨 다음, 수세장치(70)로 수세한 후 건조장치(80)로 건조하고 권취장치(90)로 권취하여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방사구금(10) 내에서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는 2개의 방사홀 그룹(11) 중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방사홀 그룹(11)의 우측변과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방사홀 그룹(11)의 좌측변은 모든 구간이 곡선구간(X)으로 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를 구성하는 모노필라멘트들의 강도편차를 측정한 결과는 1.3% 이었다.
비교실시예 1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19g을 황산용매 81g에 용해시켜 방사도프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사도프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구금(10)의 평면상에 방사홀(13)들이 동심원 라인(12)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방사구금(10)을 통해 방사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갭(50)을 통과시킨 후 응고조(20) 내에 담겨있는 응고액(60)을 통과시키고, 계속해서 응고액(60)과 함께 응고조(20) 하단에 연통된 응고튜브(40) 내로 통과시킨 다음, 수세장치(70)로 수세한 후 건조장치(80)로 건조하고 권취장치(90)로 권취하여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를 구성하는 모노필라멘트들의 강도편차를 측정한 결과는 3.5% 이었다.
비교실시예 2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19g을 황산용매 81g에 용해시켜 방사도프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사도프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구금(10)의 평면상에 방사홀(13)들이 동심원 라인(12)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방사홀 그룹(11) 2개 이상이 서로 분리되게 위치하고,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는 방사홀 그룹(11)들의 최외각 동심원 라인(12a)간의 거리(L1)가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는 방사홀 그룹(11)들의 최내각 동심원 라인(12b)간의 거리(L2)와 동일한 방사구금(10)을 통해 방사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갭(50)을 통과시킨 후 응고조(20) 내에 담겨있는 응고액(60)을 통과시키고, 계속해서 응고액(60)과 함께 응고조(20) 하단에 연통된 응고튜브(40) 내로 통과시킨 다음, 수세장치(70)로 수세한 후 건조장치(80)로 건조하고 권취장치(90)로 권취하여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를 구성하는 모노필라멘트들의 강도편차를 측정한 결과는 3.2% 이었다.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의 강도편차 측정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를 구성하는 모노필라멘트들 각각을 25㎝로 절단하여 샘플을 준비하고 ASTM D-885 시험방법에 따라 강도를 측정하였는데, 구체적으로 인스트론 시험기를 이용하여 인장속도 300㎜/분에서 각각의 샘플이 파단될때의 강력(g)을 측정하고 측정값을 샘플의 데니어(denier)로 나누어 샘플 각각의 강도(g/d)를 구한 다음, 샘플 각각의 강도(g/d) 중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하고, 나머지 샘플에 대한 강도편차를 구하였다.
10 : 방사구금 11 : 방사홀 그룹
12 : 방사구금의 동심원 라인 12a : 방사구금의 최외각 동심원 라인
12b : 방사구금의 최내각 동심원 라인
13 : 방사홀 20 : 응고조
30 : 응고튜브 40 : 응고액 분사구
50 : 에어갭 60 : 응고액
70 : 수세장치 80 : 건조장치
90 : 권취장치
L :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는 방사홀 그룹(11)들 간의 간격 거리
X : 곡선구간

Claims (4)

  1. 방사구금(10)의 평면상에 방사홀(13)들이 동심원 라인(12)들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방사홀 그룹(11) 2개 이상이 최내각 동심원 라인(12b)은 서로 일체를 이루지만 최내각 동심원 라인(12b)을 제외한 나머지 동심원 라인(12)들은 서로 분리되게 위치하고,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는 2개의 방사홀 그룹(11) 중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방사홀 그룹(11)의 우측변과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방사홀 그룹(11)의 좌측변은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넓이가 증가하는 나팔관 형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 방사구금.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는 2개의 방사홀 그룹(11) 중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방사홀 그룹(11)의 우측변과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방사홀 그룹(11)의 좌측변은 모든 구간이 곡선구간(X)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 방사구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홀 그룹(11)이 2~6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 방사구금.
  4. 제1항에 있어서, 합성섬유는 아라미드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 방사구금.
KR1020140071815A 2014-06-13 2014-06-13 합성섬유 방사구금 KR101975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815A KR101975889B1 (ko) 2014-06-13 2014-06-13 합성섬유 방사구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815A KR101975889B1 (ko) 2014-06-13 2014-06-13 합성섬유 방사구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988A true KR20150142988A (ko) 2015-12-23
KR101975889B1 KR101975889B1 (ko) 2019-05-07

Family

ID=5508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815A KR101975889B1 (ko) 2014-06-13 2014-06-13 합성섬유 방사구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8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9208A (ja) * 1983-11-28 1985-06-26 Toray Ind Inc 溶融紡糸用口金パツク
US4702876A (en) * 1984-07-11 1987-10-27 Akzo N.V. Variable-aperture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filaments from aromatic polyamides
JPH06143275A (ja) * 1992-11-09 1994-05-24 Nippon Steel Chem Co Ltd ピッチ系炭素繊維プリプレグ
KR20090063271A (ko) * 2006-10-10 2009-06-17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내절단성 얀을 제조하기 위한 방사구
KR20170088154A (ko) * 2016-01-22 2017-08-0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강도 섬유 제조용 방사 노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9208A (ja) * 1983-11-28 1985-06-26 Toray Ind Inc 溶融紡糸用口金パツク
US4702876A (en) * 1984-07-11 1987-10-27 Akzo N.V. Variable-aperture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filaments from aromatic polyamides
JPH06143275A (ja) * 1992-11-09 1994-05-24 Nippon Steel Chem Co Ltd ピッチ系炭素繊維プリプレグ
KR20090063271A (ko) * 2006-10-10 2009-06-17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내절단성 얀을 제조하기 위한 방사구
KR20170088154A (ko) * 2016-01-22 2017-08-0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강도 섬유 제조용 방사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889B1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7597B1 (ko) 라이오셀 섬유용 방사 냉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이오셀섬유의 제조 방법
KR0140074B1 (ko) 코어-시드 필라멘트로부터 제조한 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5883B1 (ko) 합성섬유 방사구금
KR101975889B1 (ko) 합성섬유 방사구금
KR101954239B1 (ko) 라이오셀 섬유 제조용 방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라이오셀 필라멘트 섬유 및 라이오셀 스테이플 섬유의 제조 방법
KR102034197B1 (ko) 합성섬유 방사구금
CN102628192B (zh) 一种多孔细旦聚酯长丝的生产方法
JP4053471B2 (ja) 乾湿式紡糸用口金
KR20190127702A (ko) 섬유의 제조 방법 및 탄소 섬유의 제조 방법
KR100488607B1 (ko)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용 방사노즐 및 냉각장치
CN209338718U (zh) 聚乙烯醇长丝制备流水线
JP3799061B2 (ja) 光学的に異方性の紡糸液からフィラメントを作る方法
KR20120110646A (ko) 방사용 응고장치
KR100540042B1 (ko)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 제조용 냉각장치
KR20070072041A (ko) 폴리케톤 섬유의 제조 방법
KR20130077493A (ko) 라이오셀 섬유용 방사 냉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이오셀 섬유의 제조 방법
US6270532B1 (en) Element for washing or treating a yarn or similar structure with a fluid
RU2766477C1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жидкости из пряжи или волокон с целлюлозными нитями
CN217781336U (zh) 一种干喷湿法纺丝凝固浴槽装置
KR960000789B1 (ko) 전방향족 폴리아미드계 합성섬유의 제조방법
KR101472096B1 (ko)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
JP4827321B2 (ja) 湿式紡糸用円形ノズル
KR101562080B1 (ko) 방사용 응고장치
JP2010174412A (ja) 湿式紡糸用口金およびアクリル系炭素繊維用前駆体繊維束の製造方法
KR20170092954A (ko)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