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982A - Lng 선 또는 lpg 선 - Google Patents

Lng 선 또는 lpg 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982A
KR20150141982A KR1020157031087A KR20157031087A KR20150141982A KR 20150141982 A KR20150141982 A KR 20150141982A KR 1020157031087 A KR1020157031087 A KR 1020157031087A KR 20157031087 A KR20157031087 A KR 20157031087A KR 20150141982 A KR20150141982 A KR 20150141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long
lng
ship
liqui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요시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노부요시 모리모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부요시 모리모토 filed Critical 노부요시 모리모토
Publication of KR20150141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025/085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omprising separation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025/087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omprising self-contained tanks installed in the ship structure as separat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6Preventing slo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과제] 선박 크기에 대한 탱크 용적이 크고, 게다가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독립형 탱크를 채용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선체 구조를 얻는다. [해결수단]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독립 탱크를, 선체 구조재와 일체화하지 않고, 화물창 내에 설치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탱크는, 선폭 방향보다 선길이 방향이 긴 롱 탱크(30)이며, 선길이 방향을 따라 화물창 내에 설치하고, 상기 롱 탱크(30)는, 선폭 방향의 1장의 판으로 구획되는 격벽(31)에 의해 선길이 방향으로 2 이상의 액체 화물실(30-1, 30-2, 30-3)로 분할되어 있는 LNG 선 또는 LPG 선이다.

Description

LNG 선 또는 LPG 선 {LNG CARRIER OR LPG CARRIER}
본 발명은 액화 천연가스(LNG) 또는 LPG 선에 관한 것이다.
LNG는, 연소 시에 질소 산화물이나 아황산가스의 배출량이 적기 때문에, 청정 에너지로서 해마다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LNG는 천연가스를 -162℃ 정도로 냉각하여 액화한 것이며, 이를 해상 운송하는 LNG 운반선의 탱크는 광범위한 온도 변화에 견딜 수 있도록 저온 재료를 사용하고, 온도차에 의한 열수축·열응력을 고려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또한, LNG 운반선은 고속·대량 수송의 임무를 담당하기 때문에, 20노트 전후의 항해 속력을 갖추고 있는 것이 보통이며, 선체는 대형화의 경향이 있어, 탱크 용량 200,000㎥를 초과하는 것이 현재 계획되고 있다.
종래의 LNG 운반선에서는, 그것에 탑재되는 LNG 탱크는 크게 2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하나가 모스형 구형(球形) 탱크 방식이고, 또 하나가 멤브레인 방식이다(예를 들어, 미국특허 5697312호, 동 7137345호).
모스형 구형 탱크 방식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 구형 탱크를, 그 적도부(赤道部)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스커트 형상의 지지 구조를 통해 화물창(船倉) 내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 탱크에서는, 그 안에 적재한 액체 화물의 중량 및 선박의 동요에 의해 액체 화물에 작용하는 동적인 힘은 모두 탱크 자체에서 부담하며, 스커트를 통해 선체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탱크의 방열재는, 물론, 탱크의 외면에 설치된다.
한편, 멤브레인 방식 탱크는, 선체의 이중선각(二重船殼) 구조의 내측에 방열재를 마련하고, 그 표면을 멤브레인으로 액밀(液密)하게 덮은 것이다. 이 방식의 탱크에서는, LNG의 액체 압력이 방열재를 통해 선체 구조에 전달된다. 멤브레인에는 스테인리스 강이나 열팽창 계수가 작은 니켈 합금(인바)이 사용된다.
그런데, 화물창의 형상은 거의 박스형이기 때문에, 거기에 모스형 구형 탱크를 넣은 경우, 구형 탱크의 주위에 불필요한 공간이 생기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모스형 구형 탱크는 선체의 크기에 비해서 탱크 용적이 작다는 단점이 있다.
다른 한편, 멤브레인 방식의 탱크는, 화물창을 따르는 형상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탱크 공간을 크게 취할 수 있어, 용적 효율이 좋다. 반면, 멤브레인 방식의 탱크는, 화물이 반적재 상태일 때 폭풍우를 만나면, 선체의 흔들림과 LNG 액면의 흔들림이 동조하여 탱크 내벽에 과대한 압력이 걸리는 슬로싱(sloshing) 현상, 즉 선체 동요에 의해 탱크 내의 액체 화물이 심하게 물결치고, 그 충격으로 멤브레인이나 방열재가 손상을 입을 수 있다. 구형 탱크에서는, 탱크 벽이 곡면이기 때문에 충격을 받아넘길 수 있으며, 또한, 방열재가 탱크의 외측에 있기 때문에, 슬로싱은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멤브레인 방식의 탱크에 대해서는, 화물인 LNG가 물결치지 않도록 탱크를 항상 만재 또는 그것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해두는 것이 요청된다.
LNG 선의 화물 탱크는 모스형, 멤브레인형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지만, 이들에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장 일단이 있으며, 그 득실을 충분히 고려한 선박 종류의 선정이 LNG 선의 사용에는 중요하다. 그래서, 이러한 득실을 바탕으로, 이상적인 LNG 화물 탱크로서 독립 사각형(獨立方形) 탱크가 일본의 주요 조선소에 의해 개발되었다. 그 예로서 IHI 사의 SPB 탱크가 있다.
특허문헌 1 : 미국특허 5697312호 특허문헌 2 : 미국특허 7137365호
독립 사각형 탱크는, 구형 탱크와 같이, 선체의 크기에 비해서 탱크 용적이 작아지는 단점이 없어, 이상적인 방식이다.
 그러나, 그 사용되는 판의 재질이 극저온 영역에서 그의 강도 특성을 갖는 재질에 한정되며, 그 재질로서, 스테인리스 강, 알루미늄 소재가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건조 비용면에서 모스형, 멤브레인형에 경제성의 관점에서 불리하며, 몇 척의 건조 실적에 그치고 있다.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선박 크기에 대한 탱크 용적이 크고, 게다가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독립 사각형 탱크를 채용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선체 구조를 얻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탱크 사이의 이중 칸막이(격벽) 공사를 피하고, 경제적인 선체 구조를 얻는 데 있다.
기타 과제는, 이하의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독립 탱크를, 선체 구조재와 일체화하지 않고, 화물창 내에 설치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탱크는, 선폭(船幅) 방향보다 선길이(船長) 방향이 긴 롱 탱크이며, 선길이 방향을 따라 화물창 내에 설치하고,
상기 롱 탱크는, 선폭 방향의 1장의 판으로 구획되는 격벽 판에 의해 선길이 방향으로 2 이상의 액체 화물실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선.
(작용 효과)
사각형의 독립 탱크를, 선체 구조(예를 들어, 이중선각 구조)재와 일체화하지 않고(용접 구조는 채택하지 않음), 화물창 내에 설치한 구조이면, 고가의 재료는 불필요하며, 경제적인 것이 된다.
이중선각 블록 공사와 롱 탱크의 제조 공사가 독립적이고 병행적인 공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건설 비용이 절감되고, 전체 준공 시간의 단축에도 기여한다.
탱크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이기 때문에, 탱크의 용적 효율이 구형 탱크보다 크다.
선체에 독립 탱크를 복수 개 설치하려는 경우, 예를 들어 충돌이 있어도, 다른 쪽의 탱크에 미치는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혹은 열변형 방지를 위해, 독립 탱크 사이에 이중 칸막이 공사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중 칸막이 공사 및 그에 필요한 재료가, 비용을 높이는 요인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라, 롱 탱크로 하고, 선폭 방향의 1장의 판으로 구획되는 격벽 판에 의해 선길이 방향으로 2 이상의 액체 화물실로 분할하면, 인접한 액체 화물실(탱크) 사이의 이중 칸막이 공사 및 그의 재료는, 1장의 판으로 구획되는 격벽 판으로 대체할 수 있어, 극히 경제적인 것이 된다. 즉, 선체 강도 멤버로서의 이중 칸막이 판, 그의 단열 공사 등이 불필요할 수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
상기 롱 탱크의 전후에 격벽을 갖지 않는 탱크를 배치한, 선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탱크 군(群)의 열(列)을 가지며, 롱 탱크와 인접한 탱크 사이의 각각은, 코퍼댐 구조를 갖는 청구항 1 기재의 LNG 선.
(작용 효과)
롱 탱크와 인접한 탱크 사이의 각각은, 코퍼댐(cofferdem) 구조로 한다. 여기서 "코퍼댐 구조"라 함은, 칸막이(격벽)의 상호 간에 빈 공간(보이드(void))이 형성되는 구조를 말한다. 이로 인해 화재 발생시의 열이나 가스를 차단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
상기 롱 탱크는 선박의 중앙선 방향을 경계로 하는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청구항 1 기재의 LNG 선.
(작용 효과)
폭이 넓은 선체에 대해, 그 용적의 이점을 발휘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
상기 롱 탱크의 선길이 방향 중앙의 액체 화물실의 상부에, 키이부를 돌출시켜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이 키이부에 대응하는 선박의 중앙선 방향 전후로, 열변형 이동 방지 초크를 선체 구조재 측에 설치한 청구항 1 기재의 LNG 선.
(작용 효과)
키이부에 대하여 열변형 이동 방지 초크를 마련하면, 독립 롱 탱크의 선길이 방향의 열변형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롱 탱크의 선길이 방향 중앙의 액체 화물실의 상부를, 전후 방향의 탱크의 열변형의 중심점으로 하기 위해, 선폭 방향으로 폭을 가진 열변형 이동 방지 초크를 선체 측에 설치하고, 탱크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최소한으로 함과 동시에, 이 점을 열변형의 중심으로 한다. 이에 따라, 탱크와 탱크 접속의 LNG 관, 탱크와 탱크외 배관과의 팽창 조인트의 접속부의 응력을 최소로 할 수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
상기 롱 탱크는 선길이 방향으로 2개의 액체 화물실을 가지며, 대략 선길이 방향 중앙 상부에, 키이부를 돌출시켜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이 키이부에 대응하는 선박의 중앙선 방향 전후로, 열변형 이동 방지 초크를 선체 구조재 측에 설치한 청구항 1 기재의 LNG 선.
(작용 효과)
청구항 4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
상기 롱 탱크의 격벽 판의 상부가 롱 탱크의 상판과 이격되어 있으며, 그 이격 공간에 의해 인접한 액체 화물실 상호가 연통하고 있는 청구항 1 기재의 LNG 선.
(작용 효과)
롱 탱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 판에 의해 독립 액체 화물실에 격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각 액체 화물실에 대해, 액면 제어 및 그 액면 조정 조작이 필요해지는 동시에, 각 액체 화물실에 대응한 탱크의 증기 돔과 상부 스토퍼와의 관계 구조가 복잡한 상태 그대로이다.
이에 대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과 이격된 이격 공간에 의해 인접한 액체 화물실 상호가 연통하고 있으면, 인접한 액체 화물실 상호의 압력이 균등해지고, 액면 제어 및 그 액면 조정 조작을 하나의 액체 화물실과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으며, 게다가 탱크의 증기 돔과 상부 스토퍼와의 관계 구조가 단순해져, 경제적이기도 하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
상기 롱 탱크의 격벽 판의 하부가 롱 탱크의 바닥판과 이격되어 있으며, 그 이격 공간에 의해 인접한 액체 화물실 상호가 연통하고 있는 청구항 1 기재의 LNG 선.
(작용 효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과 이격된 이격 공간에 의해 인접한 액체 화물실 상호가 연통하고 있으면, 인접한 액체 화물실 상호의 압력이 균등해지고, 청구항 6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
LNG 선은 LNG 운반선, FLNG 선, FSRU 선, SRV 선을 포함하는 청구항 1 기재의 LNG 선.
(작용 효과)
본 발명의 "LNG 선"이라는 용어는, LNG 운반선, FLNG 선, FSRU 선, SRV 선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청구항 9 기재의 발명>
운반 대상이 LPG인 청구항 1 기재의 LPG 선.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 크기에 대한 탱크 용적이 크고, 게다가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독립 사각형 탱크를 채용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선체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롱 탱크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탱크 사이의 이중 칸막이(격벽) 공사가 필요했던 것에 대해, 이중 칸막이(격벽) 공사가 불필요해져, 경제적인 것이 된다.
도 1은 LNG 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LNG 선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롱 탱크의 개요 사시도이다.
도 4는 LNG 선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5-5선을 따라 취한 도면이다.
도 6은 롱 탱크의 다른 형상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롱 탱크의 별도 형상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LNG 선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다른 롱 탱크 예의 개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별도의 롱 탱크 예의 개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LNG 탱커는, 전방에서부터 선수부(10), 탱크 구획(12), 기관실(14), 선미부(16)의 순으로 늘어서 있으며, 기관실 위에 거주 구역(18) 및 조타실(20)이 설치되어 있다. 탱크 구획은 횡격벽(32)에 의해 복수의 구획으로 나뉘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독립 탱크(30)를, 선체(이중선각) 구조재(36, 35)와 일체화하지 않고, 화물창 내에 설치한 구조를 갖는 LNG 선이다.
또한, 독립 사각형 탱크(30)의 바닥면에, 선체 구조재(35)와 일체로 된 받침대(36, 36 ...)를 마련하고, 탱크(30)를, 받침대(36, 36 ...) 위에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탱크 군의 적어도 일부를 독립 사각형의, 선폭 방향보다 선길이 방향이 긴 롱 탱크(30)로 하고, 선길이 방향을 따라 화물창 내에 설치한 것이다.
이 롱 탱크(30)는, 선체 구조(예를 들어, 이중선각 구조)재(34, 35)와 일체화하지 않고(용접 구조는 채택하지 않음), 화물창 내에 설치한 구조이면, 고가의 재료는 불필요하고, 경제적인 것이 된다. 또한, 롱 탱크(30)의 횡단면은 실질적으로 사각형이기 때문에, 탱크의 용적 효율이 구형 탱크보다 크다.
롱 탱크(30)는, 선폭 방향의 1장의 판으로 구획되는 격벽 판(31)에 의해 선길이 방향으로 2 이상의 액체 화물실에 분할되어 있다. 도시 예는, 3개의 액체 화물실(30-1, 30-2, 30-3)의 예이다.
각 액체 화물실(30-1, 30-2, 30-3)의 평면 길이 및 폭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폭으로서는, 18~35m, 선길이 방향으로 2개 또는 3개의 액체 화물실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선길이 방향의 길이는 40~180m가 바람직하다.
한편, 롱 탱크(30)의 중앙 상부에, 키이부(40)를 돌출시켜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이 키이부(40)에 대응하는 선박의 중앙선 방향 전후로, 열변형 이동 방지 초크(chock)(41)를 선체 구조재 측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탱크의 전후 방향의 액체 화물의 양 변화에 따른 열변형 이동에 대해 제한할 수 있다.
롱 탱크(30)의 외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방열재를 설치할 수 있다.
롱 탱크(30)의 전후에, 본 발명의 격벽(31)을 갖지 않는 단일의 액체 화물실의 탱크(33, 33)를 배치한, 선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탱크 군의 열을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롱 탱크(30)와 인접한 탱크(33, 33) 사이의 각각은, 코퍼댐 구조(32)에 의해 인슐레이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롱 탱크(3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의 중앙선 방향을 경계로 하는 좌우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31은 도 2의 예와 마찬가지의 선폭 방향의 1장의 판으로 구획되는 격벽 판, 37은 선박의 중앙선 방향을 따르는 1장의 판으로 구획되는 격벽 판이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폭이 넓은 선체에 대해, 그 용적의 이점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독립 탱크"라 함은, 횡단면으로서 전체적으로 사각형이면 된다는 것이며, 엄밀하게 사각형임을 요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탱크(30C)의 부분으로서, 코너부에 모따기부(30a), 곡면부(30b), 상면에 경사면(30c)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도 7과 같이, 상부에 작은 탱크(30d), 하부에 본체 탱크(30e)를 갖는 탱크(30D)라도 좋다.
탱크(30)의 재료로서는, 알루미늄 합금, 9% 니켈 강, 스테인리스 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9와 같이, 롱 탱크(30)의 격벽 판(31A)의 상부가 롱 탱크(30)의 상판(30U)과 이격되어 있으며, 그 이격 공간(31U)에 대해서도, 부호에 의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마찬가지의 이격 공간에 의해, 인접한 액체 화물실(30-2, 30-3) 상호가 연통하고 있다.
다른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롱 탱크(30)의 격벽 판(31A)의 하부가 롱 탱크(30)의 상판(30D)과 이격되어 있으며, 그 이격 공간(31D)에 의해 인접한 액체 화물실(30-1, 30-2) 상호가 연통하고 있으며, 또한 다른 격벽 판(31A)에 대해서도, 부호에 의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마찬가지의 이격 공간에 의해, 인접한 액체 화물실(30-2, 30-3) 상호를 연통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아래 쪽의 이격 공간(31D) 외에, 격벽 판(31A)의 상부도 롱 탱크(30)의 상판(30U)과 이격하고 있다.
연통은 상부에서라도 좋고, 하부에서라도 좋으며, 물론 양자 모두라도 좋다. 여기에서, 이격 공간(31U)의 높이는, 격벽 판(31A)의 10% 이내인 것이, 그리고 이격 공간(31D)의 높이는, 격벽 판(31A)의 5% 이내인 것이, 슬로싱 방지 및 격벽 판으로서의 롱 탱크(30)의 강도 유지를 위해 바람직하다.
상기의 실시 형태는 또한 적절히 조합하여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LNG 운반선 외에, 마찬가지로 슬로싱(sloshing) 현상에 대한 대처가 문제로 되는, FLNG 선(LNG-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system)), FSRU 선, SRV 선에 적용할 수 있다.
FLNG 선(LNG-FPSO)에서는, LNG 저장 능력을 갖는 선박 또는 바지선 상에서, 해양 가스전으로부터 생산된 천연가스의 불순물 제거 및 액화를 행하여 LNG를 생산·저장하고, 수송용 LNG 선으로 LNG를 출하한다. 육상에 액화 플랜트를 건설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해양 가스전으로부터 육상까지의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을 삭감할 수 있다는 점이나, 연안부의 개발을 수반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는 점, 가스전 개발과는 다른 국가나 지역에서 LNG-FPSO를 건조하여 현지로 견인할 수 있기 때문에 노동자 확보가 비교적 용이하다는 점 등의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LNG 선은, 재가스화 설비를 포함하는데, 그 예로서,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나 SRV(Shuttle and Re-gasification Vessel)가 있다. FSRU에서는 재가스화 장치를 탑재하고, LNG 저장 능력을 가진 선박을 해상에서 고정하고, 다른 LNG 선으로부터 LNG를 받아들인다. FSRU에서 재가스화된 천연가스를, 육상의 파이프라인으로 송출한다. SRV는 다른 LNG 선으로부터의 LNG 이송은 행하지 않고, 액화 기지에서 탑재한 LNG를 받아들이는 지점까지 수송하고, 갑판 상에서 재가스화하여 육상의 파이프라인으로 가스를 송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선박 구조는, LNG 외에, LPG의 운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LPG 선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10 : 선수부 12 : 탱크 구획
14 : 기관실 16 : 선미부
18 : 거주 구역 20 : 조타실
30, 30A, 30B : 독립 사각형 탱크
31 : 격벽 판 31D, 31U : 이격 공간
32 : 횡격벽 34, 35 : 선체 구조재
37 : 격벽 판

Claims (9)

  1.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독립 탱크를, 선체 구조재와 일체화하지 않고, 화물창 내에 설치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탱크는, 선폭(船幅) 방향보다 선길이(船長) 방향이 긴 롱 탱크이며, 선길이 방향을 따라 화물창 내에 설치하고,
    상기 롱 탱크는, 선폭 방향의 1장의 판으로 구획되는 격벽 판에 의해 선길이 방향으로 2 이상의 액체 화물실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롱 탱크의 전후에 격벽을 갖지 않는 탱크를 배치한, 선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탱크 군(群)의 열(列)을 가지며, 롱 탱크와 인접한 탱크 사이의 각각은, 코퍼댐 구조를 갖는 LNG 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롱 탱크는 선박의 중앙선 방향을 경계로 하는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LNG 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롱 탱크는 선길이 방향으로 3개의 액체 화물실을 가지며, 선길이 방향 중앙의 액체 화물실의 상부에, 키이부를 돌출시켜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이 키이부에 대응하는 선박의 중앙선 방향 전후로, 열변형 이동 방지 초크를 선체 구조재 측에 설치한 LNG 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롱 탱크는 선길이 방향으로 2개의 액체 화물실을 가지며, 대략 선길이 방향 중앙의 상부에, 키이부를 돌출시켜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이 키이부에 대응하는 선박의 중앙선 방향 전후로, 열변형 이동 방지 초크를 선체 구조재 측에 설치한 LNG 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롱 탱크의 격벽 판의 상부가 롱 탱크의 상판과 이격되어 있으며, 그 이격 공간에 의해 인접한 액체 화물실 상호가 연통하고 있는 LNG 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롱 탱크의 격벽 판의 하부가 롱 탱크의 바닥판과 이격되어 있으며, 그 이격 공간에 의해 인접한 액체 화물실 상호가 연통하고 있는 LNG 선.
  8. 제1항에 있어서,
    LNG 선은 LNG 운반선, FLNG 선, FSRU 선, SRV 선을 포함하는 LNG 선.
  9. 제1항에 있어서,
    운반 대상이 LPG인 LPG 선.
KR1020157031087A 2013-04-12 2014-04-10 Lng 선 또는 lpg 선 KR201501419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83825 2013-04-12
JPJP-P-2013-083825 2013-04-12
JP2014080921A JP6496489B2 (ja) 2013-04-12 2014-04-10 Lng船またはlpg船
JPJP-P-2014-080921 2014-04-10
PCT/JP2014/060402 WO2014168204A1 (ja) 2013-04-12 2014-04-10 Lng船またはlpg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982A true KR20150141982A (ko) 2015-12-21

Family

ID=51689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087A KR20150141982A (ko) 2013-04-12 2014-04-10 Lng 선 또는 lpg 선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60031531A1 (ko)
JP (1) JP6496489B2 (ko)
KR (1) KR20150141982A (ko)
CN (1) CN105121269B (ko)
AU (1) AU2014251665B2 (ko)
CA (1) CA2909291A1 (ko)
EA (1) EA201591964A1 (ko)
RU (1) RU2658192C2 (ko)
SG (1) SG11201508434RA (ko)
WO (1) WO20141682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5380A (ko) * 2015-12-23 2017-07-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동력 생산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6725B (zh) 2015-12-30 2022-04-26 现代重工业株式会社 液化气体运输船
JP6737431B2 (ja) * 2016-10-11 2020-08-12 三井E&S造船株式会社 液化ガス運搬船
KR102196987B1 (ko) * 2016-12-29 2020-12-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JP7088452B2 (ja) * 2017-05-31 2022-06-21 三井E&S造船株式会社 洋上浮体構造物
JP7147117B2 (ja) * 2018-04-27 2022-10-05 三井E&S造船株式会社 浮体式生産設備のユーティリティラインおよびその敷設方法
KR20210092198A (ko) * 2018-12-03 2021-07-23 닛키 글로벌 가부시키가이샤 부체 설비
CN110712712A (zh) * 2019-10-21 2020-01-21 上海船舶研究设计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四研究院) 能有效降低2~3万方液化气船成本的液货舱布置形式
CN111619756B (zh) * 2020-04-17 2023-04-25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lng加注船建造中控制结构变形和精度的方法
CN114802591B (zh) * 2022-04-15 2024-01-12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液货舱布置方法和液化气船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7312A (en) 1995-05-12 1997-12-16 Kvaerner Masa-Yards Oy Gas tanker
US7137365B2 (en) 2001-04-27 2006-11-21 Desmond Jay Maslen Radial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6416A (en) * 1957-08-05 1959-07-28 Constock Int Methane Ltd Means for the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cold boiling liquefied hydrocarbon gas
US3213632A (en) * 1960-03-07 1965-10-26 California Texas Oil Corp Ship for transporting liquefied gases and other liquids
US3305122A (en) * 1964-09-04 1967-02-21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Keyed cargo container
US3332386A (en) * 1965-10-28 1967-07-25 Technigaz Tanker
US3319431A (en) * 1966-05-25 1967-05-16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Double walled cryogenic tank
US3397662A (en) * 1966-06-28 1968-08-20 Mcmullen John J Hatch arrangement for liquefied gas storage tanks
US3612333A (en) * 1970-02-27 1971-10-12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Securement system using loose keys for independent storage tanks
JPS5215125B2 (ko) * 1972-11-25 1977-04-27
JPS5618293U (ko) * 1979-07-21 1981-02-18
JPH0635798U (ja) * 1992-10-09 1994-05-1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Lpg船のlpgタンク構造
TW310306B (ko) * 1993-04-09 1997-07-1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JP3517900B2 (ja) * 1993-05-28 2004-04-1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輸送用タンクの支持構造
AU6937794A (en) * 1993-06-04 1995-01-03 Markus Van Der Laan Tanker provided with swash type bulkheads
JP2003252287A (ja) * 2002-03-06 2003-09-10 Mitsubishi Heavy Ind Ltd 船体構造
US7137345B2 (en) 2004-01-09 2006-11-21 Conocophillips Company High volume liquid containment system for ships
CN101883715B (zh) * 2007-12-04 2013-04-17 三星重工业株式会社 用于lng货舱的防晃结构
JP5732347B2 (ja) * 2011-08-12 2015-06-10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タンク支持構造及び浮体構造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7312A (en) 1995-05-12 1997-12-16 Kvaerner Masa-Yards Oy Gas tanker
US7137365B2 (en) 2001-04-27 2006-11-21 Desmond Jay Maslen Radial eng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5380A (ko) * 2015-12-23 2017-07-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동력 생산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96489B2 (ja) 2019-04-03
RU2015148142A (ru) 2017-05-16
WO2014168204A1 (ja) 2014-10-16
CA2909291A1 (en) 2014-10-16
JP2014218238A (ja) 2014-11-20
EA201591964A1 (ru) 2016-04-29
SG11201508434RA (en) 2015-11-27
CN105121269A (zh) 2015-12-02
AU2014251665B2 (en) 2017-10-05
US20160031531A1 (en) 2016-02-04
RU2658192C2 (ru) 2018-06-19
CN105121269B (zh) 2018-10-12
AU2014251665A1 (en) 2015-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41982A (ko) Lng 선 또는 lpg 선
JP5890496B2 (ja) ガス燃料用燃料タンクを備えた浮遊式構造物
JP5577408B2 (ja) ガス燃料用燃料タンクを備えた浮遊式構造物
KR20090130267A (ko) 액화 천연 가스 운반선 및 액화 천연 가스의 해상 운송 방법
KR20150139886A (ko) Lng 선
JP2019523731A (ja) 複数の流体運搬用貯蔵タンクを具備した船舶
KR101125103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연결장치 및 상기 연결장치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00127470A (ko) 저장탱크의 다열 배치 구조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200473638Y1 (ko) 독립형 저장탱크 구조물
KR101125104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연결장치 및 상기 연결장치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1511211B1 (ko) Bog 저감장치를 가진 lng 저장탱크
KR100961866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가지는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1125105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연결장치 및 상기 연결장치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0961864B1 (ko) 슬로싱 저감수단을 가지는 lng 저장탱크 및 상기 lng저장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90026443A (ko) Lng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 배치 구조
EP2985218B1 (en) Lng carrier or lpg carrier
KR101125107B1 (ko) 저장탱크의 다열 배치 구조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101895488B1 (ko) 화물창
KR20220036445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및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형성방법
KR20120058485A (ko) 저장탱크의 다열 배치 구조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20090131329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가지는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210126295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형성방법
KR20110128163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연결장치 및 상기 연결장치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10047685A (ko) 가스연료용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