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967A - 재생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폴리머 제형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재생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폴리머 제형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967A
KR20150141967A KR1020157029453A KR20157029453A KR20150141967A KR 20150141967 A KR20150141967 A KR 20150141967A KR 1020157029453 A KR1020157029453 A KR 1020157029453A KR 20157029453 A KR20157029453 A KR 20157029453A KR 20150141967 A KR20150141967 A KR 20150141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mer
cao
polyolefin
for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글루세뻬 디눈지오
Original Assignee
아이지에이피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지에이피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아이지에이피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50141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96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29B17/0042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for shaping parts, e.g. multilayered parts with at least one layer containing regenerated plas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78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6Fi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6Scrap or recyc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509/00Use of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503/00 - B29K2507/00, as filler
    • B29K2509/02Cera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0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포장 물질, 특히 음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물질의 재활용이 CaO와 같은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로 폴리올레핀 물질을 처리함으로써 수행된다. 최종 압출 또는 사출 성형된 물질은 악취가 없다.

Description

재생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폴리머 제형 및 제조방법{THERMOPLASTIC POLYMER FORMULATION CONTAINING RECYCLED POLYOLEFINS AND METHOD OF PREPARING}
본 발명은 재생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폴리머 제형 및 상기 제형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금속 산화물 및/또는 수산화물; 바람직하게는 CaO, MgO, Al2O3, ZnO 중 하나 이상 및/또는 하나 이상의 이들의 수산화물과 함께 하나 이상의 폴리프로필렌(PP), 및 하나 이상의 폴리에틸렌(PE)을 포함하는 재생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제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을 재활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CaO, MgO, Al2O3, ZnO 중 하나 이상의 건조제, 데오도란트 및 살생물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열가소성 제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형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프로필렌(PP) 및 하나 이상의 폴리에틸렌(PE)은 하나 이상의 하기 공급원으로부터 유래한다: a) 폴리올레핀 필름, 용기 및 포장의 생산으로부터 유래하거나 주된 폴리올레핀 함량을 갖는 산업 폐기물을 제조 현장에서 직접 분리 수집; b) 폴리올레핀 필름, 포장 및 용기로부터 유래하거나 주된 폴리올레핀 함량을 갖는 산업 폐기물을 상기 재료의 사용 후에 물류센터 및 배송센터에서 분리 수집; c) 폴리올레핀 필름, 포장 및 용기로부터 생성되거나 주된 폴리올레핀 함량을 갖는 폐기물을 최종 사용 단계, 예를 들어, 도시 (폴리머) 쓰레기에서 발생한 폐기물의 분리 수집을 위한 센터에서 수집. 후자는 PP/PE 재생폴리머의 가장 주요한 공급원이다; 분리 요청 및 이러한 종류의 쓰레기의 수집 단계는 국가의 상이한 법 또는 규칙에 의해 정해져 있으나, 이는 점점 더 세분화되고 있고, 더욱 더 명확해지고 있다.
필름, 포장 및 용기는 통상 폴리올레핀으로 제조된다. 폴리올레핀 포장체 및 포장, 용기 및 필름은 오랫동안 분리 수집되어 왔다. 재생성된 폴리올레핀은 재활용 단계로부터 수득할 수 있는데, 실제 이에 의해 화학적 제형의 면에서 매우 균일한 물질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가장 잘 알려진 사례로는 쓰레기봉투의 경우이다. 폴리올레핀 포장, 용기, 필름(PP만으로 된 것, PE만으로 된 것, PP-PE가 커플링된 것, PP-PE가 공-압출된 것)을 수집하여 얻은 재생성된 플레이크 또는 과립 형태의 폴리머 화합물은 시장에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PP 및 PE는 고밀도 및/또는 저밀도에서 상이한 형태로 모두 존재하고, 복잡하고 불균일한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실은 그라인딩, 세척, 부상분리(floatation), (압출 및 과립이 필요한 경우의 과립화 단계에 이은) 원심분리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 수집 생성물의 산업적 재생성 단계는 경제적 지속가능성의 면에서 또는 기술적 어려움으로 인해 재활용품에 존재하는 모든 상이한 폴리올레핀의 미세하고 균일한 분리를 달성할 수 없다. 2개의 요인이 플레이크 또는 과립 형태의 재생성된 화합물의 제형 및 구조를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데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새로운 폴리머 패밀리의 사용이 상이한 산업분야의 필름, 포장 및 용기의 생산에서, 또는 유통 및 일용소비재(fast-moving consumer goods)의 점차 증가하는 전문화 과정을 보조하는 수단으로 증가하고 있다. PVC는 화장품, 과자류, 과일주스, 약, 옷감 및 타폴린(tarpaulin) 산업용 용기 및 포장, 및 의료상품의 용기 및 포장의 생산에 사용되고 있다; PVdC는 양념이 많이 되고 건조되고 탈수된 식품, 절인 고기, 고기, 생선, 고기, 유제품, 사탕용 포장 및 용기의 생산에 사용된다. 스티렌 폴리머는 상하기 쉬운 음식용 포장 및 용기의 생산에 PS의 형태로; 산업용 포장의 생산에 ABS의 형태로; 포장 및 용기의 생산 및 포장 및 용기용 충전제로서 EPS의 형태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될 플라스틱 물질의 공급원은 식품 포장 및 쓰레기 봉투 용기, 즉 포장의 내용물로부터 유래한 유기 물질(예를 들어, 식품 잔류물)에 의해 오염된 폴리올레핀 플라스틱에 사용하기 위한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PVC, PVdC 및 스티렌 폴리머는 산업공정, 특히 압출에서의 재혼합 사용에 있어 PP 및 PE과 단지 일부 공존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되고 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폴리올레핀에 의해 제조된 것들 외에 PVC, PVdC 및 스티렌 폴리머로 생성된 것들을 포함하는 포장, 필름, 용기의 혼합 분리 수집법이 확립되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b) 및 c) 타입의 혼합 분리 수집을 거치는 PET와 반대로, 열가소성 산업 공정에서 다른 재생폴리머와 재혼합 사용에 있어 이들이 공존할 수 없다는 것이 알려졌으므로, 산업적 재생성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다른 폴리머 패밀리로부터 항상 분리된다. 마지막으로, 특히 PP 또는 PE, 또는 PP 및 PE 모두를 갖는 다층 필름의 생산에 사용되는 폴리아미드(PA)는 기술적으로 분리불가능한 경우에 한해, 또는 이들의 분리 비용이 매우 높은 경우 상기 열거한 폴리머 패밀리와 함께 수집된다. 이들 두 경우에 있어서, PA 또는 PA를 함유하는 필름은 비호환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는 점에서 산업적 재생성 공정 전에 다른 열가소성 폴리머와 재혼합 사용에서 분리된다. 통상, PA를 함유하는 폐기물은 에너지 병합발전을 위해 태운다.
따라서, 기술적으로 가능하고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한, 폴리머 포장, 용기 및 필름의 분리 수집 이후의 산업적 재생성 공정의 일차적 목적은 단일 폴리머 패밀리, 또는 분리되고 균일한 형태로 존재하는 단일 폴리머 타입을 회수하는 것이다.
현재까지는, PET 및 PA(PET는 상이한 폴리머 타입에서 PA보다 더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와 관련하여 그와 같은 목적은 열가소성 공정에서의 재혼합 사용에 있어 이들 양자의 비호환성이 높아 PA를 함유하는 혼합되고 분리불가능한 폐기물의 연소 최종-사용으로 확실히 달성되었다.
기타 폴리머 패밀리의 경우, 기술적으로 단순하고 활용할 수 있는 재생 기술을 이용할 수 있고 동시에 경제적으로 이익이 되는 한, 적어도 균일 패밀리에 대해서는 폐기물 및 쓰레기가 산업적 재생 전에 분리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유형들의 혼합된 재활용 수집 공정으로부터 유래한 더 많은 양의 재활용 물질이, PVC, PVdC의 폴리올레핀이 대부분의 백분율을 차지하고 스티렌 폴리머도 무시할 정도가 아닌 양이며, 가능하게는 소량의 폴리아미드 PA 및 PET가 공존하는 상태로 시장에 제공되어, 플레이크 또는 과립 형태의 재생성된 화합물을 열가소성 공정에서 재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지 않다.
순수한 폴리올레핀에 대해 경쟁력 있는 비용으로 재활용으로부터 폴리머 플레이크 또는 과립을 이용하기 위해, 폴리올레핀과 함께 재생포장에 상당한 퍼센트로 공존하는 기타 상이한 폴리머 패밀리를 받아야 한다(PET 및 PA의 경우는 제외). 통상 압출 공정에서 재생성된 화합물의 사용에서 유래한 PP의 경우에 저비용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특히 그러하다.
주된 폴리올레핀 함량을 유지하나, 또한 상기 기타 폴리머 패밀리를 포함하는, 플레이크 또는 과립 형태의 상기 재생성된 화합물은 1kg당 0.30 내지 0.60 유로로 구입할 수 있다. 더 비싼 재생성 화합물은 폴리올레핀 함량이 더 높고 더 단순하고 균일한 구조를 갖는다; 예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제로 분리 및 정제 공정이 더 어려우면, 재생성 화합물 자체의 생산 비용도 더 높다. 그 결과, 플레이크 또는 과립 형태의 상기 재생성된 화합물은 순수한 PP에 비해 확실히 경쟁력이 있다.
폴리올레핀만을 함유하거나 주로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상기 재생성된 화합물의 상품명은 아직 시장에서 일치되어 식별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재생포장으로부터 유래한 폴리올레핀 플레이크 또는 과립"이 정의로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고, 또한, 폴리올레핀 함량이 우세하나 이를 배제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도 이러한 방식으로, 폴리머 화합물을 확인하기 위하여 폴리올레핀 함량을 배제하지 않는 경우에도 정의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폴리올레핀 물질"은 하기 정의된 바와 같이 8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4~98 중량%의 PP 및 PE, 및 각각 최대 1.0 중량%의 PA 및 PET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폴리머 물질을 의미한다.
또한, 뒤에 숫자가 표기되는 GS 약어, 예를 들어, 광고제품 GS1, GS2, GS3, 등은 재활용된 폴리올레핀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태리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숫자의 증가는 더 높은 폴리올레핀 함량 및 더욱 균일한 구조를 갖는 재생성된 화합물에 상응하므로, 이는 비용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플레이크 및 과립은 사실적인 미적 가치가 없고 공간적 방향의 수용능력, 충격 내성, 사용에 따른 약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저가 제품의 제조를 위한 압출 공정에서 점점 더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의 예로는 플레이트, 막대, 프레임, 섹션, 로드-베어링(load-bearing)으로 향하지 않는 고정물용 부재, 및 외부 포장재용 부재뿐만 아니라 튜브, 관개 튜브, 피복, 자동차 경주로, 스페이서와 같은 농업 및 건설업 제품이 있다. 이러한 공정에서, 폴리올레핀 플레이크 또는 과립은 단독으로 또는 순수한 폴리올레핀과 혼합하여 사용된다. GS 화합물과 잘 공존할 수 있는 목재 섬유 및 파우더와 함께 공압출하는 과정은 압출공정과 관련하여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재활용으로부터 유래한 폴리올레핀 과립은 녹지 및 주차장의 포장용 유공 타일, 플라워 박스 및 화병, 쓰레기통 및 폐기물 용기, 및 펠릿(pallet)과 같이, 표면의 미적 가치를 요하지 않는 제품의 사출성형 공정에서도 활용된다.
지금까지 기재된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은 미적 및/또는 구조적 특성을 요구하는 제품의 사출성형 생산을 위해 폴리머 혼합물 내에서 첨가제로서 5~8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되는데, 상기 폴리머 혼합물의 나머지는 순수한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다. 미적 특성을 요구하는 제품은 표면의 조밀도(compactness) 및 균일성에 관한 높은 미적 기준을 충족해야 하는 표면을 갖는 것들이다. 구조적 요건을 갖는 제품은 연결부위 및 어셈블리를 제공하여 병진 및 회전 운동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기술적-미적 구성요소와 같은 엄격한 기술적 요구사항을 만족해야 하며, 상이한 부품의 하드웨어로 사용되며/거나, 상당한 수용 특성, 충격 내성, 사용 유형에 따른 약화 내성을 제공하는 것들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과립 또는 플레이크의 활용 방법은 폴리머 제형 또는 조성물의 일부로서도, 소비 제품, 일용소비재(fast-moving consumer goods) 및 폐쇄되어 공기가 통하지 않는 장소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품으로도 알려져 있지 않다.
이러한 심각한 제한은 재생성, 재압출 및 재과립화 공정 중, 및 사출공정 중, 이들의 사용 온도에서 발생하고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과립 또는 플레이크로부터 생기는 매우 강한 악취에 기인한다: 이와 같은 냄새는 냉각, 위치, 결정화 과정이 끝난 후에도 제품에 남아있으며, 제조품이 노출된 환경, 양호한 환기 조건에서 오랜 기간 야외에 보관된 후에도 남아있다. 또한, 이러한 단점은 순수한 폴리올레핀에서 유래한 과립과 함께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소량의 폴리올레핀 과질을 사용할 때에도 나타난다. 이러한 악취는 특히 쓰레기 공급원, 예를 들어, 사용된 음식 용기 및 포장, 쓰레기봉투 및 유사 물질에서 수득한 물질 중 유기 폐기물질로부터 유래한다. 유기물질로 오염된 플라스틱 폐기물은 파쇄(crushing), 쉬레딩(shredding), 분급(sorting), 세척, 배수 및 건조와 같은 과립화 또는 펠릿화(pelltization)하기에 적합한 상태로 되기 전에 여러 공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이들 물질이 세척되고 과립화하기 위해 처리한 후에도 냄새가 남고, 압출 및 사출 성형시 모두 냄새가 훨씬 심해진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냄새는 성형된 제품에도 남는다. 실제로, 재활용된 폴리올레핀 과립을 함유하는 압출 및 사출성형 제품은 현재 통상 야외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부재, 예를 들어, 화병 및 꽃 상자 또는 쓰레기통 및 쓰레기 용기와 같이 냄새가 나는 물질을 담기 위한 부재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물질"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유기 물질에 의해 오염된 플라스틱 폐기물을 의미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재생 폴리올레핀, 특히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재생폴리올레핀의 사용에 있어서의 추가적인 문제점은 최종 제품의 일관적인 기술적 특성 및 미적으로 수용가능한 표면을 달성하기 어렵고 재생성된 과립 또는 플레이크 내에 함유된 제형의 가변성 및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이다. 동시에, 재활용으로부터 수득한 과립 또는 플레이크이 과도하게 무르고 검성(gumminess)을 나타내어 사출성형 공정 중 상기 과립의 사용이 제한되거나 불가능해진다는 것이다; 검성은 재생성된 화합물 제형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파괴한도(fragility), 및 효율적인 성형에 있어 문제시되는, 일반적으로 낮은 용융흐름지수(melting flow index, MFI)와 관련되어 있다.
상기 열거된 문제점들은 증명되었고, 본 출원인은 그 존재를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과립 또는 플레이크 모두를 단독으로, 각각 상이한 폴리머 성분과 혼합하지 않고 폴리머 혼합물에서 5~8 중량%로 포함시키고 나머지는 순수 폴리올레핀에 의해 치환하여 광범위하게 테스트하여 확인하였다. 재활용으로부터 유래한 사용된 PP 및 PR 폴리올레핀은 모두 단독 및, PVC, PVdC 및 스티렌 폴리머와 같은 다른 재생폴리머와 함께 테스트하였다.
성형 산업의 테스트의 타겟 제품은 주로 실내 및 야외 가구류, 예를 들어 의자, 테이블, 안락의자, 덱체어(deck chairs), 푸드카트(food carts), 가정용품 및 공구의 보관을 위한 폐쇄 및 개방 부재, 완구, 공원 및 정원용 캐빈(cabin)을 포함한다. 상기 테스트는 성형 공정을 성공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지, 즉, 내수용 제품 및/또는 집단적 사용을 위한 제품의 원하는 증명을 얻도록 요구되는 용량, 응력, 충격, 및 내마모성에 관한 유럽 UNI-EN 규정에 기초한 기술적 요구조건을 갖춘 미적으로 허용 가능한 제품을 얻을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병진운동 및/또는 회전운동을 거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강도(rigidity), 안정성 및 내마모성의 요구조건을 갖춘 연결부위 및 힌지와 같은 기술적 구성요소를 상기 제형으로부터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알려졌다. 수행된 모든 테스트에서,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과립 또는 플레이크를 단독으로 사용하자마자 하나 이상의 상기 강조된 문제점들이 발견되었다. 여러 경우에 있어서, 심지어 나머지 부분은 순수한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되고 단순히 5~8 중량%만 재활용된 혼합물과 같은 부형제인 경우에도 하나 이상의 상기 문제점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모든 성형 테스트에서, 성형 작업자는 사출 성형 공정의 작업 온도에서 배출되는 역하고 코를 찌르는 냄새가 주는 효과를 중화시키기 위하여 보호 마스크를 착용할 수밖에 없다; 모든 테스트에서 이러한 냄새가 발명품의 소비재로서의 성격과는 병존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제조품에 존재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WO2005080060는 플라스틱 폐기물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데, 거기서 플라스틱은 가열되고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그 증기는 여과된다. 또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표면을 고가의 플라스마 처리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문제들을 해결하고 PP- 및 PE-계 포장 물질의 재활용으로부터 출발하여 모든 가능한 형태로 저밀도 및 고밀도 폴리머를 포함하여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혼합물을 수득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PP 및 PE는 사출 성형 공정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순수한 폴리프로필렌, 또는 CaCO3 광물 충전제로 충전된 순수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것에 비해 보다 경쟁력 있는 비용으로 성형, 특히 사출 성형에 적합한 폴리머 혼합물을 수득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미적 가치가 있는 표면으로 특징지어지며 내수용 제품 및/또는 집단적 사용을 위한 유럽 기술 규정인 UNI-EN에 따른 제품의 증명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기술적, 기능적 특성들을 나타낼 수 있는, 테이블, 의자, 안락의자, 실내 및 야외용 일반 가구제품 및 도어 패널과 같은 차량용 부재, 대시보드 및 외부 패널을 수득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 특히 음식 포장 및 쓰레기에서 유래한 오염된 재활용 플라스틱 물질의 효과적인 재활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특허출원서에 최초로 첨부한 명세서의 청구항 제10항에 따른 제형 및 제20항에 따른 플라스틱 재활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의 연구 활동을 통해 일련의 과제 해결 수단을, 사출 성형 공정을 위한 최종 혼합물, 성형 단계에 대한 예비적 처리 방법, 상기 제안된 목적에 관련하여 순수한 폴리올레핀, 특히 순수한 PP, 및 CaCO3 광물 충전제로 충전된 순수한 PP에 기초한 전통적인 혼합물의 제조 및 처리 비용에 비해 경쟁력이 있어, 효과적이며 경제적인 것으로 증명된 혼합물 및 방법으로서 제공한다.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과립 또는 플레이크가, 찾을 수 있는 상이한 형태로 PP 및 PE 폴리올레핀 구성성분의 중량 퍼센트 함량, 사용된 과립 또는 플레이크의 총 중량의 80% 이상(테스트된 샘플에서 발견된 바람직한 평균 함량은 총 중량의 93%임)을 갖고; 재생 필름 또는 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아미드 PA가 부재하거나, 어느 경우에도 1 중량%를 초과하는 함량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재생 용기에서 유래한 PET가 부재하거나, 어느 경우에도 1 중량%를 초과하는 함량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반면 PVC, PVdC, 스티렌 폴리머는 20 중량%(바람직하게는 테스트된 샘플에서 발견되는 평균 함량은 총 중량의 5%임)를 초과하는 함량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바람직하게는 테스트된 샘플에서 발견되는 평균 함량은 총 중량의 5%임).
따라서,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본 특허출원서에 최초로 첨부한 명세서의 청구항 제1항에 따른 폴리머 조성물 또는 제형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기 중량 함량을 포함한다:
- CaO, MgO, Al2O3, ZnO, 바람직하게는 CaO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0.1~10 %, 바람직하게는 0.1~8.0 중량%의 금속 산화물로서, 일반적으로 화합물, 즉, 상기 산화물을 함유하는 플라스틱 매트릭스의 형태인 금속 산화물. 상기 화합물의 양은 상기 제형의 총 중량에 대해 0.5~20 중량%이다;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 및/또는 이들의 대응하는 수산화물로서, 금속 산화물 및 이들의 대응하는 수산화물의 총량은, 성분을 산화물로 나타내었을 때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10%, 바람직하게는 0.1~8.0 중량% 범위의 금속 산화물 및 이들의 대응하는 수산화물이다; 상기 산화물 대신에, 상기 산화물과 물의 반응에 의해 수득된 대응 생성물이 제조 공정의 결과물로서 존재할 수 있고, 산화물 및 수산화물의 배합물이 존재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산화물 및 수산화물의 총량은 성분을 산화물로 나타내었을 때 상기 총 혼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언급한 범위인 0.1~10%, 바람직하게는 0.1~8.0 중량% 범위이다.
- CaCO3, 탈크, 유리섬유, 목재로부터 선택되는 0~25%의 광물 충전제, 여기서 목재인 경우 최대량은 20 중량% 또는 그 이하이다,
-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8.0~99.5%, 바람직하게는 10~99.5%, 더 바람직하게는 15~99.5%의 충전제가 없는 폴리올레핀 물질,
여기서 상기 폴리올레핀 물질은 80 중량% 이상의 PP 및/또는 PE, 0~1.0%의 PA 및 0~1.0%의 PET를 포함한다;
- 100 중량%까지 재생포장에서 유래하지 않은 추가로 가능한 폴리올레핀 물질로 구성된다.
상기 제형은 남은 성분과의 혼합물에서 폴리올레핀 물질의 칩(chips) 또는 스케일(scales) 및 조각(pieces)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일 구체예로서, 상기 제형은 상기 청구항 기재의 금속 산화물 및 가능한 일부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과립 또는 펠릿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제형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과립 또는 펠릿을 제조하는 동안 산화물의 대부분이 물과 반응한 과립/펠릿의 형태이다. 후자의 제형은 상기 청구된 금속 산화물의 수산화물을 함유하고 사출성형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제조물은 상기 과립 또는 제형의 압출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수득된 성형 제품, 즉 본 특허출원서에 최초로 첨부한 명세서의 청구항 제16항에 따른 성형 제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 제품의 예는 본 특허출원서에 최초로 첨부한 명세서의 청구항 제17항에 기재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자세히 설명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금속 산화물은 가열되고 압출성형 및/또는 사출성형과 같은 핫 멜트 처리(hot melt treatments)를 거치기 전에 상기 제형 중에 존재한다; 압출은 이후의 성형 단계를 위한 과립 또는 펠릿을 제공하거나, 압출성형된 생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은 건조제로서 기능하며 수분 제거제(water scavengers)로서 재활용 폴리머 물질 내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건조된 경우에도 존재할 수 있는 물과 반응한다; 물과 반응하여, 상기 산화물은 대응하는 수산화물, 예를 들어 Ca(OH)2, Mg(OH)2, Al(OH)3 등으로 전환된다. 산화물(또는 하나 이상의 산화물이 사용된 경우의 산화물)보다 물이 적은 경우, 최종 제형은 수산화물 및 일부 잔류하는 산화물을 함유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화물은 상기 금속 산화물이 분산된, 폴리머 물질(보통은 PP 또는 PE)의 과립 또는 펠릿의 화합물 형태로 재생폴리머에 첨가된다. 상기 화합물은 열 처리 중에 폴리머 물질로 분산된다; 폴리머가 열가소성이 부여되고 녹을 때, 압출성형 및 사출성형 중일 때와 같이 온도가 충분히 높으면, 상기 산화물은 재활용 폴리머로 배출되고 공정 장치의 스크루에 의해 그것과 혼합되어 제형 중 균일한 산화물의 분산물을 수득한다.
이와 유사하게 그 결과 생성된 수산화물은 폴리머 물질로 분산된고 추가 반응, 예를 들어 대기가스와 반응하여 카보네이트가 되는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물질에 의해 "밀폐된다."
본 발명은, 대규모로 사용할 목적의, 상이한 기술분야를 위한 유럽 기술 규정 UNI-EN에 따른 내수 및/또는 집단적 사용을 위한 증명을 충족하기에 접합한 기술적, 기능적 요구조건을 갖춘, 미적으로 허용 가능한 제품을 얻기 위한 사출성형 공정을 수행하기 유용한 3가지의 예시적인 패밀리를 제공한다.
상기 3가지 패밀리 제형은 공통된 특성을 공유하는데, 이는 사출성형 공정에서 사용되는 CaO, MgO, Al2O3, ZnO 중 하나 이상 및/또는 이들의 수산화물, 바람직하게는 산화칼슘, CaO, 또는 그의 수산화물의 혼합물 중에 존재한다는 점이다. 상기 산화물은, 폴리머 제형 중 분산된 폴리머 매트릭스 중에 분산된 산화칼슘 및/또는 다른 산화물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한 특정 건조 화합물의 형태로 최종 혼합물에 도입될 수 있다.
상기 제형에 따라, CaO, MgO, Al2O3, ZnO, 바람직하게는 CaO 및 MgO, 가장 바람직하게는 CaO 중 하나 이상을 재활용될 물질에 첨가함으로써, 재활용 음식 포장으로부터 유래한 물질과 같은 유기 폐기물 물질에 의해 오염된 플라스틱 물질을 처리한 경우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악취를 완전히,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및 영구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상기 산화물은 플라스틱 물질의 건조를 거침으로써 그에 대응하는 수산화물로 전환된다.
따라서,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CaO, MgO, Al2O3, ZnO 중 하나 이상 및/또는 이들의 수산화물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폴리머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특허출원서에 최초로 첨부한 명세서의 청구항 제1항에 따른 폴리머 제형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폴리머 혼합물은, 혼합물의 총 중량의 80 중량%의 PP 및 PE 폴리올레핀 성분을 그들이 나타날 수 있는 상이한 형태로 갖고,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최대 함량이 1 중량%인 PA 폴리아미드,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최대 함량이 1 중량%인 PET, 최대 함량이 20%까지인 PVC, PVdC 및 스티렌 폴리머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혼합물은 추가로 건조제, 바람직하게는 CaO를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8.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4~4.8 중량%로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폴리올레핀 물질"은 하기 정의된 바와 같이, 80 중량%의 PP 및 PE, 및 최대 1.0%의 PA 및 PET를 각각 함유하는 열가소성 폴리머 물질을 정의하도록 사용되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제는 CaO, MgO, Al2O3, ZnO, 바람직하게는 CaO 및 MgO, 더 바람직하게는 CaO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CaO 또는 산화물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형의 총 중량에 대해 0.1~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8.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4.8 중량%이다; 추가적으로, 적합한 양은 예를 들어, 0.4%, 0.5%, 1%, 1.5%, 2.4%, 4.8% 및 상기 정의된 값들의 사이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최종 제형, 즉 열처리 및 성형 단계 후의 제형에 있어서, 잔류하는 모든 산화물 및 수산화물의 총량은 성분을 금속 산화물로 나타내었을 때 상기 개시한 범위 내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특히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조성물 또는 제형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과립 또는 제품의 제조를 위한 다른 유사한 제품, 즉, 금속 산화물, 바람직하게는 CaO를 수분 제거제 및 냄새 제거제로서 함유하는 제형의 성형에 의해 수득한 제품의 형태이다. 본 출원 청구항에 기재된 산화물은 폴리머 물질로부터 물을 제거하고, 표면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냄새를 억제한다; 이는 냄새를 나게 하는 질소 함유 분자가 금속 산화물 및/또는 이에 대응하는 수산화물에 결합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본 발명은 성형 또는 압출된 생성물, 즉, CaO, MgO, Al2O3, ZnO 중 하나 이상의 물과의 반응으로부터 유래한 수산화물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제조품을 제공한다. 이러한 수산화물의 예는 Ca(OH)2이다; 수산화물 및 산화물 모두의 배합물도 가능하다. 폴리올레핀 제형의 물질은 필수적이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재활용, 특히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물질이다; 이와 달리, CaO, MgO, Al2O3, ZnO, 바람직하게는 CaO 및 MgO 중 하나 이상이 상기 폴리머를 건조하기 위하여 첨가된 순수한 물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수분제거제 및 냄새제거제, 즉 데오도란트 및 건조제로서 사용되는 금속 산화물, 특히 산화칼슘은 본 발명의 청구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 제형과 공존할 수 있는 폴리머 매트릭스에 분산되거나, 어떤 경우에든 첨가되어, 일반적으로는 과립 형태의 건조 화합물을 형성한다. 금속 산화물 건조제, 바람직하게는 CaO는 화합물 과립 또는 펠릿의 폴리머 매트릭스 및 건조제에 의해 형성된 화합물의 20 중량% 이상을 차지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산화칼슘의 비율은 건조 화합물의 총 중량의 40~50중량%이다. 폴리머 및 금속 산화물, 바람직하게는 산화칼슘로 제조된 건조 화합물은 최종 혼합물에 압출 또는 사출성형 공정에 사용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0.4~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2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12 중량%의 범위에서 존재한다. 상기한 종류의 건조 화합물은 쉽게 제조되며 제조자 및/또는 안정화제, 분산제 및 이형제 같은 폴리머 성형용 마감제 및 첨가제의 유통업자로부터 구입할 수도 있다. 통상 폴리머 매트릭스는 PP 또는 PE이다.
악취를 흡수 및 중화하기 위한 금속 산화물, 예를 들어 CaO의 양은 식품 공업에서 생산된 재생포장의 폴리올레핀의 비율, 및/또는 재활용된 플레이크 또는 과립에 존재하고 향이 매우 좋은(냄새가 나는) 음식을 제조하기 위한 포장 및 용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PVdC의 비율, 또는 통상 썩기 쉬운 음식의 포장 및 용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PS 형태의 스티렌 폴리머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생포장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혼합물로부터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상기 혼합물은 PP 및 PE 폴리올레핀 성분을 그들이 나타나는 상이한 형태로 혼합물의 총 중량의 80 중량% 또는 그 이상, 혼합물의 총 중량의 최대 함량이 1 중량%인 PA(폴리아미드), 혼합물의 총 중량의 최대 함량이 1 중량%인 PET, 최대 함량이 20%인 PVC, PVdC 및 스티렌 폴리머를 포함하고; CaO, MgO, Al2O3, ZnO, 바람직하게는 CaO 및 MgO 중 하나 이상이 상기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8.0 중량%의 양으로 성형 단계 전 또는 그 전에 상기 혼합물에 첨가된다. 재활용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생성물에는 일부 불순물이 상기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대략 1.0~2.0 중량%의 양으로 발견된다. 이들 불순물은 사출성형 및 압출단계 중 악취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여겨지는 질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물을 포함한다. 본 출원인은 금속 산화물이 물과 반응하기 전 또는 그 후에 유기분자의 제거제로서 작용하여 상기 물질로부터의 냄새를 감소 또는 제거하는 것으로 본다.
본 발명은 본 특허출원서에 최초로 첨부한 명세서의 청구항 제18항 또는 제19항에 따른 금속 산화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특허출원서에 최초로 첨부한 명세서의 청구항 제20항에 따른 재활용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금속 산화물은 CaO; CaO 및 사용 가능한 다른 산화물의 혼합물이다. 또한, CaCl2, CaSO4 와 같은 건조제 및 다른 건조제가 첨가될 수 있다. 성형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 단계 또는 압출성형 단계이다. 존재한다면, ZnO를 CaO 또는 MgO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인은 연구를 통하여, 상기 금속 산화물, 바람직하게는 CaO 및 MgO, 가장 바람직하게는 산화칼슘 CaO, 또한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매트릭스 담체 중 상기 산화물을 함유하는 화합물의 형태로 첨가된 금속 산화물이 하기 작용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산화물, CaO, MgO, Al2O3, ZnO, 바람직하게는 CaO 및 MgO, 더 바람직하게는 CaO는 재생포장에서 수득한 폴리올레핀 과립 또는 플레이크의 고유한 습기를 추출 및 "흡수"할 수 있는 반면, 성형단계 전에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사일로에서 탈습(dehumidification) 및 건조 공정은 건조기 내에 실리카 겔을 사용하더라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에 효과적이지 않다.
산화칼슘 CaO 또는 상기한 건조용 금속 산화물을 사용함으로써, 성형 공정뿐만 아니라 냉각 공정의 종료시 제조품에서도 기본적으로 냄새가 나지 않는다; 상기 제조품은 성형 후의 수축 및 결정화 공정이 끝나도 완전히, 그리고 영구적으로 냄새가 나지 않는다. 따라서, CaO 및 다른 산화물은 데오도란트로 효과적이라는 것이 증명되었다. 또한, 유기 물질로 오염된 재생포장에서 나온 플레이크 또는 과립을 임의로 살생물 기능 및 생물안정화제를 수행한다.
또한, CaO, MgO, Al2O3, ZnO, 바람직하게는 CaO 및 MgO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한 특정 형태의 건조 화합물 중에서 상기 산화물은 부식 및 웨어링 공정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몰드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와 유사하게, 이들은 사출성형 공정 또는 제품의 수명이 다하여 소각하는 중에도 환경 및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바와 유사한 건조 효과(데오도라이징 효과는 포함하지 않음)는 염화칼슘(CaCl2) 또는 황산칼슘(CaSO4)에서 출발해서도 얻을 수 있다. 이들은 다시 최종 폴리머 혼합물 중 폴리머 매트릭스(담체)의 염화칼슘 또는 황산칼슘에 기초한 건조 화합물의 특정 형태로 비히클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CaCl2 또는 CaSO4 를 사용하면 몰드가 부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혼합물 또는 제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열가소성 물질(폴리올레핀 물질), 및 공존할 수 있는 담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폴리머 담체 중 청구항에 기재된 산화물 중 하나를 함유하는 건조 화합물의 과립 또는 플레이크의 물리적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건조제, 특히 상기한 비율의 CaO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물질의 과립 형태의 건조제는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과립 또는 플레이크 형태의 혼합물에 필요한 양으로 혼합되고, 60~300℃, 바람직하게는 80~240℃, 더 바람직하게는 80~180℃ 또는 90~180℃의 온도에서 압출 또는 유도된다. 낮은 온도에서 사출, 성형 또는 압출된 상기 생성물이 얻어지고, 재활용된 폴리머 내에 균일하게 배분된 산화칼슘을 함유하는 생성물은 파우더 및 상기 폴리머 물질의 단순한 물리적 혼합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들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장한다. 상기 과립 중 수산화물의 양은 과립화 압출이 수행되는 온도에 의존한다.
상기는 원하는 제품의 성형을 위한 사용 전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혼합물을 제공한다.
금속 산화물은 이들을 가열함으로써, 즉 사출성형과 같은 성형 공정의 열에 의해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산화물은 폴리머, 특히 재활용된 폴리올레핀 폴리머 중에 함유된 물과 반응하여 이에 대응하는 수산화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수산화물, 예를 들어, Ca(OH)2는 본 발명의 공정이 사용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에서 시작하여 상기 혼합물의 성형 단계, 특히 사출성형에 의해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얻어진 생성물, 즉 본 발명의 혼합물의 성형 공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생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본 발명의 성형 공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생성물"은 사출성형으로 마무리된 조각들과 같이 얻을 수 있는 모든 유형의 제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한정하지 않고, 본 출원인은 성형공정 중 도달되는 온도는 건조제를 함유하는 과립을 분해하고 이로 인해 CaO가 방출되며, 성형 장치의 (예를 들어 스크류의) 혼합 작용 하에서 CaO는 폴리머 물질 내에 존재하는 습기와 접촉한다고 본다. CaO는 반응하여 Ca(OH)2를 형성할 것이다. 그 결과, 본 발명에 의한 공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생성물은 CaO 및/또는 Ca(OH)2의 존재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다; 특히, Ca(OH)2가 완성된 제조품에 존재하게 되며, 존재한다면 CaO가 성형 전의 최초 혼합물 중의 그것보다는 확실히 적은 양으로 잔류한다. 본 발명은 산화물이 습기와 반응하고 냄새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억제하기 전 및 그 후의 제형을 포함한다.
또한, 본 특허출원서에 최초로 첨부한 명세서의 특정 청구항은 폴리올레핀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과립 및 플레이크의 효과적인 건조 방법의 결정, 특히 과립 생산을 의도한 경우 산업적 재생성 공정의 완료시 사용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플레이크 또는 과립의 제조자는 본 출원 청구항에 기재된 금속 산화물, 특히 산화칼슘에 기초한 건조제와 함께 압출(드로잉/과립화) 조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기껏해야, 그들은 통상, 최종 수득한 과립의 총 중량의 1~25%의 양으로, 또는 종종 상기한 힘이 없고 부드러운 공지 물질의 경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종종 더 높은 비율의 탄산칼슘(CaCO3) 광물 충전제로 최종 압출(드로잉)을 수행한다.
이것은 고객의 특정 요구로 수행된다. 효과적인 사출성형을 위하여, 강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첨가될 수 있는 효과적인 비율의 탄산칼슘은, 어느 경우이든 과립 자체가 이미 보유하고 있고 CaCO3 광물 충전제에 의해 추가로 감소되는 낮은 MFI와 공존할 수 있다. 또한, 과도한 CaCO3 광물 충전제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게도 약해질 수 있다. 상기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과립 또는 플레이크의 성분을 제공함에 있어서, 바람직하고 가능하다면 이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성형작업자에게 이러한 가능성을 남겨두면서, 이와 같은 가능한 과립의 경화는 단순화를 위해 무시되었다.
반대로, 본 발명의 시나리오에 있어서는,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과립의 제조자는 바람직하고 가능하다면 산화칼슘에 기초한 건조 화합물뿐만 아니라 CaCO3 광물 충전제를 직접 첨가할 수 있고, 혼합 드로잉, 즉 펠릿 생성을 위한 압출 및 과립화를 진행할 수 있다. 사출성형 공정을 수행하는 성형작업자는 이러한 경우, 컬러 마스터배치(color masterbatch)가 상기 혼합물, 가능하게는 이형제와 같은 통상의 첨가제에 첨가된 후, 다시 정교하게 만들어진 과립을 직접 사용할 수 있고, 사일로 내에서 탈습 및 예비 가열만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압출성형기가 성형작업자에게 주어지면, 그는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과립 내의 산화칼슘에 기초한 건조제의 압출을, 바람직하게는 컬러 마스터배치를, 가능하게는 이형제와 동시에 드로잉한 후, 사출성형 전에 탈습 및 가열을 사일로 내에서 진행하여 수행할 수 있다.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과립, 본 출원 청구항의 금속 산화물 및 컬러 마스터배치의 상이한 특정 중량으로 인한, 상기 혼합물 내 건조제 및 컬러 마스터배치의 고르지 않은 분배 때문에, 상기 최종 드로잉은 사출성형 중 어떠한 탈혼합 과정도 없이 최적의 결과 달성을 보장한다.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과립 또는 플레이크에 기초한 제형의 제1 패밀리의 전형적인 조성은 CaO, MgO, Al2O3, ZnO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건조제에 기초한 금속 산화물(즉, 건조제, 또는 제거제) 화합물의 0.5~20 중량%를 사용하여, 상기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8.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총 CaO(또는 동등한 건조제)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구체예에 따른 혼합물은 전체 혼합물에 대해 하기 중량%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한다; 0~25 중량%의 CaCO3 광물 충전제, 55-99.5 중량%의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충전되지 않은 폴리올레핀 물질, 즉, 상기 중량에서 존재할 수 있고 상기 폴리머 조성물/제형의 모든 한정이 적용된 CaCO3 광물 충전제의 양을 카운트하지 않은 55~99.5 중량%의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충전되지 않은 폴리올레핀 물질. 본 발명의 목적이 아닌, 컬러 마스터배치뿐만 아니라, 이형제 및 다른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에 개시된 제형에서 고려되지 않았으며, 자체로 알려진 양으로 별도 첨가되는 것으로 고려되었다.
마지막으로, CaCO3 광물 충전제는 탈크 또는 유리섬유에 기초한 충전제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이는 하기에서 개시될 추가의 제형 패밀리에 대해 유효하다.
사출성형 공정에 적합한 입자 형태의 목재가 사용될 수 있다. 목재를 사용하는 경우, 충전제의 양은 전체 제형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즉 상기 제형 중 목재의 양이 0~20 중량%에 달할 수 있다. 목재가 충전제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형에 이를 첨가하면 이에 대응하는 CaCO3, 또는 탈크, 충전제, 또는 유리섬유 충전제, 및/또는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상기 양의 폴리올레핀 플레이크 또는 과립의 양이 감소한다. 최종 혼합물 중 목재 충전제의 경우에도, 상기 혼합물의 최종 압출-드로잉은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탈혼합 문제를 피하기 위해 압출 중 컬러 마스터배치를 첨가할 것이 추천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에서, CaO를 일례로서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CaO의 범위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본 발명은 CaO, MgO, Al2O3, ZnO, 바람직하게는 CaO, MgO, 가장 바람직하게는 CaO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에 관한 것이다. ZnO는, 그것이 존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CaO와 혼합하여 사용된다.
상기 제시된 물질에 산화칼슘을 단순히 첨가하여 제 1 제형 패밀리를 제조하였는데, 여기서 최종 혼합물은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55~99.5%의 폴리올레핀 물질을 포함하며, 산화칼슘 또는 상기한 다른 산화물에 기초한 건조제와 혼합되어, 상기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상기 금속 산화물의 총량이 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8.0 중량%가 포함된다. 재활용으로 인한 불순물은 재활용된 폴리올레핀 생성물에서 일반적으로 대략 1.0~2.0 중량%로 발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제형에서뿐 아니라 여기에서도 상기 혼합물의 총중량에 대한 CaO 및/또는 다른 청구항 기재의 금속 산화물의 비율은 성형공정 중 폴리머로부터 물을 제거하고 냄새를 방지하기 위한 정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은 총 제형의 중량을 기준으로 0.1~10%, 더 바람직하게는 0.1~8.0%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제형 패밀리에서, 폴리머 분획 중 폴리올레핀 함량은 재활용에서 유래한 상기 함유된 폴리머의 총 중량의 80%를 초과한다; 상기 물질 내에 함유된 모든 형태의 재활용 PP의 양은 재활용 PE에 대해 최소 PP/PE=20/80까지의 중량비로 존재할 수 있다. PP/PE=20/80의 비를 갖기 위해서는, PE는 충분히 높은 HDPE의 함량을 가져 최종 제품의 기계적 특성을 보증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HDPE는 재활용에서 유래한다. 이에 반해, PP/PE의 비는 특히 HDPE가 PE 성분 중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최대 95/5에 달할 수 있다.
상기 제형 패밀리와 함께 수득할 수 있는 제품은 단순한 형태를 가져, 제품의 부피, 표면 및 두께가 비와류 사출유동(non-turbulent injection flow)이 가능하고, 필연적으로 미적 본성을 갖고, 병진 및/또는 회전 운동의 수행가능성을 보증할 기술적-기능적 필요조건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제형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스카핑(scarfing), 흔적, 습기로 인한 환(rings)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적으로 가치 있는 표면을 갖는 가구 부재와 같은 최종 제품이 수득되고, 최종 사용자에 의한 안전한 사용을 보증하기 충분한 기술적-기능적 특성 및 UNI-EN과 같은 상기 분야의 기술적 규정에 따른 그의 보증이 제공된다.
미적 제품을 수득하기 적합하고 대량 사용에 적합한 제 2 제형 패밀리는 최종 혼합물 중에 버진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PP 및 가능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 PP를 포함한다. 첨가되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의 중량%는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플레이크 또는 과립의 화학적 조성의 특유한 복잡도에 의존한다. 어느 경우에도, 재활용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성분은 재활용에서 유래한 과립, 또는 재활용에서 유래한 플레이크의 80 중량% 이상이어야 한다. 재활용에서 유래한 PET뿐만 아니라, 재활용에서 유래한 폴리아미드 PA는 모두 재활용된 플레이크 또는 과립 자체의 총 중량의 1%보다 크지 않다.
버진 호모폴리머 PP(또는 코폴리머)는 특히 사출성형 공정에 관해 상호 공존성이 낮은 폴리머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 상이한 폴리머 성분의 "바인더" 또는 "상용화제(compatibizer)", 및 사출성형 공정 중 상기 혼합물의 "유동화제(fluidizer)"로서 작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버진 호모폴리머 PP의 MFI에 작용함으로써, 사출성형 공정 중 사용될 최종 혼합물의 MFI(g/10 분, ASTM1238L)가 조절된다.
사용되는 버진 호모폴리머 PP는, 제조하고자 하는 특정 대상, 실제 폴리머 조성 및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사용 가능한 폴리올레핀 플레이크 또는 과립의 출발 MFI, 및 CaCO3 광물 충전제의 사용에 의한 강도의 필요성에 따라, 10~50(g/10 분, ASTM1238L)의 범위의 MFI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형에 사용되는 버진 호모폴리머 PP의 최적 MFI는 25이다. 하기 제안된 제형 패밀리는 본원발명이 이루려는 목적들 중 처음에 기재된 경제적 제한, 즉 CaCO3 광물 충전제로 충전된 버진 PP에 기초한 종래 제형에 비해 경쟁력이 있어야 하는 제한을 만족한다.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과립 또는 플레이크에 기초한 상기 제 2 제형의 전형적인 조성물은, 산화칼슘(CaO)를 함유하는 0.5~20.0 중량%(최종 혼합물 중 0.1~10%, 바람직하게는 0.1~8.0%의 CaO가 함유)의 폴리머 화합물; 0~25 중량%의 CaCO3 광물 충전제; (CaCO3 또는 다른 광물충전제를 고려함이 없이) 재생포장에서 유래하고, 상기 기재된 폴리머 제형에 관한 모든 한정사항이 충족된 8~98.5 중량%의 폴리올레핀 과립; 1~80 중량%의 버진 호모폴리머 PP를 포함한다. 호모폴리머 PP에 대한 바람직한 MFI는 25(g/10 분, ASTM1238L)이나, 상기 특정 파라미터와 관련하여 10~50의 범위에서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제형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형이 열처리되기 전, 즉, 최종 성형 제품(예를 들어, 가구 부재, 차량용 부재, 등)을 생산하기 위한 펠릿 또는 압출 또는 사출성형 전에, CaO 및/또는 다른 청구항 기재의 금속 산화물의 비율은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8.0 중량%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청구항에 기재된 산화물 및, 존재한다면 그에 대응하는 수산화물의 총량은, 성분을 산화물로 나타내었을 때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8.0 중량%의 범위이다.
컬러 마스터배치 및 이형제 및 다른 첨가제의 백분율은 상기 제형에서 고려되지 않았으며, 별도로 후속하여 첨가하는 것으로 고려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컬러 마스터배치 및 이형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최종 드로잉은 탈혼합을 피하기 위할 것이 권장된다. 압출-드로잉 단계 후에, 성형 단계에서 실제 사용하기 위한 준비로서, 사일로에서 탈습 및 가열할 것이 권장된다.
앞서 강조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광물충전제는 CO3, 탈크, 및 유리섬유로부터 선택된다. 사출성형 공정에 적합한 입자 형태의 목재는 전체 제형에 대해 20 중량%까지 충전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재 충전제에 대한 기재는 상기한 패밀리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성형되는 대상의 특정 성격, 예를 들어, 고유한 탄성 또는 충격 내성에 의해 요구되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제형 패밀리는 버진 코폴리머 P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버진 코폴리머 PP의 도입은 버진 호모폴리머 PP의 상기 정의한 비율을 대신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제형 패밀리의 조성은, MFI가 10~50, 바람직하게는 20~30, 더 바람직하게는 25(g/10 분, ASTM1238L)인 버진 코폴리머 PP가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버진 호모폴리머 PP의 존재의 존재를 대체하는 제 2 제형 패밀리 중 버진 코폴리머 PP의 가능한 존재는 0~40%이다.
요약하면, 바람직하게는 CaO를 건조제로 포함하는 재활용에서 유래한 제 2 제형 패밀리의 바람직한 제형은 다음과 같다(하기 백분율은 최종 제형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임):
- CaO, MgO, Al2O3, ZnO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0.5~20%의 폴리머 화합물로서, 이는 0.1~10%의 상기 금속 산화물 및/또는 이들의 수산화물을 제공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상기 산화물의 총 중량 및, 성분을 산화물로 나타내었을 때 대응하는 존재하는 경우의 수산화물의 총 중량은 0.1~10%, 바람직하게는 0.1~8.0 중량%의 범위이다;
- CaCO3, 탈크, 유리섬유 및 목재(목재인 경우 최대량은 20%이다)로부터 선택되는 0~25%의 광물 충전제;
-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8~98.5%의 폴리올레핀 물질로서, 모든 충전제는 백분율 계산에서 제외된다;
- 10~50(g/10 분, ASTM1238L)으로 포함된 MFI를 갖는 1~80%의 버진 호모폴리머 PP;
- 10~50(g/10 분, ASTM1238L)으로 포함된 MFI를 갖는 0~40%의 버진 코폴리머 PP;
단, 버진 호모폴리머 및 코폴리머 PP의 총량은 80 중량%보다 많지 않고 목재의 양은 20 중량%보다 많지 않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폴리머 화합물은 20 중량% 이상의 건조제를 함유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산화칼슘 또는 다른 산화물의 중량%는 상기 건조 화합물의 총 중량의 40~50 중량% 범위이다. 폴리머 및 건조제, 바람직하게는 산화칼슘으로 제조된 건조 화합물은, 최종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4~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2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12 중량%의 범위로 최종 혼합물 중에 최종 혼합물에 존재하고, 압출 또는 사출성형 공정에서 사용할 준비가 된다. 이와 달리, 금속 산화물은 이후에 상기 혼합물에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제형 패밀리는 CaCO3 광물 충전제로 충전된 버진 PP를 기초로 한 통상적인 제형에 비해 경제적으로 경쟁력이 있는데, 이는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플레이크 또는 과립의 구매가격으로 인한 것이고, 또한, 산화칼슘에 기초한 건조제는 그것에 포함된 CaO 농도에 따라 그리고 건조제의 전체적인 질에 따라 1.0 내지 3.0 유로/kg의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어 저렴하기 때문이다; 분명히, 사용된 건조제 자체의 비율은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플레이크 또는 과립의 최종 혼합물에 포함된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감소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최종 혼합물에 사용된 버진 호모폴리머 PP(및 버진 코폴리머 PP의 경우에도)는 고 모듈러스(modulus)를 갖는다. 즉, 그들은 1500 N/cm2보다 높은 탄성계수(elastic modulus)를 가지나, 이는 1700 내지 2300 N/cm2 (전형적인 값은 2100 N/cm2임)의 범위이다. 고 모듈러스의 버진 코폴리머 PP의 존재는 고 모듈러스의 호모폴리머 PP를 대가로 하여 가능하다. 즉, 코폴리머에서 증가하면 호모폴리머가 감소한다.
이러한 제 3 제형 패밀리의 도입은, 기술적 능력, 특히 적재용량 및 변형력(deforming forces)의 충격을 유지하고 로딩(loading) 및 웨어링(wearing) 공정을 유지하기 위한 충격 쇼크를 견디기 위한 이러한 패밀리의 능력이 CaCO3 광물 충전제로 충전된 버진 PP에 기초한 통상의 혼합물의 사용으로 얻을 수 있는 것보다 더 크고, 통상의 혼합물보다 낮거나 조금 높은 가격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이유로 설명될 수 있다. 상기 후자의 제형 패밀리는 기술적 성질을 갖는 제품, 즉 병진 및 회전을 일으키는 요소, 연결부위 또는 하드웨어의 사용과 함께 조립되어야 하는 부품들을 얻는데 특히 유용하다.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과립 또는 플레이크에 기초한 상기 제 3 제형 패밀리의 전형적인 조성은 상기한 조성과 함께 유효량의 CaO, MgO, Al2O3, ZnO, 바람직하게는 산화칼슘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데, 제 2 제형 패밀리에 대한 상기한 특정 파라미터와 관련하여, 0.1~8.0 중량%의 최초 제형 중 CaO, MgO, Al2O3, ZnO 중 하나 이상 및/또는, 상기 산화물이 적어도 (바람직하게는 화합물의 형태로 추가된) 물과 반응한 후의 제형 중 대응하는 양의 이들의 수산화물; 0~25 중량%의 CaCO3 광물 충전제; CaCO3 광물 충전제로 충전되지 않고 상기 제 2 패밀리 제형에 대해 설명한 폴리머 제형의 모든 제한사항을 만족하는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8~98.5 중량%의 폴리올레핀 과립; 25의 전형적인 MFI, 그러나 10 내지 50의 범위에서 변할 수 있는 MFI를 갖는 1~80 중량%의 고 모듈러스의 버진 호모폴리머 PP(1700 N/cm2 내지 2300 N/cm2, 전형적인 모듈러스는 2100 N/cm2임)을 제공한다. 이형제 및 다른 첨가제뿐만 아니라 컬러 마스터배치의 비율은 본 제형에서는 고려하지 않고 후속된 별도로 첨가하는 것으로 고려하였다. 컬러 마스터배치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최종 드로잉 및 그에 이은 탈습 과정을 거치는 것이 추천된다.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CaCO3, 탈크, 유리섬유 및 목재로부터 선택된다. 목재를 사용하는 경우, 충전제의 양은 전체 제형를 기준으로 20 중량%에 달할 수 있다. 충전제로서 목재를 사용하는 경우, 탄산칼슘 또는 유리섬유, 또는 탈크 충전제 및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플레이크 또는 과립의 최종 혼합물 중 중량 퍼센트 비중이 감소되는데, 이는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지게 될 특정 대상과 관련하여 다른 상이한 성분 중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상기 퍼센트의 감소를 배분함으로써 감소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성형될 제품의 특정 성격에 따라 필요하다면, 예를 들어, 변형 저항 또는 충격 내성의 추가적인 증가가 필요한 경우, 제 3 제형 패밀리는 고 모듈러스(1700 N/cm2 내지 2300 N/cm2 범위이고, 전형적인 모듈러스는 2100 N/cm2임)의 버진 코폴리머 PP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수한 경우, 고 모듈러스의 버진 코폴리머 PP은 상기 정의된 퍼센트의 고 모듈러스의 버진 호모폴리머 PP를 대신하여 도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제형 패밀리를 완전히 기재하려면 고 모듈러스의 버진 코폴리머 PP의 존재가 상기한 바와 같이 고 모듈러스의 버진 호모폴리머 PP를 대신하여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게 되는데, 상기 버진 코폴리머 PP는 특정 성형 조건 및 성형될 특정 제조품과 관련하여 전형적인 MFI가 25이며, 가능하게는 10 내지 50에서 변할 수 있는 MFI를 갖는다. 상기 제 2 제형 패밀리에 대한 고 모듈러스의 버진 코폴리머 PP의 가능한 퍼센트 비율은 고 모듈러스의 버진 호모폴리머 PP의 퍼센트 비율을 대신하여 0~40%이다.
제 3 패밀리의 조성물은 하기 중량%의 성분을 전형적으로 포함한다:
- CaO, MgO, Al2O3, ZnO 중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CaO 및/또는 대응하는 양의 이들의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0.5~20%의 건조 화합물로서, 이는 충 중량이 0.1~10.0%, 바람직하게는 0.1~8.0%이고 CaO를 함유하는 청구항에 기재된 산화물 및, 존재하는 경우, 성분을 산화물로 나타내었을 때 0.1~8.0 중량%의 대응하는 수산화물을 제공한다;
- CaCO3, 탈크, 유리섬유및 목재에서 선택되는 0.0-25%의 광물 충전제(목재인 경우 최대 20.0%임);
- 8~98.5%의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충전되지 않은 폴리올레핀 과립;
- 10~50(g/10 분, ASTM1238L) 범위의 MFI 및 1700 N/cm2 내지 2300 N/cm2 범위의 모듈러스를 갖는 1~80%의 버진 호모폴리머 PP;
- 10~50(g/10 분, ASTM1238L) 범위의 MFI 및 1700 N/cm2 내지 2300 N/cm2 범위의 모듈러스를 갖는 0.0~40%의 버진 코폴리머 PP;
단, 버진 호모폴리머 및 코폴리머 PP의 총량은 80 중량%를 초과하지 않으며 목재의 양은 20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다.
CaO를 함유하는 건조화합물과 관련하여, 상기한 내용은 여기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제 2 패밀리 및 제 3 패밀리에서 출발하여 얻을 수 있는 모든 혼합된 제형은, 표준 고 모듈러스 버진 호모폴리머 PP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 및 표준 고 모듈러스 버진 호모폴리머 PP를 대신하는 경우 고 모듈러스의 버진 코폴리머 PP를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버진 호모폴리머 PP 및 버진 코폴리머 PP에 관한 일반적 범위 내에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HDPE를 포함하는 모든 제형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폴리머 물질이 건조 금속 산화물과 혼합하기 전에 백화, 즉 표백 단계(및 그에 이은 건조 단계)가 폴리머 물질에 대해 수행된다. 바람직한 백화제는 과탄산염 및 과산화수소이고, 바람직하게는 과탄산염이다.

Claims (21)

  1. 폴리머 제형으로서, 상기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기 중량%의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머 제형:
    a. CaO, MgO, Al2O3, ZnO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 및/또는 이들의 대응하는 수산화물, 바람직하게는 MgO 및 CaO, 여기서 금속 산화물 및 이들의 대응하는 수산화물의 총량은 성분을 산화물로 나타내었을 때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10%, 바람직하게는 0.1~8.0 중량% 범위이고;
    b. CaCO3, 탈크, 유리섬유, 목재(목재인 경우 최대량은 20%이다)로부터 선택되는 0~25%의 광물 충전제;
    c. 8.0~99.9%, 바람직하게는 10.0~99.0%의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물질, 여기서 상기 폴리올레핀 물질은 80 중량% 이상의 PP 및/또는 PE, 0~1.0%의 PA 및 0~1.0%의 PET를 포함하고;
    d. 나머지 100%까지의 재생포장에서 유래하지 않은 가능한 폴리올레핀 물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이 적어도 CaO를 포함하고, 금속 산화물 및 이들의 대응하는 수산화물의 총량은, 성분을 산화물로 나타내었을 때 상기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6.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4.8 중량%의 범위인 폴리머 제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은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40~50 중량%의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폴리머 과립의 형태인 폴리머 제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물질은 최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6.0 중량%의 PVC, PVdC 및 스티렌 폴리머로부터 선택된 폴리머를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머 제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5.0~99.5 중량%의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물질을 포함하는 폴리머 제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머 제형:
    a. 8.0~98.5 중량%의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과립;
    b. 10 내지 50(g/10 분, ASTM1238L) 범위의 MFI를 갖는 1~80 중량%의 버진 호모폴리머 PP;
    c. 10 내지 50(g/10 분, ASTM1238L) 범위의 MFI를 갖는 0~40 중량%의 버진 코폴리머 PP;
    단, 버진 호모폴리머 및 코폴리머 PP의 총량이 80 중량%를 초과하지 않고 존재하는 목재의 양이 20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폴리머 제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머 제형:
    a. 8.0~98.5 중량%의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과립;
    b. 10 내지 50(g/10 분, ASTM1238L) 범위의 MFI 및 1700 N/cm2 내지 2300 N/cm2 범위의 모듈러스(modulus)를 갖는 1~80 중량%의 버진 호모폴리머 PP;
    c. 10 내지 50(g/10 분, ASTM1238L)의 범위의 MFI 및 1700 N/cm2 내지 2300 N/cm2 범위의 모듈러스를 갖는 0~40 중량%의 버진 코폴리머 PP;
    단, 버진 호모폴리머 및 코폴리머 PP의 총량이 80 중량%를 초과하지 않고 충전제가 목재인 경우 충전제의 총량이 20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폴리머 제형.
  8. 제3항에 있어서, 건조 화합물의 양이 폴리머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2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제형의 총 중량에 대해 1~12 중량%로 포함되는 폴리머 제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물질 또는 폴리올레핀 물질들 및 CaO, MgO, Al2O3, ZnO 중 하나 이상의 반응 생성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과립의 형태인 폴리머 제형.
  10. 재생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혼합물로부터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압출 및/또는 사출 성형에 의한 가열 단계를 거치고 하기 조성을 갖는 폴리머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으로서, CaO, MgO, Al2O3, ZnO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이 압출 또는 사출 성형단계 중에 또는 그 이전에 상기 혼합물에 첨가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은 물 및 상기 폴리올레핀 물질로부터 냄새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첨가되는 방법:
    a. CaCO3, 탈크, 유리섬유 및 목재(목재인 경우 최대량은 20%이다)로부터 선택되는 0~25%의 광물 충전제;
    b. 8.0~99.9%, 바람직하게는 10.0~99.0%의 재생포장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 물질, 여기서 상기 폴리올레핀 물질은 80 중량% 이상의 PP 및/또는 PE, 0~1.0%의 PA 및 0~1.0%의 PET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물질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은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10%, 바람직하게는 0.1~8.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첨가되는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은 상기 금속 산화물 및 폴리올레핀 물질과 공존할 수 있는 폴리머 담체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형태로 폴리머 혼합물에 첨가되고, 상기 화합물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20 중량%인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은 CaO 및 MgO로부터 선택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CaO인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단계는 사출 성형 단계인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 단계에서 혼합물이 60~300℃, 바람직하게는 80~240℃, 더 바람직하게는 90~180℃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되어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이 적어도 폴리올레핀 물질에 존재하는 물과 반응하는 방법.
  16. CaO, MgO, Al2O3, ZnO로부터 선택되는 산화물의 물과 반응하여 생성된 하나 이상의 금속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는 성형 제품,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제품으로서, 수산화물 및 이들의 대응하는 금속 산화물의 총량은, 존재하는 경우 성분을 산화물로 나타내었을 때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10%, 바람직하게는 0.1~8.0 중량% 범위인 성형 제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제품이 의자, 테이블, 안락의자, 덱체어(deck chairs), 푸드카트(food carts), 가정용품 및 공구의 보관을 위한 폐쇄 및 개방 부재, 완구, 공원 및 정원용 캐빈(cabin)을 포함하는 가구 장치, 도어 패널을 포함하는 차량용 부재 및 대시보드 및 구조 부재를 포함하는 내외부 부재로부터 선택되는 성형 제품.
  18. 재활용, 특히 재생포장으로부터 수득한 폴리머 물질의 CaO, MgO, Al2O3, ZnO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을 데오도란트, 살생물제 및 생물안정화제로 사용하기 위한 용도.
  19. 재활용, 특히 재생포장으로부터 수득한 폴리머 물질의 CaO, MgO, Al2O3, ZnO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을 건조제로 사용하기 위한 용도.
  20. CaO, MgO, Al2O3, ZnO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을 열가소성 폴리머 물질에 첨가하여 상기 물질로부터 물 및 냄새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압출 및/또는 사출 성형 단계를 통해 상기 첨가된 물질의 온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머 물질의 재활용 방법.
  21. 제10항 내지 제14항 및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머 물질을 바람직하게는 과탄산염으로 표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157029453A 2013-03-19 2014-03-19 재생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폴리머 제형 및 제조방법 KR201501419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2013A000420 2013-03-19
ITMI20130420 2013-03-19
EP13188171.6 2013-10-10
EP13188171 2013-10-10
PCT/EP2014/055470 WO2014147106A2 (en) 2013-03-19 2014-03-19 "thermoplastic polymer formulation containing recycled polyolefins and method of prepa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967A true KR20150141967A (ko) 2015-12-21

Family

ID=5039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9453A KR20150141967A (ko) 2013-03-19 2014-03-19 재생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폴리머 제형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60136853A1 (ko)
EP (1) EP2976384A2 (ko)
KR (1) KR20150141967A (ko)
CN (1) CN105555852A (ko)
BR (1) BR112015024082A2 (ko)
HK (1) HK1219288A1 (ko)
IL (1) IL241202A0 (ko)
TW (1) TW201437268A (ko)
WO (1) WO201414710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6183B2 (en) * 2015-01-30 2018-01-23 Northwestern University Charge-transporting metal oxide-polymer blend thin films
ES2917174T3 (es) * 2015-06-15 2022-07-07 Imertech Sas Artículo obtenido por moldeo por inyección
DE102017106505A1 (de) 2017-03-27 2018-09-27 NK Neuhäuser Kunststoff GmbH Verträglichkeitsvermittler zur Verträglichmachung von Polyolefin-Gemische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aus Polyolefin-Gemischen
DE102017217312A1 (de) * 2017-09-28 2019-03-2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von halogenfreien thermoplastischen Kunststoff-Rezyklaten sowie stabilisierte Kunststoffzusammensetzungen und hieraus hergestellte Formmassen und Formteile
CN108997652A (zh) * 2018-08-23 2018-12-14 安徽实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钢制品用纤维增强聚丙烯复合材料的制备方法
AR118077A1 (es) * 2019-02-27 2021-09-1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ción para la eliminación de olores para resina reciclada
WO2020221755A1 (en) * 2019-04-29 2020-11-05 Qcp Holding B.V. Polymer composition for improved grade plastics from recycled material
WO2020221747A1 (en) * 2019-04-29 2020-11-05 Qcp Holding B.V. Polymer composition for improved grade plastics from recycled material
CN113767147B (zh) * 2019-04-29 2023-07-07 Qcp控股有限公司 由回收材料制成的用于改进级塑料的聚合物组合物
CN114729169A (zh) * 2019-11-18 2022-07-08 赛佩荷兰服务有限公司 非腐蚀纤维增强聚合物组合物
EP3868825A1 (en) * 2020-02-19 2021-08-25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Recycled polyolefin component for household appliances
CN111286124B (zh) * 2020-03-27 2022-12-23 广东金发科技有限公司 一种低挥发再生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WO2021239694A1 (en) 2020-05-27 2021-12-02 Borealis Ag Reinforced polyolefin composition comprising recycled plastic material
EP4101891A1 (en) * 2021-06-11 2022-12-14 Borealis AG Compositions derived from post-consumer recyclates based materials with low crystallization temperature
EP4356894A1 (en) * 2022-10-17 2024-04-24 Beiersdorf AG Sustainable product with malodor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1554A (en) * 1966-09-12 1970-03-17 Emery Industries Inc Polyester plasticizer for polyvinyl chloride fabrics
JPH0611826B2 (ja) * 1985-09-20 1994-02-16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
KR920002258Y1 (ko) 1989-12-18 1992-04-06 구자명 제침기(staple remover)
US5088910A (en) 1990-03-14 1992-02-18 Advanced Environmental Recycling Technologies, Inc. System for making synthetic wood products from recycled materials
US5096046A (en) 1990-03-14 1992-03-17 Advanced Environmental Recycling Technologies, Inc. System and process for making synthetic wood products from recycled materials
EP0662104A1 (en) * 1992-09-25 1995-07-12 Ciba SC Holding AG Process for the stabilization of and stabilizer mixtures for recycled plastic mixtures
BR9307107A (pt) * 1992-09-25 1999-05-25 Ciba Sc Holding Ag Processo para estabilização de misturas de estalizador para plásticos reciclados de material único
US5428093A (en) 1993-11-05 1995-06-27 Sealed Air Corporation Polyethylene blen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JP4878720B2 (ja) * 2002-03-18 2012-02-15 東洋製罐株式会社 酸素バリヤー性に優れた多層構造物
US7041716B2 (en) * 2003-07-11 2006-05-09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Cellulose filled thermoplastic composites
DE10343964A1 (de) 2003-09-19 2005-04-28 Johannes Hauer Verfahren und Aufbereitung von überwiegend Polyolefine aufweisenden Kunststoffrecyclingmaterialien
GB2410919B (en) 2004-02-13 2009-03-18 David J Scheere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treatment of waste
JP4774558B2 (ja) * 2007-04-17 2011-09-14 根来産業株式会社 機能性異型再生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92189A (ko) * 2009-02-12 2010-08-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유티피 케이블 시스체 제조용 비할로겐계 난연성 수지 조성물
BR112012007064A2 (pt) * 2009-09-29 2016-04-19 Interfacial Soluitons Ip Llc mistura compatibilizadora para composições poliméricas
CN102742006A (zh) * 2009-10-14 2012-10-17 阿德科产品公司 氧化钙作为除水剂在太阳能模块应用中的用途
US20120046411A1 (en) * 2010-08-20 2012-02-2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Recycled Resin Compositions And Disposable Medical Devices Made Therefrom
US8083064B2 (en) * 2011-01-25 2011-12-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stainable packaging for consumer products
CN102408608A (zh) * 2011-10-19 2012-04-11 乌鲁木齐聚兴永塑胶有限公司 一种吸水母料、其制备方法及其应用
JP6653574B2 (ja) 2012-05-30 2020-02-26 マグマ フロアリング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ポリマー混成物、得られたパネル及びその製法
CN104774481A (zh) 2014-01-09 2015-07-15 晋江凯基高分子材料有限公司 茂金属热可塑弹性体发泡体循环再利用的制备方法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19288A1 (zh) 2017-03-31
US20160136853A1 (en) 2016-05-19
CN105555852A (zh) 2016-05-04
EP2976384A2 (en) 2016-01-27
IL241202A0 (en) 2015-11-30
WO2014147106A2 (en) 2014-09-25
TW201437268A (zh) 2014-10-01
WO2014147106A3 (en) 2014-12-31
BR112015024082A2 (pt)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41967A (ko) 재생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폴리머 제형 및 제조방법
JP6134325B2 (ja) ヒマワリ種子殻/莢を備えるバイオコンポジットないしバイオ材料
NL2009601C2 (en) Biological polymeric matrix component.
US8986582B2 (en) Compartmentalized pellet for improved contaminant removal
US8927078B2 (en) Encapsulated activated carbon and the preparation thereof
US20150065633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filled polymer material
KR102163944B1 (ko) 신선도 유지 기능을 갖는 복합분해성 시트 또는 진공성형품
CA3229689A1 (en) Organic composite material, methods of obtaining the same from heterogenous waste, and uses thereof
EP3938168B1 (en) Process for making compounds using wastes of natural origin and fibres of plant or animal origin
KR20170023100A (ko) 산소 차단 플라스틱 물질
CA2485818A1 (en) A method for processing polyester wastes
NL1010682C2 (nl)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halffabrikaten en gevormde voorwerpen uit kunststoffen, welke geurstoffen bevatten.
CN106957471A (zh) 一种烟杆生物基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US20120322901A1 (en) Method of decontamination of polyolefins
JP2010000659A (ja) 加工木材粉含有成形体の製造方法、加工木材粉含有成形体、及び、加工木材粉含有材料
EP1884252A1 (en) Polyolefin plastics with long-lasting odour
JPH09157359A (ja) リターナブル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