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947A - 가스 발생기 - Google Patents

가스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947A
KR20150141947A KR1020157026099A KR20157026099A KR20150141947A KR 20150141947 A KR20150141947 A KR 20150141947A KR 1020157026099 A KR1020157026099 A KR 1020157026099A KR 20157026099 A KR20157026099 A KR 20157026099A KR 20150141947 A KR20150141947 A KR 20150141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wall
ignition means
annular
communication hole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6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하루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셀
Publication of KR20150141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7/00Apparatus for generating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characterised by means to rupture or open the fluid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 B60R2021/26035Ignitors triggered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7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characterised b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17C2270/0181Airba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Bag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배출구와 점화 수단이 수용된 점화 수단실과, 가압 가스가 충전된 가압 가스실을 갖는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점화 수단실과 상기 가압 가스실이 연통 구멍을 갖는 격벽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격벽이 상기 가압 가스실을 향해 돌출된, 바닥면과 주위벽면을 포함하는 컵 모양의 것으로, 개구부측에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주위벽면만이 상기 연통 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격벽 내부에는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두어진 상태에서 하우징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원판 폐색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작동 전에는 상기 원판 폐색 부재의 주위면에 의해 상기 연통 구멍이 폐색되고, 작동 시에는 상기 점화 수단으로부터의 연소 생성물에 의해 상기 폐색 부재가 상기 바닥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통 구멍이 개구되어, 상기 점화 수단실과 상기 가압 가스실이 연통되는 가스 발생기이다.

Description

가스 발생기{GAS GENERATOR}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의 인원 구속 장치용 등에 사용되는 가스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가압 가스를 사용한 가스 발생기에서는 당해 가압 가스를 봉입하는 보틀의 개구부가 폐색 수단으로 폐색되어 있고, 작동 시에는 이 폐색 수단을 파괴함으로써 가압 가스를 배출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 폐색 수단은 예를 들어 얇은 금속제의 파열판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화약 등의 연소(점화 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이나 충격파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파괴나 분쇄시켜 개열시킨다.
파열판에는 보틀 내에 봉입된 가스의 압력(충전압)이 걸려 있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 파열판을 파열시킬 때에는 상기 충전압을 초과하는 힘을 발현시키는 화약 등(점화 수단)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US-A No.5,609,362는 가압 가스를 사용한 가스 발생기로서, 상기 파열판에 상당하는 플러그(18)는 얇은 벽 부분(26)을 갖고 있고, 작동 시에는 가동체(56)에 의해 파괴되어 개구되도록 되어 있다.
US-A No.5,609,362에 있어서는 플러그(18)는 전체면에서 가스압을 받고 있기 때문에, 그것을 파괴하기 위해서는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발명 1은,
가스 배출구를 갖고 있고, 점화 수단이 수용된 점화 수단실과,
가압 가스가 충전된 가압 가스실을 갖는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점화 수단실과 상기 가압 가스실이 연통 구멍을 갖는 격벽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격벽이 상기 점화 수단실로부터 상기 가압 가스실을 향해 돌출된, 바닥면과 주위벽면을 포함하는 컵 모양의 것으로, 개구부측에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주위벽면만이 상기 연통 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격벽 내부에는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두어진 상태에서 하우징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원판 폐색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작동 전에 있어서는 상기 원판 폐색 부재의 주위면에 의해 상기 연통 구멍이 폐색되어 있는 것이며,
작동 시에 있어서는 상기 점화 수단의 작동에 의해 발생한 연소 생성물에 의해 상기 폐색 부재가 상기 바닥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통 구멍이 개구되어, 상기 점화 수단실과 상기 가압 가스실이 연통되는 가스 발생기를 제공한다.
발명 2는,
가스 배출구를 갖고 있고, 점화 수단이 수용된 점화 수단실과, 가압 가스가 충전된 가압 가스실을 갖는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점화 수단실과 상기 가압 가스실이 연통 구멍을 갖는 격벽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격벽이 상기 가압 가스실로부터 상기 점화 수단실을 향해 돌출된, 바닥면과 주위벽면을 포함하는 컵 모양의 것으로, 개구부측에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주위벽면만이 상기 연통 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격벽의 외측에는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간격이 두어진 상태에서 하우징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환상 폐색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작동 전에 있어서는 상기 환상 폐색 부재의 내주면이 상기 격벽의 외주 벽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연통 구멍이 폐색되어 있는 것이며,
작동 시에 있어서는 상기 점화 수단의 작동에 의해 발생한 연소 생성물에 의해 상기 폐색 부재가 상기 플랜지부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통 구멍이 개구되어, 상기 점화 수단실과 상기 가압 가스실이 연통되는 가스 발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더 완전하게 이해되는 것이지만, 이들은 단지 설명을 위해 첨부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의 축 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a)에 있어서, 도 1과는 다른 실시 형태의 도 2에 상당하는 부분 확대도이고, (b)에 있어서, 도 3의 (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 도 3과는 다른 실시 형태의 도 2에 상당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a)에 있어서, 도 1, 도 3, 도 4와는 다른 실시 형태이고, 도 2에 상당하는 부분의 확대도이며, (b)에 있어서, 도 5의 (a)와 다른 실시 형태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인원 구속 장치용 등에 사용하는 가압 가스를 사용한 가스 발생기이며, 파열판(폐색 수단)을 파괴하지 않고 가스의 배출 경로를 개방할 수 있고, 이를 위해 필요한 하중도 작게 할 수 있는 가스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작동 전에 있어서는 가압 가스실과 점화 수단실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이 폐색 부재로 폐색되어 있고, 작동 시에 있어서는 상기 폐색 부재는 파괴되는 일 없이,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연통 구멍이 개구되어, 가압 가스실과 점화 수단실이 연통되고 가스의 배출 경로가 개방된다.
이로 인해, 폐색 부재의 파괴편이 발생하는 일이 전혀 없어, 상기 파괴편에 의해 가스의 배출 경로가 폐색될 우려도 전혀 없다.
또한, 폐색 부재는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뿐으로, 파괴하는 것과 비교하면 보다 작은 힘이면 되는 점에서,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필요한 하중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스 발생기 자체의 소형 경량화도 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은 전체로서 하나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고, 가압 가스실을 형성하는 가압 가스실 하우징과, 점화 수단실을 형성하는 점화 수단실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격벽은 가압 가스실과 점화 수단실 사이에 존재하고 있고,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일체 성형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하우징이 가압 가스실 하우징과 점화 수단실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일 때에는, 어느 한쪽의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어느 한쪽의 하우징과 일체 성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원판 폐색 부재는 컵 모양 격벽 내부에 있어서, 바닥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두어진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작동 전에는 원판 폐색 부재의 주위면에 의해 연통 구멍이 폐색되어 있다.
또한, 원판 폐색 부재는 컵 모양 격벽 내부에 대하여 직접 압입한 상태에서 용접 고정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작동 시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용접 강도(예를 들어 용접 면적)를 조정한다.
용접을 적용했을 때에는 시일성을 높이는 점에서도 바람직하고, 가압 가스가 가압 가스실로부터 점화 수단실로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면, 용접 개소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경우에 따라, 원판 폐색 부재를 컵 모양 격벽 내부에 대하여 직접 압입함으로써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실리콘 고무와 같은 시일 부재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압입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격벽의 바닥면에는 연통 구멍은 없고, 작동 전에 있어서는 격벽의 바닥면 및 주위벽면에 대하여 가압 가스실측로부터 높은 압력이 가해지고 있다.
그러나, 폐색 부재 주위면에 가해지는 하중은 적어도 연통 구멍의 개구 면적에 상당하는 면이 받는 것으로, 격벽이 가압 가스의 충전 가스압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두께이면, 작동 시에 폐색 부재의 주위면에 가해지는 하중은 폐색 부재의 축 방향의 이동에 큰 방해는 되지 않는다.
또한, 가압 가스의 압력이 격벽의 주위벽면에 작용하여, 작동 전에 있어서의 원판 폐색 부재의 고정 강도 및 연통 구멍의 폐색 강도를 높이는 데에도 작용한다.
원형 폐색 부재와 바닥면과의 간격은 작동 시에 있어서 원형 폐색 부재가 바닥면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연통 구멍을 개구할 수 있는 간격이다.
원형 폐색 부재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원형 폐색 부재에 관통 구멍을 형성한 경우에는 원형 폐색 부재가 바닥면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원형 폐색 부재와 바닥면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기체(조립 시에 들어가는 공기)는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점화 수단실측으로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원형 폐색 부재의 이동이 방해받는 일은 없다.
관통 구멍은 폐색 부재의 일단면으로부터 타단면에 걸쳐 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한, 그의 형성 위치나 수는 특별히 상관없지만, 가스 발생제가 관통 구멍을 빠져 나가는 일이 없도록 한다. 예를 들어, 관통 구멍의 크기를 조정하거나, 점화 수단실에 면하는 측에 금망 등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점화 수단실에서 발생한 압력이 충분히 높을 때에는, 상기 충분히 높은 압력을 받은 원형 폐색 부재는 원형 폐색 부재와 바닥면과의 사이의 공간을 압축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연통 구멍이 개구되었을 때, 폐색 부재와 격벽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폐색 부재는 그 면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폐색 부재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원형 폐색 부재의 이동이 방해받지 않고 연통 구멍의 개구가 행해진다.
점화 수단이 작동했을 때, 점화 수단실의 압력이 상승하여 가스 배출구가 개구되고, 가스가 배출된다.
그와 동시에 원형 폐색 부재는 축 X 방향(격벽의 바닥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격벽 주위벽면의 연통 구멍을 개구시키기 때문에, 가압 가스실과 점화 수단실이 연통되어 가압 가스는 점화 수단실로 흘러 들어가고,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에서 사용하는 폐색 부재는 이동하는 것만으로 가스의 배출 경로를 개방하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의 가스 발생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파열판과 같이 파괴되어 파괴편을 발생시키는 일이 전혀 없고, 상기 파괴편에 의해 가스의 배출 경로가 폐색되는 것과 같은 우려도 전혀 없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에서는 가압 가스실 내의 압력은, 격벽의 주위벽면을 개재하여 원형 폐색 부재의 주위면으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걸려 있을(즉, 폐색 부재를 외측으로부터 압축하려고 할) 뿐이다.
한편, 종래의 폐색 부재(파열판)는 가압 가스의 압력을 정면으로 받는 것이기 때문에, 폐색 부재에는 매우 높은 압력이 걸린 상태로 되어 있고, 이것을 개열시키고자 하면 매우 큰 힘(점화기의 출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에서는 종래의 폐색 부재를 파괴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힘과 비교하면, 폐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로 하는 힘은 작은 것이어도 되고, 점화 수단의 출력을 작게 할 수 있어, 그만큼 가스 발생기 전체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
발명 1의 바람직한 형태 1-2는
상기 원판 폐색 부재가 주위면의 두께 방향 중앙부에 환상 홈부를 갖고 있고, 주위면의 두께 방향 양측에 각각 제1 환상 주위벽부와 제2 환상 주위벽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작동 전에 있어서는 상기 원판 폐색 부재의 환상 홈부가 상기 연통 구멍에 정면으로 대향되고, 제1 환상 주위벽부 및 제2 환상 주위벽부가 상기 격벽 주위벽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환상 홈부, 제1 환상 주위벽부 및 제2 환상 주위벽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상기 연통 구멍이 폐색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이다.
원판 폐색 부재는 격벽 주위벽면에 대하여 제1 환상 주위벽부 및 제2 환상 주위벽부에 있어서 접촉 고정되어 있고, 원판 폐색 부재의 주위면 전체에서 접촉 고정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면, 접촉 면적이 작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작동 시에 있어서 원형 폐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격벽 주위벽면에 대하여 제1 환상 주위벽부 및 제2 환상 주위벽부를 용접 고정한 경우라도, 용접 부분의 면적을 작게 일정 폭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 강도를 유지한 채로, 작동 시에 있어서 원형 폐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을 작게, 또한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폐색 부재의 이동에 필요한 하중이 안정되고, 재현성이 좋은 출력이 얻어지는 가스 발생기가 된다.
발명 1의 바람직한 형태 1-3은
상기 폐색 부재가
제1 원형 기판부와 제2 원형 기판부를 갖고, 그들 사이의 주위면에 환상 홈을 갖고 있고, 두께 방향으로 관통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제2 원형 기판부의 반경 방향의 단면적이 상기 제1 원형 기판부의 반경 방향의 단면적보다 큰 것이며, 상기 제1 원형 기판부가 바닥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작동 전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원형 기판부의 주위면에 의해 상기 연통 구멍이 폐색되어 있는 것이며,
작동 시에 있어서는 상기 점화 수단의 작동에 의해 발생한 연소 생성물에 의해 상기 폐색 부재의 제1 원형 기판부가 상기 바닥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통 구멍이 개구되어, 상기 점화 수단실과 상기 가압 가스실이 연통되는 가스 발생기이다.
폐색 부재는 제2 원형 기판부의 반경 방향의 단면적이 상기 제1 원형 기판부의 반경 방향의 단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작동 시에는 보다 큰 수압면을 갖는 제2 원형 기판부에서 압력을 받게 되고, 폐색 부재에 큰 하중이 가해져, 이동이 용이해진다.
이 가스 발생기는 발명 1의 가스 발생기와 마찬가지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형태 1-3의 바람직한 형태 1-4는
상기 폐색 부재의 제1 원형 기판부가 주위면의 두께 방향 중앙부에 환상 홈부를 갖고 있고, 상기 주위면의 두께 방향 양측에 각각 제1 환상 주위벽부와 제2 환상 주위벽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작동 전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원형 기판부의 환상 홈부가 상기 연통 구멍에 정면으로 대향되고, 제1 환상 주위벽부 및 제2 환상 주위벽부가 상기 격벽 주위벽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환상 홈부, 제1 환상 주위벽부 및 제2 환상 주위벽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상기 연통 구멍이 폐색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이다.
폐색 부재의 제1 원형 기판부는 격벽 주위벽면에 대하여 제1 환상 주위벽부 및 제2 환상 주위벽부에 있어서 접촉 고정되어 있고, 원판 폐색 부재의 주위면 전체에서 접촉 고정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면, 접촉 면적이 작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작동 시에 있어서 폐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격벽 주위벽면에 대하여 제1 환상 주위벽부 및 제2 환상 주위벽부를 용접 고정한 경우라도, 용접 부분의 면적을 작게 일정 폭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 강도를 유지한 채로, 작동 시에 있어서 폐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을 작게, 또한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폐색 부재의 이동에 필요한 하중이 안정되고, 재현성이 좋은 출력이 얻어지는 가스 발생기가 된다.
이하, 발명 2의 상세를 설명한다.
하우징은 전체로서 하나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고, 가압 가스실을 형성하는 가압 가스실 하우징과, 점화 수단실을 형성하는 점화 수단실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격벽은 가압 가스실과 점화 수단실 사이에 존재하고 있고,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일체 성형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하우징이 가압 가스실 하우징과 점화 수단실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일 때에는, 어느 한쪽의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어느 한쪽의 하우징과 일체 성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컵 모양 격벽의 돌출 방향이 발명 1의 가스 발생기와는 반대 방향인 점화 수단실측으로 되어 있다.
폐색 부재는 점화 수단실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폐색 부재의 형상이 환상으로 되어 있고, 환상의 폐색 부재의 내주면이 격벽의 외주 벽면에 접촉되어 있다.
작동 전에 있어서는 격벽의 바닥면 및 주위벽면에 대하여 가압 가스실측으로부터 높은 압력이 가해지고 있다.
그러나, 폐색 부재 내주면에 가해지는 하중은 적어도 연통 구멍의 개구 면적에 상당하는 면이 받는 것으로, 격벽이 가압 가스의 충전 가스압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두께이면, 작동 시에 폐색 부재의 내주면에 가해지는 하중은 폐색 부재의 축 방향의 이동에 큰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가압 가스의 압력이 격벽의 주위벽면에 작용하고, 작동 전에 있어서의 원판 폐색 부재의 고정 강도 및 연통 구멍의 폐색 강도를 높이는 데에도 작용한다.
이 가스 발생기는 발명 1의 가스 발생기와 마찬가지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발명 2의 바람직한 형태 2-2는
상기 환상의 폐색 부재가
내주면의 두께 방향 중앙부에 내측 환상 홈부를 갖고, 상기 내주면의 두께 방향 양측에 각각 제1 내측 환상 주위벽부와 제2 내측 환상 주위벽부를 갖고 있고,
작동 전에 있어서는 상기 환상의 폐색 부재의 내측 환상 홈부가 상기 연통 구멍에 정면으로 대향되고, 제1 내측 환상 주위벽부 및 제2 내측 환상 주위벽부가 상기 격벽 주위벽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내측 환상 홈부, 제1 내측 환상 주위벽부 및 제2 내측 환상 주위벽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상기 연통 구멍이 폐색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이다.
환상 폐색 부재는 격벽 주위벽면에 대하여 제1 내측 환상 주위벽부 및 제2 내측 환상 주위벽부에 있어서 접촉 고정되어 있고, 환상 폐색 부재의 내주면 전체에서 접촉 고정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면, 접촉 면적이 작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작동 시에 있어서 환상 폐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격벽 주위벽면에 대하여 제1 내측 환상 주위벽부 및 제2 내측 환상 주위벽부를 용접 고정한 경우라도, 용접 부분의 면적을 작게, 용접 면적을 일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 강도를 유지한 채로, 작동 시에 있어서 환상 폐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을 작게, 또한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1) 도 1, 도 2의 가스 발생기
가스 발생기(10)는 점화 수단실 하우징(20)과 가압 가스실 하우징(40)이 접속됨으로써, 축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각 용기가 형성되어 있다. 모두 폭 방향(축 X에 직교하는 방향) 단면 형상은 원형이며, 스테인리스제이다.
점화 수단실 하우징(20)의 내부는 점화 수단실(21)로 되어 있고, 공지된 전기식 점화기(22)와 가스 발생제(23)가 충전되어 있다.
전기식 점화기(22)는 점화 수단실 하우징(20)의 일단부에 있어서, 내측 돌기(24)와 코킹부(25)로 축 X 방향 양측으로부터 고정되어 있다.
점화 수단실 하우징(20)의 주위벽부에는 가스 배출구(26)가 형성되고, 시일 테이프 등의 시일 부재로 내측으로부터 폐색되어 있다.
가압 가스실 하우징(40) 내에는 아르곤, 헬륨 등의 가스가 고압 충전된 가압 가스실(41)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 가스실 하우징(40) 내에는 바닥면(42)에 설치된 충전 구멍으로부터 가압 가스가 충전되고, 상기 충전 구멍은 핀(43)과 함께 용접되어 폐색되어 있다.
점화 수단실 하우징(20)과 가압 가스실 하우징(40)의 사이는 격벽(30)으로 폐색되어 있다.
격벽(30)은 점화 수단실(21)로부터 가압 가스실(41)을 향해 돌출된, 바닥면(31)과 주위벽면(32)을 포함하는 컵 모양의 것으로, 개구부측에 플랜지부(33)를 갖고 있다.
주위벽면(32)은 복수의 연통 구멍(34)을 갖고 있지만, 바닥면(31)에는 연통 구멍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주위벽면(32)의 직경은 가압 가스실 하우징(40)의 주위벽부(내경)보다 작고, 연통 구멍(34)은 가압 가스실 하우징(40)의 내주 벽면에 대향하고 있다.
격벽(30)은 점화 수단실 하우징(20)과 동일한 재질의 것이고, 플랜지부(33)에 있어서 점화 수단실 하우징(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컵 모양 격벽(30)의 내부에는 바닥면(31)과의 사이에 간격(공간)(35)이 두어진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원판 폐색 부재(36)가 배치되어 있다.
원판 폐색 부재(36)는 관통 구멍(37)을 갖고 있다. 관통 구멍(37)은 1 또는 2 이상을 형성할 수 있고, 주위면(36a)를 제외한 부분에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3의 관통 구멍(137)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다.
관통 구멍(37)은 공간(35)과 점화 수단실(21)을 연통하도록, 원판 폐색 부재(36)의 일단면으로부터 타단면을 관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37)은 가스 발생제가 관통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이다. 또한, 관통 구멍(37)을 형성하지 않는 실시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작동 전에 있어서는 원판 폐색 부재(36)의 주위면(36a)이, 연통 구멍(34)을 포함하는 주위벽면(32)에 접촉됨으로써 연통 구멍(34)이 폐색되어 있다.
주위면(36a)은 연통 구멍(34)을 포함하는 주위벽면(32)과의 접촉 부분에 있어서 용접되어 있다.
원판 폐색 부재(36)는 용접을 하지 않을 때에는 격벽(30)과 동일한 재질의 스테인리스로 된 것일 수도 있고, 알루미늄 등의 상기 스테인리스보다 경도가 작은 금속으로 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가압 가스실(41) 내의 가스압을 받아서, 주위벽면(32)에 대해서는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원판 폐색 부재(36)는 주위면(36a)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다음으로 도 1, 도 2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를 에어백 장치용의 가스 발생기로서 사용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점화기(22)가 작동하면 점화 수단실(21) 내의 가스 발생제(23)가 착화 연소되어 가스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점화 수단실(21) 내의 압력이 상승하기 때문에, 시일 테이프가 찢어져서 가스 배출구(26)가 개구되고, 가스가 배출되어 에어백이 팽창된다.
또한, 점화 수단실(21)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원형 폐색 부재(36)는 눌려져서 공간(35)을 압축하면서 축 X 방향(바닥면(3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공간(35) 내의 공기(가스 발생기의 제조 시에 혼입한 공기)는 관통 구멍(37)으로부터 점화 수단실(21)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폐색 부재(36)의 이동이 저해되는 일은 없다.
여기서, 원형 폐색 부재(36)의 두께 T와 공간(35)의 길이 L1의 관계는 L1>T이기 때문에, 원형 폐색 부재(36)가 바닥면(31)까지 이동했을 때, 연통 구멍(34)은 개구된다.
이로 인해, 가압 가스실(41) 내의 가스는 연통 구멍(34)을 통과하여 점화 수단실(21) 내에 유입된 후, 가스 배출구(26)로부터 배출되어 에어백이 팽창된다.
가스가 배출되고 있는 동안에 점화 수단실(21) 내의 압력은 높은 상태로 유지되고, 바닥면(31)에 연통 구멍(34)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바닥면(31)까지 이동한 원형 폐색 부재(36)가 점화 수단실(21) 방향으로 이동하여 연통 구멍(34)이 다시 폐색되는 일은 없다.
또한, 원형 폐색 부재(36)에 관통 구멍(37)을 형성하지 않는 실시 형태로 할 때에는 L1의 길이를 T의 두께보다 충분히 크게 하는(예를 들어, L1이 T의 2배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점화 수단실(21) 내에서 발생하는 압력이 충분히 높아지도록 조정함으로써, 원형 폐색 부재(36)가 공간(35)을 압축하도록 이동하지만, 바닥면(31)까지 도달하지 않는 상태에서 연통 구멍(34)이 완전히 개구되도록 할 수 있다.
(2) 도 3의 가스 발생기
도 3의 (a)의 가스 발생기는 도 1, 도 2의 가스 발생기(10)의 원형 폐색 부재(36) 대신에, 원판 폐색 부재(136)를 사용하고 있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것이다.
또한, 관통 구멍(137)의 형성 위치가 도 1, 도 2의 원형 폐색 부재(36)와는 상이하지만, 이것은 도 1, 도 2의 원형 폐색 부재(36)의 관통 구멍(37)과 동일한 위치일 수도 있다.
원판 폐색 부재(136)는 주위면의 두께 방향(축 X 방향) 중앙부에 환상 홈부(138)를 갖고 있고, 환상 홈부(138)의 두께 방향 양측에 각각 제1 환상 주위벽부(139)와 제2 환상 주위벽부(140)을 갖고 있다.
작동 전에 있어서는 원판 폐색 부재(136)의 환상 홈부(138)가 연통 구멍(34)에 정면으로 대향되고, 제1 환상 주위벽부(139) 및 제2 환상 주위벽부(140)가 격벽 주위벽면(32)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연통 구멍(34)의 직경은 환상 홈부(138)의 축 X 방향의 폭보다 작다.
이로 인해, 연통 구멍(34)은 환상 홈부(138), 제1 환상 주위벽부(139) 및 제2 환상 주위벽부(140)로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제1 환상 주위벽부(139) 및 제2 환상 주위벽부(140)는 격벽 주위벽면(32)에 대하여 용접되어 있다. 용접되어 있는 경우에는 용접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작동 시의 이동이 저해되는 일은 없다. 또한, 용접 폭(제1 환상 주위벽부(139) 및 제2 환상 주위벽부(140)의 축 X 방향의 폭에 상당하는 용접 폭)이 일정하기 때문에, 폐색 부재의 이동에 필요한 하중이 안정하다(일정하다).
도 3의 (a)의 가스 발생기는 도 1의 가스 발생기(10)와 마찬가지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3) 도 4의 가스 발생기
도 4의 가스 발생기는 도 1, 도 2의 가스 발생기(10)의 원형 폐색 부재(36) 대신에, 관통 구멍(237)을 갖는 폐색 부재(236)를 사용하고 있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것이다.
폐색 부재(236)는 제1 원형 기판부(238)와 제2 원형 기판부(239)를 갖고, 그들 사이에 환상 홈(240)을 갖고 있다. 외경의 크기는 (제2 원형 기판부(239))>(제1 원형 기판부(238))>(환상 홈(240))이다.
제1 원형 기판부(238)는 원판 형상이지만, 도 3의 (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주위면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작동 전에 있어서는 제1 원형 기판부(238)의 주위면에 의해 연통 구멍(34)이 폐색되어 있다.
제1 원형 기판부(238)의 두께(도 2의 T에 상당하는 두께)는 공간(35)의 길이 L1보다 작게 되어 있다.
제2 원형 기판부(239)의 반경 방향의 단면적은 제1 원형 기판부(238)의 반경 방향의 단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 시에는 보다 큰 압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원형 기판부(239)의 외주면은 점화 수단실 하우징(20)의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작동 시에 있어서는 압력을 받은 제2 원형 기판부(239)가 축 X 방향으로 눌려지기 때문에, 폐색 부재(236)의 제1 원형 기판부(238)가 바닥면(31)측으로 이동하여 연통 구멍(34)이 개구된다.
또한, 제2 원형 기판부(239)와 플랜지부(33)와의 거리 L2는 공간(35)의 길이 L1보다 크기 때문에, 폐색 부재(236)의 이동에 의해 제2 원형 기판부(239)가 플랜지부(33)에 접촉하는 일은 없어, 가스의 배출 경로는 확보된다.
도 4의 가스 발생기는 도 1의 가스 발생기(10)와 마찬가지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4) 도 5의 가스 발생기
도 5의 (a)의 가스 발생기는 도 1, 도 2의 가스 발생기(10)의 격벽(30) 대신에 격벽(330)을 사용하고, 또한 도 1, 도 2의 가스 발생기(10)의 원형 폐색 부재(36) 대신에, 관통 구멍(337)을 갖는 환상 폐색 부재(336)를 사용하고 있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것이다.
격벽(330)은 가압 가스실(41)로부터 점화 수단실(21)을 향해 돌출된, 바닥면(331)과 주위벽면(332)을 포함하는 컵 모양의 것으로, 개구부측에 플랜지부(333)를 갖고 있다.
주위벽면(332)은 연통 구멍(334)을 갖고 있다.
플랜지부(333)는 점화 수단실 하우징(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컵 모양 격벽(330)의 외측에는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간격(환상 공간)(335)이 두어진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관통 구멍(337)을 갖는 환상 폐색 부재(337)가 배치되어 있다.
작동 전에 있어서는 환상의 폐색 부재(336)의 내주면이 격벽의 주위벽면(332)에 접촉됨으로써 연통 구멍(334)이 폐색되어 있다.
또한, 환상의 폐색 부재(336)의 외주면이 점화 수단실 하우징(20)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다.
환상의 폐색 부재(336)는 연통 구멍(334)을 포함하는 주위벽면(332)과의 접촉 부분에 있어서 용접되어 있다.
또한, 가압 가스실(41) 내의 가스압을 받아서, 주위벽면(332)에 대해서는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환상 폐색 부재(336)는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환상 폐색 부재(336)은 도 5의 (a)에 도시한 것 대신에,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주면의 두께 방향 중앙부에 내측 환상 홈부(340)를 갖고, 외주면의 두께 방향 중앙부에 외측 환상 홈부(350)를 갖고 있고, 내측 환상 홈부(340)의 두께 방향 양측에 각각 제1 내측 환상 주위벽부(341)와 제2 내측 환상 주위벽부(342)를 갖고, 외측 환상 홈부(350)의 두께 방향 양측에 각각 제1 외측 환상 주위벽부(351)와 제2 외측 환상 주위벽부(352)를 갖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작동 전에 있어서는 환상의 폐색 부재(336)의 내측 환상 홈부(340)가 연통 구멍(334)에 정면으로 대향되고, 제1 내측 환상 주위벽부(341) 및 제2 내측 환상 주위벽부(342)가 격벽 주위벽면(332)에 접촉된 상태로, 내측 환상 홈부(340), 제1 내측 환상 주위벽부(341) 및 제2 내측 환상 주위벽부(342)로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연통 구멍(334)이 폐색되어 있다.
제1 내측 환상 주위벽부(341) 및 제2 내측 환상 주위벽부(342)는 격벽 주위벽면(332)에 대하여 용접되어 있다.
제1 외측 환상 주위벽부(351)와 제2 외측 환상 주위벽부(352)는 점화 수단실 하우징(20)에 대하여 압입되어 있을 수도 있고, 용접되어 있을 수도 있다.
작동 시에 있어서는 압력을 받은 환상의 폐색 부재(336)가 축 X 방향으로 눌려지기 때문에, 폐색 부재(336)가 플랜지부(333)측으로 이동하여 연통 구멍(334)이 개구된다.
환상의 폐색 부재(336)의 두께 T3은 공간(335)의 길이 L3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환상의 폐색 부재(336)가 플랜지부(333)까지 이동했을 때, 연통 구멍(334)은 개구된다.
도 5의 (a)의 가스 발생기는 도 1의 가스 발생기(10)와 마찬가지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환상의 폐색 부재(336)가 외주면과 점화 수단실 하우징(20)과의 사이에 간극이 있는 경우, 관통 구멍(337)은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이상과 같이 기재하였다. 당연히,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그의 범위에 포함하고, 이들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의 일탈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명백하게 본 발명의 변형으로 간주할 모든 것은 이하에 기재하는 청구항의 범위에 있다.

Claims (6)

  1. 가스 배출구를 갖고 있고, 점화 수단이 수용된 점화 수단실과,
    가압 가스가 충전된 가압 가스실을 갖는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점화 수단실과 상기 가압 가스실이 연통 구멍을 갖는 격벽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격벽이 상기 점화 수단실로부터 상기 가압 가스실을 향해 돌출된, 바닥면과 주위벽면을 포함하는 컵 모양의 것으로, 개구부측에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주위벽면만이 상기 연통 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격벽 내부에는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두어진 상태에서 하우징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원판 폐색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작동 전에 있어서는 상기 원판 폐색 부재의 주위면에 의해 상기 연통 구멍이 폐색되어 있는 것이며,
    작동 시에 있어서는 상기 점화 수단의 작동에 의해 발생한 연소 생성물에 의해 상기 폐색 부재가 상기 바닥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통 구멍이 개구되어, 상기 점화 수단실과 상기 가압 가스실이 연통되는 가스 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 폐색 부재가 주위면의 두께 방향 중앙부에 환상 홈부를 갖고 있고, 주위면의 두께 방향 양측에 각각 제1 환상 주위벽부와 제2 환상 주위벽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작동 전에 있어서는 상기 원판 폐색 부재의 환상 홈부가 상기 연통 구멍에 정면으로 대향되고, 제1 환상 주위벽부 및 제2 환상 주위벽부가 상기 격벽 주위벽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환상 홈부, 제1 환상 주위벽부 및 제2 환상 주위벽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상기 연통 구멍이 폐색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부재가
    제1 원형 기판부와 제2 원형 기판부를 갖고, 그들 사이의 주위면에 환상 홈을 갖고 있고, 두께 방향으로 관통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제2 원형 기판부의 반경 방향의 단면적이 상기 제1 원형 기판부의 반경 방향의 단면적보다 큰 것이며, 상기 제1 원형 기판부가 바닥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작동 전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원형 기판부의 주위면에 의해 상기 연통 구멍이 폐색되어 있는 것이며,
    작동 시에 있어서는 상기 점화 수단의 작동에 의해 발생한 연소 생성물에 의해 상기 폐색 부재의 제1 원형 기판부가 상기 바닥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통 구멍이 개구되어, 상기 점화 수단실과 상기 가압 가스실이 연통되는 가스 발생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부재의 제1 원형 기판부가 주위면의 두께 방향 중앙부에 환상 홈부를 갖고 있고, 상기 주위면의 두께 방향 양측에 각각 제1 환상 주위벽부와 제2 환상 주위벽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작동 전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원형 기판부의 환상 홈부가 상기 연통 구멍에 정면으로 대향되고, 제1 환상 주위벽부 및 제2 환상 주위벽부가 상기 격벽 주위벽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환상 홈부, 제1 환상 주위벽부 및 제2 환상 주위벽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상기 연통 구멍이 폐색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5. 가스 배출구를 갖고 있고, 점화 수단이 수용된 점화 수단실과, 가압 가스가 충전된 가압 가스실을 갖는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점화 수단실과 상기 가압 가스실이 연통 구멍을 갖는 격벽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격벽이 상기 가압 가스실로부터 상기 점화 수단실을 향해 돌출된, 바닥면과 주위벽면을 포함하는 컵 모양의 것으로, 개구부측에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주위벽면만이 상기 연통 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격벽의 외측에는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간격이 두어진 상태에서 하우징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환상 폐색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작동 전에 있어서는 상기 환상 폐색 부재의 내주면이 상기 격벽의 외주 벽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연통 구멍이 폐색되어 있는 것이며,
    작동 시에 있어서는 상기 점화 수단의 작동에 의해 발생한 연소 생성물에 의해 상기 폐색 부재가 상기 플랜지부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통 구멍이 개구되어, 상기 점화 수단실과 상기 가압 가스실이 연통되는 가스 발생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의 폐색 부재가
    내주면의 두께 방향 중앙부에 내측 환상 홈부를 갖고, 상기 내주면의 두께 방향 양측에 각각 제1 내측 환상 주위벽부와 제2 내측 환상 주위벽부를 갖고 있고,
    작동 전에 있어서는 상기 환상의 폐색 부재의 내측 환상 홈부가 상기 연통 구멍에 정면으로 대향되고, 제1 내측 환상 주위벽부 및 제2 내측 환상 주위벽부가 상기 격벽 주위벽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내측 환상 홈부, 제1 내측 환상 주위벽부 및 제2 내측 환상 주위벽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상기 연통 구멍이 폐색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KR1020157026099A 2013-04-15 2014-03-05 가스 발생기 KR201501419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84475 2013-04-15
JP2013084475A JP6054232B2 (ja) 2013-04-15 2013-04-15 ガス発生器
PCT/JP2014/055534 WO2014171207A1 (ja) 2013-04-15 2014-03-05 ガス発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947A true KR20150141947A (ko) 2015-12-21

Family

ID=51731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099A KR20150141947A (ko) 2013-04-15 2014-03-05 가스 발생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66938B2 (ko)
EP (1) EP2987685B1 (ko)
JP (1) JP6054232B2 (ko)
KR (1) KR20150141947A (ko)
CN (1) CN105121233B (ko)
WO (1) WO20141712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67232B2 (ja) * 2015-01-27 2019-02-06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用の閉塞部材の支持構造とそれを使用したガス発生器
JP6675255B2 (ja) * 2016-04-12 2020-04-01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880505B2 (ja) * 2017-07-14 2021-06-02 株式会社ダイセル 放出装置、及びガス発生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1573A (en) * 1991-10-07 1994-10-04 Cicotte Edmond B Adjustable automobile pedal system
US5195777A (en) 1992-02-18 1993-03-23 Trw Inc. Air bag inflator
KR0148835B1 (ko) * 1993-08-20 1998-10-15 제임스 엠. 루즈벨트 팽창 기구를 팽창시키는 장치
CA2156362C (en) 1994-09-12 1998-06-30 Jess A. Cuevas Mini inflator assembly
US5536039A (en) * 1994-12-06 1996-07-16 Trw Inc. Air bag inflator
JPH0958394A (ja) * 1995-08-29 1997-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アバッグ装置用ガス発生装置
US5618057A (en) 1995-09-15 1997-04-08 Morton International, Inc. Continuously variable controlled orifice inflator
US5609362A (en) 1996-04-19 1997-03-1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or
US5803494A (en) * 1996-08-07 1998-09-08 Trw Inc. Air bag inflator
US5763817A (en) * 1996-08-14 1998-06-09 Bendix-Atlantic Inflator Company Center gas fill inflator
DE19954738A1 (de) * 1999-11-12 2001-05-31 Petri Dn Gmbh Inflator Systems Hybrid-Gasgenerator
DE60226891D1 (de) * 2001-11-30 2008-07-10 Daicel Chem Aufblasvorrichtung
GB2417066B (en) 2004-08-13 2006-12-06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inflator for an air-bag
JP5008833B2 (ja) * 2005-02-14 2012-08-22 株式会社ダイセル 加圧ガス充填方法
JP5242268B2 (ja) * 2008-07-10 2013-07-24 株式会社ダイセル インフレータの組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21233A (zh) 2015-12-02
CN105121233B (zh) 2017-09-26
JP2014205437A (ja) 2014-10-30
JP6054232B2 (ja) 2016-12-27
US20160023628A1 (en) 2016-01-28
EP2987685A4 (en) 2016-11-23
US9566938B2 (en) 2017-02-14
EP2987685B1 (en) 2018-01-31
WO2014171207A1 (ja) 2014-10-23
EP2987685A1 (en)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52394B1 (en) Gas generator
US9944250B2 (en) Gas generator
US20140224368A1 (en) Accumulator
KR20160146673A (ko) 인플레이터
KR20130141454A (ko) 가스 발생기
KR20150141947A (ko) 가스 발생기
WO2015060081A1 (ja) 破裂板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インフレータ
JP6797072B2 (ja) ガス発生器
EP1927519A2 (en) Inflator
US20170008482A1 (en) Gas generator
US10308211B2 (en) Support structure of closing member for gas generator and gas generator using same
US9481339B2 (en) Gas generator
JP6050188B2 (ja) ガス発生器
EP1375265B1 (en) Gas generating apparatus for air bag apparatus
JP2016101915A (ja) 点火器組立体とそれを使用したガス発生器
JP2012516427A (ja) 岩石破壊用カートリッジ
JP2016068658A (ja) ガス発生器
US10336287B2 (en) Gas generator
WO2016076149A1 (ja) 点火器組立体とそれを使用したガス発生器
KR20220128702A (ko) 시트벨트 리트렉터의 안전 배기 장치
JP2007112152A (ja) 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