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380A -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380A
KR20150141380A KR1020140070022A KR20140070022A KR20150141380A KR 20150141380 A KR20150141380 A KR 20150141380A KR 1020140070022 A KR1020140070022 A KR 1020140070022A KR 20140070022 A KR20140070022 A KR 20140070022A KR 20150141380 A KR20150141380 A KR 20150141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module
unit
heat insulating
he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5578B1 (ko
Inventor
서민희
Original Assignee
(주)썬레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썬레이텍 filed Critical (주)썬레이텍
Priority to KR1020140070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578B1/ko
Publication of KR20150141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열을 발산하는 히터유닛 및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상기 히터유닛이 발산하는 열을 하부로 전달하는 방열판을 포함하는 발열모듈; 상기 방열판의 면적과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며, 상기 발열모듈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히터유닛이 발산하는 열이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모듈; 및 상기 발열모듈의 측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발열모듈 및 상기 단열모듈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프레임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과 결합하고, 상기 단열모듈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를 상부에서 고정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발열모듈 및 상기 단열모듈을 고정 결합하는 하우징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난방장치{H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효율적인 난방효과를 가지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본 장치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활용 효율이 높은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실내공간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난방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난방장치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하는 난방장치의 이용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하지만, 기존의 천장 매립형 난방장치는 그 부피가 커서 천장의 내부에 매립하기 위한 설치과정이 복잡하고, 별도의 공조시스템이 설치 되야 하기 때문에 쉽게 설치하기 어렵고,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비용이 소모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관련 기술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열선과 방열판을 이용하여 열을 확산시키는 방식의 간편한 난방장치를 이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난방장치는 열선을 방열판에 고정하기 위하여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열에 의하여 테이프가 떨어져 나가 열선의 고정능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선 및 방열판 자체의 무게와 열선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하여 방열판 또는 난방장치의 프레임이 변형되어 전체적인 난방장치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난방장치가 변형되면, 구조적으로도 약해져서 파손의 위험성이 있으며, 이는 안전사고의 발생으로 연결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열판 및 프레임이 변형되면서 형성되는 틈으로 난방장치 내부의 단열재와 같은 이물질이 난방장치의 외부로 배출되어 실내를 오염시킬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효율적인 난방효과를 가지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본 장치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활용 효율이 높은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는 열을 발산하는 히터유닛 및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상기 히터유닛이 발산하는 열을 하부로 전달하는 방열판을 포함하는 발열모듈, 상기 방열판의 면적과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며, 상기 발열모듈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히터유닛이 발산하는 열이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모듈 및 상기 발열모듈의 측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발열모듈 및 상기 단열모듈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프레임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과 결합하고, 상기 단열모듈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를 상부에서 고정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발열모듈 및 상기 단열모듈을 고정 결합하는 하우징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모듈은 상기 결합유닛의 하부에 상기 단열모듈을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가압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단열모듈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결합유닛의 일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모듈은 열전도율이 낮은 단열부재 및 상기 단열부재를 감싸는 단열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열부재는 복수개의 유리섬유막이 다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커버는 열반사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히터유닛이 상기 단열모듈 쪽으로 발산하는 열을 상기 방열판으로 반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열모듈은 상기 히터유닛이 상기 방열판과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히터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상기 방열판과 결합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발열모듈이 상기 단열모듈과 결합할 때, 상기 방열판과 상기 단열모듈 사이의 공간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접착제로 형성되어, 상기 히터유닛의 측부와 상기 방열판을 결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접착제는 내열 실리콘 및 도전성 금속분말의 혼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유닛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복수개가 상기 방열판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히터유닛의 배치와 대응되어, 복수개가 상기 방열판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열모듈은 열이 발생하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발열부를 감싸는 형태의 커버부로 형성되는 히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는 일측면이 평면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방열판과 면접촉을 하며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인 난방효과를 가지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본 장치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활용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난방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가 별도의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에서 히터유닛 및 고정유닛의 배치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에서 히터유닛 및 고정유닛의 배치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에서 히터유닛 및 고정유닛의 배치에 대한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형태를 기본 형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난방장치의 하부를 향해 열을 발산하는 형태로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가 실내의 벽에 설치되는 등의 특정한 방향을 향해 열을 발산하도록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난방장치가 갖고 있는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난방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난방장치의 구성은 크게 히터(10), 단열재(20) 및 프레임(3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난방장치는 히터(10)의 열선(11) 및 방열판(12) 자체의 무게와 열선(11)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하여 방열판(12)이 변형되어 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이러한 열과 변형에 의하여 열선(11)을 방열판(12)에 고정하는 테이프의 접착력이 약해져서 열선(11)을 고정하는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프레임(30)의 고정성능이 낮은 상태에서 방열판(12)이 휘면 방열판(12)과 프레임(30)의 사이가 벌어져 난방장치의 전체적인 구조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다층의 유리섬유로 형성된 단열재(20)에서 발생한 미세한 유리섬유(21)가 전술한 방열판(12) 및 프레임(30)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하여 빠져나오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일 실시예는 발열모듈(100)과, 단열모듈(200) 및 하우징모듈(300)을 포함한다.
발열모듈(100)은 열을 발산하는 히터유닛(110) 및 히터유닛(110)이 발산하는 열을 하부로 전달하는 방열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유닛(110)은 전기 또는 온수 등을 사용하여 열을 발산하는 구성으로, 그 자세한 형태나 배치 등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방열판(120)은 히터유닛(110)이 발산하는 열을 하부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열판(120)은 높은 열전도율을 지니는 소재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히터유닛(110)의 열을 하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마련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단열모듈(200)은 전술한 발열모듈(100)에서 발산되는 열이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방열판(120)의 면적과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며, 발열모듈(1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단열모듈(200)은 열전도율이 낮은 단열부재(210) 및 단열부재(210)를 감싸는 단열커버(22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전도율이 낮은 복수개의 유리섬유막을 적층하여 다층구조를 이루어 단열부재(210)를 형성하고, 다층의 유리섬유막을 감싸는 알루미늄호일로 단열커버(22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단열커버(220)로 형성된 알루미늄호일이 열을 반사시키는 효과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열커버(220)가 열 반사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어, 전술한 히터유닛(110)이 단열모듈(200) 쪽으로 발산하는 열을 방열판(120)으로 반사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난방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단열부재(210)로 사용된 유리섬유막은 미세한 유리가루가 발생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외부로 빠져나올 수도 있다.
따라서 단열커버(220)가 단열부재(210)를 감싸는 구성을 통하여 단열부재(210)로 인한 이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단열모듈(200)의 구성은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발열모듈(100)의 열이 상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하부의 방열판(120)의 방향으로 반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모듈(300)은 전술한 발열모듈(100)과 단열모듈(200)을 고정 결합하는 구성으로, 발열모듈(100)의 측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프레임유닛(310) 및 단열모듈(200)의 상면을 고정하는 결합유닛(32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유닛(310)은 전술한 발열모듈(100)과 단열모듈(200)이 결합한 상태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발열모듈(100)의 측부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된 부위가 형성되어 단면이 'ㄴ'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유닛(320)은 단열모듈(20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를 상부에서 고정하며, 전술한 프레임유닛(310)과 결합할 수 있다.
즉, 하우징모듈(300)의 형태는 프레임유닛(310) 및 결합유닛(320)이 결합하여 발열모듈(100)과 단열모듈(200)이 결합된 전체 측면을 감싸며,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유닛(310) 및 결합유닛(320)이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이 적용되어 있으나, 이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모듈(300)은 복수개의 파트가 별도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 역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우징모듈(300)이 발열모듈(100) 및 단열모듈(200)을 고정결합하기 위하여 마련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모듈(300)은 발열모듈(100) 및 단열모듈(200)을 보다 강하게 고정 및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어서,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 일 실시예의 발열모듈(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가 별도의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에서 히터유닛 및 고정유닛의 배치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에서 히터유닛 및 고정유닛의 배치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모듈에서 히터유닛 및 고정유닛의 배치에 대한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 일 실시예의 발열모듈(100)은, 히터유닛(110), 방열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모듈(100)은 히터유닛(110)이 방열판(120)과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유닛(130)은 히터유닛(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방열판(120)과 결합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접착제(G)와 같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유닛(130)과 방열판(120)이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착제(G)는 열에 의한 변형이나 접착력이 변하지 않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유닛(130)은 히터유닛(110)의 둘레를 감싸는 '凸'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히터유닛(110)을 방열판(120)에 고정 시키도록 마련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고정유닛(130)이 방열판(120)과 결합하기 위한 방법 역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용접 또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고정유닛(130)은 히터유닛(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므로, 히터유닛(110)을 방열판(120)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방열판(120) 및 단열모듈(200)의 사이에 히터유닛(110)이 구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유닛(130)이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히터유닛(110)에서 발산되는 열이 보다 방열판(120)의 방향으로 집중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또는, 고정유닛(130)이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방열판(120)과 단열모듈(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열이 복사되면서 보다 고르게 방열판(120)이 가열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유닛(130)과 별도로 방열판(120)을 가로지르며 방열판(120)과 결합하는 보강프레임(40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고정유닛(130)으로 이용되는 구조 그대로 히터유닛(110)과 별개로 고정 결합되어 보강프레임(400)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고정유닛(130)을 뒤집어서 결합하는 등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보강프레임(400)은 방열판(12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열판(120)과 결합되도록 구비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히터유닛(110)은 열이 발생하는 발열부(112) 및 발열부(112)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발열부(112)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커버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112)는 전기 또는 온수 등에 의하여 열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며, 열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커버부(114)는 발열부(112)가 발산하는 열이 확산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커버부(114)가 발열부(112)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면, 히터유닛(110)이 공기 중에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보다 열이 확산되는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커버부(11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이 평면인 형태로 형성되어, 방열판(120)과 면접촉을 하며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히터유닛(110)이 발산하는 열이 방열판(120)으로 전달되는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14)가 고정유닛(130)과 맞닿는 부위가 평면의 형태로 변형되고, 변형된 커버부(114)의 형태에 맞추어 전술한 고정유닛(130)의 형태도 그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경우, 고정유닛(130)이 변형된 형태의 커버부(114)를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114)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G)가 고정유닛(130)의 역할을 하도록 형성되어, 접착제(G)가 히터유닛(110)의 측부와 방열판(120)을 고정 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접착제(G)는 열에 의한 변형이나 접착력이 변하지 않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접착제(G)는 내열실리콘 및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분말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업용 금과 같은 열전도가 높은 금속분말을 내열실리콘과 혼합하여 히터유닛(110) 및 방열판(120)을 고정 결합한다.
이러한 경우, 히터유닛(110)에서 발산되는 열이 고정유닛(130)의 역할을 하는 접착제(G)를 통하여 방열판(120)으로 보다 쉽고 빠르게 전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착제(G)가 히터유닛(110)과 방열판(120)의 사이를 차단하지 않도록 히터유닛(110)의 측부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방열판(120)에 히터유닛(110) 및 고정유닛(130)이 배치되는 형태는 다음과 같이 적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히터유닛(110)이 방열판(120)을 지그재그로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경우, 히터유닛(110)이 가로지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유닛(130)이 구비되어 히터유닛(110)을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고정유닛(130)의 구성은 열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히터유닛(110)의 고정능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히터유닛(110)을 따라 복수개의 고정유닛(130)이 방열판(120)을 가로지르며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유닛(130)이 방열판(120)을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보강재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즉, 방열판(120)이 방열판(120) 자체의 무게 및 히터유닛(110)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120)의 일부를 지그재그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히터유닛(110)이 복수개 구비되어 방열판(120) 상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태로 형성된 복수개의 히터유닛(110)이 방열판(120)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유닛(130)은 히터유닛(110)의 배치와 대응되게 배치되어 방열판(120)과 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유닛(130)이 히터유닛(110)을 고정함과 동시에 방열판(120)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히터유닛(110) 및 고정유닛(130)의 배치는 고정유닛(130)이 히터유닛(110)을 고정하면서 방열판(120)을 구조적으로 보강하도록 마련된다면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 일 실시예의 하우징모듈(3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모듈(300)은 결합유닛(320)의 하부에 단열모듈(200)을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가압부(32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32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유닛(320)의 일부가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유닛(320)이 프레임유닛(310)과 결합하면서 돌출된 가압부(322)가 단열모듈(200)의 상면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유닛(320)이 일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유닛(320)이 프레임유닛(310)과 결합하면서 결합유닛(320)의 절곡된 부위가 단열모듈(200)의 상면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가압부(322)의 형태에 따라 가압부(322)의 일부가 단열모듈(200)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가압부(322)의 구성은 프레임유닛(310) 및 결합유닛(320)이 결합하면서 하우징모듈(300)을 형성하여 발열모듈(100)과 단열모듈(200)을 고정할 때, 단열모듈(200)을 발열모듈(100)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열모듈(100) 및 단열모듈(200)을 보다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부(322)의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강화시키고, 전술한 단열부재(21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이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는 전술한 모든 구성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난방효과를 가지며,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천장이나 벽에 설치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활용적인 측면에서도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발열모듈
110 : 히터유닛
112 : 발열부 114 : 커버부
120 : 방열판
130 : 고정유닛
200 : 단열모듈
210 : 단열부재
220 : 단열커버
300 : 하우징모듈
310 : 프레임유닛
320 : 결합유닛
322 : 가압부

Claims (15)

  1. 열을 발산하는 히터유닛 및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상기 히터유닛이 발산하는 열을 하부로 전달하는 방열판을 포함하는 발열모듈;
    상기 방열판의 면적과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며, 상기 발열모듈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히터유닛이 발산하는 열이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모듈; 및
    상기 발열모듈의 측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발열모듈 및 상기 단열모듈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프레임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과 결합하고, 상기 단열모듈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를 상부에서 고정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발열모듈 및 상기 단열모듈을 고정 결합하는 하우징모듈;
    을 포함하는 난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모듈은,
    상기 결합유닛의 하부에 상기 단열모듈을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가압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단열모듈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결합유닛의 일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모듈은,
    열전도율이 낮은 단열부재 및 상기 단열부재를 감싸는 단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복수개의 유리섬유막이 다층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커버는,
    열반사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히터유닛이 상기 단열모듈 쪽으로 발산하는 열을 상기 방열판으로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모듈은,
    상기 히터유닛이 상기 방열판과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히터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상기 방열판과 결합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발열모듈이 상기 단열모듈과 결합할 때, 상기 방열판과 상기 단열모듈 사이의 공간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접착제로 형성되어, 상기 히터유닛의 측부와 상기 방열판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내열 실리콘 및 도전성 금속분말의 혼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유닛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복수개가 상기 방열판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히터유닛의 배치와 대응되어, 복수개가 상기 방열판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모듈은,
    열이 발생하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발열부를 감싸는 형태의 커버부로 형성되는 히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일측면이 평면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방열판과 면접촉을 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KR1020140070022A 2014-06-10 2014-06-10 난방장치 KR101625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22A KR101625578B1 (ko) 2014-06-10 2014-06-10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22A KR101625578B1 (ko) 2014-06-10 2014-06-10 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380A true KR20150141380A (ko) 2015-12-18
KR101625578B1 KR101625578B1 (ko) 2016-05-30

Family

ID=55081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022A KR101625578B1 (ko) 2014-06-10 2014-06-10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5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645B1 (ko) * 2020-08-21 2021-12-23 주식회사 보성산업 천장형 복사난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42652B1 (ko) * 2020-08-21 2021-12-23 주식회사 보성산업 천장형 복사난방장치
KR102342641B1 (ko) * 2020-08-21 2021-12-23 주식회사 보성산업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복사난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0322A (ja) * 2000-09-29 2002-04-12 Nok Corp ミラー用面状発熱体
KR101378499B1 (ko) * 2013-01-30 2014-03-27 (주)썬레이텍 책상에 설치되는 난방 패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645B1 (ko) * 2020-08-21 2021-12-23 주식회사 보성산업 천장형 복사난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42652B1 (ko) * 2020-08-21 2021-12-23 주식회사 보성산업 천장형 복사난방장치
KR102342641B1 (ko) * 2020-08-21 2021-12-23 주식회사 보성산업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복사난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578B1 (ko) 201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578B1 (ko) 난방장치
WO2010140507A1 (ja) 天井用放射パネルを使用した天井照明装置
JP5059202B2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20110002115A1 (en) Fitting member, leaf spring and lighting apparatus
JP2015171308A (ja) 温度差発電装置
JP2008218238A (ja) 照明器具
JP2011081996A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原稿読取装置
JP2017009901A (ja) 光変調素子モジュール及び投写型表示装置
JP2009277843A (ja) 発光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照明器具および液晶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
US7499633B2 (en) Infrared heater
CN214751287U (zh) 散热组件、散热装置及投影设备
WO2019000530A1 (zh) 背光模组及移动终端
JP5511290B2 (ja) 発光装置
JP2011187220A (ja) 照明装置
KR20150111998A (ko) 방열 구조 및 광 송수신기
JP2014063720A (ja) 照明器具
JP5727249B2 (ja) 面発光装置、面発光装置を利用する面状照明装置及び広告表示装置
US10133161B2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JP6269203B2 (ja) 電子機器
US20170328550A1 (en) Heat dissipation structure and illumination device
JP7153857B2 (ja) レーザ光源ユニット
JP6483828B2 (ja) Ledランプ
JP2006170551A (ja) 天井輻射パネル
KR101454784B1 (ko) 천장고정식 원적외선 난방기
CN110925861A (zh) 一种散热供暖踢脚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