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295A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295A
KR20150141295A KR1020140069791A KR20140069791A KR20150141295A KR 20150141295 A KR20150141295 A KR 20150141295A KR 1020140069791 A KR1020140069791 A KR 1020140069791A KR 20140069791 A KR20140069791 A KR 20140069791A KR 20150141295 A KR20150141295 A KR 20150141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play unit
transparent display
us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7106B1 (ko
Inventor
박상용
정길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9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106B1/ko
Priority to US14/573,246 priority patent/US10229649B2/en
Publication of KR20150141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3Display panel composed of stacked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제1 바디, 제1 바디의 일 면에 탑재되며, 제1 바디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연결된 제2 바디, 제2 바디에 형성된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제2 바디가 제1 바디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제1 바디가 오픈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제1 바디와 겹치는 제1 영역과,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부분인 제2 영역에 대해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차세대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연구 논의가 가속화되고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란 투명한 성질을 가져서 장치 뒷쪽 배경이 그대로 비치는 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실리콘(Si), 갈륨비소(GaAs) 등과 같은 불투명 반도체 화합물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작하였으나,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서는 구현할 수 없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생기면서,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는 새로운 형태의 전자 소자에 대한 개발 노력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노력 하에 개발된 것 중 하나가 투명 디스플레이이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한 산화물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어, 투명한 성질을 가지게 된다. 투명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장치 뒷쪽에 위치하는 후면 배경을 보면서, 필요한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가지고 있는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한 성질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후면에 비치는 실제 사물의 모습과 디스플레이된 정보가 조화를 이루게 된다.
다만,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한 성질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의 시인성이 일반 디스플레이 장치보다 떨어지며, 이를 극복하고 사용자에게 다양한 활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일 면에 탑재되며,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연결된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된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 바디가 오픈되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바디와 겹치는 제1 영역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부분인 제2 영역에 대해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바디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 바디의 디스플레이부가 오픈되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겹치는 제1 영역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부분인 제2 영역,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영역인 제3 영역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OLED, LCD, e-Paper 및 투명 디스플레이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터치 패널 영역은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터치 패널 영역은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영역에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 패널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패널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를 커버하는 클로즈 상태에서는 상기 패널부로 제공되는 백라이트를 턴오프하고,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패널부가 노출되면, 상기 패널부로 상기 백라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바디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를 커버하는 클로즈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해 감지되는 상기 사용자 터치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패널부가 노출된 오픈 상태에서는, 상기 패널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주변 객체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을 통해 인식 가능한 경우,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주변 객체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3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객체가 간판(sign)으로 인식되면, 상기 간판에 대응되는 지역의 지도를 상기 부가 정보로서 상기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객체가 외국어 텍스트를 포함하면, 상기 외국어 텍스트에 대한 번역문을 상기 부가 정보로서 상기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가 정보는, 지도, 텍스트 번역문, 관련 사이트 주소, 관련 이미지, 광고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객체를 사용자 조작에 따라 좌우 대칭 또는 상하 대칭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를 커버하는 클로즈 상태에서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 중 하나에 형성된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이미지 내에 포함된 객체의 에지를 검출하여 상기 주변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주변 객체에 대응되는 부가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상기 제2 바디가 단계적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의 크기는 상기 제2 바디의 슬라이딩 단계에 따라 상이하게 변경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 별로 상이한 레이아웃의 UI 화면을 상기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일 면에 탑재되며,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연결된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된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 바디가 오픈되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바디와 겹치는 제1 영역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부분인 제2 영역에 대해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바디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 바디의 디스플레이부가 오픈되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겹치는 제1 영역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부분인 제2 영역,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영역인 제3 영역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OLED, LCD, e-Paper 및 투명 디스플레이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터치 패널 영역은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터치 패널 영역은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영역이 구분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세부 구성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바디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구성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영역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활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능 및 공유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바디(101) 및 제2 바디(102)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바디(102)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90)를 포함한다. 제2 바디(102)는 제1 바디(101)의 일 면에 탑재되며, 제1 바디(101)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폴더 구조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바디(102)에 포함된 투명 디스플레이부(190)는 투명한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의 후면 배경을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을 통해 볼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부(190)는 O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에 대한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부(190)는 투명한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후면 배경 뿐만 아니라 제1 바디(101)의 일부분도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을 통해 볼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101)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의 일부분을 가릴 수 있고, 가려진 부분은 가려지지 않은 부분보다 좀더 선명하게 보일 수 있어, 사용자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바디(101)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재료 또는 색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101)는 디스플레이부(110)를 갖춘 구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제어부(120)는 제2 바디(102)에 형성된 투명 디스플레이부(190)를 제어하여, 다양한 종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2 바디(102)가 제1 바디(101)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제1 바디(101)가 오픈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190)가 제1 바디(101)와 겹치는 제1 영역과,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의 나머지 부분인 제2 영역에 대해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은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컨텐츠 재생 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웹 브라우저 화면, 기타 그래픽 객체일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210)과 제2 영역(220)은 서로 독립적인 소스를 가질 수 있다. 가령,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화면이 제1 영역(210) 및 제2 영역(220)으로 각각 제공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제1 영역(210) 및 제2 영역(220)으로 각각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영역(210)이나 제2 영역(220)에는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컨텐츠 재생 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웹 브라우저 화면, 기타 그래픽 객체 등과 같이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의 일 측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들과, 후면 배경을 종합적으로 볼 수 있는 한편,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의 겹침 영역에 따른 구분으로 투명 디스플레이부(190)가 분리되어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하나의 투명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도 1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바디(101) 및 제2 바디(102)를 포함하며, 제1 바디(101)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한다. 도 1b에 도시된 구성 중 도 1a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불투명 디스플레이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투명 디스플레이부일 수 있다. 또한 불투명 디스플레이부인 경우, OLED, LCD 등의 발광형 디스플레이부 또는 e-Paper 등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부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는 OLED, LCD, e-Paper 및 투명 디스플레이 중 하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제1 바디(101)에 디스플레이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좀더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2 바디(102)가 제1 바디(101)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제1 바디(101)의 디스플레이부가 오픈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190)가 디스플레이부(110)와 겹치는 제1 영역(210)과,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의 나머지 부분인 제2 영역(220), 디스플레이부(110)의 나머지 영역인 제3 영역(230)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210)과 제2 영역(220) 및 제3 영역(230)은 서로 독립적인 소스를 가질 수 있다. 가령,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화면이 제1 영역(210), 제2 영역(220) 및 제3 영역(230)으로 각각 제공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제1 영역(210), 제2 영역(220) 및 제3 영역(230)으로 각각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영역(210)이나 제2 영역(220) 또는 제3 영역(230)에는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컨텐츠 재생 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웹 브라우저 화면, 기타 그래픽 객체 등과 같이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의 일 측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들과, 후면 배경을 종합적으로 볼 수 있는 한편,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의 겹침 영역에 따른 구분으로 투명 디스플레이부(190)가 분리되어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하나의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와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도 2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영역이 구분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좌측 도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2 바디(102)가 제1 바디(101)를 커버하는 클로즈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제1 바디(101)에 디스플레이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클로즈 상태인 경우, 제어부(120)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90) 및 디스플레이부(110)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시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의 우측 도면에 따르면, 제2 바디(102)가 제1 바디(101)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제1 바디(101)가 오픈된 형태이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제2 바디(102)는 제1 바디(101)로부터 회전형태로 형성되어 제1 바디(101)가 오픈될 수도 있고, 폴더형태로 형성되어 제1 바디(101)가 오픈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바디에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2 바디에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9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바디(102)가 제1 바디(101)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제1 바디(101)의 디스플레이부(110)가 오픈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190)가 디스플레이부(110)와 겹치는 제1 영역(210)과,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의 나머지 부분인 제2 영역(220), 디스플레이부(110)의 나머지 영역인 제3 영역(2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구분된 제1 영역(210), 제2 영역(220) 및 제3 영역(230)에 각각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만약 제1 바디(101)에 디스플레이부(110)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제1 영역(210) 및 제2 영역(220)에만 각각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바디(101)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패널부를 구비할 수 있고, 제어부(120)는 제2 바디(102)가 제1 바디(101)를 커버하는 클로즈 상태에서는 패널부로 제공되는 백라이트를 턴오프하고, 제2 바디(102)가 제1 바디(101)로부터 슬라이딩되어 패널부가 노출되면, 패널부로 백라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101)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패널부를 구비할 수 있고, 제2 바디(102)의 투명 디스플레이부(190)는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20)는 제2 바디(102)가 제1 바디(101)를 커버하는 클로즈 상태에서는 터치 패널을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 터치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제2 바디(102)가 제1 바디(101)로부터 슬라이딩되어 패널부가 노출된 오픈 상태에서는, 패널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의 세부 구성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부(190)는 투명 OLED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투명 디스플레이부(190)는 투명 기판(111-1), 투명 트랜지스터층(112-1), 제1 투명 전극(113-1), 투명 유기 발광 층(Transparent Organic Light-Emitting layer)(114-1), 제2 투명 전극(115-1), 연결 전극(116-1)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110-1)의 세부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투명기판(111-1)은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플라스틱과 같은 폴리머 재료 또는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투명 기판(111-1)의 재질은 투명 디스플레이부(190)가 적용된 사용 환경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가령, 폴리머 재료는 가볍고 유연하다는 장점이 있어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으며, 유리는 상점의 쇼윈도(show window)나 일반 창문 등에 사용할 수 있다.
투명 트랜지스터층(112-1)이란 기존 박막 트랜지스터의 불투명한 실리콘을 투명한 아연산화물, 산화 티타늄 등과 같은 투명 물질로 대체하여 제작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레이어를 의미한다. 투명 트랜지스터층(112-1) 내에는 소스, 게이트, 드레인 및 각종 유전막(117-1, 118-1)이 마련되며, 드레인과 제1 투명 전극(113-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전극(116-1)도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투명 트랜지스터 층(112-1) 내에 소스, 게이트, 드레인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투명 트랜지스터만이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디스플레이 표면의 전체 영역에 고르게 분포된 복수 개의 투명 트랜지스터가 마련된다.
제어부(120)는 투명 트랜지스터층(112-1) 내의 각 트랜지스트들의 소스, 게이트, 드레인 등으로 상술한 이미지 소스 신호를 인가하여, 특정 투명 트랜지스터가 배치된 셀을 스캔한 후, 해당 셀을 턴 온시켜 각종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투명 전극 (113-1) 및 제2 투명 전극(115-1)은 투명 유기 발광층(114-1)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제1 투명 전극, 투명 유기 발광층 및 제2 투명 전극(113-1, 114-1, 115-1)은 투명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s)를 형성한다.
투명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구동 방식에 따라 크게 수동형(Passive Matrix OLED)과 능동형 (Active Matrix OLED)으로 분류된다. PMOLED는 제1 및 제2 투명 전극(113-1, 115-1)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이 화소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반면, AMOLED는 각 화소를 구동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있는 구조이다. 도 3에서는 능동형을 나타내고 있다.
제1 투명 전극 (113-1) 및 제2 투명 전극(115-1)은 각각 복수 개의 라인 전극을 포함하며, 라인 전극의 정렬 방향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가령, 제1 투명 전극(113-1)의 라인 전극들이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었다면, 제2 투명 전극(115-1)의 라인 전극들은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에 따라, 제1 투명 전극(113-1) 및 제2 투명 전극(115-1) 간에는 복수의 교차 영역이 형성된다. 각 교차 영역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트랜지스터가 연결된다.
제어부(120)는 투명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각 교차 영역 별로 전위차가 형성되도록 한다. 전위차가 형성된 교차 영역 내에서 각 전극으로부터 전자와 정공이 투명 유기 발광층(114-1)으로 유입되어 결합하면서 발광이 이루어진다. 반면, 전위차가 형성되지 않은 교차 영역은 발광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후면 배경이 그대로 투명하게 비치게 된다.
제1 및 제2 투명 전극(113-1, 115-1)으로는 ITO(indium tin oxide)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그래핀과 같은 신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래핀이란 탄소원자가 서로 연결돼 벌집 모양의 평면 구조를 이루며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그 밖에, 투명 유기 발광 층(114-1)도 다양한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a, 4b 및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바디(101)에 디스플레이부(110)가 형성된 구성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바디(102)에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90)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바디(101)에는 발광형 디스플레이부(410)가 형성되어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부(190)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투명 디스플레이와 발광형 디스플레이부(410)가 접해 있는 측면의 타 측면으로 제2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이 터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부(190)는 투명 디스플레이와 발광형 디스플레이부(410)가 접해 있는 측면으로 제2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여 마주보고 사용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는 제2 터치 패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바디(101)에 형성된 발광형 디스플레이부(410)는 제1 터치 패널, 발광형 디스플레이 및 발광형 디스플레이에 광원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형 디스플레이부(410)는 불투명하기 때문에, 제2 바디(102)가 제1 바디(101)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제1 바디(101)가 오픈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190)가 제1 바디와 겹치는 제1 영역(210)의 사용자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주변 환경을 볼 수 있으나,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와 제1 바디(101)가 겹치는 제1 영역(210)에 있어서는 발광형 디스플레이부(410)에 의해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의 일 측면이 가려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주변 환경을 볼 수 없고,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만을 볼 수 있어 시인성이 올라간다.
또한, 다른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투명한 제2 영역(220)만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고 불투명한 발광형 디스플레이부(410)에 의해 다른 사용자에게 가려지는 제1 영역(210) 및 제3 영역(230)을 통해 개인적인 활용을 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바디(102)에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90)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바디(101)에는 반사형 디스플레이부(42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바디(101)에 형성된 반사형 디스플레이부(420)는 제1 터치 패널 및 반사형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반사형 디스플레이부(420)는 불투명하기 때문에, 제2 바디(102)가 제1 바디(101)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제1 바디(101)가 오픈되면, 도 4a와 유사한 원리로 투명 디스플레이부(190)가 제1 바디(101)와 겹치는 제1 영역(210)의 사용자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투명한 제2 영역(220)만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고 불투명한 반사형 디스플레이부(420)에 의해 다른 사용자에게 가려지는 제1 영역(210) 및 제3 영역(230)을 통해 개인적인 활용을 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바디(102)에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90)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바디(101)에는 투명 디스플레이부(430)가 형성되어 있는 도면이다.
제1 바디(101)에 형성된 투명 디스플레이부(430)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투명 디스플레이와 제2 바디(102)의 투명 디스플레이부(190)가 접해 있는 측면으로 제2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이 터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부(430)는 투명 디스플레이와 제2 바디(102)의 투명 디스플레이부(190)가 접해 있는 측면의 타 측면으로 제2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여 마주보고 사용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는 제2 터치 패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바디(101)에 투명 디스플레이부(430)가 형성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10)가 불투명한 경우보다 제1 영역(210) 및 제3 영역(230)의 사용자 시인성이 떨어질 수 있다. 다만, 제1 바디(101)에 형성된 투명 디스플레이부(430)를 검은색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시인성을 올릴 수 있다.
또한, 다른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2 영역(220) 뿐만 아니라 제1 영역(210) 및 제3 영역(230) 역시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바디(101)에 형성된 투명 디스플레이부(430)를 검은색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제1 영역(210) 및 제3 영역(230)을 통해 개인적인 활용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를 연결하는 연결부는 슬라이딩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제2 바디(102)는 제1 바디(101)로부터 회전형태로 형성되어 제1 바디(101)가 오픈될 수도 있고, 폴더형태로 형성되어 제1 바디(101)가 오픈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슬라이딩 형태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 사이에는 레일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제2 바디(102)의 레일은 돌출된 형태일 수 있고, 제1 바디(102)의 레일은 파인 형태일 수 있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의 구성이 반대로 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 사이에만 레일이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의 측면에 레일이 형성되어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를 연결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제2 바디(102)의 레일에는 볼록한 공모양(510)의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바디(101)의 레일에는 오목한 공모양(520, 530)의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의 구성이 반대로 될 수도 있다. 또한, 홈의 모양은 공모양 뿐만 아니라 삼각뿔 형상일 수도 있으며, 오목한 공모양은 2개 이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슬라이딩 구조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단계적인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제1 바디(101)와 제2 바디(102)의 단계적인 슬라이딩을 통해 제1 영역(210), 제2 영역(220) 및 제3 영역(230) 각각의 크기는 상이하게 변경되며, 제어부(120)는 제1 영역(210)의 크기 별로 상이한 레이아웃의 UI 화면을 제1 영역(21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3 영역(230)에서 제1 영역(210) 및 제2 영역(22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영역(210) 및 제3 영역(230)을 작업을 수행하면서, 투명한 제2 영역(220)을 통해 주의를 많이 분산시키지 않고 주변 환경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210)에는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제3 영역(230)에는 제1 영역(2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뉴가 제공되어 그에 따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가 주변 환경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투명한 제2 영역(220)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지 않는 제1 영역(210) 및 제2 영역(220)의 터치 패널을 비활성화시켜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영역(220)을 주변 환경을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하다가, 제3 영역(230)에 대한 제어를 통해 제2 영역(220)에 원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3 영역(230)에 제1 영역(2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2 영역(22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220)에 제3 영역(230)에 디스플레이된 제어 메뉴를 통해 제어가능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제3 영역(230)에 동영상 뿐만 아니라 웹 브라우져, 내비게이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제어부(120)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에 형성된 터치 패널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7a, 7b 및 7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활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1 영역(210) 및 제3 영역(230)을 작업을 수행하면서, 투명한 제2 영역(220)을 통해 주의를 많이 분산시키지 않고 주변 환경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도 6a에서 설명한 구성과 유사하여 생략한다.
도 7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주변 객체를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의 제2 영역(220)을 통해 인식 가능하고, 그에 따라 제어부(120)는 제1 영역(210)에 주변 객체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3 영역(2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20)는 주변 객체가 간판(sign)으로 인식되면, 간판에 대응되는 지역의 지도를 부가 정보로서 제1 영역(2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7c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주변 객체가 외국어 텍스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외국어 텍스트에 대한 번역문을 부가 정보로서 제1 영역(2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부가 정보에는 지도, 텍스트 번역문, 관련 사이트 주소, 관련 이미지, 광고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바디(101) 및 제2 바디(102) 중 하나에 카메라부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카메라부에 의한 촬영 이미지는 제2 영역(220)을 통해 사용자가 인식하는 이미지와는 다를 수 있다. 제어부(120)는 카메라부에 의한 촬영 이미지를 사용자가 제2 영역(220)을 통해 인식하는 이미지의 영역 내에서 주변 객체의 에지를 검출하여 주변 객체를 인식하고, 주변 객체에 대응되는 부가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능 및 공유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바디(101)에 투명 디스플레이부(430)가 형성된 구성을 가정한 도면이다. 그에 따라, 제1 영역(210)은 다른 사용자에게도 보일 수 있고 제어 메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2 영역(220)을 통해 촬영할 객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카메라부에 의해 제어부(120)가 인식하는 이미지를 제2 영역(220)을 통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로 볼 수도 있으나, 제2 영역(220)에 아무런 디스플레이 없이 주변 이미지를 직접 투명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볼 수도 있다.
또한, 제2 영역(220)에 아무런 디스플레이 없이 주변 이미지를 직접 보는 경우에는 카메라부에 의해 제어부(120)가 인식하는 이미지가 제2 영역(220)을 통해 사용자가 인식하는 이미지와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사용자가 제2 영역(220)을 통해 인식하는 이미지의 크기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210)에는 정지 영상 촬영 버튼, 동영상 촬영 버튼 및 증강 현실 촬영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제어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증강 현실 촬영 버튼을 선택한 경우, 도 8a의 우측 화면의 제1 영역(210)에 증강 현실 효과를 선택할 수 있는 제어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증강 현실 효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 제2 영역(220)에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인식되는 이미지에 더하여 선택한 효과가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바디(101)에 발광형 디스플레이부(410) 또는 반사형 디스플레이부(420)가 형성되어 불투명한 것을 가정한 도면이다. 이 경우, 제2 영역(220)은 투명하여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여 사용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 역시 촬영될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으나, 제1 영역(210)은 불투명하여 제어 메뉴를 공유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다른 사용자는 촬영 모드 및 증강 현실 효과가 무엇인지 인식할 수 없게 되고, 사용자에 의해서만 조작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제1 바디(101)에 발광형 디스플레이부(410) 또는 반사형 디스플레이부(420)가 형성된 경우만이 아니라, 제1 바디(101)에 투명 디스플레이부(430)가 형성된 경우라도, 투명 디스플레이부(430)를 검은색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한편, 도 8과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의 제1 영역(210)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1 영역(210)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 영역은 활성화시키고, 제2 영역(220)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 영역은 비활성화시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a, 9b 및 9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공유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바디(101)에 투명 디스플레이부(430)가 형성된 경우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바디(101)에 형성된 투명 디스플레이부(430)를 통해 제1 영역(210)은 다른 사용자에게도 보일 수 있고, 제3 영역(230)을 통해 제어 메뉴를 공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영역(220)에 외국어 텍스트가 디스플레이되고, 제1 영역(210)에는 그 번역문이 디스플레이되며, 제3 영역(230)에는 제어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마주보고 있는 다른 사용자와 제1 영역(210), 제2 영역(220) 및 제3 영역(23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전부에 대해 공유가 가능하며, 다른 사용자는 제어 메뉴를 통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9a의 우측 도면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제2 영역(220)에 디스플레이되는 객체를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좌우 대칭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좌우 대칭 뿐만 아니라 상하 대칭되도록 회전시킬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가 공유하는 컨텐츠를 인식하기 편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바디(101)에는 투명 디스플레이부(430)가 형성되어 있고, 제어부(120)는 제1 영역(210)만을 다른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1 바디(101)에 형성된 투명 디스플레이부(430)에서 제1 영역(210)에 대응되는 영역만을 검은색으로 디스플레이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모든 기능을 공유하지 않을 수 있고, 제1 영역(210)의 개인적인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9c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영역(210) 뿐만 아니라 제3 영역(230)까지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제어부(120)가 제1 바디(101)에 형성된 투명 디스플레이부(430)의 전 영역을 검은색으로 디스플레이하여 다른 사용자와 모든 기능을 공유하지 않게 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제1 바디(101)에 투명 디스플레이부(430)를 형성하지 않고 발광형 디스플레이부(410) 또는 반사형 디스플레이부(420)를 형성하여도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 9b, 9c에 따르면, 제2 영역(220)은 투명하여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여 다른 사용자 역시 촬영될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으나, 도 9b의 제1 영역(210) 또는 도 9c의 제1 영역(210) 및 제3 영역(230)은 불투명하여 제어 메뉴를 공유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다른 사용자는 번역 결과 또는 제어 메뉴가 무엇인지 인식할 수 없게 되고, 사용자에 의해서만 조작될 수 있다.
한편, 도 9와 같이 제3 영역(230)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에 형성된 터치 패널을 비활성화시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0a, 10b 및 10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공유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와 동영상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동영상 컨텐츠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의 제2 영역(220)에서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와 마주보고 동영상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210)에는 동영상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영역(210)은 제1 바디(101)에 투명 디스플레이부(430)가 형성된 경우 다른 사용자와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101)에 투명 디스플레이부(430)가 형성된 경우라도 검은색으로 디스플레이하여 다른 사용자와 모든 기능을 공유하지 않게 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제1 바디(101)에 투명 디스플레이부(430)를 형성하지 않고 발광형 디스플레이부(410) 또는 반사형 디스플레이부(420)를 형성하여도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210)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1 영역(210)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 영역은 활성화시키고, 제2 영역(220)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 영역은 비활성화시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와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다. 이미지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의 제2 영역(22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와 마주보고 이미지를 볼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210) 및 제3 영역(230)에는 이미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 영역(210)에 좌우 대칭되도록 회전시킨 제어 메뉴를 제공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는 제어 메뉴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3 영역(230)에도 제어 메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제어 메뉴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영역(230)은 다른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제1 영역(210)과는 다르게 사용자가 조작하는 영역에 해당하므로 제1 바디(101)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제3 영역(230)에 해당하는 영역만을 검은색으로 디스플레이하여 다른 사용자와 제3 영역(230)의 기능을 공유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210) 및 제3 영역(230)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1 영역(210)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 영역과 제3 영역(210)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 영역을 활성화시키고, 제2 영역(220)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 영역은 비활성화시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0c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와 주소록을 공유할 수 있다. 주소록은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의 제2 영역(220)에서 디스플레이되어 다른 사용자와 마주보고 주소록을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210)에는 주소록 중 특정 주소록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영역(210)은 제1 바디(101)에 투명 디스플레이부(430)가 형성된 경우 다른 사용자와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101)에 투명 디스플레이부(430)가 형성된 경우라도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에게 공개할 부분만을 투명하게 하고 공개하지 않을 부분은 검은색으로 디스플레이하여 다른 사용자와 일부 주소록만을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210)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1 영역(210)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 영역은 활성화시키고, 제2 영역(220)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 영역은 비활성화시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들이다. 도 11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 및 통신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비디오 처리부(170), 스피커(180), 버튼(181), 카메라(182), 마이크(183), 투명 디스플레이부(190)를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RAM(121), ROM(122), 메인 CPU(123), 그래픽 처리부(12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 125-n), 버스(126)를 포함한다.
RAM(121), ROM(122), 메인 CPU(123), 그래픽 처리부(12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 125-n) 등은 버스(12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내지 12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23)는 저장부(13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3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웹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2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23)는 ROM(12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30)에 저장된 O/S를 RAM(12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23)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21)에 복사하고, RAM(12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2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0)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한편, 상술한 제어부(120)의 동작은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분할된 영역에 제공할 UI 정보 및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영역에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청에 기초하여 일부 영역을 검은색으로 디스플레이하여 공유 기능에 제한을 둘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리모콘 수신부, 버튼부, 터치 패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 및 투명 디스플레이부(190)는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재생 화면,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웹 브라우저 화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 및 투명 디스플레이부(19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 및 투명 디스플레이부(19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 및 투명 디스플레이부(19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기초하여 수신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2 바디(102)가 제1 바디(101)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제1 바디(101)가 오픈되었는지 판단한다(S1210). 제1 바디(101)가 오픈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부(190)가 제1 바디(101)와 겹치는 제1 영역(210)과,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의 나머지 부분인 제2 영역(220)에 대해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S1220).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바디(101)가 오픈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고(S1230),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에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S1240). 그러나,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부(19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바디(101)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110)를 더 포함하며,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하는 S1220 단계는, 제2 바디(102)가 제1 바디(101)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제1 바디(101)의 디스플레이부(110)가 오픈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190)가 디스플레이부(110)와 겹치는 제1 영역(210)과,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의 나머지 부분인 제2 영역(220), 디스플레이부(110)의 나머지 영역인 제3 영역(230)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0)는, OLED, LCD, e-Paper 및 투명 디스플레이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부(190)는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널을 구비하며, 투명 디스플레이부(190)의 제1 영역(210)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영역(210)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 영역은 활성화시키고, 제2 영역(220)에 대응되는 터치 패널 영역은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각 장치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바디가 제1 바디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제1 바디가 오픈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제1 바디와 겹치는 제1 영역과,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부분인 제2 영역에 대해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1 : 제1 바디 102 : 제2 바디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제어부
190 : 투명 디스플레이부

Claims (20)

  1.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일 면에 탑재되며,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연결된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된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 바디가 오픈되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바디와 겹치는 제1 영역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부분인 제2 영역에 대해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 바디의 디스플레이부가 오픈되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겹치는 제1 영역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부분인 제2 영역,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영역인 제3 영역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발광형 디스플레이, 반사형 디스플레이 및 투명 디스플레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터치 패널 영역은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터치 패널 영역은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영역에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 패널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패널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를 커버하는 클로즈 상태에서는 상기 패널부로 제공되는 백라이트를 턴오프하고,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패널부가 노출되면, 상기 패널부로 상기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를 커버하는 클로즈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해 감지되는 상기 사용자 터치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패널부가 노출된 오픈 상태에서는, 상기 패널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주변 객체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을 통해 인식 가능한 경우,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주변 객체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3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객체가 간판(sign)으로 인식되면,
    상기 간판에 대응되는 지역의 지도를 상기 부가 정보로서 상기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객체가 외국어 텍스트를 포함하면,
    상기 외국어 텍스트에 대한 번역문을 상기 부가 정보로서 상기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지도, 텍스트 번역문, 관련 사이트 주소, 관련 이미지, 광고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객체를 사용자 조작에 따라 좌우 대칭 또는 상하 대칭되도록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를 커버하는 클로즈 상태에서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 중 하나에 형성된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이미지 내에 포함된 객체의 에지를 검출하여 상기 주변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주변 객체에 대응되는 부가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상기 제2 바디가 단계적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의 크기는 상기 제2 바디의 슬라이딩 단계에 따라 상이하게 변경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 별로 상이한 레이아웃의 UI 화면을 상기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7.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일 면에 탑재되며,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연결된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된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 바디가 오픈되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바디와 겹치는 제1 영역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부분인 제2 영역에 대해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바디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 바디의 디스플레이부가 오픈되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겹치는 제1 영역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부분인 제2 영역,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영역인 제3 영역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발광형 디스플레이, 반사형 디스플레이 및 투명 디스플레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터치 패널 영역은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터치 패널 영역은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40069791A 2014-06-10 2014-06-10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7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791A KR102207106B1 (ko) 2014-06-10 2014-06-10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4/573,246 US10229649B2 (en) 2014-06-10 2014-12-17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791A KR102207106B1 (ko) 2014-06-10 2014-06-10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295A true KR20150141295A (ko) 2015-12-18
KR102207106B1 KR102207106B1 (ko) 2021-01-25

Family

ID=54769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791A KR102207106B1 (ko) 2014-06-10 2014-06-10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29649B2 (ko)
KR (1) KR10220710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625A1 (ko) * 2016-01-06 2017-07-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7222298A1 (en) * 2016-06-21 2017-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ull color display with intrinsic transparency
US10375365B2 (en) 2014-02-07 2019-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jection system with enhanced color and contrast
US10453371B2 (en) 2014-02-07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 display with color and contrast enhancement
US10554962B2 (en) 2014-02-07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 high transparency display for light field generation
US10565925B2 (en) 2014-02-07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ull color display with intrinsic transparency
KR102364367B1 (ko) * 2020-12-29 2022-02-18 주식회사 부명 다기능 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제어 장치
WO2022075557A1 (ko) * 2020-10-06 2022-04-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2177169A1 (ko) * 2021-02-19 2022-08-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23927B2 (ja) * 2015-01-21 2021-02-0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システム
US10360882B1 (en) * 2016-05-26 2019-07-23 Terence Farmer Semi-transparent interactive axial reading device
US11108002B2 (en) * 2016-09-26 2021-08-31 Pioneer Corporation Light emitting device
US10116924B2 (en) * 2016-11-10 2018-10-30 SK Commercial Construction, Inc. Color analysis and control using an electronic mobile device transparent display screen
US10539806B2 (en) * 2017-03-02 2020-01-21 SK Commercial Construction, Inc. Enhanced transparent display screen for mobile device and methods of operation
US20180341450A1 (en) * 2017-05-24 2018-11-29 Kyocera Corporation Mobile electronic device
CN110060578B (zh) * 2018-01-19 2021-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设备和显示方法
KR20210066285A (ko) * 2019-11-28 2021-06-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188222B2 (en) * 2019-12-05 2021-11-30 Cabin Management Solutions, Llc Multi-arrayed display user interface panel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9292A (ko) * 2007-06-12 2008-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KR20090124324A (ko) * 2008-05-29 2009-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126141A (ko) * 2008-06-03 2009-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영상 촬영 방법
KR20100129044A (ko) * 2009-05-29 2010-12-08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11248208A (ja) * 2010-05-28 2011-12-08 Ntt Docomo Inc 表示装置
JP2012048571A (ja) * 2010-08-27 2012-03-08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KR20120023458A (ko) * 2010-09-03 2012-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JP2012085104A (ja) * 2010-10-12 2012-04-26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US20130155590A1 (en) * 2010-08-27 2013-06-20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terminal device
KR20140017420A (ko) * 2012-08-01 2014-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732B1 (ko) 2007-03-09 2014-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
US20100328223A1 (en) 2009-06-30 2010-12-30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JP5551970B2 (ja) 2010-05-27 2014-07-1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5567446B2 (ja) * 2010-10-12 2014-08-0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2013015788A (ja) * 2011-07-06 2013-01-24 Sony Corp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03423A (ko) 2011-12-22 2012-01-10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EP2693331A3 (en) * 2012-08-01 2014-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2163740B1 (ko) * 2012-10-05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9292A (ko) * 2007-06-12 2008-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KR20090124324A (ko) * 2008-05-29 2009-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126141A (ko) * 2008-06-03 2009-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영상 촬영 방법
KR20100129044A (ko) * 2009-05-29 2010-12-08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11248208A (ja) * 2010-05-28 2011-12-08 Ntt Docomo Inc 表示装置
JP2012048571A (ja) * 2010-08-27 2012-03-08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US20130155590A1 (en) * 2010-08-27 2013-06-20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terminal device
KR20120023458A (ko) * 2010-09-03 2012-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JP2012085104A (ja) * 2010-10-12 2012-04-26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KR20140017420A (ko) * 2012-08-01 2014-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5365B2 (en) 2014-02-07 2019-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jection system with enhanced color and contrast
US10453371B2 (en) 2014-02-07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 display with color and contrast enhancement
US10554962B2 (en) 2014-02-07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 high transparency display for light field generation
US10565925B2 (en) 2014-02-07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ull color display with intrinsic transparency
WO2017119625A1 (ko) * 2016-01-06 2017-07-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853015B2 (en) 2016-01-06 2020-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7222298A1 (en) * 2016-06-21 2017-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ull color display with intrinsic transparency
WO2022075557A1 (ko) * 2020-10-06 2022-04-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364367B1 (ko) * 2020-12-29 2022-02-18 주식회사 부명 다기능 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제어 장치
WO2022177169A1 (ko) * 2021-02-19 2022-08-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29649B2 (en) 2019-03-12
US20150355729A1 (en) 2015-12-10
KR102207106B1 (ko) 202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106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949003B2 (en) Display apparatus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transparency and rendering state of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10509460B2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10375365B2 (en) Projection system with enhanced color and contrast
TWI624786B (zh) 多顯示裝置及控制其顯示器的方法
KR101793628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90130117A (ko) 정보 처리 장치
KR20140017420A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1093601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transparent display
US20080246722A1 (en) Display apparatus
WO2023093458A1 (zh) 确定墨水屏的刷新模式的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0956024B2 (en) Multi-application viewing
KR10224766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971521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80002300A (ko) 투명 플렉서블 양면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는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JP2014222299A (ja)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製造方法
JP2013130841A (ja) 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KR101896099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9013829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