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285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285A
KR20210066285A KR1020190155325A KR20190155325A KR20210066285A KR 20210066285 A KR20210066285 A KR 20210066285A KR 1020190155325 A KR1020190155325 A KR 1020190155325A KR 20190155325 A KR20190155325 A KR 20190155325A KR 20210066285 A KR20210066285 A KR 20210066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transparent display
state
transparen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석효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5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6285A/ko
Priority to US16/932,408 priority patent/US11632890B2/en
Priority to CN202010757240.1A priority patent/CN112864187A/zh
Publication of KR20210066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2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8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two independent displays, e.g. for emitting information from two major sides of the display
    • H01L27/32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01L51/5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제1 투명 표시 패널, 제1 투명 표시 패널과 중첩하고,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제2 투명 표시 패널,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일측을 가압하는 탄성 부재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타측에 배치되고, 제2 투명 표시 패널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정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투명 양면 표시 또는 일반 양면 표시가 모두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면 표시 및 투명 양면 표시가 가능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 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 표시 장치(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 및 퀀텀닷 발광 표시 장치(QLED)와 같은 전계 발광 표시 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양면 발광 표시 장치 및 투명 발광 표시 장치 등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양면 발광 표시 장치의 경우, 앞면과 뒷면에서 모두 영상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앞 뒤 어느 방향에서나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투명 발광 표시 장치의 경우, 투명성이 부여되어 사용자가 투명 발광 표시 장치 뒷편의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양면 발광 표시 장치 또는 투명 발광 표시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고, 새로운 경험을 구현하기 위한 지속적인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투과부 및 발광부를 포함하는 제1 투명 표시 패널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을 통해 투명 양면 표시 또는 일반 양면 표시가 모두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단순한 구조 및 간단한 조작을 통해 투명 양면 표시 또는 일반 양면 표시의 변환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제1 투명 표시 패널, 제1 투명 표시 패널과 중첩하고,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제2 투명 표시 패널,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일측을 가압하는 탄성 부재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타측에 배치되고, 제2 투명 표시 패널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정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제1 투명 표시 패널, 제1 투명 표시 패널과 중첩하고,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제2 투명 표시 패널,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일측을 가압하는 탄성 부재,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타측에 배치되어 제2 투명 표시 패널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정 부재 및 제1 투명 표시 패널과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일측 및 타측을 각각 감싸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복수의 화소는 제2 투명 표시 패널이 이동하는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는 투과부 및 발광부를 포함하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이동에 의하여, 제1 투명 표시 패널의 투과부는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투과부 또는 발광부와 중첩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표시 장치의 제1 투명 표시 패널과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투과부 및 발광부의 중첩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투명 양면 표시 또는 일반 양면 표시 두가지 표시 모드를 모두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의 투명 양면 표시 모드 또는 일반 양면 표시 모드 각각의 구조 및 변환이 단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표시 모드와 제2 표시 모드의 전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중 화소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Ⅳ-Ⅳ’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2c의 Ⅴa-Ⅴa’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2c의 Ⅴb-Ⅴb’의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이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표시 모드와 제2 표시 모드의 전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표시 모드와 제2 표시 모드의 전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면적,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면적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면적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표시 모드와 제2 표시 모드의 전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을 정면에서 바라본 표시 장치(100)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을 정면에서 바라본 표시 장치(100)의 평면도이다. 도 2c는 케이스(140) 내부에서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표시 장치(100)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표시 장치(100)의 제1 표시 모드에서의 제1 투명 표시 패널(1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표시 장치(100)의 제2 표시 모드에서의 제1 투명 표시 패널(1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제2 투명 표시 패널(120), 인쇄 회로 기판(130), 케이스(140), 탄성 부재(151), 조정 라이너(152) 및 조정 부재(160)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100)는 투명 양면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는 양면 발광을 하며,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100)는 후술할 도 4의 발광부(EA)를 통해 발광됨으로써 동영상, 정지 영상, 스틸컷 등의 영상을 양면에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 장치(100)는 양면에서 서로 동일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투과부(TA)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투과함으로써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장치(100)의 전면 및 후면에서 영상을 시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표시 장치(100) 반대편의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은 도 1의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이 위치하는 면을 의미하고, 후면은 도 1의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이 위치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이 위치하는 면이 전면이고,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이 위치하는 면이 후면일 수도 있다.
한편, 표시 장치(100)는 도 3a 및 도 3b와 각각 대응되는 제1 표시 모드 및 제2 표시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 모드는 투명 양면 발광 모드로서, 표시 장치(100)의 양면에서 영상이 표시됨과 동시에 투명성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 표시 모드에서 사용자는 표시 장치(100)의 전면 및 후면에서 영상을 시인할 수 있고, 표시 장치(100) 반대편의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 제2 표시 모드는 일반 양면 발광 모드로서, 투명성이 구현되지 않고, 표시 장치(100)의 양면에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제2 표시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표시 장치(100) 반대편의 사물을 인식할 수 없고, 단순히 표시 장치(100)의 전면 및 후면에서 영상의 시인만이 가능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의 제1 표시 모드 및 제2 표시 모드에 대해서는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은 표시 장치(100)의 전면의 화면을 구성한다. 즉,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은 표시 장치(100)의 전면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은 표시 장치(100)의 외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표시 장치(100)의 전면과 반대되는 후면의 화면을 구성한다. 즉,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표시 장치(100)의 후면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은 표시 장치(100)의 외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탄성 부재(151) 및 조정 부재(160)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 일측은 도 1의 X축인 제1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타측은 도 1의 제1 방향의 우측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이동에 의하여 표시 장치(100)는 제1 표시 모드 또는 제2 표시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a 내지 8b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서로 중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도 1의 Y축인 제2 방향으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이때,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서로 중첩하는 면은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반대면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각각 표시 장치(100)의 전면 및 후면의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표시 장치(100)의 양면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 각각은 투명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표시 영역은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에서 실질적으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케이스(140)에 의하여 노출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은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에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케이스(140)와 중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투명 표시 영역은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표시 장치(100)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투명 표시 영역에는 복수의 화소(PX)가 포함될 수 있다. 화소(PX)는 화면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복수의 화소(PX) 각각은 후술할 도 5의 발광 소자(430) 및 구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투명 표시 영역에는 발광 소자(430)를 구동하기 위한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배선 등과 같은 다양한 구동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구동 소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소자는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게이트 드라이버, 데이터 드라이버 등과 연결되는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등과 같은 신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2a 내지 도 2c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화소(PX)가 서로 이격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질적으로 복수의 화소(PX)는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복수의 화소(PX) 각각은 투과부(TA) 및 발광부(E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투과부(TA)를 통해 빛을 투과시킴으로써,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발광부(EA)를 통해 발광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 각각은 투명 발광 표시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 표시 모드에서,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투과부(TA)는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투과부(TA)와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발광부(EA)는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발광부(EA)와 중첩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는 서로 중첩되는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투과부(TA)를 통해 빛을 투과함으로써 투명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서로 중첩되는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발광부(EA)를 통해 양면으로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2 표시 모드에서,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투과부(TA)는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발광부(EA)와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발광부(EA)는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투과부(TA)와 중첩할 수 있다. 즉, 제2 표시 모드에서는 제1 투명 표시 패널(1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투과부(TA)와 발광부(EA)가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이에, 표시 장치(100)의 전면 및 후면의 투과부(TA)는 반대편 면의 발광부(EA)와 중첩되어 투과부(TA)를 통해 빛이 투과되는 것이 방지되고, 투명성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표시 모드에서 표시 장치(100)는 발광부(EA)를 통해 양면으로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시 모드 및 제2 표시 모드에서의 제1 투명 표시 패널(1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배치 구조와 그 전환 원리에 대해서는 도 6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비표시 영역은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둘레 영역에 배치되고,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은 투명 표시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에는 투명 표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PX)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화소(PX)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IC, 구동 회로, 신호 배선, 플렉서블 필름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구동 IC는 게이트 드라이버, 데이터 드라이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130)은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에 연결된 인쇄 회로 기판(130)만이 도시되었으나, 실질적으로는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에도 또 다른 인쇄 회로 기판(130)이 연결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30)은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 각각의 구동 소자에 각종 제어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30)은 연결 부재(131)를 통해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부재(131)는 가요성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가요성 인쇄 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케이스(140)는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테두리부와 결합된다. 케이스(140)는 제1 케이스(141), 제2 케이스(142), 제3 케이스(143) 및 제4 케이스(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41)는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일측과 결합된다. 제1 케이스(141)는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일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케이스(142)는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타측과 결합된다. 제2 케이스(142)는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타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케이스(143)는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상부와 결합된다. 제3 케이스(143)는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상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4 케이스(144)는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하부와 결합된다. 제4 케이스(144)는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하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인쇄 회로 기판(130) 및 연결 부재(131)는 제4 케이스(144)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c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151)는 케이스(140)와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일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151)는 제1 케이스(141)의 내면과 조정 라이너(1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1)는 탄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되며, 압축된 상태로 제1 케이스(141)와 조정 라이너(1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151)는 복원력에 의하여 조정 라이너(152)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151)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c에서는 탄성 부재(151)가 3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c를 참조하면, 조정 라이너(152)는 탄성 부재(151)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 사이에 배치된다. 조정 라이너(152)는 탄성 부재(151) 및 조정 부재(160)에 의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조정 라이너(152)는 탄성 부재(151)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제2 투명 표시 패널(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조정 라이너(152)의 이동에 의하여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이 이동함으로써, 표시 장치(100)가 제1 표시 모드 또는 제2 표시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c에서는 조정 라이너(152)가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일측면 전체와 대응되도록 하나로 구성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정 라이너(152)는 탄성 부재(151)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조정 부재(160)는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타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조정 부재(160)는 제2 케이스(142)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정 부재(160)는 메인 조정부(161) 및 푸시 라이너(16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조정부(161)는 제2 케이스(142)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메인 조정부(161)의 일부는 제2 케이스(142)의 외부로 돌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 케이스(142)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메인 조정부(161)는 푸시 라이너(162)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조정부(161)는 회전 볼트 또는 스프링 클램프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메인 조정부(161)가 회전 볼트일 경우, 외부에 배치된 헤드부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메인 조정부(161)가 스프링 클램프일 경우, 스프링 작동에 의하여 메인 조정부(161)가 이동하고, 클램프에 의하여 메인 조정부(161)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메인 조정부(161)가 회전 볼트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메인 조정부(161)가 회전에 의하여 제2 투명 표시 패널(1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푸시 라이너(162)는 탄성 부재(151)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2 케이스(142)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메인 조정부(161)가 회전에 의하여 제2 투명 표시 패널(12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탄성 부재(151)가 압축되어 푸시 라이너(162)는 제2 케이스(142)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c에서는 메인 조정부(161)가 3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메인 조정부(161)는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을 기준으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151)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푸시 라이너(162)는 메인 조정부(161)와 제2 투명 표시 패널(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푸시 라이너(162)는 메인 조정부(161)에 의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푸시 라이너(162)의 이동에 의하여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이 이동함으로써, 표시 장치(100)가 제1 표시 모드 또는 제2 표시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c에서는 푸시 라이너(162)가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타측면 전체와 대응되도록 하나로 구성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푸시 라이너(162)는 메인 조정부(161)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중 화소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Ⅳ-Ⅳ’의 단면도이다. 도 5의 투명 표시 패널(400)은 도 1의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일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화소(PX)는 투과부(TA) 및 발광부(EA)를 포함한다. 투과부(TA)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가 투과되는 영역일 수 있다. 발광부(EA)는 발광이 이루어짐으로써 실제 화상이 구현되는 영역일 수 있다. 투과부(TA) 및 발광부(EA)는 제1 방향을 기준으로 화소(PX)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투과부(TA)가 화소(PX)의 좌측에 배치될 경우, 발광부(EA)는 화소(PX)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발광부(EA)가 화소(PX)의 좌측에 배치될 경우, 투과부(TA)는 화소(PX)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좌우 이동에 의하여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투과부(TA)는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투과부(TA) 또는 발광부(EA)와 중첩될 수 있다. 또는,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좌우 이동에 의하여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발광부(EA)는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투과부(TA) 또는 발광부(EA)와 중첩될 수 있다.
한편, 투과부(TA) 및 발광부(EA)는 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좌우 이동 대신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즉,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투과부(TA)가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투과부(TA) 또는 발광부(EA)와 중첩되거나,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발광부(EA)가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투과부(TA) 또는 발광부(EA)와 중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제1 표시 모드 또는 제2 표시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제1 표시 모드일 경우,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투과부(TA)끼리 서로 중첩되고, 발광부(EA)끼리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표시 모드에서 사용자는 발광부(EA)의 영상과 투과부(TA)를 통한 배경을 동시에 시인할 수 있다. 제2 표시 모드일 경우,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 중 어느 하나의 투과부(TA)는 다른 하나의 발광부(EA)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2 표시 모드에서 사용자는 발광부(EA)의 영상만을 시인할 수 있다. 한편, 제1 표시 모드 및 제2 표시 모드에서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동일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하나의 화소(PX)는 복수의 서브 화소(SP)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소(SP)는 발광부(EA)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소(SP)는 적색 서브 화소, 녹색 서브 화소, 청색 서브 화소 및 백색 서브 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투명 표시 패널(400)의 화소(PX)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투명 표시 패널(400)은 제1 기판(410), 트랜지스터(420), 발광 소자(430), 제2 기판(450) 및 컬러 필터(460)를 포함한다.
제1 기판(410)은 투명 표시 패널(400)의 여러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기판이다. 제1 기판(410)은 유리 또는 연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기판(410)은 표시 장치(1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투명 표시 패널(1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각각의 제1 기판(410)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410) 상에 버퍼층(411)이 배치된다. 버퍼층(411)은 버퍼층(411) 상에 형성되는 층들과 제1 기판(410)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제1 기판(410)으로부터 유출되는 알칼리 성분 등을 차단할 수 있다. 버퍼층(411)은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화 실리콘(SiOx)의 단일층 또는 질화 실리콘(SiNx)과 산화 실리콘(SiOx)의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퍼층(411)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퍼층(411)은 제1 기판(410)의 종류 및 물질, 트랜지스터(420)의 구조 및 타입 등에 기초하여 생략될 수도 있다.
트랜지스터(420)는 버퍼층(411) 상에 배치되어 발광 소자(4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트랜지스터(420)는 액티브층(421), 게이트 전극(422), 소스 전극(423) 및 드레인 전극(424)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트랜지스터(420)는 구동 트랜지스터이고, 게이트 전극(422)이 액티브층(421) 상에 배치되는 탑 게이트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이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트랜지스터(420)는 바텀 게이트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도 있다.
트랜지스터(420)의 액티브층(421)은 버퍼층(411) 상에 배치된다. 액티브층(421)은 트랜지스터(420) 구동 시 채널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액티브층(421)은 산화물(oxide) 반도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a-Si), 다결정 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poly-Si), 또는 유기물(organic) 반도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액티브층(421) 상에는 게이트 절연층(412)이 배치된다. 게이트 절연층(412)은 무기물인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화 실리콘(SiOx)의 단일층 또는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화 실리콘(SiOx)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412)에는 소스 전극(423) 및 드레인 전극(424) 각각이 액티브층(421)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 각각에 컨택하기 위한 컨택홀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층(4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410) 전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게이트 전극(422)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패터닝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 전극(422)은 게이트 절연층(412) 상에 배치된다. 게이트 전극(422)은 액티브층(421)의 채널 영역과 중첩하도록 게이트 절연층(412) 상에 배치된다. 게이트 전극(422)은 다양한 금속 물질, 예를 들어,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합금,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다.
게이트 전극(422) 상에는 층간 절연층(413)이 배치된다. 층간 절연층(413)은 무기물인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화 실리콘(SiOx)의 단일층 또는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화 실리콘(SiOx)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413)에는 소스 전극(423) 및 드레인 전극(424) 각각이 액티브층(421)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 각각에 컨택하기 위한 컨택홀이 형성된다.
소스 전극(423) 및 드레인 전극(424)은 층간 절연층(413) 상에 배치된다. 소스 전극(423) 및 드레인 전극(424)은 게이트 절연층(412) 및 층간 절연층(413)의 컨택홀을 통해 액티브층(4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소스 전극(423) 및 드레인 전극(424)은 다양한 금속 물질, 예를 들어,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둘 이상의 합금,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투명 표시 패널(400)에 포함되는 다양한 트랜지스터(420) 중 구동 트랜지스터만을 도시하였으나, 스위칭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다른 트랜지스터들도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랜지스터(420) 상에는 트랜지스터(420)를 보호하기 위한 패시베이션층(414)이 배치된다. 패시베이션층(414)에는 트랜지스터(420)의 드레인 전극(424)을 노출시키기 위한 컨택홀이 형성된다. 도 5에서는 패시베이션층(414)에 드레인 전극(424)을 노출시키기 위한 컨택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소스 전극(423)을 노출시키기 위한 컨택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패시베이션층(414)은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화 실리콘(SiOx)의 단일층 또는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화 실리콘(SiOx)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패시베이션층(414)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414) 상에는 트랜지스터(420)의 상부를 평탄화하기 위한 오버 코팅층(415)이 배치된다. 오버 코팅층(415)에는 트랜지스터(420)의 드레인 전극(424)을 노출시키기 위한 컨택홀이 형성된다. 도 5에서는 오버 코팅층(415)에 드레인 전극(424)을 노출시키기 위한 컨택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소스 전극(423)을 노출시키기 위한 컨택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오버 코팅층(415)은 아크릴(acryl) 수지, 에폭시(epoxy) 수지, 페놀(phenol) 수지, 폴리아미드(polyamide) 수지,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수지, 폴리페닐렌(polyphenylene)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수지,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및 포토레지스트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430)는 오버 코팅층(415) 상에 배치된다. 발광 소자(430)는 오버 코팅층(415) 상에 형성되어 트랜지스터(420)의 드레인 전극(4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431), 제1 전극(431) 상에 배치된 발광층(432) 및 발광층(432) 상에 형성된 제2 전극(43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극(431)은 애노드(anode) 전극일 수 있고, 제2 전극(433)은 캐소드(cathode)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431)은 오버 코팅층(415) 상에 배치되어 패시베이션층(414)과 오버 코팅층(415)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드레인 전극(4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전극(431)은 발광층(432)에 정공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함수가 높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431)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인듐 주석 아연 산화물(Indium Tin Zinc Oxide, ITZO), 아연 산화물(Zinc Oxide, ZnO) 및 주석 산화물(Tin Oxide, TO) 계열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투명 표시 패널(400)이 탑 에미션 방식의 표시 패널일 경우, 발광 소자(430) 또한 탑 에미션 방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표시 패널(400)은 표시 장치(10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영상을 시인하기 위한 탑 에미셔 방식의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탑 에미션 방식의 경우, 제1 전극(431)의 하부에는 발광층(432)에서 발광된 광을 제2 전극(433) 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층이 배치될 수 있다. 반사층은 은(Ag) 또는 은 합금(Ag alloy)과 같은 반사성이 우수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에서는 제1 전극(431)이 컨택홀을 통해 트랜지스터(420)의 드레인 전극(4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트랜지스터(420)의 종류, 구동 회로의 설계 방식 등을 통해 제1 전극(431)이 컨택홀을 통해 트랜지스터(420)의 소스 전극(4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전극(431) 및 오버 코팅층(415) 상에는 뱅크(416)가 배치된다. 뱅크(416)는 발광 소자(430)의 제1 전극(431)의 일부를 커버하여 발광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뱅크(416)는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뱅크(416)는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 아크릴(acryl) 수지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층(432)은 제1 전극(431) 상에 배치된다. 발광층(432)은 백색 발광층일 수 있다. 발광층(432)은 정공 수송층, 정공 주입층, 정공 저지층, 전자 주입층, 전자 저지층, 전자 수송층 등과 같은 다양한 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전극(433)은 발광층(432) 상에 배치된다. 제2 전극(433)은 발광층(432)으로 전자를 공급한다. 제2 전극(433)은 일함수가 낮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 표시 패널(400)이 탑 에미션 방식이므로, 발광층(432)에서 발광된 광이 제2 전극(433)을 통과하여 외부로 출사될 수 있도록, 제2 전극(433)은 투명 또는 반투과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433)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 Oxide, IZO), 인듐 주석 아연 산화물(Indium Tin Zinc Oxide, ITZO), 아연 산화물(Zinc Oxide, ZnO) 및 주석 산화물(Tin Oxide, TO) 계열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 또는 이테르븀(Yb)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제2 전극(433)은 매우 얇은 두께의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상술한 재료들로 제2 전극(433)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430) 상에는 봉지층(440)이 배치된다. 예를 들면, 봉지층(440)은 발광 소자(430)를 덮도록 제2 전극(433) 상에 배치된다. 봉지층(440)은 제2 전극(433) 상에 배치되어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억제할 수 있다. 봉지층(440)은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질화물(SiNxOy) 또는 산화알루미늄(AlyOz) 등과 같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기판(450)은 제1 기판(410)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기판(450)은 유리 또는 연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기판(450)은 표시 장치(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제2 기판(450)은 표시 장치(100)의 전면과 대응되고,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제2 기판(450)은 표시 장치(100)의 후면과 대응될 수 있다.
컬러 필터(460)는 제2 기판(450) 하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컬러 필터(460)는 제2 기판(450)과 밀봉 부재(470) 사이에 배치된다. 컬러 필터(460)는 백색 광을 특정 색상의 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적색 컬러 필터, 녹색 컬러 필터 및 청색 컬러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서브 화소(SP)가 적색 서브 화소일 경우, 컬러 필터(460)는 적색 컬러 필터일 수 있다. 또한, 서브 화소(SP)가 녹색 서브 화소일 경우, 컬러 필터(460)는 녹색 컬러 필터일 수 있다. 또한, 서브 화소(SP)가 청색 서브 화소일 경우, 컬러 필터(460)는 청색 컬러 필터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기판(410)과 제2 기판(450) 사이에는 밀봉 부재(470)가 배치될 수 있다. 밀봉 부재(470)는 제1 기판(410)과 제2 기판(450)을 접착할 수 있다. 또한, 밀봉 부재(470)는 투명 표시 패널(400)의 내부 구성 요소들을 외부의 습기, 공기,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투과부(TA)에는 트랜지스터(420) 및 발광 소자(430)가 배치되지 않는다. 즉, 투과부(TA)는 투명 표시 패널(400)의 반대편에서 보이는 사물이 인식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투과부(TA)에서는 빛이 제1 기판(410)으로부터 제2 기판(450) 또는 제2 기판(450)으로부터 제1 기판(410)으로 투과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투과부(TA)에는 트랜지스터(420) 및 발광 소자(430)를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투과부(TA)의 투명성 또는 반투과성을 구현할 수 있다.
발광부(EA)에는 트랜지스터(420), 발광 소자(430) 및 컬러 필터(460)가 배치된다. 즉, 발광부(EA)는 트랜지스터(420)와 같은 구동 소자, 발광 소자(430) 및 컬러 필터(460)가 배치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EA)에는 복수의 서브 화소(SP)가 포함될 수 있다.
투과부(TA)와 발광부(EA)는 화소(PX) 내에서 유사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부(TA)와 발광부(EA)의 화소(PX) 내에서의 폭은 45:55 내지 55:45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을 화소(PX) 너비의 1/2만큼 미세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투과부(TA) 및 발광부(EA)의 배치 구조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즉, 단순 조작만으로 표시 장치(100)의 제1 표시 모드 또는 제2 표시 모드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표시 장치(100)의 제1 표시 모드 또는 제2 표시 모드의 전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는 도 2c의 Ⅴa-Ⅴa’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2c의 Ⅴb-Ⅴb’의 단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1 케이스(141)는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과 결합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케이스(141)는 제1 방향(X축)의 우측이 개방되어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41)는 탄성 부재(151) 및 조정 라이너(152)를 수용하는 수용부(141a)를 포함한다. 수용부(141a)는 제1 케이스(141)의 개방된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1)의 일측은 제1 케이스(141)의 수용부(141a)의 내면과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1)의 타측은 조정 라이너(152)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1)는 조정 라이너(152) 또는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에 의하여 압축되어 조정 라이너(152)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
조정 라이너(152)는 몸체(152a) 및 돌출부(152b)를 포함한다. 몸체(152a)는 탄성 부재(151)와 고정될 수 있다. 돌출부(152b)는 몸체(152a)로부터 돌출되어 제2 투명 표시 패널(120)과 접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52b)는 수용부(141a)와 제1 케이스(141)의 개방된 영역 사이의 연결 영역을 통해 제2 투명 표시 패널(120)과 접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52b)의 제2 방향(Y축)에 대한 폭은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제2 방향에 대한 폭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52b)는 탄성 부재(151)의 복원력을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에만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2 케이스(142)는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과 결합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2 케이스(142)는 제1 방향의 좌측이 개방되어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케이스(142)는 조정 부재(160)와 결합되는 결합홀(142a)을 포함한다. 결합홀(142a)은 제2 케이스(142)의 개방된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조정 부재(160)는 메인 조정부(161) 및 푸시 라이너(162)를 포함한다. 메인 조정부(161)는 헤드부(161a) 및 삽입부(161b)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161a)는 제2 케이스(14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케이스(142) 외측의 헤드부(161a)를 통해 조정 부재(160)를 제1 방향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161a)를 회전시킴에 의해 조정 부재(16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헤드부(161a)는 사용자에 의하여 회전되거나 별도의 스위치를 통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삽입부(161b)는 헤드부(161a)로부터 연장되어 제2 케이스(142)의 결합홀(142a)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홀(142a)의 내면은 삽입부(161b)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부(161a)의 회전에 의하여 삽입부(161b)가 회전함으로써 결합홀(142a)의 내부 또는 외부 방향으로 메인 조정부(161)가 이동할 수 있다.
푸시 라이너(162)는 삽입부(161b)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시 라이너(162)의 일부는 삽입부(161b)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푸시 라이너(162)는 제2 투명 표시 패널(120)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푸시 라이너(162)는 메인 조정부(161)의 이동에 의하여 함께 이동함으로써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푸시 라이너(162)의 제2 방향(에 대한 폭은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제2 방향에 대한 폭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따라서, 푸시 라이너(162)는 제2 투명 표시 패널(120)만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8b를 함께 참조하여 표시 장치의 제1 표시 모드 또는 제2 표시 모드의 전환 원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이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표시 모드와 제2 표시 모드의 전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a의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배치 상태는 도 6a 및 도 6b와 대응될 수 있다. 도 8b의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배치 상태는 도 7a 및 도 7b와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도 8a 및 도 8b의 서로 인접한 투과부(TA) 및 발광부(EA)는 하나의 화소(PX)를 구성할 수 있다.
도 6a, 도 6b 및 도 8a를 참조하면, 제1 투명 표시 패널(1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120) 각각의 일측 및 타측은 동일 선 상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제1 투명 표시 패널(1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일측면과 타측면은 제2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 동일 선 상에 배치된다. 이처럼, 제1 투명 표시 패널(1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일측 및 타측이 동일 선 상에 배치되는 상태를 제1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1 상태에서,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투과부(TA)는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투과부(TA)와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발광부(EA)는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발광부(EA)와 중첩할 수 있다. 즉, 제1 상태에서 표시 장치(100)는 전면 및 후면에서 발광부(EA)의 영상과 투과부(TA)를 통한 배경을 동시에 시인할 수 있는 제1 표시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제1 상태에서 표시 장치(100)가 구동되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투과부(TA)를 통해 표시 장치(100) 반대편에 배치되는 사물을 시인할 수 있다.
도 7a, 도 7b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1 투명 표시 패널(1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일측 및 타측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즉, 제1 투명 표시 패널(1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일측 및 타측은 제2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 동일 선 상에 배치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일측면은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일측면보다 우측에 배치되고,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타측면은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타측면보다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투명 표시 패널(1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일측 및 타측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상태를 제2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조정부(161)가 제2 투명 표시 패널(1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7b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라이너(162)는 메인 조정부(161)와 함께 제2 투명 표시 패널(1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조정 라이너(152)에 의하여 탄성 부재(151)의 복원력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즉,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케이스(141)에서 제2 케이스(142)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부재(151)의 복원력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조정 부재(160)가 제2 케이스(142)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 부재(151)의 복원력에 의하여 도 7a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이 제1 방향의 우측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일측 및 타측은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일측 및 타측과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이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의 우측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제1 투명 표시 패널(1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제2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투과부(TA)는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발광부(EA)와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발광부(EA)는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투과부(TA)와 중첩할 수 있다. 즉, 제2 상태에서 표시 장치(100)는 전면 및 후면에서 발광부(EA)의 영상만을 시인할 수 있는 제2 표시 모드일 수 있다.
제2 표시 모드에서 제1 표시 모드로 전환 시에는 조정 부재(160)를 제2 케이스(142)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조정 라이너(152)와 함께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며 탄성 부재(151)를 압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다시 도 6a, 도 6b 및 도 8a의 제1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제1 표시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전환될 때,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이동 거리는 화소(PX)의 제1 방향에 대한 너비의 1/2과 대응될 수 있다. 이때, 화소(PX)는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투과부(TA) 및 발광부(E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소(PX) 내에서 투과부(TA) 및 발광부(EA)의 제1 방향에 대한 폭은 서로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을 화소(PX)의 제1 방향에 대한 너비의 1/2만큼 이동시킴으로써, 투명 양면 발광 모드인 제1 표시 모드와 일반 양면 발광 모드인 제2 표시 모드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조정 부재(160)는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이 화소(PX) 너비의 1/2만큼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정 부재(160)의 메인 조정부(161)는 제2 투명 표시 패널(120)과 멀어지는 우측 방향 또는 가까워지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조정부(161)가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우측으로 최대 이동했을 때와 좌측으로 최대 이동했을 때 사이의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이동 거리는 화소(PX) 너비의 1/2일 수 있다. 즉, 메인 조정부(161)는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이 화소(PX) 너비의 1/2만큼만 이동하고 더 이상 이동될 수 없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직접 메인 조정부(161)를 조절하더라도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이 화소(PX) 너비의 1/2보다 더 많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이 불필요하게 많이 이동되어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의 전환이 부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조정부(161)가 회전 볼트일 경우, 회전 볼트를 제2 투명 표시 패널(120)과 멀어지는 방향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최대 회전 시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화소(PX) 너비의 1/2만큼 이동될 수 있다. 회전 볼트의 최대 회전 이후, 회전 볼트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거나, 회전되더라도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더 이상 이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이 화소(PX) 너비의 1/2만큼만 이동하도록 임의로 회전 볼트의 회전량을 계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편하게 표시 장치를 제1 표시 모드 또는 제2 표시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전환 시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만약,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이 화소(PX) 너비의 1/4만큼 이동하는 경우,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 중 어느 하나의 투과부(TA)가 다른 하나의 투과부(TA) 및 발광부(EA)와 동시에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표시 모드에서 투과부(TA)끼리 중첩되는 영역의 면적이 작아지므로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화소(PX) 너비의 1/2은 0.3mm 내지 0.5mm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1 투명 표시 패널(1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120) 각각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투과부(TA) 및 발광부(EA)의 위치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좌측에는 투과부(TA)가 배치되고, 우측에는 발광부(EA)가 배치될 수 있다. 반면,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좌측에는 발광부(EA)가 배치되고, 우측에는 투과부(TA)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6a, 도 6b 및 도 8a의 상태를 제1 상태로 정의하고, 도 7a, 도 7b 및 도 8b의 상태를 제2 상태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도 7a, 도 7b 및 도 8b의 상태를 제1 상태로 정의하고, 도 6a, 도 6b 및 도 8a의 상태를 제2 상태로 정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될 때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이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상태로 전환될 때,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상태에서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일측은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일측보다 좌측에 배치되고,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타측은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타측보다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의 전환 시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을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투명 표시 패널(120) 대신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을 이동시킴으로써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반적인 투명 표시 장치는 하나의 화소 내에 투과부 및 발광부를 포함한다. 이에, 투과부를 통하여 투명 표시 장치 후면에 위치하는 배경을 인식할 수 있고, 발광부를 통하여 영상의 시인이 가능했다. 다만, 투명 표시 장치의 전면에서만 영상의 시인 및 배경 인식이 가능하였으며, 후면에서는 영상의 시인이 불가능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을 포함함으로써, 전면 및 후면에서 모두 영상의 시인 및 배경 인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투과부(TA)끼리 중첩하고, 발광부(EA)끼리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투명 양면 발광 모드인 제1 표시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전면 및 후면에서 영상의 시인만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은 하나의 패널의 투과부(TA)가 다른 패널의 발광부(EA)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일반 양면 발광 모드인 제2 표시 모드로 구동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투명 양면 발광 및 일반 양면 발광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를 상황에 따라 투면 양면 발광 또는 일반 양면 발광으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표시 모드 또는 제2 표시 모드로의 전환은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을 화소 폭의 1/2만을 이동시킴으로써, 단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정 부재(160)의 이동 및 탄성 부재(15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표시 모드 또는 제2 표시 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단순한 구조 및 간편한 조작에 의하여 표시 장치(100)의 모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표시 모드와 제2 표시 모드의 전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a 및 도 9b의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8b의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화소(PX)의 구조를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9a의 투명 표시 패널(810, 820) 사이의 배치 관계는 도 6a 및 도 6b와 대응될 수 있다. 도 9b의 투명 표시 패널(810, 820) 사이의 배치 관계는 도 7a 및 도 7b와 대응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제1 투명 표시 패널(8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820) 각각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투과부(TA) 및 발광부(EA)의 위치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투명 표시 패널(810)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제1 투명 표시 패널(810)의 좌측에는 투과부(TA)가 배치되고, 우측에는 발광부(EA)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투명 표시 패널(820)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제2 투명 표시 패널(820)의 좌측에는 투과부(TA)가 배치되고, 우측에는 발광부(EA)가 배치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1 투명 표시 패널(8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820) 각각의 일측 및 타측은 동일 선 상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제1 투명 표시 패널(8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820)의 일측면과 타측면은 제2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 동일 선 상에 배치된다. 이처럼, 제1 투명 표시 패널(8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820)의 일측 및 타측이 동일 선 상에 배치되는 상태를 제1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상태에서, 제1 투명 표시 패널(810)의 투과부(TA)는 제2 투명 표시 패널(820)의 발광부(EA)와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제1 투명 표시 패널(810)의 발광부(EA)는 제2 투명 표시 패널(820)의 투과부(TA)와 중첩할 수 있다. 즉, 제1 상태에서 표시 장치는 전면 및 후면에서 발광부(EA)의 영상만을 시인할 수 있는 제2 표시 모드일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1 투명 표시 패널(8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820)의 일측 및 타측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즉, 제1 투명 표시 패널(8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820)의 일측 및 타측은 제2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 동일 선 상에 배치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2 투명 표시 패널(820)의 일측면은 제1 투명 표시 패널(810)의 일측면보다 우측에 배치되고, 제2 투명 표시 패널(820)의 타측면은 제1 투명 표시 패널(810)의 타측면보다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투명 표시 패널(8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820)의 일측 및 타측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상태를 제2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제1 투명 표시 패널(810)의 투과부(TA)는 제2 투명 표시 패널(820)의 투과부(TA)와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제1 투명 표시 패널(810)의 발광부(EA)는 제2 투명 표시 패널(820)의 발광부(EA)와 중첩할 수 있다. 즉, 제1 상태에서 표시 장치는 전면 및 후면에서 발광부(EA)의 영상과 투과부(TA)를 통한 배경을 동시에 시인할 수 있는 제1 표시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의 전환은 앞서 설명한 도 6a 내지 도 7b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상태에서 조정 부재(160)의 조작을 통해 제2 상태로 전환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조정 부재(160)가 제2 케이스(142)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 부재(151)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2 투명 표시 패널(820)이 제1 방향(X축)의 우측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 시, 제2 투명 표시 패널(820)은 도 8b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의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제2 투명 표시 패널(820)의 일측 및 타측은 제1 투명 표시 패널(810)의 일측 및 타측과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부터 표시 장치는 제2 표시 모드에서 제1 표시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제2 상태에서 조정 부재(160)의 조작을 통해 다시 제1 상태로 전환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조정 부재(160)가 제2 케이스(142)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투명 표시 패널(820) 및 조정 라이너(152)는 탄성 부재(151)를 가압하며 제1 방향의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부터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모드에서 제2 표시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9a의 상태를 제1 상태로 정의하고, 도 9b의 상태를 제2 상태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도 9b의 상태를 제1 상태로 정의하고, 도 9a의 상태를 제2 상태로 정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될 때 제2 투명 표시 패널(820)이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상태로 전환될 때, 제2 투명 표시 패널(820)은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상태에서 제2 투명 표시 패널(820)의 일측은 제1 투명 표시 패널(810)의 일측보다 좌측에 배치되고, 제2 투명 표시 패널(820)의 타측은 제1 투명 표시 패널(810)의 타측보다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의 전환 시 제2 투명 표시 패널(820)을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투명 표시 패널(820) 대신 제1 투명 표시 패널(810)을 이동시킴으로써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투명 표시 패널(8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820)이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투명 표시 패널(8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820) 각각의 화소(PX)는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에는 투과부(TA)가 배치되고 우측에는 발광부(EA)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투명 표시 패널을 통해 표시 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이 보다 단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의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8b의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제1 케이스(941)의 구조를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케이스(941)는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과 결합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케이스(941)는 제1 방향(X축)의 우측이 개방되어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941)는 탄성 부재(151) 및 조정 라이너(152)를 수용하는 수용부(941a)를 포함한다. 수용부(941a)는 제1 케이스(141)의 개방된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 1 케이스(941)는 수용부(941a)로부터 연장되는 고정홈(94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홈(941b)에는 조정 라이너(152)의 몸체(152a)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방향(X축)을 기준으로, 고정홈(941b)의 너비는 수용부(941a)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을 기준으로, 고정홈(941b)의 너비는 몸체(152a)의 너비와 화소(PX) 너비의 1/2을 더한 것과 대응될 수 있다. 이때, 고정홈(941b)에는 몸체(152a)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고정홈(941b)에는 화소(PX) 너비의 1/2과 대응되는 여유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52a)는 고정홈(941b) 내에서 화소(PX) 너비의 1/2만큼씩만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케이스(941)에 몸체(152a)의 일부가 삽입되는 고정홈(94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홈(941b)은 몸체(152a)가 화소의 제1 방향의 너비의 1/2만큼 이동할 수 있는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몸체(152a)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화소(PX) 너비의 1/2만큼씩만 이동하므로, 제1 상태인 제1 표시 모드 또는 제2 상태인 제2 표시 모드로의 전환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홈(941b)을 통해 제1 투명 표시 패널(1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초기 얼라인(align)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이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 사이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홈(941b)을 형성함으로써, 제1 투명 표시 패널(110)과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얼라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고정홈(941b)을 통해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여 표시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의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8b의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고정 부재(1070)를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제1 케이스(141) 및 제2 케이스(142)는 제1 투명 표시 패널(110)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이 결합되는 개방된 영역을 포함한다. 이때, 제1 케이스(141)의 개방된 영역과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사이 및 제2 케이스(142)의 개방된 영역과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사이에는 고정 부재(1070)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1070)는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때,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부재(1070)는 양면 접착 테이프 또는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a 및 도 11b에서는 고정 부재(1070)가 제1 케이스(141) 및 제2 케이스(142)의 내측에 모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둘 중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을 제1 케이스(141) 또는 제2 케이스(142)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107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때,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이 함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투명 표시 패널(110)을 제1 케이스(141) 또는 제2 케이스(142)에 고정시킴으로써, 제2 투명 표시 패널(120)의 이동에 의한 제1 표시 모드 또는 제2 표시 모드의 전환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제1 투명 표시 패널, 제1 투명 표시 패널과 중첩하고,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제2 투명 표시 패널,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일측을 가압하는 탄성 부재 및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타측에 배치되고, 제2 투명 표시 패널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정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화소 각각은 투과부 및 발광부를 포함하고, 투과부는 제2 투명 표시 패널이 이동하는 제1 방향을 기준으로 화소 내의 좌측에 배치되고, 발광부는 제2 투명 표시 패널이 이동하는 제1 방향을 기준으로 화소 내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투명 표시 패널은 조정 부재에 의하여 이동됨으로써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전환되고, 제1 상태는 제1 투명 표시 패널과 제2 투명 표시 패널 각각의 일측 및 타측이 동일 선 상에 배치되는 상태이고, 제2 상태는 제1 투명 표시 패널과 제2 투명 표시 패널 각각의 일측 및 타측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전환될 때의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이동 거리는 화소의 제1 방향의 너비의 1/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상태에서 제1 투명 표시 패널의 투과부와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투과부가 서로 중첩될 경우, 제2 상태에서 제1 투명 표시 패널의 투과부와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발광부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상태에서 제1 투명 표시 패널의 투과부와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발광부가 서로 중첩될 경우, 제2 상태에서 제1 투명 표시 패널의 투과부와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투과부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투명 표시 패널과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일측 및 타측을 각각 감싸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탄성 부재는 제1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조정 부재는 제2 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탄성 부재와 제2 투명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조정 라이너를 더 포함하고, 조정 라이너는, 탄성 부재와 접하는 몸체 및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제2 표시 패널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탄성 부재, 상기 조정 라이너 및 상기 조정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몸체의 일부는 제1 케이스 내의 고정홈에 삽입되고, 고정홈은 몸체가 화소의 너비의 1/2만큼 이동할 수 있는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투명 표시 패널을 제1 케이스 또는 제2 케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조정 부재는, 제2 투명 표시 패널과 멀어지는 방향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이동을 제어하는 메인 조정부 및 메인 조정부와 제2 투명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푸시 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메인 조정부가 제2 투명 표시 패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최대 이동했을 때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최대 이동했을 때 사이의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이동 거리는 화소의 너비의 1/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제1 투명 표시 패널, 제1 투명 표시 패널과 중첩하고,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제2 투명 표시 패널,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일측을 가압하는 탄성 부재,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타측에 배치되어 제2 투명 표시 패널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정 부재 및 제1 투명 표시 패널과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일측 및 타측을 각각 감싸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복수의 화소는 제2 투명 표시 패널이 이동하는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는 투과부 및 발광부를 포함하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이동에 의하여, 제1 투명 표시 패널의 투과부는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투과부 또는 발광부와 중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탄성 부재는 제1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조정 부재는 제2 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탄성 부재와 제2 투명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조정 라이너를 더 포함하고, 조정 라이너는, 탄성 부재와 접하는 몸체 및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제2 표시 패널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몸체의 일부는 제1 케이스 내의 고정홈에 삽입되고, 고정홈은 몸체가 화소의 너비의 1/2만큼 이동할 수 있는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조정 부재는, 제2 투명 표시 패널과 멀어지는 방향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이동을 제어하는 메인 조정부 및 메인 조정부와 제2 투명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푸시 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메인 조정부가 제2 투명 표시 패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최대 이동했을 때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최대 이동했을 때 사이의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이동 거리는 화소의 너비의 1/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투명 표시 패널은 조정 부재에 의하여 이동됨으로써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전환되고, 제1 상태는 제1 투명 표시 패널과 제2 투명 표시 패널 각각의 일측 및 타측이 동일 선 상에 배치되는 상태이고, 제2 상태는 제1 투명 표시 패널과 제2 투명 표시 패널 각각의 일측 및 타측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상태이며,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전환될 때의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이동 거리는 화소의 제1 방향의 너비의 1/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상태에서 제1 투명 표시 패널의 투과부와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투과부가 서로 중첩될 경우, 제2 상태에서 제1 투명 표시 패널의 투과부와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발광부가 서로 중첩되고, 제1 상태에서 제1 투명 표시 패널의 투과부와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발광부가 서로 중첩될 경우, 제2 상태에서 제1 투명 표시 패널의 투과부와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투과부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 장치
110, 810: 제1 투명 표시 패널
120, 820: 제2 투명 표시 패널
130: 인쇄 회로 기판
131: 연결 부재
140: 케이스
141, 941: 제1 케이스
142: 제2 케이스
143: 제3 케이스
144: 제4 케이스
141a, 941a: 수용부
142a: 결합홀
151: 탄성 부재
152: 조정 라이너
152a: 몸체
152b: 돌출부
160: 조정 부재
161: 메인 조정부
161a: 헤드부
161b: 삽입부
162: 푸시 라이너
400: 투명 표시 패널
410: 제1 기판
411: 버퍼층
412: 게이트 절연층
413: 층간 절연층
414: 패시베이션층
415: 오버 코팅층
416: 뱅크
420: 트랜지스터
421: 액티브층
422: 게이트 전극
423: 소스 전극
424: 드레인 전극
430: 발광 소자
431: 제1 전극
432: 발광층
433: 제2 전극
440: 봉지층
450: 제2 기판
460: 컬러 필터
470: 밀봉 부재
1070: 고정 부재
941b: 고정홈
PX: 화소
SP: 서브 화소
TA: 투과부
EA: 발광부

Claims (21)

  1.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제1 투명 표시 패널;
    상기 제1 투명 표시 패널과 중첩하고,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제2 투명 표시 패널;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일측을 가압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정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은 투과부 및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과부는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이 이동하는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소 내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이 이동하는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소 내의 우측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은 상기 조정 부재에 의하여 이동됨으로써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투명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 각각의 일측 및 타측이 동일 선 상에 배치되는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투명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 각각의 일측 및 타측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상태인,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될 때의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이동 거리는 상기 화소의 상기 제1 방향의 너비의 1/2인,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투명 표시 패널의 상기 투과부와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상기 투과부가 서로 중첩될 경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투명 표시 패널의 상기 투과부와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상기 발광부가 서로 중첩되는, 표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투명 표시 패널의 상기 투과부와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상기 발광부가 서로 중첩될 경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투명 표시 패널의 상기 투과부와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상기 투과부가 서로 중첩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상기 일측 및 상기 타측을 각각 감싸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제2 케이스와 결합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조정 라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 라이너는, 상기 탄성 부재와 접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 상기 조정 라이너 및 상기 조정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로 구비되는,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부는 상기 제1 케이스 내의 고정홈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몸체가 상기 화소의 너비의 1/2만큼 이동할 수 있는 너비를 갖는, 표시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 표시 패널을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케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과 멀어지는 방향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이동을 제어하는 메인 조정부; 및
    상기 메인 조정부와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푸시 라이너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조정부가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최대 이동했을 때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최대 이동했을 때 사이의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이동 거리는 상기 화소의 너비의 1/2인, 표시 장치.
  14.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제1 투명 표시 패널;
    상기 제1 투명 표시 패널과 중첩하고,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제2 투명 표시 패널;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일측을 가압하는 탄성 부재;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정 부재; 및
    상기 제1 투명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상기 일측 및 상기 타측을 각각 감싸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이 이동하는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는 투과부 및 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1 투명 표시 패널의 상기 투과부는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상기 투과부 또는 상기 발광부와 중첩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제2 케이스와 결합되는, 표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조정 라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 라이너는, 상기 탄성 부재와 접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부는 상기 제1 케이스 내의 고정홈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몸체가 상기 화소의 너비의 1/2만큼 이동할 수 있는 너비를 갖는, 표시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과 멀어지는 방향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이동을 제어하는 메인 조정부; 및
    상기 메인 조정부와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푸시 라이너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조정부가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최대 이동했을 때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최대 이동했을 때 사이의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이동 거리는 상기 화소의 너비의 1/2인, 표시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은 상기 조정 부재에 의하여 이동됨으로써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투명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 각각의 일측 및 타측이 동일 선 상에 배치되는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투명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 각각의 일측 및 타측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상태이며,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될 때의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이동 거리는 상기 화소의 상기 제1 방향의 너비의 1/2인, 표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투명 표시 패널의 상기 투과부와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상기 투과부가 서로 중첩될 경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투명 표시 패널의 상기 투과부와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상기 발광부가 서로 중첩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투명 표시 패널의 상기 투과부와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상기 발광부가 서로 중첩될 경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투명 표시 패널의 상기 투과부와 상기 제2 투명 표시 패널의 상기 투과부가 서로 중첩되는, 표시 장치.
KR1020190155325A 2019-11-28 2019-11-28 표시 장치 KR20210066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325A KR20210066285A (ko) 2019-11-28 2019-11-28 표시 장치
US16/932,408 US11632890B2 (en) 2019-11-28 2020-07-17 Display device
CN202010757240.1A CN112864187A (zh) 2019-11-28 2020-07-31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325A KR20210066285A (ko) 2019-11-28 2019-11-28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285A true KR20210066285A (ko) 2021-06-07

Family

ID=75996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325A KR20210066285A (ko) 2019-11-28 2019-11-2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32890B2 (ko)
KR (1) KR20210066285A (ko)
CN (1) CN112864187A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2518A1 (en) * 2004-10-19 2006-04-20 Pranil Ram Multiple monitor display apparatus
US8417297B2 (en) * 2009-05-22 2013-04-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US20150378393A1 (en) * 2013-02-10 2015-12-31 Menachem Erad Mobile device with multiple interconnected display units
US9804635B2 (en) * 2014-02-06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s
KR102207106B1 (ko) * 2014-06-10 2021-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63599B1 (ko) * 2015-06-01 2017-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18241B1 (ko) 2015-11-19 2017-03-21 한국과학기술원 양면에 서로 다른 내용을 디스플레이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10298A (ko) 2017-07-21 2019-01-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표시장치
CN107768407B (zh) * 2017-10-19 2020-05-1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64187A (zh) 2021-05-28
US11632890B2 (en) 2023-04-18
US20210167154A1 (en)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044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220180792A1 (en) Display Device
CN108242455B (zh) 具有集成式触摸屏的显示装置
CN108122954B (zh) 有机发光显示装置以及用于制造有机发光显示装置的方法
EP334362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N111354858B (zh) 显示装置
KR102456121B1 (ko) 광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투명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85902A (ko) 표시장치
US20220085138A1 (en) Display device
CN113140600A (zh) 显示装置
US20220208913A1 (en) Display device
KR20210085263A (ko) 표시 장치
KR102600994B1 (ko) 광 제어 장치, 및 그를 포함한 투명표시장치
KR20210066285A (ko) 표시 장치
KR102660306B1 (ko) 폴더블 전계 발광 표시장치
US20240224696A1 (en) Display Device
US20240237476A1 (en) Display device
US20220208916A1 (en) Display device
CN118434205A (zh) 显示装置以及该显示装置的工作方法
KR20230103247A (ko) 표시 장치
CN117915708A (zh) 显示装置
CN115440774A (zh) 显示设备
CN117238921A (zh) 显示装置
CN118280222A (zh) 显示装置
CN117596975A (zh) 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