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367B1 - 다기능 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367B1
KR102364367B1 KR1020200186192A KR20200186192A KR102364367B1 KR 102364367 B1 KR102364367 B1 KR 102364367B1 KR 1020200186192 A KR1020200186192 A KR 1020200186192A KR 20200186192 A KR20200186192 A KR 20200186192A KR 102364367 B1 KR102364367 B1 KR 102364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function device
control device
processor
user interface
various embodi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명
Priority to KR1020200186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by setting parame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산업용 설비(industrial equipment)를 위한 제어 장치(control apparatus)는, 상기 제어 장치의 제1 면의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면에 반대인 상기 제어 장치의 제2 면의 제1 부분 상에 정의되는 그립부(grip portion)와, 상기 제1 면의 제2 부분 상에 정의되고,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을 포함하는 제1 고정부(holding portion)와, 상기 제1 면의 제3 부분 상에 정의되는 제2 고정부(holding portion)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부와 연동으로(in conjunction with), 다기능 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detachably hold)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은, 지정된 유전율을 가지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상기 다기능 장치 내에서 활성화하기 위해, 위에서 봤을 때 탈착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다기능 장치의 터치스크린의 터치 영역의 지정된 부분를 덮는 제1 상태 및 상기 기능을 상기 다기능 장치 내에서 비활성화하기 위해, 위에서 봤을 때 상기 터치 영역의 상기 지정된 부분을 노출하는 제2 상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입력부에 의한 상기 다기능 장치 내의 터치 입력은, 상기 지정된 유전율에 의해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이 상기 제1 상태를 가지는 동안 상기 야기될 수 있고,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이 상기 제2 상태를 가지는 동안 해제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제어 장치{CONTROL DEVICE DETACHABLY HOLDING MULTIFUNCTION DEVICE}
후술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기능 장치(multifunction device)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detachably hold) 제어 장치(control device)에 관한 것이다.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발달로, 다기능(multi-functional) 장치(device)가 개발되고 있다. 다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통신 회로, 하나 이상의 센서, 및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산업용 설비(industrial equipment)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의 기능성(functionality)의 강화(enhancement)를 위해, 다기능 장치를 고정할 수 있다.
산업용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의 기능성의 강화를 위해, 다기능 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일반적으로, 산업용 설비를 제어하기 위해, 8 내지 9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와 상기 다기능 장치 사이의 통신에서, 상기 제어 장치의 재충전가능한(rechargeable)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솔루션을 요구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산업용 설비(industrial equipment)를 위한 제어 장치(control apparatus)는, 상기 제어 장치의 제1 면의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면에 반대인 상기 제어 장치의 제2 면의 제1 부분 상에 정의되는 그립부(grip portion)와, 상기 제1 면의 제2 부분 상에 정의되고,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을 포함하는 제1 고정부(holding portion)와, 상기 제1 면의 제3 부분 상에 정의되는 제2 고정부(holding portion)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부와 연동으로(in conjunction with), 다기능 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detachably hold)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은, 지정된 유전율을 가지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상기 다기능 장치 내에서 활성화하기 위해, 위에서 봤을 때 탈착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다기능 장치의 터치스크린의 터치 영역의 지정된 부분를 덮는 제1 상태 및 상기 기능을 상기 다기능 장치 내에서 비활성화하기 위해, 위에서 봤을 때 상기 터치 영역의 상기 지정된 부분을 노출하는 제2 상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입력부에 의한 상기 다기능 장치 내의 터치 입력은, 상기 지정된 유전율에 의해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이 상기 제1 상태를 가지는 동안 상기 야기될 수 있고,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이 상기 제2 상태를 가지는 동안 해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산업용 설비(industrial equipment)의 제어를 위해 제어 장치와 연동되는 다기능 장치는, 코일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와, 터치스크린과,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상기 산업용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다기능 장치가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고정됨을 지시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코일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신호의 상기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하고, 상기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안, 위에서 봤을 때 상기 제어 장치의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에 의해 가려질 수 있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 상에서,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지시하기 위한 시각적 어포던스(visual affordance)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산업용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는,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고정된 다기능 장치와의 통신의 일부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어 장치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장치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환경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다기능 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제어 장치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고정된 다기능 장치에게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상기 제어 장치의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의 간소화된 블록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장치의 간소화된 블록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 ID(identifier)에 기반하여 제어 장치의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들에 할당되는 기능들을 결정하는 다기능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대체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시각적 객체들의 표시 위치를 이동하는 다기능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대체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시각적 객체들의 표시 위치를 이동하는 다기능 장치의 다른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대체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시각적 객체들의 표시 위치를 이동하는 다기능 장치의 다른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으로의 기능의 할당을 위해 그립 정보를 연계로 사용자 ID에 저장하는 다기능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의 기능의 이용 빈도 정보를 연계로 사용자 ID에 저장하는 다기능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들에 기능들을 할당하는 다기능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장치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환경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환경(100)은, 다기능 장치(110), 제어 장치(120), 및 산업용 설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환경(100) 내의 다기능 장치(110)는 제어 장치(120)의 기능성(functionality)의 강화(enhancement)를 위해, 제어 장치(120)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될(detachably held) 수 있다. 예를 들면, 다기능 장치(110)는,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로, 스마트폰, 테블릿 PC,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랩탑 컴퓨터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기능 장치(110)는, 산업용 설비(130)의 상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제어 장치(120)의 기능성을 강화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다기능 장치(110)는, 산업용 설비(1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120)의 제어 명령을 송신하기 위해, 제어 장치(120)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위한 자원들을 제공함으로써 제어 장치(120)의 기능성을 강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환경(100) 내의 제어 장치(120)는 산업용 설비(130)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작업을 위해 이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20)는 산업용 설비(130)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20)는, 원격 조정기, 직접 교시 장치, 조이스틱 등으로 참조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제어 장치(120)는 제어 장치(120)의 기능성(functionality)의 강화(enhancement)를 위해, 다기능 장치(110)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할(detachably hold)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20)는, 다기능 장치(110)와의 연동에 기반하여, 다기능 장치(110)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거나, 다기능 장치(110)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제어 장치(120)의 기능성을 강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환경(100) 내의 산업용 설비(130)는, 제어 장치(120)에 의해 제어되는(또는 조정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업용 설비(130)는, 미리 결정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작업을 위해, 제어 장치(120)에 의해 제어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산업용 설비(130)는, 외부(outdoor)에 위치되는 설비인, 크레인, 기중기, 리프팅 장치 등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산업용 설비(130)는, 내부에 위치되는 설비인, 로봇, 용접기 등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산업용 설비(130)는, 제어 장치(120)에 의해 제어되고, 산업을 위해 이용된다는 측면에서, 용어 "산업용 설비"로 참조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산업용 설비(130)는, 산업 이외의 환경을 위해 이용되고, 제어 장치(120)에 의해 제어되는 장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산업용 설비(130)는, 실시예들에 따라, 제어 장치(120)에 의해 제어되는, 무선 청소기, 무선 로봇, 무인 비행체(UAV, unmanned aerial vehicle) 등일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다기능 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제어 장치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고정된 다기능 장치에게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상기 제어 장치의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5 각각에 도시된 제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장치(120)을 포함할 수 있고, 도 3 내지 도 5 각각에 도시된 제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장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120)는, 제1 면(210) 및 제1 면(210)의 배면인 제2 면(220)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제어 장치(120) 내에 포함된 다양한 회로들을 실장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어 장치(120)는, 상기 하우징의 제1 면(210)의 제1 부분 및 제2 면(220)의 제1 부분 상에 정의되는 그립부(grip portion)(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그립부(230)는, 제어 장치(120)를 이용하여 산업용 설비(130)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예: 사용자의 손)가 그립되는 부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그립부(230)는, 상기 신체의 일부가 그립됨을 식별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는, 그립부(230) 내에 실장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센서는, 그립부(230)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노출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센서는 정전식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어 장치(120)는, 다기능 장치(110)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20)는, 제1 면(210)의 제2 부분 상에 정의되고,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250)을 포함하는 제1 고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고정부(240)는, 다기능 장치(110)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될 시, 다기능 장치(110)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20)는, 제2 면(220)의 제2 부분 상에 정의되는 제2 고정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고정부(245)는, 다기능 장치(110)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제1 방향(247) 또는 제1 방향(247)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고정부(245)는, 다기능 장치(110)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다기능 장치(110)의 하우징의 일부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 장치(120)는, 제2 고정부(245)의 탄성력 및 제1 고정부(240)의 지지력을 이용하여 다기능 장치(110)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240)는, 제2 고정부(245)와 연동으로(in conjunction with), 다기능 장치(110)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120)는, 상태(310)와 같이, 다기능 장치(110)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250)은, 제어 장치(120)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고정된 다기능 장치(110)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터치 입력을 야기하기 위해, 지정된 유전율을 가지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력부는,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250)에 할당된 기능을 다기능 장치(110) 내에서 활성화하기 위해, 다기능 장치(110)의 터치스크린의 터치 영역의 지정된 부분을 덮는 제1 상태 및 상기 기능을 다기능 장치(110) 내에서 비활성화하기 위해, 위에서 봤을 때 상기 터치 영역의 상기 지정된 부분을 노출하는 제2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부는,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250)에 할당된 상기 기능을 다기능 장치(110) 내에서 비활성화하기 위해, 위에서 봤을 때 상기 터치 영역의 상기 지정된 부분을 노출하는 제2 상태(410)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부는,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250)에 할당된 상기 기능을 다기능 장치(110) 내에서 활성화하기 위해, 다기능 장치(110)의 터치스크린의 터치 영역의 지정된 부분을 덮는 제1 상태(420)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입력부에 의해 다기능 장치(110) 내에서 야기되는 터치 입력은, 상기 지정된 유전율에 의해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250)이 상기 제1 상태를 가지는 동안 야기될 수 있고, 상기 물리적 버튼이 상기 제2 상태를 가지는 동안 해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어 장치(120)는, 다기능 장치(110)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2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별 수단(255)은, 다기능 장치(110)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눌려지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식별 수단(255)은, 다기능 장치(110)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지정된 자기력을 제어 장치(120) 내의 프로세서에게 제공하는 홀 센서(hole sensor)로 구성될 수 있다. 식별 수단(255)이 홀 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식별 수단(255)은, 도 2의 도시와 달리,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어 장치(120)는, 제어 장치(120)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고정된 다기능 장치(11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코일(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코일(260)은, 제2 고정부(245) 내에 실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코일(260)은, 다기능 장치(110)와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링크를 수립하기 위한 제1 코일, 다기능 장치(110)와의 WPT(wireless power transmission) 링크를 수립하기 위한 제2 코일, 또는 다기능 장치(110)와의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링크를 수립하기 위한 제3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어 장치(120)는, 상기 제1 코일을 이용하여 다기능 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상기 제2 코일을 이용하여 다기능 장치(110)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상기 제2 코일을 이용하여 다기능 장치(110)로부터 제어 장치(120)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획득하거나, 상기 제3 코일을 이용하여 다기능 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어 장치(120)는, 산업용 설비(13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20)는, 산업용 설비(130)의 이동 또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방향 패드(2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어 장치(120)는, 산업용 설비(130)의 비상 정지를 위한 물리적 버튼(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어 장치(120)는, 도 2 내지 도 4의 설명을 통해 예시한 구조와 구별되는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120)는, 제어 장치(120)의 제1 면(210)의 제1 부분 및 제1 면(210)에 반대인 제어 장치(120)의 제2 면(220)의 제1 부분 상에 정의되는 그립부(230), 제1 면(210)의 제2 부분 상에 정의되고,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250)을 포함하는 제1 고정부(240), 및 제1 면(210)의 제3 부분 상에 정의되는 제2 고정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고정부(245)는, 다기능 장치(110)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탄성력을 가질 수 있으며, 슬라이드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250)은,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250)은, 누름 입력(depression input)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2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120)는,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250)을 통해 야기되는 다기능 장치(110) 내의 터치 입력을 이용하여 산업용 설비(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250)은, 지정된 유전율을 가지는 입력부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다기능 장치(110) 내에서 입력을 야기하기 위한 별도의 전력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제어 장치(120)는 산업용 설비(130)를 제어하기 위해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산업용 설비(industrial equipment)를 위한 제어 장치(control apparatus)는, 상기 제어 장치의 제1 면의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면에 반대인 상기 제어 장치의 제2 면의 제1 부분 상에 정의되는 그립부(grip portion)와, 상기 제1 면의 제2 부분 상에 정의되고,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을 포함하는 제1 고정부(holding portion)와, 상기 제1 면의 제3 부분 상에 정의되는 제2 고정부(holding portion)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부와 연동으로(in conjunction with), 다기능 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detachably hold)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은, 지정된 유전율을 가지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상기 다기능 장치 내에서 활성화하기 위해, 위에서 봤을 때 탈착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다기능 장치의 터치스크린의 터치 영역의 지정된 부분를 덮는 제1 상태와, 상기 기능을 상기 다기능 장치 내에서 비활성화하기 위해, 위에서 봤을 때 상기 터치 영역의 상기 지정된 부분을 노출하는 제2 상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입력부에 의한 상기 다기능 장치 내의 터치 입력은, 상기 지정된 유전율에 의해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이 상기 제1 상태를 가지는 동안 야기될 수 있고,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이 상기 제2 상태를 가지는 동안 해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2 상태 내에서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상태 내에서 상기 물리적 버튼이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다기능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은, 상기 다기능 장치와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링크를 수립하기 위한 제1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은, 상기 다기능 장치와의 WPT(wireless power transmission) 링크를 수립하기 위한 제2 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은, 상기 다기능 장치와의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링크를 수립하기 위한 제3 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면의 제4 부분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다기능 장치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택트 스위치(tact switc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내에 실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와, 상기 하우징 내에 실장되고, 상기 택트 스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택트 스위치가 상기 다기능 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에 의해 눌려지는(depressed)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통해 상기 다기능 장치와의 페어링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면의 제4 부분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산업용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조이스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면의 제5 부분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산업용 설비를 비상 정지하기 위한 물리적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의 간소화된 블록도이다. 이러한 간소화된 블록도는, 도 1에 도시된 환경(100) 내의 제어 장치(120)의 기능적 구성들, 또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어 장치(120)의 기능적 구성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120)는, 프로세서(610), 제1 통신 회로(620), 및 제2 통신 회로(6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610)는, 제어 장치(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610)는 하나의 프로세서 코어(single core)를 포함하거나, 복수의 프로세서 코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610)는 듀얼 코어(dual-core), 쿼드 코어(quad-core), 헥사 코어(hexa-core) 등의 멀티 코어(multi-core)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프로세서(610)는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된 캐시 메모리(cache memor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제어 장치(12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명령을 해석할 수 있으며, 해석된 명령에 따라 계산을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프로그램에서 생성되거나 발생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6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에게(도 6에서 미도시) 인스트럭션(instruction), 명령어(command), 데이터 또는 신호를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에게 인스트럭션, 명령어, 데이터, 또는 신호를 기록(또는 저장)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제1 통신 회로(620), 또는 제2 통신 회로(63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인스트럭션,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해석할 수 있고, 가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에 기반하여 새로운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가공되거나 생성된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제1 통신 회로(620) 또는 제2 통신 회로(63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제어 장치(120) 내의 다른 구성 요소(예를 들면, 제1 통신 회로(620) 또는 제2 통신 회로(630))와 전기적으로(electrically) 또는 작동적으로(operably 또는 operatively) 결합(coupled with)되거나 연결될(connected to)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프로세서(6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될(configured with)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61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또는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회로(620)는, 다기능 장치(110)와의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통신 회로(620)는, 다기능 장치(110)와 제어 장치(120) 사이의 통신 경로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경로를 통해 다기능 장치(1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경로를 통해 다기능 장치(110)에게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경로는, 저전력 기반의 근접 통신 경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경로는, NFC 경로, 블루투스 통신 경로, BLE 통신 경로, MST 통신 경로, 또는 WPT 통신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통신 회로(630)는, 산업용 설비(130)와의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통신 회로(630)는, 제어 장치(120)와 산업용 설비(130) 사이의 통신 경로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경로를 통해 산업용 설비(13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경로를 통해 산업용 설비(130)에게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경로는, 셀룰러 통신 경로, 유선 통신 경로(예: LAN 통신 경로 또는 전력선 통신 경로), Wi-Fi 통신 경로, Zigbee 통신 경로, 또는 Li-Fi 통신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통신 회로(620)와 제2 통신 회로(630)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고, 연동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통신 회로(620)에 의해 수립된 통신 경로는, 제2 통신 회로(630)에 의해 수립된 통신 경로와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시기에 존재할 수도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장치의 간소화된 블록도이다. 이러한 간소화된 블록도는, 도 1, 도 3,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다기능 장치(110)의 기능적 구성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다기능 장치(110)는, 프로세서(710), 메모리(720), 통신 회로(730), 및 디스플레이(7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다기능 장치(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710)는 하나의 프로세서 코어(single core)를 포함하거나, 복수의 프로세서 코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710)는 듀얼 코어(dual-core), 쿼드 코어(quad-core), 헥사 코어(hexa-core) 등의 멀티 코어(multi-core)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프로세서(710)는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된 캐시 메모리(cache memor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다기능 장치(11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명령을 해석할 수 있으며, 해석된 명령에 따라 계산을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프로그램에서 생성되거나 발생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7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720)에게 인스트럭션(instruction), 명령어(command), 데이터 또는 신호를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720)에게 인스트럭션, 명령어, 데이터, 또는 신호를 기록(또는 저장)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메모리(720), 통신 회로(730), 또는 디스플레이(74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인스트럭션,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해석할 수 있고, 가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에 기반하여 새로운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가공되거나 생성된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메모리(720), 통신 회로(730), 또는 디스플레이(7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기능 장치(110) 내의 다른 구성 요소(예를 들면, 메모리(720), 통신 회로(730), 또는 디스플레이(740))와 전기적으로(electrically) 또는 작동적으로(operably 또는 operatively) 결합(coupled with)되거나 연결될(connected to)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프로세서(7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될(configured with)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71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GPU(graphical processing unit), 또는 센서 허브(sensor hu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710)는, 도 8 내지 도 18을 통해 예시된 동작들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720)는 다기능 장치(110)를 제어하는 인스트럭션, 명령어, 제어 명령어 코드, 제어 데이터,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720)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 OS(operating system), 미들웨어(middleware), 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20)는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또는 불휘발성(non-volatile memory)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RAM), PRAM(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RRAM(resistive RAM), FeRAM(ferroelectric 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2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SD, solid state disk), eMMC(embedded multi media card), UFS(universal flash storage)와 같은 불휘발성 매체(mediu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730)는 다기능 장치(110)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제어 장치(120) 또는 산업용 설비(130))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730)은 무선 통신 회로(예: 셀룰러 통신 회로,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회로) 또는 유선 통신 회로(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회로, 또는 전력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PT(wireless power transfer),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회로(73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통신 회로(730)는 프로세서(710)와 동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740)는, 컨텐츠, 데이터, 또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740)는 프로세서(710)에 의해 가공된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740)는 터치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터치 센서들(미도시)과 결합됨으로써, 일체형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성될(configured with)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74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터치 센서들은, 디스플레이(740) 위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740) 내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74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 ID(identifier)에 기반하여 제어 장치의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들에 할당되는 기능들을 결정하는 다기능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동작은, 도 1, 도 3, 도 4,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다기능 장치(110) 또는 다기능 장치(110)의 프로세서(7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2에서, 프로세서(71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산업용 설비(130)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710)는, 제어 장치(120)와 다기능 장치(110)가 페어링됨을 식별하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 804에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동작 806에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안, 제어 장치(120)에 다기능 장치(110)가 정상적으로 부착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710)는, 통신 회로(730)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통해, 제어 장치(120)로부터 제어 장치(120)에 다기능 장치(!10)가 정상적으로 부착됨을 지시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식별함으로써, 제어 장치(120)에 다기능 장치(110)가 정상적으로 부착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710)는, 다기능 장치(110)의 그립 센서의 센서 값을 식별함으로써, 제어 장치(120)에 다기능 장치(110)가 정상적으로 부착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710)는 제어 장치(120)에 다기능 장치(110)가 정상적으로 부착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동작 808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 808에서, 프로세서(710)는, 제어 장치(120)에 다기능 장치(110)가 정상적으로 부착됨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대체하거나 제어 장치(120)의 제1 고정부(240)에 의해 가려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시각적 객체들을 제어 장치(120)의 제1 고정부(240)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120)는, 다기능 장치(110)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다기능 장치(110)의 디스플레이(740)의 일부가 가려지는 경우, 산업용 설비(130)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의 시인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거나, 상기 시각적 객체들을 이동할 수 있다.
동작 810에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의 대체 또는 상기 시각적 객체들의 이동에 응답하여, 사용자 ID(identifier)에 기반하여 제어 장치(120)의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들에 각각 할당되는 기능들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사용자 ID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증된 ID일 수 있다. 사용자 별로, 제어 장치(120)의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을 통해 실행하는 기능은 다를 수 있다. 다기능 장치(110) 내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이러한 사용자의 선호(preference)를 고려하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ID 별로, 서로 다른 휴리스틱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휴리스틱스 정보는, 상기 사용자 ID와 연계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장치(110)의 프로세서(710)는, 상기 사용자 ID에 기반하여 제어 장치(120)의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들에 각각 할당되는 기능들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810에 대한 다기능 장치(110)의 동작은, 도 12 내지 도 14의 설명을 통해 후술될 것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대체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시각적 객체들의 표시 위치를 이동하는 다기능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동작은, 도 1, 도 3, 도 4,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다기능 장치(110) 또는 다기능 장치(110)의 프로세서(7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9의 동작 902, 동작 904, 및 동작 906은 도 8의 동작 806 및 동작 808과 관련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02에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제어 장치(120)와의 페어링을 위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71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실행에 응답하여, 통신 회로(730)를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통신 회로(730)를 이용하여 제어 장치(120)와의 페어링을 위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페어링을 위한 동작은, 통신 회로(730)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통해, 전자기 신호를 발산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페어링을 위한 동작은, 통신 회로(730)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통해,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동작 904에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페어링을 위한 동작을 실행하는 동안, 제어 장치(120)와의 페어링이 수립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710)는, 상기 페어링을 위한 동작을 실행하는 동안 제어 장치(120)로부터 지정된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제어 장치(120)와의 페어링이 수립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페어링이 수립될 시 동작 906을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동작 904를 지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동작 906에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페어링이 수립됨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대체하거나 제어 장치(120)의 제1 고정부(240)에 의해 가려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시각적 객체들을 제어 장치(120)의 제1 고정부(240)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장치(110)의 프로세서(710)는, 제어 장치(120)와의 페어링의 수립을 제어 장치(120)에 다기능 장치(110)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됨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장치(110)는, 이러한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대체하거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시각적 객체들을 이동함으로써 다기능 장치(110)의 사용자 경험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대체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시각적 객체들의 표시 위치를 이동하는 다기능 장치의 다른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동작은, 도 1, 도 3, 도 4,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다기능 장치(110) 또는 다기능 장치(110)의 프로세서(7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0의 동작 1002, 동작 1004, 및 동작 1006은 도 8의 동작 806 및 동작 808과 관련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02에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실행에 응답하여, 제어 장치(120)로부터의 무선 전력의 수신을 시도하거나 제어 장치(120)로의 무선 전력의 송신을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7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실행에 응답하여, 통신 회로(730)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을 송신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동작 1004에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무선 전력의 송신을 성공하는지 여부 또는 상기 무선 전력의 수신을 성공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710)는, 상기 무선 전력의 송신에 대한 응답으로 제어 장치(120)로부터의 전자기 신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통해 다기능 장치(110)에게 수신되는지 여부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의 송신을 성공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7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통해 상기 무선 전력을 제어 장치(120)로부터 수신하는지 여부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의 수신의 성공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무선 전력의 수신 또는 상기 무선 전력의 송신을 성공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동작 1006을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동작 1004를 지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동작 1006에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무선 전력의 수신 또는 상기 무선 전력의 송신을 성공함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대체하거나 제어 장치(120)의 제1 고정부(240)에 의해 가려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시각적 객체들을 제어 장치(120)의 제1 고정부(240)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장치(110)의 프로세서(710)는, 제어 장치(120)와의 무선 전력의 교환을 제어 장치(120)에 다기능 장치(110)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됨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장치(110)는, 이러한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대체하거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시각적 객체들을 이동함으로써 다기능 장치(110)의 사용자 경험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대체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시각적 객체들의 표시 위치를 이동하는 다기능 장치의 다른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동작은, 도 1, 도 3, 도 4,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다기능 장치(110) 또는 다기능 장치(110)의 프로세서(7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1의 동작 1102, 동작 1104, 및 동작 1106은 도 8의 동작 806 및 동작 808과 관련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1102에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실행에 응답하여, 다기능 장치(110)의 홀 센서 또는 제어 장치(120)의 택트 스위치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710)는 제어 장치(120)로부터 통신 회로(730)를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통신 회로(730)를 통해 상기 홀 센서의 상태 또는 상기 택트 스위치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동작 1104에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홀 센서 또는 상기 택트 스위치로부터 제어 장치(120)의 정상 부착을 나타내는 신호를 획득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710)는, 상기 홀 센서에 의해 야기되는 자기력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식별함으로써, 제어 장치(120)의 정상 부착을 나타내는 신호를 획득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710)는, 상기 택트 스위치에 의해 다기능 장치(110)의 하우징의 일부가 눌려지는지 여부를, 다기능 장치(110)의 근접 센서를 통해 식별함으로써, 제어 장치(120)의 정상 부착을 나타내는 신호를 획득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710)는, 제어 장치(120)의 정상 부착을 나타내는 신호를 획득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동작 1106을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동작 1104를 지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동작 1106에서, 프로세서(710)는, 제어 장치(120)의 정상 부착을 나타내는 신호를 획득함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대체하거나 제어 장치(120)의 제1 고정부(240)에 의해 가려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시각적 객체들을 제어 장치(120)의 제1 고정부(240)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장치(110)의 프로세서(710)는, 홀 센서 또는 택트 스위치로부터의 신호의 획득을 제어 장치(120)에 다기능 장치(110)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됨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장치(110)는, 이러한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대체하거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시각적 객체들을 이동함으로써 다기능 장치(110)의 사용자 경험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으로의 기능의 할당을 위해 그립 정보를 연계로 사용자 ID에 저장하는 다기능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동작은, 도 1, 도 3, 도 4,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다기능 장치(110) 또는 다기능 장치(110)의 프로세서(7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동작 1202에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 제어 장치(120)로부터 사용자의 그립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7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 제어 장치(120)로부터 통신 회로(730)를 통해 사용자의 손이 제어 장치(120) 내에 접촉된 영역이 어디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신호들은, 상기 영역을 지시하기 위한 절대 좌표 값들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대 좌표 값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동작 1204에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신호들의 분석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파지를 위해 주로 사용하는 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710)는, 사용자가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을 이용할 시 오른손으로 제어 장치(120)를 파지하고 왼손으로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을 이동함을 상기 신호들의 분석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710)는, 사용자가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을 이용할 시 왼손으로 제어 장치(120)를 파지하고 오른손으로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을 이동함을 상기 신호들의 분석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710)는, 사용자가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을 양손 모두를 이용하여 제어 장치(120)를 파지하고 왼손 손가락(또는 오른손 손가락)으로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을 이동함을 상기 신호들의 분석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동작 1206에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결정된 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로그인 시 이용된 사용자 ID와 연계로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710)는, 상기 사용자 ID와 연계로 상기 결정된 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안 동작 1202 내지 동작 1204를 반복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상기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갱신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장치(110)는, 사용자 ID와 연계로 파지와 관련된 사용자 선호 이력을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다기능 장치(110)는, 특정 기능을 복수의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들 중 어떤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에 할당하는 것이 사용자 선호에 적합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의 이동을 위해 이용되는 사용자의 손을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사용자 ID와 연계로 저장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의 기능의 이용 빈도 정보를 연계로 사용자 ID에 저장하는 다기능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동작은, 도 1, 도 3, 도 4,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다기능 장치(110) 또는 다기능 장치(110)의 프로세서(7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동작 1302에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들에 할당가능한 기능들 각각의 사용자 이용 빈도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710)는,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들의 위치에 따라, 상기 기능들을 각각 할당하기 위해, 상기 기능들 각각의 사용자 이용 빈도를 식별할 수 있다.
동작 1304에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 이용 빈도로 구성된 사용자 이용 빈도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로그인 시 이용된 사용자 ID와 연계로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710)는, 상기 사용자 ID와 연계로 상기 사용자 이용 빈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안 동작 1302 내지 동작 1304를 반복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이용 빈도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갱신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장치(110)는, 사용자 ID와 연계로 상기 사용자 이용 빈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다기능 장치(100)는,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에 가장 높은 사용 빈도를 가지는 기능을 할당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이용 빈도 정보를 사용자 ID와 연계로 저장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들에 기능들을 할당하는 다기능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동작은, 도 1, 도 3, 도 4,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다기능 장치(110) 또는 다기능 장치(110)의 프로세서(7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동작 1402에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사용자 ID에 연계된 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한편, 동작 1402 내지 동작 1408은, 도 12의 설명을 통해 예시된 동작 또는 도 13의 설명을 통해 예시된 동작 중 적어도 하나와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동작 1404에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호출된 정보에 기반하여,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들을 이용하여 제공가능한 기능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406에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 및 사용자가 파지를 위해 주로 사용하는 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들에 기능들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왼손으로 제어 장치(120)를 파지하는 동안 오른손으로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들을 조작한다고 프로세서(710)에 의해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710)는, 가장 오른쪽 슬라이드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으로부터 우선순위 순으로 상기 기능들을 할당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동작 1408에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할당된 기능들을 각각 가이드하는 시각적 어포던스(visual affordance)들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시각적 어포던스들은, 상기 할당된 기능들이 무엇인지를 지시하기 위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시각적 어포던스들 각각의 표시 위치는, 상기 기능들에 할당된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들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장치(110)는, 우선순위 및 사용자의 손에 기반하여, 상기 기능들을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들에 할당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장치(110)는, 사용자가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들 각각이 어떤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기능들을 지시하기 위한 시각적 어포던스들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장치(110)는, 강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1, 도 3, 도 4,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다기능 장치(110)의 디스플레이(74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기능 장치(110)는, 상태(1510)와 같이, 포트레이트(portrait) 상태 내에서 있을 수 있다. 상태(1510)에서, 다기능 장치(1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512)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512)는, 다기능 장치(110)와 관련된 산업용 설비가 무엇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 또는 상기 산업용 설비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태(151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512) 위에 인디케이터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들은, 다기능 장치(110)를 위한 인디케이터 영역(1514) 및 제어 장치(120)를 위한 인디케이터 영역(15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들 각각은, 다기능 장치(110) 및 제어 장치(120) 각각의 상태 정보(예: 다기능 장치(110)의 통신 상태, 다기능 장치(110)의 배터리 상태, 제어 장치(120)의 통신 상태, 제어 장치(120)의 배터리 상태 등)를 표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다기능 장치(110)는, 상태(1550)와 같이, 랜드스케이프(landscape) 상태 내에서 있을 수 있다. 상태(155)에서, 다기능 장치(1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552)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552) 내에 포함되는 정보의 배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12) 내에 포함되는 정보의 배치와 구별될 수 있다.
한편, 상태(155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552) 위에 통합 인디케이터 영역(1554)이 정의될 수 있다. 통합 인디케이터 영역(1554)는, 인디케이터 영역(1514) 및 인디케이터 영역(1516) 내에 포함된 상태 정보(예: 다기능 장치(110)의 통신 상태, 다기능 장치(110)의 배터리 상태, 제어 장치(120)의 통신 상태, 제어 장치(120)의 배터리 상태 등)를 통합하여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장치(110)는, 다기능 장치(110)의 자세에 따라, 서로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산업용 설비와 관련된 화면을 배치하여 강화된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1, 도 3, 도 4,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다기능 장치(110)의 디스플레이(74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다기능 장치(110)는, 상태(1550)에 대응하는 상태(1610)와 같이, 랜드스케이프 상태 내에서 있을 수 있다. 다기능 장치(110)는, 다기능 장치(110)의 상태를 상태(1610)로부터 상태(1650)로 전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태(1650)로의 전환에 응답하여, 다기능 장치(110)는, 상태(1610)에서 표시된 정보의 일부의 표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기능 장치(110)는, 상태(1650)로의 전환에 응답하여, 상태(1610)에서 표시된 정보의 일부를 축소(1655)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다기능 장치(110)는, 상태(1650)로의 전환에 응답하여, 상태(1610)에서 표시된 정보의 일부를 재배치(1660)할 수 있다.
한편, 상태(165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장치(110)는, 상태(1610)에서 표시된 통합 인디케이터 영역을 2개의 인디케이터 영역으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기능 장치(110)는, 상태(1650)에서, 통합 인디케이터 영역을 제어 장치(120)를 위한 인디케이터 영역(1662)와 다기능 장치(110)를 위한 인디케이터 영역(1664)으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디케이터 영역(1662)는, 디스플레이(740)의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인디케이터 영역(1664)는 디스플레이(740)의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태(165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장치(110)는, 시각적 어포던스들(1670)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각적 어포던스들(1670)은, 제어 장치(120)의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들에 각각 할당된 기능들을 지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각적 어포던스들(1670)은, 상기 기능들을 가이드하기 위한 시각적 효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장치(110)는, 제어 장치(120)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경우, 산업용 설비(130)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산업용 설비(130)를 제어하는 환경의 편의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1, 도 3, 도 4,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다기능 장치(110)의 디스플레이(74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태(1710)에서, 다기능 장치(110)는, 상태(1650)에 대응하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다기능 장치(110)는,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250)을 위로 슬라이드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태(1710)를 상태(1750)로 전환할 수 있다.
상태(1750)에서, 다기능 장치(110)는,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250)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표시 중이던 정보로부터 전환된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기능 장치(110)는,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정보로, 산업용 설비(130)의 영상 위에 실시간으로 증강현실 객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태(1750)에서, 다기능 장치(110)는,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와 함께, 이전 표시 중이었던 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시각적 가이던스(visual guidance)(1760)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시각적 가이던스(1760)는, 접근성의 증대를 위해,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위에 플로팅되거나 중첩될 수 있다.
한편, 상태(1750)에서, 다기능 장치(110)는,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와 함께, 현재 터치 입력을 야기하고 있는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250)에 인접한 버튼으로 실행가능한 기능을 가이드하는 시각적 가이던스(1770)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시각적 가이던스(1770)는, 접근성의 증대를 위해,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위에 플로팅되거나 중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장치(110)는,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의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고, 시각적 가이던스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산업용 설비(industrial equipment)의 제어를 위해 제어 장치와 연동되는 다기능 장치는, 코일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와, 터치스크린과,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상기 산업용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다기능 장치가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고정됨을 지시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코일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신호의 상기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하고, 상기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안, 위에서 봤을 때 상기 제어 장치의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에 의해 가려질 수 있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 상에서,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지시하기 위한 시각적 어포던스(visual affordance)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위에서 봤을 때 상기 시각적 어포던스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슬라이드된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에 의해 가려짐을,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식별하고, 상기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어 장치에게 상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상기 신호의 상기 송신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식별 직전에 상기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표시된 제1 정보를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제2 정보로 전환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상기 제1 정보를 다시 표시하기 위해 이용되는 실행가능한 객체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어 장치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다기능 장치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과 구별되는 영역인 통합 인디케이터 영역 상에서 표시하고, 상기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어 장치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과 구별되는 제1 영역인 제1 인디케이터 영역 상에서 표시하고 상기 다기능 장치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과 구별되는 제2 영역인 제2 인디케이터 영역 상에서 표시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인디케이터 영역은, 상기 제2 인디케이터 영역과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인디케이터 영역 및 상기 제2 인디케이터 영역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통합 인디케이터 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가장자리들 중 제1 가로 가장자리를 따라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제1 인디케이터 영역은, 상기 가장자리들 중 제1 세로 가장자리를 따라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인디케이터 영역은, 상기 가장자리들 중 제2 세로 가장자리를 따라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능은, 상기 기능의 사용 빈도에 기반하여, 할당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능은,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의 위치에 더 기반하여, 할당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산업용 설비(industrial equipment)를 위한 제어 장치(control apparatus)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제어 장치의 제1 면의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면에 반대인 상기 제어 장치의 제2 면의 제1 부분 상에 정의되는 그립부(grip portion);
    상기 제1 면의 제2 부분 상에 정의되고,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을 포함하는 제1 고정부(holding portion);
    상기 제1 면의 제3 부분 상에 정의되는 제2 고정부(holding portion); 및
    상기 제1 면의 제4 부분을 통해 노출되고, 다기능 장치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택트 스위치(tact switch)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부와 연동으로(in conjunction with), 상기 다기능 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detachably hold)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은,
    지정된 유전율을 가지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상기 다기능 장치 내에서 활성화하기 위해, 위에서 봤을 때 탈착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다기능 장치의 터치스크린의 터치 영역의 지정된 부분를 덮는 제1 상태; 및
    상기 기능을 상기 다기능 장치 내에서 비활성화하기 위해, 위에서 봤을 때 상기 터치 영역의 상기 지정된 부분을 노출하는 제2 상태를 가지고,
    상기 입력부에 의한 상기 다기능 장치 내의 터치 입력은,
    상기 지정된 유전율에 의해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이 상기 제1 상태를 가지는 동안 야기되고,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이 상기 제2 상태를 가지는 동안 해제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다기능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택트 스위치가 상기 다기능 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에 의해 눌려지는(depressed)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통해 상기 다기능 장치와의 페어링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의 제5 부분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산업용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조이스틱을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의 제6 부분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산업용 설비를 비상 정지하기 위한 물리적 버튼을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4. 산업용 설비(industrial equipment)의 제어를 위해 제어 장치와 연동되는 다기능 장치에 있어서,
    코일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
    터치스크린;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상기 산업용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다기능 장치가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고정됨을 지시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코일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신호의 상기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하고,
    상기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안, 위에서 봤을 때 상기 제어 장치의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에 의해 가려질 수 있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 상에서, 상기 물리적 슬라이드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지시하기 위한 시각적 어포던스(visual affordance)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어 장치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다기능 장치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과 구별되는 영역인 통합 인디케이터 영역 상에서 표시하고,
    상기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어 장치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과 구별되는 제1 영역인 제1 인디케이터 영역 상에서 표시하고 상기 다기능 장치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축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영역과 구별되는 제2 영역인 제2 인디케이터 영역 상에서 표시하도록 더 구성되는 다기능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기능의 사용 빈도에 기반하여, 할당되는 다기능 장치.
KR1020200186192A 2020-12-29 2020-12-29 다기능 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제어 장치 KR102364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192A KR102364367B1 (ko) 2020-12-29 2020-12-29 다기능 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192A KR102364367B1 (ko) 2020-12-29 2020-12-29 다기능 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367B1 true KR102364367B1 (ko) 2022-02-18

Family

ID=8049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192A KR102364367B1 (ko) 2020-12-29 2020-12-29 다기능 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36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295A (ko) * 2014-06-10 2015-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17262B1 (ko) * 2009-08-26 201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60106001A (ko) * 2015-03-01 2016-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서리 장치를 이용한 제어방법 및 장치
JP2018079541A (ja) * 2016-11-16 2018-05-2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安全スイッチ装置、操作端末及び機械制御システム
KR20190048565A (ko) * 2017-10-31 2019-05-09 용비에이티(주) 드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증강현실 관광 시스템
KR20190118058A (ko) * 2018-04-09 2019-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262B1 (ko) * 2009-08-26 201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50141295A (ko) * 2014-06-10 2015-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06001A (ko) * 2015-03-01 2016-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서리 장치를 이용한 제어방법 및 장치
JP2018079541A (ja) * 2016-11-16 2018-05-2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安全スイッチ装置、操作端末及び機械制御システム
KR20190048565A (ko) * 2017-10-31 2019-05-09 용비에이티(주) 드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증강현실 관광 시스템
KR20190118058A (ko) * 2018-04-09 2019-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3127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EP3005574B1 (en) Specific absorption rate mitigation
CN109426478B (zh) 用于使用多个控制器控制电子设备的显示器的方法和设备
KR102153006B1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302934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object
KR101463540B1 (ko) 휴대용 전자 기기를 이용한 3차원 가상 커서 제어 방법
US108909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urpose input device for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environments
US20150026638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external input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0990339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plurality of display panels, first and second panels display images inside the housing and third display panel connecting to external interface port
CN109876439A (zh) 游戏画面显示方法与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KR20200075521A (ko) 정보의 표시 영역을 적응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102715A (ko) 컨트롤러와 접촉된 신체 부위에 따라 그래픽 객체를 다르게 표시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3135887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KR20160046633A (ko) 입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5159774A1 (ja) 入力装置、入力装置の制御方法
CN108355352B (zh) 虚拟物体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JP6625312B2 (ja) タッチ情報認識方法及び電子装置
JP2017530350A (ja) 要求されたセンサ特性に基づく自動センサ選択
CN103914145A (zh) 输入装置、显示装置以及控制它们的方法
CN110471870B (zh) 多系统运行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932982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displaying adjacent partial images out of a plurality of partial images that constitute one image on display units of a plurality of adjacen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KR102295823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364367B1 (ko) 다기능 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제어 장치
EP3608761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ffordance for providing charging of battery of external device through display
US20180203602A1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