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732B1 -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732B1
KR101351732B1 KR1020070023433A KR20070023433A KR101351732B1 KR 101351732 B1 KR101351732 B1 KR 101351732B1 KR 1020070023433 A KR1020070023433 A KR 1020070023433A KR 20070023433 A KR20070023433 A KR 20070023433A KR 101351732 B1 KR101351732 B1 KR 101351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transparent display
display window
initial stat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2760A (ko
Inventor
송승한
이상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3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732B1/ko
Publication of KR20080082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바디와, 투시 가능한 투명 표시창을 구비하며, 상기 제1바디의 전면(front side)에 탑재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투명 표시창, 영상 합성, 촬영모드, 대기모드

Description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도1은 실시예1의 블록 구성도.
도2는 실시예1의 분해 사시도.
도3은 실시예1의 최초상태의 정면도.
도4는 실시예1의 제2바디가 최초상태로부터 상부로 이동한 경우의 정면도.
도5는 실시예1의 제2바디가 최초상태로부터 하부로 이동한 경우의 정면도.
도6은 실시예1의 제2바디가 최초상태로부터 상부로 이동하여 촬영모드로 진입한 경우의 정면도.
도7 내지 도9는 실시예1의 최초상태에서의 작동도.
도10은 실시예1의 제2바디가 최초상태로부터 하부로 이동한 경우의 작동도.
도11은 실시예1의 하나의 변형 실시예의 작동도.
도12는 실시예1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의 작동도.
도13은 실시예2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이동통신 모듈 12:메모리부
14:오디오 처리부 16:제어부
100:제1바디 110:터치 스크린
120:제1입력부 122:촬영모드 터치영역
130:제2입력부 132:통화모드 터치영역
200:제2바디 210:투명 표시창
212:센터 아이콘(center icon) 220:제3입력부
222:스크롤 터치패드
1100:제1바디 1120:제1입력부
1130:제2입력부 1200:제2바디
1210:투명 표시창 1220:제3입력부
1230:스윙 힌지
3000:바 타입 이동단말기 3100:투명 표시창
3200:제1입력부 3300:제2입력부
본 발명은 투명 표시창을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단말기는 표시부가 불투명한 엘시디 등으로 되어 있어, 표시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표시부에 의해 가려진 표시부의 후방을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거나, 사용자에게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투명 표시창을 구비한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투명 표시창을 구비함으로써 피사체 촬상시 투명 표시창의 중심과 피사체의 중심을 손쉽게 일치시킬 수 있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투명 표시창이 구비된 제2바디를 제1바디에 대해 상대운동시킴으로써 대기 모드 또는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모드에 진입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제2바디에 구비된 투명 표시창과 제1바디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에 서로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2개의 영상을 합성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제1바디와, 투시 가능한 투명 표시창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바디의 전면(front side)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탑재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하부에는 제1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입력부는 상기 제2바디가 최초상태로부터 상기 제1바디에 대하여 상부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외부에 노출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최초상태로부터 상기 제1바디에 대하여 상부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모드에 진입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상부에는 제2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입력부는 상기 제2바디가 최초상태로부터 상기 제1바디에 대하여 하부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외부에 노출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제2바디가 최초상태로부터 상기 제1바디에 대하여 하부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대기모드(idle mode)에 진입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의 전면(front side)에는 제3입력부가 구비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전면(front side)에는, 최초상태에서 상기 투명 표시창의 배면(rear side) 후방에 위치하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는,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제1바디의 상부로부터 최초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촬영모드에서 촬상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전면(front side)에는, 최초상태에서 상기 투명 표시창의 배면(rear side) 후방에 위치하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고, 최초상태에서, 상기 투명 표시창과 터치 스크린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는 특정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에는 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2바디가 최초상태로부터 상기 제1바디에 대하여 회전 슬라이딩됨에 따라 외부에 노출되기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바 타입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투시 가능한 투명 표시창과, 상기 투명 표시창의 하부에 위치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실시예1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 중 직선 슬라이딩 타입 이동단말기의 일실시예이다. 도1은 실시예1의 블록 구성도를, 도2는 실시예1의 분해 사시도를, 도3은 실시예1의 최초상태의 정면도를, 도4는 실시예1의 제2바디가 최초상태로부터 상부로 이동한 경우의 정면도를, 도5는 실시예1의 제2바디가 최초상태로부터 하부로 이동한 경우의 정면도를, 도6은 실시예1의 제2바디가 최초상태로부터 상부로 이동하여 촬영모드로 진입한 경우의 정면도를, 도7 내지 도9는 실시예1의 최초상태에서의 작동도를, 도10은 실시예1의 제2바디가 최초상태로부터 하부로 이동한 경우의 작동도를, 도11은 실시예1의 하나의 실시예의 작동도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이동통신모듈(10), 메모리부(12), 오디오 처리부(14), 터치 스크린(110), 투명 표시창(210) 및 제어부(16)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는 버스(bus, 20)에 의해 연결된다.
이동통신 모듈(10)은 이동통신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통신 장치이다.
메모리부(12)는 이동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6)에 의해 이동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오디오 처리부(14)는 마이크(MIC)와 스피커(SPK)를 통해 오디오를 입출력하도록 오디오를 처리한다. 오디오처리부(14)는 이동 단말기의 각종 처리 및 제어동작을 스피커(SPK)를 통해 오디오로 출력하거나, 각종 정보나 명령을 마이크(MIC)를 통해 오디오로 입력하도록 오디오를 처리한다.
터치 스크린(110)은 외부로부터의 터치에 의하여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기능과, 제어부(16)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상태 혹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투명 표시창(210)은 전면(front side)으로부터 후면(rear)이 투시 가능하며, 제어부(16)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상태 또는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장치이다.
제어부(16)는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고, 실시예1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도2를 참조하면 실시예1은 제1바디(100)와 제2바디(200)를 갖는다.
도2를 참조하면 제1바디(100)의 전면(front case)은 터치 스크린(110)으로 구성된다. 제어부(16)의 제어하에, 터치 스크린(110)의 하부 소정 부위는 제1입력부(120)로 활성화되고, 터치 스크린(110)의 상부 소정 부위는 제2입력부(130)로 활성화된다. 제1입력부(120)는, 카메라(도면 미도시)를 이용한 촬영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촬영모드 터치영역(122)을 포함한다. 제2입력부(130)는 문자나 숫자 입력을 위한 터치영역(도면부호 미부여),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터치영역(도면 부호 미부여) 및 통화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통화모드 터치영역(132)을 포함한다. 상기한 터치영역에는, 제1바디(100)와 제2바디(200)의 상대 위치에 따라 당해 터치영역에 대응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다.
도2를 참조하면 제2바디(200)의 상부에는 투명 표시창(210)이 구비되고, 제2바디(200)의 하부에는 제3입력부(220)가 구비된다. 투명 표시창(210)은 그 배후에 위치한 물체가 투시 가능한 표시창이며, 제3입력부(220)는 원형의 스크롤 터치패드(222)를 포함한다.
투명 표시창(210)은 투명 액정장치일 수 있는데, 투명 액정장치의 경우 통상의 액정장치와 같이 두 개의 유리기판의 사이에 액정이 주입되어 구성되며, 유기분자인 액정이 결정과 같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상태로서 이 분자배열이 외부 전계에 의해 변화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표시소자로 역할을 하게 되며, 액정장치 주연부에는 액정에 전계를 가하기 위한 전압원으로서 전극선로가 구비되어 있다.
투명 액정장치의 전극선로에 전압이 걸리지 않았을 경우, 액정 분자는 배향막을 따라서 비틀리듯이 배열되고, 빛은 액정분자를 따라 비틀리기 때문에 상하의 편광판을 통과할 수 있게 되어 투명하게 되며, 전압이 걸리면 액정분자가 전압이 걸려 있는 방향으로 정렬되기 때문에 빛이 아래의 편광판을 통과할 수 없어 어둡게 되어 전압의 국지적 급전에 따라 원하는 화상이 형성된다.
도3,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제2바디(200)는 제1바디(100)의 전면(front side)에 탑재되는데, 제1바디(1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탑재된다. 따라서, 제1바디(100)와 제2바디(200) 중의 어느 하나에는 슬라이드 레일(도면 미도시)이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슬라이드 레일(도면 미도시)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레일홈(도면 미도시)이 구비된다.
도3,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제1입력부(120)는 제2바디(200)가 최초상태로부터 제1바디(100)의 상부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외부에 노출되고, 제2입력부(130)는 제2바디(200)가 최초상태로부터 제1바디(100)의 하부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외부에 노출된다. 최초상태란 제1바디(100)의 전면이 제2바디(200)에 의하여 덮여 있는 경우를 말한다. 이하, 동일하다. 제1입력부(120)는 최초상태에서 투명 표시창(210)의 배면(rear side) 후방에 위치한다. 제1입력부(120) 및 제2입력부(130)에 대응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도면부호 미부여)은 제2바디(200)에 덮여 있는 경우에는 터치 스크린(110)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으며, 제2바디(200)의 슬라이딩 상태에 따라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에 한하여 터치 스크린(110)에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상기한 아이콘에 대응하는 터치영역은 터치 스크린(110)에 상기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한하여 입력부로 활성화된다.
도6을 참조하면 제어부(16)는, 제2바디(200)가 최초상태로부터 상부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실시예1이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모드에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상기한 촬영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투명 표시창(210)의 중앙부에는 센터 아이콘(center icon)(212)이 디스플레이된다. 센터 아이콘(center icon)(212)은 피사체의 중심을 투명 표시창(210)의 중심과 일치시키고자 하는 경우, 이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센터 아이콘(center icon)(212)은 원형상이거나 직사각형상 등 일 수 있다. 한편, 실시예1은 촬영모드에서 투명 표시창(210)에 프리뷰 영상을 디스플레이 시키지 않는다. 이는 피사체를 촬상하기 전 투명 표시창(210)을 통하여 피사체를 투시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2바디(200)가 상부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촬영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촬영모드 터치영역(122)이 터치됨으로써 피사체가 촬상된 경우 피사체의 영상이 투명 표시창(210)에 디스플레이된다.
도7을 참조하면 제어부(16)는 최초상태에서, 제3입력부(220)를 이용한 입력신호에 의하여 투명 표시창(210) 외에 터치 스크린(110) 중 투명 표시창(210)의 배면(rear side) 후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킨다. 예를 들면, 최초상태에서 제3입력부(220)를 조작하여, 터치 스크린(110) 중 투명 표시창(210)의 배면(rear side) 후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고, 투명 표시창(210)에는 인물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영상을 합성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는 제3입력부(220)를 이용한 입력신호에 의하여 투명 표시창(210)에 디스플레이된 영상과 터치 스크린(110) 중 투명 표시창(210)의 배면(rear side) 후방에 위치하는 영상을 겹쳐진 상태대로 합성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디스플레이시키거나, 합성된 영상을 메모리부(12)에 저장한다.
도8을 참조하면 제어부(16)는 최초상태에서, 제3입력부(220)의 입력신호에 의하여 투명 표시창(210) 또는 터치 스크린(110) 중 투명 표시창(210)의 배면(rear side) 후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한편, 도9를 참조하면 제2바디(200)가 상부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피사체의 촬상이 수행되고 제2바디(200)가 최초상태로 복귀하게 되면, 터치 스크린(110) 중 투명 표시창(210)의 배면(rear side) 후방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상기한 피사체의 촬상을 통해 획득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제어부(16)는 제2바디(200)가 상부에서 최초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제2바디(200)가 상부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획득한 피사체의 영상을 터치 스크린(110) 중 투명 표시창(210)의 배면(rear side) 후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때, 투명 표시창(210)은 투명창으로만 기능하도록 영상이나 아이콘 등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도5 및 도10을 참조하면 제어부(16)는, 제2바디(200)가 최초상태로부터 하부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실시예1이 대기모드(idle mode)에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대기모드(idle mode)에서는 투명 표시창(210)에 실시예1이 대기모드(idle mode)임을 알리는 "LG CYON" 문자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대기모드(idle mode)에서는 제2입력부(130)가 터치됨에 따라 통화모드, 인터넷 접속모드 등에 진입하게 되는데, 문자나 숫자 입력을 위한 터치영역(도면부호 미부여)이 터치된 후 통화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통화모드 터치영역(132)이 터치됨으로써 통화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실시예1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1은 제1입력부(120) 및 제2입력부(130)가 제2바디(200)에 덮여 있는 경우에는 제1입력부(120) 및 제2입력부(130)에 대응하는 아이콘(icon)이 터치 스크린(110)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으므로, 도5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0)가 최초상태에서 하부로 슬라이딩된 경우에도 투명 표시창(210)을 통하여 대기모드임을 나타내는 "LG CYON" 문자영상만을 선명하게 표시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제1입력부(120) 및 제2입력부(130)는 제2바디(200)가 슬라이딩되어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제1입력부(120) 및 제2입력부(130)에 대응하는 아이콘(icon)이 터치 스크린(110)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사용자는 제1입력부(120) 및 제2입력부(130)를 손쉽게 인식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최초상태에서 제2바디(200)가 상부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실시예1은 카메라(도면 미도시)를 이용한 찰영모드에 진입하게 되므로 피사체를 신속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바디(200)는 투명 표시창(210)을 구비하고 있고, 제2바디(200)가 상부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진입된 촬영모드에서는 투명 표시창(210)의 중심부에 원형상 등의 센터 아이콘(center icon)(212)이 디스플레이되므로, 피사체의 중심과 투명 표시창(210)의 중심을 손쉽게 일치시킬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최초상태에서, 제3입력부(220)의 조작에 의해 터치 스크린(110) 중 투명 표시창(210)의 배면 후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배경 등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고, 투명 표시창(210)에는 인물사진 등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영상을 합성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8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제2바디(200)의 전면에 제3입력부(22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최초상태에서도 제3입력부(220)를 조작함으로써 동영상 편집 등 소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10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최초상태에서 제2바디(200)가 하부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대기모드로 진입하고, 제2입력부(130)가 외부에 노출되므로, 제2입력부(130)의 조작에 의하여 손쉽게 통화모드, 인터넷 접속모드 등에 진입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최초상태로부터 제2바디(200)가 상부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촬영모드에 진입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대기모드나 기타 다른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대기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표시창(210)에 날짜 및 시간 등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제1바디(100)의 전면 중 최초상태에서 투명 표시창(210)의 배면 후방에 위치하는 부위는 터치 스크린(110)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터치 패드이거나 키버튼 등일 수 있다. 즉, 제2입력부(130)는 터치 패드이거나 키버튼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는 최초상태에서 제1바디(100)의 전면 중 투명 표시창(210)의 배면 후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제1입력부(120)는 터치 스크린(110)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터치 패드이거나 키버튼 등일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제2바디(200)가 제1바디(100)에 대하여 직선 슬라이딩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바디(1200)가 제1바디(1100)와 스윙 힌지(1230)에 의해 결합되어, 제1바디(1100)의 일정점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의 경우 투명 표시창 구비 회전 슬라이딩 이동단말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바디(1200)의 하부에는 투명 표시창(1210)이 구비되고, 제2바디(1200)의 상부에는 제3입력부(1220)가 구비된다. 또한, 제1바디(1100)에는 제1입력부(1120)와 제2입력부(1130)가 구비되는데, 제1입력부(1120)와 제2입력부(1130)는 제2바디(1200)의 회동상태에 따라 외부에 노출된다. 한편, 상기한 회전 슬라이딩 이동단말기는 제2바디(1200)가 회동하여 제1 입력부(1120)와 제2입력부(1130)를 개방함에 따라 촬영모드 또는 대기모드에 진입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기타, 제1입력부(1120), 제2입력부(1130) 등에 대한 설명 및 제2바디(1200)가 최초상태로 복귀한 경우의 설명은 실시예1에 준한다.
실시예2
실시예2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 중 바 타입 이동단말기의 일실시예이다. 도13은 실시예2의 정면도이다.
도13을 참조하면 실시예2는 투명 표시창(3100), 제1입력부(3200) 및 제2입력부(3300)를 갖는다.
도13를 참조하면 투명 표시창(3100)은 바 타입 이동단말기(30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제1입력부(3200) 및 제2입력부(3300)는 투명 표시창(3100)의 하부에 구비된다. 제1입력부(3200)와 제2입력부(3300)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투명 표시창(3100) 외에 입력부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바디가 제1바디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제3입력부의 조작에 의해 터치 스크린 중 투명 표시창의 배면 후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배경 등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고, 투명 표시창에는 인물사진 등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영상을 합성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1입력부 및 제2입력부가 제2바디에 덮여 있는 경우에는 제1입력 부 및 제2입력부에 대응하는 아이콘(icon)이 터치 스크린(110)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으므로, 제1입력부 또는 제2입력부가 투명 표시창의 배면 후방에 위치하더라도 이에 대응하는 아이콘(icon)이 디스플레이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는 투명 표시창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오버랩(over lap)되지 않으므로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2바디의 작동상태에 따라 제1입력부 및 제2입력부가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제1입력부 및 제2입력부에 대응하는 아이콘(icon)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사용자는 제1입력부 및 제2입력부를 손쉽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최초상태에서 제2바디가 슬라이딩 또는 회동함으로써 카메라를 이용한 찰영모드에 진입하게 되므로 피사체를 신속하게 촬영할 수 있으며, 투명 표시창의 중심부에 원형상 등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므로 피사체 촬상시, 투명 표시창을 통해 투시되는 피사체와 투명 표시창의 중심을 손쉽게 일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제1바디와,
    투시 가능한 투명 표시창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바디의 전면(front side)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탑재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바디의 전면(front side)에 구비되고, 최초상태에서 상기 투명 표시창의 배면(rear side) 후방에 위치하며,
    최초 상태에서, 상기 투명 표시창 및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에 특정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하부에는 제1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입력부는 상기 제2바디가 최초상태로부터 상기 제1바디에 대하여 상부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최초상태로부터 상기 제1바디에 대하여 상부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모드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상부에는 제2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입력부는 상기 제2바디가 최초상태로부터 상기 제1바디에 대하여 하부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제2바디가 최초상태로부터 상기 제1바디에 대하여 하부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대기모드(idle mode)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의 전면(front side)에는 제3입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는,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제1바디의 상부로부터 최초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촬영모드에서 촬상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에는 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2바디가 최초상태로부터 상기 제1바디에 대하여 회전 슬라이딩됨에 따라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
  10. 삭제
KR1020070023433A 2007-03-09 2007-03-09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 KR101351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433A KR101351732B1 (ko) 2007-03-09 2007-03-09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433A KR101351732B1 (ko) 2007-03-09 2007-03-09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760A KR20080082760A (ko) 2008-09-12
KR101351732B1 true KR101351732B1 (ko) 2014-01-14

Family

ID=4002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433A KR101351732B1 (ko) 2007-03-09 2007-03-09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7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9649B2 (en) 2014-06-10 201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1133A (ko) * 1999-07-30 2001-03-15 이데이 노부유끼 정보단말기
KR200345703Y1 (ko) * 2003-12-30 2004-03-2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수평회전 커버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367293Y1 (ko) * 2004-08-05 2004-11-09 백남용 상, 하 양 방향구동의 슬라이드 휴대단말기
KR20060064958A (ko) * 2004-12-09 2006-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내장형 투명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1133A (ko) * 1999-07-30 2001-03-15 이데이 노부유끼 정보단말기
KR200345703Y1 (ko) * 2003-12-30 2004-03-2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수평회전 커버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367293Y1 (ko) * 2004-08-05 2004-11-09 백남용 상, 하 양 방향구동의 슬라이드 휴대단말기
KR20060064958A (ko) * 2004-12-09 2006-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내장형 투명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9649B2 (en) 2014-06-10 201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760A (ko) 200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4492B2 (en) Smartphone with front camera and maximized display screen
WO2018192390A1 (zh) 一种移动终端的拍摄方法及移动终端
WO2017084444A1 (zh) 移动设备及其屏幕模组、指纹采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48019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KR102065408B1 (ko) 이동 단말기
US6778217B1 (en) Image-capturing device having an electronic viewfinder and external monitor with shared control
KR1018586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1249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592097B2 (en) 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with a touch operation section
KR101381637B1 (ko) 듀얼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EP3032482A1 (en) P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KR20160034838A (ko)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JP2009171085A (ja) 電子機器
KR101351732B1 (ko)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
KR101970785B1 (ko) 이동 단말기
JP2008298819A (ja) 携帯電子機器、カメラおよび携帯電話機
US20120206422A1 (en) Projection device with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method thereof
JP5749115B2 (ja)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文書作成方法
KR10159152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3차원 아이콘 표시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JP5524685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0004920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KR101620467B1 (ko) 이동 단말기
US20090284636A1 (en) Device for displaying taken image and method of displaying taken image
JP5910202B2 (ja) 筐体構造、及び電子機器
KR10148997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업로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