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466A - 발효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효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466A
KR20150139466A KR1020150078488A KR20150078488A KR20150139466A KR 20150139466 A KR20150139466 A KR 20150139466A KR 1020150078488 A KR1020150078488 A KR 1020150078488A KR 20150078488 A KR20150078488 A KR 20150078488A KR 20150139466 A KR20150139466 A KR 20150139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opic dermatitis
extract
composition
green tea
fermented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3899B1 (ko
Inventor
오좌섭
안은경
고혜진
김윤연
이재연
김종철
조경환
손경현
강은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재단법인 하동녹차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재단법인 하동녹차연구소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Publication of KR20150139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23L1/30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면역 교란 물질인 2,4-Dinitrochlorobenzene (DNCB)로 아토피성 피부염을 유발한 실험동물에 투여되었을 때 홍반(erythema), 출혈(hemorrhage), 건조(dryness), 흉터(scarring), 태선화(lichenification), 짖무름(erosin) 등의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을 완화시키는 발효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발효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Skin Using an Extract of Fermented Green Tea}
본 발명은 발효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외부 항원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발병되는 염증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10~20%의 인구가 아토피성 피부염을 겪고 있다(Tanabe, W., T. etl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2. 293: 1348-1353.). 최근 우리나라 1세에서 5세 사이의 어린이에서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는 19.2%로 5명 중 1명이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등 소아 청소년의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수가 증가하고 있으며(2008. 국민건강영양조사) 전체 아토피 질환 진료비가 2010년 6,611억원에 달해(2011,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감자료) 사회경제적 비용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주로 가려움과 염증을 수반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으로(Jiang, J. et al.,J Dermatol Sci. 2009 Oct;56(1):37-42) 아토피성 피부염이 유발되는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적 소인, 면역학적 요인 및 환경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발생에 있어 지금까지 보고된 면역학적 특성으로는 혈중 IgE 항체 및 IL-4 cytokine의 분비량이 증가하고 IFN-γ cytokine의 분비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질환 초기에는 항원을 인식한 T 세포가 IL-4, IL-5 및 IL-13 cytokine을 분비하여 (Akdis M et al., J Immunol. 1997 Nov 1;159(9):4611-9.) naive CD4+ T 세포가 Th 2 세포로 분화하도록 조절하고, B 세포의 활성화가 촉진되어 IgE의 분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혈액 내 IL-4, IL-5 및 IL-13 cytokine 및 IgE의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게 나타난다(Del Prete G et al.,J Immunol. 1988 Jun 15;140(12):4193-8.;Punnonen J et al., Proc Natl Acad Sci U S A. 1993 Apr 15;90(8):3730-4.). 또한 IFN-γ 및 IL-12와 같은 Th 1 type의 cytokine은 감소한다. 반면 후기에 발생하는 만성 아토피성 피부염의 경우에는 2차적인 미생물의 감염에 의해 IFN-γ cytokine의 발현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Th 1 세포 면역반응이 증가하게 된다. IFN-γcytokine은 대식세포 및 NK세포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TNF-α IL-6 및 IL-1β와 같은 cytokine을 분비하여 각질세포의 자멸사를 촉진시키고 피부조직에 침윤되는 등 만성적인 염증을 유발한다(Homey B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2006 Jul;118(1):178-89.).
최근에는 면역학적 기전뿐만 아니라 피부장벽의 손상도 아토피성 피부염 악화의 주요한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표피 중에서도 가장바깥에 존재하는 각질층은 각질 형성세포로부터 형성되며, 분화된 각질 세포와 그를 둘러싼 지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피부장벽은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 습관이나 건조한 대기, 오염물질 등의 환경적 요인 및 각질 형성세포의 지질합성능력 저하 등과 같은 내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쉽게 손상되어 아토피성 피부염을 유발하는 것이다. 따라서 아토피성 피부염은 태선화, 인설 및 건조와 같은 증상을 나타낸다. 또한 급·만성기 전반에 걸쳐 소양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긁는 행위로 인해 창상, 2차 감염 등 2차적인 피부증상 악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에 있어서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아토피성 피부염 실험시에는 혈중 면역 물질의 생성을 확인할 뿐 아니라 피부자극 모델, 식이유도모델, 환경유도모델, 오발부민(ovalbumin) 피부감작 모델 등 동물모델을 사용하여 직접적인 피부증상을 확인하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오발부민 피부감작 모델과 피부자극 모델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오발부민 피부감작 모델은 화학물질 피부자극 모델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발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비교적 길며, 실제 피부염 증상은 눈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피부자극모델이 선호되는 경향을 보인다. 피부자극모델은 화학물질(DNCB : dintrochlorobenzene,DNFB : dinitrofluorobenzene, PiCl : picryl chloride)을 이용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을 유발하는 방법인데, 이는 급성 아토피 유발 모델로 비교적 빠른 기간 안에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유발시 눈으로 태선 및 수포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연구에 유용하다.
현재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로 염증 반응과 cytokine 생산을 억제 하는 스테로이드제가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장기간 투여 할 경우 피부의 위축이나 성장 지연 가능성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을 초래하여 최근에는 비스테로이드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비스테로이드제 역시 홍반, 가려움, 부종, 짓무름 및 태선화 등의 증상과 면역력 약화 등의 다양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어 근본적인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가 어려운 실정이다(Arellano FM et al., J Invest Dermatol. 2007 Apr;127(4):808-16.). 따라서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물로부터 치료효과가 높고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물질을 찾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하에서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효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찻잎을 자연상태에서 발효시킨 후 덖음과 유념 공정을 통해 제조한 녹차에 50% 에탄올을 가하고 초음파를 방사하여 얻은 발효 녹차 추출물이, 면역 교란 물질인 2,4-Dinitrochlorobenzene (DNCB)로 아토피성 피부염을 유발한 실험동물에 투여되었을 때 홍반(erythema), 출혈(hemorrhage), 건조(dryness), 흉터(scarring), 태선화(lichenification), 짖무름(erosin) 등의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이 완화됨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전술한 바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은 발효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발효 녹차"는 찻잎을 채취한 후 자연상태 즉 접종되는 미생물, 온도, 습도, CO2 농도에 있어서 인위적인 조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실외, 실내 또는 실외와 실내(즉 실외와 실내에 번갈아)에 방치함으로써 얻어진 녹차를 말한다. 아래의 실시예를 참조할 때, 상기 "발효 녹차"는 실외 자연 조건에서 1~2시간 음건 후, 찻잎의 색상이 변할 때까지(찻잎의 색상이 변하면 과일 향이 나기 때문에 과일 향이 날 때까지로 볼 수도 있음, 시간으로는 1~3시간임) 양건(陽乾)하고 그 다음 실내에서 반복적 뒤집기를 통하여 20~24시간 음건하여 얻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얻어진 발효 녹차에는 실외 자연 조건에서의 음건 전후, 양건 전후, 실내에서의 반복적 뒤집기를 통한 음건 전후에 유념 공정이 적용될 수 있다. 유념 공정은 찻잎이 가지는 향이 보다 쉽게 발산될 수 있는 찻잎을 비벼 파쇄하는 공정으로 이러한 유념 공정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거나 시중에서 판매되는 유념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발효 녹차 추출물"은 추출 대상인 발효 녹차를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 방법은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 등을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상기 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고, 상기 추출물을 상기 용매들을 극성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순으로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하며, 나아가 크기, 전하, 소수성, 친화성 등의 성질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아래의 실시예를 참조할 때 상기 추출물은 추출 대상인 발효 녹차를 50%의 에탄올에 침지시키고 초음파를 방사하여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로 제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자들은 추출용매로 물과, 에탄올 함량이 20%, 30%, 40%, 50%, 60%, 70%, 80% 및 90%인 에탄올 수용액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고 또한 초음파를 방사하거나 가열 처리하여(에탄올 수용액의 혼합 용매는 중탕 가열하였음. 즉 내부 용기에 추출 대상인 발효차와 에탄올 수용액을 넣고 외부 용기에는 물을 넣어 80℃로 가열 처리하였음) 추출물을 얻고 그 각 추출물의 전체 테아플라빈의 함량을 측정하였을 때, 초음파가 방사 또는 가열 처리된 50% 에탄올 추출물이 테아플라빈의 함량이 뚜렷하게 높았으며, INF-γ로 자극된 HaCaT 세포에 해당 각 추출물 천체를 처리하여 MDC 및 TARC의 발현이 억제되는 정도를 평가하였을 때도, 비발효 녹차 추출물보다 발효 녹차 추출물이 대체로 MDC 및 TARC의 발현 억제 활성이 우수하고, 또 발효 녹차 추출물 중에서도 초음파 방사 50% 에탄올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뚜렷하게 활성이 우수하였다. 아래 실험예의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모델 실험에서 시료로서 초음파 방사된 50%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한 것은 이러한 성분 분석 결과와 세포시험 결과에 기초한 것이다. 참고로 테아플라빈(테아플라빈, 테아플라빈-3-갈레이트, 테아플라빈-3'-갈레이트 및 테아플라빈 3,3'-디갈레이트를 말함)은 찻잎이 자연 발효될 때 폴리페놀옥시다아제의 작용에 의하여 찻잎에 존재하는 폴리페놀의 중합을 거쳐 형성된다고 알려져 있는데, 홍차의 색상과 향미의 원인 물질로서 항산화 활성, 항염 활성 등이 보고 되어 있다[Leung 등, J Nutr 2001 , 131(9):2248-51; Sarkar 등,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1 , 284(1):173-8; Yoshino 등, Biol. Pharm Bull . 1994 , 17(1) 146-149]. 또한 참고로 상기 MDC와 TARC는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서 그 혈청 농도가 현저히 증가한다고 보고된 케모카인으로서(Hijnen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113(2) 334-340),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 물질로 사용되는 사이크로스포린 A나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게 투여하였을 때는 MDC 및 TARC의 혈청 농도가 감소한다는 보고가 있으며(Y. Shimada et al., J. Dermatol. Sci., 34, 201-208, 2004), 또 시험관내 실험에서 HaCaT 세포에 hIFN-γ나 TNF-α를 처리하였을 때 MDC 및 TARC가 다량 발현되는데 이러한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은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음이 제시된 바 있다(Horikawa et. al., Int. Immunol., 14(7) 767-773, 2002).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효성분"의 의미는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정의되지 않은 용어는 국어사전적 의미나 당업계에서 통용되고 있는 의미에 따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치료를 의도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15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그 적용 대상인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사람에게서,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치료, 또는 이러한 병리적 증상의 발병 억제/지연을 유도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처방)될 수 있는 대상은 포유동물 및 사람이며, 특히 사람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경구용 제형(정제, 현탁액, 과립, 에멀젼, 캡슐, 시럽 등), 비경구형 제형(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국소형 제형(용액, 크림, 연고, 겔, 로션, 패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충분히 낮은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정제화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수성 현탁제로 제조될 경우에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액으로 제조되는 경우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링거액, 등장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고, 아토피성 피부염 조성물처럼 경우에 따라서는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향미나 기호성을 향상시키고 다른 기능성을 추가하기 위하여 한약재가 추가될 수 있는데, 추가될 수 있는 한약재로서는 두충 추출물, 속단 추출물, 녹용 추출물, 홍화인 추출물, 토사자 추출물, 숙지황 추출물, 별갑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감초 추출물, 당귀 추출물, 갈근 추출물, 강진향 추출물, 합환피 추출물, 산두근 추출물, 괴화 추출물, 고삼 추출물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계면활성제, 비타민, 색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과 전술한 바의 담체 성분을 포함시켜 당업계에 공지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발효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약품 조성물 또는 화장품 조성물로 제품화될 수 있다.
도 1은 시험 기간 동안 실험동물의 체중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시험 기간 동안 실험동물의 아토피성 피부염 평가 점수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시험 기간 동안 각 시험군별 실험동물의 아토피성 피부염 상태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발효 녹차 추출물의 제조
채취한 찻잎을 선별하고 실외에서 1시간 음건시킨 다음 2시간 정도 양건시켜 찻잎의 색상이 변하고 과일 향이 날 때 즈음 실내에서 24시간 동안 1시간 내지 1시간 30분 간격으로 뒤집기를 반복하여 상온 건조(음건)시켰다. 이렇게 건조된 찻잎을 유념시켜 발효 녹차를 제조하였다.
발효 녹차 추출물은 상기 발효 녹차에 20배 중량의 50% 에탄올을 첨가하고 초음파 추출기(37 kHZ, 470W, 3A)로 1시간 추출하고 여과지로 여과한 후 진공 농축하여 분말상의 발효 녹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발효 녹차 추출물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활성 실험
(1) 피부 자극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모델
영·유아기 때에 급성으로 발병되어 청소년기부터 성인 시기까지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인간 아토피성 피부염 유사 모델로 면역 교란 화학물질 2,4-Dinitrochlorobenzene (DNCB)를 이용한 피부 자극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생체 내 아토피성 피부염 활성 평가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효능 평가를 위해, 피부자극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아토피 관련 인자들의 억제 및 활성을 평가하였음.
- 사용 동물
(1) 종 및 계통 : Balb/c mouse
(2) 공급 및 생산처
명 칭 : 대한바이오링크
주 소 : 충북 음성군 삼성면 대야리 113
(3) 동물 선정이유 :
Balb/c mice는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효능평가에 권장하는 동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 효능평가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Balb/c 종의 경우 기초 시험 자료가 풍부하여 시험 결과 해석이나 평가에 용이함.
(4) 입수 시 주령(성별) 및 체중범위 : 6주령(수컷), 20-23g
(5) 순화방법 및 기간
일주간의 검역, 순화기간 중에 매일 1회 일반증상 관찰을 실시. 반입 시 및 검역, 순화기간 종료 시 체중을 측정하여 시험 실시에 적합한 건강한 동물을 선발.
(6) 군분리
투여 전일에 체중을 측정하고 excel program을 이용하여, 각 군간의 평균과 표준편차가 균등하게 되도록 분리함.
(7) 개체식별
개체식별은 미부 표시법 및 사육상자 별 개체식별카드 표시법을 이용함.
- 환경조건
(1) 온습도 범위 : 온도 22, 상대습도 45%
(2) 환기횟수 : 10~15 회/시간
(3) 조명시간 및 명암주기 : 혈광등조명 12 hr
(4) 조도 : 150 ~ 205 Lux
(5) 소음 : 50 dB이하
(6) 사육상자 및 사육밀도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143W(mm), Jeung-Do B&P), cage당 3마리 수용
(7) 사료 및 음수의 공급
사료는 일반식이, 음수는 필터와 유수살균기를 이용하여 여과살균된 정제수를 폴리카보네이트제 음수병(250 mL)에 넣어 자율급이하였다.
- 사료
(1) 일반식이 : 18% Protein, 2918C (사료의 구체적인 영양 조성물은 아래의 [표 1] 참조)
(2) 사료 공급 및 생산처
명 칭 : Harlan Laboratories Inc, USA 8520 Allison
주 소 : Pointe Bivd,suite 400, Indianapolis,IN 46250
Figure pat00001
(2) 실험 방법
마우스의 등을 귀 하단부에서부터 꼬리 상단부까지 전체를 제모하고 24시간 방치 후 1.5% DNCB(2,4-dinitrochlorobenzene) 용액(아세톤 : 올리브오일 = 3:1) 200㎕를 제모 부위에 도포하고, 3일 후 2차 도포하였다. 1차 도포 후 7일째부터는, 1주일에 3회씩 3주간 0.5% DNCB 용액 150㎕를 재차 도포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을 유발하였다. 시료는 3주간 1일 1회 경구투여하였다.
평가는 아토피성 피부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상적 육안 평가법으로 아토피성 피부염의 심각성 정도를 다음 6가지 항목을 각각 평가한 점수의 총합(Clinical dermatitis score test)으로 측정하여 이루어졌다. 평가 항목은 홍반(erythema), 출혈(hemorrhage), 건조(dryness), 흉터(scarring), 태선화(lichenification), 짖무름(erosin) 등이며, 각각의 항목에 대해 증상이 없음(0점), 증상 약함(1점), 보통(2점), 심함(3점)으로 채점한 후 6항목의 점수를 합산함으로써 최소 0점(아무 증상 없는 상태)에서 최고 18점(모든 항목의 증상이 심한 상태)사이의 평가 점수를 부여하였다.
시험군의 구성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Figure pat00002
(3) 실험 결과
(3-1) 체중 변화
3주간 측정한 체중 변화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의 추출물 투여에 따른 3주간 체중 변화는 없었다.
(3-2) 아토피성 피부염 평가 점수의 변화
3주간 측정한 아토피성 피부염 평가 점수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DNCB 아토피성 피부염 유발군의 경우 아토피성 피부염 변화와 마찬가지로 피부염 유발 2주 후부터 홍반, 건선, 짓무름, 태선화 등이 골고루 발병하면서 약 8정도의 score를 보이고 3주 후 최대 11의 score를 보이는 반면, 실시예의 시료 투여군의 경우는 대체로 socre가 감소하거나 적어도 증가하지 않아 PBS 투여군(Vehicle)과 뚜렷한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발효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발효 녹차는 채취한 찻잎을 자연상태에 방치하여 얻어진 것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녹차 추출물은 발효 녹차에 50% 에탄올을 가하고 초음파 방사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0150078488A 2014-06-03 2015-06-03 발효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803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542 2014-06-03
KR20140067542 2014-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466A true KR20150139466A (ko) 2015-12-11
KR101803899B1 KR101803899B1 (ko) 2017-12-04

Family

ID=54766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488A KR101803899B1 (ko) 2014-06-03 2015-06-03 발효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3899B1 (ko)
WO (1) WO201518696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626A (ko) * 2017-04-17 2018-10-25 이충식 소화 흡수 촉진으로 아토피에 유효한 식품 첨가제, 그 제조방법과 이를 첨가한 식품
WO2019066261A1 (ko) * 2017-09-29 2019-04-04 (주)아모레퍼시픽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피부장벽 강화용, 및 항산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KR20190038106A (ko) * 2017-09-29 2019-04-08 (주)아모레퍼시픽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399B1 (ko) * 2007-07-11 2009-02-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드름, 아토피 피부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녹차 수용성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188662B1 (ko) * 2009-05-08 2012-10-09 윤종림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10062214A (ko) * 2009-12-03 2011-06-10 지승미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0411B1 (ko) * 2011-10-25 2013-11-18 재단법인 하동녹차연구소 증숙 처리된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280315B1 (ko) * 2012-04-13 2013-07-01 임정하 피톤치트 아토피 습진 완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485896B1 (ko) 2014-10-27 2015-01-26 주식회사 더트루메틱 홍차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626A (ko) * 2017-04-17 2018-10-25 이충식 소화 흡수 촉진으로 아토피에 유효한 식품 첨가제, 그 제조방법과 이를 첨가한 식품
WO2019066261A1 (ko) * 2017-09-29 2019-04-04 (주)아모레퍼시픽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피부장벽 강화용, 및 항산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KR20190038106A (ko) * 2017-09-29 2019-04-08 (주)아모레퍼시픽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899B1 (ko) 2017-12-04
WO2015186962A1 (ko)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033B1 (ko) 감귤류 열매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RU2517346C2 (ru) Экстракт из надземных частей овса, выращенного до начала колошения
JP2017532383A (ja) キツネノマゴ属植物の抽出物または分画物を含む組成物
KR20150086982A (ko) 원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03899B1 (ko) 발효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934794B1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51363B1 (ko) 수용화 매스틱 검 또는 감태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항알러지용 조성물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1885120B1 (ko)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61125B1 (ko) 허니부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705354B1 (ko) 고사리삼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19839A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강화 조성물
KR101698869B1 (ko)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00850B1 (ko) 소맥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면역반응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06440B1 (ko) 블루베리 및 흑미 추출물 배양 유산균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436213B1 (ko) 긴잎모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99458B1 (ko) 백기생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61340B1 (ko)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95765A (ko) 현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KR20180019838A (ko) 기능 및 풍미가 개선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제조방법
JP2010070531A (ja) 天然抽出物より得られた脱顆粒抑制剤、β−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抑制剤、抗アレルギー用または抗炎症用の食品、医薬、動物飼料用組成物および化粧品原料用組成物
KR102604076B1 (ko) 수수꽃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20190060631A (ko) 감태 추출물과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