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365A -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 - Google Patents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365A
KR20150139365A KR1020140067888A KR20140067888A KR20150139365A KR 20150139365 A KR20150139365 A KR 20150139365A KR 1020140067888 A KR1020140067888 A KR 1020140067888A KR 20140067888 A KR20140067888 A KR 20140067888A KR 20150139365 A KR20150139365 A KR 20150139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upper deck
trunk
ventilation trunk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1427B1 (ko
Inventor
이수호
손길승
박세일
김대근
최지훈
배재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7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427B1/ko
Publication of KR20150139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10Ventilating-shafts; Air-sco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데크를 갖는 시추선 선체와; 상기 상부 데크에 마련되며, 서로 구획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격실과; 상기 상부 데크의 상단면 및 상기 상부 데크의 하단면을 수직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설치되는 통풍 트렁크; 및 상기 다수의 격실들과 상기 통풍 트렁크를 연결하여, 통풍 관로를 이루는 통풍 덕트를 포함하는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SEMI-SUBMERSIBLE DRILLING RIG}
본 발명은 반잠수식 시추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내의 원활한 통풍을 이룸과 아울러, 선내 무선 통신의 전달 경로로 사용할 수 있는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유식 해양 구조물로는 드릴쉽(drillship), 잭업 리그(jack-up drilling rig), 반잠수식 시추선(semi-submersible drilling ri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반잠수식 시추선은 잠수식 구조물(submerged pontoon)에 다수의 컬럼(column)으로 지지되는 워킹 플랫폼(working platform)이 마련되고, 정해진 위치에 도착하게 되면, 잠수식 구조물, 즉 폰툰(pontoon)에 물을 채워서 수면 위의 높이를 낮추도록 하여 해상에서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반잠수식 시추선은 파도의 영향을 칼럼에서만 받기 때문에 부유체의 운동특성이 양호하여 비교적 깊은 바다의 시추작업에 활용되고 있다.
종래의 반잠수식 시추선에는 환풍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환풍 덕트(ventilation duct)가 마련된다.
반잠수식 시추선에는 상부 데크의 가장자리에 환풍 덕트(ventilation duct)가 수직되게 배치되고, 환풍 덕트의 상단에 환풍구(ventilator opening)가 마련된다.
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73780호 이전에는 외기에 접하는 환풍구의 위치가 상부 테크로부터 일정한 높이 이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시추선이 종경사 또는 횡경사가 발생하여 상부 데크의 상당 부분이 물에 잠기더라도 상부 데트 위로 비산되는 해수가 환풍구를 통해 선체 내부로 흘러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였다.
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73780호는 종래의 외기와 접하는 덕트의 선단을 상부데크의 상방향 위치가 아닌 상부 데크의 하단면에 연결함에 따라, 순간적 수면 변동에 따라 발생하는 에어갭(air gap)의 충격압력이 덕트 내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해상에서의 침수 사고로 인해 상부 데크의 하단면이 수면에 접하는 경우 덕트 입구가 막힘으로 인해 외기와 연통이 불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특허출원 제10-2012-007378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선내의 원활한 통풍을 이룸과 아울러, 선내 무선 통신의 전달 경로로 사용할 수 있는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을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부 데크를 갖는 시추선 선체와; 상기 상부 데크에 마련되며, 서로 구획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격실과; 상기 상부 데크의 상단면 및 상기 상부 데크의 하단면을 수직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설치되는 통풍 트렁크; 및 상기 다수의 격실들과 상기 통풍 트렁크를 연결하여, 통풍 관로를 이루는 통풍 덕트를 포함하는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을 제공한다.
상기 통풍 트렁크는, 상기 시추선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 길이에서, 상기 시추선의 가장 자리로부터 1/4 내 범위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풍 트렁크는 다수로 설치되고, 다수의 설치되는 상기 통풍 트렁크는 흡기용 및 배기용으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풍 트렁크는 선내의 무선 통신 전달 경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풍 트렁크의 상단은, 상기 상부 테크의 상단면으로부터 150mm 이상의 높이를 이루는 코밍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풍 트렁크의 하단 일부에는, 해수의 비산, 차올림을 차단하는 해수 차단 커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풍 트렁크와 연결되는 상기 통풍 덕트의 선단에는, 수밀 커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밀 커버는 방화 댐퍼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풍 트렁크는, 전체 길이 또는 상기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일부 구간에서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풍 덕트는, 상기 격실의 바닥면 또는 천정면에 설치되며, 선단이 상기 통풍 트렁크와 연결되는 수평 통풍 덕트와, 상기 수평 통풍 덕트에서 수직 방향을 따라 분기되어, 상기 격실의 내부에 위치되어 공기 출입구를 형성하는 수직 통풍 덕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반잠수식 시추선에 있어서 덕트(Duct)의 길이 대폭 축소 및 통풍 트렁크를 중심으로 규칙적으로 배치 가능함으로써 전기 및 배관 등을 배치하는 경우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데크 위로 돌출되는 구조를 단축 또는 삭제함으로써 제작성을 향상시키고, 생산비용 및 시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데크 상단면을 타고 들어오는 침입수(Green water)가 통풍트렁크 내부로 흘러 들어 오더라도 통풍 덕트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하부 개구부를 통해 자연배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인 구조물의 무게중심을 낮추어 시추선의 부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해수면과 상부데크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인 에어갭(air gap)의 특성에 의해 반잠수식 시추선의 급격한 상하운동(heaving)에 의해 상부데크가 받는 구조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즉, 해수면의 급작스런 변동으로 에어갭 사이에 공기의 압력이 갑자기 높아지거나 떨어질 때 통풍트렁크를 통해 배출 또는 유입되는 공기가 압력의 변화를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고로 상부데크의 하단면(Box bottom)이 물에 잠기더라도 상단면을 통해 환기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통풍 트렁크를 선내무선통신의 전파전달경로로 활용함으로써 선내 무선통신을 도입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부 데크에 형성되는 통풍 트렁크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상부 데크에서의 통풍 덕트와 통풍 트렁크와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부 데크에서의 통풍 덕트와 통풍 트렁크와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다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부 데크에서의 선내 무선 통신 경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부 데크에 형성되는 통풍 트렁크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은 시추선 선체(100)와, 다수의 격실(110)과, 통풍 트렁크(300)와, 다수의 통풍 덕트(400)로 구성된다.
시추선 선체(100)에는 상부 데크(200)가 마련된다.
상부 데크(200)에는 상기 다수의 격실(110)이 서로 구획을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통풍 트렁크(300)는 상부 데크(200)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수직 방향을 따라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통풍 덕트들(400) 각각은 상기 다수의 격실들(110)과 상기 통풍 트렁크(300)를 연결하여 통풍 관로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통풍 트렁크(300)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추선 선체(100)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 길이(L)에서, 상기 시추선 선체(100)의 가장 자리로부터 1/4 내 범위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통풍 트렁크(300)의 상단에는 코밍이 형성되며, 상기 코밍은 상부 데크(200)의 상단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풍 트렁크(300)의 상단은 상부 데크(200)의 상단면에서 최소 150mm 이상의 높이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로 설치되고, 다수의 설치되는 상기 통풍 트렁크(300)는 흡기용 및 배기용으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풍 트렁크(300)는 상부 데크(200)의 상단면에서 하단면을 관통하되, 전체 수직방향 길이(높이)를 기준으로 수직을 이룰 수도 있고, 일정 경사를 이룰 수도 있다.
더하여, 통풍 트렁크(301,302,303)의 전체 수직방향 길이(높이)를 기준으로 일부 구간이 경사를 이루 수도 있다.
즉, 통풍 트렁크(301)의 중앙부가 경사를 이루도록 벤딩될 수도 있고, 경사는 통풍 트렁크(302,303)의 전체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예각 또는 직각을 이루도록 벤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통풍 트렁크(300)의 하단에는 해수 차단 커버(310)가 설치된다.
상기 해수 차단 커버(310)는 그 일부가 통풍 트렁크(300)의 하단 일부 영역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해수 차단 커버(310)는 통풍 트렁크(300)의 하단에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해수 차단 커버(310)는 해수의 비산 및 차올임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상부 데크에서의 통풍 덕트와 통풍 트렁크와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부 데크에서의 통풍 덕트와 통풍 트렁크와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다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통풍 덕트(400)는 격실(110)의 바닥면 또는 천정면에 설치되며, 선단이 통풍 트렁크(300)와 연결되는 수평 통풍 덕트(410)와, 상기 수평 통풍 덕트(410)에서 수직 방향을 따라 분기되어, 상기 격실(110)의 내부에 위치되어 공기 출입구를 형성하는 수직 통풍 덕트(420)로 구성될 수 있다.
수평 통풍 덕트(410)는 격실(110)의 바닥면 또는 천장면에 설치되어 상하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고, 그 선단은 수직 방향을 따라 상부 데크(200)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통풍 트렁크(300)에 연결된다.
특히, 상기 수평 통풍 덕트(410)의 선단에는 수밀 커버(430)가 배치되어 해수가 유입되더라도 통풍 덕트(4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잇다.
더하여, 상기 수밀 커버(430)는 방화 댐퍼 기능을 수반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으로 인한 화기가 통풍 덕트(4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기가 격실(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격실(110)의 공기 출입구를 형성하는 수직 통풍 덕트(420)의 선단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수밀 커버(430)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부 데크에서의 선내 무선 통신 경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통풍 트렁크(300)는 선내의 무선 통신 전달 경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의 구조에 의해, 통풍 트렁크(300)를 선내무선통신의 전파전달경로로 활용함으로써 선내 무선통신 도입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덕트(Duct)의 길이 대폭 축소 및 통풍 트렁크를 중심으로 규칙적으로 배치 가능함으로써 전기 및 배관 등을 배치하는 경우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상부데크 위로 돌출되는 구조를 단축 또는 삭제함으로써 제작성을 향상시키고, 생산비용 및 시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상부데크 상단면을 타고 들어오는 침입수(Green water)가 통풍 트렁크 내부로 흘러들어 오더라도 통풍 덕트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하부 개구부를 통해 자연배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전체적인 구조물의 무게중심을 낮추어 시추선의 부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에어갭(Air gap)에 의해 상부데크가 받는 구조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사고로 상부데크의 하단면(Box bottom)이 물에 잠기더라도 상단면을 통해 환기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통풍 트렁크를 선내무선통신의 전파전달경로로 활용함으로써 선내 무선통신을 도입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시추선 선체
110 : 다수의 격실
200 : 상부 데크
300, 301, 302, 303 : 통풍 트렁크
310 : 해수 차단 커버
400 : 통풍 덕트
410 : 수평 통풍 덕트
420 : 수직 통풍 덕트
430 : 수밀 커버

Claims (10)

  1. 상부 데크를 갖는 시추선 선체;
    상기 상부 데크에 마련되며, 서로 구획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격실;
    상기 상부 데크의 상단면 및 상기 상부 데크의 하단면을 수직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설치되는 통풍 트렁크; 및
    상기 다수의 격실들과 상기 통풍 트렁크를 연결하여, 통풍 관로를 이루는 통풍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 트렁크는,
    상기 시추선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 길이에서, 상기 시추선의 가장 자리로부터 1/4 내 범위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 트렁크는 다수로 설치되고,
    다수의 설치되는 상기 통풍 트렁크는 흡기용 및 배기용으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 트렁크는 선내의 무선 통신 전달 경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 트렁크의 상단은,
    상기 상부 테크의 상단면으로부터 150mm 이상의 높이를 이루는 코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 트렁크의 하단 일부에는,
    해수의 비산, 차올림을 차단하는 해수 차단 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 트렁크와 연결되는 상기 통풍 덕트의 선단에는,
    수밀 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 커버는 방화 댐퍼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 트렁크는,
    전체 수직방향 길이 또는 상기 전체 수직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일부 구간에서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 덕트는,
    상기 격실의 바닥면 또는 천장면에 설치되며, 선단이 상기 통풍 트렁크와 연결되는 수평 통풍 덕트와,
    상기 수평 통풍 덕트에서 수직 방향을 따라 분기되어, 상기 격실의 내부에 위치되어 공기 출입구를 형성하는 수직 통풍 덕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
KR1020140067888A 2014-06-03 2014-06-03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 KR101601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888A KR101601427B1 (ko) 2014-06-03 2014-06-03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888A KR101601427B1 (ko) 2014-06-03 2014-06-03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365A true KR20150139365A (ko) 2015-12-11
KR101601427B1 KR101601427B1 (ko) 2016-03-08

Family

ID=5502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888A KR101601427B1 (ko) 2014-06-03 2014-06-03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4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4697A (ja) * 1998-05-26 1999-12-07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用空気調和装置
KR20090088534A (ko) * 2008-02-15 2009-08-20 마용규 머쉬룸 벤틸레이터
KR20110091914A (ko) * 2010-02-08 2011-08-17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오일 플러싱 원격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34318A (ko) * 2010-06-07 2011-12-14 장성철 해양 구조물용 방화 댐퍼
KR20120073780A (ko) 2010-12-27 2012-07-05 한국원자력연구원 슬릿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4697A (ja) * 1998-05-26 1999-12-07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用空気調和装置
KR20090088534A (ko) * 2008-02-15 2009-08-20 마용규 머쉬룸 벤틸레이터
KR20110091914A (ko) * 2010-02-08 2011-08-17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오일 플러싱 원격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34318A (ko) * 2010-06-07 2011-12-14 장성철 해양 구조물용 방화 댐퍼
KR20120073780A (ko) 2010-12-27 2012-07-05 한국원자력연구원 슬릿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1427B1 (ko)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361B1 (ko) 해양구조물의 운동 감소 장치
US9027492B2 (en) Drillship having vortex suppresion block with recessed flow stabilizing section in moon pool
KR101259718B1 (ko) 복합형 문풀 저항 저감 구조를 갖는 드릴쉽
NL2014763B1 (en) A vessel provided with a moon pool.
KR20090023891A (ko) 문풀이 형성된 시추선
KR101444504B1 (ko) 문풀 내 인입형 유동안정화부가 형성된 와류억제용 블록을 구비한 드릴쉽
KR20130066019A (ko) 드릴쉽 문풀내 해수유동 저감장치
KR101601427B1 (ko)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
KR102117387B1 (ko)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
KR101071849B1 (ko) 해수유동 자가억제 장치를 구비한 문풀
KR20130082012A (ko) 복합형 문풀 저항 저감 구조를 갖는 드릴쉽
KR20120001055U (ko) 시추선을 위한 트롤리 레일의 리세스 타입 구조
KR101292324B1 (ko) 반잠수식 시추선
KR20100028307A (ko) 해수유동 자가억제 장치를 구비한 문풀
KR101707517B1 (ko) 비오피 트롤리 설치구조 및 그 비오피 트롤리 설치구조를 갖는 시추 해양구조물
KR101429552B1 (ko)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
KR20140028325A (ko) 문풀 내부 유동 차단 구조
KR101695892B1 (ko) 문풀 내부 유동억제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시추 해양구조물
KR101593977B1 (ko) 해양 구조물의 컬럼 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세미 리그
KR101466055B1 (ko) 슬로싱 저감 장치
KR101722075B1 (ko) 반잠수 구조물의 프로텍션 장치
KR20120118522A (ko) 시추선의 문풀
KR101491670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
JP6410532B2 (ja) 船舶の復原力回復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船舶
KR20160031791A (ko) 문풀 내부의 유동 감쇄 구조 및 그 유동 감쇄 구조를 구비하는 드릴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