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7938A - 매달기형 에어배관 - Google Patents

매달기형 에어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7938A
KR20150137938A KR1020140101502A KR20140101502A KR20150137938A KR 20150137938 A KR20150137938 A KR 20150137938A KR 1020140101502 A KR1020140101502 A KR 1020140101502A KR 20140101502 A KR20140101502 A KR 20140101502A KR 20150137938 A KR20150137938 A KR 20150137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pe
tube
mechanical joint
lo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8572B1 (ko
Inventor
코지 미츠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부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부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부치
Publication of KR20150137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성이 좋고, 관의 강성을 저하시키는 것 없이 에어 공구를 접속할 수 있는 배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금속과 수지를 적층한 가소성을 가지는 적층관을 무단 루프상으로 배치하여 루프 배관을 구축하고, 상기 루프배관을 천정을 따라 수평으로 배치한 상태로, 그 배관 일개소를 메인에어관과 접속함과 같이, 상기 배관의 임의 개소에 에어공구가 접속 가능한 분기부를 구비하는 에어출력용 기구적 죠인트를 상기 분기부가 하향하도록 부착하고, 상기 에어 출력용 기구적 죠인트는, 분기부와는 반대측 외면에 천정으로의 브라켓부를 설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매달기형 에어배관{Suspend-type air pipe fitting}
본 발명은 압축 에어를 에어건 등의 에어공구에 분배하는 배관에 관한 것이다.
에어건 등의 에어 공구에 압축 에어를 분배하는 에어 배관으로써, 표면에 수지 코팅된 알미늄제의 파이프를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1). 이러한 알미늄제 파이프에 의하면, 그 때까지 사용된 배관보다 에어 배관 전체의 중량이 대폭 경량화되기 때문에, 운반이나 설치에 걸리는 작업이 쉬워서 공장의 천정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천정을 보강할 필요없이, 기존 설비의 천정 보드 등에 직접 매달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강관의 접속에는 관의 단부를 나사 가공하거나 나사 실링재가 필요로 하였지만, 상술한 알미늄제 파이프는 표면에 수지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관 단부를 그대로 원터치 이음에 끼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에어라이너(등록상표)", 닛토코기가부시키가이샤, 2013년 6월 카탈로그 번호 C003G.
에어 배관은, 관로의 임의 개소를 분기하여, 그 분기부에 에어건 등의 에어 공구를 접속하지만, 압축 에어에는 결로 등으로 발생한 수분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수분이 압축 에어와 같이 에어공구로 유출되면, 에어 공구가 고장을 일으키거나 작업 대상물에 악영향을 미친다.
특히 에어배관을 수평으로 설치한 경우, 수분은 관내의 저측을 흐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짧은 강관을 이어 붙여서, 에어 공구를 접속하는 분기부에 세우는 배관을 구성하고 있지만, 이음의 수가 많게 되어, 시공이 복잡하거나 코스트가 높아지고, 또한 접속 불량에 의한 에어의 누설도 많아질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비특허문헌 1의 에어배관에서는, 관벽에 가로 구멍을 성형하고, 전용의 브라켓에 의하여 상기 가로 구멍을 관통하여 압축 공기를 취출하도록 하여, 에어공기 측의 압축 에어에 수분이 혼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관벽에 가로 구멍을 설치하면 관의 강성이 저하되고, 에어 공구의 중량이나 사용 시의 인장 하중에 의하여 관이 절곡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시공성이 좋고 관의 강성을 저하시키는 것 없이 에어 공구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에어 배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을 무단 루프상으로 배설하여 루프 배관을 구축하고, 상기 루프 배관을 천정을 따라서 수평으로 매달아 지지하는 상태로, 그 관로 일개소를 메인 에어관과 접속함과 같이 상기 배관의 임의 개소에 에어 공구가 접속 가능한 분기부를 구비하는 에어 출력용 기구적 죠인트를 상기 분기부를 하향으로 부착하는 수단을 이용한다.
여기서 루프 배관의 구성관으로써, 금속이나 수지를 적층한 적층관을 채용하는 것으로, 종래의 강관 보다 배관 중량을 대폭 경량화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관은, 휘어진 형상을 유지하는 성질, 즉 가소성을 가지기 때문에, 배관처의 장애물을 피할 수 있도록, 현장에서 용이하게 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에어 출력용 기구적 죠인트는, 분기부와는 반대측 외면에, 상기 천정으로의 매달기부를 설치하는 수단을 이용한다. 이러하 수단에 이하여, 에어 공구는 상기 기구적 죠인트를 통하여 천정에 지지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에어 공구의 중량이나 사용 시의 인정 하중에 의하여 에어 배관이 휘거나 경사지는 것이 없고, 더욱이 비틀림 방향으로도 일정 이상의 강도를 발휘한다.
그리고 에어 출력용 기구적 죠인트는, 분기부에 개폐밸브를 일체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공구를 별도의 것으로 교환하거나 하는 때 등에도, 에어 출력을 일시 중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에어 출력용 기구적 죠인트는, 일차측 및 이차측에 관 이음을 설치함과 같이, 상기 이음 사이의 유로를 분기하여 압축 에어를 분배하는 분기부를 설치하고, 더욱이 상기 유로의 내부에 분기부측에서 동축상으로 유로 도중까지 돌출되는 원통상의 에어 유입부를 설계하며, 상기 에어 유입부의 좌우에 물의 통로를 확보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상의 에어유입부가 기구적 죠인트 내에서 서 있기 때문에, 수분이 분기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때문이다.
그리고 적층관은, 알미늄제의 중간층과, 중간층의 내외면 각각을 피복하는 수지제의 내외층으로 구성되는 삼층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으로서 알미늄를 이용하는 것으로 경량화와 가소성이 얻어짐과 같이, 수지에 의한 내외층에 이하여 방청 작용과 내식성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공구를 접속하는 에어출력부를 천정에 매달기부를 구비하는 기구적 죠인트로 구성하기 때문에, 에어 공구를 접속하는 경우 에어배관에 전용의 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에어 공구의 중량이나 사용 시의 인장 하중도 매달기부에 의하여 천정에 분산되어 에어 배관에 직접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에어 배관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어 출력용 기구적 죠인트는, 분기부와 동축상으로 내부에 돌출되는 원통부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압축 에어에 포함된 수분은 원통부를 우회하도록 흘러서, 수분이 분기부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에어 배관의 관부재인 적층관은, 강관에 비하여 경량이고, 내식성이 우수하며, 더욱이 현장에서의 휨 가공이 용이하고, 가공성과 내구성이라는 실용적 효과가 높은 에어 배관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어 배관의 전체도.
도 2는 에어출력용 기구적 죠인트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3은 에어출력용 기구적 죠인트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에어 배관을 도시한 것으로 메인에에관(1)에 루프배관(2,3)을 병렬로 접속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메인에어관(1)은 컴프레서 등(도시 생략)을 에어 공급원으로써, 루프배관(2.3) 각각에 게이트밸브를 통하여 압축에어(압축공기)를 공급하고 있다. 루프뱁관(2,3)은 수개의 관부재를 엘보에 의하여 무단 루프상으로 접속한 것을, 천정을 따라 수평으로 매달고 있다. 도면 부호 4 .. 4는 루프배관(2,3)을 천정에 매다는 밸드이다.
상기 루프배관(2,3)의 관로 중에는 에어공구(5...5)를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 에어배관을 구성하고 있다. 에어공구(5..5)는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 대상물 청소용의 에어건을 예시하고 있다. 에어공구(5...5)는 코일형의 에어호스(6)를 통하여 루프배관(2,3)에 지지되는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에어호스(6)의 일차측은 에어 출력용의 기구적 죠인트(7)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에어출력용 기구적 죠인트(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호스(6)을 접속하는 분기부(7a)를 하향으로 하여 루프배관(2,3)에 부착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분기부(7a)와 반대측 외면에 천정으로의 브라켓부(7b)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브라켓부(7b)를 밴드 등에 의하여 천정에 고정하는 것으로, 각 기구적 죠인트(7)가 천정에 지지되는 것으로 되고, 에어공구(5)의 중량이나 사용 시의 인장 하중은 천정으로 분산되고, 루프배관(2,3)에 직접 작용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에어 출력용 기구적 죠인트(7)는, 내부 구조로서 분기부(7a)와 동축 상으로 원통부(7c)를 내부를 향하여 돌출 설치하고 있다. 원통부(7c)는 상면이 개구되어 있고, 이러한 개구에서 압축 공기를 분기부(7a)로 분기하는 에어유입부로 기능한다.
한편, 압축 에어 중에 포함된 수분은 원통부(7c)에 충돌하고, 원통부(7c)의 상면 개구로의 침입이 저지되고 있다. 따라서 에어공구(5)로 수분이 유출되는 것은 방지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7c)이 좌우에는 물(W)의 통로(7d)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원통부(7c)의 바로 앞(일차측)에서 정류하는 물(W)은, 그 수위가 원통부(7c)와 동일한 높이가 되기 전에 통로(7d)에 의하여 원통부(7c)를 돌아서 들어가도록 압축 에어와 같이 이차측으로 비산되어 간다.
그리고 루프배관(2,3)에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에어출력용 기구적 죠인트(7)는, 분기부(7a)에 개폐밸브(도시 생략)를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개폐밸브에 의하여 분기부(7a)에서의 에어 출력을 개폐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공구(5)를 다른 것으로 교환하는 때, 개폐밸브를 닫은 상태로 조작하는 것으로, 일시적으로 에어 출력을 조절하거나 정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배관의 관로를 루프 배관(2,3)에 의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관로 내의 에어 압력을 균등하게 유지할 수 있고, 어떤 출력용 기구적 죠인트(7)에서도 일정하게 안정된 압력의 에어를 분배할 수 있다.
더욱이 관부재로서 금속재(알미늄)와 수지의 적층관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으로, 강관으로 에어 배관을 구축하는 것 보다 전체 중량을 대폭 경량화할 수 있다. 특히 알미늄제의 중간층과 이러한 중간층의 내외면을 각각 피복하는 수지제의 내외측으로 구성되는 삼층관을 이용하는 것으로, 그 접속을 원터치 접속 이음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휨 가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배관 작업을 극히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수지층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하면, 우수한 내식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적층관에 의한 금속과 수지의 적층수는 삼층에 한정되지 않고 삼층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1 ..... 메인에어관
2,3 ..... 루프배관
4 .... 밴드
5 ..... 에어공구
7 ..... 에어출력용 기구적 죠인트
7a ..... 분기부
7b ..... 브라켓부
7c ..... 원통부
7d ...... 물의 통로

Claims (4)

  1. 금속와 수지를 적층한 가소성을 가지는 적층관을 무단 루프상으로 배치하여 루프 배관을 구축하고, 상기 루프배관을 천정을 따라 수평으로 배치한 상태로, 그 배관 일개소를 메인에어관과 접속함과 같이,
    상기 배관의 임의 개소에 에어공구가 접속 가능한 분기부를 구비하는 에어출력용 기구적 죠인트를 상기 분기부가 하향하도록 부착하고,
    상기 에어 출력용 기구적 죠인트는, 분기부와는 반대측 외면에 천정으로의 브라켓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달기형 에어배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에어 출력용 기구적 죠인트는, 일차측 및 이차측에 관 이음을 설계함과 같이, 상기 이음 사이의 유로를 분기하여 압축 에어를 분배하는 분기관을 설치하고, 더욱이 상기 유로의 내부에 분기부 측에서 동축 상으로 유로 도중까지 돌출하는 원통상의 에어유입부를 설계하고, 상기 에어유입부의 좌우에 물의 통로를 확보하도록 구성되는 매달기형 에어배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관은, 알미늄제의 중간층과, 상기 중간층의 내외면에 각각 피복된 수지제의 내외층으로 구성되는 삼층관인 매달기형 에어배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어 출력용 기구적 죠인트는 분기부에 개폐밸브를 일체적으로 설치한 매달기형 에어배관.




KR1020140101502A 2014-05-30 2014-08-07 매달기형 에어배관 KR1022785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13062A JP6502620B2 (ja) 2014-05-30 2014-05-30 吊下型エア配管
JPJP-P-2014-113062 2014-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938A true KR20150137938A (ko) 2015-12-09
KR102278572B1 KR102278572B1 (ko) 2021-07-15

Family

ID=5487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502A KR102278572B1 (ko) 2014-05-30 2014-08-07 매달기형 에어배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502620B2 (ko)
KR (1) KR1022785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8331A (ja) * 1995-03-03 1996-09-17 Hochiki Corp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の配管継手
JPH09196256A (ja) * 1995-06-20 1997-07-29 Derek Guest John ティ形コネクタ
JP2008002675A (ja) * 2006-06-23 2008-01-10 San-Ei Faucet Mfg Co Ltd 三層管の接続構造
JP2011157916A (ja) * 2010-02-03 2011-08-18 Kazumi Hasegawa 低圧空気供給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6983Y1 (ko) * 1969-08-18 1975-08-12
FR2862368B1 (fr) * 2003-11-13 2007-05-11 Staubli Sa Ets Piquage, circuit pneumatique equipe d'un tel piquage et ensemble comprenant un tel circuit
ATE537402T1 (de) * 2004-02-13 2011-12-15 Aignep S R L Verbindungsanordnung für eine flüssigkeitsverteilungsleitung, insbesondere für druckluftverteilung
JP5777097B2 (ja) * 2011-08-12 2015-09-09 株式会社ダンレイ 集合住宅の給水立管の耐圧試験方法
JP6663158B2 (ja) * 2014-05-30 2020-03-11 株式会社タブチ 圧縮エア分岐用チー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8331A (ja) * 1995-03-03 1996-09-17 Hochiki Corp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の配管継手
JPH09196256A (ja) * 1995-06-20 1997-07-29 Derek Guest John ティ形コネクタ
JP2008002675A (ja) * 2006-06-23 2008-01-10 San-Ei Faucet Mfg Co Ltd 三層管の接続構造
JP2011157916A (ja) * 2010-02-03 2011-08-18 Kazumi Hasegawa 低圧空気供給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에어라이너(등록상표)", 닛토코기가부시키가이샤, 2013년 6월 카탈로그 번호 C003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572B1 (ko) 2021-07-15
JP2015227684A (ja) 2015-12-17
JP6502620B2 (ja) 201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6668B2 (en) Modular frame for fastening a conduit at a construction part
JP6083032B2 (ja) 液状流体通路用自在管継手及びそれを利用した液状流体物処理機器
US20090160185A1 (en) Quick connect fitting
MX2016006759A (es) Revestimiento para uniones mecanicas.
KR20150137938A (ko) 매달기형 에어배관
JP6892074B2 (ja) 消火設備の施工方法、消火設備、及び、消火設備用配管ユニット
FR2998547B1 (fr) Nacelle d'aeronef comprenant une liaison deformable entre une entree d'air et une motorisation
KR102225550B1 (ko) 압축 에어 분기용 기구적 죠인트
AT523833A4 (de) Rohrdurchführung durch ein Bauwerks-Trennelement
JP2009243036A (ja) 排水システムとこれに用いられる可撓管部材
JP7137201B2 (ja) 給水用吊下げ配管
JP2017077286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取付構造
US20180306350A1 (en) Pipe with securing plate
PL3870939T3 (pl) Urządzenie pomiarowe do określania przepływu płynu przepływającego przez odcinek rury
JP6721303B2 (ja) エア配管システムおよびエア配管システムの施工方法
JP6803134B2 (ja) 圧縮エア分岐用チーズ
CA2823760A1 (en) Flexible register boot for heated and cooled air
CN211040065U (zh) 一种耐腐蚀金属三通管件
RU2578504C1 (ru) Резинокордная кассетная компенсаторная вставка
RS20150887A1 (sr) Montažni termoizolacioni plašt od lakog betona za dimnjake i cevovode
LeveL First Floor
CN203809854U (zh) 新型流体排放系统
US20190201917A1 (en) Multi-purpose connector for sprinkler
Kaye Addendum Number 01
CA3015811A1 (en) Prefabricated demising wall with external conduit engagement fe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