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7596A - 기계 본체에 공작물을 원터치 커플링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체결기구 - Google Patents

기계 본체에 공작물을 원터치 커플링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체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7596A
KR20150137596A KR1020140065708A KR20140065708A KR20150137596A KR 20150137596 A KR20150137596 A KR 20150137596A KR 1020140065708 A KR1020140065708 A KR 1020140065708A KR 20140065708 A KR20140065708 A KR 20140065708A KR 20150137596 A KR20150137596 A KR 20150137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workpiece holder
workpiece
locking
clamp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8629B1 (ko
Inventor
박민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퍼시스템
박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퍼시스템, 박민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퍼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065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629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Abstract

공작물 홀더와 리셉터클을 록킹하는 록킹 수단과; 공작물 홀더와 리셉터클을 연동시켜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수단을 포함하는, 기계 공구용 공작물 홀더와 이를 수용하는 리셉터클의 체결기구로서, 상기 클램핑 수단은 록킹 수단보다 리셉터클 안쪽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핑 수단은 리셉터클의 공작물 홀더를 수용하는 측면에 제공된 십자형 돌출부와, 상기 리셉터클의 회전 샤프트의 십자형 돌출부와 체결되는 상기 공작물 홀더의 십자형 절취부로 나누어져 제공된 4개의 기둥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계 본체에 공작물을 원터치 커플링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체결기구{An engagement mechanism of connecting a workpiece to machine body using one-touch coupling}
본 발명은 기계 본체에 공작물을 연결하는 체결기구, 특히 드래그 피니싱 머신(a drag finishing machine)에 공작물을 연결하기 위한 원터치 커플링으로, 공작물 홀더와 이를 수용하는 리셉터클을 커플링하는 체결기구에 관한 것이다. 체결기구는 기계 공구상에, 가공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공작물을 해체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공작물 홀더와 공작물 홀더를 수용하는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체결기구는 또한 리셉터클과 공작물 홀더를 록킹하는 록킹수단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수단을 포함한다. 공작물 홀더의 다른 쪽에는 공작물이나 공작물 캐리어가 배치되어지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4978의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를 참고로 하고 있으며, 여기서 간략하게 설명하겠다. 도 5에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4978의 일부 도면을 도시한다. 여기서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는 유체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켓 바디(102)와, 상기 소켓 바디에 결합되는 밸브(108)와, 상기 소켓 바디에 결합되는 슬리브(106)로 구성되어 소켓 바디에 플러그(202)가 접속되면 밸브가 개폐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원터치식 퀵 커플러에 있어서, 슬리브 스프링(20)는 소켓 바디(102)에 체결설치되어 슬리브 바디(104)의 외측부에 위치하여 좌우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슬리브 스프링(20)의 우측부에는 슬리브 와셔(22)가 끼워져서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슬리브 바디(104)의 외측부에는 볼 와셔 스프링(24)이 끼워져서 설치되고 상기 볼 와셔 스프링(24)의 우측부에는 볼 와셔(26)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바디(104)의 우측단부 외주면에는 스톱링(28)이 결합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 바디(104)에는 복수개의 록킹볼(30)이 삽입 결합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슬리브 바디(104)에는 록킹볼(30)이 각각 대응하여 삽입 설치되어 있다.
한편, 슬리브 바디(104)에 결합되는 플러그(200)는 몸체의 전부에 좌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부가 형성된 원추형상의 결합돌부(5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부(54)에는 록킹볼(30)이 안착 고정되는 록킹홈(56)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공개공보로부터 본원의 초정밀 표면처리 장치, 예를 들어 드래그 피니싱 머신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체를 연결하지 않기 때문에, 밸브(108)와 관련된 요소들이 필요 없다. 그리고 소켓 바디의 회전에 따라서 플러그도 회전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의 리셉터클과 공작물 홀더는 제각기 상술한 실용신안 공개공보의 소켓 바디와 플러그에 대응합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초정밀 표면처리 장치에는 공작물 홀더를 삽입하기 위한 리셉터클을 포함하며, 리셉터클은 회전되고, 이에 따라서 여기에 연결된 공작물 홀더가 회전되고 그리고 공작물 홀더에 결합된 공작물이 회전되어 공작물이 호두껍질을 포함하는 피니싱 입자에 의해 가공되어진다.
이와 관련된 종래 공작물 홀더는 DE 10 2010 024 247 A1에 공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에 클램핑되어지는 클램핑 부와 가공되어질 공작물이나 공작물 어댑터가 해제가능하게 고정되기 위한 공작물 홀더를 포함한다. 간단하고 저가의 공작물 홀더로서 전체 공작물 홀더를 교체할 필요없이 다양한 공작물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원터치 결합방식을 취하고, 회전하는 리셉터클에 의해서 공작물 홀더 또한 회전하도록 리셉터클과 공작물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수단(보어(14)와 공작물 홀더의 핀(16))과 리셉터클과 공작물 홀더의 록킹하기 위한 록킹 수단(록킹볼과 록킹홈(23))을 포함한다. 도 6를 참조하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록킹 수단이 클램핑 수단 위에 위치되어 있어서, 록킹 수단과 클램핑 수단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고, 이들 수단들의 구조가 복잡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기계 본체에 공작물을 원터치 커플링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체결기구로서, 회전판에 고정되어질 리셉터클과 이에 체결되어질 공작물 홀더의 클램핑 수단을 간단하게 한 체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기계 본체에 공작물을 원터치 커플링을 이용하여 빨리 리셉터클과 공작물 홀더를 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체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계 본체에 공작물을 원터치 커플링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체결기구에서, 공작물 홀더와 리셉터클을 록킹하는 록킹 수단과; 공작물 홀더와 리셉터클을 연동시켜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수단을 포함하는, 기계 공구용 공작물 홀더와 이를 수용하는 리셉터클의 체결기구로서, 클램핑 수단은 록킹 수단보다 도면상으로 위쪽 즉, 실질적으로 리셉터클 안쪽에 위치되어 있다.
클램핑 수단은 리셉터클의 공작물 홀더를 수용하는 측면에 제공된 십자형 돌출부와, 상기 리셉터클의 회전 샤프트의 십자형 돌출부와 체결되는 상기 공작물 홀더의 십자형 절취부로 나누어져 제공된 4개의 기둥을 포함한다.
변경 실시예로서, 클램핑 수단은 리셉터클의 회전 샤프트의 공작물 홀더를 수용하는 측면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홈, 상기 회전 샤프트의 하나 이상의 홈과 체결되는 상기 공작물 홀더의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변경 실시예로서, 클램핑 수단은 리셉터클의 회전 샤프트의 공작물 홀더를 수용하는 측면에 제공된 하나의 직선형 돌출부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직선형 돌출부와 체결되는 상기 공작물 홀더의 직선형 홈을 포함한다.
기계 공구용 공작물 홀더와 이를 수용하는 리셉터클을 체결하는 기구에서,
클램핑 수단을 간단하게 함으로서, 이들의 제조공정 및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록킹 수단과 클램핑 수단의 전체 길이가 짧아진다.
또한 원터치로 빨리 리셉터클과 공작물 홀더를 체결할 수 있어서,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리셉터클과 공작물 홀더가 서로 체결되기 전을 도시한다.
도 2는 리셉터클과 공작물 홀더가 서로 체결되기 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경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변경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종래 기술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종래 기술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공작물 홀더를 록킹하기 위한 리셉터클의 록킹수단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해서는 상술한 공개공보를 참고하기 바란다.
본 발명의 도 1은 리셉터클(10)과 공작물 홀더(40)가 서로 체결되기 전의 도면을 도시한다. 리셉터클(10)은 상술한 공개공보에 기술된 구성요소를 가진다. 그 중에서 슬리브(11)는 초정밀 표면 처리장치의 회전판에 고정할 수 있게 육각형 너트형태로 되어 있고, 리셉터클 바디(12)의 대향 내측에는 회전 샤프트(13)가 있다. 회전 샤프트(13)의 공작물 홀더를 수용하는 측면에는 십자형 돌출부(14)가 제공되어 있다.
공작물 홀더(40)에는 회전 샤프트(13)와 동일 축선상에 있는 몸체와, 리셉터클(10) 쪽으로, 회전 샤프트(13)의 십자형 돌출부(14)와 체결되는 십자형 절취부로 나누어진 4개의 기둥(41), 기둥(41)의 우측으로는 공작물 홀더(40)가 리셉터클(10)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경사부가 형성된 원추형상의 결합돌부(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부(42)에는 록킹볼이 안착 고정되는 록킹홈(4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둥(41)의 반대측에는 공작물이나 척기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가 있다. 여기서 클램핑 수단은 십자형 돌출부(14)와 기둥(41)을 포함한다. 그리고 록킹 수단은 록킹홈(43)과 록킹볼(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클램핑 수단이 록킹 수단보다 리셉터클 안쪽에 위치되어 있어서, 록킹 수단과 클램핑 수단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고, 이들 수단들의 구조가 단순하다.
도 2는 리셉터클(10)과 공작물 홀더(40)가 서로 체결되어진 상태를 도시하며, 여기서 회전 샤프트(13)의 십자형 돌출부(14)와 공작물 홀더(40)의 4개의 기둥(41)이 서로 엇갈리게 놓여져 있다. 그러므로 회전 샤프트(13)가 회전되면, 이에 따라서 공작물 홀더(40) 또한 연동해서 회전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경 실시예로서, 회전 샤프트(13)의 공작물 홀더 수용 측면에 반경 방향으로 4개의 부채꼴 모양의 홈(15)을 도시하고, 공작물 홀더(40)의 4개의 기둥(41)이 부채꼴 모양의 홈(15)에 삽입되어서, 회전 샤프트(13)가 회전되면, 이에 따라서 공작물 홀더(40) 또한 연동해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클램핑 수단은 부채꼴 모양의 홈(15)과 기둥(41)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변경 실시예로서, 회전 샤프트(13)의 공작물 홀더 수용 측면에 한 개의 직선형 돌출부(16)를 도시하고, 이에 대응해서 공작물 홀더(40)는 직선형 돌출부(16)를 수용하는 직선형 홈(46)을 가지고 있다. 직선형 돌출부(16)이 공작물 홀더(40)의 직선형 홈(46)에 삽입에 삽입되어서, 회전 샤프트(13)가 회전되면, 이에 따라서 공작물 홀더(40) 또한 연동해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클램핑 수단은 직선형 돌출부(16)와 직선형 홈(46)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
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
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
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리셉터클
11 : 슬리브
13 : 회전 샤프트
14 : 돌출부
15 : 부채꼴 모양의 홈
16 : 직선형 돌출부
40 : 공작물 홀더
41 : 기둥
42 : 결합돌부
43 : 록킹홈
46 : 직선형 홈

Claims (3)

  1. 초정밀 표면처리 장치에서의 공작물 홀더와 리셉터클을 록킹하는 록킹 수단과; 공작물 홀더와 리셉터클을 연동시켜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수단을 포함하는, 기계 공구용 공작물 홀더와 이를 수용하는 리셉터클을 커플링하는 체결기구로서,
    상기 클램핑 수단은 록킹 수단보다 리셉터클 안쪽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핑 수단은 리셉터클의, 공작물 홀더를 수용하는 측면에 제공된 십자형 돌출부와, 상기 리셉터클의 회전 샤프트의 십자형 돌출부와 체결되는 상기 공작물 홀더의 십자형 절취부로 나누어져 제공된 4개의 기둥을 커플링하는 체결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은 상기 리셉터클의 공작물 홀더를 수용하는 측면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홈 및, 상기 회전 샤프트의 하나 이상의 홈과 체결되는 상기 공작물 홀더의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체결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은 상기 리셉터클의 회전 샤프트의 공작물 홀더를 수용하는 측면에 제공된 하나의 직선형 돌출부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직선형 돌출부와 체결되는 상기 공작물 홀더의 직선형 홈을 포함하는, 체결기구.
KR1020140065708A 2014-05-30 2014-05-30 기계 본체에 공작물을 원터치 커플링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체결기구 KR101588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708A KR101588629B1 (ko) 2014-05-30 2014-05-30 기계 본체에 공작물을 원터치 커플링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체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708A KR101588629B1 (ko) 2014-05-30 2014-05-30 기계 본체에 공작물을 원터치 커플링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체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596A true KR20150137596A (ko) 2015-12-09
KR101588629B1 KR101588629B1 (ko) 2016-01-26

Family

ID=54873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708A KR101588629B1 (ko) 2014-05-30 2014-05-30 기계 본체에 공작물을 원터치 커플링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체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6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4845A (ja) * 1994-02-08 1995-08-22 Nippon Mektron Ltd リュ−タ−用カップリング
JP2004068846A (ja) * 2002-08-02 2004-03-04 Nok Corp 軸継手
KR100465911B1 (ko) * 2004-10-09 2005-01-13 (주)예스툴 인덱서블 드릴용 인서트의 자루부 성형지그 및 이를이용한 성형방법
JP4153401B2 (ja) * 2003-10-10 2008-09-24 株式会社ジーベックテクノロジー 研磨機および研磨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4845A (ja) * 1994-02-08 1995-08-22 Nippon Mektron Ltd リュ−タ−用カップリング
JP2004068846A (ja) * 2002-08-02 2004-03-04 Nok Corp 軸継手
JP4153401B2 (ja) * 2003-10-10 2008-09-24 株式会社ジーベックテクノロジー 研磨機および研磨方法
KR100465911B1 (ko) * 2004-10-09 2005-01-13 (주)예스툴 인덱서블 드릴용 인서트의 자루부 성형지그 및 이를이용한 성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629B1 (ko) 201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9789B2 (ja) ワークピースをチャック上に正確に位置決めするワークピースキャリア並びにチャック及びワークピースキャリアを有するクランプ装置
KR101148357B1 (ko) 척에 콜릿을 고정시키는 클램핑 장치
US10201859B2 (en) Chuck structure
JP2009506902A (ja) 工具用又はワーク用の位置決め・クランプ装置
US20160167188A1 (en) Collets and tool holder assemblies employing the same
US7862051B2 (en) Diaphragm chuck
US20140361500A1 (en) Expandable arbor, clamping system and method of clamping one of a workpiece and a tool to a machine
US6974287B2 (en) Tool clamping device
JP3204498U (ja) Cnc旋削、フライス複合工作機械
US2531198A (en) Device for immobilizing a piece with respect to another one in at least one predetermined position
EP0061075A1 (en) Selfcentering device for attaching tools to the spindle of a machine tool
KR200472903Y1 (ko) 링 가공용 소프트조
CA2956866A1 (en) Device for fixing a blank to a modular support system
KR101588629B1 (ko) 기계 본체에 공작물을 원터치 커플링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체결기구
CN204912815U (zh) 一种攻丝夹头
KR100563589B1 (ko) 편심가공용 유압 콜렛척 조립체
US2678218A (en) Universal expansion chuck
KR101487544B1 (ko) 연마 가공을 위한 소재 고정지그
KR102056442B1 (ko) 스핀들 유닛
KR101221414B1 (ko) 연삭기용 워크 드라이버
EP3263252B1 (en) Operating device and rotating device
JP2010012590A (ja) ドリルチャック及びドリル研磨機
JP2016059972A (ja) ダブルナット締付工具
CN104646935B (zh) 转轴支承座的加工方法
KR101603434B1 (ko) 복합가공기의 밀링주축용 클램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