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442B1 - 스핀들 유닛 - Google Patents

스핀들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442B1
KR102056442B1 KR1020170154016A KR20170154016A KR102056442B1 KR 102056442 B1 KR102056442 B1 KR 102056442B1 KR 1020170154016 A KR1020170154016 A KR 1020170154016A KR 20170154016 A KR20170154016 A KR 20170154016A KR 102056442 B1 KR102056442 B1 KR 102056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cylindrical portion
slit
semi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746A (ko
Inventor
김대유
Original Assignee
(주)탑에이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탑에이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탑에이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70154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4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08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with 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7/00Automatic or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spindle, e.g. controlled by cams; Equipment therefor; Features common to automatic and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one or more working-spindles
    • B23B7/02Automatic or semi-automatic machines for turning of stock
    • B23B7/10Accessories, e.g.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02Driving main working members
    • B23Q5/04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02Driving main working members
    • B23Q5/04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 B23Q5/043Accessories for spindle drives

Abstract

본 발명은 스핀들 유닛에 관한 것으로, 스핀들 척을 스핀들 샤프트와 동축선상에 배열될 수 있도록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에 대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제1 및 제2 반원통형상부를 갖춰 스핀들 척의 후단측을 클램핑하는 지그부와, 스핀들 척의 후단측을 수용할 수 있게 지그부의 전단에서 몸체부를 향해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 및 제1 및 제2 반원통형상부 간의 이격거리를 좁혀 수용홈의 내경을 줄이는 볼트로 이루어진 스핀들 샤프트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스핀들 유닛 {Spindle unit}
본 발명은 스핀들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별하기로 스핀들 척의 중심축과 스핀들 샤프트의 중심축을 동일 선상에 위치시켜 고속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스핀들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선반은 공작물을 회전시키고 절삭공구를 소재에 진입시키면서 회전체 형상의 제품을 가공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2축제어 선반의 드릴가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공작물을 척킹(chucking)하는 스핀들 척과 스핀들 모터를 통해 스핀들 척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스핀들 샤프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핀들 샤프트는 이의 일단에 막대 모양의 공작물을 척킹할 수 있는 스핀들 척을 배치하는데, 스핀들 모터에 연결된 스핀들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공작물의 회전 진동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회전 진동은 스핀들 샤프트의 중심축과 스핀들 척의 중심축이 어긋나게 편심되어 배치됨으로써 발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는 공작물의 고속 회전을 저해할 수 있고 가공의 정밀도를 보장할 수 없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46304호
본 발명은 앞서 기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스핀들 샤프트와 스핀들 척을 동축선상에 배열할 수 있는 스핀들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공작물 또는 공구를 척킹할 수 있는 스핀들 척과, 이 스핀들 척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스핀들 샤프트로 이루어진 스핀들 유닛에 관한 것으로,
스핀들 샤프트는,
전단에서 후단을 향해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슬릿과, 슬릿에 대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2개의 반원통형상부를 갖추고, 몸체부 전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스핀들 척의 후단측을 클램핑하는 지그부와;
스핀들 척의 후단측을 수용할 수 있도록 지그부를 가로질러 몸체부 내부를 향해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 및
2개의 반원통형상부 간의 이격거리를 좁히면서 수용홈의 전단측 내경을 줄이는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스핀들 샤프트와 스핀들 척을 동축선상으로 배열되게 클램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반원통형상부는 슬릿의 형성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일측에 볼트머리 안착공과, 슬릿의 형성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타측에 암나사공을 형성하고, 제2 반원통형상부는 제1 반원통형상부의 볼트머리 안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슬릿의 형성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일측에 암나사공과, 제1 반원통형상부의 암나사공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슬릿의 형성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타측에 볼트머리 안착공을 형성할 수 있다.
지그부는 슬릿에 대해 거울 대칭되게 제1 및 제2 반원통형상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핀들 유닛은 슬릿의 끝단에 확장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그부의 전단에서 확장공까지의 절개 높이는 지그부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스핀들 척은 후단에 축선방향으로 제1 암나사산을 형성한 콜릿부재와; 제1 중공부를 갖춘 제1 통형상부와, 제1 통형상부의 외주면 둘레에 배치된 제1 플랜지부를 구비한 푸셔 샤프트; 제2 중공부를 갖춘 제2 통형상부와, 제2 통형상부의 외주면 둘레에 배치된 제2 플랜지부, 및 제2 통형상부의 후단 내주면 둘레에 형성된 제2 암나사산을 구비한 부싱부재; 생크부와, 생크부의 후단에 구비된 대경부, 생크부의 전단에 형성된 제1 숫나사산, 및 대경부에 인접한 생크부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제2 숫나사산을 구비한 홀딩부재; 및 푸셔 샤프트와 부싱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통형상부의 외경은 제1 통형상부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제2 통형상부의 내경은 콜릿부재의 후단측 내경과 홀딩부재의 생크부 외경과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스핀들 척과 스핀들 샤프트를 동축선상으로 배열하여 고속 회전시 회전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스핀들 유닛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별도의 진동 방지 장치나 센터링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슬릿을 통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2개의 반원통상부를 밀착시켜 스핀들 척 후단측의 외경을 조이도록 하는 단순한 볼팅체결방식으로 신뢰할 수 있는 클램핑과 함께 동축 정렬을 보장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가공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성을 단순화시켜 교체 및/또는 수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핀들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핀들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유닛을 구성하는 스핀들 샤프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핀들 샤프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스핀들 샤프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스핀들 샤프트를 B-B 선으로 절취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유닛은 공작물을 척킹할 수 있는 스핀들 척(100)과, 이 스핀들 척(100)의 신뢰할 수 있는 고속 회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스핀들 척(100)의 후단측을 확실하게 클램핑(clamping)하는 스핀들 샤프트(200)로 이루어진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유닛은 스핀들 척(100)의 중심축과 스핀들 샤프트(200)의 중심축을 동축선상에 배열시켜 고속 회전시 스핀들 척(100) 및/또는 공작물(미도시)의 회전 진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스핀들 샤프트(200)의 전단측을 수단으로 하여 스핀들 척(100)의 후단측 외경을 조이는 클램핑의 단순한 작업공수를 통해 용이하게 스핀들 척(100)과 스핀들 샤프트(200)을 동일선상으로 센터링(centering)될 수 있도록 정렬시킬 수 있다.
스핀들 척(100)은 전단측에 공작물을 척킹할 수 있는 구성부재로, 이에 국한되지 않고 드릴 등의 공구를 척킹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 척(100)은 콜릿부재(110)와, 푸셔 샤프트(120), 부싱부재(130), 홀딩부재(140), 및 탄성부재(150)로 이루어진다.
콜릿부재(110)는 도시되었듯이 스핀들 척(100)의 전단측에 배치되어 공작물 또는 공구를 척킹할 수 있는데, 이의 후단에서 축선방향으로 제1 암나사산(115)을 형성한다.
푸셔 샤프트(120)는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제1 중공부(122)를 갖춘 제1 통형상부(121)와, 제1 통형상부(121)의 외주면 둘레에 배치된 제1 플랜지부(123)를 구비한다. 추가로, 푸셔 샤프트(120)는 제1 통형상부 외주면과 제1 플랜지부(123) 타면의 교차지점 둘레에 제1 고정턱(124)을 구비한다.
부싱부재(130)는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제2 중공부(132)를 갖춘 제2 통형상부(131)와, 제2 통형상부(131)의 외주면 둘레에 배치된 제2 플랜지부(133), 및 제2 통형상부(131)의 후단 내주면 둘레에 제2 암나사산(136)을 구비한다. 제2 통형상부(131)는 제1 통형상부(121)의 제1 중공부(122) 내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추고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제2 통형상부(131)의 외경은 제1 통형상부(121)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또한, 제2 통형상부(131)는 이의 제2 중공부(132)에 콜릿부재(110)의 후단 그리고 홀딩부재(14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추고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제2 통형상부(131)의 내경은 콜릿부재(110)의 후단측 내경, 홀딩부재(140)의 생크부(141) 외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추가로, 부싱부재(130)는 제2 통형상부 외주면과 제2 플랜지부(133)의 일면의 교차지점 둘레에 제2 고정턱(134)을 구비한다.
홀딩부재(140)는 속이 채워져 있는 솔리드(solid) 타입의 생크부(141)와, 생크부(141)의 후단에 구비된 대경부(142;大經部), 생크부(141)의 전단에 형성된 제1 숫나사산(145), 대경부(142)에 인접한 생크부(141)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제2 숫나사산(146)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 숫나사산(145)는 생크부(141)와 동심축으로 배열되고 생크부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소경부((小徑部) 외주면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대경부(1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생크부(141)와 동심축으로 배열되고 생크부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탄성부재(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샤프트(120)와 부싱부재(130)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사이에 척력을 작용하는 스프링 부재이다. 탄성부재(150)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푸셔 샤프트(120)가 스핀들 유닛의 전단측, 예컨대 콜릿부재(110)를 향해 이동하면, 콜릿부재(110)는 내경을 좁혀 공작물(혹은 공구)을 척킹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탄성부재(150)를 가압하여 푸셔 샤프트(120)가 스핀들 유닛의 후단측, 예컨대 스핀들 샤프트(200)를 향해 이동하면, 콜릿부재(110)는 내경을 확장시켜 공작물(혹은 공구)에 대한 척킹을 해제할 수 있다. 탄성부재(150)의 일 단부는 푸셔 샤프트(120)의 제1 고정턱(124)에 위치고정되는 한편 탄성부재(150)의 타 단부는 부싱부재(130)의 제2 고정턱(134)에 위치고정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50)는 푸셔 샤프트(120)와 부싱부재(130) 사이에서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하여 스핀들 유닛의 고속 회전시 소음 및/또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회전 진동의 소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핀들 척(100)은 다음과 같이 조립될 수 있으며, 물론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부싱부재(130)는 탄성부재(150)의 타 단부를 제2 고정턱(134)에 배치한 다음에, 이의 제2 통형상부(131)를 푸셔 샤프트(120)의 제1 통형상부(122) 내로 삽입한다. 부싱부재(130)의 제2 플랜지(133)가 푸셔 샤프트(120)의 제1 플랜지(123)에 인접되면서, 탄성부재(150)의 일 단부는 푸셔 샤프트(120)의 제1 고정턱(124)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에, 콜릿부재(110)는 가조립상태의 부싱부재(130)와 푸셔 샤프트(120) 내의 중공부로 삽입하는데, 구체적으로 콜릿부재(110)의 후단측은 푸셔 샤프트(120)의 제1 중공부(122)에 배치된 부싱부재(130)의 제2 중공부(132) 내로 삽입된다.
작업자는 홀딩부재(140)의 전단측을 부싱부재(130)의 후단측, 즉 제2 중공부(132)의 후단 내로 삽입하게 된다. 작업자는 홀딩부재(140)를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바, 홀딩부재(140)의 제1 숫나사산(145)은 콜릿부재(110)의 제1 암나사산(115)에 볼팅체결되는 한편 홀딩부재(140)의 제2 숫나사산(146)은 부싱부재(130)의 제2 암나사산(136)에 볼팅체결된다. 이로써, 스핀들 척(100)은 상호 유격없이 확실하게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조립된 스핀들 척(100)은 스핀들 샤프트(200)의 전단측에 형성된 수용홈(230) 내에 배치되고, 볼트(240)를 통해 2개의 반원통형상부(211,212)를 조여 스핀들 샤프트(200)의 전단측에서 스핀들 척(100)의 후단측을 확실하게 클램핑할 수 있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유닛은 단순한 볼팅체결방식을 통해 스핀들 척(100)을 스핀들 샤프트(200)에 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볼팅체결방식만으로도 스핀들 척(100)의 중심축과 스핀들 샤프트(200)의 중심축을 동축선상에 배열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고속 회전시 스핀들 척(100) 및/또는 공작물(미도시)의 회전 진동을 방지할 수 있어, 가공 제품의 품질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구성부재를 볼팅체결방식으로 결합하고 있어 파손된 구성부재들의 교체 및/또는 수리를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핀들 척(100)의 위치고정을 돕는 스핀들 샤프트(2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스핀들 샤프트(200)는 스핀들 모터에 연결되는 몸체부(220) 전단에 배치되어 스핀들 척(100)의 후단측을 조이는 지그부(210;jig)와, 전단에 배치된 지그부(210)를 가로질러 몸체부(220) 내부를 향해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230), 및 지그부(210)에 조임력을 조절하는 볼트(240)로 이루어진다. 스핀들 샤프트(200)는 지그부(210)와 몸체부(220)를 일체로 형성한 단일 부품일 수 있다. 여기서, 수용홈(230)은 이의 내부에 삽입수용되는 스핀들 척(100)의 후단측, 즉 홀딩부재(140)의 대경부(142)와 부싱부재(130)의 제2 통형상부(131)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되, 도시되었듯이 원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그부(210)는 중앙에 수용홈(230)을 배치하여 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지그부(210)의 전단에서 후단을 향해 직경에서 축선방향으로 절개된 슬릿(213)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만곡된 2개의 반원통형상부(211,212)를 구비한다. 도시되었듯이, 슬릿(213)은 지그부의 전단에서 전체 직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덧붙여서, 슬릿(213)의 끝단에는 확장공(213a)을 형성한다. 확장공(213a)은 슬릿(213)의 끝단에서 지그부(210)의 직경방향으로 천공되되, 확장공(213a)의 직경은 슬릿(213)의 이격 틈새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지그부(210)의 전단은 슬릿(213)을 통해 2개의 반원통형상부(211,212)로 분할되어 있는데 반해 이의 후단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슬릿(213)은 지그부(210)의 두께를 완전히 관통하지 않게 신장되며, 구체적으로 지그부(210)의 전단에서 확장공(213a) 까지의 절개 높이(L)는 지그부(210)의 두께(T)보다 작아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제1 및 제2 반원통형상부(211,212)는 이의 내주면을 통해 수용홈(230)의 전단측 형상을 한정하게 된다. 제1 반원통형상부(211)는 슬릿(213)의 형성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일측에 볼트머리 안착공(211a)과, 슬릿(213)의 형성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타측에 암나사공(211b)을 형성한다. 이와 대응되게, 제2 반원통형상부(212)는 슬릿의 형성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일측에 암나사공(212b)와, 슬릿의 형성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타측에 볼트머리 안착공(212a)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일 볼트(240)는 제1 반원통형상부(211)의 볼트머리 안착공(211a)을 지나 제2 반원통형상부(212)의 암나사공(212b)에 볼팅체결되는 한편, 타 볼트(240)는 제2 반원통형상부(212)의 볼트머리 안착공(212a)을 지나 제1 반원통형상부(211)의 암나사공(211b)에 볼팅체결된다. 이러한 볼팅체결방식을 통해 상호 이격배치된 제1 및 제2 반원통형상부(211,212) 간의 이격거리를 좁히면서 수용홈(230)의 전단측 내경을 줄여 수용홈(230) 내에 배치될 스핀들 척(100)의 후단측에 조임력(clamping force)을 제공하여 클램핑될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제2 반원통형상부(212)의 암나사공(212b)을 제1 반원통형상부(211)의 볼트머리 안착공(211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하여 볼팅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제1 반원통형상부(211)의 암나사공(211b)은 제2 반원통형상부(212)의 볼트머리 안착공(212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하여 볼팅체결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되었듯이 2개의 볼트(240)를 직경방향으로 뻗은 슬릿의 양측에서 서로 평행하게 대향되는 방향으로 볼팅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바, 도면을 참조로 하면 지그부(210)의 일측은 드라이버 혹은 렌치 등의 조임공구를 통해 일 볼트(240)를 우측에서 좌측을 향해 회전시키면서 제1 반원통형상부(211)를 제2 반원통형상부(212)에 면접되도록 조이는 동시에 지그부(210)의 타측은 조임공구를 통해 타 볼트(240)를 좌측에서 우측을 향해 회전시키면서 제2 반원통형상부(212)를 제1 반원통형상부(211)에 면접되도록 조여 수용홈(230)의 내경을 축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용홈(230) 내경의 축소는 그 내부에 수용될 스핀들 척(100;도 1 참조)을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보유할 수 있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개의 반원통형상부(211,212)를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2개의 볼트(240)를 상호 다른 방향에서 조여 스핀들 척의 후단부를 수용홈(230)의 중심에 배치되면서 지지보유될 수 있게 클램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스핀들 척(100)의 중심축과 스핀들 샤프트(200)의 중심축을 동축선상에 배열할 수 있게 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수용홈(230)의 내경 축소를 통한 제1 및 제2 반원통형상부(211,212) 간의 이격거리를 좁히는 과정에서 슬릿(213)의 끝단에 응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확장공(213a)을 제공한다. 스핀들 샤프트(200)는 슬릿(213)과 확장공(213a)을 수용홈(230)과 지그부(210)의 외부 사이를 연통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스핀들 샤프트(200)는 슬릿(213)의 이격 틈새를 통해 2개의 반원통형상부(211,212)의 접촉 및/또는 분리를 가능하게 하고, 확장공(213)을 통해 수용홈(230) 내에 스핀들 척의 후단측 배열위치를 육안으로도 확인가능하게 돕는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핀들 유닛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스핀들 척,
110 ----- 콜릿(collet)부재,
120 ----- 푸셔 샤프트,
130 ----- 부싱부재,
140 ----- 홀딩부재,
150 ----- 탄성부재,
200 ----- 스핀들 샤프트,
210 ----- 지그부,
220 ----- 몸체부,
230 ----- 수용홈,
240 ----- 볼트.

Claims (7)

  1. 공작물 또는 공구를 척킹할 수 있는 스핀들 척(100)과, 상기 스핀들 척(10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스핀들 샤프트(200)로 이루어진 스핀들 유닛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 샤프트(200)는,
    몸체부(220)와;
    전단에서 후단을 향해 직경에서 축선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전단에 전체 직경을 따라 형성된 슬릿(213)과, 상기 슬릿을 통해 거울 대칭되게 분할배치된 2개의 반원통형상부(211,212)를 갖추고, 상기 몸체부(220)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스핀들 척(100)의 후단측을 클램핑하는 지그부(210);
    상기 스핀들 척(100)의 후단측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2개의 반원통형상부(211,212)의 내주면으로 한정된 전단측 공간에서 상기 지그부(210)의 중앙을 가로질러 상기 몸체부(220) 내부를 향해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230); 및
    상기 슬릿의 일측과 타측에서 서로 평행하게 대향 배치되되, 상기 2개의 반원통형상부(211,212) 간의 이격거리를 좁혀 상기 수용홈(230)의 전단측 내경을 줄일 수 있게 상기 2개의 반원통형상부를 양측에서 볼팅체결하는 2개의 볼트(2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반원통형상부(211)는 상기 슬릿(213)의 형성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일측에 볼트머리 안착공(211a)과, 상기 슬릿(213)의 형성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타측에 암나사공(211b)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반원통형상부(212)는 상기 볼트머리 안착공(211a)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슬릿(213)의 형성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일측에 암나사공(212b)과, 상기 암나사공(211b)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슬릿(213)의 형성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타측에 볼트머리 안착공(212a)을 형성하여,
    상기 스핀들 샤프트(200)가 상기 스핀들 척(100)을 동축선상으로 배열되게 클램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핀들 유닛.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릿(213)은 끝단에 확장공(213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핀들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210)의 전단에서 상기 확장공(213a)까지의 절개 높이(L)는 상기 지그부(210)의 두께(T)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핀들 유닛.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 척(100)은,
    후단에 축선방향으로 제1 암나사산(115)을 형성한 콜릿부재(110)와;
    제1 중공부(122)를 갖춘 제1 통형상부(121)와, 상기 제1 통형상부(121)의 외주면 둘레에 배치된 제1 플랜지부(123)를 구비한 푸셔 샤프트(120);
    제2 중공부(132)를 갖춘 제2 통형상부(131)와, 상기 제2 통형상부(131)의 외주면 둘레에 배치된 제2 플랜지부(133), 및 상기 제2 통형상부(131)의 후단 내주면 둘레에 형성된 제2 암나사산(136)을 구비한 부싱부재(130);
    생크부(141)와, 상기 생크부(141)의 후단에 구비된 대경부(142), 상기 생크부(141)의 전단에 형성된 제1 숫나사산(145), 및 상기 대경부(142)에 인접한 상기 생크부(141)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제2 숫나사산(146)을 구비한 홀딩부재(140); 및
    상기 푸셔 샤프트(120)와 상기 부싱부재(13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1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핀들 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통형상부(131)의 외경은 상기 제1 통형상부(121)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2 통형상부(131)의 내경은 상기 콜릿부재(110)의 후단측 내경과 상기 홀딩부재(140)의 생크부(141) 외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핀들 유닛.
KR1020170154016A 2017-11-17 2017-11-17 스핀들 유닛 KR102056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016A KR102056442B1 (ko) 2017-11-17 2017-11-17 스핀들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016A KR102056442B1 (ko) 2017-11-17 2017-11-17 스핀들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746A KR20190056746A (ko) 2019-05-27
KR102056442B1 true KR102056442B1 (ko) 2019-12-16

Family

ID=66679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016A KR102056442B1 (ko) 2017-11-17 2017-11-17 스핀들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020A (ko) 2021-07-27 2023-02-03 주종학 모터 일체형 스핀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883B1 (ko) * 2012-03-14 2012-10-09 (주)탑에이테크놀로지 와인더용 콜렛 척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6304B1 (ko) 1997-12-31 2000-04-01 추호석 2축제어 선반의 드릴가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883B1 (ko) * 2012-03-14 2012-10-09 (주)탑에이테크놀로지 와인더용 콜렛 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020A (ko) 2021-07-27 2023-02-03 주종학 모터 일체형 스핀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746A (ko) 201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9597B2 (en) Clamping system
US9387542B2 (en) Integrated clamping system for machine tools
KR20080008349A (ko) 플로팅 클램핑 죠를 구비하는 클램핌 헤드
KR102348826B1 (ko) 선반 진원 가공용 지그
US6974287B2 (en) Tool clamping device
KR20110072415A (ko) 자동 선반의 소재 조임력 조절장치
KR910004544B1 (ko) 강철관 이음쇠를 가공하는 방법과 장치
KR102056442B1 (ko) 스핀들 유닛
US2282676A (en) Chuck
US10371230B2 (en) Damping apparatus
KR20160106416A (ko) 공작기계용 공작물 길이조절구조
JPH10122285A (ja) 円筒形状ばね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円筒形状ばね
US11850667B2 (en) Chuck jaw stopping mechanism
CN211614355U (zh) 辅助夹具及具有其的车床
KR100563589B1 (ko) 편심가공용 유압 콜렛척 조립체
US74447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a machine-tool with a spindle
KR102035499B1 (ko) 센터 교정장치
JP3160232B2 (ja) 複合穴加工工具
CN108857515B (zh) 一种圆弧面工件的夹具
JP2001191253A (ja) 汎用加工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加工方法
CN105108213A (zh) 具有安全锁结构的弹性卡簧和刀具固定结构
JP4806472B1 (ja) チャック装置
KR20090128157A (ko) 선반용 죠를 가공하기 위한 죠 고정장치
KR101920419B1 (ko) 홀더와 공구의 척킹 구조 및 방법
US3471912A (en) Tool holder assembly for machine to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