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7492A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7492A
KR20150137492A KR1020140065448A KR20140065448A KR20150137492A KR 20150137492 A KR20150137492 A KR 20150137492A KR 1020140065448 A KR1020140065448 A KR 1020140065448A KR 20140065448 A KR20140065448 A KR 20140065448A KR 20150137492 A KR20150137492 A KR 20150137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ast concrete
sheath
rubber tube
type rubber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2049B1 (ko
Inventor
이상윤
송재준
황윤국
이정미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65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049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0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인 쉬스가 연결되는 부분에 쉬스 연결용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모르타르를 채우는 과정에서 모르타르가 쉬스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에서 횡방향으로 한 쌍으로 체결되는 쉬스 연결용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신속한 연결부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쉬스를 추가적인 수작업에 의해 연결하지 않아도 되므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의 폭을 최소화함으로써 현장타설 물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쉬스 연결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MEMBER FOR CONNECTING SHEATH OF PRECAST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을 연결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Precast Concrete Structure)을 시공할 경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내에 각각 설치된 쉬스(Sheath)를 횡방향 연결하기 위한 쉬스 연결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속도로, 국도 및 지방도로에 PS(Pre Stressed) 강재인 강연선 또는 강봉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예를 들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이 활발하게 시공중에 있다. 이러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프리스트레스의 도입 시기에 따라 프리텐션(Pre-Tension) 공법 및 포스트텐션(Post-Tension) 공법으로 구분되며, 여기서, 프리스트레스는 콘크리트의 취약적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장응력이 생기는 부분에 미리 압축력을 주어 인장응력을 증가시키는 힘을 말한다.
프리텐션 공법은 PS 강재를 긴장한 상태에서 콘크리트의 타설 경화에 의해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방식에 의해 해당 구조물에 압축력을 제공하는 공법을 말하며, 또한, 포스트텐션 공법은 교량이 설계된 긴장재(Tendon)의 선형에 따라 쉬스(쉬스관)를 매립한 후 상부공 콘크리트를 타설 경화하고, 이후에 쉬스에 PS 강재를 삽입하여 유압잭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공법으로서, 특히, PS 강재를 긴장한 후에 쉬스 내의 빈 공간을 그라우팅재로 충진하여 교량을 완성시키는 공법을 말한다.
전술한 두 가지 프리스트레스 도입 방법 중에서 프리텐션 공법은, PS 강재(강연선 또는 강봉)와 콘크리트가 공극 없이 밀착된 상태이지만, 포스트텐션 공법은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에 PS 강재를 삽입하여 긴장력을 도입하고, 이후에 그라우팅을 실시한다. 현재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의 건설은 거의 대부분 포스트텐션 공법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충분한 그라우팅이 이루어져야만 쉬스 내의 PS 강재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루프 철근 또는 철근 겹이음이 없는 연결부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Precast Concrete Structure)의 시공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의 연결부에 모르타르를 채우고, 이러한 연결부의 수직 방향으로 포스트텐션 방법에 의해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에 모르타르를 채우는 과정에서 모르타르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내부에 미리 설치된 쉬스(Sheath)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려면 쉬스가 밀실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른 쉬스 연결 방법으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에 쉬스 연결 작업공간을 미리 형성시켜 수작업으로 쉬스를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에 쉬스 연결 작업공간을 형성하여 수작업으로 쉬스를 연결할 경우, 현장타설 물량이 많아질 뿐만 아니라 수작업으로 쉬스를 연결하기 위한 시간과 작업량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다른 쉬스 연결 방법으로서, 쉬스 연결 작업공간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 노출된 단면 주위에 스티로폼과 같은 재료를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에 미리 부착하여 모르타르가 쉬스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쉬스 연결 작업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스티로폼과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실링(Sealing)을 하는 경우, 부착력 또는 재료의 강도가 낮아서 모르타르를 다지는 과정에서 스티로폼이 탈락하게 되고, 이에 따라 쉬스 내부로 다량의 모르타르가 침투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557341호(출원일: 2003년 2월 21일), 발명의 명칭: "프리스트레스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구조물 시공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326170호(출원일: 2012년 3월 23일), 발명의 명칭: "연결부 정착단을 구비한 피에스씨 거더 세그먼트, 이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 및 모듈러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368745호(출원일: 2000년 2월 9일), 발명의 명칭: "교량 벽체의 철근 및 쉬스관 일괄조립공법 및 그 지그"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1-73025호(공개일: 2011년 6월 29일), 발명의 명칭: "텐던 정착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28347호(출원일: 2009년 6월 3일), 발명의 명칭: "거더용 거푸집"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인 쉬스가 연결되는 부분에 쉬스 연결용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모르타르를 채우는 과정에서 모르타르가 쉬스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에서 횡방향으로 한 쌍으로 체결되는 쉬스 연결용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신속한 연결부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는,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내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쉬스를 횡방향 연결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에 있어서,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설치된 제1 쉬스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A-형 고무관; 상기 A-형 고무관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A-형 고무관에 체결되고,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설치된 제2 쉬스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B-형 고무관; 및 상기 A-형 및 B-형 고무관 내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A-형 및 B-형 고무관 내주면에 각각 삽입되는 플라스틱관을 포함하되, 상기 A-형 고무관 및 상기 B-형 고무관은 서로 밀실하게 체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에 모르타르 타설시 상기 모르타르가 상기 제1 및 제2 쉬스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A-형 고무관 및 상기 B-형 고무관 각각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쉬스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A-형 고무관은, 상기 제1 쉬스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쉬스의 내측 방향으로 외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A-형 고무관 관입부;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측면에 밀착하도록 형성된 A-형 고무관 머리부;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밀착하도록 상기 A-형 고무관 머리부의 내측 외주면에 형성된 A-형 고무관 밀착 돌기; 상기 A-형 고무관 및 상기 B-형 고무관이 서로 밀착하도록 상기 A-형 고무관 머리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A-형 고무관 체결 돌기; 및 상기 A-형 고무관 및 상기 B-형 고무관이 서로 밀착시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 오차를 수용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A-형 고무관 머리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A-형 고무관 가이드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형 고무관은, 상기 제2 쉬스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쉬스의 내측 방향으로 외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B-형 고무관 관입부;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측면에 밀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A-형 고무관 머리부에 체결되는 B-형 고무관 머리부;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밀착하도록 상기 B-형 고무관 머리부의 내측 외주면에 형성된 B-형 고무관 밀착 돌기; 및 상기 A-형 고무관 체결 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B-형 고무관 머리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B-형 고무관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밀착시 상기 A-형 고무관과 상기 B-형 고무관 사이에는 상기 모르타르가 침투하지 못하게 방지하는 여러 겹의 접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A-형 고무관 가이드용 돌기 또는 상기 B-형 고무관의 오목부에 의해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 오차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관은 고무 재질의 A-형 및 B-형 고무관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입부에 변형이 크게 발생하는 경우에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고, 상기 플라스틱관은 경질 플라스틱 재질의 원통형 플라스틱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형 고무관에 상기 가이드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밀착시 상기 B-형 고무관은 상기 A-형 고무관에 자동으로 삽입 체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 오차를 수용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하고, 상기 A-형 고무관 및 상기 B-형 고무관의 체결면은 상기 모르타르가 침투하지 못하게 방지하는 1차적인 접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형 고무관에 상기 가이드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밀착시 상기 B-형 고무관의 오목부와 상기 A-형 고무관의 체결 돌기 사이의 유격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 오차를 수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내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쉬스를 횡방향 연결하는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a) A-형 및 B-형 고무관 및 플라스틱관으로 이루어진 쉬스 연결용 부재를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미리 설치된 제1 및 제2 쉬스의 내주면에 각각 삽입하는 단계; b) 모르타르 타설용 고무 재질의 거푸집을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에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A-형 고무관 및 상기 B-형 고무관이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밀착시키는 단계; d)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에 수직 방향으로 모르타르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 e) 상기 제1 및 제2 쉬스 내에 긴장재를 배치하고, 긴장장치를 사용하여 긴장력을 도입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및 제2 쉬스에 그라우트 주입재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의 A-형 고무관 및 B-형 고무관은 서로 밀실하게 체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에 모르타르 타설시 상기 모르타르가 상기 제1 및 제2 쉬스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a) 단계의 쉬스 연결용 부재는,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설치된 제1 쉬스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A-형 고무관; 상기 A-형 고무관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A-형 고무관에 체결되고,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설치된 제2 쉬스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B-형 고무관; 및 상기 A-형 및 B-형 고무관 내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A-형 및 B-형 고무관 내주면에 각각 삽입되는 플라스틱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 단계의 A-형 고무관 및 B-형 고무관 각각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쉬스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 단계의 거푸집은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 외측에 인접한 위치에 나사못 또는 콘크리트 못의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 단계의 거푸집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중 어느 하나에 일정한 두께의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c) 단계에서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밀착시 상기 A-형 고무관 및 상기 B-형 고무관의 접착면에 의해 상기 모르타르가 침투하지 못하게 방지되고, 상기 A-형 고무관에 형성된 가이드용 돌기 또는 상기 B-형 고무관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 오차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목표간격보다 조금 넓게 거치한 뒤, 체인 블록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목표간격까지 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 단계의 긴장재는 강연선 또는 강봉의 PS 강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f) 단계의 그라우트 주입재는 그라우트 밀크(Grout Milk) 또는 모르타르(Mortar)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인 쉬스가 연결되는 부분에 쉬스 연결용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모르타르를 채우는 과정에서 모르타르가 쉬스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에서 횡방향으로 한 쌍으로 체결되는 쉬스 연결용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신속한 연결부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작업이 간결해지며, 이에 따라 거푸집 설치 및 쉬스 연결을 위한 공정이 단순화되어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쉬스를 추가적인 수작업에 의해 연결하지 않아도 되므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의 폭을 최소화함으로써 현장타설 물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에서 A-형 고무관 및 B-형 고무관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모르타르 타설용 거푸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를 연결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100)]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에서 A-형 고무관 및 B-형 고무관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100)는,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연결부에서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를 횡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쉬스 연결용 부재로서, A-형 고무관(110), B-형 고무관(120) 및 플라스틱관(130a, 130b)을 포함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A-형 고무관(110)은 관입부(111), 머리부(112), 밀착 돌기(113), 체결 돌기(114) 및 가이드용 돌기(115)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B-형 고무관(120)은 관입부(121), 머리부(122), 밀착 돌기(123) 및 오목부(124)를 포함한다.
A-형 고무관(A-type Rubber Tube: 110)은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에 설치된 제1 쉬스(220a)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B-형 고무관(B-type Rubber Tube: 120)은 상기 A-형 고무관(110)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A-형 고무관(110)에 체결되고,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b)에 설치된 제2 쉬스(220b)의 내주면에 삽입된다. 즉, 고무 재질의 원통형 고무관(110, 120)은 A-형 및 B-형의 한 쌍으로 이루어진 고무관으로서,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연결부에서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밀착시 여려 겹의 접착면이 형성되어 밀실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형 고무관(110)의 가이드용 돌기(115)와 상기 B-형 고무관(120)의 오목부(124)는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제작 오차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A-형 고무관(110)의 가이드용 돌기(115)는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제작 오차가 큰 경우에는 형성시키지 않을 수 있다.
플라스틱관(130a, 130b)은 고무 재질의 상기 A-형 및 B-형 고무관(110, 120)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입부(111, 121)에 변형이 크게 발생하는 경우에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고, 경질 플라스틱 재질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A-형 및 B-형 고무관(110, 120) 내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상기 A-형 및 B-형 고무관(110, 120) 내주면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A-형 및 B-형 고무관(110, 120)은 강성이 작아 쉽게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플라스틱관(130a, 130b)은 상기 A-형 및 B-형 고무관(110, 12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A-형 및 B-형 고무관(110, 120)의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A-형 및 B-형 고무관(110, 120)이 상기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의 내주면에 견고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A-형 고무관(110) 및 상기 B-형 고무관(120)은 서로 밀실하게 체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연결부에 모르타르(240) 타설시 상기 모르타르(240)가 상기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A-형 고무관 관입부(111)는 상기 제1 쉬스(220a)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쉬스(220a)의 내측 방향으로 외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A-형 고무관 관입부(111)는 상기 제1 쉬스(220a)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쉬스(220a)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 외경이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A-형 고무관(110)을 상기 제1 쉬스(220a) 내에 관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쉬스(220a)의 내주면과 밀실하게 끼워지게 된다.
A-형 고무관 머리부(112)는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의 측면에 밀착하도록 형성된다.
A-형 고무관 밀착 돌기(113)는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에 밀착하도록 상기 A-형 고무관 머리부(112)의 내측 외주면에 형성된다. 즉, 상기 A-형 고무관 밀착 돌기(113)는 고무가 변형되어 고무-콘크리트 접촉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의 콘크리트 면이 매끈하지 않은 경우에도 여러 겹으로 밀실한 접합면이 형성될 수 있다.
A-형 고무관 체결 돌기(114)는 상기 A-형 고무관(110) 및 상기 B-형 고무관(120)이 서로 밀착하도록 상기 A-형 고무관 머리부(112)의 외측에 형성된다.
A-형 고무관 체결 가이드용 돌기(115)는 상기 A-형 고무관(110)이 상기 B-형 고무관(120)을 덮음으로써 가이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A-형 고무관 머리부(112)의 외측에 형성된다.
또한, B-형 고무관 관입부(121)는 상기 제2 쉬스(220b)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쉬스(220b)의 내측 방향으로 외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B-형 고무관 관입부(121)는 상기 제2 쉬스(220b)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쉬스(220b)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 외경이 점점 감소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B-형 고무관(120)을 상기 제2 쉬스(220b) 내에 관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쉬스(220b)의 내주면과 밀실하게 끼워지게 된다.
B-형 고무관 머리부(122)는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b)의 측면에 밀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A-형 고무관 머리부(112)와 접촉면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B-형 고무관 머리부(122)는 상기 A-형 고무관 머리부(112)의 외측과 접촉면이 형성되고, A-형 고무관 가이드용 돌기(115)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A-형 고무관 가이드용 돌기(115) 의해 덮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B-형 고무관 밀착 돌기(123)는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b)에 밀착하도록 상기 B-형 고무관 머리부(122)의 내측 외주면에 형성된다. 즉, 상기 B-형 고무관 밀착 돌기(123)는 고무가 변형되어 고무-콘크리트 접촉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b)의 콘크리트 면이 매끈하지 않은 경우에도 여러 겹으로 밀실한 접합면이 형성될 수 있다.
B-형 고무관 오목부(124)는 상기 A-형 고무관 체결 돌기(114)가 삽입되도록 상기 B-형 고무관 머리부(122)의 외측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A-형 고무관(110)의 전면에 형성된 A-형 고무관 체결 돌기(114) 및 상기 B-형 고무관(120)의 전면에 형성된 B-형 고무관 오목부(124)는 고무의 변형에 의해 고무와 고무 사이의 접합면에 보다 확실한 접합면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밀착시 상기 A-형 고무관(110)과 상기 B-형 고무관(120) 사이에는 상기 모르타르(240)가 침투하지 못하게 방지하는 여러 겹의 접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A-형 고무관의 가이드용 돌기(115) 또는 상기 B-형 고무관의 오목부(124)에 의해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제작 오차를 수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A-형 고무관(110)에 가이드용 돌기(115)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밀착시 상기 B-형 고무관(120)은 상기 A-형 고무관(110)에 자동으로 삽입 체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제작 오차를 수용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하고, 상기 A-형 고무관(110) 및 상기 B-형 고무관(120)의 체결면은 상기 모르타르(240)가 침투하지 못하게 방지하는 1차적인 접합면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A-형 고무관(110)에 상기 가이드용 돌기(1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밀착시 상기 B-형 고무관(120)의 오목부(124)와 상기 A-형 고무관(110)의 체결 돌기(114) 사이의 유격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제작 오차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스 연결용 부재(100)는 원형 단면의 쉬스(220a, 220b)를 연결하기 위해 원형으로 제작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타원형 단면의 쉬스(220a, 220b)를 연결하기 위해 타원형으로 제작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A-형 고무관(110) 및 상기 B-형 고무관(120) 각각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쉬스 연결용 부재(100)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모르타르 타설용 거푸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를 연결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를 밀착시키기 전을 나타내고, 도 4b는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를 밀착시켜 A-형 고무관(110) 및 B-형 고무관(120)이 서로 자동으로 체결된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모르타르 타설용 고무 재질의 거푸집(2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연결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거푸집(230)은 고무 재질의 실링부재로서, 돌기(231) 및 홈(232)을 구비하며, 나사못 또는 콘크리트 못과 같은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연결부 외측에 인접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스 연결용 부재(100)가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연결부에 각각 노출된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의 내부로 일부가 관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가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밀착되면서 상기 A-형 및 B-형 고무관(110, 120)이 고무 재질의 특성에 따라 고무-고무 및 고무-콘크리트 면이 완전히 밀착됨으로써, 후속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연결부에 주입되는 모르타르(240)가 상기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의 동작흐름도이고, 도 6a 내지 도 6f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a 내지 도 6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 내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를 횡방향 연결하는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으로서, 먼저, A-형 및 B-형 고무관(110, 120) 및 플라스틱관(130a, 130b)으로 이루어진 쉬스 연결용 부재(100)를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에 각각 미리 설치된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의 내주면에 삽입한다(S110). 여기서, 상기 쉬스 연결용 부재(100)는,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에 설치된 제1 쉬스(220a)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A-형 고무관(110); 상기 A-형 고무관(110)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A-형 고무관(110)에 체결되고,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b)에 설치된 제2 쉬스(220b)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B-형 고무관(120); 및 상기 A-형 및 B-형 고무관(110, 120) 내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A-형 및 B-형 고무관(110, 120) 내주면에 각각 삽입되는 플라스틱관(130a, 130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형 고무관(110) 및 B-형 고무관(120) 각각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모르타르 타설용 고무 재질의 거푸집(230)을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연결부에 설치한다(S120). 예를 들면, 상기 거푸집(230)은 고무 재질의 실링부재로서, 나사못 또는 콘크리트 못과 같은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연결부 외측에 인접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면부호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무 재질의 거푸집(230)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10a, 210b) 중 어느 하나에 일정한 두께의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A-형 고무관(110) 및 상기 B-형 고무관(120)이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를 밀착시킨다(S130).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를 목표간격보다 조금 넓게 거치한 뒤, 체인 블록(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를 목표간격까지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쉬스 연결용 부재(100)와 상기 고무 재질의 거푸집(230)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에 각각 밀착되어 밀실한 접합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A-형 고무관(110) 및 B-형 고무관(120)은 서로 밀실하게 체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연결부에 모르타르(240) 타설시 상기 모르타르(240)가 상기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연결부에 모르타르(240)를 수직 방향으로 타설하여 양생시킨다(S140). 이에 따라 상기 쉬스 연결용 부재(100)에 의해 모르타르(240)가 상기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 내부로 침투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모르타르(240)의 양생이 완료된 이후, 상기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 내에 긴장재(250)인 PS 강재(250), 예를 들면, 강연선 또는 강봉을 배치하고, 별도의 긴장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에 긴장력을 도입한다(S150).
다음으로,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에 긴장력이 도입된 이후, 상기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 내에 그라우트 주입재(260), 예를 들면, 그라우트 밀크(Grout Milk) 또는 모르타르(Mortar)를 주입한다(S160).
이때, 상기 쉬스 연결용 부재(100)에 의해 상기 그라우트 주입재(260)가 상기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그라우트 주입재(260)를 주입하는 그라우팅(Grouting)은 상기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에 각각 삽입된 PS 강재(250)를 긴장한 후, 이를 염화물과 같은 외부의 유해한 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시멘트계 재료인 그라우트 밀크 또는 모르타르(260)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를 밀실하게 채우는 작업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서,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밀착시 상기 A-형 고무관(110)과 상기 B-형 고무관(120) 사이에는 상기 모르타르(240)가 침투하지 못하게 방지하는 여러 겹의 접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A-형 고무관의 가이드용 돌기(115) 또는 상기 B-형 고무관의 오목부(124)에 의해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제작 오차를 수용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인 쉬스가 연결되는 부분에 쉬스 연결용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모르타르를 채우는 과정에서 모르타르가 쉬스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에서 횡방향으로 한 쌍으로 체결되는 쉬스 연결용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신속한 연결부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작업이 간결해지며, 이에 따라 거푸집 설치 및 쉬스 연결을 위한 공정이 단순화되어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쉬스를 추가적인 수작업에 의해 연결하지 않아도 되므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의 폭을 최소화함으로써 현장타설 물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쉬스 연결용 부재
110: A-형 고무관(A-type Rubber Tube)
120: B-형 고무관(B-type Rubber Tube)
130a, 130b: 플라스틱관
111: A-형 고무관 관입부
112: A-형 고무관 머리부
113: A-형 고무관 밀착 돌기
114: A-형 고무관 체결 돌기
115: A-형 고무관 가이드용 돌기
121: B-형 고무관 관입부
122: B-형 고무관 머리부
123: B-형 고무관 밀착 돌기
124: B-형 고무관 오목부
210a, 210b: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220a, 220b: 쉬스(Sheath)
230: 고무 재질 거푸집
240: 연결부 모르타르
250: 긴장재(PS 강재)
260: 그라우트 주입재(그라우트 밀크 또는 모르타르)

Claims (18)

  1.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 내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를 횡방향 연결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에 있어서,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에 설치된 제1 쉬스(220a)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A-형 고무관(A-type Rubber Tube: 110);
    상기 A-형 고무관(110)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A-형 고무관(110)에 체결되고,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b)에 설치된 제2 쉬스(220b)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B-형 고무관(B-type Rubber Tube: 120); 및
    상기 A-형 및 B-형 고무관(110, 120) 내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A-형 및 B-형 고무관(110, 120) 내주면에 각각 삽입되는 플라스틱관(130a, 130b)
    을 포함하되,
    상기 A-형 고무관(110) 및 상기 B-형 고무관(120)은 서로 밀실하게 접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연결부에 모르타르(240) 타설시 상기 모르타르(240)가 상기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형 고무관(110) 및 상기 B-형 고무관(120) 각각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형 고무관(110)은,
    상기 제1 쉬스(220a)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쉬스(220a)의 내측 방향으로 외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A-형 고무관 관입부(111);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의 측면에 밀착하도록 형성된 A-형 고무관 머리부(112);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에 밀착하도록 상기 A-형 고무관 머리부(112)의 내측 외주면에 형성된 A-형 고무관 밀착 돌기(113);
    상기 A-형 고무관(110) 및 상기 B-형 고무관(120)이 서로 밀착하도록 상기 A-형 고무관 머리부(112)의 외측에 형성되는 A-형 고무관 체결 돌기(114); 및
    상기 A-형 고무관(110) 및 상기 B-형 고무관(120)이 서로 밀착시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제작 오차를 수용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상기 A-형 고무관 머리부(112)의 외측에 형성되는 A-형 고무관 가이드용 돌기(115)
    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형 고무관(120)은,
    상기 제2 쉬스(220b)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쉬스(220b)의 내측 방향으로 외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B-형 고무관 관입부(121);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b)의 측면에 밀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A-형 고무관 머리부(112)에 체결되는 B-형 고무관 머리부(122);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b)에 밀착하도록 상기 B-형 고무관 머리부(122)의 내측 외주면에 형성된 B-형 고무관 밀착 돌기(123); 및
    상기 A-형 고무관 체결 돌기(114)가 삽입되도록 상기 B-형 고무관 머리부(122)의 외측에 형성되는 B-형 고무관 오목부(124)
    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밀착시 상기 A-형 고무관(110)과 상기 B-형 고무관(120) 사이에는 상기 모르타르(240)가 침투하지 못하게 방지하는 여러 겹의 접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A-형 고무관 가이드용 돌기(115) 또는 상기 B-형 고무관의 오목부(124)에 의해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제작 오차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형 고무관(110)에 가이드용 돌기(115)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밀착시 상기 B-형 고무관(120)은 상기 A-형 고무관(110)에 자동으로 삽입 체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제작 오차를 수용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하고, 상기 A-형 고무관(110) 및 상기 B-형 고무관(120)의 체결면은 상기 모르타르(240)가 침투하지 못하게 방지하는 1차적인 접합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형 고무관(110)에 상기 가이드용 돌기(1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밀착시 상기 B-형 고무관(120)의 오목부(124)와 상기 A-형 고무관(110)의 체결 돌기(114) 사이의 유격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제작 오차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관(130a, 130b)은 고무 재질의 A-형 및 B-형 고무관(110, 120)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입부(111, 121)에 변형이 크게 발생하는 경우에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고, 상기 플라스틱관(130a, 130b)은 경질 플라스틱 재질의 원통형 플라스틱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9.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 내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를 횡방향 연결하는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a) A-형 및 B-형 고무관(110, 120) 및 플라스틱관(130a, 130b)으로 이루어진 쉬스 연결용 부재(100)를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에 미리 설치된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의 내주면에 각각 삽입하는 단계;
    b) 모르타르 타설용 고무 재질의 거푸집(230)을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연결부에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A-형 고무관(110) 및 상기 B-형 고무관(120)이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를 밀착시키는 단계;
    d)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연결부에 수직 방향으로 모르타르(240)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
    e) 상기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 내에 긴장재(250)를 배치하고, 긴장장치를 사용하여 긴장력을 도입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에 그라우트 주입재(260)를 주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의 A-형 고무관(110) 및 B-형 고무관(120)은 서로 밀실하게 체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연결부에 모르타르(240) 타설시 상기 모르타르(240)가 상기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쉬스 연결용 부재(100)는,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에 설치된 제1 쉬스(220a)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A-형 고무관(110);
    상기 A-형 고무관(110)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A-형 고무관(110)에 체결되고,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b)에 설치된 제2 쉬스(220b)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B-형 고무관(120); 및
    상기 A-형 및 B-형 고무관(110, 120) 내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A-형 및 B-형 고무관(110, 120) 내주면에 각각 삽입되는 플라스틱관(130a, 130b)
    을 포함하는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A-형 고무관(110) 및 B-형 고무관(120) 각각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쉬스(220a, 220b)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거푸집(230)은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연결부 외측에 인접한 위치에 나사못 또는 콘크리트 못의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거푸집(230)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 중 어느 하나에 일정한 두께의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밀착시 상기 A-형 고무관(110) 및 상기 B-형 고무관(120)의 접착면에 의해 상기 모르타르(240)가 침투하지 못하게 방지되고, 상기 A-형 고무관(110)에 형성된 가이드용 돌기(115) 또는 상기 B-형 고무관(120)에 형성된 오목부(124)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의 제작 오차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를 목표간격보다 조금 넓게 거치한 뒤, 체인 블록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10a, 210b)를 목표간격까지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긴장재(250)는 강연선 또는 강봉의 PS 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그라우트 주입재(260)는 그라우트 밀크(Grout Milk) 또는 모르타르(Mort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18. 제9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쉬스 연결용 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KR1020140065448A 2014-05-29 2014-05-29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1642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448A KR101642049B1 (ko) 2014-05-29 2014-05-29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448A KR101642049B1 (ko) 2014-05-29 2014-05-29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492A true KR20150137492A (ko) 2015-12-09
KR101642049B1 KR101642049B1 (ko) 2016-07-25

Family

ID=54873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448A KR101642049B1 (ko) 2014-05-29 2014-05-29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0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7164A (zh) * 2017-07-19 2019-04-05 孟美丽 桥梁及桥梁的安装设备
CN109881573A (zh) * 2019-04-01 2019-06-14 西南交通大学 一种装配式空心板桥构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620B1 (ko) 2019-12-06 2021-07-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부재용 간격재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3702A (ja) * 1998-06-01 1999-12-14 Japan Life Kk 複数のコンクリートユニットの緊結部とこれに使用する定着駒
JP2002030610A (ja) * 2000-05-12 2002-01-31 Totaku Kogyo Kk Pc橋用プレキャストセグメントの接合方法とそれに使用するセグメント及びシースの端部部材
KR100368745B1 (ko) 2000-02-09 2003-01-24 주식회사 비엔지컨설턴트 교량 벽체의 철근 및 쉬스관 일괄조립공법 및 그 지그
JP2004324330A (ja) * 2003-04-28 2004-11-18 Takenaka Komuten Co Ltd Pcプレキャスト部材の目地の施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接続管
KR100557341B1 (ko) 2003-02-21 2006-03-06 유태희 프리스트레스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구조물 시공 방법
KR20110073025A (ko) 2009-12-23 2011-06-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텐던 정착 장치
KR101128347B1 (ko) 2008-06-04 2012-03-2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거더용 거푸집
KR20130004814U (ko) * 2012-02-01 2013-08-09 장영미 단부 고정형 강선 정착장치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
KR101326170B1 (ko) 2012-03-23 2013-11-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결부 정착단을 구비한 피에스씨 거더 세그먼트, 이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 및 모듈러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3702A (ja) * 1998-06-01 1999-12-14 Japan Life Kk 複数のコンクリートユニットの緊結部とこれに使用する定着駒
KR100368745B1 (ko) 2000-02-09 2003-01-24 주식회사 비엔지컨설턴트 교량 벽체의 철근 및 쉬스관 일괄조립공법 및 그 지그
JP2002030610A (ja) * 2000-05-12 2002-01-31 Totaku Kogyo Kk Pc橋用プレキャストセグメントの接合方法とそれに使用するセグメント及びシースの端部部材
KR100557341B1 (ko) 2003-02-21 2006-03-06 유태희 프리스트레스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구조물 시공 방법
JP2004324330A (ja) * 2003-04-28 2004-11-18 Takenaka Komuten Co Ltd Pcプレキャスト部材の目地の施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接続管
KR101128347B1 (ko) 2008-06-04 2012-03-2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거더용 거푸집
KR20110073025A (ko) 2009-12-23 2011-06-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텐던 정착 장치
KR20130004814U (ko) * 2012-02-01 2013-08-09 장영미 단부 고정형 강선 정착장치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
KR101326170B1 (ko) 2012-03-23 2013-11-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결부 정착단을 구비한 피에스씨 거더 세그먼트, 이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 및 모듈러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7164A (zh) * 2017-07-19 2019-04-05 孟美丽 桥梁及桥梁的安装设备
CN109881573A (zh) * 2019-04-01 2019-06-14 西南交通大学 一种装配式空心板桥构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049B1 (ko) 2016-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204B1 (ko) 교량용 프리캐스트 기초부의 시공 방법
KR101230769B1 (ko) 2분절 아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0696441B1 (ko)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철근콘크리트 바닥판, 이를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6427045B2 (ja) 既設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JP6691880B2 (ja) プレキャスト壁高欄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KR10164204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JP7040528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137727B (zh) 一种基于早强uhpc的干湿组合节段预制拼装接缝系统及方法
KR102079574B1 (ko) 정착구 마감용 복합 멀티캡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101639592B1 (ko) 교량용 조립형 경량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EP3543418B1 (en) Method for connecting precast segments tendon ducts and resulting structure
JP2017101442A (ja) 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KR101404477B1 (ko) 종방향 분절형 거더
KR20060112874A (ko) 분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 방법
KR100880022B1 (ko) 조립식 pc 펌프장 맨홀
JP2015045202A (ja) アーチカルバ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44341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の接合構造及びコンクリート床版の接合方法
JP2006233632A (ja) 可撓止水継手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160078150A (ko)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JP7490479B2 (ja) プレキャスト部材の接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部材の接合方法
KR102349866B1 (ko) 건식공법용 연결철물, 그 연결철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컬럼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DK2865821T3 (en) Method of anchoring an element of transverse force on a building part
KR101687403B1 (ko) Pc 기둥의 접합 구조
JP6159155B2 (ja) プレキャスト部材セット、プレキャスト部材の圧着方法、構造体
JP6114600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