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754A -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754A
KR20150136754A KR1020140064111A KR20140064111A KR20150136754A KR 20150136754 A KR20150136754 A KR 20150136754A KR 1020140064111 A KR1020140064111 A KR 1020140064111A KR 20140064111 A KR20140064111 A KR 20140064111A KR 20150136754 A KR20150136754 A KR 20150136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
foreign matter
grain
thresher
moun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4861B1 (ko
Inventor
김상완
강옥자
Original Assignee
김상완
강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완, 강옥자 filed Critical 김상완
Priority to KR1020140064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861B1/ko
Publication of KR20150136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4Arrangements for collecting or removing du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는 조, 수수, 기장, 콩 등의 잡곡류를 탈곡하는 탈곡기에 설치되어, 탈곡된 잡곡류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이물질과 잡곡류를 분리하고 회수된 잡곡류에 이물질이 혼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Scraps separation device of a threshing machine}
본 발명은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는 조, 수수, 기장, 콩 등의 잡곡류를 탈곡하는 탈곡기에 설치되어, 탈곡된 잡곡류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이물질과 잡곡류를 분리하고 회수된 잡곡류에 이물질이 혼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촌에서 생산되는 조, 수수, 기장, 콩 등의 잡곡류는 잡곡을 얻기 위해서 탈곡을 해야 하는데, 이렇게 생산된 잡곡류를 탈곡시에는 잘 결실된 줄기 끝의 이삭을 절취, 건조한 후, 탈곡기를 이용하여 탈곡함으로써 잡곡류가 얻어진다. 그런데 탈곡된 잡곡류에는 다양한 형태의 이물질(콩 대, 콩깍지, 모래, 흙 등)이 혼입되므로 잡곡류와 이 물질을 분리하여야만 된다.
조, 수수, 기장 콩 등의 잡곡류를 탈곡하기 위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대표적으로 콩 탈곡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콩 탈곡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콩 배출구 측을 나타낸 사시도로써, 본체(3)의 상부에 모터(4)의 구동이 공지의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전달됨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 축(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 축의 직하방에는 구동 축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6)에 고정된 로울러(7)에는 원통형상의 망체(8)이 얹혀져 있는데, 상기 망체(8)의 내부에는 회전방향을 따라 나선상의 레일(9)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망체(8)가 구동 축(5)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콩 대를 탈곡함에 따라 탈곡된 콩과 무거리(콩대 및 콩깍지)가 레일(9)을 따라 무거리 배출구 측으로 이송되면서 탈곡된 콩 및 잘게 부스러진 콩대 및 콩깍지 등의 이 물질이 망체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자유 낙하된다.
상기 구동 축(5)의 외측에는 구동 축의 회전에 따라 콩 대를 두드리는 복수개의 타격막대(19)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본체(3)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22)의 일 측으로 형성되는 콩 대 투입구(23)를 통해 콩 대를 투입함에 따라 상기 타격막대(19)가 콩 대를 두드려 콩을 탈곡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콩대 투입구(23)의 반대편에는 무거리를 본체(3)의 외부로 배출하는 무거리 배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모터(4)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 축(5)에 컨넥팅로드(33)의 일단이 편심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컨넥팅로드의 다른 일단은 본체(3)에 설치되는 로드(34)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로드의 다른 일단은 망체(8)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흔들체(32)와 연결되어 있어 모터(4)의 구동으로 구동 축(5)이 회전하면 상기 흔들체(32)가 채를 흔드는 것과 같이 요동운동을 하면서 콩 및 이 물질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흔들체(32)의 끝단에 복수개의 콩 배출공(35)이 형성되어 있고 흔들체의 끝단 상부에는 배출되는 콩이 외부로 튀겨져 나가는 현상을 방지하는 커버(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3)의 하부 일측에는 경사진 흔들체(32)를 따라 콩과 콩대 및 콩 깍지 등의 이물질이 내려가는 과정에서 풍압을 이용하여 비중이 낮은 콩대 및 콩깍지 등의 이물질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팬(39)이 팬 하우징(45)에 감싸지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팬(39)은 설정된 풍압을 유지하여야만 콩대 및 콩깍지 등의 이물질이 콩안내배출판(32)을 따라 하방으로 떨어지는 과정에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고속 회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콩 탈곡기는 탈곡된 콩이 요동치는 흔들체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콩대 및 콩깍지와 섞여져 있어 신속하게 하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인해 결국 팬의 회전에 발생된 풍압에 의해 콩에 눌려진 콩대 및 콩깍지가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콩과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탈곡된 콩을 별도의 정선기를 이용하여 콩에 혼입된 콩대 및 콩깍지를 정선하여야 되므로 영세한 농가에서 고가의 정선기를 구매하여야 되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었음은 물론 별도의 정선작업에 따른 수고가 불가피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콩 탈곡기에서 탈곡된 콩이 흔들체를 따라 배출되는 과정에서 콩대 및 콩깍지로부터 상호분리되도록 산과 골을 갖는 주름판이 흔들체에 구비되어 있어 탈곡된 콩만이 신속하게 배출되고, 콩대 및 콩깍지는 주름판의 산에 얹혀져 이송될 때 팬의 구동에 따른 풍압에 의해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어 콩에 혼입되지 않게 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공지된 이물질 분리장치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첫째, 길쭉한 형태를 띄는 콩대 및 콩깍지의 특성상 주름판의 산을 가로지르게, 즉 어긋나게 낙하한 경우에만 상기 산에 얹혀지고, 산과 평행하게 낙하한 경우에는 골 속으로 잠입하게 되어 오히려 콩이 골에 잠입하는 것을 방해하는 역효과를 갖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콩대 및 콩깍지에는 잘게 부스러진 콩/콩대 및 흙 등의 이물질이 탈곡된 콩과 함께 주름판의 골에 적층되어 이송되고, 이때 팬의 구동에 따른 풍압에 의해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비산되어 다시 정선된 콩에 혼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상기 공지된 이물질 분리장치는 콩 탈곡기에만 적용가능하게 설계되어 있어, 조, 수수, 기장 등 다른 종류의 잡곡류의 탈곡기에는 적용이 불가능하여 장치의 호환성에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068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977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546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는 조, 수수, 기장, 콩 등의 잡곡류를 탈곡하는 탈곡기에 설치되어, 탈곡된 잡곡류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이물질과 잡곡류를 분리하고 회수된 잡곡류에 이물질이 혼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상세 과제의 해결을 목표로 한다.
첫째, 길쭉한 형태를 띄는 콩대 및 콩깍지의 특성상 주름판의 산을 가로지르게, 즉 어긋나게 낙하한 경우에만 상기 산에 얹혀지고, 산과 평행하게 낙하한 경우에는 골 속으로 잠입하게되어 오히려 콩이 골에 잠입하는 것을 방해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콩대 및 콩깍지에는 잘게 부스러진 콩/콩대 및 흙 등의 미세한 이물질이 탈곡된 콩과 함께 주름판의 골에 적층되어 이송되고, 이때 팬의 구동에 따른 풍압에 의해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비산되어 다시 정선된 콩에 혼입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셋째, 상기 공지된 이물질 분리장치는 콩 탈곡기에만 적용가능하게 설계되어 있어, 조, 수수, 기장 등 다른 종류의 잡곡류의 탈곡기에는 적용이 불가능하여 장치의 호환성에 제약을 받는 문제점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는 통상의 탈곡기 본체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탈곡된 잡곡이 이동하는 흔들체에 형성된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에 있어서, 잡곡 배출방향을 따라 잡곡이 수용되는 골과 이물질이 얹혀지는 산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주름판이 상기 흔들체에 형성되되, 상기 주름판의 골에는 다수의 타공이 잡곡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름판의 산에는 잡곡 이송방향과 수직으로 수직바가 형성되되, 상기 수직바는 상기 산의 정상을 따라 일정간격 형성된 복수의 홈에 얹혀져 상기 산의 정상과 동일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흔들체에는 잡곡 이송방향과 수직으로 수직바가 형성된 걸름체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뿐만 아니라 상기 걸름체는 제1 걸름체와 제2 걸름체로 구성되되, 상기 제2 걸름체는 상기 제1 걸름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걸름체는 잡곡 배출방향과 수평으로 수평바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지닌다.
첫째, 길쭉한 형태를 띄는 콩 대 및 콩깍지의 특성상 주름판의 산을 가로지르게, 즉 어긋나게 낙하한 경우에만 상기 산에 얹혀지고, 산과 평행하게 낙하한 경우에는 골 속으로 잠입하게 되어 오히려 콩이 골에 잠입하는 것을 방해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탈곡기에서 탈곡된 잡곡류가 배출 안내판을 따라 배출되는 과정에서 대 및 깍지와 상호분리되도록 하는 이물질 분리장치가 흔들체에 구비되어 있어 탈곡된 콩만이 신속하게 배출되고, 대 및 깍지는 이물질 분리장치에 얹혀져 이송되는 과정에서 팬의 구동에 따른 풍압에 의해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어 잡곡류에 혼입되지 않으므로 거의 완벽하게 정선이 이루어진 콩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둘째, 대 및 깍지에는 잘게 부스러진 잡곡/잡곡의 대 및 흙 등의 미세한 이물질이 탈곡된 잡곡과 함께 주름판의 골에 적층되어 이송되는데, 이때 팬의 구동에 따른 풍압에 의해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비산되어 다시 정선된 잡곡에 혼입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서, 정선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는 각종 잡곡류 탈곡기에 범용적으로 적용가능하게 설계되어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콩 탈곡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콩 탈곡기 콩 배출구 측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콩 탈곡기 흔들체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의 흔들체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흔들체 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흔들체 요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의 걸름체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가 구비된 탈곡기 역시, 탈곡기의 탈곡방식은 종래의 콩 탈곡기와 마찬가지이므로 구체적인 기술은 생략하기로 하고,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만 대략적으로 기재를 한다면, 콩을 탈곡하기 위해 콩 껍질이 매달린 콩대를 콩대 투입구(210)로 밀어넣음에 따라 콩대가 타격막대에 의해 두드려져 콩이 탈곡되면 탈곡된 콩(B) 및 무거리가 망체(20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고정된 레일(220)을 경유해서 무거리 배출구측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콩(B)은 물론 잘게 부스러진 콩대 및 콩껍질 등의 이물질(C)이 망체(200)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하방(흔들체 측)으로 자유 낙하된다.
상기 타격막대(230)의 타격으로 콩대로부터 탈곡되어 망체를 통과한 콩(B)과 일부의 콩대 및 콩껍질 등의 이물질(C)은 흔들체(500)로 자유낙하하게 되고, 상기 흔들체는 컨넥팅로드(410)에 의해 상하요동 운동을 하면서 채를 치는 것과 같은 동작으로 콩 및 이물질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탈곡된 콩이 이물질과 함께 흔들체를 따라 이송되어 주름판(510)에 도달하면 이물질에 혼입되어 있던 콩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름판(510)에 형성된 골(510a)에 들어가 이물질과 분리되어 흔들체의 끝 부분에 형성된 콩 배출공(520)을 통해 콩 배출판(530)으로 떨어지지만 콩에 혼입되어 있던 이물질은 주름판(510)의 산(510b)에 얹혀져 서서히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주름판의 산에 얹혀져 이동하던 이물질이 본체에 설치된 팬(300)의 근접부위에 도달하면 이물질은 팬의 고속 회전에 따라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팬 측으로 흡입되어 본체의 외부로 강제 배출되므로 이물질이 탈곡된 콩에 혼입되는 현상이 해소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흔들체(500)가 탈곡된 콩과 이물질이 함께 이송하도록 본체(100)에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흔들체(100)는 콩이송방향을 따라 콩(B)이 수용되는 골(510a)과 이물질(C)이 얹혀지는 산(510b)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주름판(510), 상기 주름판에 이어서 형성되어 상기 주름판을 타고 온 콩(B)이 베출되도록 콩 배출공(52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주름판은 배출판에 이어지도록 흔들체 전구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름판에 형성되는 골과 산은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이거나 물결형태 등 통상의 기술자가 필요에 따라 그 형태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하겠다. 또한 상기한 주름판은 금속재질을 프레싱(pressing)하여 성형하여도 되지만, 합성수지 재질을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하면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흔들체에는 잘게 부스러진 콩/콩대 및 흙 등의 미세한 이물질이 탈곡된 콩과 함께 주름판의 골에 적층되어 이송되고, 이때 팬의 구동에 따른 풍압에 의해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비산된 후 다시 콩 배출공(520)에 낙하하되어 콩 배출공 속으로 잠입하거나, 비중이 큰 작은 돌 등은 팬에의해 흡입되지 않고 그대로 콩 배출공 속으로 잠입하게 됨에 따라 결국 콩 배출판을 통해 배출되는 정선된 콩에 미세한 이물질이 그대로 혼입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름판의 골에는 다수의 타공(510c)을 잡곡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한다. 즉, 상기 타콩(510c)은 골의 경사면을 따라 일정 간격 형성하고, 아울러 골의 최저부에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미세한 이물질은 상기 흔들체 골의 경사면을 타고 내려오다가 상기 경사면에 형성된 타공 및 골의 최저부에 형성된 타공을 통하여 본체 저부로 자유낙하하게 된다. 미세한 이물질이 상기 타공을 통과하여 본체 저부로 자유낙하하도록 하는 데는 상기 흔들체의 진동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타공의 형성은 이물질이 얹혀지는 면을 향해 프레싱을 함으로써 버(berr)의 형성 방향을 이물질의 배출방향과 동일하게 하여 이물질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세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포집부를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본체 저부에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더욱이 길쭉한 형태를 띄는 콩대 및 콩깍지의 특성상 주름판의 산을 가로지르게, 즉 어긋나게 낙하한 경우에만 상기 산에 얹혀지고, 산과 평행하게 낙하한 경우에는 골 속으로 잠입하게 되어 오히려 콩이 골에 잠입하는 것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실시예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주름판의 산에는 잡곡 이송방향과 수직하게 수직바(550)를 형성한다. 즉, 상기 산(510b)의 정상을 따라 복수 홈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홈에 수직바(550)를 단순히 얹혀 놓거나 용접 등의 통상의 방법으로 결합하여 산의 정상면을 동일평면으로 형성한다. 이로써 상기 흔들체는 격자 모양의 메쉬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길쭉한 형태를 띄는 콩대 및 콩깍지가 어떠한 자세로 낙하더라도 상기 수직바에 걸려져 상기 골에 잠입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산의 정상면이 동일평면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수직바가 이물질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는다.
여기서 제작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상기 산에 홈을 형성하지 않고 단순히 상기 수직바를 상기 산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상의 메쉬구조를 상기 산에 부착하거나 상기 흔들체 브라켓(540)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또다른 실시예인 제2실시예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흔들체에는 잡곡 이송방향과 수직으로 수직바(550a)가 일정간격 형성된 걸름체(560)가 상기 브라켓(540)의 가이드레일(540a)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브라켓(540)의 내측면에 가이드레일(540a)를 형성하고 상기 걸름체(560)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콩 배출판(530)의 반대측에서 슬라이딩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름체(560)는 통상의 사각틀에 수직바(550a)를 일정간격 형성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콩 탈곡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걸름체(560)를 탈부착하게 함으로써, 일반적인 조, 수수, 기장, 콩 등의 잡곡류의 탈곡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의 적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조, 수수, 기장, 콩 등의 잡곡류는 잡곡의 크기 뿐만 아니라 걸러내야할 이물질인 대 및 깍지의 크기도 다양하므로, 상기 이물질의 크기에 대응하여 수직바의 간격을 다양하게 하여 제작된 상기 걸름체(560)를 단순히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종류의 탈곡기에서 효과적인 정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걸름체를 제1 걸름체(560a)와 제2 걸름체(560b)로 구성하여, 상기 제2 걸름체를 상기 제1 걸름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하는 경우, 걸름체 자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상기 하부 걸름체를 일정간격 슬라이딩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상부걸름체 및 하부걸름체 각각에 형성된 수직바(550b, 550c)의 간격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제2 걸름체를 약간 슬라이딩하면 제1 걸름체의 수직바(550b)를 기준으로 제2 걸름체의 수직바(550c)가 슬라이딩 간격만큼 상기 수직바(550b)로부터 슬라이딩되므로 결국 상기 수직바들(550b, 550c)의 간격은 상기 슬라이딩 간격만큼 좁아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여기서 슬라이딩시키는 상기 수직바(550c)는 상기 수직바(550b) 간의 간격의 절반에 위치시킬 때 상기 수직바들(550b, 550c)의 간격이 균일하게 됨은 자명한 사실이라 하겠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름체는 제1 걸름체의 브라켓 형상을 "ㄷ"자로 절곡하여 그 내부에서 제2 걸름체가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수직바들(550b, 550c)의 간격이 균일하게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또는 제2 걸름체에 간격구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걸름체 및 제2 걸름체의 말단에 통상의 클램핑 수단을 상기 간격을 고려하여 형성하므로서, 사용자가 슬라이딩 간격을 고려하지 않고 상기 클램핑 수단까지 슬라이딩하므로서 간격이 설정됨과 동시에 클램핑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걸름체에는 잡곡 이송방향과 수평으로 수평바를 더 형성하므로써 조, 수수, 기장, 콩 등의 잡곡류의 이물질 크기에 대응하여 수평방향의 간격 또한 조절하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를 단순히 교체하는 것만으로 다양한 종류의 탈곡기에서 효과적인 정선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
200: 망체 210: 콩대투입구 220: 레일 230: 타격막대
300: 송풍장치
310: 흡입팬 340: 개폐수단
341: 차단판 342: 회동축 343: 조절레버
344: 잠금체 345: 간격부재 346: 잉여흡입구
400: 모터
500: 흔들체
510: 주름판 520: 콩 배출공
530: 콩배출판 540: 흔들체 브라켓 550: 수직바

Claims (5)

  1. 통상의 탈곡기 본체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탈곡된 잡곡이 이동하는 흔들체에 형성된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에 있어서,
    잡곡 배출방향을 따라 잡곡이 수용되는 골과 이물질이 얹혀지는 산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주름판이 상기 흔들체에 형성되되,
    상기 주름판의 골에는 다수의 타공이 잡곡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름판의 산에는 잡곡 이송방향과 수직으로 수직바가 형성되되,
    상기 수직바는 상기 산의 정상을 따라 일정간격 형성된 복수의 홈에 얹혀져 상기 산의 정상과 동일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흔들체에는 잡곡 이송방향과 수직으로 수직바가 형성된 걸름체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름체는 제1 걸름체와 제2 걸름체로 구성되되,
    상기 제2 걸름체는 상기 제1 걸름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
  5. 청구항 3 및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걸름체는 잡곡 이송방향과 수평으로 수평바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20140064111A 2014-05-28 2014-05-28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1634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111A KR101634861B1 (ko) 2014-05-28 2014-05-28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111A KR101634861B1 (ko) 2014-05-28 2014-05-28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754A true KR20150136754A (ko) 2015-12-08
KR101634861B1 KR101634861B1 (ko) 2016-06-29

Family

ID=54872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111A KR101634861B1 (ko) 2014-05-28 2014-05-28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8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5673A1 (en) 2018-06-26 2020-01-02 Kondex Corporation Concave with adjustable openings
CN112106530A (zh) * 2020-09-30 2020-12-22 河南科技大学 一种双柔性碾搓式谷子脱粒装置
KR20230068587A (ko) 2021-11-11 2023-05-18 강옥자 탈곡기의 정선용 흔들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1237Y1 (ko) * 1979-09-06 1980-08-13 유선근 현미 선별기
JP2001016962A (ja) * 1999-07-01 2001-01-23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揺動選別部構造
JP2001269047A (ja) * 2000-03-27 2001-10-02 Iseki & Co Ltd 脱穀装置の揺動選別装置
KR200379775Y1 (ko) 2004-12-30 2005-03-24 구진섭 콩 탈곡기용 콩 선별망
KR20090070681A (ko) 2007-12-27 2009-07-01 김상완 콩 자동 탈곡기의 걸름망
KR20110085464A (ko) 2010-01-20 2011-07-27 강옥자 콩 탈곡기의 콩과 이 물질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1237Y1 (ko) * 1979-09-06 1980-08-13 유선근 현미 선별기
JP2001016962A (ja) * 1999-07-01 2001-01-23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揺動選別部構造
JP2001269047A (ja) * 2000-03-27 2001-10-02 Iseki & Co Ltd 脱穀装置の揺動選別装置
KR200379775Y1 (ko) 2004-12-30 2005-03-24 구진섭 콩 탈곡기용 콩 선별망
KR20090070681A (ko) 2007-12-27 2009-07-01 김상완 콩 자동 탈곡기의 걸름망
KR20110085464A (ko) 2010-01-20 2011-07-27 강옥자 콩 탈곡기의 콩과 이 물질 분리장치
KR101138102B1 (ko) * 2010-01-20 2012-04-24 강옥자 콩 탈곡기의 콩과 이 물질 분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5673A1 (en) 2018-06-26 2020-01-02 Kondex Corporation Concave with adjustable openings
EP3813509A4 (en) * 2018-06-26 2022-03-09 Kondex Corporation CONCAVE WITH ADJUSTABLE OPENINGS
US11497171B2 (en) 2018-06-26 2022-11-15 Kondex Corporation Concave with adjustable openings
US12016270B2 (en) 2018-06-26 2024-06-25 Kondex Corporation Concave with adjustable openings
CN112106530A (zh) * 2020-09-30 2020-12-22 河南科技大学 一种双柔性碾搓式谷子脱粒装置
KR20230068587A (ko) 2021-11-11 2023-05-18 강옥자 탈곡기의 정선용 흔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861B1 (ko)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9034B2 (ja) 粒状物精撰機
JP6255684B2 (ja) 粗選別装置
KR101634861B1 (ko) 탈곡기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1462410B1 (ko) 마늘 선별장치
KR20150091772A (ko) 곡물 선별장치
KR101249957B1 (ko) 쌀눈 선별장치
KR101271020B1 (ko) 쌀눈 선별방법
CN210730174U (zh) 一种宠物饲料加工用筛分装置
KR20110085464A (ko) 콩 탈곡기의 콩과 이 물질 분리장치
CN219483411U (zh) 一种收割机粮箱筛选装置
KR100639976B1 (ko) 콩 탈곡기
CN207505473U (zh) 一种自动筛选和烘干的玉米脱粒机
KR200486548Y1 (ko) 잡곡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12756257A (zh) 一种种籽风选组件及牧草品种筛分设备
KR200288679Y1 (ko) 풋콩 탈곡장치
KR200392897Y1 (ko) 콩 탈곡기
CN105855174A (zh) 一种豆类筛选装置
CN111871809A (zh) 一种畜牧用颗粒饲料筛分装置
CN214391125U (zh) 一种橄榄油生产用筛选装置
CN110791373A (zh) 一种菜籽油压榨设备
CN213591058U (zh) 一种饲料加工筛选装置
CN213316094U (zh) 一种水稻加工生产用高效除尘去杂质装置
JP2016013110A (ja) コンバイン
JP4598285B2 (ja) 茶葉のケバ取り装置
CN221386738U (zh) 一种兽用药草预加工切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