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080A - 스퍼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스퍼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080A
KR20150136080A KR1020157027537A KR20157027537A KR20150136080A KR 20150136080 A KR20150136080 A KR 20150136080A KR 1020157027537 A KR1020157027537 A KR 1020157027537A KR 20157027537 A KR20157027537 A KR 20157027537A KR 20150136080 A KR20150136080 A KR 20150136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target
mask
vacuum chamb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우치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쯔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쯔미테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쯔미테크
Publication of KR20150136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4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
    • C23C14/548Controlling th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C23C14/042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using mask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23C14/3464Sputtering using more than one targe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0Substrate hol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coating;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the vacuum, e.g. vacuum locks
    • C23C14/568Transferring the substrates through a series of coat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733Means for moving the material to be treated
    • H01J37/32752Means for moving the material to be treated for moving the material across the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4Gas-filled discharge tubes operating with cathodic sputtering
    • H01J37/3411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reactor
    • H01J37/3414Targets
    • H01J37/3417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4Gas-filled discharge tubes operating with cathodic sputtering
    • H01J37/3411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reactor
    • H01J37/3447Collimators, shutters, aper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스퍼티링 장치(1)는 진공챔버(2)와, 복수의 타겟(8: 8a~8d)과, 성막하는 타겟(8c)만을 선택적으로 상기 진공챔버(2) 내에 노출시키기 위한 차폐체(9)와, 상기 타겟(8c)으로부터 튀어나온 미립자가 성막되는 기판(10)을 유지하는 기판유지유닛(11)과, 상기 기판유지유닛(11)을 고정 유지하여 이동시키는 제 1 이동유닛(14)과, 상기 타겟(8c)과 상기 기판(10) 사이에 배치된 마스크(16)와, 상기 마스크(16)를 이동시키는 제 2 이동유닛(19)과, 상기 마스크(16)를 관통하는 패턴화된 관통구멍(17)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관통구멍유닛(17a~17f)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스퍼터링 장치{SPUTTERING DEVICE}
본 발명은 스퍼터링 장치, 특히 수소센서를 제조하기 위한 스퍼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소를 흡장(吸藏)했을 때의 조광(調光) 특성을 갖는 합금을 이용한 수소센서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수소센서는 기판상에 Mg-Ni 등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박막을 복수 형성하여 제조된다. 이와 같은 박막 형성은 스퍼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행하여진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스퍼터링 장치에서는 진공 중에 불활성가스(Ar가스)를 도입하고, 합금 재료로 이루어진 타겟을 플라즈마 방전으로 가열한다. 이 타겟에 대하여 이온화된 Ar이 충돌하고, 합금 재료의 미립자가 기판으로 튀어나와 성막(成膜)된다. Ar가스와 함께 N2가스나 O2가스를 넣음으로써 반응성 스퍼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본 특개2011-219841호공보 일본 특개평5-263228호공보
그러나 동일 기판상에 복수의 다른 재료를 성막하기 위해서는, 이들 재료마다 성막하는 영역을 미리 규제하기 위해 기판과 타겟 사이에 마스크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마스크에는 미립자가 된 합금 재료가 통과할 수 있는 패턴화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미립자는 이 관통구멍을 통해 기판의 소정 영역에 성막된다. 기판의 다른 영역에 성막하는 경우는, 일단 장치로부터 기판을 취출(取出)하고, 다른 패턴의 관통구멍을 갖는 마스크를 배치하여 다시 장치 내에 투입한다. 이와 같이 일단 장치로부터 기판을 취출하고 새롭게 마스크를 배치하는 것은 작업 효율의 악화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산화되기 쉬운 합금 재료를 성막하고 있는 경우는 장치로부터 취출함으로써 대기 중에 노출되게 되어, 박막 특성이 변화해버릴 우려도 있다. 장치로부터 기판을 취출할 때 대기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추가로 다른 진공 흡인된 진공챔버를 마련하거나, 다른 스퍼터링 장치를 인접시키거나 하여 대응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장치가 대규모로 되어 공간적, 비용적으로도 과대해져버린다.
특허문헌 2에서는, 마스크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에 대하여 영역별로 성막하는 것은 아니며, 막 두께 제어를 위해 기판과 타겟을 이동시키고 있다. 타겟을 이동시키는 것은 상당히 장치가 대대적이 되므로, 상술한 공간적, 비용적인 문제점이 남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을 고려한 것이며, 기판의 소정 영역별로 다른 합금 재료를 성막하는 경우에도 기판을 장치 밖으로 취출하여 새로운 마스크를 배치하는 동작을 요하지 않고, 공간적, 비용적으로도 우수한 스퍼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진공 흡인되어 밀폐된 진공챔버와, 상기 진공챔버 내에 고정되며, 성막될 재료로 이루어진 복수의 타겟과, 상기 복수의 타겟 중, 성막하는 타겟만을 선택적으로 상기 진공챔버 내에 노출시키기 위한 차폐체와, 상기 타겟으로부터 튀어나온 미립자가 성막되는 기판을 유지(保持)하는 기판유지유닛과, 상기 기판유지유닛을 고정 유지하여 상기 진공챔버 내에서 이동시키는 제 1 이동유닛과, 상기 타겟과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된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를 상기 진공챔버 내에서 이동시키는 제 2 이동유닛과, 상기 마스크를 관통하는 패턴화된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관통구멍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퍼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의 소정 영역별로 다른 합금재료를 성막하는 경우에도 기판을 장치 밖으로 취출하여 새로운 마스크를 배치하는 동작을 요하지 않으며, 공간적, 비용적으로도 우수한 스퍼터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임의의 타겟을 이용하여 성막하고, 다음으로 다른 패턴으로 다른 타겟을 이용하여 성막하는 경우에 제 1 이동유닛을 이용하여 기판을 해당하는 타겟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며, 필요에 따라 제 2 이동유닛을 이용하여 마스크를 이동시켜 원하는 관통구멍을 대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치 내에서 다른 패턴으로의 복수의 합금 재료의 성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퍼터링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D-D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과는 다른 시간에서의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와는 다른 시간에서의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C-C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퍼터링 장치(1)는 진공챔버(2)가 되는 대략 밀폐된 공간을 가지고 있다. 이 진공챔버(2)는 크게 나누어 3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타겟부(3), 스퍼터부(4), 기판부(5)로 이루어져 있다. 각 영역(3~5)은 서로 연통하고 있지만, 연통이 허용되고 있으면 칸막이벽(6)에 의해 어느 정도 구획되어 있어도 좋다. 이 진공챔버(2)는 진공 흡인에 의해 진공 상태로 된다. 진공챔버(2)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타겟부(3)에는 복수(도면에서는 4개)의 타겟(8)이 고정되어 있다. 이 타겟(8)은 기판(10)에 성막될 재료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는 금속(합금)의 덩어리이다. 도면의 예에서는 타겟(8a~8d)으로서, 각각 Wo3, Mg-Ti, Mg-Ni, Pd로 한다.
이들 타겟(8)은, 예를 들어 셔터(shutter) 등의 차폐체(9: 9a~9d)가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성막하는 타겟 이외의 타겟은 차폐체(9)에 의해 덮이며, 이에 의해 성막될 타겟(8)만이 선택적으로 진공챔버(2) 내에 노출된다. 이들 타겟(8)이 성막되는 기판(10)은 기판부(5)에 배치된 기판유지유닛(11)에 유지된다. 기판유지유닛(11)은 기판(10)을 파지(把持)하는 파지부(11a)와 기대부(基台部)(11b)로 이루어지며, 파지부(11a)와 기대부(11b)는 장척(長尺)의 연결부(11c)로 연결되어 있다. 이 기판유지유닛(11) 중 기대부(11b)가 기판부(5) 내에 자리잡고 있다. 그리고 연결부(11c)는 스퍼터부(4)를 향해 뻗어 있으며, 파지부(11a)는 스퍼터부(4) 내에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파지부(11a)에 의해 파지된 기판(10)은 스퍼터부(4) 내에 배치되어 있다.
기판유지유닛(11)은 제 1 이동유닛(14)에 고정 유지되어 진공챔버(2) 내를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이동유닛(14)은 기판부(5) 내에 배치된 한 쌍의 제 1 롤러(12)와, 이 롤러(12) 사이에 가설된 벨트(13)를 가지고 있다. 일방의 제 1 롤러(12)에는 제 1 모터(15)의 출력축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모터(15)의 구동에 의해 출력축을 통해 일방의 제 1 롤러(12)는 회전한다. 이에 의해, 종동(從動)하는 타방의 제 1 롤러(12)도 회전하며, 벨트(13)의 이동과 함께 기판유지유닛(11)은 진공챔버(2) 내를 이동한다. 즉, 기판유닛유닛(11)에 유지된 기판(10)은 벨트(13)의 이동방향을 따라 스퍼터부(4) 내를 이동한다.
타겟(8)과 기판(10) 사이이자, 스퍼터부(4) 내에는 마스크(16)가 배치되어 있다. 이 마스크(16)에는 관통구멍(17)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17)은 패턴화되어 형성되어 있다. 패턴화란 타겟(8) 측에서 볼 때 원하는 패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관통구멍(17)은 하나 또는 복수를 한 묶음 단위로 하여 관통구멍유닛(17a~17f)으로서 형성된다. 이 예에서는, 총 6 유닛의 관통구멍유닛(17a~17f)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관통구멍유닛(17a~17f)은 관통구멍(17)을 3개 세로로 배열된 것으로서 표현하고 있다. 마스크(16)는 제 2 이동유닛(19)에 의해 진공챔버(2) 내를 이동한다. 제 2 이동유닛(19)은 한 쌍의 제 2 롤러(18)를 가지고 있다. 마스크(16)는 장척의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제 2 롤러(18)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일방의 제 2 롤러(19)에는 제 2 모터(20)의 출력축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모터(20)의 구동에 의해 출력축을 통해 일방의 제 2 롤러(18)는 회전한다. 이에 의해, 종동하는 타방의 제 2 모터(18)도 회전하며, 마스크(16)는 진공챔버(2)(스퍼터부(4)) 내를 이동한다.
관통구멍(17)은 각각 패턴화된 복수의 관통구멍유닛(17a~17f)으로서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유닛(17a~17f)은 타겟(8)마다 대응하여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도 2를 참조하면 명백한 것처럼, 타겟(8a)에 대응하여 관통구멍유닛(17a)이, 타겟(8b)에 대응하여 관통구멍유닛(17b)이, 타겟(8c)에 대응하여 관통구멍유닛(17c)이, 타겟(8d)에 대응하여 관통구멍유닛(17d~17f)이 형성되어 있다. 즉, 타겟(8d)에 대해서만 복수의 관통구멍유닛(17d~17f)이 대응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스퍼터링 장치(1)를 이용하여 실제로 기판(10)에 성막하는 경우, 이하와 같은 공정을 거친다.
우선 기판을 기판유지유닛(11)의 파지부(11a)에 세팅하고, 진공챔버(2) 내를 진공 흡인하여 진공상태로 한다. 그리고 진공챔버(2) 내에 불활성가스(Ar가스)를 도입한다. 필요에 따라 N2가스나 O2가스도 도입한다. 그리고 제 1 모터(15)를 구동시켜, 벨트(13)와 함께 기판유지유닛(11)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우선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10)을 타겟(8c)인 Ma-Ni의 정면에 배치한다. 이 때 기판(10)과 타겟(8c) 사이에 마스크(16)에 형성된 관통구멍유닛(17c)이 위치하도록 제 2 모터(20)를 이용하여 적절히 마스크(16)의 위치가 조정된다.
차폐체(9c)만을 열고, 이 상태에서 타겟(8c)을 플라즈마 방전으로 가열하면, 타겟(8c)에 대하여 이온화된 Ar이 충돌하고, Mg-Ni의 미립자가 기판(10)으로 튀어나와 관통구멍유닛(17c)을 통해 관통구멍유닛(17c)이 나타내는 패턴대로 성막된다. 이하, 패턴(8)이 바뀌어도 마찬가지의 원리로 성막된다. 성막된 Mg-Ni은 제 1 층(21)으로서 기판(10)상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10)을 타겟(8d)인 Pd의 정면에 배치한다. 이 예에서는, 타겟(8d)과 기판(10) 사이에 배치된 마스크(16)의 관통구멍유닛(17d)의 패턴 형상은 관통구멍유닛(17c)의 패턴 형상과 동일하다. 차폐체(9d)만을 열고, 타겟(8d)을 기판(10)에 대하여 성막한다. 이에 의해, 제 1 층(21)의 바로 위에 제 2 층(22)으로서 Pd의 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동일 패턴으로 성막하는 경우, 먼저 성막된 타겟(8c)에 대한 기판(10)의 위치와, 이번의 타겟(8d)에 대한 기판(10)의 위치를 일치시킴으로써, 제 1 층(21)에 겹쳐서 제 2 층(22)을 성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폐체(9b)만을 열고, 기판(10)을 타겟(8b)인 Mg-Ti의 정면에 배치한다. 마스크(16)는 관통구멍유닛(17b)이 개재(介在)되도록 제 2 모터(20)를 구동시켜 조정된다. 그리고 성막을 수행하면, 기판(10)상에 제 3 층(23)으로서 Mg-Ti의 층이 형성된다. 도 4의 예에서는, 관통구멍유닛(17c)은 관통구멍유닛(17c)과는 다른 패턴이며, 기판(10)에 대하여 성막하는 위치도 약간 비껴져(shifted) 있다. 그 결과, 제 3 층(23)은 기판(10)에 직접 성막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폐체(9d)만을 열고, 기판(10)을 다시 타겟(8d)인 Pd의 정면에 배치한다. 그리고 마스크(16)도 이동시켜, 이 예에서는 관통구멍유닛(17b)과 동일 패턴의 관통구멍유닛(17e)을 개재시킨다. 이 때, 먼저 성막된 타겟(8b)에 대한 기판(10)의 위치와, 이번의 타겟(8d)에 대한 기판(10)의 위치는 일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성막함으로써 제 3 층(23)의 바로 위에 겹쳐서 제 4 층(24)으로서 Pd의 층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폐체(9a)만을 열고, 기판(10)을 타겟(8a)인 Wo3의 정면에 배치한다. 마스크(16)는 관통구멍유닛(17a)이 개재되도록 제 2 모터(20)를 구동시켜 조정된다. 도 6의 예에서는, 관통구멍유닛(17a)은 관통구멍유닛(17a 또는 17b)과는 다른 패턴이며, 기판(10)에 대하여 성막하는 위치도 타겟(8b 또는 8c)의 위치와는 약간 비껴져 있다. 이 상태에서 성막을 수행하면, 기판(10)에 직접 제 5 층(25)으로서 Wo3의 층이 형성된다. 또한 이 후, 제 5 층(25)의 바로 위에 Pd의 층을 설치하려는 경우에는 관통구멍유닛(17f)을 이용하여 Pd를 성막하면 된다.
이에 의해, 타겟(8)의 변경마다 기판(10)을 스퍼터링 장치(1)로부터 취출하지 않고 마스크(16)의 위치도 변경하면서 스퍼터링 조작(操作)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타겟(8)을 성막하는 경우이자, 마스크의 패턴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제 1 이동유닛(14)을 이용하여 기판(10)을 해당하는 타겟(8)의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필요에 따라 제 2 이동유닛(19)을 이용하여 마스크(16)를 이동시켜 원하는 관통구멍(17)을 대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치(1) 내에서 다른 패턴으로의 복수의 합금 재료의 성막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산화되기 쉬운 타겟을 이용한 경우에 성막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기판(10)의 소정 영역별로 다른 합금 재료를 성막하는 경우에도 기판(10)을 장치(1) 밖으로 취출하여 새로운 마스크(16)를 배치하는 동작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도시한 것처럼, Pd와 같이 복수의 관통구멍유닛(17d~17f)을 사용하는 것이 미리 알려져 있는 경우에는, 이 타겟(8d)에 대응하는 관통구멍유닛(17d~17f)으로서 복수 준비해 둠으로써, 관통구멍유닛별로 하나의 타겟(8)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공간적, 비용적으로도 유리해진다.
또한, 수소센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Mg-Ni의 합금 등이 수소를 흡장하기 위한 합금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 때, 촉매층이 되는 Pd층을 추가로 개재시킴으로써, 수소 흡장 특성이 향상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이 예를 들어 Pd의 타겟(8d)에 대해서는 Mg-Ni의 타겟(8c)과 동일한 패턴으로 되어 있는 관통구멍유닛(17c, 17d)을 이용함으로써, 제 2 층(22)(촉매층)으로 제 1 층(21)(수소 흡장층)을 덮을 수 있어, 상기의 장치(1)는 특히 수소센서를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반도체의 경우의 스퍼터링은 인접하는 패턴이 겹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지만, 수소센서의 경우는 인접하는 합금층들이 겹쳐져도 수소가 흡장된 때의 조광 정도를 눈으로 볼 수 있으면 되므로, 가장자리 부분이 겹쳐져도 특히 영향은 없다. 따라서 관통구멍유닛(17)과 기판(10)의 거리나, 타겟(8)과 마스크(16)의 거리 등, 성막된 인접하는 층이 겹치지 않도록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간략화된 장치로 충분하다. 이 점에서도 상기 장치(1)는 수소센서를 제조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태양>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진공 흡인되어 밀폐된 진공챔버와, 상기 진공챔버 내에 고정되며, 성막될 재료로 이루어진 복수의 타겟과, 상기 복수의 타겟 중, 성막하는 타겟만을 선택적으로 상기 진공챔버 내에 노출시키기 위한 차폐체와, 상기 타겟으로부터 튀어나온 미립자가 성막되는 기판을 유지하는 기판유지유닛과, 상기 기판유지유닛을 고정 유지하여 상기 진공챔버 내에서 이동시키는 제 1 이동유닛과, 상기 타겟과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된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를 상기 진공챔버 내에서 이동시키는 제 2 이동유닛과, 상기 마스크를 관통하는 패턴화된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관통구멍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퍼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이동유닛은 한 쌍의 제 1 롤러 사이에 가설된 벨트를 가지고, 상기 마스크는 한 쌍의 제 2 롤러 사이에 가설된 장척의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는 각각 제 1 모터 및 제 2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유닛은 상기 타겟마다 대응하여 각각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타겟에 대하여 복수 형성되어 있다.
1: 스퍼터링 장치 2: 진공챔버
3: 타겟부 4: 스퍼터부
5: 기판부 6: 칸막이벽
7: 타겟 8: 타겟
9: 차폐체 10: 기판
11: 기판유지유닛 12: 제 1 롤러
13: 벨트 14: 제 1 이동유닛
15: 제 1 모터 16: 마스크
17: 관통구멍 18: 제 2 롤러
19: 제 2 이동유닛 20: 제 2 모터
21: 제 1 층 22: 제 2 층
23: 제 3 층 24: 제 4 층
25: 제 5 층

Claims (2)

  1. 진공 흡인되어 밀폐된 진공챔버와,
    상기 진공챔버 내에 고정되며, 성막(成膜)될 재료로 이루어진 복수의 타겟과,
    상기 복수의 타겟 중, 성막하는 타겟만을 선택적으로 상기 진공챔버 내에 노출시키기 위한 차폐체와,
    상기 타겟으로부터 튀어나온 미립자가 성막되는 기판을 유지하는 기판유지유닛과,
    상기 기판유지유닛을 고정 유지하여 상기 진공챔버 내에서 이동시키는 제 1 이동유닛과,
    상기 타겟과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된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를 상기 진공챔버 내에서 이동시키는 제 2 이동유닛과,
    상기 마스크를 관통하는 패턴화된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관통구멍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퍼터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유닛은 한 쌍의 제 1 롤러 사이에 가설된 벨트를 가지고,
    상기 마스크는 한 쌍의 제 2 롤러 사이에 가설된 장척(長尺)의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는 각각 제 1 모터 및 제 2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유닛은 상기 타겟마다 대응하여 각각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타겟에 대하여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퍼터링 장치.
KR1020157027537A 2013-03-28 2014-03-07 스퍼터링 장치 KR201501360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68067A JP6077906B2 (ja) 2013-03-28 2013-03-28 スパッタリング装置
JPJP-P-2013-068067 2013-03-28
PCT/JP2014/055991 WO2014156567A1 (ja) 2013-03-28 2014-03-07 スパッタリング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080A true KR20150136080A (ko) 2015-12-04

Family

ID=5162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537A KR20150136080A (ko) 2013-03-28 2014-03-07 스퍼터링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047034A1 (ko)
EP (1) EP2980269B1 (ko)
JP (1) JP6077906B2 (ko)
KR (1) KR20150136080A (ko)
CN (1) CN105074048A (ko)
CA (1) CA2908205C (ko)
WO (1) WO20141565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2590B (zh) * 2015-03-20 2017-05-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蒸镀掩膜板
JP6656720B2 (ja) * 2016-01-07 2020-03-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電極の作製方法、および電極を備える表示装置の作製方法
CN105549321B (zh) * 2016-02-18 2020-01-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掩模板罩及掩模板
CN110923633B (zh) * 2019-12-18 2022-11-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掩膜组件、蒸镀装置及蒸镀方法
DE102021113282A1 (de) 2021-05-21 2022-11-24 Ruhr-Universität Bochum, Körperschaft des öffentlichen Rechts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r Materialschicht auf einer Substratoberfläche aus mehreren Materialquelle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8528A (en) * 1979-10-09 1981-07-14 Coulter Systems Corporation Rectilinear sputtering apparatus and method
JPS61281865A (ja) * 1986-06-09 1986-12-12 Toshiba Corp 薄膜形成装置
US5178682A (en) * 1988-06-21 1993-01-1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ethod for forming a thin layer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and apparatus therefor
JPH05263228A (ja) 1992-03-19 1993-10-12 Toshiba Corp スパッタリング装置
US6045671A (en) * 1994-10-18 2000-04-04 Symyx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he combinatorial synthesis of novel materials
JP3833284B2 (ja) * 1995-05-23 2006-10-11 株式会社リコー 薄膜形成装置
JPH09213634A (ja) * 1996-02-02 1997-08-15 Sony Corp 薄膜成膜方法、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薄膜成膜装置
US6911129B1 (en) * 2000-05-08 2005-06-28 Intematix Corporation Combinatorial synthesis of material chips
JP2004508927A (ja) * 2000-09-22 2004-03-25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コンビナトリアルコーティング装置及び方法
BR0114195A (pt) * 2000-09-29 2003-07-22 Gen Electric Sistemas combinatórios e processos para revestimento com materiais orgânicos
JP4494047B2 (ja) * 2004-03-12 2010-06-30 キヤノンアネルバ株式会社 多元スパッタ成膜装置の二重シャッタ制御方法
US20080011599A1 (en) * 2006-07-12 2008-01-17 Brabender Dennis M Sputtering apparatus including novel target mounting and/or control
JP2009287069A (ja) * 2008-05-28 2009-12-10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多元化合物作製装置
JP4537479B2 (ja) * 2008-11-28 2010-09-01 キヤノンアネルバ株式会社 スパッタリング装置
JP5563377B2 (ja) * 2009-12-22 2014-07-30 キヤノンアネルバ株式会社 スパッタリング装置
JP5789357B2 (ja) 2010-04-14 2015-10-07 株式会社アツミテック 水素センサ
WO2012093627A1 (ja) * 2011-01-07 2012-07-12 シャープ株式会社 蒸着装置および蒸着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08205C (en) 2021-02-09
JP2014189866A (ja) 2014-10-06
US20160047034A1 (en) 2016-02-18
CA2908205A1 (en) 2014-10-02
EP2980269B1 (en) 2018-10-24
EP2980269A4 (en) 2016-11-16
CN105074048A (zh) 2015-11-18
JP6077906B2 (ja) 2017-02-08
EP2980269A1 (en) 2016-02-03
WO2014156567A1 (ja) 2014-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6080A (ko) 스퍼터링 장치
KR100994114B1 (ko) 박막 형성 방법
KR102048864B1 (ko) 양면 진공 성막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적층체
CN107740065A (zh) 一种掩模版及其成膜方法、成膜设备
TWI541373B (zh) 成膜方法及藉由該方法所得之層積體
EP2518762B1 (en) Vacuum film formation method
EP2518761A1 (en) Vacuum film formation method and laminate obtained by the method
KR100992304B1 (ko) 롤투롤타입의 박막패턴 형성장치
EP2607516B1 (en) Method for forming a gas blocking layer
US20090084671A1 (en) Sputtering apparatus
WO2008004594A1 (fr) Plateau de substrat et appareil de formation de film
KR100992229B1 (ko) 롤투롤타입의 박막형성장치
KR20070007251A (ko) 표면코팅을 위한 모듈형 장치
KR102271227B1 (ko) 가요성 층 스택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가요성 층 스택
WO2008146844A1 (ja) 成膜装置
KR100994122B1 (ko) 박막 형성 방법
EP2990201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ubstratverbundes, der zumindest ein erstes bandförmiges substrat und ein zweites bandförmiges substrat umfasst
EP1560253B1 (de) Vorrichtung zum Beschichten eines Substrats mit einer Absorberanordnung
JP7229016B2 (ja) 成膜装置、成膜方法、およ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0920901B1 (ko) 다층박막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층박막 제조방법
JP5388980B2 (ja) 蒸着フラックス測定装置
KR20220154021A (ko) 자세 변화 장치 및 성막 장치
KR20160028582A (ko) 박막 형성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박막 형성 방법
JPH04341564A (ja) 真空蒸着装置
JP2001239143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