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5964A - 차폐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폐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5964A
KR20150135964A KR1020140063234A KR20140063234A KR20150135964A KR 20150135964 A KR20150135964 A KR 20150135964A KR 1020140063234 A KR1020140063234 A KR 1020140063234A KR 20140063234 A KR20140063234 A KR 20140063234A KR 20150135964 A KR20150135964 A KR 20150135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hield
locking
female
cel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3934B1 (ko
Inventor
김일
최희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3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934B1/ko
Priority to US14/526,292 priority patent/US9178308B1/en
Publication of KR20150135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485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77Pivoting levers actuating linearly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폐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커넥터 결합시 위치보장기구의 조작성이 개선될 수 있고, 차폐용 통전부품 간의 접점 안정성 및 신뢰성 확보, 차폐 부품의 단순화 및 조립 작업성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차폐형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쉴드 와이어에 접속된 암 단자, 및 수 커넥터와의 록을 위한 록킹돌기를 구비한 암 커넥터와; 암 커넥터와의 결합시 암 단자에 접속되는 수 단자, 및 암 커넥터와의 록을 위해 록킹돌기가 걸리도록 형성된 결합돌기를 구비한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진 상태에서 록킹돌기를 지지하여 결합돌기에 대한 록킹돌기의 걸림 해제를 방지하는 지지레버를 구비한 위치보장기구를 포함하고, 암 커넥터에는 수 커넥터와의 결합 전에 위치보장기구의 전진이 불가하도록 지지레버가 걸려 있게 되는 걸림턱부가 형성되어 있고, 수 커넥터에는 암 커넥터와의 결합시 지지레버의 누름돌기를 눌러주어 걸림턱부에 대한 지지레버의 걸림을 해제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형 커넥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차폐형 커넥터{Shield connector}
본 발명은 차폐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 결합시 위치보장기구의 조작성이 개선될 수 있고, 차폐용 통전부품 간의 접점 안정성 및 신뢰성 확보, 차폐 부품의 단순화 및 조립 작업성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차폐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하나의 회로와 다른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접속용 부품으로서, 차량에서도 케이블이나 와이어를 접속하기 위해 다양한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차량에 장착되는 전장품의 개수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이에 따라 요구되는 케이블이나 와이어의 개수 또한 증가하여 이들을 접속하기 위한 많은 수의 커넥터들이 사용되고 있다.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상호간에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는 암, 수의 커넥터로 구성되는데, 각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는 단자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한 개의 커넥터에 다수의 단자들이 수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수 커넥터(male connector)의 단자는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의 단자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고, 체결시에 수 커넥터의 단자가 암 커넥터의 단자에 삽입되어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한편, 커넥터는 전기적인 접속을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접속시 확실한 전기적, 기계적 결합을 필수적인 사항으로 요구한다.
따라서, 커넥터 간의 확실한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여러 수단이 사용되고 있는데, 차량용 전기배선 시스템과 같이 커넥터의 결합 보장 여부가 안전사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 더욱 확실한 커넥터의 결합 보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와이어 하네스 등에 의해 커넥터의 결합이 해제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 위치보장기구(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PA)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위치보장기구는 커넥터 간의 록이 해제되는 것, 즉 커넥터에서 록킹레버의 록(lock)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록킹레버는 양측의 커넥터를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록킹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록킹레버가 일측의 커넥터에 형성되어(커넥터의 하우징에 형성됨), 양측 커넥터 간 체결시에 상기 록킹레버가 상대 커넥터의 결합부와 록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때, 위치보장기구는 양측 커넥터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록킹레버를 지지하며, 록킹레버의 록 해제(unlock)는 위치보장기구의 록을 우선적으로 해제한 후에야만 가능하다.
이러한 위치보장기구에 따르면, 커넥터 간의 완전한 결합을 달성할 수 있고, 의도하지 않은 록킹레버의 록 해제로 인한 커넥터 간의 결합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보장기구를 갖는 커넥터에 대해서는 한국 등록특허 제10-0818629호(2008.03.26)에 개시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커넥터의 위치보장기구는 별개물로 만들어져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된다.
즉, 위치보장기구를 일측 커넥터(본 발명에서는 암 커넥터)의 하우징에 결합하는데, 양측 커넥터의 결합 후 상대 커넥터의 결합부에 록킹된 록킹레버의 하측으로 위치보장기구를 밀어 넣어주게 되면, 록킹레버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두 커넥터가 분리되지 않도록 위치보장기구가 록킹레버를 지지하여 록킹레버의 처짐 및 해제를 방지한다.
그러나, 양측의 커넥터가 결합되기 전에는 위치보장기구가 커넥터의 하우징에서 전후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커넥터를 결합하기 전에 위치보장기구를 반드시 뒤로 빼내준 뒤 커넥터 결합 후 위치보장기구를 다시 밀어넣는 조작을 해야 한다.
만약,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 전에 위치보장기구가 미리 전방으로 록 위치까지 넣어져 있게 되면, 위치보장기구 자체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해당 커넥터에 록 될 수 있으므로 다시 빼내기가 쉽지 않다.
또한, 위치보장기구를 뒤로 빼내지 않고 전방으로 밀어 넣은 상태에서 양측의 커넥터를 결합하고자 하면, 록킹레버가 위치보장기구에 의해 이미 록 위치에 있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의 결합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결합시의 조작을 줄이고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한편, 전기 신호에 있어서 노이즈 감소를 위해 쉴드(shield, 차폐) 와이어 및 차폐형 커넥터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는 양측 커넥터의 결합시에 커넥터의 내부 부품을 통해 와이어 쉴드부로부터 차체나 전장품의 접지단까지 이어지는 차폐 및 접지 경로를 가진다.
그러나, 전기 차폐 및 접지 경로 형성을 위한 통전부품이 복잡하고 많을 뿐만 아니라 가격 경쟁력이나 통전부품 간 접점 안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개별 통전부품 간 접점 형성 및 유지를 위해 볼팅 등의 작업을 필요로 하므로 조립 작업성이 좋지 못한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커넥터 결합시 위치보장기구의 조작성이 개선될 수 있고, 차폐용 통전부품 간의 접점 안정성 및 신뢰성 확보, 차폐 부품의 단순화 및 조립 작업성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차폐형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쉴드 와이어에 접속된 암 단자, 및 수 커넥터와의 록을 위한 록킹돌기를 구비한 암 커넥터와; 암 커넥터와의 결합시 암 단자에 접속되는 수 단자, 및 암 커넥터와의 록을 위해 록킹돌기가 걸리도록 형성된 결합돌기를 구비한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진 상태에서 록킹돌기를 지지하여 결합돌기에 대한 록킹돌기의 걸림 해제를 방지하는 지지레버를 구비한 위치보장기구를 포함하고, 암 커넥터에는 수 커넥터와의 결합 전에 위치보장기구의 전진이 불가하도록 지지레버가 걸려 있게 되는 걸림턱부가 형성되어 있고, 수 커넥터에는 암 커넥터와의 결합시 지지레버의 누름돌기를 눌러주어 걸림턱부에 대한 지지레버의 걸림을 해제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형 커넥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는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결합시 암 커넥터의 록킹레버와 위치보장기구의 지지레버가 삽입되는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공간에 지지레버가 삽입될 때 내측면이 지지레버의 누름돌기를 눌러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 커넥터에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보장기구에 걸림레버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레버에는 위치보장기구의 전진 상태에서 고정돌기에 걸리어 있게 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 커넥터에 도전성 금속 판재로 제작된 제1쉴드셀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1쉴드셀 부재에는 절곡 형성되어 쉴드 와이어의 쉴드부에 접속된 통전링을 가압 및 압착함으로써 통전링에 탄성적으로 접속되는 탄성 접점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 커넥터에 복수 개의 쉴드 와이어가 결합되고, 상기 제1쉴드셀 부재가 사각 관 형상을 가지면서 각 쉴드 와이어의 통전링에 접속되는 복수 개의 탄성 접점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 커넥터에 도전성 금속 판재로 제작된 제2쉴드셀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2쉴드셀 부재는 제1쉴드셀 부재와의 결합시 제1쉴드셀 부재를 가압 및 압착함으로써 제1쉴드셀 부재에 탄성적으로 접속되는 제1탄성 접점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쉴드셀 부재는 절곡 형성되어 수 커넥터가 결합된 전장품의 접지단을 가압 및 압착함으로써 접지단에 탄성적으로 접속되는 제2탄성 접점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쉴드셀 부재는 절곡 형성되어 수 커넥터의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 지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차폐형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 결합시 위치보장기구의 조작성이 개선될 수 있고, 차폐용 통전부품 간의 접점 안정성 및 신뢰성 확보, 차폐 부품의 단순화 및 조립 작업성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형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형 커넥터에서 각각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형 커넥터에서 암 커넥터에 결합되는 와이어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쉴드 와이어의 단부를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형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형 커넥터에서 암 커넥터에 설치되는 제1쉴드셀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형 커넥터에서 수 커넥터에 설치되는 제2쉴드셀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암, 수 커넥터의 결합 과정과 위치보장기구의 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와 도 1b는 실시예에 따른 차폐형 커넥터(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암 커넥터(110)와 수 커넥터(120)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암 커넥터(110)에 결합되는 와이어 어셈블리(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에는 실시예의 커넥터(100)를 전장품(20)에 결합된 상태로 도시하였다.
예시된 실시예의 차폐형 커넥터(100)는 전동식 조향장치(Motor Driven Power Steering, MDPS)에 적용 가능한 커넥터로, 이는 하나의 적용예일 뿐 본 발명의 적용범위가 전동식 조향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커넥터(100)는 쉴드 와이어(11)를 MDPS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의 전장품(20)에 접속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쉴드 와이어(11)로부터 커넥터(100) 내부 통전부품을 통하여 전장품(20)의 접지단이 되는 프레임(24)까지 이어지는 차폐 및 접지 경로(도 6에서 점선으로 도시함)를 갖는다.
먼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차폐형 커넥터(100)는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110)와 수 커넥터(male connector)(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암 커넥터(110)에 와이어 어셈블리(10)가 결합된다.
와이어 어셈블리(10)는 쉴드 와이어(11)의 단부에 통전링(16)과 압착링(17), 암 단자(112)를 조립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쉴드 와이어(11)의 단부와 통전링(16), 압착링(17), 암 단자(112)가 암 커넥터(110)의 하우징(111) 내부에 위치된다.
암, 수 커넥터(110,120)의 결합시에 암 단자(112)에는 수 커넥터(120)의 수 단자(122)가 삽입되어 접속된다.
쉴드 와이어(11)는 도체부(12), 도체부(12)를 피복하고 있는 내피부(13), 내피부(13)를 둘러싸고 있는 쉴드부(14), 그리고 쉴드부(14)를 피복하고 있는 외피부(15)를 포함하는데, 도 5는 쉴드 와이어(11)의 단부를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쉴드 와이어(11)의 단부에서 쉴드부(14)가 노출되도록 외피부(15)를 일정부분 제거한 뒤, 쉴드 와이어(11)의 외피부(15) 외주상에 통전링(16)을 조립하고, 노출되어 있던 쉴드부(14)를 바깥쪽으로 뒤집어 통전링(16) 일측의 외주상에 씌운다.
이어 쉴드부(14)를 개재한 상태로 그 바깥쪽으로 압착링(17)을 씌워 고정하며, 이에 통전링(16)과 압착링(17) 사이에 쉴드부(14)가 개재된 상태에서 압착링(17)에 의해 통전링(16)과 쉴드부(14)가 압착 고정된다.
한편, 도 1a에서 도면부호 21은 전장품(20)의 상부 커버(21), 도면부호 22는 하부 커버를 각각 나타내며, 상부 커버(21)와 하부 커버(22)의 내측으로 PCB(도 7에서 도면부호 23임)가 위치되고, 이 PCB(23)에는 수 단자(122)가 접속된다.
상기 수 단자(122)는 수 커넥터(120)의 하우징(121)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암, 수 커넥터(110,120)의 결합시 암 커넥터(110)의 암 단자(112) 내측으로 삽입되어 접속되는데, 암 단자(112)와 수 단자(122)의 결합에 의해 쉴드 와이어(11)의 도체부(12)와 PCB(23)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면부호 30은 복수 개의 쉴 와이어를 지지하는 리어 홀더로서, 이 리어 홀더(130)는 암 커넥터(110)의 후측부에 결합되고, 암 커넥터(110)의 하우징(111) 내부에 결합된 쉴드 와이어(11)를 지지하면서 쉴드 와이어(11)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통전링(16)은 와이어(11)의 쉴드부(14)에 연결된 상태에서 차폐 및 접지 경로를 형성하는 부품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암 커넥터(110)의 내부에 조립되는 제1쉴드셀 부재(113)의 탄성 접점부(1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1쉴드셀 부재(113)는 후술하는 수 커넥터(120)의 제2쉴드셀 부재(1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2쉴드셀 부재(123)는 탄성 접점부(114)를 통해 접지단, 즉 전장품(20)에 구비되어 있는 접지용 프레임(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쉴드 와이어(11)의 쉴드부(14), 통전링(16), 제1쉴드셀 부재(113), 제2쉴드셀 부재(123), 접지용 프레임(24)으로 이어지는 차폐 및 접지 경로가 형성되며(도 6에서 점선 참조), 여기서 접지용 프레임(24)은 전장품(20)의 커버, 예컨대 하부 커버(22)에 구비되어 차체와의 접속을 통해 외부 접지된다.
한편, 도 6은 각각 도 1b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다른 위치에서 취한 단면도로서, 도 6은 차폐 및 접지 경로를 보여주고 있으며, 와이어의 쉴드부(14), 통전링(16), 제1쉴드셀 부재(113), 제2쉴드셀 부재(123)를 통해 이어지는 차폐 및 접지 경로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쉴드 와이어(11) 및 커넥터(100)의 차폐 구조에 의해 와이어의 쉴드부(14)로부터 접지용 프레임(24)까지 이어지는 차폐 및 접지 경로가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MDPS ECU와 같은 전장품(20)에 신호 노이즈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의 쉴드부(14)와 제1쉴드셀 부재(113) 간의 접점, 제1쉴드셀 부재(113)와 제2쉴드셀 부재(123) 간의 접점, 제2쉴드셀 부재(123)와 접지용 프레임(24) 간의 접점에 탄성의 스프링 구조가 적용되는바, 이를 통해 내구성 강화 및 전기적 특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암 커넥터(110)의 하우징(111)에 결합되는 사각 관 형상의 제1쉴드셀 부재(113)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쉴드셀 부재(113)는 후술하는 제2쉴드셀 부재(123)와 마찬가지로 도전성 금속 판재를 가공하여 제작되고, 제1쉴드셀 부재(113)의 일단부 끝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구조의 탄성 접점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 접점부(114)는 암 커넥터(110)의 하우징(111) 내 각 와이어 어셈블리(10)의 통전링(16) 외주상에 접속되는 부분으로,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에 의해 통전링(16) 외주면을 탄성적으로 가압 및 압착하게 된다.
이때, 암 커넥터(110)에 복수 개의 쉴드 와이어(11)(복수 개의 와이어 어셈블리)가 결합되므로 각 쉴드 와이어(11)의 통전링(16)과 탄성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탄성 접점부(114)가 제1쉴드셀 부재(113)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또한, 각 쉴드 와이어(11)에 대해 통전링(16)의 양측에서 각각 탄성 접점부(114)가 접속될 수 있도록 제1쉴드셀 부재(113)의 마주보는 상, 하 양측에 탄성 접점부(11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 하측의 두 탄성 접점부(114)가 하나의 통전링(16)을 가압하여 압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 접점부(114)가 통전링(16)을 탄성적으로 가압 및 압착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쉴드부(14)에 접속된 통전링(16)과 제1쉴드셀 부재(113) 간의 접압력이 증대될 수 있고, 접점 간 접압력이 증대됨에 따라 접점 안정성 및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구조의 적용으로 인해 와이어 어셈블리(10)의 조립시 가동량이 증대될 수 있어 조립을 위한 삽입력을 줄일 수 있고, 와이어 어셈블리(10)의 조립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제1쉴드셀 부재(113)와 탄성 접점부(114)의 일체형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별물의 탄성부재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고(프레스 가공 제작), 부품의 간소화로 가격 경쟁력이 확보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9는 수 커넥터(120)에 결합되는 제2쉴드셀 부재(123)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쉴드셀 부재(123) 역시 도전성 금속 판재를 가공하여 제작되고, 암 커넥터(110)와의 결합시 제2쉴드셀 부재(123)가 제1쉴드쉘 부재(113)의 외측으로 결합된다.
즉, 제1쉴드셀 부재(113)가 제2쉴드셀 부재(12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두 쉴드셀 부재가 내, 외측에서 일정부분 서로 중첩되면서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바, 커넥터(100) 간 결합 후 제2쉴드셀 부재(123)의 일부가 제1쉴드셀 부재(113)의 일부를 중첩상태로 둘러싸는 형태가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쉴드셀 부재(123)의 상부 일측에는 수 커넥터(120)의 하우징(121)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틴성 지지부(124)가 형성되는데, 상기 틴성 지지부(124)는 제2쉴드셀 부재(123)의 일단부 끝에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틴성 지지부(124)는 수 커넥터(120)의 하우징(121) 내측면을 탄성적으로 가압 및 압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탄성 가압 및 압착을 위해 제2쉴드셀 부재(123)의 바깥쪽으로 대략 'ㄷ' 자 형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된다.
이와 같이 틴성 지지부(124)가 수 커넥터(120)의 내측면에 결합될 경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 커넥터(120)에서 제2쉴드셀 부재(123)의 위치를 고정 및 지지하게 되며, 이러한 틴성 지지부(124)는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쉴드셀 부재(123)의 내측면에는 제1쉴드셀 부재(113)의 외측면을 탄성적으로 가압 및 압착하는 제1탄성 접점부(125a)를 가지며, 제2탄성 접점부(125b)는 제1쉴드셀 부재(113)와의 탄성 접점을 이루는 부분이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탄성 접점부(125a)는 제2쉴드셀 부재(123)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의 제1탄성 접점부(125a)가 제1쉴드셀 부재(113)의 외측면을 동시에 가압 및 압착하면서 접점을 이루게 된다.
이때, 각각의 제1탄성 접점부(125a)는 제2쉴드셀 부재(123)의 상부와 하부를 'ㄷ'자 형태로 타공하여 세 변의 절개부위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때 세 변의 절개부위에서 제2쉴드셀 부재(123)와 분리된 형상을 가지므로, 제1탄성 접점부(125a)는 나머지 한 변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한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이 제2쉴드셀 부재(123)의 제1탄성 접점부(125a)가 제1쉴드셀 부재(113)의 외측면을 탄성적으로 가압 및 압착하는 방식으로 두 쉴드셀 부재(113,123) 간의 접속이 이루어지므로, 스프링 구조 적용에 의해 접점에서의 접압력이 보다 증대될 수 있고, 접점 안정성 및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통전부품을 접속함에 있어서 볼팅 등의 작업 없이 간단히 조립하여 양측을 접촉시키기만 하면 조립이 완료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접점의 쉴드셀 부재 일체 형성 구조가 적용됨에 따라 제작의 용이성 및 가격 경쟁력의 확보가 가능해진다.
아울러, 제2쉴드셀 부재(123)의 하부 일측에는 절곡된 판 스프링 형상의 제2탄성 접점부(125b)가 형성되며, 상기 제2탄성 접점부(125b)는 수 커넥터(120)에서 전장부품의 하부 커버(22)에 마련된 접지용 프레임(24)에 탄성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이 된다.
상기 제2탄성 접점부(125b)는 제2쉴드셀 부재(123)(수 커넥터)와 전장품(20)의 접지용 프레임(24) 간 접점을 이루는 부분으로, 이 역시 전장품(20)의 접지단으로 제공되는 접지용 프레임(24)을 탄성적으로 가압 및 압착함으로써 접속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접압력 증대, 접점의 안정성 및 신뢰성 확보에 기여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암 커넥터(110)에는 록킹레버(115)가 구비되고, 수 커넥터(120)에는 록킹레버(115)의 록킹돌기(116)가 걸리어 암, 수 커넥터(110,120) 간의 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합돌기(125)가 형성된다.
이에 암 커넥터(110)에 수 커넥터(120)가 결합되면, 록킹레버(115)의 록킹돌기(116)가 상측의 결합돌기(125)에 걸리면서 록이 이루어지고, 이어 위치보장기구(140)를 밀어넣어주게 되면, 즉 위치보장기구(140)를 눌러 전진시키면, 위치보장기구(140)의 지지레버(141)가 록킹레버(115) 하측으로 이동되어 록킹레버(115)를 하측에서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위치보장기구(140)의 지지레버(141)가 암 커넥터(110)의 록킹레버(115)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록킹돌기(116)가 수 커넥터(120)의 결합돌기(125)에 걸리어 빠지지 않도록(록이 해제되지 않도록) 록킹레버(115)를 하측에서 지지하게 되므로, 결국 암 커넥터(110)와 수 커넥터(120) 간 록 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치보장기구(140)는 전진 후 지지레버(141)가 암 커넥터(110)의 록킹레버(115)를 하측에서 지지하고 있을 때 암 커넥터(110)와의 걸림작용을 하는 걸림레버(142)를 가지며, 걸림레버(142)에는 걸림돌기(143)가, 그리고 암 커넥터(110)에는 록 위치에 있는 위치보장기구(140)의 후진이 방지되도록 걸림레버(142)의 걸림돌기(143)가 걸릴 수 있는 고정돌기(117)가 형성된다.
이에 암, 수 커넥터(110,120)가 상호 결합된 후, 위치보장기구(140)를 밀어서 전진시켜 주면, 록 위치에 도달한 위치보장기구(140)의 지지레버(141)가 암 커넥터(110)의 록킹레버(115)에 접촉하여 암 커넥터(110)의 록킹레버(115)를 지지하게 되고, 이때 위치보장기구(140)의 걸림레버(142)에 형성된 걸림돌기(143)가 암 커넥터(110)의 고정돌기(117)에 걸린 상태로 위치보장기구(140)의 후진이 방지되는 위치보장기구(CPA)(140) 록 상태가 된다.
한편, 도 10 ~ 도 13은 실시예의 차폐형 커넥터(100)에 구비되는 위치보장기구(140)의 구성 및 그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암 커넥터(110)의 상부에 위치보장기구(140)가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수 커넥터(120)의 결합 전에 위치보장기구(140)의 전진이 불가하도록 지지레버(141)의 끝단이 걸려 있게 되는 걸림턱부(118)가 암 커넥터(110)에 구비된다.
상기 걸림턱부(118)는 수 커넥터(120)의 결합 전에 위치보장기구(140)의 전진을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암 커넥터(110)에서 위치보장기구(140)의 지지레버(141) 끝단 대응부위에 형성된다.
또한, 지지레버(141)의 측단면에는 누름돌기(144)가 돌출 형성되고, 수 커넥터(120)에는 암 커넥터(110)의 록킹레버(115)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면서 내측면이 지지레버(141)의 누름돌기(144)를 눌러주어 지지레버(141)를 중앙쪽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삽입부(126)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부(126)는 수 커넥터(120) 상부에 암 커넥터(110)의 록킹레버(115)가 넣어지는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형성한 것으로, 암 커넥터(110)가 수 커넥터(120)에 결합될 때 암 커넥터(110)의 록킹레버(115)가 상기 삽입부(126) 내측으로 삽입된다.
또한, 이러한 삽입부(126) 내측면에 록킹레버(115)의 록킹돌기(116)가 걸릴 수 있는 걸림돌기(143)가 형성된다.
따라서, 암 커넥터(110)가 수 커넥터(120)에 결합될 때, 위치보장기구(140)에서 좌우 양측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지지레버(141) 또한 삽입부(126) 내측으로 삽입되고, 이때 삽입부(126) 내측면이 양측 지지레버(141)의 누름돌기(144)를 눌러주게 된다.
이에 위치보장기구(140)의 좌우 양측 두 지지레버(141)가 중앙쪽으로 휘어지면서 지지레버(141) 끝단이 암 커넥터(110)의 걸림턱부(118)로부터 벗어남과 동시에 걸림이 해제되고, 이에 스토퍼 역할을 하는 걸림턱부(118)에 의한 록이 해제되면서 위치보장기구(140)는 전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암, 수 커넥터(110,120)의 결합으로 걸림턱부(118)에 의한 록이 해제되었을 때, 즉 걸림턱부(118)에 의한 위치보장기구(140)의 전진 제한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 위치보장기구(140)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면, 양측의 두 지지레버(141)가 중앙쪽으로 모이는 상태로 위치보장기구(140)가 전진하게 된다.
결국, 위치보장기구(140)가 록 위치까지 전진하였을 때, 지지레버(141)가 암 커넥터(110)의 록킹레버(115)와 접촉하면서 록킹레버(115)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상태가 되고, 이때 걸림레버(142)에 형성된 걸림돌기(143)가 암 커넥터(110)의 고정돌기(117)에 걸려 있게 되어 위치보장기구(140)의 록 상태가 된다.
도 10 ~ 도 13은 암, 수 커넥터(110,120)의 결합 과정과 위치보장기구(140)의 록 과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10은 암, 수 커넥터(110,120)의 결합 전 상태를, 도 11은 위치보장기구(140)의 스토퍼 록이 해제된 상태를, 도 12는 암, 수 커넥터(110,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위치보장기구(140)의 조작 전 상태를, 도 13은 위치보장기구(140)를 조작하여 위치보장기구(140)의 록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도 10의 상태, 즉 암, 수 커넥터(110,120)가 서로 분리되어 있을 경우에는 위치보장기구(140)의 지지레버(141) 끝단이 암 커넥터(110)의 걸림턱부(118)에 걸려 있는 상태, 즉 걸림턱부(118)에 의해 막혀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걸림턱부(118)가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되면서 걸림작용에 의해 위치보장기구(140)가 밀어넣어지지 못하는 고정 상태, 즉 위치보장기구(140)의 전진이 불가한 스토퍼 록 상태가 된다.
이어 암 커넥터(110)가 수 커넥터(120)에 결합될 때 수 커넥터(120)의 삽입부(126) 내측면이 양측 지지레버(141)의 누름돌기(144)를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즉 중앙쪽으로 눌러주게 된다.
이에 좌우 양측 지지레버(141)가 중앙쪽(안쪽)으로 모아지면서 각 지지레버(141) 끝단이 걸림턱부(118)로부터 중앙쪽으로 벗어나게 되어 스토퍼 록이 해제되고, 이에 위치보장기구(140)는 전진 가능한 상태가 된다(도 11 참조).
이어 암 커넥터(110)를 수 커넥터(120)에 완전히 끼워 결합하면, 암 커넥터(110)와 수 커넥터(120) 간의 록이 이루어지는데, 록킹레버(115)의 록킹돌기(116)가 수 커넥터(120)의 결합돌기(125)에 걸리어 있게 되면서 수 커넥터(120)로부터 암 커넥터(110)가 빠지지 않는 록 상태가 된다(도 12 참조).
이어 사용자가 위치보장기구(140)를 눌러 밀어넣어주게 되면(위치보장기구의 전진), 위치보장기구(140)의 록이 이루어지는데,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킹레버(115)에 의한 록이 해제되지 않도록 위치보장기구(140)의 지지레버(141)가 암 커넥터(110)의 록킹레버(115)를 하측에서 지지하게 되고, 걸림레버(142)의 걸림돌기(143)가 암 커넥터(110)의 고정돌기(117)와 맞물려 걸려 있게 되면서 위치보장기구(140)가 뒤로 빠지지 않는 고정 상태가 된다.
이러한 위치보장기구(140)의 록 상태가 되면 암 커넥터(110)와 수 커넥터(120)의 완전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와이어 어셈블리 11 : 쉴드 와이어
12 : 도체부 13 : 내피부
14 : 쉴드부 15 : 외피부
16 : 통전링 17 : 압착링
20 : 전장품 21 : 상부 커버
22 : 하부 커버 23 : PCB
24 : 접지용 프레임 100 : 커넥터
110 : 암 커넥터 111 : 하우징
112 : 암 단자 113 : 제1쉴드셀 부재
114 : 탄성 접점부 115 : 록킹레버
116 : 록킹돌기 117 : 고정돌기
118 : 걸림턱부 120 : 수 커넥터
121 : 하우징 122 : 수 단자
123 : 제2쉴드셀 부재 124 : 탄성 지지부
125 : 결합돌기 125a : 제1탄성 접점부
125b : 제2탄성 접점부 126 : 삽입부
130 : 리어 홀더 140 : 위치보장기구
141 : 지지레버 142 : 걸림레버
143 : 걸림돌기 144 : 누름돌기

Claims (8)

  1. 쉴드 와이어에 접속된 암 단자, 및 수 커넥터와의 록을 위한 록킹돌기를 구비한 암 커넥터와;
    암 커넥터와의 결합시 암 단자에 접속되는 수 단자, 및 암 커넥터와의 록을 위해 록킹돌기가 걸리도록 형성된 결합돌기를 구비한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진 상태에서 록킹돌기를 지지하여 결합돌기에 대한 록킹돌기의 걸림 해제를 방지하는 지지레버를 구비한 위치보장기구를 포함하고,
    암 커넥터에는 수 커넥터와의 결합 전에 위치보장기구의 전진이 불가하도록 지지레버가 걸려 있게 되는 걸림턱부가 형성되어 있고,
    수 커넥터에는 암 커넥터와의 결합시 지지레버의 누름돌기를 눌러주어 걸림턱부에 대한 지지레버의 걸림을 해제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형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결합시 암 커넥터의 록킹레버와 위치보장기구의 지지레버가 삽입되는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공간에 지지레버가 삽입될 때 내측면이 지지레버의 누름돌기를 눌러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형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에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보장기구에 걸림레버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레버에는 위치보장기구의 전진 상태에서 고정돌기에 걸리어 있게 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형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에 도전성 금속 판재로 제작된 제1쉴드셀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1쉴드셀 부재에는 절곡 형성되어 쉴드 와이어의 쉴드부에 접속된 통전링을 가압 및 압착함으로써 통전링에 탄성적으로 접속되는 탄성 접점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형 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에 복수 개의 쉴드 와이어가 결합되고,
    상기 제1쉴드셀 부재가 사각 관 형상을 가지면서 각 쉴드 와이어의 통전링에 접속되는 복수 개의 탄성 접점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형 커넥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 커넥터에 도전성 금속 판재로 제작된 제2쉴드셀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2쉴드셀 부재는 제1쉴드셀 부재와의 결합시 제1쉴드셀 부재를 가압 및 압착함으로써 제1쉴드셀 부재에 탄성적으로 접속되는 제1탄성 접점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형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쉴드셀 부재는 절곡 형성되어 수 커넥터가 결합된 전장품의 접지단을 가압 및 압착함으로써 접지단에 탄성적으로 접속되는 제2탄성 접점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형 커넥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쉴드셀 부재는 절곡 형성되어 수 커넥터의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 지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형 커넥터.
KR1020140063234A 2014-05-26 2014-05-26 차폐형 커넥터 KR101583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234A KR101583934B1 (ko) 2014-05-26 2014-05-26 차폐형 커넥터
US14/526,292 US9178308B1 (en) 2014-05-26 2014-10-28 Shield connecto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234A KR101583934B1 (ko) 2014-05-26 2014-05-26 차폐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964A true KR20150135964A (ko) 2015-12-04
KR101583934B1 KR101583934B1 (ko) 2016-01-08

Family

ID=5435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234A KR101583934B1 (ko) 2014-05-26 2014-05-26 차폐형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78308B1 (ko)
KR (1) KR1015839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002A (ko) * 2018-08-06 2020-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604B1 (ko) 2017-05-22 2022-09-13 주식회사 만도 모터 구조체
TWI702761B (zh) * 2019-05-24 2020-08-21 香港商安費諾(東亞)有限公司 具有活動解鎖結構之插頭連接器及其組件
KR20220057757A (ko) * 2020-10-30 2022-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KR20220085439A (ko) 2020-12-15 2022-06-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CN116914491B (zh) * 2023-09-11 2023-11-28 陕西四菱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连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6418A (ja) * 2003-02-10 2004-10-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シールドシェルの遮蔽構造
JP2006202573A (ja) * 2005-01-19 2006-08-03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ルドコネクタ
KR20090072232A (ko) * 2007-12-28 2009-07-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자동차용 차폐 커넥터, 차폐 커넥터의 실드 및 차폐 연결장치
KR200465368Y1 (ko) * 2007-10-12 2013-02-14 에프씨아이 오토모티브 홀딩 커넥터 위치 보장 장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2527Y2 (ja) * 1992-10-16 1998-05-2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分岐接続用コネクタ
JPH06325827A (ja) 1993-05-13 1994-11-25 Yazaki Corp シールドコネクタ
JP2590679Y2 (ja) * 1993-12-29 1999-02-1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分岐接続用コネクタ
FR2747517B1 (fr) 1996-04-12 1998-05-15 Framatome Connectors France Connecteur blinde, notamment du type comprenant une fiche et une embase destinee a etre fixee a un support plan
JP2001015214A (ja) 1999-06-29 2001-01-19 Nec Corp シールドコネクタと受け側コネクタの結合部構造
JP4309121B2 (ja) 2002-12-19 2009-08-05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シールドケーブルのノイズ抑制構造
JP2005203217A (ja) 2004-01-15 2005-07-2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
JP5160970B2 (ja) * 2008-06-16 2013-03-13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US7704098B2 (en) * 2008-07-22 2010-04-27 Amphenol Corporation Registered jack with enhanced EMI protection
JP5524009B2 (ja) * 2010-09-28 2014-06-18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2013120738A (ja) 2011-12-08 2013-06-17 Kel Corp ケーブル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6418A (ja) * 2003-02-10 2004-10-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シールドシェルの遮蔽構造
JP2006202573A (ja) * 2005-01-19 2006-08-03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ルドコネクタ
KR200465368Y1 (ko) * 2007-10-12 2013-02-14 에프씨아이 오토모티브 홀딩 커넥터 위치 보장 장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090072232A (ko) * 2007-12-28 2009-07-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자동차용 차폐 커넥터, 차폐 커넥터의 실드 및 차폐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002A (ko) * 2018-08-06 2020-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40807A1 (en) 2015-11-26
KR101583934B1 (ko) 2016-01-08
US9178308B1 (en) 201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934B1 (ko) 차폐형 커넥터
JP5690445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7147513B2 (en) Shielded connector with insert molded shielding shell and resin cover
EP2515386B1 (en) Insulating structure of l-shaped terminal
JP6475669B2 (ja) コネクタ
CN110226266B (zh) 屏蔽连接器及阳侧屏蔽端子
CN107204537A (zh) 电连接设备、组装电缆的方法和组装的同轴电缆
JP2019114489A (ja) コネクタ
US7064266B2 (en) Shielded connector
CN110235318B (zh) 屏蔽端子
EP1098397B1 (en) Equipment direct-mounting type shiel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CN110235317B (zh) 屏蔽端子
TWI611641B (zh) 連接器及連接器組合體
EP2761700B1 (en) Shield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shield connector
US8187036B2 (en) Shield connector
JP4677318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3417782B2 (ja) シールド部材を有するコネクタ
KR102550876B1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JP2018045835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取付方法
CN104218368B (zh) 插头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113823961A (zh) 线缆组件
EP2887464B1 (en) Shield connector and shield connector arrangement
US11881656B2 (en) Shielded connector assembly
JP2012169219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1617386B1 (ko)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