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5804A -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35804A KR20150135804A KR1020140062767A KR20140062767A KR20150135804A KR 20150135804 A KR20150135804 A KR 20150135804A KR 1020140062767 A KR1020140062767 A KR 1020140062767A KR 20140062767 A KR20140062767 A KR 20140062767A KR 20150135804 A KR20150135804 A KR 201501358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ermal barrier
- film pattern
- variable resistance
- insulating film
- barrier fil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8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7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10021426 porous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0314 transition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782 phase chang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30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3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3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0231 atomic lay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229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0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1 for ex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40 phys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15 tantal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GUVRBAGPIYLISA-UHFFFAOYSA-N tantalum atom Chemical compound [Ta] GUVRBAGPIYLI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NRTOMJZYCJJWKI-UHFFFAOYSA-N Titanium nitride Chemical compound [Ti]#N NRTOMJZYCJJWK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312 dry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449 haf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MRELNEQAGSRDBK-UHFFFAOYSA-N lanthanum(3+);oxygen(2-) Chemical compound [O-2].[O-2].[O-2].[La+3].[La+3] MRELNEQAGSRDB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BPUBBGLMJRNUCC-UHFFFAOYSA-N oxygen(2-);tantalum(5+) Chemical compound [O-2].[O-2].[O-2].[O-2].[O-2].[Ta+5].[Ta+5] BPUBBGLMJRNU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RVTZCBVAJQQJTK-UHFFFAOYSA-N oxygen(2-);zirconium(4+) Chemical compound [O-2].[O-2].[Zr+4] RVTZCBVAJQQJ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MZLGASXMSKOWSE-UHFFFAOYSA-N tantalum nitride Chemical compound [Ta]#N MZLGASXMSKOWS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936 tantal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ZVWKZXLXHLZXLS-UHFFFAOYSA-N zirconium nitride Chemical compound [Zr]#N ZVWKZXLXHLZXL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928 zirco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5 arseni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RQNWIZPPADIBDY-UHFFFAOYSA-N arsenic atom Chemical compound [As] RQNWIZPPADIBD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428 cobalt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WIHZLLGSGQNAGK-UHFFFAOYSA-N hafnium(4+);oxygen(2-) Chemical compound [O-2].[O-2].[Hf+4] WIHZLLGSGQNAG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291 mag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484 niob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28 spin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QPLDLSVMHZLSFG-UHFFFAOYSA-N Copper oxide Chemical compound [Cu]=O QPLDLSVMHZLS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51 Copper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2 Dyspro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88 Gadol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GACIEPFGXRWCH-UHFFFAOYSA-N [Si].[Ti] Chemical compound [Si].[Ti] UGACIEPFGXRW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417 amorphous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770 chalcogen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VMYJDGYRUAWML-UHFFFAOYSA-N cobalt(ii) oxide Chemical compound [Co]=O IVMYJDGYRUAWM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431 copper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KBQHZAAAGSGFKK-UHFFFAOYSA-N dysprosium atom Chemical compound [Dy] KBQHZAAAGSGFK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02 ferro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IWYJDYFSGRHKR-UHFFFAOYSA-N gadolinium atom Chemical compound [Gd] UIWYJDYFSGRHK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2 germ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GNPVGFCGXDBREM-UHFFFAOYSA-N germanium atom Chemical compound [Ge] GNPVGFCGXDB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24 laser ann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URLJKFSTXLNXLG-UHFFFAOYSA-N niobium(5+);oxygen(2-) Chemical compound [O-2].[O-2].[O-2].[O-2].[O-2].[Nb+5].[Nb+5] URLJKFSTXLNXL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GLKJKCYBOYXKC-UHFFFAOYSA-N nonaoxidotritungsten Chemical compound O=[W]1(=O)O[W](=O)(=O)O[W](=O)(=O)O1 QGLKJKCYBOYXK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KVXHGSVIPDOLBC-UHFFFAOYSA-N selanylidenetungsten Chemical compound [Se].[W] KVXHGSVIPDO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NUPENMBHHEARK-UHFFFAOYSA-N silicon tungsten Chemical compound [Si].[W] WNUPENMBHHEA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VGLBOPDEUYYCS-UHFFFAOYSA-N silicon zirconium Chemical compound [Si].[Zr] UVGLBOPDEUYYC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930 tungste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YVTHLONGBIQYBO-UHFFFAOYSA-N zinc indium(3+) oxygen(2-) Chemical compound [O--].[Zn++].[In+3] YVTHLONGBIQY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OXJGFHDIHLPTG-UHFFFAOYSA-N Boron Chemical compound [B] ZOXJGFHDIHLPT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6553 CuOx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YHNNYVSQQEPJS-UHFFFAOYSA-N Gallium Chemical compound [Ga] GYHNNYVSQQEPJ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367 SrTi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156 TaNx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201 TaSiNx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BOTDANWDWHJENH-UHFFFAOYSA-N Tetraethyl orthosilicate Chemical compound CCO[Si](OCC)(OCC)OCC BOTDANWDWHJEN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421 TiNx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8485 TiSiNx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8835 WSiNx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8328 ZrNx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6245 ZrSiNx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VQYHBXLHGKQYOY-UHFFFAOYSA-N aluminum oxygen(2-) titanium(4+) Chemical compound [O-2].[Al+3].[Ti+4] VQYHBXLHGKQY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7 antimon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ATWJIUSRGPENY-UHFFFAOYSA-N antimony atom Chemical compound [Sb] WATWJIUSRGPEN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6 bo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3 gal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CJNBYAVZURUTKZ-UHFFFAOYSA-N hafnium(iv) oxide Chemical compound O=[Hf]=O CJNBYAVZURUTK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8 ion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21 mono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06 photo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WEYZGSCHQNNEH-UHFFFAOYSA-N silicon tantalum Chemical compound [Si].[Ta] HWEYZGSCHQNN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4 tellu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PORWMNRCUJJQNO-UHFFFAOYSA-N tellurium atom Chemical compound [Te] PORWMNRCUJJQN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2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comprising selection components having two electrodes, e.g. dio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61—Thermal details
- H10N70/8616—Thermal insulation mea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53/0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 H10B53/3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53/0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 H10B53/5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characterised by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core and peripheral circuit reg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80—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061—Shaping switching materials
- H10N70/063—Shaping switching materials by etching of pre-deposited switching material layers, e.g. lithography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10N70/231—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based on solid-state phase change, e.g. between amorphous and crystalline phases, Ovshinsky effec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10N70/24—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based on migration or redistribution of ionic species, e.g. anions, vacanci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21—Device geometry
- H10N70/826—Device geometry adapted for essentially vertical current flow, e.g. sandwich or pillar type dev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2—Compounds of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e.g. chalcogeni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2—Compounds of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e.g. chalcogenides
- H10N70/8828—Tellurides, e.g. GeSbT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3—Oxides or nitrides
- H10N70/8833—Binary metal oxides, e.g. TaOx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3—Oxides or nitrides
- H10N70/8836—Complex metal oxides, e.g. perovskites, spi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도전 라인들 및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도전 라인들의 교차부들에 각각 배치되며 가변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메모리 셀들, 메모리 셀들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절연막 패턴들, 메모리 셀들 사이에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절연막 패턴들, 제1 절연막 패턴들 사이에서 제2 방향으로 메모리 셀들과 이격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열 장벽막 패턴들 및 제 2 절연막 패턴들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메모리 셀들과 이격되고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열 장벽막 패턴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크로스 포인트 어레이 구조를 갖는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변 저항 특성을 갖는 메모리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메모리 장치의 예로서, 저항 변화 메모리(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ReRAM) 장치, 상변화 메모리(Phase Change RAM: PRAM) 장치, 자기 저항 메모리(Magnetic RAM: MRAM)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경우, 상부 및 하부 전극들, 또는 상부 및 하부 도전 라인들 사이에 배치된 가변 저항층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집적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메모리 셀들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여 이들 사이의 열적, 전기적 간섭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신뢰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높은 신뢰성을 갖는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높은 신뢰성을 갖는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제1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도전 라인들, 상기 제1 도전 라인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도전 라인들, 상기 제1 도전 라인들 및 상기 제2 도전 라인들의 교차부들에 각각 배치되며 가변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메모리 셀들, 상기 메모리 셀들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절연막 패턴들, 상기 메모리 셀들 사이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절연막 패턴들, 상기 제1 절연막 패턴들 사이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메모리 셀들과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열 장벽막 패턴들 및 상기 제 2 절연막 패턴들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메모리 셀들과 이격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열 장벽막 패턴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소자는 페로브스카이트 계열 물질 또는 전이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 저항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열 장벽막 패턴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제2 열 장벽막 패턴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열 장벽막 패턴 상에 구비된 제3 절연막 패턴 및 상기 제2 열 장벽막 패턴 상에 구비된 제4 절연막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은 상기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들에 포함되는 물질보다 더 낮은 열 전도도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들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은 상기 실리콘 산화물보다 더 낮은 열 전도도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은 상변화 물질, 다공성 실리콘 산화물, 폴리이미드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은 서로 연통되어 교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은 상기 제1 도전 라인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하부 전극, 가변 저항층 및 상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은 상기 제1 도전 라인 및 상기 가변 저항 소자 사이에 배치되는 선택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들에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베이스 절연막 상에 제1 도전막 및 가변 저항 물질막을 형성한다. 상기 제1 가변 저항 물질막 및 상기 제1 도전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트렌치들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트렌치의 내벽 상에 순차적으로 제1 절연막 패턴 및 제1 열 장벽막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제1 가변 저항 물질막, 상기 제1 절연막 패턴 및 상기 제1 열 장벽막 패턴 상에 제2 도전막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도전막, 상기 가변 저항 물질막, 상기 제2 도전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트렌치들을 형성한다. 상기 제2 트렌치의 내벽 상에 순차적으로 제2 절연막 패턴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을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열 장벽막 패턴 상에 제3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열 장벽막 패턴 상에 제4 절연막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을 형성할 때 화학 기상 증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막을 형성한 이후에, 상기 제2 도전막 상에 제2 가변 저항 물질막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2 가변 저항 물질막, 상기 제2 도전막, 상기 제1 가변 저항 물질막 및 상기 제1 도전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2 트렌치들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열 장벽막 패턴을 형성한 이후에, 상기 제2 가변 저항 물질막, 상기 제2 절연막 패턴 및 상기 제2 열 장벽막 패턴 상에 제3 도전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3 도전막 및 상기 제2 가변 저항 물질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3 트렌치를 형성하며, 상기 제3 트렌치의 내벽 상에 순차적으로 복수 개의 제3 절연막 패턴 및 복수 개의 제3 열 장벽막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열 장벽막 패턴들은 상기 제2 열 장벽막 패턴을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은 상기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들에 포함되는 물질보다 더 낮은 열 전도도를 갖는 물질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1 가변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제1 메모리 셀들이 배치된 제1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상기 제1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상에 적층되며 제2 가변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제2 메모리 셀들이 배치된 제2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상기 제1 메모리 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절연막 패턴들. 상기 제2 메모리 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절연막 패턴들, 상기 제1 절연막 패턴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메모리 셀들과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1 열 장벽막 패턴들, 상기 제2 절연막 패턴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메모리 셀들과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2 열 장벽막 패턴들, 상기 제1 제 및 제2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들을 관통하며, 상기 제1 및 제3 절연막 패턴들과 교차하는 복수 개의 공통 절연막들 및 상기 제2 절연막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과 교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셀들과 이격되는 복수 개의 공통 열 장벽막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은 상기 공통 열 장벽막 패턴을 통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 및 공통 열 장벽막 패턴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들 및 공통 절연막 패턴에 포함되는 물질보다 더 낮은 열 전도도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인접하는 메모리 셀들 사이에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열 장벽막 패턴 및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열 장벽막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은 상기 메모리 셀들을 둘러싸는 절연막 패턴 구조물보다 열 전도도가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인접한 메모리 셀들간의 열 전달을 방지하여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3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4 내지 도 15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들이다.
도 16 내지 도 21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2a 및 22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23 내지 도 27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8a 및 도 28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29a 및 도 29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30a 및 도 30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31 내지 도 37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 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38a 및 도 38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39 내지 도 4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 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5 내지 도 48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 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9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4 내지 도 15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들이다.
도 16 내지 도 21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2a 및 22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23 내지 도 27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8a 및 도 28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29a 및 도 29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30a 및 도 30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31 내지 도 37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 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38a 및 도 38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39 내지 도 4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 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5 내지 도 48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 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9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각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전극,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대상체, 기판, 각 층(막), 영역, 전극 또는 패턴들의 "상에", "상부에"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각 층(막), 영역, 전극,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직접 기판, 각 층(막), 영역, 또는 패턴들 위에 형성되거나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다른 층(막), 다른 영역, 다른 전극, 다른 패턴 또는 다른 구조물들이 대상체나 기판 상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평면도 및 단면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a 및 3b는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3b는 도전 라인들이 교차하는 교차부에 하나의 가변 저항 소자가 구비되는 크로스-포인트(cross-point) 셀 어레이 구조를 갖는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서는 제1 도전 라인, 제2 도전 라인, 메모리 셀 및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 만을 도시하였으며, 기타 절연성 구조물의 도시는 생략되었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베이스절연막(100) 상에 형성된 제1 도전 라인(110), 제2 도전 라인(180), 메모리 셀(150) 및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thermal barrier layer pattern structure)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및 제2 도전 라인들(110, 180)은 각각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이 서로 교차하는 각 교차부(160)에 메모리 셀(150)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절연막(100)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질화물과 같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절연막(100)은 기판(도시되지 않음) 상에 형성된 트랜지스터와 같은 하부 구조물(도시되지 않음)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도전 라인(110)은 베이스 절연막(100) 상면에 대해 평행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베이스 절연막(100) 상면에 대해 평행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은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예각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모든 도면들에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의 정의는 동일하다.
제1 도전 라인(110)은 예를 들어, 텅스텐(W), 구리(Cu), 알루미늄(Al), 티타늄(Ti) 또는 탄탈륨(Ta)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도전 라인(110)은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비트 라인(bit line) 또는 워드 라인(word line)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도전 라인(180)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도전 라인(180)은 예를 들어, 텅스텐, 구리, 알루미늄, 티타늄 또는 탄탈륨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도전 라인(110)이 비트 라인으로 제공되는 경우 제2 도전 라인(180)은 워드 라인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도전 라인(110)이 워드 라인으로 제공되는 경우 제2 도전 라인(180)은 비트 라인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전 라인들(110, 180)이 각각 복수 개로 형성됨에 따라 이들의 각 교차부(160)에 형성되는 메모리 셀(150) 역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된 메모리 셀들(150)은 메모리 셀 열(column)을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된 메모리 셀들(150)은 메모리 셀 행(row)을 정의할 수 있다.
메모리 셀(150)은 가변 저항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가변 저항층(130)은 산소 베이컨시(oxygen vacancy) 혹은 산소 이동에 의해 전기 저항이 변화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저항 변화 메모리(ReRAM)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저항층(130)은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계열의 물질 또는 전이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로브스카이트 계열 물질의 예로서, STO(SrTiO3), BTO(BaTiO3), PCMO(Pr1-XCaXMnO3)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전이 금속 산화물의 예로서, 티타늄 산화물(TiOx), 지르코늄 산화물(ZrOx), 알루미늄 산화물(AlOx), 하프늄 산화물(HfOx), 탄탈륨 산화물(TaOx), 니오븀 산화물(NbOx), 코발트 산화물(CoOx), 텅스텐 산화물(WOx), 란탄 산화물(LaOx), 아연 산화물(ZnO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가변 저항층(130)은 상술한 물질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막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저항층(130)은 제1 하프늄 산화물(HfO2) 막, 제2 하프늄 산화물(HfOx) 막 및 지르코늄 산화물 막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가변 저항층(130)은 티타늄 알루미늄 산화물(TiAlOx) 막, 탄탄륨 산화물 막 및 알루미늄 산화물 막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가변 저항층(130)은 상변화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상변화 메모리(PRAM)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저항층(130)은 게르마늄(Ge), 안티몬(Sb) 및/또는 텔루륨(Te)이 소정의 비율로 조합된 칼코게나이드(chalcogenide) 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가변 저항층(130)은 자기장 또는 스핀 전달 토크(Spin Transfer Torque: STT)에 의해 저항이 변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자기 메모리(MRAM)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저항층(130)은 철(Fe), 니켈(Ni), 코발트(Co), 디스프로슘(Dy), 가돌리늄(Gd) 등을 포함하는 강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메모리 셀(150)은 제1 도전 라인(110)과 가변 저항층(130)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 전극(120) 및 제2 도전 라인(180)과 가변 저항층(130)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전극(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120) 및 상부 전극(140)은 예를 들어, 티타늄 질화물(TiNx), 티타늄 실리콘 질화물(TiSiNx), 텅스텐 질화물(WNx), 텅스텐 실리콘 질화물(WSiNx), 탄탈륨 질화물(TaNx), 탄탈륨 실리콘 질화물(TaSiNx), 지르코늄 질화물(ZrNx), 지르코늄 실리콘 질화물(ZrSiNx) 등과 같은 금속 질화물 또는 금속 실리콘 질화물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은 메모리 셀들(1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은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은 인접하는 상기 메모리 셀 열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에 의해 제1 도전 라인들(110)이 서로 구분 혹은 분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은 베이스 절연막(100) 내부로도 연장되어 하부가 베이스 절연막(1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은 인접하는 상기 메모리 셀 행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에 의해 제2 도전 라인들(180)이 서로 구분 혹은 분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은 제1 도전 라인(110) 내부로도 연장되어 하부가 제1 도전 라인(11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셀(150)의 측벽 상에는 절연막 패턴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 패턴 구조물은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을 감싸는 제1 절연막 패턴(165a)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을 감싸는 제2 절연막 패턴(16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막 패턴 구조물은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과 같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막 패턴(165a) 및 제2 절연막 패턴(165b)은 각각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과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의 측벽 및 저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절연막 패턴(165a)은 메모리 셀(150)의 측벽 및 제1 도전 라인(110)의 측벽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절연막 패턴(165b)은 메모리 셀(150)의 측벽 및 제2 도전 라인(180)의 측벽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175a, 175b)은 각각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들(165a, 165b)에 의해 인접한 메모리 셀들(15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175a, 175b)은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들(165a, 165b)이 포함하는 물질보다 열 전도도가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들(165a, 165b)이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175a, 175b)은 실리콘 산화물보다 열 전도도가 낮은 물질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175a, 175b)은, 예를 들어 열 전도도가 1W/m K 보다 낮은 물질인 GST, 다공성 실리콘 산화물, 폴리이미드, 텅스텐 셀레늄(WSe2)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이상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인접하는 메모리 셀들(150) 사이로 서로 교차하는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들(165a, 165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들(165a, 165b)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175a, 175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메모리 셀들(150)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절연막 패턴(165a) 및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과, 역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2 절연막 패턴(165b)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전압을 가할 때, 메모리 셀(150) 내에서 열이 발생하여 인접하는 메모리 셀들(150) 사이에 열이 전달되어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가 열화될 수 있다. 하지만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열 전도도가 낮은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175a, 175b)이 메모리 셀들(150)을 둘러싸므로, 이들 사이의 열 전달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작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평면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4, 도 5a, 도 6, 도 7, 도 8 및 도 9a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단면도들이고, 도 9b, 도 10a, 도 11, 도 12 및 도 13은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단면도들이며, 도 5b 및 도 10b는 평면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 절연막(100) 상에 제1 도전막(112), 하부 전극막(113), 가변 저항 물질막(123) 및 상부 전극막(133)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베이스 절연막(100)은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질화물과 같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절연막(100)은 기판(도시되지 않음) 상에 형성된 하부 구조물(도시되지 않음)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1 도전막(112)은 예를 들어, 텅스텐, 구리, 알루미늄, 티타늄 또는 탄탈륨과 같은 금속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하부 전극막(113) 및 상부 전극막(133)은 금속 질화물 또는 금속 실리콘 질화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전극막(113) 및 상부 전극막(133)은 티타늄 질화물, 티타늄 실리콘 질화물, 텅스텐 질화물, 텅스텐 실리콘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탄탈륨 실리콘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또는 지르코늄 실리콘 질화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을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가변 저항 물질막(123)은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가 ReRAM 장치인 경우, 가변 저항 물질막(123)은 페로브스카이트 계열 물질 또는 전이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변 저항 물질막(123)은 예를 들어, STO, BTO, PCMO, 티타늄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하프늄 산화물, 탄탈륨 산화물, 니오븀 산화물, 코발트 산화물, 텅스텐 산화물, 란탄 산화물, 아연 산화물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가변 저항 물질막(123)은 상술한 물질을 함유하는 복수 개의 막들이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가 PRAM 장치인 경우, 가변 저항 물질막(123)은 칼코게나이드 계열의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가 MRAM 장치인 경우, 가변 저항 물질막(123)은 예를 들어, 철, 니켈, 코발트, 디스프로슘, 가돌리늄 등을 포함하는 강자성체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전막(112), 하부 전극막(113), 가변 저항 물질막(123) 및 상부 전극막(133)은 예를 들어, 물리 기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공정,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 원자층 증착(Atomic Layer Deposition: ALD) 공정 또는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공정을 수행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부 전극막(133), 가변 저항 물질막(123), 하부 전극막(113) 및 제1 도전막(112)을 관통하여 베이스 절연막(100)을 노출하는 제1 트렌치(145)를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부 전극막(133) 상에 상부 전극막(133) 상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마스크(139)를 형성한 후, 제1 마스크(139)를 이용한 건식 식각 공정을 통해 상부 전극막(133), 가변 저항 물질막(123), 하부 전극막(113) 및 제1 도전막(112)을 관통하는 제1 트렌치(145)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마스크(139)는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트렌치(145)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식각 공정에 의해 베이스 절연막(100)의 상부가 과도 식각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트렌치(145)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트렌치(145)가 형성됨에 따라, 베이스 절연막(10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도전 라인(110), 하부 전극막 패턴(117),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127) 및 상부 전극막 패턴(1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트렌치(145)는 베이스 절연막(100) 일부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므로, 서로 분리된 복수 개의 제1 도전 라인들(1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전막(112) 식각 공정 시, 베이스 절연막(100) 상면의 식각 잔류물에 의해 인접하는 제1 도전 라인들(110) 사이에서 크로스-토크와 같은 간섭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트렌치(145) 형성을 위한 식각 공정 시, 베이스 절연막(100) 상부가 과도 식각됨으로써 상기 식각 잔류물이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도전 라인(110)을 통한 신호 전달의 신뢰성이 증가될 수 있다.
제1 도전 라인(110)은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비트 라인 또는 워드 라인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트렌치(145)의 측벽 및 저면과 제1 마스크(139) 상에 제1 절연막(162)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트렌치(145)의 상기 측벽 및 저면 및 제1 마스크(139) 상에 제1 절연막(162a)을 형성한다. 제1 절연막(162a)은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물 등과 같은 절연 물질을 사용하여 CVD 공정 또는 ALD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절연막(162a) 상에 제1 열 장벽막(172)을 형성한다.
제1 열 장벽막(172)은 CVD 공정 또는 AL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트렌치(145)를 충분히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열 장벽막(172)은 제1 절연막(162a)에 포함된 물질보다 열 전도도가 낮은 물질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절연막(162a)이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열 장벽막(172)은 실리콘 산화물보다 열 전도도가 낮은 물질, 예를 들어, 상변화 물질, 다공성 실리콘 산화물, 폴리이미드, 텅스텐 셀레늄 (WSe2) 등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열 장벽막(172) 및 제1 절연막(162a)을 평탄화하여 각각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 및 제1 절연막 패턴(165a)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마스크(139)를 연마 정지막으로 사용하여 상부 전극막 패턴(137)의 상면이 노출될 때까지 CMP 공정 및/또는 에치-백 공정을 통해 제1 열 장벽막(172), 제1 절연막(162a) 및 제1 마스크(139)를 평탄화할 수 있다. 이때, 제1 열 장벽막(172) 및 제1 절연막(162a)은 평탄화되어 각각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 및 제1 절연막 패턴(165a)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마스크(139)는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 및 제1 절연막 패턴(165a)은 제1 트렌치(145) 내부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상부 전극막 패턴(137), 제1 절연막 패턴(165a) 및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 상에 제2 도전막(177)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2 도전막(177)은 예를 들어, 텅스텐, 구리, 알루미늄, 티타늄 또는 탄탈륨과 같은 금속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2 도전막(177)은 PVD 공정, 스퍼터링 공정, ALD 공정, CVD 공정 등을 수행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공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제2 도전막(177), 상부 전극막 패턴(137),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127) 및 하부 전극막 패턴(117)을 관통하여 제1 도전 라인(110)을 노출하는 제2 트렌치(147)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2 도전막(177) 상에 제2 도전막(177) 상면을 일부 노출시키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마스크(189)를 형성한 후, 제2 마스크(189)를 이용한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제2 도전막(177), 상부 전극막 패턴(137),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127) 및 하부 전극막 패턴(117)을 관통하는 제2 트렌치(147)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마스크(189)는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2 트렌치(147)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식각 공정에 의해 제1 도전 라인(110)의 상부가 과도 식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각 공정 시, 노출된 제1 절연막 패턴(165a) 및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의 일부가 함께 제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2 트렌치(147)에 의해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 절연막 패턴들(165a) 및 제1 열 장벽막 패턴들(175a)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트렌치(147)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트렌치(147)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라인 형상의 하부 전극막 패턴(117),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127) 및 상부 전극막 패턴(137)은 각각 실질적으로 고립된 섬(island) 형상을 갖는 하부 전극(120), 가변 저항층(130) 및 상부 전극(140)으로 변환될 수 있다. 하부 전극(120), 가변 저항층(130) 및 상부 전극(140)은 함께 메모리 셀(15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2 도전막(177)은 제2 트렌치(147)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된 제2 도전 라인들(180)로 변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제2 도전 라인들(180)은 제1 도전 라인(110) 상부에서 제1 도전 라인(110)과 서로 교차되거나 혹은 오버랩 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 라인(110) 및 제2 도전 라인(180)이 교차하는 각 교차부(160)마다 메모리 셀(150)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도전 라인(110)이 비트 라인으로 제공되는 경우 제2 도전 라인(180)은 워드 라인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반대로 제1 도전 라인(110)이 워드 라인으로 제공되는 경우 제2 도전 라인(180)은 비트 라인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하부 전극막 패턴(117)의 식각 공정 시, 제1 도전 라인(110) 상의 식각 잔류물이 인접하는 메모리 셀들(150) 사이에 크로스-토크와 같은 간섭 현상이 발생시킬 수 있으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트렌치(147) 형성을 위한 식각 공정 시, 제1 도전 라인(110) 상부가 과도 식각됨으로써 상기 식각 잔류물이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 셀(150)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공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제2 트렌치(147)의 측벽 및 저면과 제2 마스크(189) 상에 제2 절연막(162b)을 형성한다.
제2 절연막(162b)은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물을 사용하여 CVD 공정 또는 ALD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공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제2 절연막(162b) 상에 제2 열 장벽막(174)을 형성한다.
제2 열 장벽막(174)은 CVD 공정 또는 ALD 공정을 통해 제2 절연막(162b)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트렌치(147)를 채울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열 장벽막(174)은 제2 절연막(162b)에 포함된 물질보다 열 전도도가 낮은 물질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막(162b)이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열 장벽막(174)은 실리콘 산화물보다 열 전도도가 낮은 물질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열 장벽막(174)은 제1 열 장벽막(17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8을 참조로 설명한 공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제2 열 장벽막(174) 및 제2 절연막(162b)을 평탄화하여 각각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 및 제2 절연막 패턴(165b)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2 마스크(189)를 연마 정지막으로 사용하여 제2 도전 라인(180)의 상면이 노출될 때까지 제2 열 장벽막(174)및 제2 절연막(162b)을 CMP 공정 및/또는 에치-백 공정을 통해 평탄화함으로써,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 및 제2 절연막 패턴(165b)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마스크(189)는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 및 제2 절연막 패턴(165b)은 제2 트렌치(147) 내부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절연막 패턴(165a) 및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과 제2 절연막 패턴(165b)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은 각각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메모리 셀(150)의 모든 측면은 2개의 제1 절연막 패턴(165a) 및 2개의 제2 절연막 패턴(165b)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절연막 패턴 구조물에 의해 감싸지는 상기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은 상기 절연막 패턴 구조물보다 열 전도도가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은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가 동작될 때 발생하는 인접하는 메모리 셀들(150)간의 열 전달을 감소시키므로,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4는 상기 가변 항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5a 및 15b는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절연막 패턴 구조물 및 상기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로 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 내지 도 15b를 참조하면,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베이스 절연막(100) 상에 형성된 제1 도전 라인(110), 제2 도전 라인(180), 메모리 셀(150) 및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은 메모리 셀들(1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은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은 인접하는 메모리 셀 열들 사이에 형성되어,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은 인접하는 메모리 셀 행들 사이에 형성되어,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15a 및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셀(150)의 측벽 및 상기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 상에는 절연막 패턴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 패턴 구조물은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을 감싸는 제1 절연막 패턴(165a),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을 감싸는 제2 절연막 패턴(165b),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 상에 형성된 제3 절연막 패턴(167a)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 상에 형성된 제4 절연막 패턴(167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한 메모리 셀들(150)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절연막 패턴(165a),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 및 제3 절연막 패턴(167a)을 포함하는 제1 절연 구조물이 정의될 수 있고, 또한 인접한 메모리 셀들(150)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2 절연막 패턴(165b),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 및 제4 절연막 패턴(167b)을 포함하는 제2 절연 구조물이 정의될 수 있다.
제3 및 제4 절연막 패턴들(167a, 167b)은,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 등과 같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3 및 제4 절연막 패턴들(167a, 167b)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들(165a, 165b)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이 메모리 셀들(150)을 둘러싸므로, 이들 사이의 열 전달이 감소될 수 있으며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동작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2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6 내지 도 18은 제2 방향으로의 단면도들이고, 도 19 내지 도 21은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단면도들이다.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은 도 14 내지 도 15b에 도시된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은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로 설명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 포함된 공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공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부 전극막(133), 가변 저항 물질막(123) 및 하부 전극막(113)을 관통하는 제1 트렌치(145a)를 형성한 후, 제1 트렌치(145a)의 측벽 및 저면과 제1 마스크(139) 상에 제1 절연막(162a)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7 및 도 8을 참조로 설명한 공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1 절연막(162a)상에 제1 열 장벽막(172)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절연막(162a)을 따라 얇은 두께를 갖도록 제1 열 장벽막(172)을 형성하여, 제1 열 장벽막(172)에 의해 제1 개구(145b)가 정의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3 절연막을 제1 열 장벽막(172) 상에 형성한 후 상기 제3 절연막, 제1 열 장벽막(172) 및 제1 절연막(162a)을 평탄화하여, 각각 제3 절연막 패턴(167a),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 및 제1 절연막 패턴(165a)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개구(145b)를 충분히 채우도록 상기 제3 절연막을 제1 열 장벽막(172) 상에 형성한 후, 상부 전극막 패턴(137)의 상면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3 절연막, 제1 열 장벽막(172), 제1 절연막(162a) 및 제1 마스크(139)를 CMP 공정 및/또는 에치 백 공정 등을 통해 평탄화 할 수 있다. 이때, 제1 마스크(139)는 완전히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절연막, 제1 열 장벽막(172) 및 제1 절연막(162a)은 평탄화되어 각각 제3 절연막 패턴(167a),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 및 제1 절연막 패턴(165a)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절연막 패턴(167a),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 및 제1 절연막 패턴(165a)은 제1 트렌치(145b) 내부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절연막은,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 등과 같은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절연막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도 9a 및 도 9b를 참조로 설명한 공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을 수행하여, 상부 전극막 패턴(137), 제1 절연막 패턴(165a),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 및 제3 절연막 패턴(167b) 상에 제2 도전막(177)을 형성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도 10a 내지 도 11을 참조로 설명한 공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2 트렌치(147a)의 측벽 및 저면과 제2 마스크(189) 상에 제2 절연막(162b)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2 마스크(189)를 이용한 건식 식각 공정을 통해 제2 도전막(177), 상부 전극막 패턴(137),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127) 및 하부 전극막 패턴(117)을 관통하는 제2 트렌치(147a)를 형성한다. 제2 트렌치(147a)가 형성됨에 따라 제1 도전 라인(110)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도전 라인(180), 상부 전극(140), 가변 저항층(130) 및 하부 전극(1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제2 트렌치(147a)의 측벽 및 저면과 제2 마스크(189) 상에 제2 절연막(162b)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로 설명한 공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2 절연막(162b) 상에 제2 열 장벽막(174)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절연막(162b)의 상면을 따라 얇은 두께를 갖도록 제2 열 장벽막(174)을 형성하여, 제2 열 장벽막(174)에 의해 제2 개구(147b)가 정의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도 18을 참조로 설명한 공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제4 절연막 패턴(167b),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 및 제2 절연막 패턴(165b)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2 개구(147b)를 채우도록 제4 절연막을 제2 열 장벽막(174) 상에 형성한 후, 제2 도전 라인(180)의 상기 상면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4 절연막, 제2 열 장벽막(174) 및 제2 절연막(162b)을 CMP 공정 및/또는 에치 백 공정 등을 통해 평탄화할 수 있다. 상기 제4 절연막, 제2 열 장벽막(174) 및 제2 절연막(162b)은 평탄화되어 각각 제4 절연막 패턴(167b),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 및 제2 절연막 패턴(165b)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제2 마스크(180)는 제거될 수 있다. 제4 절연막 패턴(167b),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 및 제2 절연막 패턴(165b)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4 절연막은,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 등과 같은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절연막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175a, 175b)은 제1 내지 제4 절연막 패턴들(165a, 165b, 167a, 167b)보다 열 전도도가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175a, 175b)은 인접하는 메모리 셀들(150) 간의 열의 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메모리 셀들(150)을 포함하는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동작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2a 및 도 22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22a 및 도 22b는 각각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단면도들이다.
도 22a 내지 도 22b는 도전 라인들이 교차되는 교차부에 하나의 선택 소자 및 하나의 가변 저항 소자가 구비되는 크로스-포인트 셀 어레이 구조를 갖는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선택 소자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로 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a 및 도 22b를 참조하면,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제1 도전 라인(110), 제2 도전 라인(180), 메모리 셀(150a) 및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서로 교차 또는 오버랩 되는 제1 도전 라인(110) 및 제2 도전 라인(180) 사이의 교차부에는 메모리 셀(15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메모리 셀(150a)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선택 소자(S) 및 가변 저항 소자(R)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저항 소자(R)는 하부 전극(120), 가변 저항층(130) 및 상부 전극(1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선택 소자(S)는 P-N 다이오드일 수 있다. 이 경우, 선택 소자(S)는 제1 도전 라인(110) 상에 적층된 하부 반도체층 패턴(105) 및 상부 반도체층 패턴(10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반도체층 패턴(105) 및 상부 반도체층 패턴(107)은 각각 n형 불순물 및 p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 소자(S)는 하부 반도체 층 패턴(105) 및 상부 반도체 층 패턴(107) 사이에 형성된 절연 패턴(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선택 소자(S)는 P-I-N 다이오드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하부 반도체층 패턴(105) 및 상부 반도체층 패턴(107)은 각각 n형 산화물 반도체 및 p형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n형 반도체 산화물은 예를 들어, 아연 산화물(ZnOx) 또는 인듐-아연 산화물(InZnOx)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p형 산화물 반도체는 예를 들어, 구리 산화물(CuOx)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도전 라인(110) 및 선택 소자(S) 사이에는 제1 버퍼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으며, 선택 소자(S) 및 가변 저항 소자(R) 사이에는 제2 버퍼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버퍼층들은 각각 티타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텅스텐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과 같은 금속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은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175a, 175b)은 메모리 셀들(150a) 사이에서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메모리 셀(150)의 측벽 상에는 절연막 패턴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 패턴 구조물은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을 감싸는 제1 절연막 패턴(165a)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을 감싸는 제2 절연막 패턴(16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막 패턴(165a) 및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은 각각 베이스 절연막(100)으로 연장되어 하부가 베이스 절연막(1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으며, 제2 절연막 패턴(165b)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은 각각 제1 도전 라인(110)으로 연장되어 하부가 제1 도전 라인(1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23 내지 도 25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단면도들이다.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은 도 14 내지 도 15b에 도시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은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로 설명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 포함된 공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베이스 절연막(100) 상에 제1 도전막(112), 하부 반도체층(102), 상부 반도체층(104), 하부 전극막(113), 가변 저항 물질막(123) 및 상부 전극막(133)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하부 반도체층(102)은 인(P) 혹은 비소(As)와 같은 n형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하부 반도체층(102)은 비정질 실리콘을 증착한 후, n형 불순물을 도핑하고 예를 들어, 레이저 어닐링과 같은 결정화 공정을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하부 반도체층(102)은 아연 산화물 또는 인듐-아연 산화물과 같은 n형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부 반도체층(104)은 붕소(B) 혹은 갈륨(Ga)과 같은 p형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부 반도체층(104)은 비정질 실리콘을 증착한 후, p형 불순물을 도핑하고 예를 들어, 레이저 어닐링과 같은 결정화 공정을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부 반도체층(104)은 구리 산화물과 같은 p형 산화물 반도체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하부 반도체층(102) 및 상부 반도체층(104)은 각각 PVD 공정, 스퍼터링 공정, ALD 공정 등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도전막(112) 및 제1 반도체층(102) 사이에 제1 버퍼층(도시되지 않음)을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반도체층(104) 및 하부 전극막(113) 사이에 제2 버퍼층(도시되지 않음)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버퍼층들은 각각 티타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텅스텐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과 같은 금속 질화물을 사용하여 PVD 공정, 스퍼터링 공정, ALD 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도 5a를 참조로 설명한 공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을 수행하여 베이스 절연막(100)의 상부를 노출하는 제1 트렌치(145)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트렌치(145)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트렌치(145)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공정에서 베이스 절연막(100)의 상부가 과도 식각될 수 있다.
제1 트렌치(145)가 형성됨에 따라, 각각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베이스 절연막(10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 도전 라인(110), 하부 반도체층 라인(106), 상부 반도체층 라인(108), 하부 전극막 패턴(117),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127) 및 상부 전극막 패턴(137)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로 설명한 공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트렌치(145)의 측벽 및 저면 상에 제1 절연막 패턴(165a) 및 제1 트렌치(145)의 부분을 채우는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절연막 패턴(165a) 및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 형성한 이후에 제1 마스크(139)는 제거될 수 있다. 이후, 상부 전극막 패턴(137), 제1 절연막 패턴(165a) 및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 상에 제2 도전막(177)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도 9a 및 도 9b를 참조로 설명한 공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마스크(189)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2 도전막(177), 상부 전극막 패턴(137),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127), 하부 전극막 패턴(117), 제2 반도체층 라인(108) 및 제1 반도체층 라인(106)을 관통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트렌치(147)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트렌치(147)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트렌치(147)를 형성하는 상기 공정에서, 제1 도전 라인(110) 상부가 과도 식각될 수 있다.
제2 트렌치(147)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도전 라인(180)이 형성되며, 상부 전극막 패턴(137),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127), 하부 전극막 패턴(117), 제2 반도체층 라인(108) 및 제1 반도체층 라인(106)은 각각 상부 전극(140), 가변 저항층(130), 하부 전극(120), 상부 반도체층 패턴(107) 및 하부 반도체층 패턴(105)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전극(120), 가변 저항층(130) 및 상부 전극(140)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 소자(R), 하부 반도체층 패턴(105) 및 상부 반도체층 패턴(107)을 포함하는 선택 소자(S)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도전 라인(110) 및 제2 도전 라인(180)의 교차부에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선택 소자(S) 및 가변 저항 소자(R)를 포함하는 메모리 셀(150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도 10a 내지 도 13을 참조로 설명한 공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트렌치(147)의 측벽 및 저면 상에 제2 절연막 패턴(165b) 및 제2 트렌치(147)의 부분을 채우는 제2 열 장벽막 패턴(175b)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절연막 패턴(165b) 및 제1 열 장벽막 패턴(175b) 형성 한 이후에, 제2 마스크(199)는 제거될 수 있다.
도 28a 내지 도 29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28a 및 도 29a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단면도들이며. 도 28b 및 도 29b 및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단면도들이다. 상기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도 1 내지 도 3b 또는 도 22a 및 도 22b를 참조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2개의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들이 적층된 것이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8a 및 도 28b를 참조하면, 상기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제1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제2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가 적층된 2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및 제2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들은 각각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로 설명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2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들은 각각 제1 도전 라인(110) 및 제2 도전 라인(180)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부에 하나의 가변 저항 소자가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2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들 사이에는 층간 절연막(19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1 절연막 패턴(165a) 및 제1 열 장벽막 패턴(175a)은 층간 절연막(195) 내부로 연장되어 하부가 층간 절연막(195)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도 29a 및 도 29b를 참조하면, 상기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제1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제2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가 적층된 2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들은 각각 도 22a 내지 도 22b를 참조로 설명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2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들은 각각 제1 도전 라인(110) 및 제2 도전 라인(180)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부에 하나의 선택 소자(S) 및 가변 저항 소자(R)가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8a 내지 도 29b는 2층으로 적층된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3층 이상으로 적층된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8a 및 도 28b 또는 도 29a 및 도 29b에 도시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도 4 내지 도 13 또는 도 23 내지 도 27을 참조로 설명한 공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들을 수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0a 및 도 3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30a 및 도 30b는 각각 제2 방향 및 제1 방향으로의 단면도들이다.
도 30a 및 도 30b는 예시적으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들이 2층으로 적층된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전 라인들의 교차부에 하나의 가변 저항 소자가 배치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제1 및 제2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들은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0a 및 도 30b를 참조하면, 상기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베이스 절연막(200) 상에 형성된 제1 도전 라인(210), 제2 도전 라인(280), 제3 도전 라인(380), 제1 메모리 셀(250), 제2 메모리 셀(350) 및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도전 라인들(210, 280, 380)은 각각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전 라인들(210, 280)이 서로 교차하는 각 교차부에는 제1 메모리 셀(25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및 제3 도전 라인들(280, 380)이 서로 교차하는 각 교차부에는 제2 메모리 셀(35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전 라인(210)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전 라인(280)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도전 라인(380)은 제2 도전 라인(280)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3 도전 라인들(210, 38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도전 라인(280)은 제1 및 제3 도전 라인들(210, 38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과 교차하며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및 제3 도전 라인들(210, 380)은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비트 라인 또는 워드 라인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도전 라인(280)은 제1 및 제3 도전 라인들(210, 380)이 비트 라인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공통 워드 라인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3 도전 라인들(210, 380)이 워드 라인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공통 비트 라인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도전 라인들(210, 280, 380)이 각각 복수 개로 형성됨에 따라, 제1 및 제2 도전 라인들(210, 280)의 상기 교차부에 형성되는 제1 메모리 셀(250) 및 제2 및 제3 도전 라인들(280, 380)의 상기 교차부에 형성되는 제2 메모리 셀(350) 역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된 제1 및 제2 메모리 셀들(250, 350)은 각각 제1 및 제2 메모리 셀 열(column)들을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된 제1 및 제2 메모리 셀들(250, 350)은 각각 제1 및 제2 메모리 셀 행(row)을 정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메모리 셀(250)은 제1 가변 저항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모리 셀(250)은 제1 가변 저항층(230) 및 제1 도전 라인(21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하부 전극(220) 및 제1 가변 저항층(230) 및 제2 도전 라인(28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상부 전극(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도전 라인(210), 제1 메모리 셀(250) 및 제2 도전 라인(280)를 포함하는 상기 제1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메모리 셀(350)은 제2 가변 저항층(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모리 셀(350)은 제2 가변 저항층(330) 및 제2 도전 라인(280)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하부 전극(320) 및 제2 가변 저항층(330) 및 제3 도전 라인(380)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상부 전극(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도전 라인(280), 제2 메모리 셀(350) 및 제3 도전 라인(380)을 포함하는 상기 제2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은 제1 및 제2 메모리 셀들(250, 3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은 제1 열 장벽막 패턴(275), 제2 열 장벽막 패턴(375a) 및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 장벽막 패턴(275)은 인접하는 상기 제1 메모리 셀 열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열 장벽막 패턴(275)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메모리 셀들(250) 및 제1 도전 라인들(210) 부분을 관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열 장벽막 패턴(275)은 베이스 절연층(200) 내부로도 연장되어 하부가 베이스 절연층(2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2 열 장벽막 패턴(375a)은 인접하는 상기 제2 메모리 셀 열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열 장벽막 패턴(375a)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2 메모리 셀들(350) 사이를 관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열 장벽막 패턴(375a)은 제2 도전 라인(280)으로도 연장되어 하부가 제2 도전 라인(28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은 인접하는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셀 행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2 메모리 셀들(350), 제2 도전 라인들(280) 및 제1 메모리 셀들(250)을 관통할 수 있으며, 제1 도전 라인(210)으로도 연장되어 하부가 제1 도전 라인(21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열 장벽막 패턴(275) 및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은 서로 교차하며 연통되며, 제2 열 장벽막 패턴(375a) 및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 역시 서로 교차하며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열 장벽막 패턴(275)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375a)은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을 통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메모리 셀들(250, 350)의 측벽 상에는 절연막 패턴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 패턴 구조물은 제1 열 장벽막 패턴(275)을 감싸는 제1 절연막 패턴(265), 제2 열 장벽막 패턴(375a)을 감싸는 제2 절연막 패턴(365a) 및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를 감싸는 공통 절연막 패턴(36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막 패턴 구조물은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과 같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막 패턴(265)은 제1 열 장벽막 패턴(275)의 측벽 및 저면을 커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절연막 패턴(365a)은 제2 열 장벽막 패턴(375a)의 측벽 및 저면을 커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공통 절연막 패턴(365b)은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의 측벽 및 저면을 커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열 장벽막 패턴(275) 및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의 일부는 각각 제1 절연막 패턴(265) 및 공통 절연막 패턴(365b)에 의해 인접한 제1 메모리 셀들(25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2 열 장벽막 패턴(375a) 및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의 일부는 각각 제2 절연막 패턴(365a) 및 공통 절연막 패턴 (365b)에 의해 인접한 제2 메모리 셀들(35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메모리 셀(250)의 측벽은 제1 절연막 패턴(265) 및 공통 절연막 패턴(365b)에 의해 둘러싸이며, 제1 열 장벽막 패턴(275) 및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에 의해 격리된 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메모리 셀(350)의 측벽은 제2 절연막 패턴(365a) 및 공통 절연막 패턴(365b)에 의해 둘러싸이며, 제2 열 장벽막 패턴(375a) 및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에 의해 격리된 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273, 375a) 및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은 제1 및 제2 메모리 셀들(250, 350)을 둘러싸므로, 이들 사이의 열 전달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동작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통 절연막 패턴(365b) 및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은 상기 제1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상기 제2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에 공통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구조 및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도 31 내지 도 37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31, 도 32, 도 33a, 도 36a 및 도 37은 상기 제2 방향으로의 단면도들이고, 도 33b, 도 34, 도 35 및 도 36b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단면도들이다. 상기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은 도 30a 및 도 30b에 도시된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은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로 설명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 포함된 공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1을 참조하면,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공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베이스 절연막(200) 상에 제1 도전막(212), 제1 하부 전극막(213), 제1 가변 저항 물질막(223) 및 제1 상부 전극막(233)을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도 5a 내지 도 8을 참조로 설명한 공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1 상부 전극막(233), 제1 가변 저항 물질막(223), 제1 하부 전극막(213) 및 제1 도전막(212)을 관통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트렌치(245)를 형성하고, 제1 트렌치(245)의 측벽 및 저면 상에 제1 절연막 패턴(265)을 형성한 후, 제1 트렌치(245)의 나머지 부분을 채우는 제1 열 장벽막 패턴(275)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트렌치(245)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공정에 의해, 베이스 절연막(200) 상부가 과도 식각될 수 있다.
한편, 제1 트렌치(245)가 형성됨에 따라, 제1 도전막(212), 제1 하부 전극막(213), 제1 가변 저항 물질막(223) 및 제1 상부 전극막(233)은 각각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도전 라인(210), 제1 하부 전극막 패턴(217), 제1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227) 및 제1 상부 전극막 패턴(237)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33a 및 도 33b를 참조하면, 도 31을 참조로 설명한 공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제1 상부 전극막 패턴(237), 제1 절연막 패턴(265) 및 제1 열 장벽막 패턴(275) 상에 제2 도전막(273), 제2 하부 전극막(313), 제2 가변 저항 물질막(323) 및 제2 상부 전극막(333)을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제2 상부 전극막(333), 제2 가변 저항 물질막(323), 제2 하부 전극막(313), 제2 도전막(273), 제1 상부 전극막 패턴(237), 제1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227) 및 제1 하부 전극막 패턴(217)을 관통하는 공통 트렌치(345)를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공통 트렌치(345)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상부 전극막(333) 상에 제2 상부 전극막(333) 상면을 일부 노출시키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마스크(339)를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제2 마스크(339)를 이용한 건식 식각 공정을 통해 제2 상부 전극막(333), 제2 가변 저항 물질막(323), 제2 하부 전극막(313), 제2 도전막(273), 제1 상부 전극막 패턴(237), 제1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227) 및 제1 하부 전극막 패턴(217)을 관통하는 공통 트렌치(345)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공통 트렌치(345) 형성 공정시, 제1 절연막 패턴(265) 및 제1 열 장벽막 패턴(275)의 일부가 함께 제거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공통 트렌치(345)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식각 공정에 의해 제1 도전 라인(120)의 상부가 과도 식각될 수 있다.
공통 트렌치(345)가 형성됨에 따라, 제1 하부 전극막 패턴(217), 제1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227), 제1 상부 전극막 패턴(237) 및 제2 도전막(273)은 각각 제1 하부 전극(220), 제1 가변 저항층(230), 제1 상부 전극(240) 및 제2 도전 라인(280)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부 전극(220), 제1 가변 저항층(230) 및 제1 상부 전극(240)을 포함하는 제1 메모리 셀(25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도전 라인(210), 제1 메모리 셀(250) 및 제2 도전 라인(280)의 부분을 포함하는 제1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공통 트렌치(345)가 형성됨에 따라, 제2 하부 전극막(313), 제2 가변 저항 물질막(323) 및 제2 상부 전극막(333)은 각각 제2 하부 전극막 패턴(317), 제2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327) 및 제2 상부 전극막 패턴(337)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공통 트렌치(345)를 채우며 순차적으로 적층된 공통 절연막 패턴(365b) 및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로 설명한 공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을 수행하여, 공통 트렌치(345)의 측벽 및 저면과 제2 마스크(339) 상에 공통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공통 절연막 상에 공통 트렌치(345)의 부분을 채우는 공통 열 장벽막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통 열 장벽막은 상기 공통 절연막에 포함된 물질보다 열 전도도가 낮은 물질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통 절연막이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공통 열 장벽막은 실리콘 산화물보다 열 전도도가 낮은 물질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통 열 장벽막은 제1 열 장벽막 패턴(27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제2 상부 전극막 패턴(337)의 상면이 노출될 때까지, 예를 들어, CMP 공정을 통해 상기 공통 절연막 상부 및 상기 공통 열 장벽막 상부를 평탄화 함으로써 각각 공통 절연막 패턴(365b) 및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마스크(339)는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은 제1 열 장벽막 패턴(275) 과 서로 교차하며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6a 및 도 36b를 참조하면, 제2 상부 전극막 패턴(337), 공통 절연막 패턴(365b) 및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 상에 제3 도전막(373)을 형성한다. 제3 도전막(373)은 텅스텐, 구리, 알루미늄, 티타늄 또는 탄탈륨과 같은 금속을 사용하여 스퍼터링 공정, ALD 공정, PVD 공정 등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제3 도전막(373), 제2 상부 전극막 패턴(337), 제2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327) 및 제2 하부 전극막 패턴(317)을 관통하는 제2 트렌치(347)를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트렌치(347)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도전막(373) 상에 제3 도전막(373) 상면을 일부 노출시키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마스크(389)를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제3 마스크(389)를 이용한 건식 식각 공정을 통해 제3 도전막(373), 제2 상부 전극막 패턴(337), 제2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327) 및 제2 하부 전극막 패턴(317)을 관통하는 제2 트렌치(347)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2 트렌치(347) 형성 공정시,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 및 공통 절연막 패턴(365b)의 일부가 함께 제거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트렌치(347)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식각 공정에 의해 제2 도전 라인(280) 상부가 과도 식각될 수 있다.
제2 트렌치(347)가 형성됨에 따라, 제2 하부 전극막 패턴(317), 제2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327), 제2 상부 전극막 패턴(337) 및 제3 도전막(373)은 각각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하부 전극(320), 제2 가변 저항층(330), 제2 상부 전극(340) 및 제3 도전 라인(380)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하부 전극(320), 제2 가변 저항층(330) 및 제2 상부 전극(340)을 포함하는 제2 메모리 셀(35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도전 라인(280)의 부분, 제2 메모리 셀(350) 및 제3 도전 라인(380)을 포함하는 제2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도 30a를 참조하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로 설명한 공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들을 수행하여, 제2 트렌치(347) 내부에 제2 절연막 패턴(365a)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375a)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트렌치(347)의 측벽 및 저면 상에 순차적으로 제2 절연막을 형성한 후, GST물질, 다공성 실리콘 산화물 등과 같은 물질을 이용하여 제2 트렌치(347)를 채우는 제2 열 장벽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제3 도전막(375)의 상면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2 열 장벽막 및 상기 제2 절연막의 상부를 에치-백 공정을 통해 제거하여, 각각 제2 열 장벽막 패턴(375a) 및 제2 절연막 패턴(365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3 마스크(389)는 제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열 장벽막 패턴(375a)은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과 서로 교차하며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은 제1 열 장벽막 패턴(275)과 서로 교차하며 연결되므로, 제2 열 장벽막 패턴(375a) 및 제1 열 장벽막 패턴(275)은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열 장벽막 패턴(275)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375a)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과 서로 교차하면서 연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메모리 셀들(250)은 각각 제1 절연막 패턴(265), 제1 열 장벽막 패턴(275), 공통 절연막 패턴(365b) 및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에 의해 측부가 둘러싸일 수 있다. 또한 제2 메모리 셀들(350)은 각각 제2 절연막 패턴(365a), 제2 열 장벽막 패턴(375a), 공통 절연막 패턴(365b) 및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에 의해 측부가 둘러싸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에서, 열 전도도가 낮은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275, 375a) 및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이 제1 및 제2 메모리 셀들(250, 350)을 둘러싸므로, 이들 사이의 열 전달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작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8a 내지 도 37에서는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들이 2층으로 적층된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추가적으로 적층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4 내지 도 13, 도 23 내지 27 혹은 도 31 내지 37을 참조로 설명한 공정들을 반복 수행하여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들이 4층으로 적층된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들이 2층으로 적층된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들 사이에 베이스 절연막으로 제공되는 층간 절연막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8a 및 도 38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38a 및 도 38b는 각각 상기 제2 방향 및 제1 방향으로의 단면도들이다.
도 38a 및 도 38b는 예시적으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들이 2층으로 적층된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전 라인들의 교차부에 하나의 선택 소자 및 하나의 가변 저항 소자가 배치되는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제1 선택 소자(S1) 및 제2 선택 소자(S2)를 제외하고는 도 30a 및 도 30b를 참조로 한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8a 및 도 38b를 참조하면, 상기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베이스 절연막(200) 상에 형성된 제1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제2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제1 도전 라인(210), 제2 도전 라인(280)의 일부, 제1 메모리셀(250a), 제1 열 장벽막 패턴(275) 및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제2 도전 라인(280)의 일부, 제2 메모리셀(350a). 제3 도전 라인(300), 제2 열 장벽막 패턴(375a) 및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메모리 셀(250a)은 제1 도전 라인(210) 및 제2 도전 라인(280)이 교차하는 교차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선택 소자(S1) 및 제1 가변 저항 소자(R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메모리 셀(350a)은 제2 도전 라인(280) 및 제3 도전 라인(380)이 교차하는 교차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2 가변 저항 소자(R2) 및 제2 선택 소자(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선택 소자(S1) 및 제2 선택 소자(S2)는 P-N 다이오드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선택 소자(S1)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하부 반도체 층 패턴(205) 및 제1 상부 반도체층 패턴(207)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선택 소자(S2)는 제2 가변 저항 소자(R2)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2 상부 반도체층 패턴(355) 및 제2 하부 반도체층 패턴(35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부 반도체층 패턴들(205, 357)은 각각 n형 불순물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상부 반도체층 패턴들(207, 355)은 각각 p형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선택 소자(S1)는 제1 하부 반도체 층 패턴(205) 및 제1 상부 반도체층 패턴(207) 사이에 개재된 제1 절연 패턴(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선택 소자(S2)는 제2 상부 반도체층 패턴(355) 및 제2 하부 반도체층 패턴(357) 사이에 개재된 제2 절연 패턴(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및 제2 선택 소자들(S1, S2)은 각각 P-I-N 다이오드일 수 있다.
제1 가변 저항 소자(R1)는 제1 선택 소자(S1)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하부 전극(220), 제1 가변 저항층(230) 및 제1 상부 전극(2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가변 저항 소자(R2)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2 상부 전극(320), 제2 가변 저항층(330) 및 제2 하부 전극(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은 제1 및 제2 메모리 셀들(250, 3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열 장벽막 패턴 구조물은 제1 열 장벽막 패턴(275), 제2 열 장벽막 패턴(375a) 및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 장벽막 패턴(275)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가변 저항 소자들(R1), 제1 선택 소자들(S1) 및 제1 도전 라인들(210) 사이를 관통할 수 있으며, 베이스 절연막(200) 내부로도 연장되어 하부가 베이스 절연막(2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2 열 장벽막 패턴(375a)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3 도전 라인들(380), 제2 가변 저항 소자들(R2) 및 제2 선택 소자들(S2) 사이를 관통하며, 제2 도전 라인(280) 내부로도 연장되어 하부가 제2 도전 라인(28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은 제2 메모리 셀(350a) 및 제1 메모리 셀(250a)의 사이를 함께 관통할 수 있으며, 제1 도전 라인(210) 내부로도 연장되어 하부가 제1 도전 라인(21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을 통해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275, 375a)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메모리 셀들(250, 350)의 측벽 상에는 절연막 패턴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 패턴 구조물은 제1 절연막 패턴(265), 제2 절연막 패턴(365a) 및 공통 절연막 패턴(36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에 포함되는 제1 메모리 셀들(250a)의 측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연막 패턴(265)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통 절연막 패턴(365b)의 일부에 의해 둘러 싸일 수 있다. 제1 절연막 패턴(265) 및 상기 공통 절연막 패턴(365b)은 각각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열 장벽막 패턴(275)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의 일부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제2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에 포함되는 제2 메모리 셀들(350a)의 측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절연막 패턴(365a)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통 절연막 패턴(365b)의 일부에 의해 둘러 싸일 수 있다. 제2 절연막 패턴(365a)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열 장벽막 패턴(375a)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도 39 내지 도 44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39, 도 40, 도 41a, 도 43 및 도 44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단면도들이며, 도 41b 및 도 42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단면도들이다.
상기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은 도 38a 내지 도 38b에 도시된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은 도 31 내지 도 37을 참조로 설명한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 포함된 공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9를 참조하면, 도 23 및 도 31을 참조로 설명한 공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베이스 절연막(200) 상에 제1 도전막(212), 제1 하부 반도체 층(202), 제1 상부 반도체 층(204), 제1 하부 전극막(213), 제1 가변 저항 물질막(223) 및 제1 상부 전극막(233)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도 40을 참조하면, 도 24 및 25 또는 도 34 및 도 35를 참조로 설명한 공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1 상부 전극막(233), 제1 가변 저항 물질막(223), 제1 하부 전극막(213), 제1 상부 반도체 층(204), 제1 하부 반도체 층(202) 및 제1 도전막(212)을 관통하는 제1 트렌치(245)를 형성하고, 제1 트렌치(245) 내부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절연막 패턴(265) 및 제1 열 장벽막 패턴(275)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트렌치(245)가 형성됨에 따라, 제1 상부 전극막(233), 제1 가변 저항 물질막(223), 제1 하부 전극막(213), 제1 상부 반도체 층(204), 제1 하부 반도체 층(202) 및 제1 도전막(212)은 각각 제1 상부 전극막 패턴(237), 제1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227), 제1 하부 전극막 패턴(217), 제1 상부 반도체층 라인(208), 제1 하부 반도체층 라인(206) 및 제1 도전 라인(210)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41a 및 도 41b를 참조하면, 도 33a 및 도 33b를 참조로 설명한 공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1 상부 전극막 패턴(237), 제1 절연막 패턴(265) 및 제1 열 장벽막 패턴(275) 상에 제2 도전막(273), 제2 상부 전극막(313), 제2 가변 저항 물질막(323), 제2 하부 전극막(333), 제2 상부 반도체층(352) 및 제2 하부 반도체층(354)을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2를 참조하면, 도 34 및 도 35를 참조로 설명한 공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들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2 하부 반도체층(354), 제2 상부 반도체층(352), 제2 하부 전극막(333), 제2 가변 저항 물질막(323), 제2 상부 전극막(313), 제2 도전막(273), 제1 상부 전극막 패턴(237), 제1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227), 제1 하부 전극막 패턴(217), 제1 상부 반도체층 라인(208), 제1 하부 반도체층 라인(206) 및 제1 도전 라인(210) 상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통 트렌치(345)를 형성한 후, 공통 트렌치(345) 내부에 공통 절연막 패턴(365b) 및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을 형성할 수 있다.
공통 트렌치(345)가 형성됨에 따라, 제2 하부 반도체층(354), 제2 상 반도체층(352)은 각각 제2 하부 반도체층 라인(358), 제2 상부 반도체층 라인(356)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부 전극막(333), 제2 가변 저항 물질막(323), 제2 상부 전극막(313) 및 제2 도전막(273)은 각각 제2 하부 전극막 패턴(337), 제2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327), 제2 상부 전극막 패턴(317) 및 제2 도전 라인(280)으로 변환될 수 있다.
한편, 제1 상부 전극막 패턴(237), 제1 가변 저항 물질층 패턴(227), 제1 하부 전극막 패턴(217), 제1 상부 반도체층 라인(208) 및 제1 하부 반도체층 라인(206)은 각각 제1 상부 전극(240), 제1 가변 저항층(230), 제1 하부 전극(220), 제1 상부 반도체층 패턴(207) 및 제1 하부 반도체층 패턴(205)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부 반도체층 패턴(205) 및 제1 상부 반도체층 패턴(207)을 포함하는 제1 선택 소자(S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하부 전극(220), 제1 가변 저항층(230) 및 제1 상부 전극(240)을 포함하는 제1 가변 저항 소자(R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전 라인(210) 및 제2 도전 라인(280)의 교차부에는 제1 선택 소자(S1) 및 제1 가변 저항 소자(R1)를 포함하는 제1 메모리 셀(250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3을 참조하면, 도 36a 및 도 37을 참조로 설명한 공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들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2 하부 반도체층 라인(358), 공통 절연막 패턴(365b) 및 공통 열 장벽막 패턴(375b) 상에 제3 도전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3 도전막, 제2 하부 반도체층 라인(358), 제2 상부 반도체층 라인(356), 제2 하부 전극막 패턴(337), 제2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327), 제2 상부 전극막 패턴(317) 및 제2 도전 라인(280)을 관통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트렌치(347)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2 트렌치(347)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에서, 제2 도전 라인(280)이 과식각 될 수 있다. 이후, 제2 트렌치(347)의 측벽 및 저면 상에 제2 절연막 패턴(365a) 및 제2 트렌치(347)를 채우는 제2 열 장벽막 패턴(375a)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트렌치(347)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3 도전막, 제2 하부 전극막 패턴(337), 제2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327) 및 제2 상부 전극막 패턴(320)은 각각 제3 도전 라인(380), 제2 하부 전극(370), 제2 가변 저항층(330) 및 제2 상부 전극(320)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2 상부 전극(320), 제2 가변 저항층(330) 및 제2 하부 전극(370)을 포함하는 제2 가변 저항 소자(R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부 반도체층 라인(358) 및 제2 상부 반도체층 라인(356)은 각각 제2 하부 반도체층 패턴(357) 및 제2 상부 반도체층 패턴(355)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2 상부 반도체층 패턴(355) 및 제2 하부 반도체층 패턴(357)을 포함하는 제2 선택 소자(S2)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도전 라인(280) 및 제3 도전 라인(380)의 교차부에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2 가변 저항 소자(R2) 및 제2 선택 소자(S2)를 포함하는 제2 메모리 셀(350a)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9 내지 도 43을 참조로 설명한 공정들을 반복하여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들이 4층 이상으로 적층된 적층형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4는 트랜지스터 및 배선을 포함하는 하부 구조물 상에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가 적층된 반도체 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44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구조물은 기판(400) 상에 형성된 게이트 구조물(430), 제1 내지 제3 층간 절연막들(440, 460, 480), 제1 내지 제3 콘택들(445, 465, 485) 및 제1 및 제2 배선들(450, 47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400)은 단결정 실리콘 또는 단결정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일 수 있다. 기판(400) 상부에는 소자 분리막(402)이 형성되어 기판(400)의 액티브 영역 및 필드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게이트 구조물(430)은 기판(40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게이트 절연막 패턴(410), 게이트 전극(415) 및 게이트 마스크(420)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 패턴(410)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게이트 전극(415)은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혹은 금속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게이트 마스크(420)는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조물(430)의 측벽 상에는 게이트 스페이서(435)가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구조물(430)과 인접한 기판(400) 상부에는 불순물 영역(40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순물 영역(405)은 인(P) 또는 비소(As)와 같은 n형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게이트 구조물(430) 및 불순물 영역(405)을 포함하는 엔모스(Negative Metal Oxide Semiconductor: N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7에 도시된 기판(400) 부분은 NMOS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400)은 피모스(Positive Metal Oxide Semiconductor: PMOS)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PMOS 영역의 기판(400) 상에는 p형 불순물 영역 및 게이트 구조물을 포함하는 PMOS 트랜지스터(도시되지 않음)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기판(400) 상에는 상보형(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 C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게이트 구조물(430)은 기판(400) 내부로 적어도 일부가 매립된 매립 게이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기판(400)을 일부 식각하여 리세스(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한 후, 상기 리세스 내부에 게이트 절연막 패턴 및 게이트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기판(400) 상에는 게이트 구조물(430), 게이트 스페이서(435) 및 불순물 영역(405)을 커버하는 제1 층간 절연막(440)이 형성되고, 제1 층간 절연막(440)을 관통하여 불순물 영역(405)과 접촉하는 제1 콘택(44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440) 상에는 제1 배선(450)이 형성되어, 제1 콘택(44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440) 상에는 제1 배선(450)을 덮는 제2 층간 절연막(460)이 형성되고, 제2 층간 절연막(460)을 관통하여 제1 배선(450)과 접속되는 제2 콘택(46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460) 상에는 제2 배선(470)이 형성되어, 제2 콘택(46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배선(470)의 부분은 상기 PMOS 영역까지 연장되어 상기 PMOS 트랜지스터의 불순물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460) 상에는 제2 배선(470)을 덮는 제3 층간 절연막(480)이 형성되고, 제3 층간 절연막(480)을 관통하여 제2 배선(470)과 접속되는 제3 콘택(48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층간 절연막들(440, 460, 480)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상술한 베이스 절연막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콘택들(445, 465, 485), 제1 배선(450) 및 제2 배선(470)은 텅스텐, 알루미늄, 구리, 티타늄 등과 같은 금속 및/또는 이들 금속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층간 절연막(480) 상에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8a 및 38b를 참조로 설명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1 도전 라인(210)은 제3 콘택(48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도전 라인들이 교차되는 교차부에 형성되며 하나의 선택 소자 및 하나의 가변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도 22a 및 도 22b, 도 29a 및 도 29b, 또는 도 38a 및 38b를 참조로 설명한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도 28a 및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전 라인들이 교차되는 상기 교차부에 형성되며 하나의 상기 가변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도 1 내지 도 3b, 도 14 내지 15b, 및 도 30a 및 도 30b를 참조로 설명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상기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추가적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44에서는 상기 배선들이 2층으로 적층된 상기 하부 구조물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구조물은 단층의 배선 혹은 3층 이상으로 적층된 배선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5 내지 도 48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은 도 44에 도시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5를 참조하면, 기판(400) 상에 게이트 구조물(430)을 형성한 후, 게이트 구조물(430)과 인접한 기판(400) 상부에 불순물 영역(405)을 형성한다.
기판(400)은 NMOS 영역 및 PMOS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판(400) 상에는 C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얕은 트렌치 분리(Shallow Trench Isolation) 공정을 통해 기판(400) 상부에 소자 분리막(402)을 형성할 수 있다. 소자 분리막(402)에 의해 기판(400)의 액티브 영역 및 필드 영역이 구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기판(400) 상에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 전극막 및 게이트 마스크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사진 식각 공정을 통해 이들을 식각하여 게이트 절연막 패턴(410), 게이트 전극(415) 및 게이트 마스크(420)를 포함하는 게이트 구조물(4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을 사용하여 CVD 공정 또는 열 산화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막은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혹은 금속 질화물을 사용하여 스퍼터링 공정 또는 AL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마스크막은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을 사용하여 CVD 공정, 스핀 코팅 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게이트 구조물(430)을 이온 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기판(400) 상부에 불순물을 주입함으로써 불순물 영역(405)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불순물 영역(405)은 인, 비소와 같은 n형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48에 도시된 기판(400) 부분은 NMOS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순물 영역(405) 및 게이트 구조물(430)을 포함하는 NMOS 트랜지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 기판(400)의 PMOS 영역 상에는 상기 NMOS 트랜지스터와 동시에 PMOS 트랜지스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게이트 구조물(430)의 측벽 상에 게이트 스페이서(435)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400) 상에 게이트 구조물(430)을 커버하는 스페이서막을 형성한 후, 상기 스페이서막을 이방성 식각하여 게이트 스페이서(43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막은 실리콘 질화물을 사용하여, CV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6를 참조하면, 기판(400) 상에 게이트 구조물(430)을 커버하는 제1 층간 절연막(440)을 형성한다. 이후, 제1 층간 절연막(440)을 관통하여 불순물 영역(405)과 접속하는 제1 콘택(445)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1 층간 절연막(440)은 TEOS와 같은 실리콘 산화물을 사용하여 CVD 공정, 스핀 코팅 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층간 절연막(440)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불순물 영역(405)을 노출시키는 제1 콘택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층간 절연막(440) 상에 상기 제1 콘택 홀을 채우는 제1 도전막을 형성한 후, 층간 절연막(440) 상면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1 도전막 상부를 평탄화하여 제1 콘택(445)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콘택(445)은 게이트 스페이서(435)에 자기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게이트 스페이서(435)의 측벽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440) 상에는 제1 콘택(44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배선(450)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간 절연막(440) 및 제1 콘택(445) 상에 제2 도전막을 형성한 후, 상기 제2 도전막을 패터닝하여 제1 배선(45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막들은 금속 혹은 금속 질화물을 사용하여 ALD 공정, 스퍼터링 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7을 참조하면, 제1 층간 절연막(440) 상에 제1 배선(450)을 덮는 제2 층간 절연막(460)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제2 층간 절연막(460)을 관통하며 제1 배선(45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제2 콘택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460) 상에 상기 제2 콘택 홀을 채우는 제3 도전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3 도전막의 상부를 CMP 공정을 통해 평탄화함으로써 제1 배선(4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콘택(465)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460) 및 제2 콘택(465) 상에 제4 도전막을 형성한 후, 상기 제4 도전막을 패터닝하여 제2 콘택(46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배선(470)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배선들(470)이 복수 개로 형성되며, 제2 배선들(470)의 부분은 상기 PMOS 영역으로 연장되어, p형 불순물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PMOS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460) 상에 제2 배선(470)을 덮는 제3 층간 절연막(480)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제3 층간 절연막(480)을 관통하여 제2 배선(470)을 노출시키는 제3 콘택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층간 절연막(480) 상에 상기 제3 콘택 홀을 채우는 제5 도전막을 형성한 후, 상기 제5 도전막 상부를 평탄화하여 제2 배선(4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콘택(485)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및 제3 층간 절연막들(460, 480)은 제1 층간 절연막(4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실리콘 산화물을 사용하여 CVD 공정, 스핀 코팅 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3 내지 제5 도전막들은 텅스텐, 알루미늄, 구리, 티타늄 등과 같은 금속 및/또는 이들 금속의 질화물을 사용하여 ALD 공정, 스퍼터링 공정, PVD 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정에 의해 기판(400), 트랜지스터, 배선 구조물을 포함하는 하부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2층으로 적층된 배선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8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구조물 상에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39 내지 도 43을 참조로 설명한 공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들을 수행하여, 도 38a 및 도 38b를 참조로 설명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상기 하부 구조물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1 도전 라인(210)은 상기 하부 구조물의 제3 콘택(48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4 내지 도 13, 도 16 내지 도21, 도 23 내지 도 27, 도 31 내지 도 37, 또는 도 39 내지 도 43을 참조로 설명한 공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들을 통해 각각 도 1 내지 도 3b, 도 14 내지 도 15b, 도 22 및 도 22b, 도 30a 및 30b, 또는 도 38a 및 38b에 도시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상기 하부 구조물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8a 및 도 29b 또는 도 29a 및 도 29b를 참조로 설명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상기 하부 구조물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9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9를 참조하면, 정보처리 시스템(500)은 시스템 버스(50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중앙처리장치(CPU)(520), 램(RAM)(530),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540), 베이스밴드 칩셋(Baseband chipset)과 같은 모뎀(MODEM)(550) 및 메모리 시스템(510)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510)은 메모리 소자(512)와 메모리 컨트롤러(511)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소자(512)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520)에서 처리된 데이터 또는 외부에서 입력된 고용량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511)는 메모리 소자(512)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메모리 소자(512)와 메모리 컨트롤러(511)의 결합에 의해 메모리 시스템(510)은 메모리 카드 또는 반도체 디스크 장치(Solid State Disk: SSD)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정보처리 시스템(500)이 모바일 장치인 경우, 정보처리 시스템(500)의 동작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처리 시스템(500)에는 응용 칩셋(Application chipset), 카메라 이미지 프로세서(Camera Image Processor: CIS), 모바일 디램 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처리 시스템(500)은 모바일 폰, MP3 플레이어, 각종 가전 제품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인접하는 메모리 셀들을 둘러싸는 절연막 패턴들 상에 형성된 열 장벽막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열 장벽막 패턴들은 열 전도도가 낮은 물질을 포함하므로, 상기 메모리 셀들 사이의 열 전달을 감소시켜, 상기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동작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는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ReRAM, PRAM, MRAM 장치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S: 선택 소자
R: 가변 저항 소자
100, 200: 베이스 절연막 102: 하부 반도체층
104: 상부 반도체층 105: 하부 반도체층 패턴
106: 하부 반도체층 라인 107: 상부 반도체층 패턴
108: 상부 반도체층 라인 110, 210: 제1 도전 라인
112, 212: 제1 도전막 113: 하부 전극막
117: 하부 전극막 패턴 120: 하부 전극
123: 가변 저항 물질막 127: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
130: 가변 저항층 133: 상부 전극막
137: 상부 전극막 패턴 139: 제1 마스크
140: 상부 전극 145, 245: 제1 트렌치
147, 347: 제2 트렌치 145b: 제1 개구
147b: 제2 개구 150, 150a: 메모리 셀
160: 교차부
160a: 제1 절연막 162b: 제2 절연막
165a, 265: 제1 절연막 패턴 165b, 365a: 제2 절연막 패턴
167a: 제3 절연막 패턴 167b: 제4 절연막 패턴
175a, 275: 제1 열 장벽막 패턴 175b, 375a: 제2 열 장벽막 패턴
177: 제2 도전막 180, 280: 제2 도전 라인
182: 제1 리세스 184: 제2 리세스
189, 339: 제2 마스크
202: 제1 하부 반도체층 204: 제1 상부 반도체층
206: 제1 하부 반도체층 라인 205: 제1 하부 반도체층 패턴
207: 제1 상부 반도체층 패턴 208: 제1 상부 반도체층 라인
213: 제1 하부 전극막 220: 제1 하부 전극
217: 제1 하부 전극막 패턴 223: 제1 가변 저항 물질막
227: 제1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 230: 제1 가변 저항층
233: 제1 상부 전극막 240: 제1 상부 전극
237: 제1 상부 전극막 패턴 250, 250a: 제1 메모리 셀
273: 제2 도전막 280: 제2 도전 라인
313: 제2 상부 전극막 317: 제2 상부 전극막 패턴
320: 제2 상부 전극 323: 제2 가변 저항 물질막
327: 제2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 330: 제2 가변 저항층
333: 제2 하부 전극막 337: 제2 하부 전극막 패턴
340: 제2 하부 전극 345: 공통 트렌치
350, 350a: 제2 메모리 셀
352: 제2 상부 반도체층 354: 제2 하부 반도체층
355: 제2 상부 반도체층 패턴 356: 제2 상부 반도체층 라인
357: 제2 하부 반도체층 패턴 358: 제2 하부 반도체층 라인
365b: 공통 절연막 패턴
375b: 공통 열 장벽막 패턴 373: 제3 도전막
380: 제3 도전 라인 389: 제3 마스크
400: 기판 402: 소자 분리막
405: 불순물 영역 410: 게이트 절연막 패턴
415: 게이트 전극 420: 게이트 마스크
430: 게이트 구조물 435: 게이트 스페이서
440: 제1 층간 절연막 445: 제1 콘택
450: 제1 배선 460: 제2 층간 절연막
465: 제2 콘택 470: 제2 배선
480: 제3 층간 절연막 485: 제3 콘택
500: 정보처리 시스템 505: 시스템 버스
510: 메모리 시스템 511: 메모리 컨트롤러
512: 메모리 소자 520: 중앙처리장치
530: 램 540: 사용자 인터페이스
550: 모뎀
100, 200: 베이스 절연막 102: 하부 반도체층
104: 상부 반도체층 105: 하부 반도체층 패턴
106: 하부 반도체층 라인 107: 상부 반도체층 패턴
108: 상부 반도체층 라인 110, 210: 제1 도전 라인
112, 212: 제1 도전막 113: 하부 전극막
117: 하부 전극막 패턴 120: 하부 전극
123: 가변 저항 물질막 127: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
130: 가변 저항층 133: 상부 전극막
137: 상부 전극막 패턴 139: 제1 마스크
140: 상부 전극 145, 245: 제1 트렌치
147, 347: 제2 트렌치 145b: 제1 개구
147b: 제2 개구 150, 150a: 메모리 셀
160: 교차부
160a: 제1 절연막 162b: 제2 절연막
165a, 265: 제1 절연막 패턴 165b, 365a: 제2 절연막 패턴
167a: 제3 절연막 패턴 167b: 제4 절연막 패턴
175a, 275: 제1 열 장벽막 패턴 175b, 375a: 제2 열 장벽막 패턴
177: 제2 도전막 180, 280: 제2 도전 라인
182: 제1 리세스 184: 제2 리세스
189, 339: 제2 마스크
202: 제1 하부 반도체층 204: 제1 상부 반도체층
206: 제1 하부 반도체층 라인 205: 제1 하부 반도체층 패턴
207: 제1 상부 반도체층 패턴 208: 제1 상부 반도체층 라인
213: 제1 하부 전극막 220: 제1 하부 전극
217: 제1 하부 전극막 패턴 223: 제1 가변 저항 물질막
227: 제1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 230: 제1 가변 저항층
233: 제1 상부 전극막 240: 제1 상부 전극
237: 제1 상부 전극막 패턴 250, 250a: 제1 메모리 셀
273: 제2 도전막 280: 제2 도전 라인
313: 제2 상부 전극막 317: 제2 상부 전극막 패턴
320: 제2 상부 전극 323: 제2 가변 저항 물질막
327: 제2 가변 저항 물질막 패턴 330: 제2 가변 저항층
333: 제2 하부 전극막 337: 제2 하부 전극막 패턴
340: 제2 하부 전극 345: 공통 트렌치
350, 350a: 제2 메모리 셀
352: 제2 상부 반도체층 354: 제2 하부 반도체층
355: 제2 상부 반도체층 패턴 356: 제2 상부 반도체층 라인
357: 제2 하부 반도체층 패턴 358: 제2 하부 반도체층 라인
365b: 공통 절연막 패턴
375b: 공통 열 장벽막 패턴 373: 제3 도전막
380: 제3 도전 라인 389: 제3 마스크
400: 기판 402: 소자 분리막
405: 불순물 영역 410: 게이트 절연막 패턴
415: 게이트 전극 420: 게이트 마스크
430: 게이트 구조물 435: 게이트 스페이서
440: 제1 층간 절연막 445: 제1 콘택
450: 제1 배선 460: 제2 층간 절연막
465: 제2 콘택 470: 제2 배선
480: 제3 층간 절연막 485: 제3 콘택
500: 정보처리 시스템 505: 시스템 버스
510: 메모리 시스템 511: 메모리 컨트롤러
512: 메모리 소자 520: 중앙처리장치
530: 램 540: 사용자 인터페이스
550: 모뎀
Claims (10)
- 제1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도전 라인들;
상기 제1 도전 라인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도전 라인들;
상기 제1 도전 라인들 및 상기 제2 도전 라인들의 교차부들에 각각 배치되며 가변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메모리 셀들;
상기 메모리 셀들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절연막 패턴들;
상기 메모리 셀들 사이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절연막 패턴들;
상기 제1 절연막 패턴들 사이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메모리 셀들과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열 장벽막 패턴들; 및
상기 제 2 절연막 패턴들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메모리 셀들과 이격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열 장벽막 패턴들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소자는 페로브스카이트 계열 물질 또는 전이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 저항층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 장벽막 패턴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열 장벽막 패턴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은 서로 연통되어 교차하는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은 상기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들에 포함되는 물질보다 더 낮은 열 전도도를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들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은 상기 실리콘 산화물보다 더 낮은 열 전도도를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은 상변화 물질, 다공성 실리콘 산화물, 폴리이미드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은 상기 제1 도전 라인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하부 전극, 가변 저항층, 상부 전극 및 제1 도전 라인 및 상기 가변 저항 소자 사이에 배치되는 선택 소자를 포함하는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 베이스 절연막 상에 제1 도전막 및 가변 저항 물질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가변 저항 물질막 및 상기 제1 도전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트렌치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트렌치의 내벽 상에 순차적으로 제1 절연막 패턴 및 제1 열 장벽막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가변 저항 물질막, 상기 제1 절연막 패턴 및 상기 제1 열 장벽막 패턴 상면에 제2 도전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도전막, 상기 가변 저항 물질막, 상기 제2 도전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트렌치들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2 트렌치의 내벽 상에 순차적으로 제2 절연막 패턴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열 장벽막 패턴들은 상기 제2 열 장벽막 패턴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열 장벽막 패턴들은 상기 제2 열 장벽막 패턴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열 장벽막 패턴들은 상기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들에 포함되는 물질보다 더 낮은 열 전도도를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2767A KR20150135804A (ko) | 2014-05-26 | 2014-05-26 |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US14/607,121 US20150340610A1 (en) | 2014-05-26 | 2015-01-28 |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2767A KR20150135804A (ko) | 2014-05-26 | 2014-05-26 |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5804A true KR20150135804A (ko) | 2015-12-04 |
Family
ID=5455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2767A KR20150135804A (ko) | 2014-05-26 | 2014-05-26 |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340610A1 (ko) |
KR (1) | KR2015013580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5323A (ko) * | 2017-07-06 | 2019-01-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분리 라인들 사이의 정보 저장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
US11342345B2 (en) | 2020-03-18 | 2022-05-24 | SK Hynix Inc.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37210B2 (en) | 2013-08-12 | 2016-05-10 | Micron Technology, Inc. | Vertical ferroelectric field effect transistor constructions, constructions comprising a pair of vertical ferroelectric field effect transistors, vertical strings of ferroelectric field effect transistors, and vertical strings of laterally opposing pairs of vertical ferroelectric field effect transistors |
KR102131075B1 (ko) * | 2013-11-12 | 2020-07-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US9263577B2 (en) | 2014-04-24 | 2016-02-16 | Micron Technology, Inc. | Ferroelectric field effect transistors, pluralities of ferroelectric field effect transistors arrayed in row lines and column lines, and methods of forming a plurality of ferroelectric field effect transistors |
US9159829B1 (en) | 2014-10-07 | 2015-10-13 | Micron Technology, Inc. | Recessed transistors containing ferroelectric material |
US10605474B2 (en) * | 2015-07-30 | 2020-03-31 | Encycle Corporation | Smart thermostat orchestration |
US9305929B1 (en) | 2015-02-17 | 2016-04-05 | Micron Technology, Inc. | Memory cells |
US9853211B2 (en) * | 2015-07-24 | 2017-12-26 | Micron Technology, Inc. | Array of cross point memory cells individually comprising a select device and a programmable device |
US10134982B2 (en) * | 2015-07-24 | 2018-11-20 | Micron Technology, Inc. | Array of cross point memory cells |
KR102578481B1 (ko) * | 2016-03-15 | 2023-09-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483704B1 (ko) * | 2016-03-30 | 2023-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JP6656104B2 (ja) * | 2016-07-15 | 2020-03-04 | キオクシア株式会社 | 半導体記憶装置 |
US10396145B2 (en) | 2017-01-12 | 2019-08-27 | Micron Technology, Inc. | Memory cells comprising ferroelectric material and including current leakage paths having different total resistances |
US10263039B2 (en) * | 2017-06-26 | 2019-04-16 | Micron Technology, Inc. | Memory cells having resistors and formation of the same |
KR102368428B1 (ko) * | 2017-06-29 | 2022-03-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KR102630957B1 (ko) * | 2018-12-19 | 2024-01-31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메모리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US11170834B2 (en) | 2019-07-10 | 2021-11-09 | Micron Technology, Inc. | Memory cells and methods of forming a capacitor including current leakage paths having different total resistances |
US11342501B2 (en) * | 2020-04-17 | 2022-05-24 |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 Memory cell, method of forming the same,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same |
KR20220026413A (ko) | 2020-08-25 | 2022-03-04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동작 방법 |
US11289157B1 (en) * | 2020-09-04 | 2022-03-29 | Winbond Electronics Corp. | Memory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64050A (ja) * | 2003-08-14 | 2005-03-10 | Toshiba Corp |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データ書き込み方法 |
JP4991155B2 (ja) * | 2006-01-19 | 2012-08-01 | 株式会社東芝 | 半導体記憶装置 |
-
2014
- 2014-05-26 KR KR1020140062767A patent/KR2015013580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5
- 2015-01-28 US US14/607,121 patent/US20150340610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5323A (ko) * | 2017-07-06 | 2019-01-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분리 라인들 사이의 정보 저장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
US11342345B2 (en) | 2020-03-18 | 2022-05-24 | SK Hynix Inc.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US11723214B2 (en) | 2020-03-18 | 2023-08-08 | SK Hynix Inc.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340610A1 (en) | 2015-1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135804A (ko) |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US10593874B2 (en) |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10388867B2 (en) |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s | |
CN107093612B (zh) | 可变电阻存储器件及其制造方法 | |
KR20150090472A (ko) |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195003B1 (ko) | 반도체 다이오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 |
US9257644B1 (en) | 3D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9768232B2 (en) |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CN107195776B (zh) | 半导体器件 | |
US9000409B2 (en) |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9159919B2 (en) |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US8933427B2 (en) |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TWI796285B (zh) | 可變阻值記憶體裝置及記憶體結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