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5069A - 조류 퇴치장치 - Google Patents

조류 퇴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5069A
KR20150135069A KR1020150051713A KR20150051713A KR20150135069A KR 20150135069 A KR20150135069 A KR 20150135069A KR 1020150051713 A KR1020150051713 A KR 1020150051713A KR 20150051713 A KR20150051713 A KR 20150051713A KR 20150135069 A KR20150135069 A KR 20150135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ing
algae
stopper
elimin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3707B1 (ko
Inventor
이종욱
김지환
신동헌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Publication of KR20150135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2Pest contr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에 설치가 용이하고 조류 퇴치에 효과적인 조류 퇴치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교량에 형성되는 벽체(1a)에서 5~30cm의 폭을 갖도록 돌출된 구조물(1)과, 고정부(14)의 양 끝단부에서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부(12)의 사이에 상기 구조물(1)이 끼워지는 고정수단(10)과, 상기 고정수단(10)을 상기 구조물(1)에 끼운 이후, 상기 고정수단(10)을 상기 구조물(1)에 고정시키는 스토퍼(13)와, 상기 고정수단(10)에 장착되는 지지수단(20)에 적어도 일측 끝단이 고정되고, 상기 구조물(1)과의 간격이나 서로 간의 간격이 5~20cm를 이루도록 배열되고, 그 두께가 0.1~1mm를 이루며, 고 탄소강 선재로 이루어진 와이어(30)와, 상기 와이어(30)에 연결되고 양 끝단에 원형의 고리(41a, 41b)가 구비된 스프링(41)과, 상기 와이어(30)를 상기 고리(41a)에 관통시킨 후, 접어 겹친 상태에서, 그 겹친부위를 압착하여 상기 와이어(30)를 고정시키는 압착부재(32)와, 상기 고리(41b) 보다 큰 외경을 갖는 볼트머리(42a)에 삽입되는 와셔(42b) 사이에 상기 고리(41b)가 끼워져 고정되고, 그 끝단부가 상기 지지수단(20)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45)가 체결되며, 체결된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와이어(30)의 장력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나사(42)로 구성됨으로써, 와이어에 의해 조류가 구조물에 착지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류 퇴치장치{APPARATUS FOR EXPELLING BIRDS}
본 발명은 조류 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에 조류가 착륙하지 못하도록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조류의 배설물로 인해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거나 배설물로 인한 부식이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류 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류는 날아다니기 위해서 가능한 한 체중을 줄이는 방향으로 진화해 체내에서 생겨나는 노폐물을 그때그때 배설하고 체내에 저장하지 않는다. 그 과정에서 오줌을 저장할 필요가 없으므로 방광이 퇴화되었으며 대장이 거의 없고 물을 자주 먹지 않기 위해 소변과 대변이 거의 구분되지 않고 함께 섞여서 배설된다.
그런데 소변은 동물의 체내에 흡수된 성분을 배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통 질소 성분이 소화되면 암모니아가 되는데, 암모니아는 독성이 있기 때문에 포유류의 간은 암모니아를 분해하여 독성이 없는 요소로 만들어 소변에 녹여 배출한다.
그러나 요소는 독성이 없는 대신 요소를 만드는 과정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에너지도 많이 소비되므로 조류는 암모니아를 요소 대신 요산으로 만들어 배출한다. 요산은 요소보다 독성이 높지만 단위 질량당 질소 함량이 높아서 배출 효율이 높다. 게다가 조류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대부분 육식을 하므로 체중대비 상대적으로 많은 질소성분을 배출한다. 따라서 조류는 독성이 있는 요산을 방광에 저장하지 않고 형성되는 즉시 배출하므로 조류의 배설물에는 요산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조류의 배설물이 교량이나 철재 구조물에 닿으면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교량이나 철재 구조물에 조류의 배설물이 쌓이면 미관을 해치게 되어 시민의 불편이 발생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류의 접근을 퇴치할 수 있는 장치들을 개발하였으나,,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설치비용에 비하여 효과가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특히 교량의 경우,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하여 조류가 많이 출몰하는 지역에 뾰족한 막대 침군을 설치하거나, 조류의 기피 냄새를 방출하는 조류기피제를 설치하거나, 접근을 차단하는 접근1방지망의 구조물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물의 경우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기 어렵거나, 조류기피제의 젤 상태유지를 위하여 약 2년 주기로 교체를 해야하거나, 점검 및 재조립시 많은 비용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국 등록특허 10-1178917호(2012.09.05.)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가 용이하고 조류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조류 퇴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동이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교량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경우, 진동에 의해 조류 퇴치장치의 고정상태가 해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류 퇴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류 퇴치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용접을 실시할 수 없는 교량에 설치가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류 퇴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 시, 와이어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조절하기가 용이하고, 계절변화에 따라 와이어의 신축이 발생되어도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류 퇴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류 퇴치장치는 교량에 형성되는 벽체에서 5~30cm의 폭을 갖도록 돌출된 구조물; 고정부의 양 끝단부에서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사이에 상기 구조물이 끼워지는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을 상기 구조물에 끼운 이후, 상기 고정수단을 상기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스토퍼; 상기 고정수단에 장착되는 지지수단에 적어도 일측 끝단이 고정되고, 상기 구조물과의 간격이나 서로 간의 간격이 5~20cm를 이루도록 배열되고, 그 직경이 0.1~1mm를 이루며, 고 탄소강 선재로 이루어진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고 양 끝단에 원형의 고리가 구비된 스프링; 상기 와이어를 상기 고리에 관통시킨 후, 접어 겹친 상태에서, 그 겹친부위를 압착하여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압착부재; 및 상기 고리 보다 큰 외경을 갖는 볼트머리에 삽입되는 와셔 사이에 상기 고리가 끼워져 고정되고, 그 끝단부가 상기 지지수단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가 체결되며, 체결된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나사;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량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스토퍼의 고정상태가 해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에 장착되는 풀림방지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스토퍼의 끝단과 상기구조물 사이에 장착되는 방진고무로 이루어진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지지수단에 체결되는 상기 스토퍼의 체결부에 장착되는 록너트 및 풀림방지와셔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수단의 상기 제1지지부 또는 상기 제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구조물을 향해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수단에는 상기 지지수단이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장공이 형성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기 지지수단을 상기 장공에 고정시키는 고정너트가 체결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기 와이어의 고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부가 구비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수단에는 쐐기홈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끝단을 상기 쐐기홈에 삽입한 상태에서 쐐기를 압입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의 일측 끝단은 상기 지지수단의 상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위에서부터 지그재그로 이웃하는 상기 지지수단과 교대로 연결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지지수단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의 타측 끝단과 상기 지지수단 사이에 상기 스프링과 상기 길이조절나사가 장착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에는 조류가 기피하는 냄새를 방출하는 조류 기피물질이 코팅된 코팅막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류 퇴치장치는 교량과 같은 철골 구조물에 설치가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조류의 퇴치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류 퇴치장치는 진동이 수시로 발생되는 교량에 설치되는 조류 퇴치장치가 진동에 의해 스토퍼의 고정상태가 해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오랜 시간 사용하여도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조류 퇴치성능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류 퇴치장치는 구조물에 장착한 이후에 주변 환경에 따라 와이어의 장착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고, 와이어의 장착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와이어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류 퇴치장치는 와이어에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와이어가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여 조류 퇴치성능을 향상시키심과 동시에 나란하게 배열되는 와이어 사이에 조류가 끼어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하므로 동물보호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조류 퇴치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수단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의 지지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의 지지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의 지지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 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의 장력조절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8 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의 장력조절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9 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의 장력조절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0 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의 장력조절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1 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의 와이어를 도시한 측면도,
도 1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2 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의 지지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1)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개략적인 것으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2) 도면은 관찰자의 시선으로 도시되기 때문에 도면을 설명하는 방향이나 위치는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3) 도면 번호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4)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5) 단수로 설명되는 경우 다수로도 해석될 수 있다. 6) 형상, 크기의 비교, 위치 관계 등이 '약, 실질적' 등으로 설명되지 않아도 통상의 오차 범위가 포함되도록 해석된다. 7) '~후, ~전, 이어서, 후속하여, 이때' 등의 용어가 사용되더라도 시간적 위치를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8)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단순히 구분의 편의를 위해 선택적, 교환적 또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며 한정적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9)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측면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가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10) 부분들이 '~또는'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뿐만 아니라 조합도 포함되게 해석되나, '~또는, ~중 하나'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으로만 해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조류 퇴치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수단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는 교량이나 철골 구조물에 앉는 비둘기를 앉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조류 퇴치장치는 가로등이나 전봇대 등 조류의 퇴치가 필요한 구조물 어디에든 설치가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교량에 설치되어 비둘기를 퇴치하는 장치를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는 구조물(1)에 장착되는 적어도 두 개의 고정수단(10)과 각 고정수단(10)에 장착되는 지지수단(20)과 이웃하는 지지수단(20)에 양 끝단이 연결되는 와이어(30)로 구성된다.
구조물(1)은 벽체(1a)에서 5~30cm의 폭(w) 만큼 돌출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길게 돌출된 구조물로서, 보통 교량 등 철골구조물에 많이 형성되는 부분이다. 현장조사 결과 5~30cm의 폭을 이루는 구조물(1)에 조류가 가장 많이 내려 앉았다. 구조물(1)은 교량에 설치된다는 특성상 차량의 이동에 의한 진동이 끊임없이 발생되는 구역이며, 조류 퇴치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용접을 해서는 안되는 규정이 있다. 교량에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물(1)에는 사람의 접근이 어려워 비둘기 등의 조류가 많이 내려앉는 부분이다. 조류 퇴치장치는 조류가 내려앉을 수 있을 정도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판형 형상부라면 어디든 설치가 가능하다.
고정수단(10)은 구조물(10)의 두께 보다 큰 폭을 갖는 고정부(14)와 고정부(14)의 양 끝단부에서 일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부(12)로 구성된다.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부(12)는 설치되는 구조물(1)의 두께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어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부(12) 사이에 구조물(1)을 압입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부(12)의 간격은 구조물(1)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1지지부(11)에는 구조물(1)을 향해 체결되는 스토퍼(13)가 장착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13)는 구조물(1)에 고정수단(1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지수단(20)에는 하나의 스토퍼(13)가 체결되는 구조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스토퍼(13)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량은 차량의 운행 등으로 인하여 진동이 항상 발생되므로, 스토퍼(13)를 이용해서 조류 퇴치장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키지 않으면 진동으로 인해 조류 퇴치장치가 손상될 수도 있다.
스토퍼(13)에는 풀림방지수단(50)이 장착된다. 풀림방지수단(50)은 교량에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스토퍼(13)의 고정상태가 해지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풀림방지수단(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3)의 끝단과 구조물(1) 사이에 끼워지는 방진고무(51)로 구성된다. 이때 도시되진 않았지만, 추가적으로 방진고무(51)를 제2지지부(12)와 구조물(1)이 접촉되는 부위에도 장착할 수 있다. 방진고무(51)는 스토퍼(13)의 끝단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탄성고무로 구성된다. 이외에도 진동이 스토퍼(13)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방진고무(51)는 다양한 구조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풀림방지수단(5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3)에 장착되는 나사풀림방지부재(52)로 구성될 수 도 있다. 나사풀림방지부재(52)는 지지수단(20)에 접촉되도록 스토퍼(13)에 장착되는 풀림방지와셔(52b)와 풀림방지와셔(52b)를 지지수단(20)에 가압하도록 스토퍼(13)에 체결되는 록너트(52a)로 구성된다. 풀림방지와셔(52b)는 지지수단(20)과 록너트(52a) 사이에 탄성이 크게 작용하도록 스프링와셔나 댐핑이 큰 고무와셔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혀붙이와셔 또는 톱니붙이와셔를 적용하여 록너트(52a)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풀림방지와셔(52b)와 함께 사용되는 록너트(52a)는 일반 너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풀림방지와셔(52b)를 사용하지 않고 록너트(52a)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록너트(52a)가 더블너트나 고정너트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록너트(52a)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나사면에 플라스틱이 첨가된 너트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록너트(52a)와 스토퍼(13) 사이의 체결면에 록타이트와 같인 접합제를 첨가하여 풀림을 방지하는 구조의 적용도 가능하다.
또한, 스토퍼(13)에는 풀림방지수단(50)이 장착된다. 풀림방지수단(50)은 교량에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스토퍼(13)의 고정상태가 해지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풀림방지수단(50)은 스토퍼(13)의 끝단과 구조물(1) 사이에 끼워지는 방진고무(51)로 구성된다. 이때 도시되진 않았지만, 추가적으로 방진고무(51)를 제2지지부(12)와 구조물(1)이 접촉되는 부위에도 장착할 수 있다. 방진고무(51)는 스토퍼(13)의 끝단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탄성고무로 구성된다. 이외에도 진동이 스토퍼(13)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방진고무(51)는 다양한 구조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풀림방지수단(50)으로서, 방진고무(51)와 나사풀림방지부재(52)는 두 장치를 함께 적용하는 구조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방진고무(51)나 나사풀림방지부재(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스토퍼(13)에 장착하여, 교량의 진동에 의해 스토퍼(13)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에는 와이어(30)가 배열되는 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길게 관통되는 장공(16)이 형성된다.
지지수단(20)의 끝단에는 지지수단(20)을 장공(16)에 고정시키는 고정너트(21)가 체결된다. 고정너트(21)는 두 개가 체결되거나, 끝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하나의 고정너트(21)가 체결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장공(16)은 구조물(10)의 폭에 따라 다수개도 설치가 가능하고 비둘기가 착지하기 어렵도록 지지수단(20)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폭이 넓은 경우 너무 안쪽으로 위치시키면 비둘기가 구조물(1)의 끝단부에 앉을 수 있으므로 지지수단(20)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다수개의 지지수단(20)을 설치할 수 있다.
지지수단(2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끝단에는 고정수단(10)의 장공(16)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너트(21)가 체결된다. 지지수단(20)에는 와이어(20)의 고정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22)가 구비된다.
고정부(22)는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와 같이 고정수단(2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어 연장되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와 같이 지지수단(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와이어(30)에는 링형상에 끼울 수 있는 연결고리가 장착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와 같이 지지수단(20)에는 쐐기홈(23)이 형성되고, 와이어(30)의 끝단부를 쐐기홈(23)에 삽입한 상태에서 쐐기(24)를 쐐기홈(23)에 압착시켜 와이어(30)를 고정시킨다. 쐐기홈(23)은 관통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0)의 타측 끝단에는 장력조절수단(40)이 연결되고, 장력조절수단(40)은 지지수단(20)의 고정부(22)에 연결된다. 장력조절수단(40)은 후술할 스프링(41), 길이조절나사(42) 또는 스프링(41)과 길이조절나사(42)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고정부(22)가 일측 방향을 향해서만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지지수단(20)에 다수개의 고정부(22)를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열을 이루도록 배치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지지수단(2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고정부(22)를 180도 간격으로 2열로 배열하는 경우 하나의 지지수단(20)에 두 줄의 와이어(20)를 180도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고정부(22)의 설치각도는 조류 퇴치장치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가 장착되는 교량의 구조물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조물(1)에 고정수단(10)을 삽입하고, 스토퍼(13)를 체결한다. 스토퍼(13)는 구조물(1)에 고정수단(1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수단(10)을 적어도 두 개 설치한 상태에서 와이어(30)를 지지수단(20)에 설치한다. 와이어(30)의 일측 끝단은 지지수단(20)에 곧바로 연결하고, 타측 끝단은 장력조절수단(40)에 연결하고, 장력조절수단(40)의 타측 끝단을 지지수단(20)에 연결한다.
와이어(30)는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그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3개에서 5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30)는 구조물(10)과의 간격(h1)이 5~20cm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장 설치결과 와이어(30)와 구조물(10)의 간격이 20cm를 넘으면 그 사이로 조류가 내려앉을 수 있게 되고, 그 간격이 5cm 이하에서는 조류가 내려앉을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구조물(10)과 와이어(30)의 간격은 5~20cm의 간격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각 와이어(30) 서로 간의 간격(d1)도 5~20cm를 이루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30)는 그 직경이 0.1~1mm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장 설치결과 직경이 1mm 이상이 되면 지지수단(20)에 장착한 상태에서 장력을 유지시키거나, 지지수단(20)이나 스프링에 와이어(30)를 고정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와이어(30)는 고 탄소강 선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30)를 이루는 성분은 C 함유량 0.60- 1.05%이고, 그 외에 Si, Mn, S, P, Cu 등을 함유하며, 고도의 인장 강도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피아노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30)의 외주면에는 조류가 기피하는 냄새를 방출하는 조류 기피물질이 코팅된 코팅막(30a)이 코팅된다. 조류 기피물질(30a)은 크레졸, 나프탈렌 등의 물질이나, 캡사이신류, 갈릭류, 레드페퍼류 등을 사용하며, 그 이외에도 조류가 싫어하는 냄새를 발산하는 물질이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와이어(30)에 코팅되는 코팅막(30a)에는 야광물질이 코팅되는 것도 가능하다. 야광물질과 조류 기피물질이 함께 코팅되는 것도 가능하다. 야광물질은 밤에도 조류가 착지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와이어(30)는 장력조절수단(40)에 의해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겨울철에는 와이어(30)는 수축되므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여름철의 경우에는 와이어(30)가 팽창하면서 느슨해 질 수 있다. 이때 장력조절수단(40)이 와이어(30)가 늘어난 만큼 수축되면서 와이어(30)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장력조절수단(40)은 와이어(30)가 언제나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며 비둘기 등의 조류가 착지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비둘기 들이 와이어(30) 사이에 끼는 경우 늘어나면서 비둘기가 와이어(30) 사이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즉, 비둘기가 와이어(30) 사이에 결박되는 위급한 상황에서 비둘기는 장력조절수단(40)의 탄성한계를 극복하여 자력으로 와이어(30) 사이에 낀 상태를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11), 제2지지부(12)는 구조물을 향해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탄성부재(15)가 장착된다.
고정수단(10)은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부(12)의 끝단이 서로 교차되도록 연장된 상태에서 그 교차부가 힌지결합되어 집계 형상을 이룬다.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부(12)가 형성된 부위에 대향되는 방향인 손잡이부에는 탄성부재(15)가 장착된다. 탄성부재(15)는 압축된 상태로서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부(12)이 구조물(1)을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제1지지부(11)에 지지수단(20)이 장착되는 경우, 제1지지부(11)에는 지지수단(20)이 장착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지수단(20)의 설치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제1지지부(11)의 끝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유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수단(10)의 제1지지부(11) 및 제2지지부(12)와 구조물(1)이 접촉되는 부분에는 풀림방지수단으로 방진고무(51)가 장착된다.
고정수단(10)의 형상 이외의 구조 및 작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0)의 일측 끝단은 지지수단(20)의 상단부측 고정부(22)에 장착되고, 위에서부터 지그재그로 이웃하는 지지수단(20)과 교대로 연결되고, 마지막으로 타측 끝단은 이웃하는 지지수단(20)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이때 와이어(30)와 지지수단(20) 사이에는 장력조절수단(40)이 장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조절수단(40)이 하단측에 위치하는 와이어(30)의 타측 끝단에 장착되는 것은 하단측에 위치하는 와이어(30)가 조류가 구조물에 앉지 못하도록 하는게 가장 큰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하단측 와이어(30)가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장력조절수단(40)이 와이어(30)의 타측 끝단에 장착되는 것이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장력조절수단(40)이 와이어(30)의 중간부에 장착되거나, 와이어(30)의 일측 끝단에 장착되거나, 와이어(30)의 양 끝단에 모두 장착되는 구조의 적용도 본 발명에서는 가능하다. 하나의 와이어(30)를 지그재그로 연결하여 장착하는 경우에는 설치되는 모든 와이어(30)의 장력을 동일하게 조절하기가 용이하다. 즉, 다수개의 와이어(30)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와이어(30)의 장력을 모두 동일하게 유지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반면, 하나의 와이어(30)를 지그재그로 연장시키는 경우에는 각 구간의 와이어(30) 장력이 모두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조류 퇴치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하나의 와이어(30)가 지그재그로 교차하면서 지지수단(20)에 장착되는 구조 이외의 구조와 작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 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조절수단(40)이 길이조절나사(42)로 구성된다. 길이조절나사(42)의 머리부에는 와이어(30)가 연결되고, 몸체부는 지지수단(20)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체결된다. 와이어(30)가 느슨해지면 길이조절나사(42)를 좀 더 깊게 체결하여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반대로 너무 팽팽하면 길이조절나사(42)의 체결깊이를 얕게하여 와이어(30)의 장력을 조절한다. 길이조절나사(4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20)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체결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20)에 형성된 관통공에 길이조절나사(42)를 삽입한 상태에서, 지지수단(20)의 기준으로 길이조절나사(42)의 양단에 체결너트(45)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와이어(30)는 피아노선을 사용하므로 길이조절나사(42)에 연결한 상태에서 끝단을 압착부재(32)로 압착하여 와이어(30)를 고정시킨다. 압착부재(32)를 와이어(30)를 접어서 겹친상태에서 와이어(30)의 끝단부 부근에 압착시키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러한 압착부재(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시켜 와이어(30)를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8 실시에인 조류 퇴치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조절수단(40)이 스프링(41)과 길이조절나사(42)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와이어(30)의 타측 끝단은 스프링(41)에 연결되고, 스프링(41)은 다시 길이조절나사(42)의 머리부에 연결된다. 스프링(41)이 연결된 길이조절나사(42)의 몸체부는 지지수단(20)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체결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9 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20)에 형성된 관통공에 길이조절나사(42)를 삽입한 상태에서, 지지수단(20)의 기준으로 길이조절나사(42)의 양단에 체결너트(45)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1에 도시된 길이조절나사(42)와 와이어(30) 사이에 스프링(41)이 추가 장착된 구조도 포함한다. 길이조절나사(42)는 그 길이조절이 충분히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의 길이가 확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0 실시예인 조류퇴치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1)의 양 끝단에 원형의 폐곡선을 이루는 고리(41a, 41b)가 구성되고, 와이어(30)는 압착부재(32)에 의해 고리(41a)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고리(41a)에 길이조절나사(42)가 삽입된 상태로 그 끝단이 지지수단(20)에 체결된다. 이때 고리(41b) 보다 큰 외경을 갖는 볼트머리(42a)에 와셔(42b)가 삽입되고, 와셔(42b) 사이에 고리(41b)가 끼워져 고정된다. 길이조절나사(42)는 지지수단(20)을 관통하고 그 끝단에 너트(45)가 체결된다. 너트(45)의 체결길이에 따라 와이어(30)의 장력이 조절된다. 또한 볼트머리(42a)가 고리(41b) 보다 충분히 큰 경우에는 와셔(42b)를 삽입하지 않고 고리(41b)가 볼트머리(42a)에 걸쳐지도록 구성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1 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0)는 두 줄을 꼬아서 형성하고, 일정간격을 두고 꼬임부에 가시(31)를 장착한다. 가시는 별도의 와이어(30)를 날카롭게 잘라서 꼬임부에 꼬아서 형성한다. 목장에서 사용하는 가시 달린 철조망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된다. 가시(31)는 10~15cm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31)가 장착된 꼬임 형태의 와이어(30)를 사용하는 것 이외의 구조와 작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류퇴치장치는 와이어로 피아노선을 사용하여 비둘기가 많이 출몰하는 지역에 설치함으로써, 비둘기가 구조물에 착지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비둘기의 접근이 차단되므로 교량과 같은 철골 구조물의 미관이 손상되거나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얇은 피아노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와이어 자체로 매듭지어서 고정시키기 어려우므로 압착부재(32)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고정시킨다.
또한 고정수단에 장공을 형성하여 구조물의 폭 방향으로 지지수단(20)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주변환경, 즉 구조물의 폭에 따라 지지수단(20)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폭이 너무 넓은 경우 다수개의 지지수단(20)의 장공에 설치하여 조류의 접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에 장력조절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계절에 따라 와이어가 신축되더라도 그 길이 변화를 보상할 수 있어 와이어가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조류 퇴치효과가 향상된다. 장력조절수단은 와이어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와이어가 언제나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나란하게 배열되는 와이어와 와이어의 틈새에 비둘기가 끼는 경우, 비둘기가 자력으로 장력조절수단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틈새를 벌리고 탈출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동물 보호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와이어를 두 개의 지지수단 사이에 지그재그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10)은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부(1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C'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구조물에 압입되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고정수단(10)을 구조물에 설치한 상태에서 스토퍼(13)를 채결하여 고정수단(10)이 구조물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교량 등의 구조물에 설치될 때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교량 등은 통행하는 자동차 등에 의해 항상 진동이 발생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교량에서는 단순히 고정수단(10)의 압입하는 방법으로 고정시키면 오랜 시간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고정수단(10)의 설치 위치가 변동되거나 구조물에서 고정수단(10)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즉 고정력에 한계상황이 발생될 소지가 있다. 스토퍼(13)는 이와 같이 진동이 발생되는 구조물에서 고정수단(10)이 설치위치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진동에 의한 스토퍼(13)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풀림방지수단(50)을 장착하여 오랜 시간 사용하여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풀림방지수단(50)으로 방진고무(51)와 나사풀림방지부재(52)를 적용함으로써, 교량에서 발생되는 잦은 진동으로 인해 스토퍼(13)가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고정수단 11 : 제1지지부
12 : 제2지지부 13 : 스토퍼
14 : 고정부 16 : 장공
20 : 지지수단 21 : 고정너트
22 : 고정부 30 : 와이어
40 : 장력조절수단 41 : 스프링
42 : 길이조절나사 50 : 풀림방지수단
51 : 방진고무 52 : 나사풀림방지부재

Claims (11)

  1. 교량에 형성되는 벽체(1a)에서 5~30cm의 폭을 갖도록 돌출된 구조물(1);
    고정부(14)의 양 끝단부에서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부(12)의 사이에 상기 구조물(1)이 끼워지는 고정수단(10);
    상기 고정수단(10)을 상기 구조물(1)에 끼운 이후, 상기 고정수단(10)을 상기 구조물(1)에 고정시키는 스토퍼(13);
    상기 고정수단(10)에 장착되는 지지수단(20)에 적어도 일측 끝단이 고정되고, 상기 구조물(1)과의 간격이나 서로 간의 간격이 5~20cm를 이루도록 배열되고, 그 직경이 0.1~1mm를 이루며, 고 탄소강 선재로 이루어진 와이어(30);
    상기 와이어(30)에 연결되고 양 끝단에 원형의 고리(41a, 41b)가 구비된 스프링(41);
    상기 와이어(30)를 상기 고리(41a)에 관통시킨 후, 접어 겹친 상태에서, 그 겹친부위를 압착하여 상기 와이어(30)를 고정시키는 압착부재(32); 및
    상기 고리(41b) 보다 큰 외경을 갖는 볼트머리(42a)에 삽입되는 와셔(42b) 사이에 상기 고리(41b)가 끼워져 고정되고, 그 끝단부가 상기 지지수단(20)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45)가 체결되며, 체결된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와이어(30)의 장력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나사(42);를 포함하는 조류 퇴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스토퍼(13)의 고정상태가 해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13)에 장착되는 풀림방지수단(50);을 더 포함하는 조류 퇴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수단(50)은 상기 스토퍼(13)의 끝단과 상기구조물(1) 사이에 장착되는 방진고무(51)로 이루어지는 조류 퇴치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수단(50)은 상기 지지수단(20)에 체결되는 상기 스토퍼(13)의 체결부에 장착되는 록너트(52a) 및 풀림방지와셔(52b)를 포함하는 나사풀림방지부재(52)로 이루어지는 조류 퇴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0)의 상기 제1지지부(11) 또는 상기 제2지지부(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구조물을 향해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탄성부재(15)에 의해 지지되는 조류 퇴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0)에는 상기 지지수단(20)이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장공(16)이 형성되는 조류 퇴치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0)에는 상기 지지수단(20)을 상기 장공(16)에 고정시키는 고정너트(21)가 체결되는 조류 퇴치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0)에는 상기 와이어(30)의 고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부(22)가 구비되는 조류 퇴치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0)에는 쐐기홈(23)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끝단을 상기 쐐기홈에 삽입한 상태에서 쐐기(24)를 압입하는 조류 퇴치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30)의 일측 끝단은 상기 지지수단(20)의 상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위에서부터 지그재그로 이웃하는 상기 지지수단(20)과 교대로 연결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지지수단(20)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30)의 타측 끝단과 상기 지지수단(20) 사이에 상기 스프링(41)과 상기 길이조절나사(42)가 장착되는 조류 퇴치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30)에는 조류가 기피하는 냄새를 방출하는 조류 기피물질이 코팅된 코팅막(30a)이 구비된 조류 퇴치장치.
KR1020150051713A 2014-05-22 2015-04-13 조류 퇴치장치 KR1017437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700 2014-05-22
KR20140061700 2014-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069A true KR20150135069A (ko) 2015-12-02
KR101743707B1 KR101743707B1 (ko) 2017-06-05

Family

ID=54555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713A KR101743707B1 (ko) 2014-05-22 2015-04-13 조류 퇴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55358B2 (ko)
KR (1) KR1017437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2913A (zh) * 2019-08-14 2019-11-05 华北水利水电大学 可折叠式渠道闸门防鸟网
KR102531773B1 (ko) * 2022-04-21 2023-05-10 이진희 스위블조인트 조류퇴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9355B2 (en) * 2015-05-07 2017-04-25 James Lafser Bird deterrent assembly
US10349650B1 (en) * 2015-08-11 2019-07-16 James Harry Launder Bird control system
CN105900971B (zh) * 2016-07-01 2018-11-09 张洋祎 一种组合式防鸟装置
US11129377B1 (en) * 2018-05-21 2021-09-28 Kleinfelder, Inc. Avian nest deterrent system
IL263921B2 (en) * 2018-12-23 2023-08-01 Ravuna Tohar Bird repellency system
CN115245159B (zh) * 2022-09-03 2023-09-01 吴淑 一种多功能电线杆保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5565A (en) * 1950-08-19 1952-08-05 Jr Aloys H Meyer Electrified gate construction
US4162590A (en) * 1978-01-16 1979-07-31 Earley Vernon A Burglar bar apparatus
DE3825933A1 (de) * 1988-07-29 1990-02-01 Martin Umwelt & Energietech Verfahren zur regelung der feuerleistung bei verbrennungsanlagen
US5081958A (en) * 1989-03-10 1992-01-21 Terry Quisenberry One way animal gate
JP3171937B2 (ja) * 1992-07-15 2001-06-04 パロマ工業株式会社 調理器用自動消火装置
JP2003088293A (ja) * 2001-09-18 2003-03-25 Shigeru Yoshida ベランダ等の野鳥飛来防止装置
US8898957B2 (en) * 2011-10-07 2014-12-02 Safe @ Home, LLC Safety guard or gat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2913A (zh) * 2019-08-14 2019-11-05 华北水利水电大学 可折叠式渠道闸门防鸟网
CN110402913B (zh) * 2019-08-14 2021-07-23 华北水利水电大学 可折叠式渠道闸门防鸟网
KR102531773B1 (ko) * 2022-04-21 2023-05-10 이진희 스위블조인트 조류퇴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35006A1 (en) 2015-11-26
KR101743707B1 (ko) 2017-06-05
US9655358B2 (en) 201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707B1 (ko) 조류 퇴치장치
US9234367B2 (en) T-post fence attachment system
BRPI0520322A2 (pt) sistema de gramado sintético que possui estrutura de captura de enchimento
EP2157275B1 (en) Device for tensioning a rail-guided roller screen
US9624997B2 (en) Pool spring cover
US20170268254A1 (en) Security Device and System
JP2008019624A (ja) 柵のビーム取付構造
US20220247345A1 (en) Solar panel guard system
KR101007626B1 (ko) 조류 접근 방지망 및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그 설치방법
KR20130087205A (ko) 해변데크용 핸드레일 연결장치
US7536733B2 (en) Platform for training and aiding a pet to use a conventional toilet
GB2470425A (en) Animal positioning rail
JP3142217U (ja) グレーチング飛散防止金具
US6478320B2 (en) Anchoring system of spring to vehicle axle and spring for vehicle axle
JP3101165U (ja) 角フックボルトを用いた橋梁用丸穴付枕木固定構造
JP3159724U (ja) 制振ターンバックル
KR100579618B1 (ko) 충격흡수용 조립식 도로 중앙분리대
KR200272321Y1 (ko) 중앙선 침범방지 봉
US20090057637A1 (en) Mounting Straps for Barriers
JP3769634B2 (ja) 鳥害防止器取付装置
ITMI20050214U1 (it) Morsetto fissacavo a fissaggio chiusura ed apertura agevolati
US20190242455A1 (en) Connector for conveyor belts
JP2005314981A (ja) ワイヤーロープ補助具
JP3161680U (ja) 耐震補強用筋交い
CN210094454U (zh) 一种高压线鸟害防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