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5061A - 수컷 유체 연결 요소 및, 상기 연결 요소와 암컷 맞춤 요소를 포함하는 연결구 - Google Patents

수컷 유체 연결 요소 및, 상기 연결 요소와 암컷 맞춤 요소를 포함하는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5061A
KR20150135061A KR1020150027318A KR20150027318A KR20150135061A KR 20150135061 A KR20150135061 A KR 20150135061A KR 1020150027318 A KR1020150027318 A KR 1020150027318A KR 20150027318 A KR20150027318 A KR 20150027318A KR 20150135061 A KR20150135061 A KR 20150135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ring
sleeve
plug
contro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8472B1 (ko
Inventor
알랭-크리스토프 티베르지엥
크리스토프 뒤리오
Original Assignee
스또블리 파베르쥬
스또블리 파베르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또블리 파베르쥬, 스또블리 파베르쥬 filed Critical 스또블리 파베르쥬
Publication of KR20150135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with a separate member for releasing th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수컷 연결(r) 요소(100)는 튜브형 동체(102) 및 유체 통과를 위한 튜브형 플러그(104)를 구비하며, 상기 튜브형 동체는 중심 축(x102) 및 말단 입구를 한정하고, 상기 튜브형 플러그는 동체 내부에 동일 축선상으로 위치되고, 동체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며, 플랜지(104b)를 구비한다. 이것은, 슬리이브(116), 제어 부재(108) 및, 제어 부재(108)를 잠그는 장치(10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리이브(116)는 플랜지(104b)로부터 멀리 있는 제 1 위치와, 플랜지(104b)에 인접하거나 도는 플랜지에 맞닿아 있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플러그(104) 둘레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제어 부재는 슬리이브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변위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제어 부재를 잠그는 장치(105)는 제 1 부분(106) 및 제 2 부분(114)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제어 부재의 기동을 방지하는, 제 1 부분의 말단 위치와, 슬리이브(116)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제어 부재의 기동에 저항하지 않는, 제 1 부분의 기단 위치 사이에서, 튜브형 플러그 둘레로 동체(102) 내부에서 미끄러질 수 있고, 상기 제 2 부분(114)은, 제 2 부분의 말단 위치와 제 2 부분의 기단 위치 사이에서 튜브형 플러그 둘레로 동체 내부에서 미끄러질 수 있고, 말단 위치로부터 기단 위치로 장치의 제 1 부분을 구동시킬 수 있고, 동체의 입구에 접근될 수 있는 단부를 가진다.

Description

수컷 유체 연결 요소 및, 상기 연결 요소와 암컷 맞춤 요소를 포함하는 연결구{MALE FLUIDIC CONNECTING ELEMENT AND CONNECTOR COMPRISING SUCH AN ELEMENT AND A FEMALE MATING ELEMENT}
본 발명은 수컷 유체 연결 요소에 관한 것이며, 그러한 수컷 요소 및 암컷 맞춤 요소를 포함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연결구는 특히 자동차 산업의 분야에서 이용된다. 실제로, 신규 차량의 엔진 테스트 국면중에, 엔진은 테스트 벤치(test bench)상에 설치되며, 그 위에서 엔진은 일시적으로 보조적인 유체 회로에 연결된다. 일단 테스트 국면이 완료되면, 차량의 엔진 구획부에 있는 공급 회로에 확실하게 연결되도록 엔진들은 상기 보조 회로들로부터 연결 해제된다. 이러한 연결은 신속하게 연결 및 연결 해제될 수 있는 연결구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공지된 방식으로, 테스트 벤치들에 장착된 엔진들의 유체 연결구들은 플라스틱 재료의 암컷 요소를 포함하며, 이것은 유체의 통과를 위하여 수컷 튜브형 플러그의 플랜지에 후크 연결되도록 적합화된 탄성 클로우(elastic claw)를 가진다. 엔진들의 장착 및 장착 해제 사이클과, 연결구들의 결합 및 연결 해제를 위한 연속적인 작업들은 암컷 요소의 탄성 클로우들을 이용한다.
국제 출원 공개 WO-A-2011/006591 은 도관에 연결된 암컷 연결 요소 및 유체의 통과를 위한 수컷 튜브형 플러그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구를 개시한다. 암컷 요소는 수컷 플러그의 플랜지를 보유하는 탄성 클로우들을 포함한다. 수컷 플러그 및 암컷 요소를 결합 해제시키기 위하여, 작업자는 클로우들을 누르기 위하여 클로우 둘레에 위치된 탭을 기동함으로써 클로우들이 수컷 플러그의 플랜지와 더 이상 맞물리지 않고 수컷 플러그가 암컷 요소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상태로 회전되게 한다. 이러한 결합 해제는 작업자에게 편리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작업자는 접근이 곤란한 부품들을 기동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만약 작업자가 충분하게 잠금 클로우들을 누르지 않는다면, 클로우들은 손상될 위험성이 있거나, 또는 수컷 플러그의 제거시에 플랜지의 접촉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특정 연결구의 암컷 단부 부재에는 덮개가 설치되는데, 상기 덮개는 연결구를 연결 해제시킬 목적으로 수컷 요소상에 맞물린 플랜지로부터 클로우들을 후크 연결 해제시키도록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기동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는 사실상 클로우들을 외측을 향하여 밀어서, 잠금 클로우들이 플랜지에 의해 후크 연결되지 않으면서 수컷 플러그가 암컷 요소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덮개의 기동은 고정되지 않으며, 즉, 덮개의 변위를 제어하기 위한 부재는 결합 상태에서 차단되지 않고,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작업자는 연결구를 부주의로 또는 불량한 사용으로 결합 해제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시스템은 클로우들이 강제적으로 후크 연결 해제될 때 클로우들이 플랜지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로 마모되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보다 강력하고 보다 안정된 수컷 유체 연결 요소를 제안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수컷 유체 연결 요소에 관한 것으로서, 이것은, 중심축 및 말단 입구를 형성하는 튜브형 동체; 및,
동체 내부에서 동일 축에 위치되고, 동체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암컷 요소의 하나 이상의 클로우들과 후크 연결되기 위한 플랜지를 구비하는, 유체 통과를 위한 튜브형 플러그;를 포함하는, 수컷 유체 연결 요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컷 유체 연결 요소는:
슬리이브가 플랜지로부터 이탈되어 있는 제 1 위치와, 슬리이브가 플랜지에 인접하거나 또는 플랜지에 대하여 맞닿아 있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플러그 둘레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슬리이브;
슬리이브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변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재; 및,
제어 부재를 잠그기 위한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장치는:
슬리이브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움직이기 위하여 제어 부재의 기동을 방지하는 제 1 부분의 말단 위치와, 슬리이브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변위시키는 제어 부재의 그 어떤 기동에도 저항하지 않는 제 1 부분의 기단 위치 사이에서, 튜브형 플러그 둘레의 동체 내부에 미끄러질 수 있는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의 말단 위치와 제 2 부분의 기단 위치 사이에서 튜브형 플러그 둘레의 동체 내부에 미끄러질 수 있는 제 2 부분으로서, 장치의 제 1 부분을 말단 위치로부터 기단 위치로 구동할 수 있고, 동체의 입구에 접근 가능한 말단 단부를 가지는, 제 2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차단 제거용 슬리브의 존재는 축방향으로 이탈되게 움직이고 다음에 수컷 요소를 암컷 요소로부터 제거하기 전에 플랜지의 각각의 클로우를 방사상으로 제거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결합 해제시에 클로우들이 수컷 요소의 플러그의 플랜지에 대하여 맞닿을 위험성이 없고 결국에는 응력을 덜 받는다. 더욱이, 잠금 장치는 말단 위치에서 제어 부재의 기동을 방지하는데, 이것은 제어 부재에 대한 작업자의 잘못된 작용을 방지한다. 연결구를 결합 해제시키기 위하여, 작업자는 잠금 링을 기단 위치로 밀도록 수컷 요소 및 암컷 요소를 함께 가까이 가져가야 하는데, 이는 보다 안정적이다. 이것은 실제로 작업자가 제어 부재에 잘못된 작용을 한 이후에, 연결구의 비자발적인 결합 해제를 회피시킬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것은 또한 플랜지에 대한 클로우들의 마모 및 파열을 방지하도록 클로우들을 이탈되게 움직이기 전에 플랜지상에 후크 연결될 클로우들이 수컷 요소로부터 이탈되게 움직이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유리하지만 필수적이지 않은 국면들에 따르면, 수컷 유체 연결 요소는 기술적으로 수용 가능한 조합으로 취해지는, 다음 특징들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컷 요소는 탄성 압축 부재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한편으로 잠금 장치의 제 2 부분과 다른 한편으로 슬리이브 사이에 지지되고, 제 2 부분의 말단 위치로의 복귀 및 슬리이브의 제 1 위치로의 복귀를 보장할 수 있다.
제어 부재는 중심 축에 대한 직교 방사축 둘레에서 동체상에 결합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슬리이브를 그것의 제 2 위치를 향하여 미는 핑거를 포함하는데, 핑거는 잠금 장치의 제 1 부분의 통공을 통해 연장된다.
레버는 레버의 피봇 회전을 차단하는 언덕부를 구비하며, 잠금 장치가 말단 위치에 있을 때 언덕부는 잠금 장치의 제 1 부분에 맞닿는다.
슬리이브는 플러그의 플랜지의 직경 보다 큰 외측 직경을 가진다.
잠금 장치의 제 1 부분은 잠금 링이고, 잠금 장치의 제 2 부분은 잠금 링에 상대적으로 중심 축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프로빙 링(probing ring)이며, 프로빙 링은 잠금 링을 그것의 기단 위치를 향하여 밀 수 있다.
프로빙 링은, 잠금 링과 접촉하게 되는 중간 위치와 말단 위치 사이에서 차단 링을 구동하지 않으면서, 동체에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요소는 잠금 링을 그것의 말단 위치로 탄성 복귀시키기 위한 힘을 가하는 부재를 포함한다.
잠금 장치는 제 1 기단 부분 및 제 2 말단 부분으로 이루어진 1 개 부재 조립체이며, 상기 조립체는 잠금 장치의 기단 부분이 제어 부재의 기동을 방지하는 말단 위치와, 장치의 기단 부분이 제어 부재의 기동에 저항하지 않는 기단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튜브형 플러그는 기단 부분 및 말단 부분을 포함하고, 플랜지를 유지하며 스프링의 복원력에 반하여 동체에 상대적으로 전진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플러그의 기단 부분은 동체에 대하여 고정되는 반면에, 플러그는 플러그의 말단 부분을 전진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볼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체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것은 이전에 설명된 수컷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클로우를 구비한 암컷 요소를 구비하고, 클로우는 수컷 요소의 플랜지와 후크 연결되기 위한 표면을 가진다. 슬리이브는 클로우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움직일 때 각각의 클로우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하지만 필수적이지 않은 국면들에 따르면,
암컷 요소는 푸셔를 포함하는데, 상기 푸셔는 잠금 장치의 제 2 부분의 단부로부터 미는 표면을 가지고, 상기 단부는 동체의 입구에서 푸셔로 접근 가능하다.
후크 연결 표면과 미는 표면 사이의 거리는, 중심 축과 평행하게 측정된, 플랜지에 속하는 차단면과, 잠금 장치의 잠금 장치의 말단 위치에서의 제 2 부분과 암컷 요소 사이의 접촉 표면과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잠금 장치의 제 1 부분은 클로우의 후크 연결 표면이 수컷 요소의 플랜지와 맞물릴 때 제어 부재의 기동을 방지한다.
연결구의 결합 상태와 비교하여 수컷 요소 및 암컷 요소가 서로 더 가까워진 이후에 제어 부재가 기동 가능하다.
본 발명 및 그것의 다른 장점들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유체 연결구, 수컷 요소 및 암컷 요소의 몇가지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며, 이들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오직 하나의 예로서 주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연결구의 길이 방향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컷 요소 및 암컷 요소를 구비하고, 이들 단면도들은 연결구에 대한 연속적인 결합 및 결합 해제 단계들을 나타낸다.
도 7 은 도 1 의 VII 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 은 도 3 의 VIII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 는 도 1 내지 도 8 의 유체 연결구의 암컷 요소의 사시도로서, 더 낳은 도시를 위하여 절반이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 은 도 1 내지 도 6 의 연결구의 암컷 요소의 대안의 구성에 대한, 도 9 와 유사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 는 도 1 및 도 5 와 각각 유사한 길이 방향 단면도로서, 이것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컷 요소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구를 나타낸다.
도 13 내지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컷 요소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구를 위한 결합 해제 단계를 나타내는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1 에는 유체 연결구(R)가 비결합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구(R)는 유체가 기체 또는 액체이든, 그 어떤 유형의 유체 통과를 위해 적합화된다. 유체 연결구(R)는 수컷 요소(100) 및 암컷 요소(200)를 포함한다. 요소(100,200)들 각각은 도면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도관에 각각 실제로 연결된다.
수컷 요소(100)는 외측 동체(102)를 구비하며, 이것은 전체적으로 튜브형의 기하 형상을 가지며, 축(X102)에 중심을 맞춘다. 밀봉 개스킷을 제외하고, 수컷 요소(100)의 구성 부분들은 모두 금속이다. 이들은 제조가 더욱 간단하며, 이는 저렴한 연결구(R)가 결과되게 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연결 요소의 "말단" 또는 "전방" 방위는 도 1 의 구성에서 맞춤 연결 요소를 향하여 전환된 축방향을 나타내고, 연결 요소의 "기단" 또는 "후방" 방위는 맞춤 연결 요소에 대하여 반대로 전환된 축방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수컷 요소(100)의 경우에, 말단 방향은 암컷 요소(200)에 대하여 반대로 전환되는 반면에, 기단 방향은 암컷 요소(200)에 대하여 반대로 전환된다. 보다 낳은 위치 선정을 위하여, 연결 요소내에서 말단의 통로에 위치한 요소들은 "b" 자로 표시된 참조 번호를 가지는 반면에, 연결 요소내에서, 기단의 통로에 위치한 요소들은 "a"자로 표시된 참조 번호를 가진다.
동체(102)는 말단 입구(102.1) 및 상기 말단 입구(102.1)의 측부상에 위치된 내측 어깨부(102b)를 한정한다. 동체(102)는 또한 다른 내측 어깨부(102a)를 한정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어깨부(102b)에 대하여 기단 통로내에 위치된다. 동체(102)는 제어 부재(108)의 통과를 위한 통공(O102)을 더 포함한다.
유체의 통과를 위한 튜브형 플러그(104)는 동체(102)의 내부에 동일 축으로 위치되며 동체로부터 말단 통로에서 돌출한다. 플러그(104)는 수컷 플러그이고, 이것은 암컷 요소(200)와의 후크 연결(hooking up)을 위한 플랜지(104b)를 구비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플랜지(104b)는 암컷 요소(200)의 클로우(claw, 202)를 차단하기 위한 면(S104b)을 구비한다. 이러한 면(S104b)은 플랜지(104b)의 기단측상에 위치된 고리형 표면이다.
수컷 요소(100)는 "클로우 제거(declawing)" 슬리이브(116)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암컷 요소(200)의 클로우(202)들을 제거하도록 적합화되고, 제어 부재(108)의 작용하에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슬리브(116)는 플러그(104) 둘레에 동일 축으로 위치된다. 이것은 기단 크라운(proximal crown, 116a) 및 말단 단부(116b)를 포함하는데, 기단 크라운과 제어 부재(108)가 협동하고, 말단 단부는 암컷 요소(200)와 협동하도록 적합화된다. 슬리이브(116)는 플러그(104) 둘레에서 축방향으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 위치에서 클로우(202)와 상호작용하지 않고, 제 2 위치에서 클로우(202)를 플랜지(104)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제 1 위치는 결합 위치이고, 제 2 위치는 결합 해제 위치이다.
수컷 요소(100)는 제어 부재를 잠그기 위한 장치(105)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튜브형 플러그(104) 둘레에서 동체(102) 내부로 미끄러질 수 있는 제 1 부분(106) 및 제 2 부분(114)으로 이루어진다.
잠금 장치(105)의 제 1 부분은 제어 부재(108)를 잠그기 위한 링(106)이며, 이것은 동체(102) 내부에 동일축으로 위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링(106)이 슬리이브(116) 둘레에 동일 축으로 위치된다. 링(106)은 암컷 요소(200)에 의해 축방향에서 말단 부분과 기단 위치 사이에 뒤로 밀리도록 적합화되는데, 말단 부분에서는 제어 부재(108)의 기동이 방지되고, 기단 위치에서는 슬리이브를 그것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움직이는 제어 부재(108)의 기동에 저항하지 않는다. 잠금 링(106)은 제어 부재(108)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공(O106)을 한정한다. 통공(O106)의 기단 가장자리는 모따기 부분(C106)을 구비한다. 더욱이, 잠금 링(106)은 기단 측상에 단부 외측 주위 크라운(106a)을 구비한다. 잠금 링의 말단 단부는 106b 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동체(102)의 어깨부(102a)는 잠금 링(106)의 크라운(106a)이 전방향을 향하여 움직이는데 대한 맞닿음 어깨부를 형성하는데, 크라운은 스프링(110)과 같은 탄성 압축 부재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력(E110)하에서 움직이게 된다.
잠금 장치의 제 2 부분은 프로빙(probing)을 위한 링(ring) 또는 프로빙 링(114)으로서, 이것은 슬리이브(116) 둘레에서 동일 축으로 외부에 놓이고, 잠금 링(106)과 협동하도록 적합화된 기단 단부(114a) 및 암컷 요소(200)와 협동하도록 적합화된 말단 단부(114b)를 구비하는데, 왜냐하면 이것은 잠금 링(106)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환되고, 동체(102)의 입구(102.1)에서 암컷 요소(200)에 접근 가능하기 때문이다. 프로빙 링(114)은 동체(102)로부터 돌출한다. 프로빙 링(114)은 잠금 링(106)에 대하여 말단측에서 축방향으로 외측에 놓이고 암컷 요소(200)와 협동할 수 있어서 잠금 링(106)을 기단 위치를 향하여 뒤로 민다. 프로빙 링(114)은 암컷 요소(200)와의 접촉시에 암컷 요소(200)와 협동하지 않는 말단 위치와, 잠금 링(106)과 접촉하는 중간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다시 말단 위치로 움직이고, 그리고 링(106)과 접촉 상태에 있는 기단 위치로 움직이고, 그 자체는 기단 위치에 있게 된다. 중간 위치 및 기단 위치들에서, 프로빙 링(114)의 기단 단부(114a)는 잠금 링(106)의 말단 단부(106b)와 접촉하고, 프로빙 링은 암컷 요소(200)와 협동한다. 프로빙 링(114)은 내부 어깨부(115)를 한정한다. 더욱이, 프로빙 링(114)은 기단 외측 플랜지(114c)를 포함한다.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d1 은 프로빙 링(114)의 기단 단부(114a)와 잠금 링(106)의 말단 단부(106b) 사이에서 축(X102)과 평행하게 측정된 거리를 나타내고, d3 는 플랜지(104b)의 차단 면(S104b)와 말단 위치에서의 프로빙 링(114)의 말단 단부(114b) 사이에서 축(X102)과 평행하게 측정된 거리를 나타낸다.
코일 스프링(118)은 슬리이브(116)의 크라운(116a)과 프로빙 링(114)의 어깨부(115) 사이에 삽입된다. 이것은 따라서 프로링 링(114)의 어깨부(115)에 대하여 제 1 회전 베어링을 포함하고, 슬리이브(116)의 기단 크라운(116a)에 대하여 마지막 회전 베어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프링(118)은 축(X102)에 중심을 맞추고, 프로빙 링(114)을 그것의 말단 위치로 탄성 복귀시키는 수단을 형성한다. 스프링(118)은 프로빙 링(114) 및 슬리이브(116) 양쪽에 탄성력(E118)을 가한다. 스프링(118)은 슬리이브(116)를 그것의 제 1 위치로 탄성 복귀시키기 위한 수단을 형성한다. 더욱이, 프로빙 링(114)은 플랜지(114c)가 동체(102)의 어깨부(102b)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전방 움직임이 정지된다.
제어 부재(108)는 레버이며, 이것은 축(Y108) 둘레에 접합되고 엄지 손가락으로 기동될 수 있다. 축(Y108)은 축(X102)에 대하여 직교 방사(orthoradial)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108)는 동체(102)상에 장착된 샤프트(120) 둘레에 접합되는데, 이것은 원형 단면을 가지고 축(Y108)에 중심을 맞춘다. 레버(108)는 슬리이브(116)를 밀기 위한 핑거(1084)를 포함한다. 이러한 핑거(1084)는 잠금 링(106)의 통공(O206)을 통해 연장되고 슬리이브(116)의 기단 크라운(116a)에 대하여 지탱된다. 레버(108)는 레버(108)의 피봇 작용을 차단하기 위한 언덕부(1082)를 구비하기도 하며, 이것은 잠금 링이 말단 위치에 있을 때 말단 링(106)에 대하여 맞닿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언덕부(1082)는 잠금 링(106)의 외측 반경 방향 표면(S106)에 대하여 맞닿는다. 언덕부(1082)는 정사각형 형상이고, 둥근 필렛(fillet)을 가진다.
레버(108)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상승 상태와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하강 상태 사이에서 피봇될 수 있다.
스프링(110)은 잠금 링(106)을 그것의 말단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이다. 이것은 플러그(104)를 동체(102) 안에 중심을 맞추도록 잠금 링(106)의 기단 크라운(106a)과 부분(112)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센터링 부분(112)은 수컷 요소(100)내에 있는 기단 통로 안에 위치된다. 센터링 부분(112)은 플러그(104)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한정한다. 스프링(110)은 축(X102)에 중심을 맞춘 코일 스프링이다. 이것은 크라운(106a)에 대한 제 1 회전 베어링(turn bearing) 및 부분(112)에 대한 마지막 회전 베어링을 포함한다.
암컷 요소(200)는 전체적으로 튜브형이고 축(X201)에 중심을 맞춘다. 암컷 요소(200)는 플라스틱 재료의 단부 부재이다. 이것은 튜브형 동체(201) 및, 상기 동체(201)에 대하여 말단 통로 안에서 연장된 2 개의 탄성 클로우(202)를 구비한다. 클로우(202)들은 동체(201) 내부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말단 단부 부분(202b)을 포함한다. 이러한 단부 부분(202b)은 수컷 플러그(104)의 플랜지(104b)에 후크 연결되도록 적합화된다. 도 9 에 더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우(202)의 단부 부분(202b)은 플랜지(104b)의 차단 면(S104b)을 가진 기단 후크 연결 표면(S202b)을 구비한다. 더욱이, 각각의 클로우(202)의 표면(S202b)은, 도 1 내지 도 9 에 도시된 구성에서 클로우(202)가 변형되지 않을 때 축(X201)에 직각인 평면에서 연장된다. 클로우(202)들의 단부 부분(202b)은 베벨 에지(beveled edge, B202)를 구비하는데, 이것은 결합시에 플랜지(104b)와 접촉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베벨 에지는 결합하는 동안 플랜지(104b)를 타고 오르도록 클로우(202)의 탄성 변형을 허용한다. 암컷 요소(200)는 또한 푸셔(pusher, 204)를 포함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튜브형이고 탄성 클로우(202)를 둘러싼다. 이러한 푸셔(204)는 잠금 장치의 제 2 부분(114)의 말단 단부(114b)를 밀기 위한 말단 표면(204b)을 포함하며, 잠금 장치의 제 2 부분은 프로빙 링(114)이다.
d2 는 푸셔(204)에 속하는 푸싱 표면(pushing surface, 204b)과 클로우(202)들의 후크 연결 표면(S202b) 사이에서, 축(X201)과 평행하게 측정된 거리를 나타낸다. 암컷 요소(200)는 밀봉용 O 링(206)을 더 포함하는데, 이것은 동체(201)의 내측 주위 홈에 위치된다. 동체(201), 푸셔(204) 및 클로우(202)는 하나의 부재이다.
연결구(R)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모든 요소(100,200)들중 제 1 요소는 축(X201, X102)을 정렬함으로써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다음에, 수컷 요소(100)의 일부는 암컷 요소(200) 안으로 삽입되어야 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도 2 에서 화살표(F1)로 표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링(106)의 외측 표면(S106)에 대하여 맞닿은 언덕부(1082)에 의해, 레버(108)를 돌리는 기동(R1)이 방지되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에서 레버(108)를 돌릴 수 없다.
수컷 요소(100)가 암컷 요소(200)에 더 가까이 갈 때, 프로빙 링(114)은 스프링(118)의 탄성력에 반하여, 후방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뒤로 밀린다. 즉, 스프링(118)은 슬리이브(116)의 기단 크라운(116a)에 대하여 압축된다. 프로빙 링(114)은 동체(10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따라서 도 2 에 도시된 말단 위치로부터 도 3 에 도시된 중간 위치로 통과되며, 여기에서 기단 단부(114a)는 잠금 링(106)의 말단 단부(106b)를 구동하지 않으면서 그것과 접촉하고 있다. 이러한 위치들 양쪽 사이의 링(114)의 이동은 무효 이동에 해당하며, 왜냐하면 이것은 잠금 링(106)의 그 어떤 변위도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무효 이동은 거리(d1)와 같은 길이를 가진다.
병행하여, 암컷 요소(200)의 클로우(202)는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데, 축(X201)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반경 방향을 따라서 그리고 원심 방향으로 변형되어, 플러그(104)의 플랜지(104b)와 접촉된다. 클로우(202)의 단부 부분(202b)이 플랜지(104b)를 통과하자마자, 클로우(202)는 도 3 의 화살표 F2 로 표시된 바와 같이 탄성 복원에 의해 초기 형상을 재개한다. 클로우(202)들의 후크 연결 표면(S202b)은 다음에 플랜지(104b)의 차단면(S104b)상에 맞물릴 것이며, 이는 암컷 요소(200)의 밖으로 수컷 요소(100)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구(R)는 다음에 결합된 구성으로 될 것이다.
후크 연결 표면(S202b)과 푸셔(204)의 푸싱 면(204b) 사이의 거리(d2)는 커넥터(R)의 결합 해제된 상태에서 잠금 링(106)과 프로빙 링(114)을 분리시키는 거리(d1)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작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거리(d1)는 프로빙 링의 말단 위치와 중간 위치 사이의 프로빙 링의 이동에 대응한다. 따라서, 프로빙 링(114)은 결합이 이루어질 때 록킹 링(114)으로써 그것의 유동(遊動,d1)을 기껏 보충하도록 암컷 요소(200)가 설계된다. 관련된 예에서, 프로빙 링(114)은 결합시에 록킹 링(106)을 가지고 그것의 유동(遊動, d1)을 보충하도록 d1 은 d2 와 같지만, 그러나 링(106)을 변위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수컷 요소(100)와 암컷 요소(200)의 결합은 후방을 향한 잠금 링(106)의 그 어떤 변위도 일으키지 않으며, 잠금 링(106)이 결합된 상태에서 기단 위치에 유지됨으로써 레버에 의한 기동에 결코 저항하지 않는 위험성은 제외된다. 따라서 연결구(R)의 연결의 안정성이 보장된다.
더욱이, 수컷 및 암컷 도관들의 밀봉 유체 연결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컷 플러그(104)는 밀봉 가스킷(206)을 지나서 동체(201) 안으로 삽입된다.
연결구(R)를 결합 해제시키기 위하여, 암컷 요소(200)는 수컷 요소(100)에 가깝게 움직여야 하며, 즉, 플러그(104)는 미리 정해진 거리(d4)에 의하여 동체(201) 안으로 더 깊에 맞물려야 한다. 이를 위하여, 작업자는 도 4 에서 화살표(F3)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컷 요소(100)를 암컷 요소(200) 내부로 더 밀어야 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변위(F3)가 의미하는 것은 암컷 요소(200)의 클로우(202)가 분리되거나, 또는 플랜지(104b)의 차단 면(S104b)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지게 움직이는 것이다. 수컷 요소(100)의 이러한 추가적인 변위(F3)는 암컷 요소(200)가 프로빙 링(114)을 미는 것을 유발하고, 이는 다시 도 4 에서 화살표 F4 및 F4' 로 표시된 바와 같이 잠금 링(106)을 후방을 향하여 민다. 따라서 프로빙 링(114)은 그것의 중간 위치로부터 그것의 기단 위치로, 스프링(118)의 탄성력(E118)에 반하여 통과되고, 잠금 링(106)은 그것의 말단 위치로부터 그것의 기단 위치로, 스프링(110)의 탄성력(E110)에 반하여 통과된다. 작업자는 잠금 링(106)의 탄성 복귀를 방지하기 위하여, 암컷 요소(200)를 전방에 유지하여야 한다. 기단 위치에서, 통공(O106)은 레버(108)를 통과시키도록 통공(O102)을 반경 방향으로 대면하며, 여기에서 언덕부(1082)는 더 이상 링(106)의 외측 표면(S106)에 대하여 지탱되지 않는다. 통공(O106)은 따라서 충분이 넓고 언덕부(1082)를 통과시키도록 통공(O102)에 대하여 충분히 뒤로 움직인다.
링(106)의 말단 위치와 기단 위치 사이에서의 링의 이동 및, 프로빙 링(114)의 중간 위치와 그것의 기단 위치 사이에서의 프로빙 링의 이동은 따라서 서로에 인접하게 움직이는 거리(d4)와 같은데, 이것은 레버(108)를 해제시키는데 필요하다. 링(106)이 기단 위치에 도달할 때, 도 4 에서 화살표(R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언덕부(1082)가 잠금 링(108)의 외측 표면(S106)에 대하여 맞닿게 하지 않으면서, 레버(108)를 회전시킬 수 있다. 레버(108)의 형상 및 통공(O106)의 위치에 의존하는, 요소(100,200)들이 거리(D4)로 더 가까이 오지 않는 한, 즉, 플러그(104)의 플랜지(104b)들이 클로우(202)들에 대하여 동체(201)에서 멀어지게 충분히 움직이지 않는 한, 잠금 링(106)은 레버(108)의 활성화를 방지한다. 축(Y108) 둘레의 레버(108)의 피봇 움직임(R2)은 통공(O106)의 기단 가장자리상에 한정된 모따기(C106)의 존재 및 언덕부(1082)의 둥근 필렛(fillet)에 의해 용이해진다. 따라서 제어 부재의 기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연결구의 암컷 요소 및 수컷 요소가 서로 가까이 움직이는 것은 필수 불가결이다.
레버(108)의 피봇 작용(R2)은 그것의 상승 상태와 하강 상태 사이에서 수행되고, 도 5 에서 화살표 F5 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핑거(1084)가 "디클로우잉(declawing)" 슬리브(116)를 제 2 위치로 밀게 한다. 레버(108)의 상승 상태에서, 슬리브(116)는 제 1 위치에 있는 반면에, 레버(108)의 하강 상태에서 "디클로우잉" 슬리브(116)는 제 2 위치에 있다.
슬리브(116)의 전방 움직임(F5)은 스프링(118)의 탄성 작용(E118)에 대하여 달성된다. 즉, 스프링(118)은 슬리브(116)의 전방 변위중에 압축된다. 슬리브(116)의 말단 단부(116b)는 레버(108)의 피봇 작용(R2) 동안 플랜지(104b)를 향하여 구동되고 암컷 요소(200)의 클로우(202)를 외측으로 제거하며, 특히 도 5 에서 화살표(F6)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심 방식으로 제거된다. 실제로, 클로우(202)의 경사 가장자리(B202)는, 가장자리(B202)상에서 슬리브(116)의 말단 단부(116b)를 미는 것이 원심의 전체 방향을 따라서 탄성 변형을 일으키도록 방위가 정해진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클로우(202)들이 외측으로 맞물림 해제되면, 이들은 서로로부터 분리되고 플랜지(104b)로부터 거리(d4)로 분리되어 유지되는데, 이것이 유리하게는 클로우(202)의 후크 연결 표면(S202b)이 플랜지(104b)의 차단 면(S104b)에 대하여 문지르지 않게 한다. 이것은 또한 클로우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변위중에 클로우(202)들이 플랜지(104b)들에 대하여 부숴지지 않게 한다. 따라서 결합 해제시에 클로우(202)의 부숴짐 또는 파열의 위험성이 없고, 연속적인 연결 및 연결 분리 동안 클로우(202)들의 마모가 감소된다. 말단 단부(116b)는 마지막으로 플랜지(104b)와 맞닿을 것이다. 클로우(202)는 맞물림 해제되고 슬리브(110)와 플랜지(104b) 사이의 접촉이 유지됨으로써, 플랜지(104b)의 차단면(S104b)이 연결 분리시에 클로우들을 포착할 그 어떤 위험성 없이 수컷 요소가 제거될 수 있다.
암컷 요소(200)로부터 수컷 요소(100)를 제거하는 동안, 도 6 에서 화살표(F7)로 표시된 바와 같이 클로우(202)는 탄성 복원에 의해 초기 형상으로 다시 복원된다.
더욱이, 후크 연결 표면(S202b)과 푸싱 표면(204b) 상의 거리(d2)는 중심축(X102)과 평행하게 측정된 거리(d3) 보다 큰데, 상기 거리(d3)는 플랜지(104b)에 속하는 차단면(S104b)과 암컷 요소(200)와의 말단 위치에 있는 프로빙 링(114)의 접촉 표면(114b) 사이에 있다. 따라서 유체 연결구(R)의 결합 해제 움직임은 암컷 요소(200)의 푸셔(204)에 대하여 프로빙 링(114)을 미는 것을 수반하는데, 왜냐하면 프로빙 링(114)은 전방을 향하여, 즉, 암컷 요소(200)를 향하여 스프링(118)의 탄성력을 겪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로빙 링(114)은 기단 위치로부터 말단 위치로 통과된다. 이들 위치들 양쪽 사이의 링(114)의 이동은 레버(108)의 해제에 필요한 과도 이동(over travel, d4)과 무효 이동(d2)을 더한 값과 같다. 무효 이동(d1)은 스프링(118)의 탄성력 하에서 암컷 요소(200)의 방출을 허용한다. 즉, 결합 해제시에, 암컷 요소(200)는 무효 이동의 길이(d1)에 대응하는 거리로 수컷 요소(100)로부터 멀어지게 자동적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작업자는 클로우(202)들을 플랜지(104b)로부터 맞물림 해제시키도록 수컷 요소(100)를 당길 필요가 없으며, 이는 레버의 해제시에 연결구의 비자발적 연결 위험성 없이 플랜지의 차단면으로부터 멀어지는 거리로 자동적으로 움직이게 한다. 클로우(202)의 맞물림 해제 힘은 스프링(118)의 강성(stiffness)에 의해 제어된다. 이것은 탄성 클로우(202)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자동적으로 커넥터(R)의 결합 해제를 허용한다.
슬리브(116)의 외측 직경은 플랜지(104b)의 외측 직경(D104) 보다 크고, 따라서 암컷 요소(200) 밖으로 수컷 요소(100)를 제거하는 것은 클로우(202)를 플랜지(104b)에 후크 연결하지 않으면서 수행된다. 따라서 연결 해제 기동중에 플랜지(104b)와의 접촉시에 탄성 클로우(202)가 부숴질 위험성은 없다.
일단 연결구(R)가 결합 해제되면, 작업자는 레버(108)에 대한 압력을 해제하는데, 이것은 다시 스프링(118)의 탄성력(E118) 하에 제 1 위치를 향하여 슬리브(116)의 탄성 복원에 의해 자동적으로 움직인다. 또한 링(106)은 스프링(110)의 탄성력(E110)하에 말단 위치로 오게 된다.
도 10 에서, 암컷 요소(200)의 대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암컷 요소(200)는 프로빙 링(114)을 밀기 위한 탭(205)을 제외하고 그 어떤 튜브형 푸셔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9 와 상이하다. 이들 미는 탭(205)들은 클로우(202)들에 의해 지지되며 굽혀져 있다. 이들은 미는 면(205b)을 구비하는데, 미는 면은 프로빙 링(114)의 말단 단부(114b)와 접촉하도록 제공된다. 수컷 요소의 구조 및 결합 및 결합 해제시의 연결구의 작동은 이전에 설명된 것과 유사하다.
도 11 및 도 12 에서 유체 연결구에 속하는 수컷 요소(100)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요소들은 도면 번호를 유지하는 반면에,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요소들은 다른 도면 번호를 가진다. 이러한 실시예의 유체 연결구는 도 1 내지 도 9 에 도시된 것과 전체적으로 같게 작동한다.
도 11 및 도 12 의 수컷 요소(100)는 프로빙 링 및 잠금 링이 하나의 부재이고 동일한 잠금 장치(105)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6 의 요소와 상이하다. 이러한 1 개 부재의 잠금 장치(105)는 제 1 부분(105a) 및 제 2 부분(105b)을 포함하고, 제 1 부분은 말단 위치에서 제어 부재(108)의 기동을 방지하고, 제 2 부분은 소위 기단 부분으로서 동체(102)의 말단 입구(102.1)를 통해 암컷 요소(200)로 접근 가능하다. 결합 작동 동안에, 장치(105)의 말단 단부 표면(S105b)은 스프링(118)에 의해 가해진 탄성력(E118)에 대하여 암컷 요소(200)에 의해 지향된 후방을 향하여 뒤로 축방향에서 밀린다. 결합 해제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되는데, 즉, 레버(108)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고 "디클로우잉" 슬리이브(116)를 전진시킬수 있도록, 암컷 요소(200)는 수컷 요소(100)에 약간 더 가깝게 가져와야 한다. 다음에 도 12 에서 화살표(F8)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16)는 클로우(202)를 외측으로 분리시킨다. 작업자는 다음에 클로우(202)들을 플랜지(104b)로 포착할 위험성 없이 수컷 요소(100)를 암컷 요소(20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말단 위치에서의 장치(105)의 탄성 복귀는 스프링(118)의 힘(E118)의 효과하에 수행된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컷 요소(100)의 후방에 추가적인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성이 없다. 도 11 및 도 12 의 연결구의 구성은 따라서 더 간단하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R)의 결합 해제는, 제어 부재(108)를 기동시킬 수 있도록 장치(105)를 충분히 축방향 후방으로 움직이기 위하여, 수컷 요소(100)를 암컷 요소(200) 안으로 더 구동하는, 특히 거리(d4)로 구동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단계에 의해 선행된다. 실제로, 장치(105)에 형성된 통공(O106)은 제어 부재가 기동 가능하도록 제어 부재(108)와 같은 레벨에 있어야 한다. 이제, 만약 클로우(202)들이 너무 짧다면, 사용자는 잠금 해제를 위해 필요한 거리(d4)를 달성할 수 없는 위험성을 감수하는데, 왜냐하면 플랜지(104b)는 암컷 요소(200)에 대하여 맞닿을 것이고 그에 의해 수컷 요소(100)를 암컷 요소(200) 안으로 구동하기 위한 움직임에 저항할 것이기 때문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컷 요소(100)에 대한 개선을 구하는 것이 가능한 한계에 속한다. 따라서 수컷 요소(100)는 암컷 요소(200)를 짧은 클로우들과 협동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제 3 실시예에서, 제 1 또는 제 2 요소와 관련하여 동일한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번호로 표시된 반면에, 이들 2 가지 실시예들과 상이한 요소들은 다른 도면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유체 연결구는 전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12 에 도시된 것과 같게 작동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컷 요소(100)는 2 개 부분들을 가진 튜브형 플러그(104)를 구비한다. 플러그(104)는 실질적으로 기단 부분(104.2) 및, 상기 기단 부분(104.2) 둘레에 부분적으로 맞춰진 말단 부분(104.1)을 포함한다. 플러그(104)의 기단 부분(104.2)은 자체적으로 동체(102)에 부착된 센터링 부분(112)에 고정된다. 말단 부분(104.1)은 전진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기단 부분(104.2)에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동체(10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고, 플랜지(104b)를 지탱한다. 그것의 가동성은 동체(102)에 대하여 더 가까이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슬리이브(116)와 플러그의 기단 부분(104.2)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수컷 요소(100)는 플러그(104)의 양쪽 부분들을 가능한 한 가깝게 가져오게 하기 위한 구성에서 차단 수단을 포함한다. 즉, 상기 수단은 플러그(104)의 양쪽 부분(104.1,104.2)들이 특정의 이동을 지나서 함께 더 가깝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수단은 내측 어깨부(130)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앞으로 움직일 때 말단 부분(104.1)의 내측 볼의 직경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내측 어깨부는 플러그(104)의 기단 부분(104.2)의 말단 단부면(104.2b)에 대하여 맞닿을 때 부분(104.1, 104.2)들이 함께 가까이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에 저항한다. 따라서 부분(104.1,104.2)들 사이에서 상대적인 축방향 움직임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볼(126)이 과도 두께(overthickness, 128)에 대하여 맞닿을 때, 부분(104.2)의 말단 단부면(104.2b)과 부분(104.1)의 어깨부(130) 사이의 축방향 유동(axial play, d7)에 상기 움직임의 진폭이 대응한다.
수컷 요소(100)는 전진 위치에서 플러그(104)의 말단 부분(104.1)을 정지시키기 위한 맞닿음 부재(126)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최대 분리를 가진 구성으로서, 상기 최대 분리는 축방향 유동(d7)에 대응하고, 즉, 말단 부분(104.1)의 후퇴 위치와 전진 위치 사이의 분리 거리에 대응한다. 이러한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볼 정지부(ball stop, 126)를 포함하며, 상기 볼 정지부는 말단 부분(104.1)의 하우징 안에 수용된다. 이러한 하우징은 볼 정지부(126)의 직경과 맞는 치수를 가진 반경 방향 통공이며, 이것이 선택적으로는 하우징 안에서 볼의 축방향 유동(遊動)을 허용할 수 있다. 볼 정지부(126)는 말단 부분(104.1)의 볼에 대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고, 기단 부분(104.2)의 외측 표면상에 만들어진 과도 두께(128)와 협동한다. 전진 위치에서, 플러그의 말단 위치(104.1)는 볼(126)에 대하여 맞닿은 상태에 있고, 볼은 플러그(104)의 기단 부분(104.2)에 대하여 자체적으로 맞닿은 상태에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볼(126)이 과도 두께(128)에 대하여 맞닿을 때 부분(104.1, 104.2)들이 서로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지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볼(126)은 과도 두께(128)의 후방에 위치된다. 이러한 과도 두께(128)는 플러그 및 정지 플랜지의 주위상에서 볼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될 수 있다.
수컷 요소(100)는 말단 부분(104.1)을 전진 위치로 복귀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데, 즉, 상기 전진 위치는 한편으로 볼(126)이 과도 두께(128)에 대하여 맞닿아 있는 위치이고, 다른 한편으로 제 1 위치, 즉, 결합 위치에 있는 슬리이브(116)로부터의 위치이다. 이러한 복귀 수단은 "디클로우잉" 슬리이브(116)에 속하는 내측 어깨부(116a')와 부분(104.1)의 기단 단부면(104.1a) 사이에 삽입된 코일 스프링(122)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어깨부(116a')가 슬리브(115)의 기단 단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스프링(122)은 플러그(104)의 양쪽 부분(104.1, 104.2)들이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수컷 요소(100)는 제어 부재(108)를 잠그기 위한 장치(105)를 구비하는데, 이것은 말단 위치와 기단 위치 사이에서 튜브형 플러그(104) 둘레의 동체(102) 내부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잠금 링(106)을 구비하며, 상기 말단 위치에서는 제어 부재(108)의 기동을 방지하고, 상기 기단 위치에서는 슬리이브(116)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제어 부재(108)의 기동을 저지하지 않는다.
장치(105)는 또한 프로빙 링(114)을 구비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링(106)의 말단 위치와 링(106)의 기단 위치 사이에서 튜브형 플러그(104) 둘레로 동체 내부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이것은 동체(102)의 말단 입구에 접근 가능한 단부(114b)를 더 가진다. 제 1 실시예와 다르게, 링(114)은 링(106)의 내부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링(114)이 뒤로 움직일 때 링(106)의 말단 단부면에 대하여 맞닿도록 적합화된 어깨부(1140)가 링(114)에 포함된다. 따라서 이러한 링(114)은 장치(105)의 잠금 링(106)을 말단 위치로부터 기단 위치로 구동시킬 수 있다. 더욱이, 수컷 요소(100)는 링(114)을 말단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복귀 수단은 링(114)의 기단 단부면과 센터링 부분(112) 사이에 삽입된 코일 스프링(124)을 포함한다. 링(114)은 마지막으로 통공을 한정하는데, 이것은 제어 부재(108)를 통과시키도록 잠금 링(106)의 통공과 방사상으로 정렬된다. 링(114)의 통공은 제어 부재(108)의 회전에 링(114)이 장애물을 형성하지 않도록 충분히 넓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컷 요소(100)가 설치된 연결구(R)의 결합시의 작동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컷 요소(100)를 포함하는 연결구(R)의 결합시 작동과 동일하다. 따라서, 연결구(R)의 결합 해제에 해당하는 단계들만이 간편성을 위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9 에 설명된 연결구(R)와 다르게, 결합 국면 동안에,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컷 요소(100)의 프로빙 링(114)은 결합 해제 상태에서 잠금 링(106) 사이에 존재하는 축방향 유동(d1)을 보상하지 않는다. 실제로, 여기에서 푸셔(204)는 도 1 내지 도 10 에 설명된 암컷 요소(200) 중 하나보다 짧다. 따라서, 결합된 상태에서, 프로빙 링(114)의 어깨부와 링(106)의 말단 단부면 사이에 축방향 유동(遊動, d5)이 있다.
연결구(R)를 결합 해제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도 14 에서 화살표(F3)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컷 요소(100)를 암컷 요소(200)의 내측으로 더 구동함으로써 개시한다. 다음에 푸셔(204)는 링(114)을 잠금 링(106)과 접촉하게 민다. 이것은 제 1 국면에서 축방향 유동(d5)을 보상하는 가능성을 제공하고, 제 2 국면에서 링(106)을 후방을 향하여 미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클로우(202)들은 플러그(104)의 플랜지(104b)로부터 축방향으로 맞물림 해제된다. 클로우(202)들은 짧기 때문에, 플랜지(104)는 암컷 요소의 어깨부(208)와 신속하게 접촉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도 14 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유동(d5)이 포착되었으며 링(106)은 거리(d6)로써 뒤로 움직였지만 기동 부재(108)의 언덕부(1082)를 통과시키도록 충분히 뒤로 움직이지 않는다. 즉, 이러한 어깨부(208)와 플랜지(104b)의 접촉 위치에서, 동체(102)의 어깨부(102a)와 링(106)의 기단 주위 크라운(106a) 사이의 유동(d6)은 레버(108)를 회전시키고 슬리이브(116)의 변위를 제어할 수 있기에 충분하지 않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컷 요소(100)가 도 13 내지 도 15 의 암컷 요소(200)와 함께 이용된다는 가정하에서, 잠금 장치(105)의 제 1 부분(106)은 충분히 기단 위치를 달성하지 않는다: 제어 부재(108)의 기동은 불가능할 것이며 연결구는 결합 위치에서 차단되게 유지된다.
그러나, 도 13 내지 도 15 의 연결구(R)로써, 도 15 의 화살표(F9)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컷 요소 및 암컷 요소를 더 가까이 가져올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추가적인 움직임(F9)은 플러그(104)의 말단 부분(104.1)이 암컷 요소(200)와 접촉되게 뒤로 움직이게 하는데, 왜냐하면 어깨부(208)가 플랜지(104b)에 대하여 맞닿기 때문이다. 말단 부분(104.1)의 후방 움직임은 스프링(122)의 탄성 작용에 대하여 수행되며, 즉, 스프링은 압축된다. 암컷 요소 안으로의 수컷 요소 도입을 강제함으로써 작업자에 의해 가해지는 이러한 추가적인 움직임(F9)은 축방향 유동(d7)이 포착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축방향 유동(d7)은 결합 해제에 필요한 과도 이동 거리(over travel distance)를 형성한다. 병행하여, 잠금 링(106)도 뒤로 움직여서, 동체(202) 안에 한정된 어깨부(102a)와 링(106)의 기단 크라운(106a) 사이에 유동(d8)이 존재한다. 이러한 유동(d8)은 유동(d6, d7)의 합에 대응하며, 제어 부재(108)의 작용을 제어하는데 상당히 현저하다. 따라서 레버(108)는 도 15 에서 화살표(R1)로 표시된 바와 같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컷 요소(100)는 넓은 범위의 암컷 요소들과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짧은 클로우들을 가진 암컷 요소와 이용될 수 있고, 즉, 이러한 수컷 요소는 치수 제작 제한에 더욱 "허용성(tolerant)"을 가진다. 이러한 수컷 요소는 푸셔(204)가 짧은 암컷 요소와 이용될 수도 있다.
수컷 요소의 제 3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미도시의 대안에서, 플러그(104)의 말단 부분(104.1), 즉, 플랜지(104b)를 포함하는 부분은 기단 부분(104.2) 내측에 부분적으로 맞춰진다.
제 3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미도시의 다른 대안에 따라서, 부분(104.1 및 104.2)들의 맞춤은 스플라인(spline) 또는 홈(groove)을 가진 안내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맞닿음 부재(126)는 핀 또는 키이(key)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데, 이것은 볼 정지부(126)를 대체하고 볼 정지부(126)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맞닿음 부재(126)는 동등하게 플러그의 말단 부분에 부착될 수 있거나, 플러그의 기단 부분에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양쪽 부분들 사이에서 자유로울 수 있어서, 하우징 안에 있는 볼과 같은 축방향 변위로부터 수혜를 받는다.
제 3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도시되지 않은 대안에 따르면, 플러그(104)의 부분(104.1 및 104.2)은 하나의 부재이거나 또는 서로 고정되고, 플러그(104)는 전체로서 동체(102) 안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스프링 또는 다른 복귀 수단은 플러그를 전진 위치에 유지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만약 제어 부재(108)를 해제하기 위하여 과도 이동이 필요하다면, 플러그(104)만이 동체(102) 안에서 수축된다.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도시되지 않은 대안에서, 레버가 아닌 기동 부재가 연결구(R)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동 부재(108)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축방향 기동 가능한 외측 링으로서, 이것은 슬리브(116)를 밀기 위한 내측 회전 레버 시스템에 작용한다. 또한 슬리이브(116)를 밀기 위한 웨지 시스템(wedge system)과 결합된 반경 방향 푸쉬 버튼의 이용을 생각해볼 수 있다.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도시되지 않은 대안에서, 암컷 요소(200)는 결합시에 프로빙 링(114)과 접촉하지 않는다.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도시되지 않은 대안에서, 잠금 장치의 제 2 부분은 동체로부터 돌출되지 않을 수 있고, 항상 동체의 입구(102.1)에 접근 가능한 단부를 가진다.
수컷 요소의 제 1 실시예 및 마지막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도시되지 않은 대안에서, 프로빙 링(114)은 하나 또는 수개의 "프로빙(probing)" 핑거들로 대체될 수 있는데, 이것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 맞닿음부를 가지며, 이는 링(106)을 밀도록 적합화된다.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슬리이브(116)는 그것의 제 2 위치에서 플랜지(104b)에 근접함으로써, 슬리이브는 플랜지에 인접한 위치와 원격 위치 사이에서 플랜지에 접촉하지 않으면서 움직일 수 있다.
마지막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다른 대안의 도시되지 않은 대안에 따르면, 탄성 압축 부재는 한편으로 프로빙 링(114)에 대하여 지탱되고 다른 한편으로 슬리이브(116)에 대하여 지탱된다. 이러한 탄성 부재는 말단 위치로의 링(114)의 복귀를 보장하고 제 1 위치로의 슬리이브의 복귀를 보장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탄성 부재는 링(114)의 어깨부와 슬리이브(116)의 플랜지(116a) 사이에 삽입된 스프링이다. 이것은, 제 1 실시예에서 스프링(118)과 비교 가능한 방식으로, 링(124)의 유형인 링이 슬리이브(116) 둘레에 장착되고 부분(114,116)들 사이에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고려하게 한다.
제 1 의 2 개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도시되지 않은 마지막 대안에 따르면, 스프링(118)은 삭제되고 장치(105)의 후방에 위치된 스프링으로 대체된다. 이러한 스프링은 센터링 부분(112)과 장치(105) 사이에 지지된다.
위에서 고려된 대안들 및 실시예들의 기술적인 특징들은 본 발명의 새로운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함께 조합될 수 있다.
100. 수컷 요소 200. 암컷 요소
102. 외측 동체 102b. 내측 어깨부

Claims (16)

  1. 중심축(X102) 및 말단 입구(102.1)를 형성하는 튜브형 동체(102); 및,
    동체 내부에서 동일 축에 위치되고 플랜지(104b)를 구비하는, 유체 통과를 위한 튜브형 플러그(104);를 구비하는, 수컷 유체 연결(R) 요소(100)로서,
    상기 수컷 유체 연결 요소는:
    슬리이브(116)가 플랜지(104b)로부터 이탈되어 있는 제 1 위치(도 1;도 11)와, 슬리이브가 플랜지(104b)에 인접하거나 또는 플랜지에 대하여 맞닿아 있는 제 2 위치(도 5; 도 12) 사이에서 플러그(104) 둘레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슬리이브(116);
    슬리이브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변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재(108); 및,
    제어 부재(108)를 잠그기 위한 잠금 장치(10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장치는:
    제어 부재의 기동을 방지하는 제 1 부분의 말단 위치(도 2)와, 슬리이브(116)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변위시키는 제어 부재의 그 어떤 기동에도 저항하지 않는 제 1 부분의 기단 위치(도 4) 사이에서, 튜브형 플러그 둘레의 동체(102) 내부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제 1 부분(106;105a); 및,
    제 2 부분의 말단 위치와 제 2 부분의 기단 위치 사이에서 튜브형 플러그 둘레의 동체 내부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제 2 부분(114;105b)으로서, 장치의 제 1 부분(106;105a)을 말단 위치로부터 기단 위치로 구동할 수 있고, 동체의 입구(102.1)에 접근 가능한 단부(114b;S105b)를 가지는, 제 2 부분(114;105b);를 포함하는, 수컷 유체 연결 요소.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 부재(108)는 중심 축(X102)에 대한 직교방사 축(orthoradial axis, Y108) 둘레에서 동체상에 결합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슬리이브(116)를 그것의 제 2 위치를 향해 밀기 위한 핑거(108c)를 포함하고, 상기 핑거는 잠금 장치(105)의 제 1 부분(106;105a)의 통공(O106)을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컷 유체 연결 요소.
  3. 제 2 항에 있어서,
    레버(108)는 레버의 피봇 회전을 차단하기 위한 언덕부(1082)를 구비하고, 상기 언덕부는 잠금 장치가 말단 위치에 있을 때 잠금 장치(105)의 제 1 부분(106;105a)에 대하여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컷 유체 연결 요소.
  4.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이브(116)는 플러그(104)의 플랜지(104b)의 직경(D104) 보다 큰 외측 직경(D11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컷 유체 연결 요소.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장치의 제 1 부분은 잠금 링(106)이고, 잠금 장치의 제 2 부분은 프로빙 링(probing ring, 114)이며,
    상기 프로빙 링은 잠금 링(106)에 대하여 중심 축(X102)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잠금 링을 그것의 기단 위치를 향하여 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컷 유체 연결 요소.
  6. 제 5 항에 있어서,
    프로빙 링(114)은, 잠금 링(106)과 접촉하는 중간 위치와 말단 위치 사이에서 잠금 링(106)을 구동하지 않으면서 동체(10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컷 유체 연결 요소.
  7. 제 5 항에 있어서,
    말단 위치에서 잠금 링(106)에 탄성 복원력(E110)을 가하는 부재(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컷 유체 연결 요소.
  8.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형 플러그(104)는 기단 부분(104.2) 및 말단 부분(104.1)을 포함하고, 플랜지(104b)를 유지하며, 동체(10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전진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스프링(122)의 복원력에 반하여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컷 유체 연결 요소.
  9. 제 8 항에 있어서,
    플러그의 기단 부분(104.2)은 동체(102)에 대하여 고정되고, 플러그(104)는 플러그의 말단 부분(104.1)을 전진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볼(12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컷 유체 연결 요소.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장치는 제 1 기단 부분(105a) 및 제 2 말단 부분(105b)으로 이루어진 1 개 부재의 조립체이고, 상기 조립체는, 잠금 장치의 기단 부분이 제어 부재(108)의 기동을 방지하는 말단 위치와, 기단 부분이 제어 부재의 기동에 저항하지 않는 기단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컷 유체 연결 요소.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편으로 잠금 장치의 제 2 부분(114;105b)과 다른 한편으로 슬리이브 사이에 지지된 탄성 압축 부재(118;124)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압축 부재는 말단 위치로의 제 2 부분의 복귀 및, 제 1 위치로의 슬리이브(116)의 복귀를 보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컷 유체 연결 요소.
  12. 제 1 항에 따른 수컷 유체 연결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클로우(claw, 202)를 구비하는 암컷 요소(200)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구(R)로서,
    상기 클로우는 수컷 유체 연결 요소의 플랜지(104b)에 후크 연결되기 위한 후크 연결 표면(S202b)를 가지고, 클로우가 그것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움직일 때 슬리이브(116)는 클로우와 맞물림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연결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암컷 요소(200)는 잠금 장치(105)의 제 2 부분(114;105b)의 단부(114b;S105b)의 미는 표면(204b;205b)을 가진 푸셔(204,205)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는 동체의 입구에서 푸셔(pusher)에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연결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후크 연결 표면(S202b)과 미는 표면(204b;205b) 사이의 거리(d2)는 거리(d3)보다 크고, 상기 거리(d3)는 중심 축(X102)과 평행하게 측정된 것으로서, 잠금 장치(105)의 말단 위치에서의 제 2 부분(104;105b)과 암컷 요소(200) 사이의 접촉 표면과, 플랜지(104b)에 속하는 차단면(S104b) 사이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연결구.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로우(202)에 후크 연결되는 표면(S202b)이 수컷 유체 연결 요소(100)의 플랜지(104b)와 맞물릴 때, 잠금 장치(105)의 제 1 부분(106;105a)은 제어 부재(108)의 기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연결구.
  16. 제 12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컷 유체 연결 요소(100) 및 암컷 요소(200)가 연결구의 결합 구성과 관련하여 서로 인접하게 된 이후에 제어 부재(108)가 기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연결구.
KR1020150027318A 2014-05-23 2015-02-26 수컷 유체 연결 요소 및, 상기 연결 요소와 암컷 맞춤 요소를 포함하는 연결구 KR1022784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4701 2014-05-23
FR1454701A FR3021387B1 (fr) 2014-05-23 2014-05-23 Element male de raccord fluidique et raccord comprenant un tel element et un element femelle complementa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061A true KR20150135061A (ko) 2015-12-02
KR102278472B1 KR102278472B1 (ko) 2021-07-16

Family

ID=5141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318A KR102278472B1 (ko) 2014-05-23 2015-02-26 수컷 유체 연결 요소 및, 상기 연결 요소와 암컷 맞춤 요소를 포함하는 연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018293B2 (ko)
EP (1) EP2947365B1 (ko)
KR (1) KR102278472B1 (ko)
CN (1) CN105090651B (ko)
BR (1) BR102015004478B1 (ko)
ES (1) ES2615636T3 (ko)
FR (1) FR3021387B1 (ko)
MX (1) MX3591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68928A1 (en) * 2014-06-23 2015-12-24 Mcgard Llc Security lock with deformable latch
DE112016003703T5 (de) * 2015-08-14 2018-04-26 Dana Canada Corporation Rücklaufsperrventilanordnung mit einer integrierten Befestigungsfunktion
FR3048822B1 (fr) * 2016-03-11 2018-04-06 Staubli Faverges Raccord electrique
JP6707285B2 (ja) * 2016-06-01 2020-06-1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FR3056672B1 (fr) * 2016-09-28 2019-06-21 Staubli Faverges Raccord et circuit hydraulique de freinage pour cycle incorporant un tel raccord
US10137447B1 (en) * 2017-05-17 2018-11-27 Biotix, Inc. Ergonomic fluid handling tubes
FR3073919B1 (fr) * 2017-11-23 2019-12-20 Staubli Faverges Plaque multi-raccords et ensemble de plaques comprenant une telle plaque multi-raccords
GB2585668B (en) * 2019-07-10 2023-02-15 Reliance Worldwide Corporation Uk Ltd A tube coupling
CN110529678B (zh) * 2019-09-28 2024-05-10 温州英凯隆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真空铝卡箍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6581A (en) * 1975-11-13 1977-05-31 Lacrex Brevetti S.A. Releasable coupling
US4781400A (en) * 1987-07-01 1988-11-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Quick connect tube coupling
US20060208484A1 (en) * 2005-03-11 2006-09-21 Swift Jonathan C Quick connect coupling with disconnect lock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2776A (en) * 1969-02-27 1971-03-30 Rockwell Mfg Co Fluid flow apparatus
SE470452B (sv) * 1992-10-16 1994-04-11 Bjoern Engdahl Slangkoppling för tryckluft med don för tryckavlastning vid isärkoppling
DE10004970B4 (de) 2000-02-04 2007-09-20 Robert Bosch Gmbh Verbindungsvorrichtung
DE102009033943A1 (de) * 2009-07-14 2011-01-20 Aft Inh. Dirk Kramer E.K. Steckkupplung
FR2965887B1 (fr) * 2010-10-08 2012-11-30 Staubli Sa Ets Dispositif de raccord avec verrouillage par griffes filetees et raccord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JP6009936B2 (ja) * 2012-12-28 2016-10-19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及びその継手部材
CN203560646U (zh) 2013-11-27 2014-04-23 鲁锁柱 快速连接管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6581A (en) * 1975-11-13 1977-05-31 Lacrex Brevetti S.A. Releasable coupling
US4781400A (en) * 1987-07-01 1988-11-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Quick connect tube coupling
US20060208484A1 (en) * 2005-03-11 2006-09-21 Swift Jonathan C Quick connect coupling with disconnect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472B1 (ko) 2021-07-16
CN105090651A (zh) 2015-11-25
US10018293B2 (en) 2018-07-10
EP2947365B1 (fr) 2017-01-11
FR3021387A1 (fr) 2015-11-27
ES2615636T3 (es) 2017-06-07
MX359108B (es) 2018-09-14
EP2947365A1 (fr) 2015-11-25
MX2015002612A (es) 2015-12-08
BR102015004478B1 (pt) 2021-01-19
FR3021387B1 (fr) 2016-07-01
BR102015004478A2 (pt) 2016-02-23
US20150338006A1 (en) 2015-11-26
CN105090651B (zh) 201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5061A (ko) 수컷 유체 연결 요소 및, 상기 연결 요소와 암컷 맞춤 요소를 포함하는 연결구
KR102157115B1 (ko) 암컷 신속 연결 결합구 요소 및, 상기 요소를 포함하는 신속 연결 결합구
JP6131183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7938456B2 (en) Safety quick-connect coupling for assembling two pipes
EP3179148B1 (en) Lock mechanism for tubular body
JP5317761B2 (ja) 管継手用のソケット及び管継手
US2896977A (en) Bayonet lock coupling
US7802822B2 (en) Coupling with an indicator
EP2180225B1 (en) Pipe coupling apparatus
EP2503648B1 (e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2018151062A (ja) 流体継手要素及び同要素を備える流体継手
KR20090089297A (ko) 신속 연결 커플링 고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2009228898A (ja) 管継手用のソケット及び管継手
KR101001229B1 (ko) 파이프용 신속 작동 커플링
KR20160015198A (ko)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JP5905954B2 (ja) 圧縮空気カップリング
EP0375674A1 (en) QUICK COUPLING TO CONNECT TWO HIGH PRESSURE PIPES.
US7008270B1 (en) Cable connector
KR101858164B1 (ko) 호스용 밸브 조립체
JP3909278B2 (ja) 管継手用ソケット
JP2018165544A (ja) コネクタユニット
JP3951102B2 (ja) 管継手
WO2012096143A1 (ja) パイプコネクタ
JPS6230629Y2 (ko)
JP6345293B1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