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9297A - 신속 연결 커플링 고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신속 연결 커플링 고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9297A
KR20090089297A KR1020097009063A KR20097009063A KR20090089297A KR 20090089297 A KR20090089297 A KR 20090089297A KR 1020097009063 A KR1020097009063 A KR 1020097009063A KR 20097009063 A KR20097009063 A KR 20097009063A KR 20090089297 A KR20090089297 A KR 20090089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stem
port
sleeve
dust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2412B1 (ko
Inventor
조나단 클라크 스위프트
폴 레고
Original Assignee
더 게이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게이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더 게이츠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89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16L37/088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with an axially movable separate member for releasing the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5Disassemb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5Disassembling
    • Y10T29/49822Disassembling by applying fo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4Retaining clearance for motion between assembled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8Joining by deforming
    • Y10T29/49936Surface interlo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47Assembling or joining by applying separate fas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유체 커플링은 클립과, 이 클립을 수용하도록 된 환형 클립 홈을 갖는 수형 스템과, 수형 스템을 포트에 삽입할 시에 클립을 수용하도록 된 단형 홈을 갖는 암형 포트, 그리고 클립과 접촉하고 포트 내에서의 스템의 셔틀링을 최소화하도록 스템 둘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리브를 포함한다. 슬리브는 클립과 접촉하는 슬리브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슬리브의 견부와 접촉하는 더스트 시일에 의해 클립을 향해 압박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는 클립을 스템의 환형 홈에 압축된 상태로 반경 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고 및/또는 클립과 접촉하는 슬리브는 스템을 포트에 삽입하기 위해 클립을 고정하고 클립을 스템과 축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속 연결 커플링 고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QUICK CONNECT COUPLING STABILIZA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가요성 호스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본 발명은 신속 연결 호스 커플링, 특히 압입 연결 및 신속 분리 가요성 호스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신속 연결 커플링은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커플링에서, 포트 어댑터는 암형부 또는 포트를 포함하고, 관련 픽스쳐, 기계류 및 장비 상에 예조립될 수도 있으며, 암형부 또는 포트가 관련 픽스쳐, 기계류 및 장비의 부분으로서 기계 가공될 수도 있다. 호스 인서트부 및 페룰을 포함하는 호스 연결부, 수형부 또는 호스 스템은 통상적으로 픽스쳐, 기계류 또는 장비에 연결되는 호스의 개방 단부에 부착된다. 호스 스템부는 호스의 개방 단부에 삽입되는 호스 인서트부를 갖는다. 다음에, 페룰 등이 통상적으로 인서트를 포함하는 호스 단부 둘레에서 압축되어 모든 부분이 영구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어서, 호스 연결부를 단순히 암형부 또는 포트 내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호스 연결이 완료된다. 그러한 신속 연결 커플링은 호스를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는 위치에 연결해야 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신속 연결 커플링이 나사 결합을 시작할 필요성과 크로스 스레딩(cross threading)의 위험을 제거하며, 이용 가능한 공간에 끼어넣을 수 없는 관련 툴을 사용해야 할 필요성을 제거하기 때문이다. 포트 어댑터가 예조립 과정으로서 적소에 나사 결합될 수 있거나, 포트가 관련 픽스쳐, 기계류 또는 장비에 미리 존재하기 때문에, 포트가 적절하고 편리한 것을 보장하는 것이 용이하다. 더욱이, 조립 시간, 그리고 이에 따라 조립 비용이 감소된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커플링의 구성을 유도하는 고려 사항은 포트 구성의 복잡성과, 실현 절삭성과, 스템 구성의 복잡성과, O링이나 다른 형태의 시일과 같은 실링 요소의 복잡성 및 위치와, 다양한 형상의 클립과 같은 로킹 구성 요소의 복잡성 및 위치와, 커플링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구성 요소의 개수, 그리고 포트와 스템의 기하학적 형상의 상호 작용을 포함하였다. 이들 모두는 커플링의 경제적 실현 가능성에 큰 영향을 주는 그러한 커플링의 제조비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러한 커플링을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 것 역시 중요하였다. 그러한 커플링의 주요 목적 중 한가지는 누설이 없고 오래 지속되는 연결을 제공하는 것이라는 점은 명백하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안전성에 대해 더욱 중점을 두게 되었다. 그러한 커플링의 통상적인 신속 분리 특징으로 인해, 우연하고 급작스러운 분리의 기회가 더 많아져,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이것은 특히 그러한 커플링의 사용이 각별히 매력적인 환경에서 실현된다. 이러한 환경은 유체 연결부의 설치가 많고, 조밀하며, 거의 접근 불가능하고, 커플링이 종종 부착되는 픽스쳐을 포함하는 많은 경질의 무거운 물체가 근처에서 이동하는 산업용 기계류 또는 중장비 소재지를 포함한다. 신속 분리 커플링에 대한 예기치 못 한 충돌 또는 그러한 어려운 영역에서의 유지 보수는 우연한 분리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가압 시스템에 대한 우연한 분리는 예기치 못한 기계류의 이동 또는 고압의 매우 뜨거운 유체의 분출 등을 통해 기계를 손상시키거나 고장내거나, 건물을 파괴하거나, 정비사나 다른 작업자에게 심각한 부상을 입히거나, 심지어는 사망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
압입 연결 및 신속 분리 커플링의 일례는 참고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Timbers 명의의 미국 특허 제3,773,360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 Timbers의 특허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 포트와 스템의 구성을 단순화하는 한편, 직진 전방 압입 연결 방법 및 신속 분리 방법 양자를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Timbers의 특허는 어떠한 실링 구성 요소나 로킹 구성 요소 또는 클립도 일체형이 아닌 단순한 포트 구성의 장점을 개시한다. 그러나, 개시된 스템은 실링 구성 요소 및 로킹 구성 요소 모두를 포함하여 더욱 복잡하다. 더욱이, 로킹 구성 요소는 난해하고 비교적 복잡하다. 두드러지게는, 개시된 커플링은 커플링이 우연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추가의 구성 요소, 즉 정지 부재를 필요로 한다. 복잡성과 추가의 구성 요소는 커플링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Timbers의 특허의 커플링은 단순히 수형부를 암형부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커플링의 유체 연결을 완료한다. 정지 부재가 제거된 경우, 커플링은 수형부를 암형부로 더 삽입하여 더 꽉 맞물리게 하는 것에 의해 분리된다. 이에 의해 포트가 로킹 구성 요소를 압축하게 된다. 또한, 로킹 구성 요소의 난해한 형상은 로킹 구성 요소가 스템 상에 포획되고 압축 상태로 남아 있게 하여, 로킹 구성 요소의 로킹 기능이 비활성화된다. 따라서, 2개의 부 분이 분리된다.
Timbers의 특허의 커플링은 너무 쉽게 우연히 분리되어 여러 환경에서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는 점이 명백하였다. 따라서, 개시된 피팅 상에 정지 부재가 포함되었다. 정지 부재는 암형부와 수형부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것에 의해 암형부와 수형부가 가압되어 더 꽉 맞물리는 것을 방해한다. 적소에 정지 부재를 갖는 커플링은 우연한 분리를 방지하는 것으로 생각될 것이다.
그러나, 정지 부재의 사용 및 정지 부재의 형상은 불행하게도 커플링이 우연히 분리되는 많은 기회를 남겨놓는다. 첫째, 정지 부재가 커플링이 배치되어 있는 전체 시간 동안 커플링 상에 적절히 설치될 것을 보장하는 방법이 없다. 정지 부재는 개시부터 부재하거나 커플링의 수명 동안의 임의의 시기에 제거되어 무엇인가가 잘못되었다는 어떠한 알림 표시도 남기지 않을 수 있다. 그러한 조건에서, 커플링은 더 이상 우연한 분리를 방지하지 않을 것이다. 둘째, 개시된 정지 부재의 형상은 커플링으로부터 멀어지게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루프를 포함한다.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커플링의 사용이 특히 매력적인 전술한 환경에서, 루프는 파편을 모으거나 이동하는 물체에 의해 후킹될 것이다. 이것은 정지 부재가 커플링에서 제거되는 많은 기회를 초래한다. 다시 한번, 커플링은 더 이상 우연한 분리를 방지하지 않을 것이다.
많은 산업 환경 또는 중장비 환경에서 그러한 강성 루프의 존재에 의해 안정성 역시 손상된다. 그러한 강성 루프는 파편, 툴, 의복, 머리카락 또는 손가락이 얽히는 것에 의한 손상 또는 상해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더욱이, 커플링 이 분리될 때마다 정지 부재를 구성하는 금속 루프가 제거되어 유해한 파편으로서 분실된다는 것은 중요하다.
클립을 채용하는 Timbers의 특허와 다른 종래 기술의 신속 연결 및 신속 해제 커플링과 같은 해결책에서는 추가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클립이 클립을 위한 환형 홈 등에서 왕복 운동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왕복 운동은 충격 압력 및/또는 측방 하중이 존재하는 과정 중에 커플링이나 스템의 중심선 축을 따라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왕복 운동 동작 또는 "셔틀링(shuttling)" 효과는 수형 피팅부와 암형 피팅부의 유지 요소에 대한 마모를 가속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 결과, 이것은 연결부의 잠재 수명에 악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셔틀링 효과는 클립의 단면 두께와, 이에 따라 클립을 위한 환형 홈의 폭이 더 커서 셔틀링이 발생하는 더 많은 공간을 허용하는 대형 보어 커플링에 있어서 보다 명백하고 두드러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커플링을 고정하여, 압력 변동 및 충격의 영향을 받아 스템이 포트 내에서 축방향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최소로 하는 한편, 우연한 분리를 고도로 방지하는 것에 의해 매우 증가된 안전성을 갖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연한 분리에 대한 방지는 바람직하게는 안전 구성 요소 모두가 커플링 상에 존재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인간의 개입에 의존하지 않는다.
우연한 분리를 고도로 방지하는 것에 의해 매우 증가된 안정성을 나타내는 커플링의 일례는 Gates QuickLocTM Direct 커플링에서 볼 수 있다. 그러한 커플링의 실시예는 안전성이 향상된 한편, 그러한 신속 연결/분리 커플링의 경제적 제조 및 이점을 보유하는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호스 커플링을 제공한다. 그러한 커플링은 클립과, 이 클립을 수용하도록 된 환형 홈을 갖는 수형부와, 암형부, 그리고 실링 요소를 채용할 수 있다. 그러한 커플링의 포트는 또한 암형부로부터의 수형부의 분리를 준비하는 중에 클립을 환형 홈으로 압축할 뿐만 아니라 수형부와 암형부의 결합중에 실링 요소를 압축하도록 된 이중 기능 절두 원추형부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커플링의 실시예는 수형부 둘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환형 홈 내에 압축된 클립을 포획하도록 된 슬리브를 채용할 수 있다. 그러나 클립과 환형 홈 등을 채용하는 그러한 구성은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은 셔틀링에 대한 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플링의 안정성이 개선된 한편, 그러한 커플링의 경제적 제조와 이점을 보유하는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호스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클립과, 이 클립을 수용하도록 된 환형 홈을 갖는 수형부와, 암형부, 그리고 실링 요소를 구비하는 타입의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유체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수형부는 더스트 시일이 존재하는 원추형 홈을 갖는다. 원추형 홈은 더스트 시일이 슬라이드 가능한 슬리브의 외측 단부를 시일하도록 수형부 상에 배치된다. 원추형 홈과 더스트 시일은 슬리브가 설치되었을 때 슬리브가 클립과 단형 홈을 향해 축방향 전방으로 압박되는 방식으로 반응한다. 또한, 슬리브의 전방 로딩은 스템의 유지 홈이나 단(段) 또는 부분에 있는 유극을 제거하고, 이에 따라 이것은 커플링이 연결되고 나면 포트에 대한 스템의 자유 동작을 제한 및 감쇠한다. 더욱이, 이러한 포트 내의 스템, 클립 및 슬리브의 전방 사전 로딩은 커플링의 수형부와 암형부를 정렬하고, 커플링에 측방 하중이 가해진 경우 포트에 대한 스템의 반경 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는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유체 커플링과 함께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치를 채용하는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유체 커플링은 클립과, 이 클립을 수용하도록 된 환형 클립 홈을 갖는 수형 스템, 그리고 수형 스템을 포트에 삽입할 시에 클립을 수용하도록 된 단형(段形) 홈을 갖는 암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이 결합될 때, 다양한 장치의 실시예는 바람직하게는 스템 둘레에서 커플링의 포트 부분에 의해 형성된 홈에 배치되는 클립에 접촉하고, 이에 의해 포트에 의해 형성된 홈의 벽에 대해 클립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클립과 접촉하는 장치는 포트 내에서의 스템의 셔틀링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클립과 접촉하는 장치는 압력 변동, 충격 및 (호스 이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스템의 물리적인 조작의 영향에 의한 포트 내에서의 스템의 셔틀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장치는 클립을 향해 압박될 수 있어, 포트에 의해 형성된 홈에 대해 스템을 축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다.
장치는 커플링의 스템부 둘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슬리브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장치는 클립으로부터 이격되게 스템에 형성된 더스트 시일 홈과, 이 더스트 시일 홈에 배치되는 더스트 시일을 채용할 수 있다. 더스트 시일은 클립에 접촉하는 슬리브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슬리브의 견부(肩部)에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와 접촉하는 더스트 시일은 슬리브를 클립을 향해 압박하고, 이에 의해 슬리브가 클립에 맞닿도록 압박한다.
커플링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장치, 즉 슬리브는 또한 스템을 포트에 삽입하도록 클립을 스템의 환형 홈에 압축된 상태로 반경 방향으로 유지하고 포획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장치, 즉 슬리브는 스템을 포트에 삽입하기 전에 클립에 접촉하여, 스템을 포트에 삽입하기 위해 클립을 고정하며, 클립을 스템과 축방향으로 정렬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클립과 스템의 축방향 정렬은 클립을 스템에 의해 형성된 유지 단 상에 안착시킬 수 있다. 스템을 포트에 삽입하는 동안, 장치에 의해 축방향으로 정렬된 클립은 포트 인입각과 접할 수 있고, 포트 인입각은 클립을 환형 스템 유지 홈으로 축방향으로 압축하여, 클립이 완전히 장치의 슬리브 아래에 유지되는 일 없이 스템이 포트에 설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커플링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장치는 클립을 스템의 환형 클립 홈에 압축된 상태로 반경 방향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장치는 포트로부터 스템을 분리할 준비를 하는 중에 스템이 포트로 더 삽입될 때 클립을 환형 클립 홈에 압축된 상태로 반경 방향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트는 이 포트로부터 스템을 분리할 준비를 하는 중에 스템이 포트로 더 삽입될 때 클립을 스템의 환형 클립 홈으로 압축하도록 되어 있는 절두 원추형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장치를 구성하는 슬리브는 포트로부터 스템을 제거하기 위해 클립을 환형 홈에 압축된 상태로 반경 방향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된 커플링의 포트 내에서의 스템의 셔틀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커플링의 스템부 둘레에 슬리브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하는 단계와, 스템 둘레에 배치된 클립을 슬리브 선단과 접촉시키는 단계, 그리고 커플링의 포트부에 의해 형성된 홈의 벽에 대해 클립을 유지하여 압력 변동, 충격, 스템의 물리적 조작 등의 영향에 의한 포트 내에서의 스템의 셔틀링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 방법은 클립으로부터 이격되게 스템에 형성되는 더스트 시일 홈과, 이 더스트 시일 홈에 배치되는 더스트 시일, 그리고 슬리브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더스트 시일에 맞닿고, 이에 의해 슬리브를 클립을 향해 압박하여 슬리브를 클립과 맞닿게 압박하는 슬리브의 견부를 채용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에 따라 커플링의 스템부 둘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슬리브는 스템부를 커플링의 포트 부분에 용이하게 삽입하도록 스템부 둘레에 배치된 클립을 스템부 환형 클립 홈에 압축된 상태로 반경 방향으로 유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삽입중에 슬리브 선단은 포트부에 의해 형성된 절두 원추형 경사부에 맞닿을 수 있고, 이에 의해 포트로의 슬리브의 이동을 억제하고, 클립을 반경 방향으로 해제할 수 있다. 후속하여, 슬리브 선단은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클립에 맞닿아, 포트 내에서의 스템의 셔틀링을 방지하도록 커플링의 포트부에 의해 형성된 홈의 벽에 대하여 클립을 유지할 수 있다.
방법의 실시예는 또한 대안으로서 스템을 포트에 삽입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 선단을 스템 둘레에서 스템의 환형 홈에 배치된 클립과 맞닿게 하고, 클립을 고정하며 클립을 스템과 축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것에 의해, 클립을 포획하는 일 없이 스템을 포트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클립을 스템과 축방향으로 정렬시킴으로써 클립을 스템 유지 단 상에 안착시킬 수 있고, 스템을 포트에 더 삽입할 때 클립은 포트 인입각과 접촉될 수 있다. 포트 인입각은 그러한 실시예에 따라 클립을 스템의 환형 유지 홈으로 축방향으로 압축하여, 클립이 완전히 슬리브 아래에 유지되는 일 없이 스템이 포트에 설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방법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은 포트에서 스템을 제거하기 위해 스템의 환형 클립 홈으로 클립을 압축하는 슬리브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스템을 포트로 더 삽입함으로써 클립을 스템에 의해 형성된 환형 클립 홈으로 압축하도록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은 절두 원추형 경사부가 포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스템을 포트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클립을 환형 홈으로 압축하는 슬리브를 이용하여 클립을 반경 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다.
앞에서는 후속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 및 기술적 장점을 대강 약술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청구 범위의 대상을 이루는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및 장점을 설명할 것이다. 당업자는 개시된 개념 및 특정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구조를 구성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근간으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는 또한 그러한 등가의 구성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히 파악해야 한다. 구성 및 작동 방법 양자에 관하여 본 발명의 특징으로 간주되는 신규의 특징은 다른 목적 및 장점과 함께 첨부 도면과 함께 고려되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각각의 도면은 단지 예시와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한계를 규정하는 것으로서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실히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부분을 형성하는 첨부 도면- 유사한 도면 부호는 유사한 부분을 가르킴 -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며,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채용하는 결합 해제된(또는 분리된) 신속 연결 커플링의 거의 1/4의 부분 절단도이고,
도 2는 커플링 공정(삽입) 동안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채용하는 신속 연결 커플링의 거의 1/4의 부분 절단도이며,
도 3은 안정화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채용하는 커플링된 신속 연결 커플링의 거의 1/4의 부분 절단도이고,
도 4는 도 3의 원형 부분의 확대 상세도이며,
도 5는 결합 해제 또는 분리를 준비하기 위해 피팅을 더 삽입하는 것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채용하는 커플링된 신속 연결 커플링의 거의 1/4의 부분 절단도이고,
도 6은 도 5의 원형 부분의 확대 상세도이며,
도 7은 스냅링 형태의 로킹 요소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분리 툴의 입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분리 툴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신속 연결 커플링(101)과 함께, 또는 신속 연결 커플링(101)의 일부분으로서 배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100)가 도시되어 있다. 커플링(101)은 암형부 또는 포트(110)와 호스 스템 또는 수형부(112)를 포함한다. 스템(112) 상에 슬리브(102)가 스템(112)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슬리브(102)는 포획 실린더(104)와 견부(肩部)(106)를 구비한다. 커플링(101)이 커플링될 때, 슬리브의 포획 실린더(104)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스템(112)이 포트(110)에서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슬리브(102)는 역시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커플링(101)을 연결 및 분리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암형부 또는 포트(110)는 고려되는 일실시예로서 그리고 예시의 편의를 위해 어댑터(114)의 일부로서 도시되어 있다. 대안으로서 그리고 가능하다면 바람직하게는, 포트(110)는 픽스쳐, 기계류 또는 장비의 본체(도시하지 않음)에 기계 가공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포트가 어댑터(114)에 형성되는 경우, 어댑터(114)는 포트(110)를 위한 베이스를 제공한다. 포트(110)가 픽스쳐, 기계류 또 는 장비에 형성되는 경우, 이들이 베이스를 제공한다. 포트(110)는 유입 개구(122), 유출 개구(124), 유체 통로(126), 제1 절두 원추형 경사부(128), 제1 실린더(130), 환형벽(132), 제2 절두 원추형 경사부(136) 및 선택적으로 제2 실린더(134)가 형성된 내면(120)을 갖는다. 도시한 예에서, 제1 절두 원추형 경사부(128)는 차후에 설명하는 연결 작동 및 분리 작동 양자의 기능을 하는 이중 기능 경사부이다. 제2 절두 원추형 경사부(136)는, 역시 차후에 설명하겠지만 예시적인 피팅에서의 연결 작동에 있어서 중요할 수 있는 포트 인입각을 제공하는 인입 경사부이다.
계속해서 도 1을 참고하면, 예시적인 호스 스템(112)은 스템 유입 개구(142)와 스템 유출 개구(144)를 갖는 보어(140)를 지닌 샤프트(138)를 포함한다. 샤프트는 제1 환형 시일 홈(148), 환형 클립 홈(150), 환형 유지 단형(階形) 홈(152), 제2 환형 시일 홈(더스트 시일 홈)(154), 플랜지 또는 파편 배리어(156), 호스 정지부(158), 호스 인서트(160), 및 환형 슬리브 유지 홈(186)이 형성된 외면(146)을 갖는다.
호스 인서트(160)는 대상 유체를 이송할 호스(도시하지 않음)의 개방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삽입은 통상적으로 호스의 단부가 호스 정지부(158)와 만날 때까지 진행될 것이다. 호스는 클램프 또는 페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통상의 방식으로 고정될 것이다.
제1 환형 시일 홈(148)은 제1 시일(162) 및 시일 백킹 또는 돌출 방지 링(164)을 유지한다. 제1 시일(162)은 O링 등의 형태의 실링 요소일 수 있다. 돌 출 방지 링(164)은 바람직하게는 커플링이 제1 시일(162)을 통과하는 유체의 누설 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압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른 커플링 구성과 같이 다른 이용 가능한 시일 구성 역시 고려되며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클립(166)은 스냅링, 사다리꼴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도 7에 도시한 갭(168)과 같은 갭을 가질 수 있는 로킹 요소이다. 원형 단면과는 대조적으로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것과 같은 다른 클립 형상도 고려된다. 클립(166)은 클립(166)이 스템 외면(146)을 지나가기에 충분히 커지게 갭(168)이 확대되어야 하도록 충분히 작게 크기가 정해진다. 그러나, 클립(166)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클립(166)의 직경이 포트(110)의 제1 실린더(130)를 통과하기에 충분히 감소되게 갭(168)이 감소될 수 있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바람직하게는, 클립(166)은 포트(110)의 제1 경사부(128)와 선택적으로 제2 실린더(134)에 의해 형성되는 공극의 상당 부분을 채우기에 충분할만큼 두껍다. 이렇게 크기가 정해지는 경우, 클립(166)은 추가적으로 마모 완충기로서의 역할을 하여, 아래에서 보다 충분히 논의하겠지만 특히 본 발명과 함께 채용될 때 포트(110)의 마모를 최소화하는 것에 의해 커플링(101)의 수명을 연장한다. 갭(168)은 바람직하게는 클립 홈(150) 내에서의 클립(166)의 적절한 축소를 허용하기에 충분할 만큼 크다. 클립(166)은 스템(112)이 포트(110)와 커플링되지 않았을 때 초기에는 스템(112)의 클립 홈(150)에 느슨하게 유지될 수 있다.
스템(112)의 제2 환형 시일 홈, 즉 더스트 시일 홈(154)은 바람직하게는 더스트 시일(170)과 같은 제2 시일을 유지한다. 슬리브(102)는 스템(112)의 외 면(146) 상에 이 스템(112)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리브(102)는 포획 실린더(104)와 견부(106)를 구비한다. 슬리브(102)가 더스트 시일(170)에 대해 이동될 때, 슬리브 견부(106)가 더스트 시일(170)에 맞닿는 것과 같은 것에 의해, 슬리브(102)는 설치를 위한 초기 준비중에 클립(166)이 슬리브(102)의 선단(178)에 인접하여(도 2 참고) 확실하게 유지된 상태로 부분적으로 클립 홈(150)에 걸쳐 유지된다. 더스트 시일 홈(154)은 경사면을 통합하여 슬리브(102)에 의한 더스트 시일(170)의 이동을 허용하는 기하학적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한 경사면은 슬리브(102)의 과도한 동작을 저지하기 위해 더스트 시일 O링에 의해 부여되는 고유한 탄성 장력을 이용한다. 대안으로서, 슬리브(102)가 스템 유출구(144)를 향해 전방으로 이동될 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166)은 슬리브 실린더(104)에 의해 클립 홈(150)에 포획된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되지 않은 스템의 클립은 이송중에, 그리고 포트에 삽입하기 전에 이러한 방식으로 유지된다.
더스트 시일(170)은 외면(146)과 슬리브(102)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오염물의 이동에 대하여 시일하고, 슬리브(102)의 운동을 감쇠시키는 마찰력을 부여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시일(180)은 커플링(101)이 연결될 때 견부(106)와 포트(110) 사이의 갭을 채우도록 포획 실린더(104)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시일(180)은 포획 실린더(104)와 제2 경사부(136)의 인터페이스를 오염물 및/또는 기타에 대하여 시일한다.
포획 실린더(104)는 하나 이상의 가압 지점(18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 한 가압 지점은 크림핑(crimping) 또는 압박 작용을 초래하며, 억제 멈춤쇠로서의 기능을 한다. 이러한 억제 멈춤쇠는 포획 실린더(104)에 유사한 형상으로 기계 가공하거나 몰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는 것도 고려된다. 가압 지점(188)은 슬리브(102)가 외면(146) 상의 위치로 슬라이드하게 하도록 소형이다. 이렇게 하여 슬리브가 배치되고 나면, 유지 홈(186)과 가압 지점(188)의 상호 작용이 슬리브(102)가 외면(146)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플링(101)의 연결은 포트(110)에 대한 스템(112)의 관계에 관하여 개시 단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같이 포트(110)에 스템(112)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실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166)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트(110)에 스템(112)을 삽입할 것을 준비하는 중에 슬리브(102)에 의해 포획된다. 스템(112)의 삽입은 [슬리브(102)가 클립(166)을 지나 연장되거나 그렇지 않은] 도 2에 도시한 위치를 거쳐 도 3에 도시하고 도 4에 상세히 도시한 위치까지 계속될 수 있다. 삽입중에, 제1 시일(162)은 바람직하게는 제2 경사부(136)에 의해 제1 실린더(130)와 정렬하도록 안내된다. 그 후, 제1 시일(162)은 스템(112)과 유체 통로(126) 사이의 만족스러운 실링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경사부(128)에 의해 압축된다. 이러한 실링 관계로 인해, 유체 통로(126)는 실링 보어라고도 칭할 수 있다. 슬리브(102)는 바람직하게는 제2 경사부(136)에 의해서도 제1 실린더(130)와 정렬하도록 안내된다. 삽입이 진행될 때, 슬리브 선단(178)은 제1 경사부(128)에 접촉한다. 슬리브 선단(178)과 제1 경사부(128)의 접촉후에, 이러한 접촉에 의해 슬리브(102)의 삽입이 중단되는 것이 바람직할지라도 스템(112)의 샤프 트(138)의 삽입은 계속된다. 이로 인해, 슬리브(102)가 더스트 시일(170)을 향해 이동하여, 슬리브(102)가 클립(166)을 해제하고, 슬리브 견부(106)가 바람직하게는 더스트 시일(170)을 환형 더스트 시일 홈(154)까지 가압한다. 이 때, 클립(166)은 바람직하게는 통로(126)에 의해 포획된다. 그 후, 스템(112)은 도 3에 도시한 위치로 들어가거나 들어가지고, 이 위치에서 클립(166)은 제1 경사부(128)와 제2 실린더(134)에 의해 남겨진 공극으로 확장된다. 이제, 스템(112)과 포트(110)는 축방향 로킹 관계이다. 유체 압력의 영향을 받거나 스템(112)을 잡아당기는 것과 같이 스템(112)을 포트(110)로부터 빼내거나 잡아당기기 위해서 스템(112)에 힘을 가하는 경우("비허용 분리"), 클립(166)은 벽(132)에 의해 단형 홈(152) 내로 가압될 것이다. 다음에, 클립(166)은 단형 홈(152)과 벽(132) 사이에 꽉 낄 것이다. 포트(110)로부터의 스템(112)의 후퇴는 허용되지 않는다.
삽입은 슬리브(102)가 더스트 시일(170)에 접촉하고, 또한 슬리브 선단(178)이 클립(166)과 접촉하는(도 2) 개시 시점에서부터 이루어질 수 있는 것도 고려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클립(166)은 연결 이전에는 슬리브(102)에 의해 포획되지 않는다. 이 경우, 삽입력은 차례대로 제2 경사부(136)에 의해, 그리고 제1 경사부(128)에 의해 제1 시일(162)을 압축하는 데 필요한 힘뿐만 아니라, 제2 경사부(136)에 의해 클립(166)을 압축하는 데 필요한 추가의 힘도 포함할 것이다. 제2 경사부(136)에 의해 클립(166)을 압축하는 데 필요한 힘은, 특히 클립(166)이 슬리브(102)에 의해 포획되는 전술한 구성(초기에 도 1에서 예시함)을 이용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클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리브(102)의 슬리브 견 부(106)에 맞닿은 더스트 시일(170)의 위치는 슬리브를 클립(166)과 접촉하도록 압박하고, 이에 의해 연결이 용이해진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될 때, 슬리브 선단(178)은 삽입 이전에 클립(166)에 접촉하여, 클립(166)을 보다 안정되고 축방향으로 정렬된 위치에 유지한다. 이러한 구성을 이용하여 삽입을 개시할 때, 클립(166)은 제2 경사부(136)를 따라 강제되고, 이와 동시에 슬리브(102)는 더스트 시일(170)에 대하여 후방으로 강제되어, 더스트 시일(170)을 압축하고 더스트 시일(170)을 환형 더스트 시일 홈(154)까지 강제하여, 슬리브(102)를 클립(166)을 향해 압박한다. 더스트 시일(170), 더스트 시일 홈(154), 슬리브(102) 및 클립(166) 간의 이러한 상호 작용은 삽입 및 압축 단계 동안에 클립이 벽(132)에 로킹되기 전에 제1 실린더(130)에 도달할 때까지 클립(166)의 정렬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축방향 로킹 관계에 있는 동안에 커플링(101)의 비허용 분리를 위한 반복적인 시도는 통상적으로 벽(132)과 클립 홈(150)을 마모시킬 것이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클립(166)의 크기와 단형 홈(152)의 존재는 마모를 방지하는 데 기여하지만, 슬리브(102)의 견부(106)에 대하여 압박하는 더스트 시일(170)은 슬리브 선단(178)이 클립(166)에 맞닿게 하고, 커플링에 예하중을 인가하는 것(도 3)은 그러한 마모를 크게 감소시킨다. 제1 경사부(128)와 제2 실린더(134)에 의해 남겨진 공극에 넉넉하게 끼워넣어질 만큼 큰 크기로 정해진 클립을 선택함으로써 클립은 보호 인서트라는 추가의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크기가 보다 작게 정해진 클립은 비허용 분리의 영향을 받아 벽(132)에 대해 작용하여, 통상적으로 클립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연성인 포트(110)를 형성하는 재료를 마모시킬 것이다. 단형 홈(152)의 추가는 마모가 그러한 마모에 알림 표시를 부여하는 순차적인 방식으로 발생하게 한다. 예컨대, 포트(110)에 덜 삽입된 상태로 안착되어 있는 스템(112)은 축방향 로킹 관계에 있을 때 커플링(101)의 연결이 실패하지 않은 경우에도 제1 절두 원추형 경사부(128)를 통한 누설을 유발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 3에 도시하고 도 4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166)에 대한 슬리브 선단(178)의 접촉은 포트(110) 내에 있어서 클립 홈(150) 둘레에서의 스템(112)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스템(112)과 포트(110)가 연결될 때 교호(交互)하는 하중을 받아 포트(110) 내에서 스템(112)이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셔틀링을 방지하는 것 역시 단형 홈(152)에 대한 마모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슬리브(102)의 포획 실린더(104)는 외면(146)과 제1 실린더(130)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 또한 포트(110)에 대한 측방 이동에 대하여 스템(112)을 고정한다. 따라서, 제1 실린더(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보어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100)의 분리는 우선 도 5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템(112)을 포트(110)로 더 삽입하는 것에 의해 실시된다. 도 5 및 도 6에는 중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분리 단계에서, 제1 경사부(128)는 클립(166)을 단형 홈(152)에서 클립 홈(150)으로 변위시킨 다음, 클립(166)을 클립 홈(150) 내로 압축한다. 이러한 제1 분리 단계 동안, 제1 경사부(128)는 분리 경사부로 간주될 수 있다. 슬리브의 선단(178)이 제1 경사부(128)와 접촉할 때까지 삽입이 계속되고, 클립(166)이 통로(126) 내에 끼워넣어지는 크기로 압축된다. 그 후, 슬리브(102)는 스템에(112)에 대하여 도 1에 도시한 위치까지 축방향으로 이동 되어 클립(166)을 포획한다. 이것은 화살표 방향으로 슬리브(102)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가 아니라, 샤프트(138)가 도 5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후퇴되는 동안 슬리브를 고정 상태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사실상, 이것은 견부(106)와 플랜지(156) 사이에 웨징 작용(wedging action)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 스크루 드라이브와 같은 툴(도시하지 않음)이, 견부(106)와 플랜지(156) 사이에 스크루 드라이브의 블레이드를 삽입하여 비트는 것에 의해 웨징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특정 용도의 툴(800) 역시 웨징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타인(tine)(801)이 플랜지(156)와 견부(106) 사이에 삽입된다. 그 후, 특정 용도의 툴(800)이 핸들(802)에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좌우로 움직여 웨징 작용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클립(166)이 슬리브(102) 아래에 포획되고 나면,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벽(132)과 단형 홈(152) 사이에 클립(166)이 꽉 끼지 않을 수 있다. 스템(112)은 포트(110)로부터 자유롭게 분리되고, 스템(112)은 포트(110)로부터 후퇴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우연한 분리에 대한 안전 장치를 형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정교한 양태가 존재한다. 우선, 분리는 자연적으로는 일어나지 않는 작용의 조합을 필요로 한다. 단지 스템(112)을 압박하는 것은 분리를 일으키는 데 아무런 효과도 없다. 스템(112)과 견부(106) 양자를 압박하는 것도 분리를 일으키지 않을 것이다. 분리는 스템(112)을 포트(110)로 밀어넣고 견부(106)를 플랜지(156)로부터 이격되게 웨징하는 협업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우선 스템(112)을 포트(110)로 더 밀어넣지 않고 포획 슬리브(102)를 클립 포획 위치를 향해 압박하는 것은 상 충되는 2가지 이유로 인해 전적으로 무효하다. 첫번째, 슬리브 선단(178)은 바람직하게는 클립(166)과 접촉하는 경향이 있거나 클립을 클립 홈(150) 외측으로 멀리 이동시키고 단형 홈(152)을 향해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두번째, 단형 홈(152)은 바람직하게는 너무 얕아서 클립(166)이 통로(126) 내에 끼워넣어지는 크기로 압축되게 할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슬리브의 견부(106)는 플랜지(156)의 외경을 넘어 연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슬리브(102)는 바람직하게는 쉽게 이러한 클립 포획 위치에 단순히 파지되거나 이러한 클립 포획 위치로 단순히 밀어넣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정교함은 또한 다른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커플링보다 비교적 훨씬 안전한 동시에, 또한 압력 변동, 충돌 및/또는 기타의 영향을 받아 포트 내에서의 스템의 축방향 셔틀링을 최소화시키도록 고정되며, 스템을 포트에 삽입하기 위해 클립을 스템과 축방향으로 정렬시키거나 클립을 포획하고, 다른 바람직한 특징을 보유하는 신속 연결 및 분리 커플링을 제공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장점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대체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은 다른 커플링 구성과 함께 채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슬리브(102)는 다른 구성의 커플링의 스템 상에 이 스템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전술한 것과 유사한 결과를 얻도록 그러한 스템 상의 슬리브(102)와 함께 셔틀링을 방지하고 분리에 기여하는 더스트 시일(170)과 환형 더스트 시일 홈(154)을 채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출원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과정, 기계, 제조, 요소의 구성, 수단, 방법 및 단계에 관한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개시물로부터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대응하는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이러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는 기존의 또는 차후에 개발될 과정, 기계, 제조, 요소의 구성, 수단, 방법 또는 단계를 본 발명에 따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 범위는 그러한 과정, 기계, 제조, 요소의 구성, 수단, 방법 또는 단계를 그 범위 내에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51)

  1.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유체 커플링과 함께 채용되도록 된 장치로서, 또한 상기 유체 커플링의 스템 둘레에 배치된 클립과 접촉하고, 상기 유체 커플링의 포트에 의해 형성된 홈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상기 클립을 상기 포트에 의해 형성된 홈의 벽에 대하여 유지하는 것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과 접촉하는 장치는 포트 내에서 스템의 셔틀링(shuttling)을 방지하는 것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과 접촉하는 장치는 압력 변동, 충격 및 스템의 물리적 조작의 영향에 의한 포트 내에서의 스템의 셔틀링을 최소화하는 것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클립을 향해 압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장치가 클립에 맞닿도록 압박되는 것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를 클립에 맞닿게 압박하는 것은 스템을 포트에 의해 형성된 홈에 대해 축방향으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 포트 내에서의 스템의 셔틀링을 방지하는 것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스템을 포트에 삽입하도록 클립을 스템의 환형 홈에 압축된 상태로 반경 방향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에 접촉하는 장치는 스템을 포트에 삽입하기 위해 클립을 고정하고 스템과 클립을 축방향으로 정렬하는 것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과 스템의 축방향 정렬은 스템에 의해 형성된 유지 단(段)에 클립을 안착시키는 것인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와 축방향으로 정렬된 클립은 스템을 포트에 삽입할 시에 포트 인입각과 접촉하고, 상기 포트 인입각은 환형 스템 유지 홈으로 클립을 축방향으로 압축하여, 스템이 포트에 설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스템을 포트에서 제거하기 위해 클립을 스템의 환형 홈에 압축된 상태로 반경 방향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스템을 포트에서 분리할 준비를 하는 중에 스템을 포트로 더 삽입할 때 클립을 환형 홈에 압축된 상태로 반경 방향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유체 커플링의 스템 부분 둘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에 클립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 더스트 시일 홈(dust seal groove)과,
    상기 더스트 시일 홈에 배치되고, 상기 클립과 접촉하는 슬리브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슬리브의 견부(肩部)와 접촉하는 더스트 시일
    을 더 포함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시일 홈은 더스트 시일의 이동을 허용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인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슬리브의 과도한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더스트 시일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 장력을 이용하는 것인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시일과 접촉하는 슬리브는 클립을 향해 슬리브를 압박하고, 이에 의해 슬리브가 클립에 맞닿게 압박하는 것인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스템을 포트에 삽입하고 스템을 포트에서 분리하기 위해, 클립을 스템의 환형 홈에 압축된 상태로 반경 방향으로 유지하는 것은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이 클립과 접촉하는 슬리브에 의해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이렇게 정렬된 클립은 스템을 포트에 삽입할 시에 포트 인입각과 접촉하며, 상기 포트 인입각은 클립을 환형 스템 유지 홈에 축방향으로 압축하여, 클립이 완전히 슬리브 아래에 유지되는 일 없이 스템이 포트에 설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인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스템을 포트에서 분리할 준비를 하는 중에 스템을 포트에 삽입할 때 클립을 스템의 환형 클립 홈으로 압축하도록 되어 있는 절두 원추형 경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스템을 포트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클립을 환형 홈에 압축된 상태로 반경 방향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장치.
  20. 클립과,
    상기 클립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환형 클립 홈을 갖는 수형 스템과,
    상기 스템을 포트로 삽입할 시에 클립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단형(段形) 홈을 갖는 암형 포트, 그리고
    상기 수형 스템 둘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클립과 접촉하며, 상기 클립을 암형 포트에 의해 형성된 홈에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슬리브
    를 포함하는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유체 커플링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과 접촉하는 슬리브는 암형 포트 내에서의 수형 스템의 셔틀링을 방지하는 것인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유체 커플링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과 접촉하는 슬리브는 압력 변동, 충격 및 스템의 물리적 조작의 영향에 의한 포트 내에서의 스템의 셔틀링을 최소화하는 것인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유체 커플링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스템은 환형 홈으부터 이격되어 있는 더스트 시일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더스트 시일 홈은 더스트 시일을 수용하며, 이 더스트 시일은 클립과 접촉하는 슬리브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슬리브의 견부와 접촉하는 것인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유체 커플링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시일 홈은 더스트 시일의 이동을 허용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이 경사면은 슬리브의 과도한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더스트 시일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 장력을 이용하는 것인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유체 커플링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와 접촉하는 더스트 시일은 슬리브를 클립을 향해 압박하고, 이에 의해 상기 슬리브를 클립에 맞닿게 압박하는 것인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유체 커플링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를 클립에 맞닿게 압박하는 것은 수형 스템을 암형 포트의 단형 홈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유지하고, 이에 의해 암형 포트 내에서의 수형 스템의 셔틀링을 방지하는 것인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유체 커플링 장치.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수형 스템을 암형 포트에 삽입하기 위해 클립을 환형 홈에 압축된 상태로 반경 방향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유체 커플링 장치.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클립을 환형 클립 홈의 벽에 대해 유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홈에 클립을 유지하는 것인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유체 커플링 장치.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클립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 수형 스템을 암형 포트에 삽입하기 위해 상기 클립을 고정하고, 상기 클립과 수형 스템을 축방향으로 정렬하는 것인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유체 커플링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과 수형 스템을 축방향으로 정렬하는 것은 수형 스템 유지 단에 클립을 안착하고, 상기 클립은 수형 스템을 암형 포트에 삽입할 시에 포트 인입각과 접촉하며, 이 포트 인입각은 클립을 스템의 환형 유지 홈으로 축방향으로 압축하여, 상기 클립이 완전히 슬리브 아래에 유지되는 일 없이 수형 스템이 암형 포트에 설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인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유체 커플링 장치.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수형 스템을 암형 포트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클립을 환형 홈에 압축된 상태로 반경 방향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유체 커플링 장치.
  3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포트는 암형 포트로부터 수형 스템을 분리할 중비 중에 수형 스템을 암형 포트로 더 삽입할 때 클립을 환형 클립 홈으로 압축하도록 되어 있는 절두 원추형 경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암형 포트로부터 수형 스템을 분리하기 위해 클립을 환형 홈에 압축된 상태로 반경 방향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신속 연결 및 신속 분리 유체 커플링 장치.
  33. 커플링의 스템 부분 둘레에 슬리브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스템 둘레에 배치된 클립을 슬리브의 선단과 접촉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커플링의 포트 부분에 의해 형성된 홈의 벽에 대하여 클립을 유지하여, 압력 변동, 충격 및 스템의 물리적 조작의 영향에 의한 포트 내에서의 스템의 셔틀링을 방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에 클립으로부터 이격되게 더스트 시일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더스트 시일 홈에 더스트 시일을 배치하는 단계, 그리고
    슬리브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슬리브의 견부를 더스트 시일과 맞닿게 하고, 이에 의해 슬리브를 클립을 향해 압박하며, 슬리브를 클립과 맞닿게 압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시일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더스트 시일 홈에 더스트 시일의 이동을 저항적으로 허용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과도한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더스트 시일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 장력을 이용하여 더스트 시일을 더스트 시일 홈의 경사면까지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를 이용하여 클립을 축방향으로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스템의 환형 홈에 클립을 압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포트로부터 스템을 분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에 절두 원추형 경사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템을 포트에 더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절두 원추형 경사부에 의해 스템에 의해 형성된 환형 클립 홈으로 클립을 압축하는 단계와,
    상기 클립이 환형 홈에서 압축될 때, 슬리브를 이용하여 클립을 반경 방향으로 유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스템을 포트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9. 커플링의 스템 부분 둘레에 슬리브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슬리브를 사용하여 스템 부분 둘레에 배치된 클립을 스템 부분의 환형 홈에 압축된 상태로 반경 방향으로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스템 부분을 커플링의 포트 부분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슬리브의 선단을 상기 포트 부분에 의해 형성된 절두 원추형 경사부와 맞닿게 하고, 상기 슬리브의 포트 부분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며, 이에 의해 상기 클립을 반경 방향으로 해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슬리브의 선단을 클립과 맞닿게 하고, 이에 의해 상기 커플링의 포트 부분에 의해 형성된 홈의 벽에 대하여 클립을 유지하여 압력 변동, 충격 및 스템 부분의 물리적 조작의 영향에 의한 포트 부분 내에서의 스템 부분의 셔틀링을 방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 부분에 클립으로부터 이격되게 더스트 시일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더스트 시일 홈에 더스트 시일을 배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슬리브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슬리브의 견부를 더스트 시일과 맞닿게 하고, 이에 의해 슬리브를 클립을 향해 압박하며, 슬리브를 클립과 맞닿게 압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시일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더스트 시일 홈에 더스트 시일의 이동을 저항적으로 허용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과도한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더스트 시일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 장력을 이용하여 더스트 시일을 더스트 시일 홈의 경사면까지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3.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를 이용하여 클립을 반경 방향으로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스템 부분의 환형 홈에 클립을 압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포트 부분에서 스템 부분을 분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44. 제39항에 있어서,
    스템 부분을 포트 부분에 더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절두 원추형 경사부에 의해 클립을 스템 부분에 형성된 환형 클립 홈으로 압축하는 단계와,
    상기 슬리브를 이용하여 클립을 환형 홈에 압축된 상태로 반경 방향으로 유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포트 부분으로부터 스템 부분을 분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45. 커플링의 스템 부분 둘레에 슬리브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슬리브의 선단과 스템 둘레에서 스템의 환형 홈에 배치된 클립을 접촉시켜, 클립을 고정하고 클립과 스템을 축방향으로 정렬하는 단계와,
    상기 스템을 포트에 삽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슬리브의 선단을 커플링의 포트 부분에 의해 형성된 홈의 벽에 대하여 클립을 유지하도록 클립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하여, 압력 변동, 충격, 스템의 물리적 조작의 영향에 의한 포트 내에서의 스템의 셔틀링을 방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과 스템을 축방향으로 정렬하는 단계는 스템의 유지 단에 클립을 안착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템을 포트에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클립과 포트 인입각을 접촉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포트 인입각은 클립을 스템의 환형 유지 홈으로 축방향으로 압축하여, 상기 클립이 완전히 슬리브 아래에 유지되는 일 없이 스템이 포트에 설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인 방법.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에 클립으로부터 이격되게 더스트 시일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더스트 시일 홈에 더스트 시일을 배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슬리브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슬리브의 견부와 더스트 시일을 맞닿게 하고, 이에 의해 상기 슬리브를 클립을 향해 압박하고, 상기 슬리브를 클립과 맞닿게 압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계.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시일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더스트 시일 홈에 더스트 시일의 이동을 저항적으로 허용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과도한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더스트 시일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 장력을 이용하여 더스트 시일을 더스트 시일 홈의 경사면까지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0.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를 이용하여 클립을 반경 방향으로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클립을 스템의 환형 홈에서 압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포트로부터 스템을 분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1.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에 절두 원추형 경사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템을 포트에 더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절두 원추형 경사부에 의해 클립을 스템에 의해 형성된 환형 클립 홈에 압축하는 단계와,
    상기 슬리브를 사용하여 클립을 환형 홈에 압축된 상태로 반경 방향으로 유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스템을 포트에서 분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097009063A 2006-10-13 2007-10-12 신속 연결 커플링 고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1624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80,406 US7963570B2 (en) 2005-09-01 2006-10-13 Quick connect coupling stabiliza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11/580,406 2006-10-13
PCT/US2007/021864 WO2008048506A2 (en) 2006-10-13 2007-10-12 Quick connect coupling stabiliza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297A true KR20090089297A (ko) 2009-08-21
KR101162412B1 KR101162412B1 (ko) 2012-07-04

Family

ID=39247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063A KR101162412B1 (ko) 2006-10-13 2007-10-12 신속 연결 커플링 고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7963570B2 (ko)
EP (1) EP2079959B1 (ko)
JP (1) JP5237954B2 (ko)
KR (1) KR101162412B1 (ko)
CN (1) CN101589260B (ko)
AU (1) AU2007313354B2 (ko)
BR (1) BRPI0719862B1 (ko)
CA (1) CA2665824C (ko)
MX (1) MX2009003427A (ko)
RU (1) RU2425274C2 (ko)
WO (1) WO200804850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3570B2 (en) * 2005-09-01 2011-06-21 The Gates Corporation Quick connect coupling stabiliza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7533907B2 (en) * 2005-03-11 2009-05-19 The Gates Corporation Ip Law Dept. Pressure activated disconnect lock coupling
US8746751B2 (en) * 2006-03-16 2014-06-10 The Gates Corporation Quick connect coupling systems with insert
US7908730B2 (en) * 2006-07-11 2011-03-22 Haldex Brake Corporation PTC fitting cartridge
FR2926871B1 (fr) * 2008-01-30 2010-04-02 Air Liquide Dispositif de remplissage et de distribution de gaz et ensembl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FR2929368B1 (fr) * 2008-03-26 2013-01-04 Air Liquide Connecteur de remplissage et/ou soutirage de fluide et ensemble connecteur et robinet
FR2930619A1 (fr) * 2008-04-24 2009-10-30 Air Liquide Dispositif receveur de gaz sous pression, ensemble distributeur-dispositif receveur et systeme d'alimentation correspondant
FR2931223B1 (fr) * 2008-05-16 2010-08-20 Air Liquide Dispositif distributeur de gaz sous pression, ensembl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et dispositif de commande, recipient pourvu d'un tel dispositif distributeur
US8814219B2 (en) * 2009-02-03 2014-08-26 Bilfinger Water Technologies, Inc. Push lock pipe connection system and disconnection tool
US10221977B2 (en) 2009-02-03 2019-03-05 Aqseptence Group, Inc. Pipe coupling
US8342579B2 (en) * 2009-02-03 2013-01-01 Hennemann Thomas L Push lock pipe connection system
US9810358B2 (en) * 2009-02-03 2017-11-07 Aqseptence Group, Inc. Male push lock pipe connection system
DE102009056336A1 (de) * 2009-12-01 2011-06-09 Erhard Gmbh & Co. Kg Rohrkupplungssystem, insbesondere für eine Anbohrvorrichtung
CH703836B1 (de) * 2010-09-29 2014-09-30 Orlando Da Rold Kupplungsteil einer chirurgischen Vorrichtung zum Kuppeln mit einem chirurgischen Handstück.
US9732892B2 (en) * 2013-01-09 2017-08-15 Gates Corporation Quick connect coupling with a self-resetting retention mechanism
CN105156813B (zh) * 2015-09-29 2017-11-03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油管快插接头及其安装、拆卸方法
US9869416B2 (en) * 2016-01-26 2018-01-16 Tectran Mfg. Inc. Swivel coupling and hose assemblies and kits utilizing the same
US10473243B2 (en) * 2016-01-26 2019-11-12 Tectran Mfg. Inc. Hose repair kit with live swivel coupling
US10281075B2 (en) 2016-11-15 2019-05-07 Campbell Fittings, Inc. Quick disconnect coupling for conduit
USD894345S1 (en) * 2019-02-08 2020-08-25 Taylor-Cain Corporation Dip tube end fitting
US11215769B2 (en) 2019-03-07 2022-01-04 Mellanox Technologies, Ltd. MPO locking

Family Cites Families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92243A (en) * 1935-05-22 1937-09-07 Bendix Prod Corp Coupling
US2436206A (en) * 1945-12-06 1948-02-17 Aeroquip Corp Self-sealing coupling
US2479960A (en) 1946-01-10 1949-08-23 Alden E Osborn Pipe joint
US2461705A (en) 1947-10-01 1949-02-15 Charles L Conroy Self-sealing releasable coupling
US2568516A (en) * 1948-05-19 1951-09-18 Albert T Scheiwer Coupling
BE542454A (ko) 1954-11-08 1900-01-01
US3177018A (en) 1963-01-02 1965-04-06 Aeroquip Corp Snap ring coupling
US3314447A (en) 1963-07-03 1967-04-18 Lear Siegler Inc Quick connect coupling
US3398977A (en) 1965-02-13 1968-08-27 Yoneda Rikizo Pipe coupling
US3447819A (en) 1966-12-30 1969-06-03 Adolph W Borsum Push-pull connector having combined seal and locking ring
US3773360A (en) * 1972-09-01 1973-11-20 W Timbers Quick disconnect coupling
US3810073A (en) * 1973-01-26 1974-05-07 Omni Spectra Inc Connector locking mechanism
US3887222A (en) 1974-07-25 1975-06-03 Hansen Mfg Coupling with push-pull release
US3997196A (en) 1975-01-20 1976-12-14 The Hansen Manufacturing Co. Coupling assembly
DE2650370C2 (de) * 1975-11-12 1986-12-04 Kjell Ronny Zug Ekman Verriegelbare Leitungskupplung
US4063760A (en) * 1976-10-27 1977-12-20 The Weatherhead Company Quick connect coupling
DE7729110U1 (de) * 1977-09-20 1979-01-04 Kaltenbach & Voigt Gmbh & Co, 7950 Biberach Zahnärztliches Handstück
US4135745A (en) * 1977-12-23 1979-01-23 Ford Motor Company Quick connect fluid fitting
US4403959A (en) 1981-07-31 1983-09-13 Kabushiki Kaisha Yoshida Seisakusho Coupling device for a dental instrument
JPS6043309U (ja) * 1983-08-31 1985-03-27 株式会社 中西歯科器械製作所 光学ハンドピ−ス
US4610468A (en) 1984-08-14 1986-09-09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Quick connect/disconnect coupling
US4645245A (en) * 1985-10-07 1987-02-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Quick connect tube coupling
SE451342B (sv) 1985-11-21 1987-09-28 Weimar Ohlsson Snabbkoppling for sammankoppling av tva hogtrycksfluidledningar
US4874174A (en) * 1987-03-05 1989-10-17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Tube connecting unit
US4750765A (en) * 1987-07-27 1988-06-14 Stratoflex, Inc. Quick-connect coupling
US4872710A (en) 1988-10-07 1989-10-10 Stratoflex, Inc. Releasable quick connect fitting
US4949745A (en) * 1988-12-27 1990-08-21 Air-Lock, Incorporated Clean air connector
CH680382A5 (ko) 1989-08-24 1992-08-14 Bucher Guyer Ag Masch
US5141263A (en) 1990-05-10 1992-08-25 Arnold Varden Fluid line connector fitting with longitudinal release mechanism
JP3292483B2 (ja) 1990-12-16 2002-06-17 ブリヂストンフローテック株式会社 管継手
US5226682A (en) 1992-07-21 1993-07-13 Aeroquip Corporation Coupling assembly
US5419594A (en) 1993-12-03 1995-05-30 W. A. Thomas Co. Quick-connect conduit coupling
DE9401501U1 (de) 1994-01-29 1994-03-10 Voss Armaturen Steckkupplung für Druckleitungssysteme
US5553895A (en) * 1995-05-03 1996-09-10 Aeroquip Corporation Coupling assembly
SE503937C2 (sv) 1995-05-08 1996-09-30 Weo Hydraulic Ab Snabbkoppling mellan en hondel och en handel samt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montering av hondelen
GB2306593A (en) 1995-08-04 1997-05-07 Smiths Industries Plc Releasable Fluid coupling
US5570910A (en) * 1995-08-18 1996-11-05 Aeroquip Corporation Coupling assembly
US5685575A (en) 1995-11-03 1997-11-11 Aeroquip Corporation Power steering coupling assembly
US5788290A (en) * 1995-12-27 1998-08-04 Fastest, Inc. Quick connect coupler
US5707085A (en) 1996-09-12 1998-01-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Fluid coupling
US5927975A (en) * 1997-01-24 1999-07-27 Esrock; Bernard S. Fitting for dental syringe tip
DE29803195U1 (de) * 1998-02-24 1999-06-24 Schaefer Stettiner Schrauben Kombination aus einer Steckverbindung für Rohrleitungen und einem Lösewerkzeug
EP0905431A3 (de) 1997-09-30 1999-09-15 Aeroquip-Vickers International GmbH Kupplungseinrichtung
US5918913A (en) 1997-10-30 1999-07-06 Dana Corporation Quick-connect coupling for articulating hose lines
DE29805720U1 (de) 1998-03-28 1999-08-05 Voss Armaturen Steckkupplung für Druckmittelsysteme
WO2000036328A1 (de) 1998-12-11 2000-06-22 Aeroquip-Vickers International Gmbh Kupplungseinrichtung mit blockiervorrichtung
US6554320B2 (en) 2000-11-01 2003-04-29 Parker-Hannifin Corporation Quick connect/disconnect coupling
FR2820489B1 (fr) * 2001-02-05 2004-01-23 Valeo Dispositif de branchement d'alimentation pour un systeme a pression de fluide
US6494494B2 (en) 2001-02-15 2002-12-17 Eaton Aeroquip, Inc. Coupling assembly
US6592151B2 (en) * 2001-02-15 2003-07-15 Eaton Aeroquip, Inc. Coupling assembly
US6450545B1 (en) * 2001-02-21 2002-09-17 Parker Hennifin Corporation Fluid coupling plug
US6604760B2 (en) 2001-06-29 2003-08-12 Parker-Hannifin Corporation Quick connect/disconnect coupling
DE20203246U1 (de) * 2002-03-02 2003-04-17 Weh Erwin Anschlußkupplung mit Schiebehülse und Spannzangen
SE523474C2 (sv) 2002-07-04 2004-04-20 Weo Hydraulic Ab Monteringsstopp vid axiellt rörliga han-honkopplingar för att förhindra ofrivillig frigöring av kopplingar
US6637781B1 (en) 2002-10-07 2003-10-28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Coupling
AU2005208350B2 (en) * 2004-01-27 2010-03-25 Eaton Corporation Coupling assembly with latching sleeve
AU2005287235B2 (en) * 2004-09-17 2009-11-26 The Gates Corporation Quick connect coupling
US7963570B2 (en) * 2005-09-01 2011-06-21 The Gates Corporation Quick connect coupling stabiliza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DE202005000750U1 (de) 2005-01-18 2006-06-01 Voss Automotive Gmbh Anschlußvorrichtung für Medienleitungen
DE202005005319U1 (de) 2005-04-04 2005-06-09 Arco Armaturenfabrik Obrigheim Gmbh & Co Steckverbindereinrichtung für hydraulische oder pneumatische Leitungssyste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28392B2 (en) 2011-10-04
RU2425274C2 (ru) 2011-07-27
AU2007313354A1 (en) 2008-04-24
CN101589260A (zh) 2009-11-25
US20070145742A1 (en) 2007-06-28
KR101162412B1 (ko) 2012-07-04
US7963570B2 (en) 2011-06-21
RU2009117859A (ru) 2010-11-20
BRPI0719862B1 (pt) 2019-02-26
CA2665824A1 (en) 2008-04-24
US20110057437A1 (en) 2011-03-10
MX2009003427A (es) 2009-06-01
CA2665824C (en) 2012-12-18
JP5237954B2 (ja) 2013-07-17
EP2079959B1 (en) 2016-01-06
CN101589260B (zh) 2013-07-17
BRPI0719862A2 (pt) 2014-06-03
WO2008048506A2 (en) 2008-04-24
US8375550B2 (en) 2013-02-19
EP2079959A2 (en) 2009-07-22
WO2008048506A3 (en) 2008-06-19
US20110162190A1 (en) 2011-07-07
JP2010507048A (ja) 2010-03-04
AU2007313354B2 (en)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412B1 (ko) 신속 연결 커플링 고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0877545B1 (ko) 신속 연결식 커플링
RU2272211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быстрого соединения
AU2005302599B2 (en) Quick connect coupling
KR101812392B1 (ko) 자가-리셋 유지 기구를 구비한 신속 연결 커플링
KR20170139138A (ko) 밀어서 연결하고 또한 당겨서 분리하는 신속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