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855A -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855A
KR20150134855A KR1020140062210A KR20140062210A KR20150134855A KR 20150134855 A KR20150134855 A KR 20150134855A KR 1020140062210 A KR1020140062210 A KR 1020140062210A KR 20140062210 A KR20140062210 A KR 20140062210A KR 20150134855 A KR20150134855 A KR 20150134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air
room
unit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1197B1 (ko
Inventor
임형선
이승수
Original Assignee
(주)에이피
탑에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피, 탑에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에이피
Priority to KR1020140062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197B1/ko
Publication of KR20150134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건물의 방들에 연결되는 배관시스템; 상기 배관시스템에 연결되며, 상기 배관시스템을 통해 상기 방들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거나 방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급,배기유닛; 상기 건물의 각 방에 위치하는 배관시스템의 관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각 방으로 유입되고 유출되는 급배기량을 조절하는 전동댐퍼유닛; 상기 건물의 방들에 연결되어 방에 사람의 유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시스템; 상기 인체감지시스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급,배기유닛 및 전동댐퍼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인체감지시스템에서 사람을 감지시 집주인의 휴대 단말기에 건물의 방에 사람이 있음을 알려주는 사람존재알림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실내를 효율적으로 환기시킬 뿐만 아니라 사람이 환기시스템의 전원을 끄지 않고 외출한 경우에 작동을 정지시켜 소비전력을 감소시킨다. 또한 건물 내부를 환기시키는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건물 내부의 도난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MULTI-VENTILAT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가 외부와 통풍이 잘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에서 사람이 장시간 활동하게 되면 실내 공기의 오염 및 CO2 증가로 인하여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실내를 환기시켜 주어야 한다.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게 되면 오염물질이 유입될 뿐만 아니라 내부 열 손실이 발생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에 다양한 형태의 환기시스템(일명, 환기장치라고 함)이 설치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54228호(2007. 05. 28. 공개일)(이하, 선행기술1 이라 함)에는 24시간 실내 환기 기능을 구비한 환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1은 실내에 사람이 있는지에 관계없이 24시간 실내를 환기시키게 되므로 소비전력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63856호(2003. 07. 31. 공개일)(이하, 선행기술2 이라 함)에는 실내의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를 측정하여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은 구역을 집중 환기시키는 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환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2는 실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여 실내를 환기시키게 되므로 실내에 사람이 있다가 사람이 실내 밖으로 외출한 상태에서도 환기장치가 작동하게 되어 소비전력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실내를 효율적으로 환기시킬 뿐만 아니라 사람이 환기시스템의 전원을 끄지 않고 외출한 경우에 작동을 정지시켜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 내부를 환기시키는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건물 내부의 도난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물의 방들에 연결되는 배관시스템; 상기 배관시스템에 연결되며, 상기 배관시스템을 통해 상기 방들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거나 방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급,배기유닛; 상기 건물의 각 방에 위치하는 배관시스템의 관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각 방으로 유입되고 유출되는 급배기량을 조절하는 전동댐퍼유닛; 상기 건물의 방들에 연결되어 방에 사람의 유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시스템; 상기 인체감지시스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급,배기유닛 및 전동댐퍼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인체감지시스템에서 사람을 감지시 집주인의 단말기에 건물의 방에 사람이 있음을 알려주는 사람존재알림유닛;을 포함하는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배관시스템은 상기 건물의 방들에 연결되어 외부 공기가 방들로 공급되는 급기라인과, 상기 건물의 방들에 연결되어 방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급기라인은 급기메인관과, 상기 급기메인관에 각각 분지되어 상기 건물의 각 방에 연통되는 급기분지관들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라인은 배기메인관과, 상기 배기메인관에 각각 분지되어 상기 건물의 각 방에 연통되는 배기분지관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동댐퍼유닛은 상기 건물의 각 방에 위치하는 배관시스템의 관 단부에 설치되는 전동댐퍼들과, 상기 전동댐퍼들을 상기 제어유닛에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체감지시스템은 건물의 각 방에 구비되어 사람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들과, 상기 인체감지센서들과 제어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체감지센서는 방에 위치하는 전동댐퍼유닛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체감지시스템의 연결라인은 상기 배관시스템을 따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물의 방에 사람이 위치하는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건물의 방에 사람이 감지되면 사람이 감지되는 지역의 배관시스템의 급기라인의 전동댐퍼를 열고 상기 배관시스템의 배기라인의 전동댐퍼를 여는 단계; 급,배기유닛의 배기 유동발생유닛과 급기 유동발생유닛을 각각 작동시켜 상기 건물의 방 공기를 배기라인과 배기유로를 통해 건물 밖으로 배출시키고, 외부의 공기를 급기라인과 급기유로를 통해 상기 건물의 방으로 유입시키는 단계; 상기 건물 방의 거주자에게 방에 사람이 있음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여름철과 겨울철에는 상기 건물의 방으로 유입되는 유입 공기와 건물의 방 밖으로 배출되는 배출 공기가 서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유입 공기와 배출 공기가 상기 급,배기유닛의 열교환 모듈을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건물의 방(실내)들 중 사람이 있는 방에만 환기를 시켜 사람이 있는 방의 공기를 청정 상태로 유지하고, 사람이 없는 건물의 방(들)은 환기를 시키지 않게 되므로 환기시스템의 소비 전력 및 사용 비용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건물의 방(들)에 아무도 사람이 없는 경우 건물 내부에 사람이 없는 것을 감지하여 건물의 방들에 환기를 시키지 않게 되므로 건물에 거주하는 사람이 환기시스템의 전원을 끄지 않고 외출한 경우 불필요하게 환기시스템이 운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환기시스템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건물의 거주자가 건물 밖으로 모두 외출하고 건물 내부에 아무도 없는 상태에서 도둑이 건물 내부에 침입할 경우 건물 내부에 사람이 있는 것을 집주인(거주자)에게 알려주게 되므로 건물 내부에 도둑이 침입함을 알 수 있게 되어 도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의 일실시예가 건물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급,배기유닛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급,배기유로 조절유닛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동댐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동댐퍼의 일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의 일실시예가 건물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의 일실시예는 배관시스템(100), 급,배기유닛(200), 전동댐퍼유닛(300), 인체감지시스템(400), 제어유닛(500), 사람존재알림유닛(600)을 포함한다.
배관시스템(100)은 건물에 구비된다. 배관시스템(100)은 건물에 구비된 각 방과 건물 밖을 연통시켜 건물 밖의 공기가 건물의 각 방으로 유입되거나 각 방의 공기가 건물 밖으로 배출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안내한다.
배관시스템(100)의 일예로, 배관시스템(100)은 건물의 방들에 연결되어 외부 공기가 방들로 각각 공급되는 급기라인(110)과, 건물의 방들에 연결되어 방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라인(120)을 포함한다. 급기라인(110)은 건물의 방들의 천장 속에 설치되는 급기메인관(111)과, 급기메인관(111)에 각각 분지되어 건물의 각 방에 연통되는 급기분지관(112)들을 포함한다. 배기라인(120)은 건물의 방들의 천장 속에 설치되는 배기메인관(121)과, 배기메인관(121)에 각각 분지되어 건물의 각 방에 연통되는 배기분지관(122)들을 포함한다.
한편, 급기분지관(112)과 배기분지관(122)에 각각 복수 개의 보조분지관(미도시)들이 연결될 수도 있다.
급,배기유닛(200)은 배관시스템(100)에 연결된다. 급,배기유닛(200)은 배관시스템(100)을 통해 건물의 방들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거나 방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급,배기유닛(200)의 일예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배기유닛(200)은 본체 케이스(210), 제1 급기 연결관(SP1) 및 제1 배기 연결관(DP1), 제2 급기 연결관(SP2) 및 제2 배기 연결관(DP2), 열교환 모듈(220), 배기유로 조절유닛(230), 급기유로 조절유닛(240), 배기 유동발생유닛(250), 급기 유동발생유닛(260)을 포함한다.
본체 케이스(210)는, 육면체의 케이스 내부 가운데 길이 방향으로 제1 격벽(211)과 열교환 모듈(220)과 제2 격벽(212)이 일렬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며, 제1 격벽(211), 열교환 모듈(220), 제2 격벽(212)에 의해 케이스의 내부가 두 개의 통로로 구획되며, 한쪽 통로를 실내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배기유로(F1)라 하고 다른 한쪽 통로를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급기유로(F2)라 한다. 열교환 모듈(220)은 일정 두께를 갖는 육각형 형태(평면에서 볼 때)이며, 배기유로(F1)를 통과하는 더운 공기와 급기유로(F2)를 통과하는 찬 공기가 상호 열교환되도록 더운 공기가 흐르는 통로들과 찬 공기가 흐르는 통로들이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된 단위 열교환 모듈이 복수 개 적층된 것이다. 본체 케이스(210)의 한쪽 측면에 배기유로(F1)와 연통되게 제1 배기 연결관(DP1)이 구비되고, 제1 배기 연결관(DP1) 옆에 위치하도록 본체 케이스(210)의 한쪽 측면에 급기유로(F2)와 연통되게 제1 급기 연결관(SP1)이 구비된다. 본체 케이스(210)의 다른 한쪽 측면(제1 배기 연결관이 구비된 측면과 마주보는 측면)에 배기유로(F1)와 연통되게 제2 배기 연결관(DP2)이 구비되고, 제2 배기 연결관(DP2) 옆에 위치하도록 본체 케이스(210)의 다른 한쪽 측면에 급기유로(F2)와 연통되게 상기 제2 급기 연결관(SP2)이 구비된다. 제1 배기 연결관(DP1)은 배관시스템(100)의 배기라인(120)의 배기메인관(121)과 연결되고, 제1 급기 연결관(SP1)은 배관시스템(100)의 급기라인(110)의 급기메인관(111)과 연결된다. 제2 배기 연결관(DP2)과 제2 급기 연결관(SP2)은 건물 밖으로 노출된다.
배기유로 조절유닛(23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 모듈(220)의 한쪽 모서리 부분에 각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231)과, 회전축(231)에 결합되는 판형 밸브(232)와, 회전축(231)과 연결되도록 본체 케이스(210)의 외부에 장착되어 판형 밸브(232)가 배기유로(F1)를 조절하도록 회전축(231)을 각회전시키는 배기 구동유닛(233)을 포함한다. 판형 밸브(232)가 본체 케이스(210)의 내측면과 수직으로 위치(이하,제1 위치라 함)하면 실내 공기는 열교환 모듈(220)만을 통해 유동하고 판형 밸브(232)가 열교환 모듈(220)의 유입쪽 측면과 접촉되게 위치(이하, 제2 위치라 함)하면 실내 공기는 열교환 모듈(220)을 통하지 않고 열교환 모듈(220)의 측면과 본체 케이스(210)의 내측면 사이를 통해 유동하게 된다. 또한, 판형 밸브(232)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위치(이하, 제3 위치라 함)하면 실내 공기의 일부는 열교환 모듈(220)을 통해 유동하고 나머지는 열교환 모듈(220)의 측면과 본체 케이스(210)의 내측면 사이를 통해 유동하게 된다.
급기유로 조절유닛(240)은, 배기유로 조절유닛(230)의 구성과 같이, 열교환 모듈(220)의 한쪽 모서리 부분에 각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241)과, 회전축(241)에 결합되는 판형 밸브(242)와, 회전축(241)과 연결되도록 본체 케이스(210)의 외부에 장착되어 판형 밸브(242)가 급기유로(F2)를 조절하도록 회전축(241)을 각회전시키는 급기 구동유닛(243)을 포함한다. 판형 밸브(242)가 본체 케이스(210)의 내측면과 수직으로 위치(이하, 제1 위치라 함)하면 실외 공기는 열교환 모듈(220)만을 통해 유동하고, 판형 밸브(242)가 열교환 모듈(220)의 유입쪽 측면에 접촉되도록 위치(이하, 제2 위치라 함)하면 실외 공기는 열교환 모듈(220)을 통하지 않고 열교환 모듈(220)의 측면과 본체 케이스(210)의 내측면 사이를 통해 유동하게 된다. 또한, 판형 밸브(242)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위치(이하, 제3 위치라 함)하면 실외 공기의 일부는 열교환 모듈(220)을 통해 유동하고 나머지는 열교환 모듈(220)의 측면과 본체 케이스(210)의 내측면 사이를 통해 유동하게 된다.
배기 유동발생유닛(250)은 제2 배기 연결관(DP2)에 구비되어 공기 유동을 발생시킨다. 배기 유동발생유닛(250)은 아우터 로터형 비엘디시 모터(미도시)와, 아우터 로터형 비엘디시 모터의 아우터 로터에 구비되는 팬(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기 유동발생유닛(260)은 제1 급기 연결관(SP1)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킨다. 급기 유동발생유닛(260)은 아우터 로터형 비엘디시 모터(미도시)와, 아우터 로터형 비엘디시 모터의 아우터 로터에 구비되는 팬(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 유동발생유닛(250)의 비엘디시 모터의 용량이 급기 유동발생유닛(260)의 비엘디시 모터의 용량보다 크고 배기 유동발생유닛(250)의 팬이 급기 유동발생유닛(260)의 팬의 크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급기 연결관(SP2)에 필터 유닛(270)이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전동댐퍼유닛(300)은 배관시스템(100)의 각 방에 위치하는 관(분지관 및 보조분지관)의 단부에 구비되는 전동댐퍼(D)들과, 전동댐퍼(D)들과 제어유닛(500)을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W를 포함한다. 급기라인(110)의 급기분지관(112)들의 각 단부에 구비된 전동댐퍼(D)가 닫히게 되면 공기가 급기분지관(112)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고, 전동댐퍼(D)가 열리게 되면 공기가 급기분지관(112)을 통해 빠져나오게 된다. 또한, 전동댐퍼(D)의 열림 정도에 따라 공기의 유량이 정해진다. 배기라인(120)의 배기분지관(122)들의 각 단부에 구비된 전동댐퍼(D)가 닫히게 되면 공기가 배기분지관(122)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고, 전동댐퍼(D)가 열리게 되면 공기가 배기분지관(122)을 통해 빠져나오게 된다.
급기라인(110)에 구비된 전동댐퍼(D)와 배기라인(120)에 구비된 전동댐퍼(D)는 그 구성이 서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동댐퍼(D)의 일예로, 도 4,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동댐퍼(D)는 한쪽은 분지관(112)(또는 보조분지관)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천정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의 테두리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기통로가 구비된 디퓨저케이싱(310); 디퓨저케이싱(310)의 공기통로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 베이스부재(320); 디퓨저케이싱(320)의 공기통로 내부에 구비되며, 회전에 따라 공기통로를 개폐하는 복수 개의 개폐판(330)들; 고정 베이스부재(320)에 지지되어 공기통로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확산시키며, 회전에 따라 개폐판(330)들을 회전시키는 디퓨저콘(340); 고정 베이스부재(320)에 구비되며, 디퓨저콘(340)을 회전시키는 콘구동유닛(350);을 포함한다.
디퓨저케이싱(310)은 내부에 공기통로(F)가 구비된 관부(311)와, 관부(311)의 한쪽 단부에 연장 형성된 확관부(312)를 포함한다. 관부(311)가 분지관(112)에 연결된다. 고정 베이스부재(320)는 디퓨저케이싱(310)의 공기통로(F) 내주면 한쪽에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베이스판부(321)와, 디퓨저케이싱(310)의 공기통로(F) 내주면 다른 한쪽에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베이스판부(322)와, 공기통로(F)에 위치하여 제1,2 베이스판부(321)(322)와 각각 연결되는 원통부(323)를 포함한다. 개폐판(330)들은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판들(330)은 디퓨저콘(340)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개의 개폐판들(330)을 제1,2 개폐판(330A)(330B)이라 할 때, 제1,2 개폐판(330A)(330B)은 고정 베이스부재(320)와 함께 공기통로(F)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로 위치한다. 제1 개폐판(330A)의 한쪽은 고정 베이스부재(320)에 접촉되게 위치하고 제2 개폐판(330B)의 한쪽은 제1 개폐판(330A)의 다른 한쪽에 접촉되게 위치한다. 제1 개폐판(330A)은 각각 내부에 삽입구멍(H1)이 구비된 원판부(3)와, 원판부(3)의 양쪽 외주면에 각각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 판부(1)(2)를 포함한다. 제2 개폐판(330B)은 내부에 결합구멍(H2)이 구비된 원판부(13)와, 원판부(13)의 양쪽 외주면에 각각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 판부(11)(12)를 포함한다. 제1,2 개폐판(330A)(330B)들은 순차적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제1 개폐판(330A)은 제2 개폐판(330B)과 연동되고 제2 개폐판(330B)은 디퓨저콘(340)에 의해 연동된다. 이와 같이 제1,2 개폐판(330A)(330B)이 연동되기 위하여, 제1,2 개폐판(330A)(330B)과 고정 베이스부재(320)에 막대 형상의 걸림돌기(A)이 구비된다. 디퓨저콘(340)은 원뿔 형상의 콘부(341)와, 콘부(341)의 꼭지부분에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어 제2 개폐판(330B)의 결합구멍(H2)에 결합되는 결합부(342)와, 결합부(342)에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어 제1 개폐판(330A)의 삽입구멍(H1)에 삽입되는 지지부(343)와, 지지부(343)의 끝면에서 설정된 깊이로 형성된 축결합홀(344)을 포함한다. 디퓨저콘(340)에 인체감지시스템(400)을 구성하는 인체감지센서(410)가 장착된다. 인체감지센서(410)는 디퓨저콘(340)의 콘부(341)의 하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콘구동유닛(350)은 회전모터를 포함한다. 회전모터는 고정 베이스부재(200)의 원통부(230) 상면에 장착되고 회전모터의 모터축(351)이 고정 베이스부재(320)의 원통부(323)에 삽입되어 디퓨저콘(340)의 축결합홀(344)에 결합된다. 콘구동유닛(350)은 연결 와이어(W)에 연결된다.
콘구동유닛(350)이 정회전함에 따라 디퓨저콘(340)이 정회전하면서 제2 개폐판(330B)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제2 개폐판(330B)의 회전에 의해 제1 개폐판(330A)이 연동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콘구동유닛(350)이 역회전함에 따라 디퓨저콘(340)이 역회전하면서 제2 개폐판(330B)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제2 개폐판(330B)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제1 개폐판(330A)이 연동되면서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2 개폐판(330A)(330B)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 베이스부재(320)와 제1,2 개폐판(330A)(330B)이 서로 중첩되는 것이 최소화되면(제1,2 개폐판이 펼쳐진 상태) 디퓨저케이싱(310)의 공기통로(F)를 모두 막은 상태가 되고, 고정 베이스부재(320)와 제1,2 개폐판(330A)(330B)이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공기통로(F)를 최대한 오픈된 상태가 되고, 고정 베이스부재(320)와 제1,2 개폐판(330A)(330B)의 중첩 정도에 따라 유로의 크기가 정해지면서 공기의 유동량이 조절된다.
인체감지시스템(400)은 건물의 방들에 사람이 있는지 사람의 유무를 감지한다. 인체감지시스템(400)은 건물의 각 방에 구비되어 사람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410)들과, 인체감지센서(410)들과 제어유닛(500)을 연결하는 연결라인(420)을 포함한다. 인체감지센서(410)는 방에 위치하는 급기분지관(112)의 전동댐퍼(D)의 디퓨저콘(340) 하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디퓨저콘(340) 하면에 인체감지센서(410)가 구비되므로 인체감지센서(410)의 인체 감지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연결라인(420)의 배선이 간단하게 된다. 결라인(420)은 배관시스템의 급기라인(110)을 따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유닛(500)은 인체감지시스템(400)의 감지 신호에 따라, 급,배기유닛(200) 및 전동댐퍼유닛(300)을 제어한다. 인체감지시스템(400)의 연결라인(420)이 제어유닛(50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급,배기유닛(200)의 배기 구동유닛(233) 및 급기 구동유닛(243), 배기 유동발생유닛(250), 급기 유동발생유닛(260), 전동댐퍼(D)들은 각각 제어유닛(500)에 연결된다.
사람존재알림유닛(600)은 인체감지시스템(400)에서 사람을 감지시 집주인의 휴대 단말기(410)에 건물의 방에 사람이 있음을 알려주게 된다. 사람존재알림유닛(600)은 제어유닛(500)에 구비되는 무선송출기(미도시)와 집주인의 휴대 단말기(410)에 구비되는 수신기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는 건물의 방에 사람이 위치하는지 감지하는 단계(S1)와, 건물의 방에 사람이 감지되면 사람이 감지되는 지역(방)의 배관시스템(100)의 급기라인(110)의 전동댐퍼(D)를 열고 배관시스템(100)의 배기라인(120)의 전동댐퍼(D)를 오픈시키는 단계(S2)가 진행된다.
급기라인(110)의 전동댐퍼(D)와 배기라인(120)의 전동댐퍼(D)를 오픈시킨 후 급,배기유닛(200)의 배기 유동발생유닛(250)과 급기 유동발생유닛(260)을 각각 작동시켜 사람이 감지된 방의 공기를 배기라인(120)과 배기유로(F1)를 통해 건물 밖으로 배출시키고, 외부의 공기를 급기라인(110)과 급기유로(F2)를 통해 사람이 감지된 방으로 유입시키는 단계(S3)가 진행된다. 이때, 사람이 감지된 건물 방의 급기라인 전동댐퍼(D)와 배기라인 전동댐퍼(D)가 오픈되고, 사람이 감지되지 않은 방(들)의 급기라인 전동댐퍼(D)와 배기라인 전동댐퍼(D)는 클로우즈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람이 감지된 건물 방의 급기라인 전동댐퍼(D)와 배기라인 전동댐퍼(D)가 오픈되어 있으므로 사람이 감지된 건물 방만이 환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건물의 방에 사람이 감지되어 사람이 감지된 방의 환기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건물의 방 거주자(집주인)에게 건물의 방에 사람이 있음을 알리는 단계(S4)가 진행된다.
여름철과 겨울철에는, 사람이 감지된 방으로 유입되는 유입 공기와 건물 밖으로 배출되는 배출 공기가 서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유입 공기와 배출 공기가 급,배기유닛(200)의 열교환 모듈(220)을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인체감지시스템(400)에서 건물의 방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전동댐퍼유닛(300)의 각 전동댐퍼(D)를 닫고 급,배기유닛(200)의 급기 유동발생유닛(260)과 배기 유동발생유닛(250)을 작동시키지 않는다. 즉, 건물의 방에 사람이 없으므로 방의 공기를 환기시키지 않는다.
인체감지시스템(400)에서 건물의 방에 사람이 위치하는 것이 감지되면 사람이 감지된 방의 공기만 환기시킨다. 사람이 감지된 방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작동은, 사람이 위치하는 방의 급기라인(120)의 전동댐퍼(D) 및 배기라인(110)의 전동댐퍼(D)를 오픈시키고 사람이 위치하는 않는 방의 급기라인(120)의 전동댐퍼(D) 및 배기라인(110)의 전동댐퍼(D)를 클로우즈시킨다. 그리고 급,배기유닛(200)의 배기 유동발생유닛(250)과 급기 유동발생유닛(260)을 각각 작동시켜 사람이 감지된 방의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부의 공기를 사람이 감지된 방으로 유입(급기)시켜 사람이 감지된 방을 환기시킨다. 이와 같은 작동은 제어유닛(500)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사람이 감지된 방을 환기시키는 작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기 구동유닛(233) 및 급기 구동유닛(243)을 각각 작동시켜 판형 밸브(232)(242)를 제3 위치에 위치시고, 배기 유동발생유닛(250)과 급기 유동발생유닛(260)을 각각 작동시킨다.
배기 유동발생유닛(250)의 작동에 의해 유동(배기력)이 발생되어 사람이 위치한 방(실내)의 공기가 배관시스템(100)의 배기라인(110)과 제1 배기 연결관(DP1)을 통해 본체 케이스(210)의 배기유로(F1)로 유입되며 본체 케이스(210)의 배기유로(F1)로 유입된 실내 공기의 일부는 열교환 모듈(220)을 거쳐 제2 배기 연결관(DP2)을 통해 건물 밖으로 배기되고 이와 동시에 본체 케이스(210)의 배기유로(F1)로 유입된 실내 공기의 나머지는 열교환 모듈(220)의 측면과 본체 케이스(210)의 내측면 사이로 유동하여 제2 배기 연결관(DP2)을 통해 건물 밖으로 배기된다. 또한, 급기 유동발생유닛(260)의 작동에 의해 유동(급기력)이 발생되어 건물 밖의 실외 공기가 제2 급기 연결관(SP2)을 통해 본체 케이스(210)의 급기유로(F2)로 유입된다. 본체 케이스(210)의 급기유로(F2)로 유입된 실외 공기의 일부는 열교환 모듈(220)을 거쳐 제1 급기 연결관(SP1)을 통해 배관시스템(100)의 급기라인(120)으로 유입되며, 급기라인(120)으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급기라인(120)을 통해 사람이 위치한 방으로 공급(급기)된다. 실외 공기가 열교환 모듈(220)을 통과할 때 실내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져 외부 공기가 가열된 상태로 건물의 방으로 공급된다. 아울러, 실내 공기는 열교환 모듈(220)에서 열을 외부 공기에 전달하게 되어 냉각된 상태로 건물 밖으로 배기된다. 이로 인하여, 건물의 방의 열손실을 최소화시키면서 건물의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한편, 배기유로측 판형 밸브(232)의 위치와 급기유로측 판형 밸브(242)의 위치는 건물 밖의 외기의 조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즉, 겨울철이나 여름철에는 판형 밸브(232)(242)가 제1,3 위치에 위치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유입 공기와 건물 밖으로 배출되는 배출 공기가 서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체감지시스템(400)에서 건물의 방에 사람이 위치하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유닛(500)에 의해 사람이 감지된 방의 공기만 환기시킴과 동시에 사람존재알림유닛(600)에 의해 건물의 방 주인인 거주자(집주인)의 휴대 단말기(610)에 건물의 방에 사람이 있음을 알려주게 된다.
본 발명은 건물의 방들 중 사람이 있는 방에만 환기를 시켜 사람이 있는 방의 공기를 청정 상태로 유지하고, 사람이 없는 건물의 방(들)은 환기를 시키지 않게 되므로 환기시스템의 소비 전력 및 사용 비용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건물의 방(들)에 아무도 사람이 없는 경우 건물 내부에 사람이 없는 것을 감지하여 건물의 방들에 환기를 시키지 않게 되므로 건물에 거주하는 사람이 환기시스템의 전원을 끄지 않고 외출한 경우 불필요하게 환기시스템이 운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환기시스템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건물의 거주자가 건물 밖으로 모두 외출하고 건물 내부에 아무도 없는 상태에서 도둑이 건물 내부에 침입할 경우 건물 내부에 사람이 있는 것을 집주인인 거주자에게 알려주게 되므로 건물 내부에 도둑이 침입함을 알 수 있게 되어 도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배관시스템 200; 급,배기유닛
300; 전동댐퍼유닛 400; 인체감지시스템
500; 제어유닛 600; 사람존재알림유닛

Claims (8)

  1. 건물의 방들에 연결되는 배관시스템;
    상기 배관시스템에 연결되며, 상기 배관시스템을 통해 상기 방들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거나 방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급,배기유닛;
    상기 건물의 각 방에 위치하는 배관시스템의 관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각 방으로 유입되고 유출되는 급배기량을 조절하는 전동댐퍼유닛;
    상기 건물의 방들에 사람의 유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시스템;
    상기 인체감지시스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급,배기유닛 및 전동댐퍼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인체감지시스템에서 사람을 감지시 집주인의 휴대 단말기에 건물의 방에 사람이 있음을 알려주는 사람존재알림유닛;을 포함하는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시스템은 상기 건물의 방들에 연결되어 외부 공기가 방들로 공급되는 급기라인과, 상기 건물의 방들에 연결되어 방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급기라인은 급기메인관과, 상기 급기메인관에 각각 분지되어 상기 건물의 각 방에 연통되는 급기분지관들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라인은 배기메인관과, 상기 배기메인관에 각각 분지되어 상기 건물의 각 방에 연통되는 배기분지관들을 포함하는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댐퍼유닛은 상기 건물의 각 방에 위치하는 배관시스템의 관 단부에 설치되는 전동댐퍼들과, 상기 전동댐퍼들을 상기 제어유닛에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를 포함하는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댐퍼는 한쪽은 상기 배관시스템의 관 단부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천정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의 테두리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기통로가 구비된 디퓨저케이싱; 상기 디퓨저케이싱의 공기통로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 베이스부재; 상기 디퓨저케이싱의 공기통로 내부에 구비되며, 회전에 따라 공기통로를 개폐하는 복수 개의 개폐판들; 상기 고정 베이스부재에 지지되어 공기통로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확산시키며, 회전에 따라 상기 개폐판들을 회전시키는 디퓨저콘; 상기 고정 베이스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디퓨저콘을 회전시키는 콘구동유닛;을 포함하는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인체감지시스템은 건물의 각 방에 구비되어 사람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들과, 상기 인체감지센서들과 제어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센서는 방에 위치하는 전동댐퍼유닛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7. 건물의 방에 사람이 위치하는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건물의 방에 사람이 감지되면 사람이 감지되는 지역의 배관시스템의 급기라인의 전동댐퍼를 열고 상기 배관시스템의 배기라인의 전동댐퍼를 여는 단계;
    급,배기유닛의 배기 유동발생유닛과 급기 유동발생유닛을 각각 작동시켜 상기 건물의 방 공기를 배기라인과 배기유로를 통해 건물 밖으로 배출시키고, 외부의 공기를 급기라인과 급기유로를 통해 상기 건물의 방으로 유입시키는 단계;
    상기 건물 방의 거주자에게 방에 사람이 있음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여름철과 겨울철에는 상기 건물의 방으로 유입되는 유입 공기와 건물의 방 밖으로 배출되는 배출 공기가 서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유입 공기와 배출 공기가 상기 급,배기유닛의 열교환 모듈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제어방법.
KR1020140062210A 2014-05-23 2014-05-23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11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210A KR101611197B1 (ko) 2014-05-23 2014-05-23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210A KR101611197B1 (ko) 2014-05-23 2014-05-23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855A true KR20150134855A (ko) 2015-12-02
KR101611197B1 KR101611197B1 (ko) 2016-04-11

Family

ID=54883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210A KR101611197B1 (ko) 2014-05-23 2014-05-23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70489A (ja) * 2017-10-10 2019-05-09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建物の換気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535Y1 (ko) * 2001-03-05 2001-10-18 주식회사 평화기술감리단 공기분배기
JP5144446B2 (ja) * 2008-09-19 2013-02-13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1304421B1 (ko) * 2011-03-18 2013-09-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실내의 환기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70489A (ja) * 2017-10-10 2019-05-09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建物の換気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1197B1 (ko) 201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7777B2 (en) HVAC system and zone control unit
US9459015B2 (en) HVAC system and zone control unit
KR101121209B1 (ko) 하이브리드 환기설비
KR102055298B1 (ko)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101681870B1 (ko) 환기장치
JP2005003345A (ja) 換気兼熱交換装置および空調システム
US9163844B2 (en) Apparatus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temperature in a plurality of zones in a building
KR101221240B1 (ko) 외기냉방기능을 가진 폐열회수 환기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40022307A (ko) 배연 및 재연 소방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62485A (ko) 독립된 공간의 개별환기를 위한 환기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
KR101847426B1 (ko) 지하공간 환기 기능을 갖는 공동주택용 배기장치
KR101128574B1 (ko) 실내환기장치
KR101611197B1 (ko) 멀티 고효율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38678A (ko)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환기장치와 그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
KR101311181B1 (ko) 공기조화시스템
KR100533413B1 (ko) 주택 내부 환기 시스템
JP7083253B2 (ja) 空調システムの吹出口ユニット及び空調システム
KR100756441B1 (ko) 주택 내부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96716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이용한 멀티시스템
KR20090058314A (ko) 공동주택의 욕실 연동형 세대환기 시스템
JP2001108271A (ja) 換気装置、それを用いた空調換気システム及び建物
KR100627402B1 (ko) 환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바닥복사 냉난방시스템
JP2019132538A (ja) 空調システム
KR102149678B1 (ko) 창 개폐 상태에 대한 정보에 의거 제어기능을 실행하는 에너지회수 환기시스템
JP4282499B2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