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2014A -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2014A
KR20150132014A KR1020150067917A KR20150067917A KR20150132014A KR 20150132014 A KR20150132014 A KR 20150132014A KR 1020150067917 A KR1020150067917 A KR 1020150067917A KR 20150067917 A KR20150067917 A KR 20150067917A KR 20150132014 A KR20150132014 A KR 20150132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trace
core
foils
foil
monito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8763B1 (ko
Inventor
데니스 구즈로카크
Original Assignee
데니스 구즈로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니스 구즈로카크 filed Critical 데니스 구즈로카크
Publication of KR20150132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4Monitoring the functioning of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62D1/065Steering wheels with heating and ventil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 G01L5/221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to steering wheels, e.g. for power assisted ste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 G01L5/223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to joystick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60/782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은 코어 및 코어를 어느 정도 덮는 외부 덮개(5)를 갖춘, 자동차의 제어 및/또는 조작 장치 상에 배치된 다수의 센서를 가진다. 이 센서는 코어와 코어의 외부 덮개 사이에 끼워 넣어져 있고, 외부 덮개(5)에 힘이 가해진 때 출력 신호를 전달한다. 센서는 제1 도전 트레이스 패턴(33)을 가진 제1 포일(31) 및 제1 포일 위에 제2 도전 트레이스 패턴(34)을 가진 제2 포일(32)과 함께, 코어(2, 3, 4) 상에 뻗어 있거나 크램핑될(clamped) 수 있는 센서 유닛(6)에 의해 형성된다. 도전 트레이스 패턴(33, 34)은 두 포일(31, 32)의 서로 마주보는 면 상에 배치되어 있고, 포일(31, 32)의 서로 마주보는 면은 포일이 서로 떨어지도록 탄성 편향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포일에 힘을 가함으로써 제1 및 제2 도전 트레이스 패턴(33, 34) 간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격 부재(37)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SYSTEM FOR MOTOR VEHICH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자동차의 제어 및/또는 조작 장치 상에 배치된 다수의 센서; 센서의 출력 신호를 평가하는 평가 수단; 자동차의 시그널링(signaling) 수단 및/또는 운전 수단으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시그널링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및/또는 조작 장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적어도 어느 정도 덮는 외부 덮개를 가지고, 이러한 센서 부재들은 코어와 코어의 외부 덮개 사이에 끼워 넣어져 있고, 조작 장치의 외측면의 상당 부분에 걸쳐 분산되어 있고, 외부 덮개에 힘이 가해진 때 출력 신호를 전달하는, 상기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모니터링 및 비상(emergency) 시스템은 DE 10 2010 035940 B4에서 볼 수 있는데, 여기에는 제어 및/또는 조작 수단 상에 접촉 돌기를 가진 평평한 도체 부재가 제공되어 있고, 이 돌기들은 도체 부재들 사이에 놓인 탄성 층의 개구와 맞물리며, 압력이 가해진 때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자동차의 제어 및/또는 조작 수단 및/또는 조작 장치 상에 힘이 가해진 때, 예컨대, 핸들 또는 기어 변속 레버 등을 잡거나 이동시키는 경우에 적어도 수 개의 접촉 돌기가 서로 접촉하였음을 나타내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된 타입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만든 목적을 기초로 하며, 이는 각각의 제어 및/또는 조작 수단에 더 간단한 구조 및 더 간단한 조립을 통해 확장된 평가 옵션을 야기한다.
이러한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 때 센서 부재는 제어 및/또는 조작 장치의 코어 상으로 뻗어 있고 외부 덮개에 의해 덮여지도록 사전 조립된 센서 유닛에 의해 형성된다. 센서 유닛은 제1 전기 도전 트레이스 패턴(trace pattern)을 가진 제1 전기 절연성 포일(foil), 및 상기 제1 포일 위에 배치된 제2 전기 도전 트레이스 패턴을 가진 제2 전기 절연성 포일을 포함하고, 이 도전 트레이스 패턴들은 제1 및 제2 포일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및/또는 제2 포일(31, 32)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은 포일 사이에 배치된 이격 부재(spacer element)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 포일들은 서로 떨어지도록 탄력적으로 편향되어(biased) 있고, 적어도 하나의 포일에 힘을 가함으로써 제1 및 제2 도전 트레이스 패턴(33, 34) 간의 접촉이 발생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전 트레이스 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개별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고, 이 개별 영역의 제1 그룹은 연결 도전 트레이스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연결 버스 트레이스를 이용하여 평가 수단에 연결된다.
연결 도전 트레이스 및/또는 버스 트레이스는 측정 가능한 저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이격 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한 이격 부재와 더불어 또는 그 대안으로서, 제1 및/또는 제2 포일은 이격 부재들 사이의 영역 내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제1 및 제2 도전 트레이스 패턴 중 하나는 포일의 상당 부분을 커버하는 대면적 도전성 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유닛은 중앙 웹(wep) 및 중앙 웹의 양 세로측으로부터 뻗어 있고 개재 공간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는 탭을 가진다.
코어 면이 다차원적으로 굽은 경우에, 센서 유닛의 중앙 웹은 그 표면의 만곡선 중 하나의 형상을 따르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탭은 중앙 웹과의 연결 지점에서 제1 만곡선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인 제2 만곡선의 방향으로 표면 상에서 뻗어 있도록 조정되어 있다.
코어는 핸들의 외부 림(rim)일 수 있고, 제1 만곡선은 외부 림의 전방 가장자리에 대응하고, 제2 만곡선은 외부 림의 단면의 바깥 둘레에 대응한다.
코어 면이 다차원적으로 굽은 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 유닛의 중앙 웹은 직선형이고 제1 만곡선을 따라 굽어 있는 코어의 만곡면의 바깥 둘레 상에 놓여질 수 있고, 탭은 표면 상에서 각각의 경우에 중앙 웹과의 연결 지점에서 제1 만곡선과 본질적으로 직각인 제2 만곡선의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조정되어 있다.
예컨대, 코어는 핸들의 외부 림일 수 있으며, 이 때, 제1 만곡선은 외부 림의 바깥 둘레에 대응하고, 제2 만곡선은 외부 림의 단면의 바깥 둘레에 대응한다.
도전 트레이스 패턴 중 하나는 전압원에 연결되도록 조정될 수 있고, 다른 도전 트레이스 패턴은 두 도전 트레이스 패턴 사이로 흐르는 전류 및/또는 두 도전 트레이스 패턴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도록 조정되어 있는, 평가 수단의 일부를 형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에 도전 버스 트레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전류 또는 저항 측정은 짧은 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반복될 수 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각각의 측정된 값으로부터 영 상태(zero state)를 판정하도록 조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영 상태에서 사전 결정된 임계치보다 크게 벗어나는 것이 알람 상태에 대한 트리거 기준이 된다.
포일 중 하나는 핸들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추가 도전 트레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이용하여, 개별 센서 부재들을 제어 및/또는 조작 장치의 코어 상으로 뻗을 수 있고 외부 덮개에 의해 덮일 수 있는 원피스(one-piece) 센서 유닛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포일 상의 각각의 도전 트레이스 패턴은 그룹으로 분할될 수 있는데, 이 때, 도전 트레이스 및/또는 버스 트레이스는 그룹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개별 그룹을 형성하고, 평가 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평가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조에 따라, 연결 도전 트레이스 및/또는 버스 트레이스는 트레이스 길이에 걸쳐 측정 가능한 저항을 만들어내는 재료로 만들어져서, 조작 또는 힘의 인가 및/또는 이러한 조작의 변경의 위치 판정이 센서 유닛의 각각의 센서의 위치 및 작동 여부의 함수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매우 간단하게 평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아래에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조작 장치에 대한 일례를 구성하는 핸들의 개략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a는 도 1에 따른 라인 I-I을 따른 크게 확대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하나의 실시예의 센서 유닛의 전개한 또는 펼쳐 놓은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센서 유닛의 탭(11, 13) 중 하나의 부분 확대된 도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서의 라인 IV-IV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는데, 이는 포일 상의 도전 트레이스 및 이격 부재의 배치를 크게 확대된 도면으로 개략적으로만 보여준다.
도 5는 본질적으로 도 4에 대응하지만, 도 3에서의 라인 V-V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모니터링 유닛 용 평가 회로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자동차의 조작 장치에 대한 하나의 예로서, 핸들 림(102), 스포크(103) 및 허브(104)를 구비한 핸들(1)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어떤 식으로든 핸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보다는 아래에 설명된 센서 유닛은 기어 변속 레버 등과 같은 다른 조작 장치 및 사용자의 행동이 모니터 되어야 하는 다른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중앙 웹(2)을 가지고, 중앙 웹으로부터 탭(11, 13)이 양측 가장자리 상으로 뻗어 있고, 이 탭이 서로로부터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하나의 실시예의 평평한 센서 유닛(6)의 전개된 또는 펼쳐 놓인 도면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 탭(11 ,13)은 조작 장치의 코어 상에 센서 유닛(6)을 가능한 한 변형에 자유로운 방식으로 적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서로 어긋나게 및/또는 서로 나란하게, 도 2에 도시된 방식으로 중앙 웹(2)의 세로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또는 유사한 단면을 가지는 코어에 센서 유닛의 무변형 적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탭(11, 13) 측 가장자리는 중앙 웹(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접근하여, 폭이 증가하는 갭(10, 12)이 탭 사이에 형성되는데, 이 갭은 코어 상에 탭(11, 13)의 오버랩 없는(overlap-free)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서로 인접한 탭의 측 가장자리의 연결 부분이 라운딩(14, 15)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방식으로 형성되어, 이 부분에서 센서 유닛(6)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적인 방안으로서, 코어(102)의 표면에 센서 유닛(6)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코어에 센서 유닛을 적용하는 동안 변형될 수 있는 오목부 또는 함몰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예컨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핸들에 적합하고, 여기서 중앙 웹(2)은 조작 장치의 코어(102)를 형성하는 핸들의 림(102)의 전면상에 놓여 있고, 탭은 핸들의 림(102) 둘레로 뻗어 있어, 센서 유닛(6)에 의해 핸들 림(102)의 실질적으로 큰 면적의 커버링이 달성된다.
도 2에서, 센서 유닛의 하나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중앙 웹(2)은 조작 장치의 코어를 형성하는 핸들 림의 전방 만곡면을 따르는 굽은 형상을 가진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유사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중앙 웹(2)은 직선형일 수 있고 핸들 림의 바깥 둘레 상에 놓일 수 있고, 탭은 핸들 림의 전후 가장자리 및 안쪽 둘레 상으로 뻗어 있어, 실질적으로 큰 면적의 코어 커버링이 달성된다.
동일한 내용이 2 또는 3차원으로 굽은 표면 형상을 가진 다른 코어에도 적용된다.
이와 더불어, 도 2는 도 3을 기초로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된 도전 트레이스의 배치의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2로부터, 도전성 버스 트랙(23)이 도체에 도전 포일 트레이스의 형태의 플렉시블 연결 컨듀잇(conduit) 또는 트레이스(20)를 통해 연결되도록 조정되어 있는 중앙 웹(2)을 따라 뻗어 있음을 미리 알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도전 버스 트레이스(23)는 도 4 및 5에 따른 포일(31, 32) 중 적어도 하나 상의 도전 트레이스 패턴의 각각의 접촉 부분에,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연결 도전 트레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각각의 탭 내의 도전 트레이스와 중앙 웹 상의 도전 버스 트레이스(23) 간의 대응 그룹의 연결을 이용하여, 하나 또는 양 포일상의 힘의 인가 위치의 판정이 확인될 수 있는데, 이러한 힘의 인가는 도 4 및 5에 도시된, 탭(11, 13) 내에 그리고 중앙 웹의 영역 내에 모두 존재하는, 도전 트레이스 패턴(33, 34)의 접촉 영역(35, 36)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게 만든다.
도 4 및 도 5는 조작 장치의 각각의 코어(102, 103, 104)와 인접한 제1 포일(31) 및 외부에 위치하는 제2 포일(32)을 포함하고, 두 포일(31, 32)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 상에 도전 트레이스 패턴(33, 34, 35, 36)이 배치되어 있는 센서 유닛(6)의 확대된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서로 떨어져 있는 이격 부재 사이에 놓인 도전 트레이스 패턴(33, 34, 35, 36) 부분을 작동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는 이격 부재(37)가 두 포일(31, 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에 놓인 포일(32)에 힘 또는 압력이 가해진 때, 이격 부재 사이에 놓인 포일(32) 부분 및/또는 인접한 이격 부재 자체가 변형되어, 도전 트레이스 패턴(33, 34, 35, 36)의 서로 마주보는 접촉부(35, 36) 간의 접촉이 야기되고, 이는 아래에 설명된 평가 회로에 의해 탐지될 수 있다.
첫번째 경우에서, 이격 부재(37)가 비교적 단단하고 포일(31, 32)이 대응하는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이격 부재(37)가 접촉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탄성 압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 때는 포일(31, 32)의 탄력성이 부수적인 역할을 한다. 물론,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이 두 방안의 조합도 그에 상응하게 가능하다.
제1 포일(31)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핸들 림 또는 임의의 다른 조작 부재의 코어(102, 103, 104) 상에 직접 설치되는 한편, 제2 포일(32)은 외부에 위치하고, 덮개, 예컨대, 핸들의 경우에 가죽 덮개에 의해 둘러 싸여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접촉 부분(35, 36)은 적절하다면 도전 트레이스(33, 34) 중 더 큰 두께를 가진 부분(35, 36)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포일(31, 32)의 대응하는 이격이 작은 경우에는, 접촉부(35, 36)에서 포일 두께의 임의의 증가 없이 도전 트레이스(33, 34)를 접촉시키는 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전 트레이스(33, 34) 및, 적절하다면, 두꺼운 부분(35, 36) 이 둘 모두, 예컨대, 인쇄 공정에 의해 포일(31, 32) 상에 적용될 수 있고, 동일한 내용이 또한 적절하다면 이격 부재(37)에 적용된다. 이러한 이격 부재는 또한 두 포일(31, 32)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조작 장치의 코어(102, 103, 104) 상에서 뻗어 있거나 변형될 수 있는 통합된 센서 유닛이 얻어지고, 후속하여 덮개 형태의 커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라, 도전 트레이스(33, 3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연결 도전 트레이스의 상이한 길이 구획을 통해 버스 트레이스에 연결된 저항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버스 도전 트레이스 간의 저항 변동 때문에, 조작의 위치, 즉, 두 포일(31, 32)의 도전 트레이스(33, 34) 사이의 접촉이 탐지될 수 있고, 이는 도 6을 기초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제1 포일(31)의 하나의 탭(11, 13)의 도전 트레이스 패턴(33)은 단지 도전 트레이스 패턴의 상상 가능한 실시예를 구성하고, 도 4 및 5에 도시된 두꺼운 부분(35, 36)은 생략되어 있다. 여기서, 외부 버스 트레이스(54, 55)는 수개의 지점에서 탭 상의 도전 트레이스(33)의 각각의 부분에 연결되어 있고, 도전 트레이스(33)의 자유단(33', 33")은 중앙 웹(2) 상의, 도 2에 도시된 버스 트레이스(23)에 연결되고, 이 때, 중앙 웹(2)은 이와 유사하게 도전 트레이스(33)에 대응하는 도전 트레이스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연결 도전 트레이스(54, 55) 및 제1 포일(31)의 도전 트레이스(33)가 스위치를 형성하는 각각의 접촉 부분(35, 36)에 연결되어 있는 평가 회로의 하나의 실시예가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전 트레이스(33) 및/또는 연결 도전 트레이스(54, 55)는 그 길이에 의존하는 저항을 가지고, 이는 저항(38, 39)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스위치(35, 36)의 각각의 다른 접촉은 제2 포일의 도전 트레이스 패턴(34)에 의해 형성되고,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평가 회로의 실시예에서, 버스 트레이스(54, 55)가 전압원에 연결되어 있다면, 저항(39)에서의 전압 강하의 변화의 형태로 발생하기 때문에, 버스 트레이스 간의 저항 변화를 탐지하도록 조정되어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60) 형태의 평가 회로의 입력에 버스 트레이스(23)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연결된다.
그러나,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60)가 그 입력부에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가지는 한, 마이크로프로세서(60)는 직접 버스 트레이스 간의 저항 측정을 수행하도록 조정될 수도 있다.
더욱이, 마이크로프로세서(60)는, 예컨대, 그 연결 도전 트레이스에 의해 형성된 저항(38) 및 작동된 스위치(35, 36)의 개수의 함수로서, 버스 트레이스(54, 55) 간의 저항의 실제 상태를 연속적으로 판정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조작 부재의 외부 덮개 내의 너무 큰 전압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접촉 또는 누설 전류(creepage current)로 인한 간섭 영향이 상쇄될 수 있고, 한편 적어도 하나의 포일(31, 33)에 힘을 인가하는 것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공급되어 평가될 수 있는 신호의 변화를 야기한다.
제2 포일(32)의 도전 트레이스 패턴(34)은 제1 포일의 도전 트레이스 패턴(33)의 서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비교적 큰 면적 위에 또는 전체 표면 위에 그리고 적절하다면 유의미한 저항 특성없이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 포일(32)의 도전 트레이스 패턴(34)을 핸들 히터의 저항 부재로 구성하는 것 또는 제2 포일 중 제1 포일(31)과 마주하지 않는 반대 부분에 핸들 히터를 형성하기 위한 대응하는 추가 도전 트레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3)

  1. 자동차의 제어 및/또는 조작 장치 상에 배치된 다수의 센서; 상기 센서의 출력 신호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수단; 및 상기 자동차의 시그널링 수단 및/또는 운전 수단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시그널링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및/또는 조작 장치(1)는 코어(2, 3, 4) 및 상기 코어를 적어도 어느 정도 덮는 외부 덮개(5)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코어(2, 3, 4)와 상기 코어의 상기 외부 덮개(5) 사이에 센서 부재(6)가 끼워 넣어져 있고, 상기 센서 부재는 상기 조작 장치의 외측면의 상당 부분에 걸쳐 분산되어 있고 상기 외부 덮개(5)에 힘이 가해진 때 출력 신호를 전달하는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상기 센서 부재는 상기 코어(2, 3, 4) 상으로 뻗어 있고 상기 외부 덮개(5)에 의해 덮여 있도록 조정된 사전 조립된 센서 유닛(6)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센서 유닛(6)은 제1 전기 도전 트레이스 패턴(33)을 가진 제1 전기 절연성 포일(31) 및 상기 제1 포일 위에 배치된 제2 전기 도전 트레이스 패턴(34)을 가진 제2 전기 절연성 포일(32)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 트레이스 패턴(33, 34)은 상기 제1 및 제2 포일(31, 32)의 서로 마주보는 면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및/또는 제2 포일(31, 32)의 상기 서로 마주보는 면은 상기 포일 사이에 배치된 이격 부재(37)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포일들은 서로 떨어져 있도록 탄성적으로 편향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트레이스 패턴(33, 34) 간의 접촉은 상기 포일 중 적어도 하나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일 상에서 만들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트레이스 패턴(33, 34)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개별 영역들로 분할되어 있고,
    제1 그룹의 개별 영역들은 연결 도전 트레이스(54, 55, 56, 57)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도전 버스 트레이스(23)에 의해 상기 평가 수단(60)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도전 트레이스 및/또는 버스 트레이스(54, 55, 56, 57; 23)는 측정 가능한 저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부재(37)는 탄성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포일은 상기 이격 부재들 사이의 영역 내에서 탄성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트레이스 패턴 중 하나는 대면적 도체-트랙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6)은 중앙 웹(2)을 가지고, 상기 중앙 웹(2)의 양 세로측으로부터 개재 공간(10, 12)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는 탭(11, 13)이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2, 3, 4)의 면이 다차원적으로 만곡된 경우에, 상기 센서 유닛의 상기 중앙 웹(2)은 상기 면의 제1 만곡선을 따르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탭(11, 13)은 상기 중앙 웹(2)의 연결점에서 제1 만곡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인 제2 만곡선 방향으로 상기 면 상에서 뻗어 있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2)는 핸들(1)의 외부 림(2)이고, 상기 제1 만곡선은 상기 외부 림(2)의 전방 가장자리에 대응하고, 상기 제2 만곡선은 상기 외부 림의 단면의 바깥 둘레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2, 3, 4)의 면이 다차원적으로 만곡된 경우에, 상기 센서 유닛의 상기 중앙 웹(2)은 직선형이고 제1 만곡선을 따라 굽어 있는 상기 코어의 만곡면의 바깥 둘레 상에 놓여질 수 있고, 상기 탭(11, 13)은 각각의 경우에 본질적으로 상기 중앙 웹(2)과의 연결 지점에서 상기 제1 만곡선에 직각인 제2 만곡선의 방향으로 상기 면 상에서 뻗어 있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2)는 핸들(1)의 외부 림(2)이고, 상기 제1 만곡선은 상기 외부 림(2)의 바깥 둘레에 대응하고, 상기 제2 만곡선은 상기 외부 림의 단면의 바깥 둘레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트레이스 패턴(33, 34) 중 하나는 전압원에 연결되도록 조정되어 있는 한편, 상기 도전 트레이스 패턴 중 다른 것은 상기 두 도전 트레이스 패턴(33, 34) 사이로 흐르는 전류 및/또는 상기 두 도전 트레이스 패턴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도록 조정되어 있고 상기 평가 수단(60)의 일부를 형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에 상기 도전 버스 트레이스(23)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또는 저항 측정은 짧은 기간 동안 반복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각각의 측정된 값으로부터 영 상태(zero state)를 판정하고, 상기 영 상태에서 사전 결정된 임계치보다 크게 벗어나는 것이 알람 상태에 대한 트리거 기준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일 중 하나는 상기 핸들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추가 도전 트레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50067917A 2014-05-15 2015-05-15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38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07163.4 2014-05-15
DE102014007163.4A DE102014007163B3 (de) 2014-05-15 2014-05-15 Überwachungssystem für Kraftfahrzeu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014A true KR20150132014A (ko) 2015-11-25
KR102238763B1 KR102238763B1 (ko) 2021-04-12

Family

ID=53274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917A KR102238763B1 (ko) 2014-05-15 2015-05-15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83016B2 (ko)
EP (1) EP2944539A3 (ko)
KR (1) KR102238763B1 (ko)
DE (1) DE102014007163B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56509B2 (ja) 2014-07-09 2018-07-11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ハンドル
DE102015012702A1 (de) * 2015-10-02 2017-04-06 Dalphi Metal Espana, S.A. Lenkradskelett und Lenkrad mit Bedienelementen sowie Herstellungsverfahren
DE202015008566U1 (de) 2015-12-15 2017-03-16 Quin Gmbh Dekorelement und Lenkrad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6005837B4 (de) 2016-05-12 2023-09-07 Denis Güzelocak Druckempfindliches Sensor-System
JP2018072159A (ja) * 2016-10-28 2018-05-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グリップ操作判定装置
IT201700048117A1 (it) * 2017-05-04 2018-11-04 Irca Spa Dispositivo di riscaldamento e rilevamento capacitivo per il volante di un veicolo
DE102018006914B4 (de) 2018-08-30 2022-08-04 CurveSYS GmbH Flächenhafte Kraft-Sensoreinheit
DE102019002819B4 (de) 2019-04-05 2022-08-04 CurveSYS GmbH Flächenhafte Kraft-Sensoreinheiten für Sensorsyste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8608A1 (en) * 2006-07-18 2008-01-24 Bogdan Serban Data input device
JP2011073546A (ja) * 2009-09-30 2011-04-14 Toyoda Gosei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DE102010035940A1 (de) * 2010-08-31 2012-03-01 Denis Güzelocak Überwachungs- und Notfallsystem für Kraftfahrzeuge
JP2013060149A (ja) * 2011-09-14 2013-04-04 Toyoda Gosei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20130112907A (ko) * 2010-11-18 2013-10-14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온도 모니터링 기능을 갖춘 패널 히터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5626A (en) * 1967-06-13 1971-06-15 Cesare Tartarini Safety alarm device for drivers
US4617559A (en) * 1982-05-18 1986-10-14 Allan Slansky Operator alarm system
US4540979A (en) * 1982-09-28 1985-09-10 Gerger Edward J Grip-responsive operator alertness monitor
JPS5981252A (ja) * 1982-11-02 1984-05-10 Nissan Motor Co Ltd リム部に発熱体を有するステアリングホイ−ル
CA1261236A (en) * 1984-09-27 1989-09-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teering wheel
GB9126078D0 (en) * 1991-12-06 1992-02-05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US5654615A (en) * 1994-12-15 1997-08-05 Asc Incorporated Storage compartment sensor system for use with an automotive vehicle convertible roof
DE19530092A1 (de) * 1995-08-16 1997-02-20 Daimler Benz Ag Überprüfbarer Foliendrucksensor
US5743154A (en) * 1996-05-21 1998-04-28 Jacinth; Anthony A. Steering wheel cover
DE19631502C1 (de) * 1996-08-03 1998-01-22 Bosch Gmbh Robert Lenkrad mit optoelektronischem Sensor
EP0857643B1 (en) * 1996-08-29 2005-08-10 Koito Manufacturing Co., Ltd. Heater-containing grip for vehicles, control device for same, and construction of electric connection for grip heater unit in vehicles
US5969616A (en) * 1998-05-11 1999-10-19 Tschoi; Jin Sook Anti-drowsing/anti-dozing alarm device
DE10027922A1 (de) * 2000-06-06 2002-01-24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Detektieren der Position von Händen auf einem Lenkrad
DE10048956C1 (de) * 2000-10-04 2002-05-02 Autoliv Dev Mit einer Messanordnung versehenes Lenkrad für Kraftfahrzeuge
DE10148535A1 (de) * 2001-10-01 2003-04-10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zur Erfassung der Lenkbereitschaft eines Fahrers
DE20120542U1 (de) * 2001-12-19 2002-05-02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Lenk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393126B4 (de) * 2002-09-06 2023-07-06 Joachim Nell Lenkhandhabe für Kraftfahrzeuge und Verfahren zum Erfassen einer physikalischen Größe auf einer Lenkhandhabe sowie eine Steer-by-Wire Lenkung und eine Lenkung
CN100345707C (zh) * 2003-06-23 2007-10-31 Iee国际电子及工程股份有限公司 座位占用传感器
ATE395235T1 (de) * 2004-07-29 2008-05-15 Aphrodite Agencies Ltd Lenksteuerung für selbstbewegende fahrzeuge
JP4814594B2 (ja) * 2005-09-14 2011-11-1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載設備の操作装置
DE102006023287B4 (de) * 2006-05-18 2017-01-12 Leopold Kostal Gmbh & Co. Kg Greifkraftsensor für das Lenkrad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m piezoelektrischen Drucksensor
US20080202251A1 (en) * 2007-02-27 2008-08-28 Iee International Electronics & Engineering S.A. Capacitive pressure sensor
JP4475288B2 (ja) * 2007-04-20 2010-06-09 横浜ゴム株式会社 操舵操作力検出装置
US8405496B2 (en) * 2009-11-13 2013-03-26 William Bennett Wheel watcher
US8564424B2 (en) * 2009-12-07 2013-10-22 Inventioneers Etc., Llc Steering wheel hand position sensing device
DE102009058138A1 (de) * 2009-12-12 2011-06-16 Volkswagen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Näherungssensors für ein Fahrzeug, Näherungssensor, Lenkrad und Fahrzeug
US9007190B2 (en) * 2010-03-31 2015-04-14 Tk Holdings Inc. Steering wheel sensors
ES2381957B1 (es) * 2010-11-08 2013-04-26 Sebastián Zaragoza Morales Sistema de seguridad que asegura el agarre del volante de un vehículo.
US8547215B2 (en) * 2010-11-24 2013-10-01 Denso Corporation Information presentation apparatus and system
US9248851B2 (en) * 2013-02-13 2016-02-02 Tk Holdings Inc. Steering wheel hand detection systems
CN105144838B (zh) * 2013-05-15 2017-09-12 捷温加拿大有限公司 具有感测能力的传导性加热器
KR101491284B1 (ko) * 2013-07-25 2015-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강성도 변경 및 압력 수신이 가능한 스티어링 휠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356509B2 (ja) * 2014-07-09 2018-07-11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ハンド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8608A1 (en) * 2006-07-18 2008-01-24 Bogdan Serban Data input device
JP2011073546A (ja) * 2009-09-30 2011-04-14 Toyoda Gosei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DE102010035940A1 (de) * 2010-08-31 2012-03-01 Denis Güzelocak Überwachungs- und Notfallsystem für Kraftfahrzeuge
KR20130112907A (ko) * 2010-11-18 2013-10-14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온도 모니터링 기능을 갖춘 패널 히터
JP2013060149A (ja) * 2011-09-14 2013-04-04 Toyoda Gosei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4539A3 (de) 2016-10-19
EP2944539A2 (de) 2015-11-18
US10983016B2 (en) 2021-04-20
KR102238763B1 (ko) 2021-04-12
DE102014007163B3 (de) 2015-09-24
US20160061669A1 (en)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2014A (ko) 자동차용 모니터링 시스템
EP1591321B1 (en) Sitting sensor for vehicle
JP6645256B2 (ja) ステアリング用スイッチ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EP1580080B1 (en) Seating sensor having film switch and resistor element
JP6475791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ユニット
JP2806560B2 (ja) 触覚センサ
JP2017188458A (ja) 把持検出装置
JP2018119906A (ja) 複合検知センサ及びセンサ用ケーブル
JP2008527317A (ja) 2つのスイッチングレベルをもつセンサマット
US20170282956A1 (en) Steering device
JP6600549B2 (ja) 電気抵抗測定装置及び電気抵抗測定方法
US9972996B2 (en) Steering wheel having a heating element, and fail-safety device using the same
CN111418157B (zh) 用于车辆的触敏输入设备以及用于操作该输入设备的方法
US10814898B2 (en) Steering wheel assembly
JP2017506190A5 (ko)
US20080073160A1 (en) Sensor detecting wear in a brake lining of a vehicular brake system
JP2020046421A (ja) センサシステム用の平面状の力センサユニット
KR102406101B1 (ko) 구성 요소 및 구성 요소의 점유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JP4405899B2 (ja) スイッチ装置
IT202000015757A1 (it) Interfaccia utente con sensore di forza resistivo innovativo.
JP4382932B2 (ja) メンブレン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オン荷重検出装置
JP2017069170A (ja) 把持検出装置及びセンサ
JP5746575B2 (ja) 検出装置
US20090015368A1 (en) Data input device with encoding of activation direction
EP1786003A1 (en) Resistive connection for a circuit of a foil-type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