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1820A - 운전경보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운전경보방법 - Google Patents

운전경보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운전경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1820A
KR20150131820A KR1020140059111A KR20140059111A KR20150131820A KR 20150131820 A KR20150131820 A KR 20150131820A KR 1020140059111 A KR1020140059111 A KR 1020140059111A KR 20140059111 A KR20140059111 A KR 20140059111A KR 20150131820 A KR20150131820 A KR 20150131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group
state
individual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곤
정연섭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9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1820A/ko
Publication of KR20150131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02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involving prisms or mirr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경보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운전경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경보시스템은 각각 복수의 경보상태를 가지는 복수의 개별경보와; 상기 복수의 개별경보를 통합하여 표시하며 복수의 경보상태를 가지는 그룹경보와; 경보 논리 합을 통해 상기 개별경보의 경보상태로부터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전경보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운전경보방법{System for operation alarm and Method of operation alarm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운전경보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운전경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보는 발전소의 비정상 상태를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경보가 발생하면 운전원은 다음과 같은 순서를 가지고 경보에 대한 조치를 수행한다.
첫째, 경보음을 소거(Silencing)하고, 둘째, 경보를 인지(Acknowledging)하고, 경보 대응(공정상태를 파악한 후 기기 및 공정제어 수행)을 수행하면, 해당 경보는 경보 상태가 해제(Cleared Alarm)가 되면 운전원은 경보를 리셋(Reset)을 수행하여 경보창을 정상적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이러한 일련의 경보처리는 경보창의 신뢰성에 의존하므로 Test 버튼을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경보창에 대한 시험(Alarm Test)을 수행함으로써 경보시스템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원전 주제어실에는 각 계통별 판넬에 경보를 위한 SART(Silence, Acknowledge, Reset, Test) 버튼을 두어 운전원이 각 경보에 대한 대응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원전 주제어실의 각 계통판넬에 설치된 경보타일은 일반적으로 그룹핑이 되어 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기기(Component Alarm)의 각 구성요소에 경보가 발생할 때 이들 경보는 특정 기기에 대한 경보로 그룹핑 된다.
계통 경보(System Alarm)도 계통에 속한 각 기기들의 경보를 그룹핑하여 계통 경보를 만들어 낸다. 또한 현장에도 경보타일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경보타일들을 그룹핑하여 주제어실에 하나의 경보로 표시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그룹핑된 경보 소스들이 어떤 상태인지에 대한 인식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5,353,316호(1994년 10월 4일 공개) 한국 공개 제2013-0137186호(2013년 12월 16일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룹핑된 경보 소스들의 상태에 대한 인식성이 향상된 운전경보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운전경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랜트의 운전경보시스템에 있어서, 각각 복수의 경보상태를 가지는 복수의 개별경보와; 상기 복수의 개별경보를 통합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경보상태를 가지는 그룹경보와; 경보 논리 합을 통해 상기 개별경보의 경보상태로부터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복수의 경보상태는 경보수준이 높은 순서에 따라 N(경보발생), A(경보인지) 및 C(경보해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별경보의 경보상태를 조합하여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부여하되, 상기 개별경보의 경보상태 중 가장 높은 경보상태보다 낮지 않은 수준의 경보상태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개별경보에 대하여만 마련되어 있는 SART(silencing, acknowledging, reset, clear)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개별경보의 경보상태 중 경보수준이 가장 높은 경보상태를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로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그룹경보에 대하여 마련되어 있는 SART(silencing, acknowledging, reset, clear)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개별경보 발생 시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로 N을 부여하며, 상기 그룹경보에 대한 SART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가 A 또는 N인 경우 경보가 정상복귀 시 별도의 운전원 조작없이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C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새로운 개별경보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N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새로운 개별경보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해당 그룹경보의 디스플레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운전경보시스템은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에 적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랜트의 운전경보방법에 있어서, 각각 복수의 경보상태를 가지는 복수의 개별경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경보 논리 합을 통해 상기 개별경보의 경보상태로부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부여하는 단계와; 부여된 상기 경보상태를 상기 그룹경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복수의 경보상태는 경보수준이 높은 순서에 따라 N(경보발생), A(경보인지) 및 C(경보해제)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상태 부여 단계에서는, 상기 개별경보의 경보상태를 조합하여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부여하되, 개별경보의 경보상태 중 가장 높은 경보상태보다 낮지 않은 수준의 경보상태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개별경보에 대하여만 SART(silencing, acknowledging, reset, clear)버튼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경보상태 부여 단계에서는, 상기 개별경보의 경보상태 중 가장 높은 경보상태를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로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그룹경보에 SART(silencing, acknowledging, reset, clear)버튼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경보상태 부여 단계에서는, 상기 개별경보 발생 시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로 N을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그룹경보에 대한 SART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가 A 또는 N인 경우 경보가 정상복귀 시 별도의 운전원 조작없이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C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새로운 개별경보가 발생할 경우,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N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새로운 개별경보가 발생할 경우, 상기 해당 그룹경보의 디스플레이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경보방법은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운전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랜트의 운전경보방법에 있어서, 각각 복수의 경보상태를 가지는 복수의 개별경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개별경보의 경보상태로부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부여하는 단계와; 부여된 상기 경보상태를 상기 그룹경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새로운 개별경보가 발생할 경우, 상기 해당 그룹경보의 디스플레이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경보상태는 경보수준이 높은 순서에 따라 N(경보발생), A(경보인지) 및 C(경보해제)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상태 부여 단계에서는, 상기 개별경보의 경보상태를 조합하여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부여하되, 개별경보의 경보상태 중 가장 높은 경보상태보다 낮지 않은 수준의 경보상태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개별경보에 대하여만 SART(silencing, acknowledging, reset, clear)버튼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경보상태 부여 단계에서는, 상기 개별경보의 경보상태 중 가장 높은 경보상태를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로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그룹경보에 SART(silencing, acknowledging, reset, clear)버튼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경보상태 부여 단계에서는, 상기 개별경보 발생시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로 N을 부여하며, 상기 그룹경보에 대한 SART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가 A 또는 N인 경우 경보가 정상복귀 시 별도의 운전원 조작없이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C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새로운 개별경보가 발생할 경우,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N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룹핑된 경보 소스들의 상태에 대한 인식성이 향상된 운전경보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운전경보방법을 제공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경보시스템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경보시스템의 상태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전경보시스템의 상태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룹경보 창의 디스플레이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원자력발전소를 예시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 외의 플랜트의 경보시스템 및 경보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경보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기기 또는 계통에 관련된 복수의 개별경보가 있으며, 이들 복수의 개별경보의 상태로부터 기기 또는 계통 전체에 관한 경보상태를 나타내는 그룹경보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별경보를 입력받은 제어부가 경보 논리 합을 통해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부여하게 된다. 제어부는 경보상태 부여에 그룹경보와 관련된 SART버튼의 조작여부를 더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개별경보의 경보상태를 조합하여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부여하되, 개별경보의 경보상태 중 가장 높은 경보상태보다 낮지 않은 수준의 경보상태를 부여하게 된다. 경보상태는 N(경보발생), A(경보인지) 및 C(경보해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N의 경보상태가 가장 높으며, C의 경보상태가 가장 낮다.
기존에는 개별 경보에 대해서는 경보상태 다이어그램이 있으나 그룹경보에 대해서는 경보상태 다이어그램이 존재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는 그룹핑된 경보 소스들의 상태를 기준으로 그룹경보를 표시하는 논리를 제시한다. 이에 의해 그룹핑된 경보 소스들의 상태에 대한 인식성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그룹핑된 경보 소스인 개별 경보의 SART 버튼의 존재, 그룹경보의 SART 버튼의 존재에 따라 그룹경보를 표시하는 논리를 설명한다. 또한 개별경보는 개별경보 1과 개별경보 2의 2개로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논리가 3개 이상의 개별경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 개별경보1과 개별경보2에 SART 버튼이 있고 그룹경보에는 SART 버튼이 없는 경우
표 1은 개별경보에는 SART버튼이 있고 그룹경보에는 SART버튼이 없는 경우 개별경보의 경보상태로부터 부여되는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경보그룹핑 경보 합 논리
개별경보1
경보상태
N A C
개별경보2
경보상태
N A C N A C N A C
그룹경보표시 N N N N A A N A C
(※ N: New 경보, A: Acknowledged 경보, C: Cleared 경보)
그룹경보의 소스로 개별경보 1과 개별경보 2가 있을 경우, 개별경보 1과 개별경보 2의 경보상태값(운전원이 경보를 인지한 값)에 의해 그룹경보의 경보표시상태가 결정된다. 개별경보 중 어느 하나라도 New 경보가 있으면 그룹경보창에서는 New 경보 상태를 표시한다.
즉 제어부는 개별경보의 경보상태 중 가장 높은 경보상태를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로 부여하는 것이다.
경보상태에 따른 경보의 시각적 표시(N, A, C)와 경보음은 표 1의 그룹경보 표시상태를 따른다. Acknowledged 경보(비정상상태)와 Cleared 경보(정상상태로 복귀)가 함께 존재할 경우에는 비정상상태를 운전원에게 알려줘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Acknowledged 경보상태를 그룹경보창에 표시하도록 한다. 개별경보 1과 2 둘 다 Cleared Alarm 일 경우에는 그룹경보창에서도 Cleared Alarm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2. 개별경보1과 개별경보2에 SART 버튼이 있고 그룹경보에도 SART 버튼이 있는 경우
표 2는 개별경보에 SART버튼이 있고 그룹경보에도 SART버튼이 있는 경우 개별경보의 경보상태로부터 부여되는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경보그룹핑 경보 합 논리
개별경보1
경보상태
N A C
개별경보2
경보상태
N A C N A C N A C
그룹경보인지전
최초표시
N N N N N N N N N
그룹경보인지후
경보표시
A A A A A A A A C
(※ N: New 경보, A: Acknowledge 경보, C: Cleared 경보)
본 경우는 주로 현장 개별 경보를 주제어실에서 그룹핑하여 사용하는 경우이다. 제어부는 개별경보 발생 시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로 N을 부여하며, 상기 그룹경보에 대한 SART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변경하게 된다.
그룹경보는 N(경보발생)과 C(경보해제) 상태만 나타나지만 여기에 SART 버튼을 추가하면 상태를 전이시키면 N, C, A 모두가 나타난다. 개별경보 1과 개별경보 2의 경보상태값(운전원이 경보를 인지한 값)과 운전원이 그룹경보를 인지한 값에 의해 경보표시상태가 결정된다. 개별경보 1이 N 상태이고 개별경보 2가 N, A, C일 경우에는 운전원이 그룹경보를 인지하면 A상태로 바뀐다.
개별경보 1, 2가 모두 C일 경우에는 운전원이 그룹경보를 인지하면 C 상태로 바뀐다. 이는 그룹경보에 속한 모든 경보가 정상상태로 바뀌었음을 운전원에게 알리기 위한 것이다. 즉 개별경보 모두 C가 되기 전까지는 A 상태로 있으며, 개별경보 모두 C 상태가 되면 그룹경보도 C 상태를 표시하여 운전원이 경보가 모두 정상상태로 복귀했음을 인지하고 다시 Acknowledge 버튼을 누르면 그룹경보가 정상상태로 표시된다.
3. 개별경보1과 개별경보2에 SART 버튼이 없고 그룹경보에만 SART 버튼이 있는 경우
표 3은 개별경보에는 SART버튼이 없고 그룹경보에만 SART버튼이 있는 경우 개별경보의 경보상태로부터 부여되는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경보그룹핑 경보 합 논리
개별경보1
경보상태
N C
개별경보2
경보상태
N C N C
그룹경보인지전
최초표시
N N N N
그룹경보인지후
경보표시
A A A C
(※ N: New 경보, A: Acknowledge 경보, C: Cleared 경보)
이 경우, 제어부는 개별경보 발생 시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로 N을 부여하며, 상기 그룹경보에 대한 SART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변경한다.
그룹경보에 SART 버튼이 있으면 역시 N, C, A 상태가 만들어진다. 이 경우에도 개별경보 1, 2에 하나라도 N 상태가 있을 경우에는 그룹경보를 운전원이 인지하면(Acknowledge 버튼 클릭 시 그룹경보는 A 상태가 된다. 개별경보 1, 2 모두 C 상태일 경우에는 자동으로 그룹경보가 C 상태로 표시되어 운전원에게 비정상상태가 정상으로 변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운전경보시스템의 상태 다이어그램을 통해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경보시스템의 상태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표 2> 및 <표 3>에 해당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2에서 표시한 상태 다이어그램에서는 New 상태(S120)에서 정상상태로 복귀하게 되면 자동으로(즉 Acknowledge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Cleared 상태로 표시(S140)하게 하는 기능을 적용하여 그룹경보의 상태표시를 가능하게 한다.
개별 경보에서는 복수의 상태를 가질 수 있는데 경보가 발생하며 N(경보발생)가 되고 인지되면 A(경보인지)로 변환된다. 인지된 경보에서 발전소의 계통이 정상으로 되돌아오면 C(경보해제) 상태가 된다. 만일 경보가 인지되기 전에 계통이 정상으로 복귀되었을 경우, 운전원이 인지를 하게 되면(운전원이 Acknowledge 버튼을 누를 경우) 경보는 바로 C(경보해제) 상태로 전환되어 표시되고 이 상태에서 경보를 인지되면 Reset 상태 즉 경보창은 경보가 없는 정상상태로 표시 된다.
그룹경보는 조금 다른 전이가 있다. 경보가 A의 상태(S130)에서도 또 다른 개별 경보가 발생하면 A(경보인지, S130)에서 N(경보발생, S110)으로 전이를 허락해야 한다. 따라서 그룹경보의 상태 다이어그램은 개별경보의 상태 다이어그램과 다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전경보시스템의 상태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표 1>의 경우가 적용될 수 있다.
새로운 경보가 발생하면 그룹경보는 N상태가 된다(S210). 이후 Ack버튼을 누르면 A상태가 되며(S220), 정상복귀되면 자동으로 C상태로 전환된다(S230). C상태에서 Ack 버튼을 누르면 정상으로 복귀한다(S240). 도 3에 표시한 다이어그램에서도 A상태(S220)에서 그룹핑된 경보 중 다른 경보가 발생하면 N상태로 상태가 변화된다(S210).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룹경보 창의 디스플레이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그룹경보는 기능적으로 혹은 구조적으로 관련있는 경보들을 그룹핑하기 때문에 그룹경보 중 비정상상태를 표시하는 경보상태를 알려 줄 필요가 있다. 단, 경보타일에서는 두 개 이상의 경보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게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경보창에 한 개의 경보소스에 의해 경보가 표시될 경우에는 단일색으로만 표시하고, 다른 경보소스가 발생하면 경보창 테두리를 두 개로 표시하고 내부 경보창 박스를 다른 색으로 표시한다.
기존에는 경보창을 보면 경보소스가 한 개 인지 아니면 두 개 이상의 경보소스가 있는지 파악이 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을 적용하면 경보창만 보더라도 두 개 이상의 경보소스에 의해 경보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가 있다.
복수개의 경보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2중으로 표시하고 색상을 달리하는 방법 외에도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색상만을 변화, 전체 형태(사각형에서 삼각형으로 변화 등)의 변화 또는 점멸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기존에는 주제어실 경보가 현장제어반의 경보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경보표시상태의 규칙성이 없어 운전원이 경보상태를 인식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보상태에 일정한 규칙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여러 경보가 그룹핑 될 경우에도 운전원은 각 경보의 발생과 해제 유무를 바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현장제어반의 경보인지 유무(현장제어반에 경보인지 버튼이 있을 경우)에 따라 주제어실에서의 경보인지를 확인할 수가 있어 운전원은 별도로 현장제어반에 연락을 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경보의 해제 및 발생 상태를 바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플랜트의 운전경보시스템에 있어서,
    각각 복수의 경보상태를 가지는 복수의 개별경보와;
    상기 복수의 개별경보를 통합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경보상태를 가지는 그룹경보와;
    경보 논리 합을 통해 상기 개별경보의 경보상태로부터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운전경보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경보상태는 경보수준이 높은 순서에 따라 N(경보발생), A(경보인지) 및 C(경보해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별경보의 경보상태를 조합하여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부여하되, 상기 개별경보의 경보상태 중 가장 높은 경보상태보다 낮지 않은 수준의 경보상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경보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개별경보에 대하여만 마련되어 있는 SART(silencing, acknowledging, reset, clear)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개별경보의 경보상태 중 경보수준이 가장 높은 경보상태를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로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경보시스템.
  4. 제2항에서,
    상기 그룹경보에 대하여 마련되어 있는 SART(silencing, acknowledging, reset, clear)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개별경보 발생 시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로 N을 부여하며, 상기 그룹경보에 대한 SART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경보시스템.
  5. 제2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가 A 또는 N인 경우 경보가 정상복귀 시 별도의 운전원 조작없이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C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경보시스템.
  6. 제2항에서,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새로운 개별경보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N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경보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새로운 개별경보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해당 그룹경보의 디스플레이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경보시스템.
  8. 제1항에서,
    상기 운전경보시스템은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에 적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경보시스템.
  9. 플랜트의 운전경보방법에 있어서,
    각각 복수의 경보상태를 가지는 복수의 개별경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경보 논리 합을 통해 상기 개별경보의 경보상태로부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부여하는 단계와;
    부여된 상기 경보상태를 상기 그룹경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전경보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복수의 경보상태는 경보수준이 높은 순서에 따라 N(경보발생), A(경보인지) 및 C(경보해제)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상태 부여 단계에서는,
    상기 개별경보의 경보상태를 조합하여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부여하되, 개별경보의 경보상태 중 가장 높은 경보상태보다 낮지 않은 수준의 경보상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경보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개별경보에 대하여만 SART(silencing, acknowledging, reset, clear)버튼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경보상태 부여 단계에서는,
    상기 개별경보의 경보상태 중 가장 높은 경보상태를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로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경보방법.
  12. 제10항에서,
    상기 그룹경보에 SART(silencing, acknowledging, reset, clear)버튼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경보상태 부여 단계에서는,
    상기 개별경보 발생 시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로 N을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그룹경보에 대한 SART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경보방법.
  13. 제10항에서,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가 A 또는 N인 경우 경보가 정상복귀 시 별도의 운전원 조작없이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C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경보방법.
  14. 제10항에서,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새로운 개별경보가 발생할 경우,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N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경보방법.
  15. 제9항에서,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새로운 개별경보가 발생할 경우,
    상기 해당 그룹경보의 디스플레이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경보방법.
  16. 제9항에서,
    상기 운전경보방법은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운전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경보방법.
  17. 플랜트의 운전경보방법에 있어서,
    각각 복수의 경보상태를 가지는 복수의 개별경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개별경보의 경보상태로부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부여하는 단계와;
    부여된 상기 경보상태를 상기 그룹경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새로운 개별경보가 발생할 경우, 상기 해당 그룹경보의 디스플레이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경보방법.
  18. 제17항에서,
    상기 복수의 경보상태는 경보수준이 높은 순서에 따라 N(경보발생), A(경보인지) 및 C(경보해제)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상태 부여 단계에서는,
    상기 개별경보의 경보상태를 조합하여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부여하되, 개별경보의 경보상태 중 가장 높은 경보상태보다 낮지 않은 수준의 경보상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경보방법.
  19. 제18항에서,
    상기 개별경보에 대하여만 SART(silencing, acknowledging, reset, clear)버튼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경보상태 부여 단계에서는,
    상기 개별경보의 경보상태 중 가장 높은 경보상태를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로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경보방법.
  20. 제18항에서,
    상기 그룹경보에 SART(silencing, acknowledging, reset, clear)버튼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경보상태 부여 단계에서는,
    상기 개별경보 발생시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로 N을 부여하며,
    상기 그룹경보에 대한 SART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경보방법.
  21. 제18항에서,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가 A 또는 N인 경우 경보가 정상복귀 시 별도의 운전원 조작없이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C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경보방법.
  22. 제18항에서,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새로운 개별경보가 발생할 경우, 상기 그룹경보의 경보상태를 N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경보방법.

KR1020140059111A 2014-05-16 2014-05-16 운전경보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운전경보방법 KR20150131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111A KR20150131820A (ko) 2014-05-16 2014-05-16 운전경보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운전경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111A KR20150131820A (ko) 2014-05-16 2014-05-16 운전경보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운전경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820A true KR20150131820A (ko) 2015-11-25

Family

ID=54845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111A KR20150131820A (ko) 2014-05-16 2014-05-16 운전경보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운전경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18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9901B2 (ja) 臨床警報限界の設定における支援
JP3053758B2 (ja) エレベータカーの操作盤
CN104916088B (zh) 一种故障报警方法、装置及线控器
JP5694297B2 (ja) 警報管理システム
CN203661106U (zh) 具有人机接口的交换机
JP2012527022A5 (ko)
JP2017058751A (ja) 情報処理装置、ログ取得方法およびログ取得プログラム
KR20150131820A (ko) 운전경보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운전경보방법
JP2014206864A (ja) ビル設備用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9282870A (ja) 監視制御システム及び監視制御画面表示方法
CN103751918A (zh) 一种可供紧急应变的显示屏系统
JP7163457B2 (ja) 携帯端末、警備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10187233A (ja) 制御監視システムの異常状態表示方法および異常状態表示装置
EP2784390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state of a multi-control system of a power plant
JP2006072677A (ja) 警報表示装置
JP2000214923A (ja) プラント情報監視装置
JP2013092908A (ja) 監視制御装置
KR101992678B1 (ko) 플랜트용 디지털 경보 시스템 및 방법
US20220236727A1 (en) Monitoring control apparatus
JP4305912B2 (ja) P型火災報知設備
AU2016307032A1 (en) User interface for a cooking hob
JP2009163673A (ja) プラント監視操作装置
JP2022523965A (ja) セキュリティ機器拡張
JPH02253313A (ja) Crtオペレーション装置
JP5771106B2 (ja) プラント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