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9674A - 스트립형 대상물을 유지하고 분배하기 위한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형 대상물을 유지하고 분배하기 위한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9674A
KR20150129674A KR1020157022023A KR20157022023A KR20150129674A KR 20150129674 A KR20150129674 A KR 20150129674A KR 1020157022023 A KR1020157022023 A KR 1020157022023A KR 20157022023 A KR20157022023 A KR 20157022023A KR 20150129674 A KR20150129674 A KR 20150129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dispensing
dispensing device
cartridge
ori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2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7857B1 (ko
Inventor
발레리 로젤
도미니크 부아
Original Assignee
끌라리앙 프로딕숑 (프랑스)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끌라리앙 프로딕숑 (프랑스)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끌라리앙 프로딕숑 (프랑스)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150129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23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shed and slid through the aperture
    • B65D83/082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shed and slid through the aperture by means of an actu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5Details of handling test elements, e.g. dispensing or storage,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est method
    • G01N33/48757Test elements dispensed from a stac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5Details of handling test elements, e.g. dispensing or storage,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est method
    • G01N33/48778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dry stor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2583/082Details relating to container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액 샘플을 분석하기 위한 시험 스트립과 같은 스트립형 대상물을 유지하고 분배하기 위한 분배 장치(10)에 관한 것으로, 이 분배 장치(10)는 스트립 적층물(16)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분배 장치(10)는 스트립 적층물(16)을 유지하기 위한 용기부(12) 및 분배 장치(10)로부터 스트립을 한번에 하나씩 분배하기 위한 분배부(14)를 포함한다. 분배부(14)는, 스트립(17)이 분배 장치(10)에 포함되는 제 1 배향에서 그 스트립(17)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제 2 배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분배될 스트립(17)에 부여하기 위한 가동 요소(1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립형 대상물을 유지하고 분배하기 위한 분배 장치{DISPENSING DEVICE FOR HOLDING AND DISPENSING STRIP-LIKE OBJECTS}
본 발명은 체액 샘플을 분석하기 위한 영양분 또는 시험 스트립과 같은 스트립형 대상물을 유지하고 분배하기 위한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분배 장치는 이러한 스트립의 적층물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분배 장치는 스트립 적층물을 유지하기 위한 용기부 및 분배 장치로부터 스트립을 한번에 하나씩 분배하기 위한 분배부를 포함한다.
포도당 모니터링은 당뇨병 개인의 일상 생활의 일부이며 그 모니터링의 정확도는 이들 환자에게 중요하다. 당뇨 환자는 혈당 수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하루에 여러 번 혈액 포도당 수치를 측정하게 된다. 혈액 포도당 수치를 정기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면, 심혈관 질환, 신장 질환, 신경 손상 및 시력 상실을 포함한 심각한 당뇨병 관련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당뇨 환자가 소량의 혈액 샘플로 포도당 수치를 측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많은 포도당 측정기가 나와 있다.
이들 포도당 측정기 중 일부는, 환자 혈액의 포도당 수치를 전자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전자 시스템 및 반응부를 갖는 일회용 시험 스트립을 사용한다. 이들 시험 스트립은 보통 기다란 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대개 직사각형이며, 길이 방향 치수와 가로 방향 치수를 갖는다. 포도당 측정기를 사용할 때, 환자는 먼저 란싱(lancing) 장치를 사용하여 손가락 또는 다른 신체 부위를 찔러, 포도당 측정기의 시험 스트립에 있는 반응부에 전달될 소량의 혈액 또는 간질액 샘플을 얻게 된다. 필요한 (일회용) 시험 스트립은 시험 스트립의 작은 병(vial)에 담기게 된다. 각각의 시험 스트립은 제거되어 포도당 측정기 안으로 삽입되어야 한다.
다수의 스트립을 유지하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단순한 작은 병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작은 병의 일 단점은, 그 작은 병 내의 스트립에 접근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다른 스트립을 건드리지 않고 한 스트립을 정확하게 잡는 것은 보통 불가능하기 때문에, 작은 병 내의 나머지 스트립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접촉되면 보통 오염된다.
이들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EP 1 352 611 B1에는, 많은 시험 스트립을 컴팩트한 방식으로 보관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사용자에 의해 요구될 때 작은 스트립도 한번에 하나씩 분배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작은 시험 스트립 병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이 작은 시험 스트립 병은, 시험 스트립을 작은 병 밖으로 밀어 시험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그 작은 병으로부터 분배된다. 이는 작은 병에 제공되어 있는 슬라이더에 의해 이루어진다.
시험 스트립을 길이 방향으로 작은 병 밖으로 밀어 이 시험 스트립을 그의 길이 방향으로 분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분배 기구는 유리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시험 스트립은 길이 방향을 따라 밀릴 때 가끔 변형되거나 휘어지게 되며 그래서 병의 분배 개구가 시험 스트립에 의해 막힐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이러한 분배 기구를 위한 만족스러운 공차를 얻는 것이 어렵고 많은 부품을 갖는 복잡한 시스템 및 높은 제작 비용이 필요하고 그런데도 충분히 신뢰성 있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트립을 그의 길이 방향으로 빼내기 위해 안내면이 사용되는데, 이 안내면은 스트립의 바람직하지 않은 움직임을 피하기에 충분히 길어야 한다. 한편, 서로 마주하는 스트립 안내면들 사이의 거리는, 스트립이 활주하는데 필요한 간격이 제공되도록 스트립 치수 보다 약간 커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이 간격에 의해, 스트립은 이 스트립의 빼내기 면에 수직인 축 주위로 약간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안내면이 짧을수록, 스트립의 이러한 제어되지 않은 움직임의 가능한 범위가 더 커지게 되며, 이 결과 스트립 분배의 정확도가 불량하게 되고 막힘이 일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의 장치는 신뢰성 있는 스트립 분배를 이루기 위해 스트립 두께와 편평도는 물론 양 안내면의 치수, 형상 및 위치에 있어 매우 엄격한 공차를 필요로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장치는 앞에서 언급한 단순한 작은 병 구성 보다 덜 컴팩트하게 된다.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 문제를 극복하는 상기 기술 분야의 분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체액 샘플을 분석하기 위한 시험 스트립과 같은 스트립형 대상물을 유지하고 분배하기 위한 분배 장치로서, 이 분배 장치는 스트립 적층물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스트립 적층물을 유지하기 위한 용기부 및 분배 장치로부터 스트립을 한번에 하나씩 분배하기 위한 분배부를 포함하여, 스트립의 변형과 스트립을 분배하기 위한 개구의 막힘을 방지한다. 또한, 분배 기구에 대한 공차 및 허용 오차를 쉽게 만족할 수 있는 분배 장치가 요망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또한 매우 제한된 수의 기계 부품을 사용하는 신뢰성 있는 스트립 분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별한 목적은, 다른 스트립을 분배하거나 이탈시킴이 없이 또한 스트립을 변형시키거나 손상시킴이 없이 매우 얇은 스트립을 한번에 하나씩 분배할 수 있는 분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분배 장치는 최소 수의 부품과 조립 단계로 최소의 비용으로 쉽게 제작되는 것이 요망된다. 분배 장치에 들어 있는 스트립은 공기 또는 습기에 의한 오염과 같은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본 목적은 아래의 청구항 1에 따른 분배 장치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특징은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배 장치는, 분배부가, 분배될 스트립이 분배 장치에 포함되는 제 1 배향으로부터 그 스트립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제 2 배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분배될 스트립에 부여하기 위한 가동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트립은 이 스트립의 면에서 회전한다. 다시 말해, 회전 운동은 이 스트립의 평면에 수직인 회전 축 중심으로 일어나게 된다.
스트립의 회전 운동은, 스트립의 길이방향 측면에서 분배부의 가동 요소에 의해 일어나서, 시험 스트립이 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이 회피되고 따라서 스트립이 휘어질 위험이 회피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토퍼(stopper) 또는 지레받침(fulcrum)이 분배부에 제공될 수 있는데, 스트립의 일 부분이 그 스토퍼 또는 지레받침에 접함으로써, 가동 요소가 스트립을 그의 길이방향 측면에서 측면으로 밀 때 횡방향 슬라이딩 운동이 일어나지 않게 되며, 또한 스토퍼 또는 지레받침은 회전 운동이 일어나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이렇게 해서, 스트립의 회전 운동은 바람직하게는 스트립의 길이를 따르는 2개의 다른 위치에서 스트립의 두 상호 반대 길이방향 측면에 가해지는 두 힘에 의해 일어나게 된다.
구조적 관점에서, 분배부는 가동 요소와 분배부 내부의 리세스(recess) 또는 클리어(clear) 공간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리세스 또는 클리어 공간에는 스트립의 일 부분이 위치될 수 있다. 이 클리어 공간은 스트립이 적절히 회전할 수 있도록 그 스트립의 일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리어 공간은 제 2 배향에서 노출되는 분배될 스트립의 일 단부의 반대쪽에서 그 스트립의 일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클리어 공간은 적어도 분배될 제 1 스트립의 평면에서 스트립 적층물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넘어 있다. 클리어 공간은 바람직하게는 가동 요소의 작용과 동일한 길이방향 측에 있다. 이 클리어 공간은 제 2 배향으로 적절히 회전되어 스트립이 분배될 수 있게 하는 어떤 유형이라도 될 수 있다. 클리어 공간의 예를 들면, 공동부, 또는 스트립의 회전 축에 대해 측면으로 폐쇄되는 분배부의 격실, 또는 심지어는, 스트립의 일 부분이 들어갈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하지만, 이러한 개구 또는 틈을 형성하는 벽에 추가로 클리어 공간을 둘러싸는 다른 측벽은 갖지 않는 틈이 있다.
또한, 분배부의 공차와 관련하여, 회전 운동은 공차 또는 허용 오차에 대한 높은 요건을 만족하는 분배기를 쉽게 제작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스트립을 그의 가로 치수의 방향(길이방향 치수의 방향에 수직)을 따라 분배 장치 밖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밀어내는 것과 비교하여, 회전 운동은, 스트립이 여전히 분배 장치에 안에 유지되도록 그 스트립을 쉽게 분배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립의 상실 위험이 없이 스트립을 안전하게 분배할 수 있게 해준다.
스트립 적층물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배 장치, 특히 용기부는 스트립 적층물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페어(spare) 카트리지를 바람직하게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스트립 적층물은 분배 장치의 용기부에 직접 포함될 수 있다. 카트리지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바람직하게는 비 일회용 분배 장치에 도입되는 일회용 카트리지일 수 있으며, 이러한 카트리지에 의해 분배 장치에 새로운 스트립 적층물을 다시 보급할 수 있다. 이는, 분배 장치에 의해 분배될 스트립이 쉽게 재보급될 수 있게 해주면서 분배 장치를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분배 장치가 스트립을 더 이상 포함하지 않으면, 스트립 적층물로 채워진 카트리지가 별도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때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의 오염을 최대한 피하기 위해 카트리지를 공기와 습기로부터 보호하는데 적합한 예컨대 밀봉된 알루미늄 파우치와 같은 포장물에 수용되어 제공된다.
이러한 카트리지(또한, 이러한 분배 장치의)의 일 바람지한 특징은, 가동 요소가 스트립을 분배시키기 위해 스트립에 작용하여 그 스트립을 회전시킬 때 스트립이 적절히 회전할 수 있게 해주는 클리어 공간이 카트리지 및/또는 분배 장치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특히, 이 클리어 공간은, 스트립이 분배되는 제 2 배향에서 노출되는 스트립의 일 단부의 반대쪽에서 회전 스트립의 일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클리어 공간은 스트립이 제 2 배향으로 적절히 회전될 수 있게 해준다면 어떤 유형이라도 될 수 있는데, 예컨대 공동부, 폐쇄된 격실 또는 개방된 틈 등으로 될 수 있다. 또한, 클리어 공간은 카트리지의 전체 높이에 걸쳐 있거나 또는 분배부의 근처에만 존재할 수 있는데, 즉, 스트립을 카트리지로부터 분배시키기 위해 구성되어 있는, 스트립이 제 2 배향을 취할 수 있는 영역에 존재할 수 있다. 클리어 공간이 폐쇄된 또는 부분적으로 폐쇄된 격실의 형태인 경우, 카트리지의 설계는 카트리지를 용기부 안으로 싣기 위한 바람직한 배향을 규정할 수 있게 해주는 비대칭 형상을 갖게 된다.
분배 장치 또는 카트리지의 추가 바람직한 특징은, 스트립의 분배 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동 요소의 누름 리브(pushing rib)가 통과할 수 있는 창 또는 틈에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바람직하게 분배 장치 또는 카트리지는 한번에 단지 하나의 스트립만 분배되도록 해주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카트리지는 건조제(desiccant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그 건조제로 만들어질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들 특징 각각은 본 발명에서 독립적인 특징으로서 또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결합하여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가동 요소는 분배될 스트립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 근처에서 스트립에 접촉하고 스트립을 길이 방향에 대해 측면방향으로 밀어 스트립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효과로서, 스트레인 분산이 스트랩의 길이에서 보다 스트립의 폭에서 작게 되어 변형을 피할 수 있다(스트립의 더 큰 강성을 제공함). 또한,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길이 방향 단부에서 보다 중간 부분에서 더 두껍고 더 큰 강성을 가질 수 있으며, 스트립의 중간 부분 근처에서의 스트레인은 더욱 정밀하다. 이는 누름 리브가 분배될 스트립의 아래 또는 위로 지나가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더 바람직하게는, 스트립 적층물은 가동 요소가 단지 하나의 단일 스트립에만 효과적으로 작용하도록 위치 결정 표면에 밀리게 된다. 이 위치 결정 표면은 스트립의 회전 축에 수직인 평면이다. 이 위치 결정 표면은 예컨대 분배부에 있는 벽이거나, 가능한 경우에는 카트리지의 상부 벽일 수 있다. 가동 요소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동부, 및 이 작동부에 부착되어 있고 분배될 스트립과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위치 결정 표면은 가동 요소의 누름 리브가 통과할 수 있는 창 또는 틈을 포함한다. 이렇게 하여, 단지 단일 스트립에 대한 누름 리브의 접촉이 매우 잘 그리고 쉽게 규정될 수 있다.
리브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및 2 길이 방향 단부를 갖는 만곡된 요소로 설계될 수 있다. 제 1 길이 방향 단부는 스트립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길이 방향 단부는 작동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분배부는 스트립의 일 부분만 노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스트립의 회전 운동은, 스트립의 일 부분, 예컨대 스트립의 절반 보다 작은 부분이 노출되어 분배 장치로부터 분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립의 나머지 부분은, 사용자가 스트립을 최종적으로 분배 장치로부터 꺼내기 위해, 예컨대 스트립을 포도당 측정기에 넣기 위해 스트립을 잡을 때까지 바람직하게 분배 장치 내부에 유지된다. 이리하여, 부분적으로만 노출되는 스트립이 분배 장치 내부에 부분적으로 유지되어 거의 상실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안전한 분배 장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 바람직한 특징의 추가 이점은, 스트립의 반응부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접촉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스트립이 분배부 밖으로 빠지는 것을 피하고 또한, 스트립이 부분적으로 분배부에 남아 있게 하여 스트립의 반응부를 가능한 보호함으로써, 스트립의 민감한 어떠한 부분도 오염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분배부가 가동 요소 및 스트립의 일 부분이 위치될 수 있는 분배부 내의 리세스 또는 클리어 공간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에 대한 일 대안으로서, 스트립의 일 부분만 노출시키도록 분배부를 구성하는 다른 가능성도 존재한다.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분배부 및/또는 카트리지는 스트립의 회전 운동을 위한 지레받침을 형성한다. 지레받침은, 회전 운동을 부여하기 위한 가동 요소에 의해 힘이 가해지면 스트립이 접할 수 있는 가장자리 또는 유사한 요소에 의해 분배부 또는 카트리지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특히, 지레받침은 가동 요소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길이방향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스트립의 길이방향 측면에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레받침은 클리어 공간의 반대쪽에 있는 스트립의 길이 방향 측면에 위치된다. 스트립의 회전 운동을 위한 지레받침을 형성하는 분배부 또는 카트리지는, 분배부의 가동 요소를 조작할 때 스트립의 특히 잘 규정된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해준다. 사실, 이렇게 해서, 회전 운동은 스트립의 길이 방향 측면에 위치하는 회전 축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 축은 스트립의 평면에 수직이고 지레받침과 스트립의 길이방향 측면 사이의 접촉점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분배부는 사용자가 제 2 배향의 스트립을 잡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한다. 분배부의 가동 요소에 의해 회전되는 스트립은 예컨대 포도당 측정기 또는 유사한 장치에 도입가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잡히거나 또는 다른 식으로 분배 장치 밖으로 꺼내지게 된다. 제 2 (최종) 배향에서의 스트립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리세스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운동이 가동 요소에 의해 스트립에 가해진 후에 스트립의 노출부의 일 부분이 배치되는 분배 장치의 일 위치에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용기부는 스프링력 방향으로 분배부 쪽으로 스프링력을 스트립 적층물에 가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한다. 분배부 쪽으로 스트립 적층물의 스트립을 누르기 위한 스프링에 의해, 분배 장치를 거의 임의의 배향에서 또한 용기부 내의 스트립의 양과 거의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용기부 내부에 들어 있는 경우, 스프링이 스프링력을 분배부 쪽으로 가하면 그 분배부는 항상 하나의 스트립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스프링은 용기부의 바닥 또는 용기에 사용될 수 있는 스트립용 카트리지에 어떤 적절한 체결 수단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스프링은 용기부 또는 유사한 장치의 바닥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중앙 로드 주위에 단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스트립을 분배부 쪽으로 누르는데 적합한 다른 보상 수단 외에, 스프링은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닌데, 하지만 스트립 중의 하나가 분배 장치로부터 신뢰성 있게 분배될 수 있도록 분배부에 위치되는 스트립에 중력과 같은 외력이 작용하도록 분배 장치가 배향되면 그 분배 장치로부터의 스트립 분배 또한 가능하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의 바닥은 예컨대 초음파 용접, 레이저 용접, 스냅 결합 등에 의해 카트리지 몸체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배부는 스프링력 방향에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는 회전 축 중심의 회전 운동을 스트립에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스트립은 스프링력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움직이게 된다. 예컨대, 분배부는 돌출부 또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돌출부 또는 개구는 가동 요소에 있는 대응하는 개구 또는 돌출에 끼워져 가동 요소의 회전 축을 규정하게 된다. 그래서, 스프링력은 스트립 빼내기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고 스트립에 수직하게 스트립에 압력을 가하게 되며, 그 결과, 가동 요소에 의해 일어나는 스트립의 운동이 더욱 정밀하게 되는데, 이는 스프링력이 분배부의 틈새 또는 유격(play)을 최소화하기 때문이다. 이리하여, 특히 높은 품질 등급을 갖는 분배 장치가 가능하게 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용기부는 스프링에 의해 스트립 적층물 쪽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스트립이 용기부 안에 들어 있다면 피스톤은 스프링과 스트립 적층물 사이에 위치된다. 피스톤은 주로 스프링력이 스트립에 특히 고르게 분포되도록 해주며, 그래서 분배될 스트립에 예기치 않은 힘이 작용함이 없이 스트립이 분배 장치로부터 쉽게 분배될 수 있게 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피스톤은 카트리지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카트리지는 스트립 적층물과 피스톤을 포함하고, 스프링은 용기부에 위치된다.
또한, 피스톤은 건조제를 포함하고/포함하거나 담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대안예에서, 피스톤(그 자체)은 건조제를 포함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건조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 2 대안예에서, 피스톤은 (별도의) 건조제를 담고 있을 수 있다. 물론, 건조제를 포함하는, 즉 건조제로 만들어진 피스톤과 추가로 건조제를 담고 있는 피스톤의 조합도 가능하다. 또한, 분배 장치 내부의 분위기를 적극적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건조제 또는 임의의 다른 성분이 분배 장치 내의 어느 곳에도 위치될 수 있고 또는 분배 장치의 임의의 부품에 통합될 수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용기는 25 ∼ 50 개의 스트립의 적층물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분배 장치가 용이한 취급에 유리한 크기를 갖게 됨을 의미한다.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부는 실린더형으로 되어 있고 분배부는 그 용기부의 두 축방향 단부 중의 하나에 위치된다. 여기서 실린더형은 원형 또는 비원형 베이스부를 갖는 임의의 실린더의 형상이다. 특히,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다각형 베이스 또는 곡면과 평면의 복합물도 용기부를 형성하는 실린더를 위한 베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배부는 용기부에 직접 부착될 수 있고 또한 그에 확실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평면도에서 보면 유사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용기부, 특히 분배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용기부의 일 부분의 베이스는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분배부와 용기부의 단단한 밀봉 연결이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또한, 용기부 및/또는 분배부는 선택적으로 연속적으로 합쳐질 수 있는 다른 형상의 부품들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스트립이 회전 운동에 의해 분배될 때 통과할 수 있는 개구를 보호하고 밀봉하기 위해 분배부를 덮는 마개를 분배 장치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마개는 바람직하게는 분배부의 일 부분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그 부분과 단단히 밀봉 접촉하게 된다. 예컨대, 마개는 더 양호한 단단한 밀봉을 위해 분배부에 있는 비드(bead)/홈(groove)에 대응하는 홈/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개는 용기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힌지 또는 다른 연결 수단에 의해 용기부 또는 분배부에 연결될 수 있다. 마개는 용기부 또는 분배부와 일체로 (힌지에 의해 연결되어) 몰딩될 수 있다.
분배 장치의 분배부와 용기부는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몰딩된다.
용기부는 스트립 적층물을 담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용기부는 스트립 적층물 또는 가능한 경우에는 카트리지를 유지하는데 적합하게 되어 있는 형상을 갖는 가이드 레일, 가이드 쉬스(sheath), 가이드 케이스 또는 가이드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이드는 분배 장치, 특히 용기부와는 별개의 부품일 수 있고, 또는 분배 장치, 특히 용기부와 일체적으로 몰딩될 수 있다. 이 가이드가 용기부와는 별개인 부품인 경우, 그 가이드는 예컨대 초음파 용접, 레이저 용접, 스냅 시스템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용기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는 분배 장치의 바닥과 일체적으로 몰딩될 수 있고, 이렇게 해서 제공되는 결합체는 예컨대 스트립 적층물 또는 카트리지를 실은 후에 임의의 적절한 체결 수단에 의해 용기부에 고정될 수 있다.
용기부의 바닥은 예컨대 초음파 용접, 레이저 용접 또는 스냅 시스템과 같은 임의의 체결 수단에 의해 용기부에 단단히 밀봉될 수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바닥은 위에서 언급한 가이드에 바람직하게는 시일, 예컨대 고무 시일을 갖는 예컨대 베이요넷(bayonet) 시스템을 사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가동 요소는 누름 버튼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누름 버튼은, 여전히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특히 회전할 수 있는 상태에서, 임의의 적절한 체결 수단, 예컨대 스냅-인, 열 헤딩에 의해 분배부에 부착될 수 있다.
가동 요소 또는 누름 버튼은 바람직하게는 리브를 포함하는데, 이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스트립의 길이 방향 중간 부분 근처에서 스트립을 그의 길이 방향 측면에서 접촉하여 그 스트립을 횡방향으로 밀게 된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누름 리브의 바닥 단부는 제 1 스트립을 밀 때 다음 스트립과 상호 작용하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다음 스트립은 리브에 의해 긁히거나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가동 요소 또는 누름 버튼은 구멍 또는 팁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구멍 또는 팁은 분배부의 대응하는 팁 또는 구멍에 끼워져 가동 요소 또는 누름 요소의 회전 축을 규정하게 된다. 또한, 이 구멍 또는 팁은 가동 요소 또는 누름 버튼을 분배부에 부착시킬 수 있는 체결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동 요소의 이 회전 축은 스트립의 길이 방향에 대해 리브의 누름 작용과 동일한 측에 있다.
가동 요소 또는 누름 버튼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주변 측면에서 홈 또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홈 또는 리브는, 회전 운동 중에 가동 요소 또는 누름 요소를 안내하여 그것을 회전 운동의 수평면에 유지시키는 것을 도와 주고, 또한 수직 방향 이동을 피하기 위해, 분배부에 제공되는 대응하는 리브 또는 홈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가동 요소 또는 누름 버튼은, 새로운 스트립을 다시 세팅할 수 있도록 누름 버튼을 그의 초기 위치(가동 요소의 제 1 배향)로 자동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는 "복귀 수단(return means)"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복귀 수단은 스프링, 금속 또는 플라스틱(분배부 또는 누름 버튼과 일체적으로 몰딩될 수 있음), 탄성 밴드 또는 다른 수단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 2 배향에서의 제 1 스트립을 잡기 전에 리브의 이러한 자동 복귀로 인하여, 다음 스트립이 리브의 바닥 단부와 상호 작용하지 않으므로 다음 스트립은 리브에 의한 긁힘 또는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분배부는 바람직하게는 가동 요소의 누름 리브가 통과 및/또는 안내될 수 있는 창 또는 틈을 포함한다. 또한, 분배부는 바람직하게는 한번에 단지 하나의 스트립을 분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슬롯을 포함한다.
슬롯은 바람직하게는 스트립 하나의 두께 보다 약간 더 큰 두께를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슬롯의 두께는 분배될 적층물의 스트립 하나의 두께 보다 크지만 스트립 2개의 두께 보다는 작게 되어 있다.
슬롯은 바람직하게는 스트립 하나의 길이 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그래서, 스트립이 밀릴 때, 그 스트립의 일 부분이 분배부의 가장자리에 접하게 되고 이로써 회전 운동이 일어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롯의 길이는 분배 장치로부터 분배될 한 스트립의 길이의 1/2 ∼ 9/10이다.
용기부의 바닥은, 사용된 스트립의 배치를 위한 및/또는 후드, 바람직하게는 힌지식 후드를 갖는 혈액 란셋(lancet)의 배치를 위한 이중 바닥을 바람직하게 포함할 수 있다. 이중 바닥은 바닥과 일체적으로 몰딩될 수 있거나 별도의 요소일 수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개는 이 마개가 분배부 위에 닫히면 가동 요소가 미리 정해진 위치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동 요소의 미리 정해진 위치는 마개의 닫힘시 스트립이 자동적으로 분배되도록 정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마개는 사용자에게 특히 편한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별도로 가동 요소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지만, 다음번에 마개가 열리면 스트립이 사용자에 의해 잡힐 수 있도록 분배될 수 있다.
특히, 마개는 스트립을 분배하기 위해 분배부, 특히 가동 요소를 작동시키는 누름 요소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마개는 가동 요소 또는 누름 버튼을 변위시키기 위한 리브를 포함할 수 있고, 리브는, 다음 열림시 사용자가 스트립을 잡을 수 있도록 마개가 닫혀 있을 때 가동 요소 또는 누름 버튼을 변위시켜 스트립의 회전을 일으킨다. 그래서 가동 요소 또는 누름 버튼은, 마개가 분배부 상에 놓일 때 작동될 수 있으며 분배부는 마개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회전된다. 그리고 나서, 다음 번에 마개가 열리면, 가동 요소의 추가 작동이 필요 없이 스트립은 이미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특징 및 목적은 이하의 설명 및 그에 첨부된 청구 범위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험 스트립을 유지하고 분배하기 위한 분배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시험 스트립을 분배하기 위한 운동을 나타내는, 도 1 및 2의 분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 ∼ 3에 도시되어 있는 분배 장치의 바람직한 분배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시험 스트립을 유지하고 분배하기 위한 분배 장치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5a는 도 5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용기부 및 분배부의 일 부분도이다.
도 5b는 도 5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분배부를 위한 가동 요소의 분해도이다.
도 6은 폐쇄 상태에 있는 바람직한 분배 장치를 사시도이다.
도 7a-1은 도 5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위한 카트리지이다.
도 7a-2는 도 7a-1의 카트리지를 분해도이다.
도 7b-1 및 도 7b-2는 클리어 공간이 개구로 형성되어 있는 다른 카트리지이다.
도 7b-3은 클리어 공간이 개구로 형성되어 있는, 도 7b-1 및 도 7b-2의 카트리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바람직한 분배 장치의 분배부의 부분 단면도로서, 가동 요소와 스트립은 제 2 배향으로 있다.
도 9는 도 8의 분배부를 부분 단면도로서, 가동 요소는 제 1 배향으로 있다.
도 10a는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분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있는 평면 A - A를 따라 취한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분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b에 있는 평면 B - B를 따라 취한 도 10a의 분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a ∼ 11e는 분배 장치의 이중 바닥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1은 체액, 특히 혈액 또는 간질액의 샘플을 분석하기 위한 시험 스트립을 유지하고 분배하기 위한 분배 장치(10)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1은 시험 스트립 적층물(16)(분배 장치(10)의 일 부분은 아님)을 나타내는데, 하지만 분배 장치(10)는 바람직하게는 25 ∼ 50개의 시험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적층물을 포함하는데 적합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시험 스트립 적층물(16)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분배 장치(10)는 시험 스트립 적층물(16)을 유지하기 위한 용기부(12) 및 이 용기부(12)로부터 시험 스트립을 한번에 하나씩 분배하기 위한 분배부(14)를 포함한다. 용기부(12)는 실린더형으로 되어 있는데, 도 3 및 4에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용기부(12)의 베이스 형상은 2개의 평평한 면을 갖는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실린더형 용기부(12)의 일 단부에는 분배부(14)가 위치되며, 이 분배부는 분배될 시험 스트립에 회전 운동을 부여하기 위한 가동 요소로서 누름 버튼(15)을 포함한다. 분배부(14)는 누름 버튼의 누름 리브(도 1에는 미도시)가 통과할 수 있는 창(window) 또는 틈(30)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그 누름 리브는 스트립에 접촉하여 그 스트립을 제 2 배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분배부(14)는 누름 버튼(15)에 있는 대응하는 팁(도 1에는 미도시)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개구(32)를 포함하며, 그 팁은 분배부(14)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누름 버튼(15)을 위한 회전 축을 형성한다.
용기부(12) 내부에서, 시험 스트립 적층물(16)은 피스톤(20)에 의해 지지되고, 이 피스톤은 스프링(18)에 의해 지지되며, 이 스프링(18)은 스프링력을 분배부(14) 쪽으로 피스톤(20)을 통해 시험 스트립 적층물(16)에 가하도록 되어 있다. 이 스프링력은 한편으로 용기부(12)의 바닥(22)(이 바닥(22)은 용기 몸체(12)에 안정적으로 체결됨)과 다른 한편으로는 피스톤(20) 사이에서 작용한다. 적어도 하나의 시험 스트립이 용기부(12) 내부에 들어 있는 한, 스프링(18)에 의해 발생되는 스프링력에 의해, 한 시험 스트립은 분배부(14)와 접촉하게 되고 또한 분배부(14)가 시험 스트립에 작용하여 그 시험 스트립을 분배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18)이 분배 장치(10)에 제공되지 않은 경우, 시험 스트립은 대안적으로 중력 또는 다른 외부의 힘에 의해서만 분배부(14)와 접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분배 장치(10)에는 용기부(12)에 부착될 수 있는 마개(24)가 제공되는데, 이 마개는 분배부(14) 및 용기부(12) 안에 들어 있는 스트립 적충물(16)을 덮어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시험 스트립은 이 시험 스트립의 용이한 분배를 위해 분배부(14)에 존재할 수 있는 개구를 통해 일반적으로 주변 환경과 연통한다.
도 2는 도 1의 분배 장치(10)의 사시도를 나타내는데, 도 3, 4 및 나머지 도 5 ∼ 10c의 경우처럼, 도 1의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주어져 있고, 그래서 그에 대한 설명은 다른 도 2 ∼ 10c와 관련해서는 생략하기로 하다.
도 1의 도시에 추가하여, 도 2는 분배 장치(10)로부터 분배될 시험 스트립(17)(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시험 스트립(17)의 일 부분만 잡을 수 있고, 시험 스트립(17)의 나머지 부분은 분배 장치 내부에 유지된다. 이 나머지 부분은 분배부(14)의 누름 버튼(15)에 의해 덮여 있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노출된 시험 스트립(17)(안내면(36) 상에서 지지됨)을 잡는 것이 용이하도록 분배부(14)는 리세스(26)를 포함하는데, 이 리세스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시험 스트립(17)을 위쪽 및 아래쪽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측면에서도 잡을 수 있도록 위치되어 있고 치수 결정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누름 버튼(15)에 있는 홈(34)을 도시하는데, 정해진 회전 평면에서 누름 버튼(15)을 정확하게 회전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누름 버튼을 위한 안내 수단을 형성하기 위해 홈은 분배부(14)에 있는 대응하는 돌출부(미도시)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는 또한 슬롯(38)이 나타나 있는데, 이 슬롯의 크기는 하나의 스트립(17)만 분배 장치(10)로부터 분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해, 슬롯(38)의 두께 크기는 분배될 스트립(17)의 두께 보다 약간 크지만 스트립 2개의 두께 보다는 작게 되어 있으며, 그래서 슬롯(38)은 한번에 2개의 스트립이 분배되는 것을 신뢰성 있게 방지해 준다.
도 3은 분배 장치(10)의 평면도를 보여주는데, 도 3에 있는 2개의 화살표는 누름 버튼(15)의 가동성 및 제 1 배향(이 배향에서는 시험 스트립(17)이 도 3에서 수직 방향으로 나타내어 있음)에서 제 2 배향(실제로 도 3에 나타나 있고 시험 스트립이 부분적으로 노출됨)으로의 분배될 시험 스트립(17)의 대응하는 회전 운동을 나타낸다.
도 4는 시험 스트립 적층물(16)과 그의 배향이 도시되어 있는, 도 3의 평면도와 유사한 평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험 스트립 적층물(16)은 수직으로 나타나 있고, 분배될 시험 스트립(17)만 시험 스트립 적층물(16)의 배향으로부터, 시험 스트립(17)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제 2 배향으로 회전되어 있다.
회전 운동은 분배부(14)의 가동 요소인 누름 버튼(15)에 의해 시험 스트립(17)에 가해진다. 이 누름 버튼(15)은 분배될 하나의 단일 시험 스트립(17)만 접촉하는 리브(25)를 포함하며, 시험 스트립 적층물(16)의 다른 스트립은 용기부(12) 내부에 유지된다. 도 4에 또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브(25)는 분배 장치(10)의 분배부(14)에 있는 창(30)을 통과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분배부(14)는 도면의 평면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가장자리(27)와 가장자리(29)를 더 보여주고 있는데, 시험 스트립 적층물(16) 및 분배될 시험 스트립(17)이 두 가장자리에 접할 수 있다. 누름 버튼(15)이 시험 스트립(17) 쪽으로 움직이면, 분배될 시험 스트립(17)에 측방향 힘이 가해지게 되고, 그 시험 스트립(17)은 가장자리(29)에 접하여 그 가장자리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예컨대 측방향 힘이 시험 스트립(17)에 가해질 때 그 시험 스트립(17)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어느 정도 분산되기 때문에, 도 4에 있는 스트립(17)의 하부가 도 4에서 좌측까지 움직이면(후방 회전), 스트립(17)이 가장자리(27)에 접하게 되고, 이 가장자리는 스트립(17)의 후방 회전을 멈추게 된다. 다시 말해, 가장자리(29)는 분배될 시험 스트립(17)의 회전 운동을 위한 지레받침(fulcrum)을 형성하며, 멈춤 가장자리(27)는 가장자리(29)와 함께 스트립(17)을 위한 최대 회전각을 규정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분배부(14)는 클리어 공간(28)을 포함하는데, 분배될 시험 스트립(17)이 가장자리(29)에 의해 규정되는 지레받침 중심으로 적절히 회전하도록 그 분배될 시험 스트립의 일 부분이 클리어 공간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도 5는 시험 스트립을 유지하고 분배하기 위한 분배 장치(10)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분해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구성들의 대부분은 도 1 ∼ 4에 도시되어 있는 전술한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하다.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는 카트리지(100)를 포함하는데, 이 카트리지는 스트립 적층물(16)을 유지하고, 또한 분배 장치(10)의 용기부(12) 안으로 도입되는 교환가능한 유닛을 형성한다. 카트리지(10)는 아래에서 설명할 도 7에 더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카트리지(100)는 분배 장치(10)의 용기부(12) 안에 수용된다. 슬리브(43)가 카트리지(100)를 위한 안내 요소로서 작용하고 카트리지(100)가 용기부(12) 안으로 적절히 삽입되게 해준다. 슬리브(43)는 부착 기구, 예컨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베이요넷(bayonet) 시스템(46)에 의해 용기부(12)에 바닥(44)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슬리브(43)는 용기부(12)와 일체적으로 몰딩될 수 있다. 용기부(12)의 바닥(44)은 이중 바닥(45)을 포함하도록 바람직하게 설계되어 있으며, 이는 바닥(44)이 추가적인 공간을 가짐을 의미하는데, 이 공간은 뚜껑에 의해 폐쇄될 수 있고 또한 예컨대 사용된 시험 스트립을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도 개구(32)를 포함하는데, 이 개구는 대응하는 팁(도 5에는 미도시)과 협력하여 분배부(14)의 누름 버튼(15)을 위한 회전 접근부를 형성하게 된다. 도 5는 누름 버튼(15)의 리브(25)를 위한 창(30)을 또한 도시한다.
도 5a는 도 5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10)의 용기부(12) 및 분배부(14)의 일 부분을 보여준다. 용기부(12) 및 부분적으로 분배부(14)는 도 5에서처럼 사시도로 그러나 다른 배향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a는 도 2, 3 및 5b에 도시되어 있는 개구(32), 창 또는 틈(30), 안내면(36), 및 누름 버튼(15)에 있는 홈(34)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레지(ledge)(35)를 도시한다.
도 5b는 도 5a에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분배부(12)의 나머지 부분으로서 누름 버튼(15)을 분해도로 보여준다. 이 누름 버튼(15)은 앞에서 언급한 홈(34), 리브(25) 및 팁(33)을 포함하며, 이 팁은 분배부(14)에 있는 개구(32)에 수용되어 분배부(14)의 주 부분에 대한, 누름 버튼(15)을 위한 회전 접근부를 형성하게 된다. 누름 버튼(15)의 상부에는 제어 장치(4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장치(40)는 예컨대 분배 장치로부터 분배되는 시험 스트립 중의 하나에 기초하여 측정 결과를 판단하고 나타내는 모니터 또는 유사한 장치일 수 있다.
도 6은 폐쇄 상태에 있는 바람직한 분배 장치(10)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이 도에 따르면, 폐쇄 상태는 마개(24)가 용기부(12) 상에 닫혀 있을 때 취해진 것이다.
도 7a-1 및 도 7a-2는 도 5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위한 카트리지(100)를 나타낸다. 이들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100)는 위의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클리어 공간에 대응하는 클리어 공간(128)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100)는 스트립 적층물(16)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카트리지는 스트립 적층물의 상부에 있는 스트립(17)의 회전 운동을 위한 지레받침(129)을 포함한다. 카트리지는, 가동 요소의 작동시 한번에 하나의 스트립만 분배되게 해주도록 구성되어 있는 슬롯(138)을 또한 포함한다. 또한, 카트리지는 피스톤(120)과 스프링(118)을 포함하고 별도의 바닥(149)에 의해 폐쇄된다. 그 별도의 바닥(149)은 기둥부(148)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기둥부는 카트리지(100) 내부의 스프링(118)을 위한 안내 수단으로서 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7b-1, 도 7b-2 및 도 7b-3은 카트리지(1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데, 여기서 클리어 공간(128)은 스트립(17)이 적절히 회전할 수 있게 해주는 개구로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바람직한 분배 장치(10)의 분배부(14)를 부분 단면으로 보여주는데, 여기서 누름 버튼(15)은 스트립(17)이 분배 장치(10)로부터 분배되도록 제 2 배향으로 있다. 도 8의 부분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배될 스트립(17)이 회전될 수 있도록 누름 버튼(15)의 리브(25)가 그 스트립과 접촉해 있다. 스트립(17)은 안내면(36) 상에 지지되며, 분배 장치(10)의 기구는, 리브(25)가 스트립(17)에 접하여 이를 회전시키면 그 스트립(17)을 슬롯(38)을 통해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배부(14)는 리브(25)가 통과할 수 있는 창 또는 틈(30)을 포함한다.
도 9는 도 8의 분배부(14)를 부분 단면도로 보여주는데, 누름 버튼(15)은 제 1 배향으로 있다. 누름 버튼(15)의 제 1 배향은 스트립이 아직 노출되지 않은 배향이다. 오히려, 리브(25)는 스트립을 분배하기 위해 스트립 적층물(16)의 스트립에 접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도 10a는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분배 장치(10)의 측면도를 보여주며 평면 A - A를 도시하는데, 도 10b의 단면도는 그 면을 따라 취해진 것이다. 도 10b에 따르면, 마개(24)는 리브(50)를 갖도록 설계되어 있고, 마개(24)를 용기부(12) 상에서 닫으면, 그 리브는, 사용자가 다음번에 마개(24)를 열 때 스트립 적층물(16)의 스트립(17)이 스트립의 분배를 위한 제 2 배향으로 회전되도록 분배부(14)의 누름 버튼(15)을 작동시키게 된다. 도 10b 의 측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브(50)는 누름 버튼(15)을 제 2 배향으로 점진적으로 밀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10c는 도 10b에 있는 평면 B - B을 따르는 제 2 단면도를 보여준다. 이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개(24)가 닫히면 누름 버튼(15)은 제 2 배향으로 되게 작동되며, 다음번에 마개(24)가 열릴 때 스트립(17)이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험 스트립(17)의 변형에 대한 위험이 없이 또한 만족스럽지 않은 공차 없이, 체액 샘플을 분석하기 위한 시험 스트립(17)을 분배 장치(10)로부터 쉽고 편안한 방식으로 분배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이 바람직한 실시예로 달성되는 것이다.
도 11a ∼ 11e는 분배 장치(10)의 바닥(44)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바닥(44)은 이중 바닥으로 제공되며, 사용된 스트립, 혈액 란셋 등을 보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닥(44)은 도 11a에서 평면도로 나타나 있고 베이요넷 시스템(46)이 나타나 있다. 도 11b는 동일한 바닥(44)을 저면도로 나타낸 것인데, 즉 밑에서 본 것이다. 탭(tab)(52)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중 바닥(45)이 이 탭에 의해 열릴 수 있다. 이중 바닥(45)을 열 수 있는 유사한 기구도 가능하다.
도 11c는 열린 바닥(44)을 저면도로 도시한 것인데, 사용된 시험 스트립, 란셋 또는 다른 적절한 크기의 요소를 바닥(44) 내부의 공간에 보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관 수단(54)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d는 바닥(44)의 열린 상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e는 도 11c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도를 보여주는데, 하지만 보관 수단(54)에 배치되어 그에 의해 보관되기에 적절한 크기로 되어 있는 혈액 란셋(56)이 나타나 있다. 바닥(44)을 닫으면, 혈액 란셋(56) 또는 바닥(44) 내부에 포함되는 어떤 것이라도 필요시 쉽게 접근가능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다.
10 분배 장치 12 용기부
14 분배부 15 가동 요소
16 스트립 적층물 17 스트립
18 스프링 20 피스톤
26 리세스(recess) 28 클리어(clear) 공간
29 지레받침
100 카트리지

Claims (15)

  1. 체액 샘플을 분석하기 위한 시험 스트립과 같은 스트립형 대상물을 유지하고 분배하기 위한 분배 장치(10)로서,
    상기 분배 장치(10)는 스트립 적층물(16)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립 적층물(16)을 유지하기 위한 용기부(12) 및 분배 장치(10)로부터 스트립을 한번에 하나씩 분배하기 위한 분배부(14)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부(14)는, 분배될 스트립(17)이 상기 분배 장치(10)에 포함되는 제 1 배향으로부터 상기 스트립(17)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제 2 배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분배될 스트립(17)에 부여하기 위한 가동 요소(15)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부(14)는, 상기 제 2 배향에서 분배될 스트립(17)의 일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스트립이 상기 제 2 배향으로 적절히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클리어(clear) 공간(28)을 포함하는 분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14)에 의해 스트립(17)에 부여되는 상기 회전 운동은 스트립의 평면에 평행하며, 바람직하게는 스트립의 상기 회전 운동은, 스트립의 평면에 수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스트립(17)의 길이방향 측면에 위치되는 회전 축 중심으로 일어나는 분배 장치(10).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14)는 스트립(17)의 일 부분만 노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배 장치(10).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14)는 스트립(17)의 상기 회전 운동을 위한 지레받침(29)을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스트립(17)의 상기 회전 운동은, 스트립(17)에 가해지는 두 힘, 즉, 스트립(17)을 길이방향 측면으로 가압하는 스트립(17) 상의 가동 요소(15)의 제 1 힘, 및 스트립의 반대 길이방향 측면에서의 상기 분배부(14)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지레받침(29)의 제 2 힘의 결과로 일어나게 되는 분배 장치(10).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14)는 상기 제 2 배향에서의 스트립(17)을 잡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기 위한 리세스(recess)(26)를 포함하는 분배 장치(10).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12)는 상기 분배부(14) 쪽으로 스프링력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스트립 적층물(16)에 가하기 위한 스프링(18)을 포함하는 분배 장치(10).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14)는 상기 스프링력 방향에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는 회전 축 중심의 회전 운동을 스트립(17)에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배 장치(10).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12)는 상기 스프링(18)에 의해 스트립 적층물(16) 쪽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피스톤(20)을 더 포함하는 분배 장치(10).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은 건조제(desiccant material)를 포함 및/또는 담고 있는 분배 장치(10).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12)는 25 ∼ 50 개의 스트립의 적층물(16)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배 장치(10).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12)는 실린더형이고, 상기 분배부(14)는 상기 용기부(12)의 두 축방향 단부 중의 하나에 위치되는 분배 장치(10).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립 적층물(16)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스페어(spare) 카트리지(100)를 포함하는 분배 장치(10).
  13. 스트립 적층물(16)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청구항 12에 따른 분배 장치(10)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100)로서, 스트립(17)의 일 부분을 포함하고 스트립(17)이 제 2 배향으로 적절히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클리어 공간(128)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립을 회전시키기 위한 가동 요소의 일 부분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창(130)을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스트립(17)의 회전 운동을 위한 지레받침(129)을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
KR1020157022023A 2013-02-04 2014-02-03 스트립형 대상물을 유지하고 분배하기 위한 분배 장치 KR101787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305127.6 2013-02-04
EP13305127 2013-02-04
PCT/EP2014/051997 WO2014118359A1 (en) 2013-02-04 2014-02-03 Dispensing device for holding and dispensing strip-like objec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674A true KR20150129674A (ko) 2015-11-20
KR101787857B1 KR101787857B1 (ko) 2017-10-18

Family

ID=4787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2023A KR101787857B1 (ko) 2013-02-04 2014-02-03 스트립형 대상물을 유지하고 분배하기 위한 분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23234B2 (ko)
EP (1) EP2951577A1 (ko)
KR (1) KR101787857B1 (ko)
CN (1) CN104995508B (ko)
SG (1) SG11201505365PA (ko)
WO (1) WO20141183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31354B (zh) * 2015-11-16 2016-05-01 泰博科技股份有限公司 開蓋結構及生理檢測裝置
DE102016116668A1 (de) * 2016-09-06 2018-03-08 Sanner Gmbh Spender für Gegenstände, insbesondere für Teststreifen

Family Cites Families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798A (en) 1902-01-22 1902-04-15 George L Husband Non-refillable bottle.
US2173046A (en) 1938-10-15 1939-09-12 Harry T Smith Saltcellar
GB539891A (en) 1940-11-15 1941-09-26 Cascelloid Ltd Improvements in stoppers for containers
FR892608A (fr) 1943-03-19 1944-05-15 Dispositif de bouchage
US2588152A (en) 1950-03-01 1952-03-04 Newman Exclusive Gift Mfrs Inc Note paper ejecting address book
US2918167A (en) 1957-12-19 1959-12-22 Lowen Stanley Pill or tablet dispenser
US3276622A (en) 1964-04-01 1966-10-04 Milprint Inc Dispenser carton
GB1074165A (en) 1965-06-01 1965-06-28 Sure Form Plastic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hives for casks and kegs
US3516536A (en) 1967-11-07 1970-06-23 Hiroko Ino Dispenser closure
US3435988A (en) 1968-03-20 1969-04-01 Sobel Ind Inc Paper cup dispenser
US3517855A (en) 1968-06-17 1970-06-30 Man Mark Projects Ltd Desk paper dispenser
US3581934A (en) 1969-05-01 1971-06-01 American Can Co Adjustable cup dispenser
US3899104A (en) 1973-04-24 1975-08-12 Amiad Mutzarei Yiul 1972 Sheet storage and dispensing container
US3921851A (en) 1974-02-25 1975-11-25 Billy N Nilson Disabling device for dispenser for tablets
US4071165A (en) 1975-12-29 1978-01-31 Norbert Leopoldi Paper dispenser having a frictional discharge assistant
GB1594132A (en) 1977-08-15 1981-07-30 Johnsen Jorgensen Plastics Ltd Dispensing containers
CA1121320A (en) 1978-05-31 1982-04-06 William Marykuca Welding electrode dispenser
US4240564A (en) 1979-02-22 1980-12-23 Pritchard William F Soap leaf dispenser
DE3006864A1 (de) 1980-02-23 1981-09-10 Basf Ag, 6700 Ludwigshafen Gehaeuse fuer bandfoermiges material
US4653668A (en) 1980-11-10 1987-03-31 Merck & Co., Inc. Medicament dispensing container
GB2092108A (en) 1981-01-26 1982-08-11 Greenspan Donald Jay Pill dispenser
US4530447A (en) 1981-12-15 1985-07-23 Greenspan Donald J Dispenser
GB2118146A (en) 1982-04-02 1983-10-26 Gregory Victor Marshall Paper sheet dispenser
US4573632A (en) 1984-05-29 1986-03-04 Scheeren Jan M Food container
DE3441463A1 (de) 1984-11-13 1986-09-25 Licinvest Ag, Chur Blattwechsler
DE3632546A1 (de) 1986-09-25 1988-03-31 Knoll Ag Dosierspender
GB2210603A (en) 1987-10-02 1989-06-14 Philip Nigel Record Card dispenser
FR2624106A1 (fr) 1987-12-07 1989-06-09 Platex Boite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 distribution de cotons-tiges
US4830183A (en) * 1987-12-22 1989-05-16 Aegis Medical Corporation Dispenser apparatus
ATE188986T1 (de) 1990-05-02 2000-02-15 Advanced Oxygen Technologies I Sauerstoffänger enthaltende polymerzusammensetzungen
US5687876A (en) 1993-05-14 1997-11-18 Lucas, Jr.; Orlan R. Method and improved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dispensing coffee filters
US6906146B2 (en) 1993-07-13 2005-06-14 Phillips Petroleum Company Compositions having ethylenic backbone and benzylic, allylic, or ether-containing side-chains, oxygen scavenging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and process for making these compositions by esterification or transesterification of a polymer melt
DE4328815A1 (de) 1993-08-27 1995-03-02 Boehringer Mannheim Gmbh System zur Bevorratung von Testelementen
FR2709475B3 (fr) 1993-09-02 1995-07-13 Bricaud Piron Ets Distributeur de cartes, et notamment de cartes de visite.
GB9407589D0 (en) 1994-04-16 1994-06-08 Smithkline Beecham Plc Container
PL179210B1 (pl) 1994-08-05 2000-08-31 Smithkline Beecham Plc Pojemnik z substancja wrazliwa na wilgoc PL PL PL PL
DE19546684A1 (de) 1995-12-14 1997-06-19 Boehringer Mannheim Gmbh Vorratsbehältnis für streifenförmige Testelemente
JPH09315455A (ja) 1996-05-28 1997-12-09 Nifco Inc 容器の取出口構造及びキャップ
US5791515A (en) 1996-09-04 1998-08-11 Khan; Shaan Y. One at a time pill/medication dispenser
US6139770A (en) 1997-05-16 2000-10-31 Chevron Chemical Company Llc Photoinitiators and oxygen scavenging compositions
EP1066337B1 (en) 1998-03-25 2004-11-03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Oxygen scavengers with reduced oxidation products for use in plastic films and beverage and food containers
SG102538A1 (en) 1998-04-24 2004-03-26 Roche Diagnostics Gmbh Storage container for analytical devices
US6082581A (en) 1998-04-28 2000-07-04 Ross Anderson Business card dispenser
US6334974B1 (en) 1999-11-15 2002-01-01 Ching-Tien Chen Fragrant plastic container fabrication method
AU2010101A (en) 1999-12-23 2001-07-09 Alfred Von Schuckmann Dispenser for dispensing elements in strips
US6398051B1 (en) 2000-07-19 2002-06-04 Owens-Illinois Closure Inc. Tablet package including a tablet hold-down device
US6827899B2 (en) 2000-08-30 2004-12-07 Hypoguard Limited Test device
US7351151B1 (en) * 2001-08-20 2008-04-01 Sierra Design Group Gaming board set and gaming kernel for game cabinets
JP4077183B2 (ja) 2001-10-12 2008-04-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容器
DE20119188U1 (de) 2001-11-27 2002-02-21 Storz Achim Vorrichtung zur Ausgabe von filmartig dünnen Oblaten aus Nahrungs- oder Erfrischungsmitteln
US20030121932A1 (en) 2001-12-27 2003-07-03 Krystyna Wajda Apparatus for dispensing flat articles
GB2390602A (en) 2002-04-02 2004-01-14 Inverness Medical Ltd Test strip dispenser vial and cassette
WO2004024593A1 (en) 2002-09-12 2004-03-25 Colgate-Palmolive Company Dispenser for thin sheets
US7264139B2 (en) 2003-01-14 2007-09-04 Hypoguard Limited Sensor dispensing device
US7628292B2 (en) 2003-03-03 2009-12-08 Airsec S.A. Device for dispensing oblong objects, comprising one main opening and at least one other elongated opening
US6832697B2 (en) 2003-04-07 2004-12-21 Tun Lai Paper dispenser
US20050061706A1 (en) 2003-09-19 2005-03-24 Reynolds Jonathan K. Sealed secure prescription vial apparatus and method
FR2862622B1 (fr) 2003-11-24 2006-01-27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de produits empiles, notamment de produits cosmetiques sur support
US7582262B2 (en) * 2004-06-18 2009-09-01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Dispenser for flattened articles
US20060182656A1 (en) * 2004-06-18 2006-08-17 Tom Funke Dispenser for flattened articles
DE102004049349A1 (de) 2004-10-08 2006-04-13 Friedrich Sanner Gmbh & Co Kg Spritzgusswerk Spenderanordnung für Behälter
US7475773B2 (en) 2005-02-01 2009-01-13 Airsec S.A.S. Container for moisture-sensitive goods
US7428978B2 (en) 2005-05-27 2008-09-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heet material dispenser
EP1736772B1 (de) * 2005-06-22 2016-05-18 F.Hoffmann-La Roche Ag Testvorrichtung mit Testelement-Lagervorrichtung
US7708702B2 (en) * 2006-01-26 2010-05-04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Stack magazine system
US7887757B2 (en) * 2006-05-09 2011-02-1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diagnostic test strips
WO2008111937A1 (en) * 2007-03-12 2008-09-18 Bayer Healthcare Llc Analyte-testing instruments
US20090014463A1 (en) 2007-07-13 2009-01-15 Owens-Illinois Closure Inc. Dispensing package and fitment
US8147755B2 (en) * 2008-11-26 2012-04-03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Drum type container for analytical elements
US8066957B2 (en) 2009-12-23 2011-11-29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Easy strip access primary containe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tilization thereof
US8550295B2 (en) * 2010-02-22 2013-10-08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Container for dispensing a single test strip
US20110278321A1 (en) * 2010-05-11 2011-11-17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Hermetically sealed test strip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95508A (zh) 2015-10-21
KR101787857B1 (ko) 2017-10-18
EP2951577A1 (en) 2015-12-09
CN104995508B (zh) 2018-04-06
WO2014118359A1 (en) 2014-08-07
US20150377855A1 (en) 2015-12-31
SG11201505365PA (en) 2015-08-28
US9823234B2 (en) 201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1721B2 (en) Test sensor cartridges and sensor-dispensing instruments
EP1851539B1 (en) Sensor-dispens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it
US8016154B2 (en) Sensor dispenser device and method of use
JP6619856B2 (ja) 交換可能なマルチ帯片カートリッジおよびバイオセンサーメーター
US7582262B2 (en) Dispenser for flattened articles
EP2005158B1 (en) Dispenser for flattened articles
ES2443717T3 (es) Método y aparato para dispensar tiras de pruebas de diagnóstico
GB2390602A (en) Test strip dispenser vial and cassette
MXPA03000334A (es) Recipiente distribuidor de tiras de prueba.
EP1761770B1 (en) Dispenser for flattened articles such as diagnostic test strips
EP2526029B1 (en) Test strip container with strip retaine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tilization thereof
TW201443437A (zh) 用於電化學感測器的分配器
KR101787857B1 (ko) 스트립형 대상물을 유지하고 분배하기 위한 분배 장치
EP2365330B1 (en) Container for dispensing a single test strip
US202201535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age and Delivery of Test Stri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